KR101353921B1 - 교정거울 - Google Patents

교정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921B1
KR101353921B1 KR1020120054595A KR20120054595A KR101353921B1 KR 101353921 B1 KR101353921 B1 KR 101353921B1 KR 1020120054595 A KR1020120054595 A KR 1020120054595A KR 20120054595 A KR20120054595 A KR 20120054595A KR 101353921 B1 KR101353921 B1 KR 101353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asymmetry
measuring
line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0931A (ko
Inventor
심수용
Original Assignee
심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수용 filed Critical 심수용
Priority to KR1020120054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921B1/ko
Publication of KR2013013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4Appliances for adjus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into a desired position, especially incl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61B5/0079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using mirrors, i.e. for self-ex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면비대칭을 가진 얼굴의 비대칭정도를 측정하여 안면비대칭을 개선하도록 보조하는 교정거울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중심으로부터 사각반경에 위치한 거울과 거울 주변 테두리에 위치한 외곽프레임; 거울 표면에는 얼굴의 눈꼬리를 기준으로 수평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수평선과 얼굴의 수직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수직선이 인쇄되고, 얼굴의 윗입술을 중심으로 수평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제 1 보조선과 얼굴의 아랫입술을 중심으로 수평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제 2 보조선이 구비되며, 얼굴의 입술을 중심으로 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좌측선과 우측선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정거울{correction mirror}
본 발명은 교정거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안면비대칭을 가진 얼굴의 비대칭정도를 측정하여 안면비대칭을 개선하도록 보조하는 교정거울에 관한 것이다.
안면비대칭을 개선하기 위한 안면윤곽수술(facial bone contouring surgery)은 치아 교합과 관련 없이 얼굴 뼈를 변형시켜 얼굴형을 교정하는 수술을 말하는데, 이러한 안면윤곽수술에는 얼굴의 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안면윤곽수술외에도 안면근육이상에 의해 안면비대칭이 발생할 경우에는 얼굴을 올바른 방향으로 주무르거나 지압하는 안면물리치료시술법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얼굴의 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얼굴의 비대칭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종래기술을 살펴본다.
2006년03월20일자로 출원된 눈금이 표시된 거울(출원번호 20-2006-0007445)에 따르면, "본 고안은 거울의 표면에 길이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을 표시하여 신체의 크기나 물체의 길이를 쉽게 알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별도의 자가 필요없이 어디서나 편리하게 크기나 길이를 알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된 거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거울에는 눈금이 그려져 있지 않아 집이나 백화점 혹은 기타의 상점등에서 사용 시 거울을 설치 한 후 어떤 대상의 길이를 재기 위하여 별도의 자나 줄자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눈금이 표시 된 거울을 사용하면 설치 후 거울에 표시 된 눈금을 사용하여 손쉽게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거울은 어떤 대상물이나 신체를 빛의 반사를 통하여 비추어 보는 단순한 도구에 지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거울(10)의 표면에 길이를 알 수 있는 눈금(11)을 표시하여 별도의 자가 필요없이 어디서나 편리하게 크기나 길이를 알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사용할 때 대상 물체를 거울에 비추어 봄으로써 거울 표면에 형성된 눈금을 확인하면 됨으로 절단 시나 길이, 크기를 측정할 때 유용한 고안이다."