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3064B1 -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3064B1
KR101353064B1 KR1020120053175A KR20120053175A KR101353064B1 KR 101353064 B1 KR101353064 B1 KR 101353064B1 KR 1020120053175 A KR1020120053175 A KR 1020120053175A KR 20120053175 A KR20120053175 A KR 20120053175A KR 101353064 B1 KR101353064 B1 KR 101353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eering
steering angle
driving state
fuel econo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947A (ko
Inventor
손준우
박명옥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5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06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각의 크기 또는 변화량의 조향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정확한 주행 상태를 판단하여 연비 성능을 향상시키는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향 데이터를 수집하는 조향 데이터 수집부; 상기 조향 데이터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조향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판단된 주행 상태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및 그 방법{ECO-DRIVING GUIDE SYSTEM USING STEERING WHEEL CONTROL PATTER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경제 운전 안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향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정확한 주행 상태를 판단하여 연비 성능을 향상시키는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환경오염과 원유 가격 인상 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자동차 산업에서는 에코 드라이빙이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경제 운전 안내 시스템들의 상용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경제운전 가이드라인은 운전 상황에 맞추어 제공되어야 하며, 특히 운전자의 운전성향이 경제운전 유도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운전자의 성향을 판단하여 개인의 경제운전 성향에 맞게 경제운전 안내를 제공하여 할 필요가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4118호(2011.05.02)에는 차량의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속, RPM 값 및 APS 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40)와; 엔진 연료 효율 맵 및 엔진 토크 맵이 저장된 엔진 데이터 저장부(30)와; 상기 차량 정보 수집부(40) 및 상기 엔진 데이터 저장부(30)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연비맵을 계산하여 현재 주행 상태를 산출하는 주행 상태 산출부(60)와; 상기 주행 상태 산출부(60)에서 산출된 현재 주행 상태가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70)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운전자가 연비 효율이 좋은 영역 내에서 경제적인 운전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은, 차량의 속도에 관련된 정보 또는 거리 정보만으로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때문에, 다른 주행 정보 예로서, 조향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지 못하므로 실제 주행 상태와 오차가 발생하여 정확한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4118호 (2011년 05월 02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향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정확한 주행 상태를 판단하여 연비 성능을 향상시키는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는, 조향 데이터를 수집하는 조향 데이터 수집부; 상기 조향 데이터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조향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판단된 주행 상태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부는 조향각의 크기를 상기 조향 데이터로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조향각속도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조향각의 크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연산하여 현재 차량의 시간당 조향각속도를 구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조향각속도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조향각속도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주행상태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조향각속도가 작을수록 높은 연비로, 조향각속도가 클수록 낮은 연비로 설정하여 상기 조향각속도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행상태 판단부는; 도로의 굴곡 및 노면 상태에 따라 상기 기준 연비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부는 조향각의 변화를 상기 조향 데이터로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조향각의 변화를 일정시간 또는 일정거리 간격으로 연산하여 현재 차량의 시간당 또는 거리당 조향각의 변화량을 구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조향각의 변화량을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주행상태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조향각의 변화량이 적을수록 높은 연비로, 조향각의 변화량이 클수록 낮은 연비로 설정하여 상기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행상태 판단부는; 도로의 굴곡 및 노면 상태에 따라 상기 기준 연비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방법은, 조향 데이터를 수집하는 조향 데이터 수집단계; 상기 조향 데이터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조향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에 저장된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단계; 및 상기 데이터 처리단계에서 판단된 주행 상태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단계는 조향각의 크기를 상기 조향 데이터로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는 조향각속도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단계는;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조향각의 크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연산하여 현재 차량의 시간당 조향각속도를 구하는 연산단계; 상기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조향각속도를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에 저장된 조향각속도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주행상태 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는; 상기 조향각속도가 작을수록 높은 연비로, 조향각속도가 클수록 낮은 연비로 설정하여 상기 조향각속도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행상태 판단단계는; 도로의 굴곡 및 노면 상태에 따라 상기 기준 연비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단계는 조향각의 변화를 상기 조향 데이터로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는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단계는;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조향각의 변화를 일정시간 또는 일정거리 간격으로 연산하여 현재 차량의 시간당 또는 거리당 조향각의 변화량을 구하는 연산단계; 상기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조향각의 변화량을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에 저장된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주행상태 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는; 상기 조향각의 변화량이 적을수록 높은 연비로, 조향각의 변화량이 클수록 낮은 연비로 설정하여 상기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행상태 판단단계는; 도로의 굴곡 및 노면 상태에 따라 상기 기준 연비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조향각의 크기 또는 변화량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정확한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때문에 실제 주행 상태를 더욱 정확히 판단할 수 있음으로써 실질적으로 연비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경제운전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조향 데이터를 활용하여 운전자의 경제 운전 성향, 특히 비경제운전 성향(Aggressive Driving)을 판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의 제1 실시예는, 조향 데이터 수집부(100), 데이터 저장부(200), 데이터 처리부(300) 및 출력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300)는 데이터 정규화부(310), 연산부(320), 주행상태 판단부(330)를 포함한다.
