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218B1 - 병 고정형 액자 - Google Patents

병 고정형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218B1
KR101352218B1 KR1020120053274A KR20120053274A KR101352218B1 KR 101352218 B1 KR101352218 B1 KR 101352218B1 KR 1020120053274 A KR1020120053274 A KR 1020120053274A KR 20120053274 A KR20120053274 A KR 20120053274A KR 101352218 B1 KR101352218 B1 KR 10135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support
support plate
frame
u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995A (ko
Inventor
정석환
Original Assignee
정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환 filed Critical 정석환
Priority to KR1020120053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21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을 고정하여 포장용기로 사용하거나 벽에 걸거나 탁자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는, 사각 형상의 측면 테두리를 이루는 액자틀; 액자틀의 후측면에 마련되는 후판; 후판의 전측에서 액자틀에 고정되며, 병의 후측면을 지지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지지판; 지지판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병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 및 지지판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병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병 고정형 액자는 포장재로 사용 후 병을 장착하여 고급 장식소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원 낭비를 막고, 일반적인 액자로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아름다운 병 또는 개인적인 감정이 부여된 와인병이 장착되어 멋진 장식소품으로 거듭날 수 있고, 100% 수입에 의존하는 와인관련 시장에서 수출이 가능한 와인관련 상품을 보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병 고정형 액자{FRAME FOR FIXING BOTTLE}
본 발명은 병을 고정하여 포장용기로 사용하거나 벽에 걸거나 탁자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 고급 주류 및 와인 시장은 소비재 시장에서 포지션이 매우 크며 최근 그 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와인의 경우 연간 200억병 정도가 생산되고 있다. 와인 애호가들에게 고급 와인 병은 소장과 수집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미 와인아트라는 장르가 탄생할 정도로 심미적인 효과를 극대화시킨 와인 병, 병 라벨 등의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예컨대, 고급 명품와인은 내용물뿐만 아니라 빈병, 그리고 라벨에 이르기까지 개성과 정체성을 부여하고 있다. 유명화가의 그림을 라벨로 제작하는 픽처 시리즈(Picture Series)가 있으며, 그 외에도 예술적인 가치가 높은 이미지를 사용하거나 상품의 고급화를 도모하는 이미지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라벨들이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병을 장식물로서 활용하는 제품이나 기술이 현재 나와 있지 않은 실정이며, 현재 병 포장기술 및 병 케이스에 사용되는 소품들은 겉치레에 지나지 않으며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포장용기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나면 쓰레기로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3259호(2002.07.2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5720호(2003.09.2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7771호(2005.02.23)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포장재로 사용 후 병을 장착하여 고급 장식소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원 낭비를 막고, 일반적인 액자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병 고정형 액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고급주류 및 와인 병을 안정적이며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병 고정형 액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는, 사각 형상의 측면 테두리를 이루는 액자틀; 액자틀의 후측면에 마련되는 후판; 후판의 전측에서 액자틀에 고정되며, 병의 후측면을 지지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지지판; 지지판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병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 및 지지판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병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판의 형상은, 병의 형상을 따라 지지홈이 형성되거나, 상하 중심선을 따라 중앙부분이 후측으로 함몰되는 곡면을 이루며, 지지판의 재질은, 충격흡수가 가능한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지지대는, 병의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되는 상부캡과, 상부캡의 일단에 연결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캡 지지대와, 상부캡 지지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캡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캡 지지판의 후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후판에는, 상부캡 지지판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부캡 지지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가이드와, 양측의 슬라이드 가이드의 중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요철부 중 어느 하나와 계합되어 상부캡 지지판을 상하 방향의 어느 한 위치에 고정하며, 일정 외력 이상에서 상부캡 지지판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계합돌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지지대는 병의 바닥면 형상에 대응하여 중앙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며, 제2 지지대의 상측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제2 지지대의 상측면 및 병의 바닥면 사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밀착패드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병 고정형 액자는 포장재로 사용 후 병을 장착하여 고급 장식소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원 낭비를 막고, 일반적인 액자로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아름다운 병 또는 개인적인 감정이 부여된 와인병이 장착되어 멋진 장식소품으로 거듭날 수 있고, 100% 수입에 의존하는 와인관련 시장에서 수출이 가능한 와인관련 상품을 보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고급주류 및 와인 병을 안정적이며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병 고정형 액자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액자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후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제1 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후판과 제1 지지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후판과 제1 지지대가 결합된 상태를 후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지지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제2 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밀착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액자틀에 결합된 제2 지지대와, 제2 지지대에 적층된 밀착패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액자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후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제1 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후판과 제1 지지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후판과 제1 지지대가 결합된 상태를 후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지지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제2 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밀착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의 액자틀에 결합된 제2 지지대와, 제2 지지대에 적층된 밀착패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는, 액자틀(110), 후판(120), 지지판(130), 제1 지지대(140) 및 제2 지지대(150)를 포함한다.