라고 개시된 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눈금거울은 단순히 눈금만 그려져 있어서 얼굴의 안면비대칭정도를 정확히 측정하는데 불편한 점이 있고, 눈금이 주변에만 그려져 있어서 얼굴의 안면비대칭을 잘못 측정할 가능성이 다분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얼굴의 안면비대칭정도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측정하도록 한 교정거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심으로부터 사각반경에 위치한 거울과 거울 주변 테두리에 위치한 외곽프레임; 거울 표면에는 얼굴의 수평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수평선과 얼굴의 수직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수직선이 인쇄되고, 얼굴의 윗입술을 중심으로 정도를 측정하는 제 1 보조선과 얼굴의 아랫입술을 중심으로 수평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제 2 보조선이 구비되며, 얼굴의 입술을 중심으로 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좌측선과 우측선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중심으로부터 사각반경에 위치한 거울과 거울 테두리에 위치하여 각종 랙과 피니언 기어들을 수용하는 외곽프레임; 얼굴의 수직 비대칭을 측정하는 수직선, 수평 비대칭을 측정하는 수평선, 얼굴의 윗입술을 중심으로 수평비대칭을 측정하는 제 1 보조선, 얼굴의 아랫입술을 중심으로 수평비대칭을 측정하는 제 2 보조선, 입술의 비대칭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좌측선 및 우측선이 구비되고; 2개의 수직선과 2개의 수평선을 더 포함하고 이 선들은 외곽프레임 내부에 수용된 랙과 피니언에 의해서 이동되며 랙과 피니언들은 거울의 상부, 하부, 우측, 좌측에 각각 설치된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랙에 고정된 수평선과 수직선은 실이나, 피아노줄과 같이 질기고 무게가 가벼운 재질을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얼굴의 안면비대칭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눈금 부분을 이동시켜서 측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얼굴의 각 부위별로 안면비대칭 정도를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정거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정거울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정거울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정거울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교정거울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변형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1)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는 거울 표면에 인쇄된 선들이 고정된 교정거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정거울(1)은 중심으로부터 사각반경에 위치한 거울(3)과 거울(3) 주변 테두리에 위치한 외곽프레임(2)이 구비된다. 거울(3) 표면에는 얼굴의 눈꼬리를 기준으로 수평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수평선(4)과 얼굴의 수직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수직선(5)이 인쇄된다. 얼굴의 윗입술을 중심으로 수평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제 1 보조선(6)과 얼굴의 아랫입술을 중심으로 수평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제 2 보조선(7)이 구비된다. 얼굴의 입술을 중심으로 비대칭정도를 측정하는 좌측선(9)과 우측선(8)이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를 참조하면, 거울(3)에는 사용자의 얼굴(a)이 비췬다. 교정거울을 움직여서 수직선(5)과 수평선(4)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얼굴이 부위별로 어느쪽으로 치우쳐 있는 상태인지를 측정한다. 보통, 얼굴(a)에서 입(b), 코(c), 광대뼈(d)를 기준으로 어느쪽으로 치우쳐 있는 상태인지를 측정하므로, 이를 기준으로 살펴보면서 교정거울(1)을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치우친 정도를 가늠한다.
이와같이, 교정거울(1)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면 사용자가 불편하고, 정확한 측정이 힘들거나 잘못 측정할 수도 있으므로 선들을 이동시키도록 하면 편리하고 정확할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제 2 실시예에서 살펴본다.
2)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는 거울 표면의 선들이 고정된 것과 이동가능한 것이 혼재된 교정거울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교정거울(11)은 중심으로부터 사각반경에 위치한 거울(13)과 거울(13) 테두리에 위치하여 각종 랙과 피니언 기어들을 수용하는 외곽프레임(12)이 구비된다. 얼굴의 코를 기준으로 수직 비대칭을 측정하는 수직선(15), 얼굴의 눈꼬리를 기준으로 수평 비대칭을 측정하는 수평선(14), 얼굴의 윗입술을 중심으로 수평비대칭을 측정하는 제 1 보조선(16), 얼굴의 아랫입술을 중심으로 수평비대칭을 측정하는 제 2 보조선(17), 입술의 비대칭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좌측선(19) 및 우측선(18)이 구비된다.
이러한 선들은 모두 거울(13)에 인쇄되어 고정된 선들이다.
제 2 실시예에서 추가된 2개의 수직선과 2개의 수평선은 이동가능한 선들이고, 이 선들은 외곽프레임(12) 내부에 수용된 랙과 피니언에 의해서 이동된다.
랙과 피니언들은 거울의 상부, 하부, 우측, 좌측에 각각 설치되는데, 거울의 하부와 좌측을 기준으로 살펴본다.
하부에는 하부랙(20)과 상부랙(22)이 피니언(21)을 사이에 두고 맞물려 배치되고, 피니언(21)을 회전시키면 상부랙(22)과 하부랙(20)에 연결된 2개의 수직선을 이동시키게 된다.