조향 데이터 수집부(100)는 조향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 저장부(200)는 상기 조향 데이터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한다.
조향 데이터 수집부(100)는 조향각의 크기를 수집한다. 조향각은 차량의 주행시 운전자의 핸들의 회전 조작에 따라 시간별로 변경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변경되는 조향 각도의 크기를 일정 주기로 샘플링하여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부(100)는 통상의 CAN 통신 및 OBD-II 등을 활용하여 차량으로부터 조향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차량으로부터 이러한 조향 데이터를 얻을 수 없을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의 핸들에 통상의 G-센서 혹은 로터리(Rotary) 센서를 추가로 부착하여 조향 데이터를 직접 얻을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부(200)는 조향각속도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200)는 통상의 메모리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통상의 고속 메모리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각속도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는 테이블 또는 맵 형태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200)는; 상기 조향각의 변화량이 적을수록 높은 연비로, 조향각의 변화량이 클수록 낮은 연비로 설정하여 상기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300)는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부(100)에서 수집된 조향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200)에 저장된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300)는;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부(100)에서 수집된 조향각의 크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연산하여 현재 차량의 시간당 조향각속도를 구하는 연산부(320); 상기 연산부(320)에서 연산된 조향각속도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200)에 저장된 조향각속도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주행상태 판단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320)는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부(100)에서 수집된 조향각의 크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연산하여 시간당 조향각속도를 구한다. 상기 연산부(320)에서는 일정한 시간간격 동안 조향 데이터를 수집한 후에 조향각의 표준 편차 및 평균 조향각속도를 구하여 데이터로 활용할 수도 있다.
주행상태 판단부(330)는 상기 연산부(310)에서 연산된 현재 차량의 조향각속도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200)에 저장된 조향각속도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주행상태 판단부(330)는; 도로의 굴곡 및 노면 상태에 따라 상기 기준 연비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출력부(40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300)에서 판단된 주행 상태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400)는 현재 차량의 연비를 출력하거나 주행상태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현재 연비에 따른 차량의 주행 상태를 예로서, "비경제 운전", "보통 운전" 또는 "경제 운전"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각각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색상 또는 문자 숫자 등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정규화부(310)는 조향 데이터 수집부(100)에서 수집된 조향 관련 정보를 정규화 처리를 통하여 0~1사이의 값으로 변환하여 연산부(320)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주행상태 판별부(330)에서는 뉴럴 네트워크 등의 인공지능 기법 또는 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경제 운전 성향을 판별하고 그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조향각속도"란 주행중 발생하는 조향각의 크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데이터로 저장한 것이다. 상기 조향각의 크기는 "각도"로 표시될 수 있다. 예로서,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기 위하여 핸들을 조작할 경우 특정 시간당 조향각의 크기를 검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시간 수집된 조향각의 크기로 시간당 조향각속도를 구할 수 있다.
한편, 같은 거리를 주행하더라도 조향각속도의 차이에 따라 실제 연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로서, 조향각속도가 크다는 것은 일정시간에 핸들의 각도를 많이 회전시켰다는 의미이며, 이때에는 급제동 또는 가감속이 수반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조향각속도가 클수록 급제동 및 가감속이 수반되어 연비가 떨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차량의 속도 관련된 정보 또는 거리 정보만으로 주행 상태를 판단할 경우에는 연비 차이를 판단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은 같은 거리 구간을 이동하더라도 "조향각속도"가 클 경우와 작을 경우를 판단하여 주행 상태에 반영함으로써 실제 연비 차이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방법은, 먼저 조향각, 즉 조향 각도의 크기 데이터를 수집하는 조향 데이터 수집 단계를 수행한다(S01). 조향각은 운전시 시간별로 변경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변경되는 조향각도의 크기를 일정 주기로 샘플링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 저장단계(S02)에서는 조향각속도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조향각속도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는 테이블 또는 맵 형태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향각속도가 작을수록 연비가 높고, 조향각속도가 클수록 연비가 낮은 것으로 설정하여 기준 연비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단계에서는,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조향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에 저장된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단계는 연산단계(S03)와 주행상태 판단단계(S04)를 포함한다.
연산단계(S03)에서는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조향각의 크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연산하여 시간당 조향각속도를 구한다.
한편, 상기 연산단계(S03)에서는 일정한 시간간격 동안 조향 데이터를 수집한 후에 조향각의 표준 편차 및 평균 조향각속도를 구하여 데이터로 활용할 수도 있다.