액자틀(110)은 병 고정형 액자의 사각 형상의 측면 테두리를 이룬다. 재질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 가능하며, 상기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토대를 이룸으로써, 일반적인 액자의 틀과 같은 기능을 한다. 나아가, 액자틀(110)에는, 후판(120)과 볼트 결합하기 위한 후판결합 돌기(111)가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며, 제2 지지대(150)와 결합하기 위한 제2 지지대결합 돌기(112)가 하단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후판(120)은 액자틀(110)의 후측면에 마련되어, 일반적인 액자와 마찬가지로 액자의 후측면을 마감하는 기능을 가진다. 나아가, 후판(120)에는, 액자틀(110)과 볼트 결합하기 위한 액자틀결합 홀(121)이 형성되며, 제1 지지대(140)와 결합하기 위한 슬라이드 가이드(122) 및 계합돌기(123)가 마련된다. 슬라이드 가이드(122) 및 계합돌기(123)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제1 지지대(140)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후판(120)에는, 슬라이드 가이드(122)의 좌우 양측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드 가이드(122)의 양측면을 따라 복수의 지지리브(124)가 더 형성되고, 제1 지지대(140)의 후측면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홀(125)이 계합돌기(123)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장공형으로 형성되며, 제1 지지대(140)와의 계합 및 슬라이딩의 용이성을 향상하기 위해 슬라이드 홈(126) 및 슬라이드 홀(127)이 양 슬라이드 가이드(122)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판(130)은 후판(120)의 전측에서 액자틀(110)에 고정되며, 병(10)의 후측면을 지지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것과 함께, 액자 자체의 배경을 이루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지지판(130)의 형상은, 병(10)의 형상을 따라 지지홈이 형성되거나, 상하 중심선을 따라 중앙부분이 후측으로 함몰되는 곡면을 이룬다. 예컨대, 병(10)이 원통 형상을 이루며 액자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므로, 도 7과 같이 지지판(130)이 상하 중심선을 따라 중앙부분이 후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이룸으로써, 병(10)의 후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130)의 표면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나란히 형성되는 복수의 표면리브(131)는 병(10)의 지지력과 충격흡수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액자 배경의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행한다.
또한, 지지판(130)의 측면을 따라서 복수의 돌기밀착 홈(132)을 마련하여 후판결합 돌기(111)에 밀착시키는 것으로, 액자틀(110)에 대한 지지판(13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판(130)의 하단에는 제2 지지대(150)의 형성 공간을 위한 지지대 홈(133)이 마련된다.
한편, 지지판(130)의 재질은, 충격흡수가 가능한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의 탄성 재질로 형성하여 쿠션의 기능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며, 배경의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더하고 병(10)과의 마찰럭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성 재질의 표면에 천, 가죽 등의 마감재를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지지대(140)는 지지판(13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병(10)의 상단을 지지하며, 지지판(130)의 상부에는 제1 지지대(140)를 돌출시키기 위한 홀(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대(140)는, 병(10)의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되는 상부캡(141)과, 상부캡(141)의 일단에 연결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캡 지지대(142)와, 상부캡 지지대(142)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캡 지지판(143)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지지대(140)의 상부캡 지지판(143)의 후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요철부(144)가 형성되고, 후판(120)에는, 상부캡 지지판(143)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부캡 지지판(143)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가이드(122)와, 양측의 슬라이드 가이드(122)의 중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요철부(144) 중 어느 하나와 계합되어 상부캡 지지판(143)을 상하 방향의 어느 한 위치에 고정하며, 일정 외력 이상에서 상부캡 지지판(143)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계합돌기(123)가 더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1 지지대(140)는 병(10)의 크기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 가능하며, 조절된 높이에서 고정된다.