즉, 피니언(21)을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부랙(22)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수직선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하부랙(2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수직선을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2개의 수직선은 서로 만날때 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피니언(21)을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부랙(22)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수직선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하부랙(2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수직선을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2개의 수직선은 거울(13) 좌우측 종단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좌측에는 좌측랙(24)과 우측랙(25)이 피니언(23)을 사이에 두고 맞물려 배치되고, 피니언(23)을 회전시키면 좌측랙(24)과 우측랙(25)에 연결된 2개의 수평선을 이동시키게 된다.
즉, 피니언(23)을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우측랙(25)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수평선을 아래로 이동시키고 좌측랙(24)이 위로 이동하면서 수평선을 위로 이동시켜서 2개의 수평선이 만날 때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피니언(23)을 반시계방향으로 우측랙(25)이 위로 이동하면서 수평선을 위로 이동시키고 좌측랙(24)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수평선을 아래로 이동시켜서 거울(13) 상하측 종단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랙에 고정된 수평선과 수직선은 실이나, 피아노줄과 같이 질기고 무게가 가벼운 재질을 이용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거울(13)의 상하좌우 테두리에 위치한 피니언들을 이용하여 랙에 연결된 수직선 혹은 수평선을 이동시켜 체형과 얼굴에 적합하도록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얼굴의 부위별로 어떠한 위치에 있더라도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측정오류를 줄여서 비대칭 측정의 정확도를 상승시키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제 2 실시예는 정확도를 상승시키고 편리함을 증대시키는 반면,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므로 이보다 저렴한 구조가 필요한데, 이는 제 3 실시예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3)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는 자석과 금속판에 의해 각종 선들이 자유자재로 움직이도록 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빛이 투과되는 투광판(32)과, 투광판(32)의 배면에 위치하여 투과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33)과, 자력에 붙는 성질을 가진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판(35)이 차례로 적층된 교정거울(31)이 구비된다.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구비된 각종 선들(수직선, 수평선, 보조선, 좌측선, 우측선 등등)을 자석으로 형성시킨 자석선(34)을 상기 교정거울(31) 표면에 자력으로 붙였다가 떼어서 자유로이 배치시킨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33)의 재질을 금속으로 형성시키면 교정거울(31)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데,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 6을 참조하면, 빛이 투과되는 투광판(42)과, 투광판(42)의 배면에 위치하여 투과된 빛을 반사시키고 자력으로 붙는 성질을 가진 금속으로 이루어진 반사판(43)이 차례로 적층된 교정거울(41)이 구비된다.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구비된 각종 선들(수직선, 수평선, 보조선, 좌측선, 우측선 등등)을 자석으로 형성시킨 자석선(44)을 상기 교정거울(41) 표면에 자력으로 붙였다가 떼어서 자유로이 배치시킨 구조이다.
제 3 실시예는 자석 재질이 선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자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야 하면서 수직과 수평을 보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실이나 피아노줄 보다는 그 두께가 두껍고 그 높이는 비슷도록 형성시킨다.
1 ; 교정거울 2 ; 외곽프레임
3 ; 거울 4 ; 수평선
5 ; 수직선 6 ; 제 1 보조선
7 ; 제 2 보조선 8 ; 우측선
9 ; 좌측선 a ; 얼굴
b ; 입 c ; 코
d ; 광대뼈

Claims (3)

  1. 거울과 외곽프레임을 가진 교정거울에 있어서,
    상기 교정거울(11)은 중심으로부터 사각반경에 위치한 거울(13)과 거울(13) 테두리에 위치하여 각종 랙과 피니언 기어들을 수용하는 외곽프레임(12); 얼굴의 수직 비대칭을 측정하는 수직선(15), 얼굴의 눈꼬리를 기준으로 수평 비대칭을 측정하는 수평선(14), 얼굴의 윗입술을 중심으로 수평비대칭을 측정하는 제 1 보조선(16), 얼굴의 아랫입술을 중심으로 수평비대칭을 측정하는 제 2 보조선(17), 입술의 비대칭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좌측선(19) 및 우측선(18)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선(15), 상기 수평선(14), 상기 제 1 보조선(16), 상기 제 2 보조선(17), 상기 복수개의 좌측선(19) 및 우측선(18)은 모두 상기 거울(13)에 인쇄되어 고정된 선이며; 2개의 수직선과 2개의 수평선을 더 포함하고 이 선들은 외곽프레임(12) 내부에 수용된 랙과 피니언에 의해서 이동되며 랙과 피니언들은 거울의 상부, 하부, 우측, 좌측에 각각 설치된 교정거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랙에 고정된 수평선과 수직선은 실이나, 피아노줄과 같이 질기고 무게가 가벼운 재질을 이용하도록 한 교정거울.