주행상태 판단단계(S04)에서는 상기 연산단계(S03)에서 연산된 현재 차량의 조향각속도를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S02)에 저장된 조향각속도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주행상태 판단단계(S04)에서는 도로의 굴곡 및 노면 상태에 따라 상기 기준 연비 데이터 설정시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더욱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출력단계(S05)에서는 상기 주행상태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주행 상태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단계(S05)에서는 현재 차량의 연비를 출력하거나 주행상태 판단단계(S04)의 판단 결과에 따라 현재 연비에 따른 차량의 주행 상태를 예로서, "비경제 운전", "보통 운전" 또는 "경제 운전"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각각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색상 또는 문자 숫자 등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하거나 음성, 알람 소리 등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의 제2 실시예는, 조향 데이터 수집부(500), 데이터 저장부(600), 연산부(720) 및 주행상태 판단부(730)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부(700) 및 출력부(800)를 포함한다.
조향 데이터 수집부(500)는 조향각의 변화를 수집하고, 연산부(720)는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부(500)에서 수집된 조향각의 변화를 일정시간 또는 일정거리 간격으로 연산하여 시간당 또는 거리당 조향각의 변화량을 구한다.
데이터 저장부(600)는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저장부(600)는 상기 조향각의 변화량이 적을수록 연비가 높고, 조향각의 변화량이 클수록 연비가 낮은 것으로 설정하여 상기 기준 연비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주행상태 판단부(730)는 상기 연산부(720)에서 연산된 현재 차량의 조향각의 변화량을 상기 데이터 저장부(600)에 저장된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주행상태 판단부(730)는 도로의 굴곡 및 노면 상태에 따라 상기 기준 연비 데이터 설정시 가중치를 부여하여 더욱 정확한 주행 상태 및 이에 따른 연비를 판단할 수 있다.
출력부(800)는 상기 주행상태 판단부(730)에서 판단된 주행 상태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800)는 현재 차량의 연비를 출력하거나 주행상태 판단부(7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현재 연비에 따른 차량의 주행 상태를 예로서, "비경제 운전", "보통 운전" 또는 "경제 운전"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각각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색상 또는 문자 숫자 등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조향각의 변화량"이란, 주행중 발생하는 조향각의 변화를 일정시간 또는 일정거리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데이터로 저장한 것이다. 상기 변화량은 조향각이 변화된 횟수일 수 있다.
예로서,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기 위하여 핸들을 조작할 경우 이에 따른 조향각의 변화를 횟수로 카운트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시간 또는 일정거리를 주행하는 동안 변화된 횟수를 누적하여 '조향각의 변화량"을 구할 수 있다.
한편, 같은 거리를 주행하더라도 차선변경의 횟수에 따라 실제 연비의 차이가 발생하나, 차량의 속도 관련된 정보 또는 거리 정보만으로 주행 상태를 판단할 경우에는 연비 차이를 판단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같은 구간을 이동하더라도 "조향각의 변화량"이 많을 경우와 적을 경우를 판단하여 주행 상태에 반영함으로써 실제 연비 차이를 정확히 판단하고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방법은, 먼저 조향각의 변화를 수집하는 조향 데이터 수집단계를 수행한다(S11). 조향각은 운전시 시간별로 변경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변경되는 횟수를 일정 주기로 샘플링하여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단계(S13)에서는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는 테이블 또는 맵 형태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각의 변화량이 적을수록 연비가 높고, 조향각의 변화량이 클수록 연비가 낮은 것으로 설정하여 상기 기준 연비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연산단계(S12)에서는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단계(S11)에서 수집된 조향각의 변화를 일정시간 또는 일정거리 간격으로 연산하여 시간당 또는 거리당 조향각의 변화량을 구한다.