한편, 도 6과 같이, 노출홀(125)에 의해 상부캡 지지판(143)을 후판(120)의 후측에 노출시킴으로써, 후판(120)의 후측면에서도 제1 지지대(14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캡 지지판(143)의 상단에는 지지판 홀(145)이 더 형성되며, 여기에 막대 등을 끼워서 상하 이동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부캡 지지판(143)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 양 슬라이드 홀(127)에 의해, 슬라이드 가이드(122) 사이에 위치하는 후판(120)의 후측 방향으로 휘어지는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제1 지지대(140)의 상하방향 슬라이딩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슬라이드 홈(126)의 경우도 상부캡 지지판(143)의 형상을 따르는 것으로 계합도를 향상하고 슬라이딩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홈(126)의 하단 단차는 제1 지지대(140)의 하측 이동 제한을 위한 방지턱의 기능도 가진다.
제2 지지대(150)는 지지판(13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병(10)의 하단을 지지한다. 즉, 제2 지지대(150)에는 액자틀(110)의 제2 지지대결합 돌기(112)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돌기결합 홀(151)이 마련되어, 지지판(130)의 하부에서 액자틀(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제2 지지대(150)는 병의 바닥면 형상에 대응하여 중앙 부분(152)이 상부로 돌출된다. 또한, 제2 지지대(150)의 상측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제2 지지대(150)의 상측면 및 병(10)의 바닥면 사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밀착패드(153)가 더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와인 병의 하단이 움푹 파인 것을 고려하여 병(10)의 하단에 단단히 밀착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그 형상은 상단이 평편한 원뿔 형상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을 평편하게 하는 이유는 병(10)의 바닥이 파이지 않은 경우도 대비하기 위함이다. 또한, 밀착패드(153)의 재질은 고무 또는 실리콘처럼 탄성이 큰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병에 충격이 가해질 때 충격을 흡수하여 병이 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2 지지대(150)에 병(10)을 올려놓고, 병(10)의 크기에 맞추어 제1 지지대(1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병의 상단에 제1 지지대(140)를 밀착시키는 것으로, 병을 제1 지지대(140)와 제2 지지대(150) 사이에 병(10)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밀착패드(153)는 필요에 따라 제2 지지대(150)에 병(10)을 올려놓기 전에 포함시키거나 제거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는 포장재로 사용 후 병을 장착하여 고급 장식소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원 낭비를 막고, 일반적인 액자로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아름다운 병 또는 개인적인 감정이 부여된 와인병이 장착되어 멋진 장식소품으로 거듭날 수 있고, 100% 수입에 의존하는 와인관련 시장에서 수출이 가능한 와인관련 상품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고급주류 및 와인 병을 안정적이며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병 고정형 액자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지지판(130)의 표면 주변부에는 와인 병을 막고 있는 코르크 마개를 거치할 수 있도록 홈을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B) 후판(120)에는 홈을 형성하여 병 고정형 액자를 벽에 걸거나, 지지대를 형성하여 탁자나 선반 위에 올려놓는 것이 가능하다.
(C)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 고정형 액자는, 병을 장식하기 위한 액자의 기능뿐만 아니라, 판매 또는 선물 시 포장 용기로 사용 가능하며 또는 와인 보관시 와인렉으로도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병
110 : 액자틀
111 : 후판결합 돌기
112 : 제2 지지대결합 돌기
120 : 후판
121 : 액자틀결합 홀
122 : 슬라이드 가이드
123 : 계합돌기
124 : 지지리브
125 : 노출홀
126 : 슬라이드 홈
127 : 슬라이드 홀
130 : 지지판
131 : 표면리브
132 : 돌기밀착 홈
133 : 지지대 홈
140 : 제1 지지대
141 : 상부캡
142 : 상부캡 지지대
143 : 상부캡 지지판
144 : 요철부
145 : 지지판 홀
150 : 제2 지지대
151 : 돌기결합 홀
152 : 제2 지지대의 중앙 부분
153 : 밀착패드

Claims (5)

  1. 사각 형상의 측면 테두리를 이루는 액자틀;
    상기 액자틀의 후측면에 마련되는 후판;
    상기 후판의 전측에서 상기 액자틀에 고정되며, 병의 후측면을 지지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병의 상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 및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병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대는,
    병의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되는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일단에 연결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캡 지지대와,
    상기 상부캡 지지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캡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캡 지지판의 후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판에는,
    상기 상부캡 지지판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캡 지지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가이드와,
    상기 양측의 슬라이드 가이드의 중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요철부 중 어느 하나와 계합되어 상기 상부캡 지지판을 상하 방향의 어느 한 위치에 고정하며, 일정 외력 이상에서 상기 상부캡 지지판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계합돌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고정형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형상은, 병의 형상을 따라 지지홈이 형성되거나, 상하 중심선을 따라 중앙부분이 후측으로 함몰되는 곡면을 이루며,
    상기 지지판의 재질은, 충격흡수가 가능한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고정형 액자.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는 병의 바닥면 형상에 대응하여 중앙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2 지지대의 상측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대의 상측면 및 병의 바닥면 사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밀착패드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고정형 액자.