  3. 삭제
KR1020120054595A 2012-05-23 2012-05-23 교정거울 KR101353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595A KR101353921B1 (ko) 2012-05-23 2012-05-23 교정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595A KR101353921B1 (ko) 2012-05-23 2012-05-23 교정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931A KR20130130931A (ko) 2013-12-03
KR101353921B1 true KR101353921B1 (ko) 2014-01-22

Family

ID=4998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595A KR101353921B1 (ko) 2012-05-23 2012-05-23 교정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311Y1 (ko) * 2014-10-21 2015-02-16 박이래 등신비율 측정거울
KR102497691B1 (ko) * 2020-10-23 2023-02-07 이세호 교정거울을 이용한 스마트폰 연동 얼굴 비대칭 교정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7694B1 (ko) * 2020-10-29 2023-02-07 이세호 교정거울을 이용한 표정 트레이닝 기반의 안면 비대칭 교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235A (ja) * 1994-09-13 1996-03-26 Sakai Iryo Kk 姿勢矯正用鏡
JP2001000294A (ja) * 1999-06-18 2001-01-09 Sasaki:Kk 鏡装置
KR200385444Y1 (ko) * 2005-03-17 2005-05-27 신현진 수평 및 수직선이 형성된 거울을 구비한 운동기구
KR200419615Y1 (ko) * 2006-04-12 2006-06-21 김효주 미소선이 표시된 거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235A (ja) * 1994-09-13 1996-03-26 Sakai Iryo Kk 姿勢矯正用鏡
JP2001000294A (ja) * 1999-06-18 2001-01-09 Sasaki:Kk 鏡装置
KR200385444Y1 (ko) * 2005-03-17 2005-05-27 신현진 수평 및 수직선이 형성된 거울을 구비한 운동기구
KR200419615Y1 (ko) * 2006-04-12 2006-06-21 김효주 미소선이 표시된 거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931A (ko) 201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2287B2 (ja) 累進焦点眼鏡用レンズを選択する方法
US10130252B2 (en) Trial frame and method for measuring key parameter thereof
KR101353921B1 (ko) 교정거울
CN103735245B (zh) 瞳距瞳高测量仪
JP6346709B2 (ja) マスクサイズ物差しと一体化されたマスクパッケージ装置
EP4275587A3 (en)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ly measuring ocular refractive errors, addition and power of reading glasses
KR20150059629A (ko) 인체의 균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거울
WO2019196536A1 (zh) 用于投射显示装置的视角测试方法、装置和系统
DE502005010433D1 (de) Messgerät
KR102446160B1 (ko)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
CN204049609U (zh) 眼科电子测距仪
CN211532881U (zh) 量肩器
JP6849568B2 (ja) 適正枕を確認するための定規
CN204388759U (zh) 一种眼镜倾角测量仪
CN201058027Y (zh) 面部美丽测量仪
JP7222809B2 (ja) マスクサイズゲージ
CN109631709B (zh) 一种便于携带的平面设计用测量装置
JP2011174923A (ja) 測定器
CN201417116Y (zh) 一种x线摄影精准测量尺
US20220313412A1 (en) Orthodontic height positioning gauge
CN212089541U (zh) 一种医用多功能尺
CN209186709U (zh) 头部尺寸测量尺
CN214632151U (zh) 一种小儿斜颈左右面部宽度差异专用测量工具
CN100455259C (zh) 一种用于测量面部轮廓对称性的装置及方法
CN210374839U (zh) 一种可换测头卡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