주행상태 판단단계(S14)에서는 상기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현재 차량의 조향각의 변화량을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에 저장된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주행상태 판단단계(S14)는; 도로의 굴곡 및 노면 상태에 따라 상기 기준 연비 데이터 설정시 가중치를 부여하여 더욱 정확하게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출력단계(S15)에서는 상기 주행상태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주행 상태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단계(S15)에서는 현재 차량의 연비를 출력하거나 주행상태 판단단계(S14)의 판단 결과에 따라 현재 연비에 따른 차량의 주행 상태를 예로서, "비경제 운전", "보통 운전" 또는 "경제 운전"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각각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색상 또는 문자 숫자 등의 조합을 이용하여 표시하거나 음성, 알람 소리 등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조향각의 크기 또는 변화량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정확한 주행 상태를 판단하기 때문에 실제 주행 상태를 더욱 정확히 판단할 수 있음으로써 실질적으로 연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500 : 조향 데이터 수집부
200, 600 : 데이터 저장부
300, 700 : 데이터 처리부
310 : 데이터 정규화부
320, 720 : 연산부
330, 730 : 주행상태 판단부
400, 800 : 출력부

Claims (14)

  1. 조향 데이터를 수집하는 조향 데이터 수집부;
    상기 조향 데이터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조향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판단된 주행 상태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부는 조향각의 변화를 상기 조향 데이터로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조향각의 변화를 일정시간 또는 일정거리 간격으로 연산하여 현재 차량의 시간당 또는 거리당 조향각의 변화량을 구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조향각의 변화량을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주행상태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조향각의 변화량이 적을수록 높은 연비로, 조향각의 변화량이 클수록 낮은 연비로 설정하여 상기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상태 판단부는;
    도로의 굴곡 및 노면 상태에 따라 상기 기준 연비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8. 조향 데이터를 수집하는 조향 데이터 수집단계;
    상기 조향 데이터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조향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에 저장된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단계; 및
    상기 데이터 처리단계에서 판단된 주행 상태를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단계는 조향각의 변화를 상기 조향 데이터로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는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단계는;
    상기 조향 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조향각의 변화를 일정시간 또는 일정거리 간격으로 연산하여 현재 차량의 시간당 또는 거리당 조향각의 변화량을 구하는 연산단계;
    상기 연산단계에서 연산된 조향각의 변화량을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에 저장된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주행상태 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는;
    상기 조향각의 변화량이 적을수록 높은 연비로, 조향각의 변화량이 클수록 낮은 연비로 설정하여 상기 조향각의 변화량에 따른 기준 연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상태 판단단계는;
    도로의 굴곡 및 노면 상태에 따라 상기 기준 연비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방법.
KR1020120053175A 2012-05-18 2012-05-18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KR101353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175A KR101353064B1 (ko) 2012-05-18 2012-05-18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175A KR101353064B1 (ko) 2012-05-18 2012-05-18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947A KR20130128947A (ko) 2013-11-27
KR101353064B1 true KR101353064B1 (ko) 2014-01-20

Family

ID=4985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175A KR101353064B1 (ko) 2012-05-18 2012-05-18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0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041A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만도 운전자의 운전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96792A (ko) * 2010-02-23 2011-08-31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의 고연비 유지시스템
KR20120108699A (ko) * 2011-03-25 2012-10-0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조향각을 이용한 연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11514A (ko) * 2011-04-01 2012-10-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패턴인식을 이용한 자동차 가감속 정보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0041A (ko) * 2007-12-26 2009-07-01 주식회사 만도 운전자의 운전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96792A (ko) * 2010-02-23 2011-08-31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의 고연비 유지시스템
KR20120108699A (ko) * 2011-03-25 2012-10-0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조향각을 이용한 연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11514A (ko) * 2011-04-01 2012-10-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패턴인식을 이용한 자동차 가감속 정보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947A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7088B2 (ja) ウォルシュ・カーネル・投影技術に基づく自動運転車両の位置決め
CN102167041B (zh) 一种基于加速度传感器的车辆行驶状态的判定方法
US10474157B2 (en) Data-based control error detection and parameter compensation system
JP6578331B2 (ja) 自律走行車のコマンド遅延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US9053593B2 (en) Vehicle data analysis method and vehicle data analysis system
RU259706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ознавания дорожных знаков
CN103649683B (zh) 组合的雷达和gps定位系统
CN105109490B (zh) 一种基于三轴加速度传感器判断车辆急转弯的方法
US10260898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an optimized route for a highly automated vehicle
US20130209968A1 (en) Lesson based driver feedback system & method
WO2016086792A1 (zh) 一种驾驶行为分析方法及设备
JP2012164025A (ja) 渋滞判定装置、及び車両制御装置
CN108466616B (zh) 一种自动识别碰撞事件的方法、存储介质及车载终端
CN106097707B (zh) 一种车辆行驶状态的判断方法和装置
KR101272570B1 (ko) 패턴인식을 이용한 자동차 가감속 정보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CN108304594B (zh) 一种基于速度与陀螺仪数据的汽车驾驶稳定性的判定方法
JP6908674B2 (ja) 自動運転車両を動作させるための所定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テーブルに基づく車両制御システム
CN107054458A (zh) 转向辅助控制装置
WO2022134499A1 (zh) 一种泊车的方法和装置
CN111038476A (zh) 车辆行驶的控制方法、装置和自动驾驶设备
CN110094498B (zh) 一种轮速比的获取方法及装置
US20180286222A1 (en) Vehicle identifying device
CN105835701A (zh) 车辆行驶控制方法及装置
KR101353064B1 (ko) 조향 데이터를 이용한 경제 운전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CN108120450B (zh) 一种静止状态的判断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