KR1020120053274A 2012-05-18 2012-05-18 병 고정형 액자 KR10135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274A KR101352218B1 (ko) 2012-05-18 2012-05-18 병 고정형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274A KR101352218B1 (ko) 2012-05-18 2012-05-18 병 고정형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995A KR20130128995A (ko) 2013-11-27
KR101352218B1 true KR101352218B1 (ko) 2014-01-15

Family

ID=49855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274A KR101352218B1 (ko) 2012-05-18 2012-05-18 병 고정형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4259A (zh) * 2015-04-24 2016-11-23 宁波市镇海九丰激光工艺品厂 一种酒盒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98Y2 (ja) * 1989-05-15 1995-06-28 有限会社クアジア 方形物品の展示兼用包装ケース
JP3054696U (ja) * 1998-06-05 1998-12-08 株式会社豊商 青果物トレーの輸送・展示包装箱
KR200283259Y1 (ko) * 2002-03-20 2002-07-26 최덕환 포장 및 전시용 어셈블리
KR20030075720A (ko) * 2002-03-20 2003-09-26 최덕환 액자틀을 이용한 포장 상자 어셈블리
JP2004115071A (ja) * 2002-09-27 2004-04-15 Rengo Co Ltd 瓶の包装用パッ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98Y2 (ja) * 1989-05-15 1995-06-28 有限会社クアジア 方形物品の展示兼用包装ケース
JP3054696U (ja) * 1998-06-05 1998-12-08 株式会社豊商 青果物トレーの輸送・展示包装箱
KR200283259Y1 (ko) * 2002-03-20 2002-07-26 최덕환 포장 및 전시용 어셈블리
KR20030075720A (ko) * 2002-03-20 2003-09-26 최덕환 액자틀을 이용한 포장 상자 어셈블리
JP2004115071A (ja) * 2002-09-27 2004-04-15 Rengo Co Ltd 瓶の包装用パ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995A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218B1 (ko) 병 고정형 액자
US7207439B2 (en) Convertible multi-use container
CN215437411U (zh) 一种放置散热器的吸塑盘
CN204776582U (zh) 具有3d立体动态图案或变幻图案的盖子
CN203473426U (zh) 一种酒瓶
CN203581661U (zh) 包装托盘
CN207275396U (zh) 定制酒展示系统
JP3171202U (ja) 装飾機能付き容器
KR200460542Y1 (ko) 다용도 거치대
CN207011966U (zh) 一种用于酒柜和冷柜的多用途储物层架
KR101616082B1 (ko) 무늬목 쟁반 및 이의 제조 공법
CN204341641U (zh) 多功能包装盒
CN202211458U (zh) 组合相框
CN204415599U (zh) 一种可储物的自行车
CN204764728U (zh) 具有保温功能的杯套
CN211845285U (zh) 一种新型抽屉包装盒
CN209939304U (zh) 一种放酒槽及酒箱
CN202980593U (zh) 一种内置固定夹的眼镜盒
CN203914268U (zh) 柔性无钉可移相框
CN220608186U (zh) 一种可调节卫浴收纳架
CN203268500U (zh) 酒瓶包装盒
CN213800975U (zh) 一种吸塑盒用的包装结构
CN218520180U (zh) 一种相框式包装盒
CN202499403U (zh) 新型酒架
KR20170002648U (ko) 화장실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