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079B1 -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079B1
KR101352079B1 KR1020110103902A KR20110103902A KR101352079B1 KR 101352079 B1 KR101352079 B1 KR 101352079B1 KR 1020110103902 A KR1020110103902 A KR 1020110103902A KR 20110103902 A KR20110103902 A KR 20110103902A KR 101352079 B1 KR101352079 B1 KR 101352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upporting
folding
supporting piec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9390A (ko
Inventor
이기대
Original Assignee
이기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대 filed Critical 이기대
Priority to KR1020110103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0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한쪽 측단부에 제1 폴딩부(6)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폴딩부(6)에는 측방으로 연장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너비가 더 크도록 측방으로 연장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이 구비되며 다른 쪽 측단부에는 너비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폴딩부(8)가 형성된 복수개의 사각판(4)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사각판(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사각판(4)의 제1 폴딩부(6)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다른 사각판(4)의 제2 폴딩부(8)를 끼워주는 방식으로 조립한 덕트(10)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덕트 지지부를 구비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에 투입된 상기 덕트(10)의 코너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20)의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덕트(10)를 구성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각판(4)의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상기 다른 사각판(4)의 외표면으로 밀착되도록 벤딩시키는 폴딩 유닛과; 상기 폴딩 유닛을 상기 덕트(10)의 코너부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작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Duct corner portion connection machine}
본 발명은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사각판의 양쪽 측단부를 결합하여 덕트의 코너부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 부분을 덕트의 표면으로 밀착되도록 절곡시켜서 덕트를 조립할 때에 덕트의 피절곡편이 절곡되는 위치와 반대되는 뒤쪽 위치에 받침을 위한 바아를 대주는데, 상기 받침용 바아를 사이즈별로 다르게 준비할 필요가 없어서 덕트 조립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덕트의 조립 완료 후에도 덕트의 코너부에서 기밀이 세어 나가는 부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는 양단부가 개구된 사각통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복수개의 덕트를 연결하여 실내공조기의 환기구 등으로 이용한다. 이때, 덕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사각판을 측단부끼리 연결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사각판의 너비 방향(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양쪽 측단부 중에서 한쪽 측단부를 절곡 가공하여 제1 폴딩부를 만들고, 사각판의 너비 방향 다른 측단부는 직각으로 절곡 가공하여 제2 폴딩부를 만든 다음, 서로 이웃한 사각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 폴딩부에 다른 이웃한 사각판의 제2 폴딩부를 끼운 다음, 상기 제1 폴딩부의 일부를 제2 폴딩부가 있는 사각판의 표면 방향으로 꺾어줌으로써 다수개의 사각판(정확하게는 네 개의 사각판의 코너부를 연결한 구조의 덕트를 만들게 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별도의 도시되지 않은 폴딩기를 이용하여 사각판(4)의 너비 방향 양쪽 측단부 중에서 한쪽 측단부에는 제1 폴딩부(6)를 만들고, 상기 사각판(4)의 너비 방향 다른 쪽 측단부에는 직각 방향으로 절곡하여 제2 폴딩부(8)를 만들어 준다. 상기 제1 폴딩부(6)는 사각판(4)의 너비 방향에 대해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연결 절곡부(6a)와, 이 연결 절곡부(6a)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사각판(4)의 너비 방향에 나란한 내측 절곡부(6b), 이 내측 절곡부(6b)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이어지면서 내측 절곡부(6b)와 나란하게 연장된 중간 절곡부(6c)와, 이 중간 절곡부(6c)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이어지면서 중간 절곡부(6c)와 나란하며 그 폭은 중간 절곡부(6c)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넓은 외측 절곡부(6d)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절곡부(6d)와 중간 절곡부(6c) 사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절곡부(6d)에서 중간 절곡부(6c)보다 폭이 너 넓게 형성되어 옆으로 더 튀어나온 부분은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폴딩부(8)는 사각판(4)에 대해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제2 폴딩부(8)는 제1 폴딩부(6)의 외측 절곡부(6d)와 중간 절곡부(6c) 사이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끼워진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사각판(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사각판(4)의 제1 폴딩부(6)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다른 이웃한 사각판(4)의 제2 폴딩부(8)를 끼운 다음, 상기 제1 폴딩부(6)의 외측 절곡부(6d)의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상기 다른 사각판(4)의 외표면으로 절곡시켜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두 개의 직교하도록 이웃한 사각판(4)이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두 개의 사각판(4)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사각판(4)의 양쪽 측단부에 형성된 제1 폴딩부(6)와 제2 폴딩부(8)가 서로 맞결합된 구조의 덕트(15)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덕트(15)의 양단부(즉,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복수개로 덕트(15)를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플랜지부(17)가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종래에는 복수개의 사각판(4)을 제1 폴딩부(6)와 제2 폴딩부(8)에 의해 가결합한 상태의 덕트(10)(가조립 덕트라 할 수 있음)에서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 부분과 반대되는 뒤쪽 위치(구체적으로, 가조립 덕트(10)에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이 절곡되어 밀착되는 면과 반대되는 뒤쪽 면)에 절곡 지지용 받침 바아를 대준 상태에서 롤러 등의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가조립 덕트(10)의 외표면으로 밀착되도록 절곡시켜서 덕트(15)를 조립한다. 다시 말해, 상하 길이 사이즈가 정해진 받침용 바아(절곡 가공 지지용 바아)를 덕트(10)에 대준 다음, 상기 사각판(4)의 제1 폴딩부(6)의 외측 절곡부(6d)에 의해 확보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이웃한 다른 사각판(4)의 외표면으로 밀착되도록 절곡시키는 방식으로 덕트(15)를 만들게 된다. 즉, 복수개의 사각판(4)이 상기 제1 폴딩부(6)와 제2 폴딩부(8)에 의해 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이 절곡 밀착되는 면과 반대되는 뒤쪽 위치에서 단면 사각 형상의 받침용 바아를 대주고 상기 사각판(4)의 외측 절곡부(6d)에 의해 확보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 부분을 이웃한 사각판(4)의 외표면으로 밀착되도록 절곡시키는 방식으로 덕트(15)를 조립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덕트(15)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가조립 덕트(10)의 피절곡편(6e)이 밀착되는 면과 반대되는 뒤쪽면에서 받쳐주기 위한 받침용 바아를 사이즈별로 다르게 준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덕트(15) 조립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가조립 덕트(10)의 상하 사이즈에 대응하여 덕트(10)의 외부, 구체적으로, 가조립 덕트(10)의 외부에서 피절곡편(6e)이 밀착되면서 밀리는 힘이 작용되는 부분에 1m짜리 바아나 1.8m짜리 바아를 덕트(10)의 상하 방향으로 몇 군데 대주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상기 바아의 사이즈도 제한적이므로, 덕트(15) 조립 작업시 번거로운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1m짜리 바아나 1.8m짜리 바아를 덕트(10)의 외부에서 덕트(10)의 코너부에 상하 방향으로 몇 군데 대주는 경우, 덕트(10)의 상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7) 때문에 상기 받침용 바아가 걸리게 된다. 즉, 복수개의 받침용 바아를 덕트(10)의 외부에서 코너부에 대줄 때에 상기 상하단부 플랜지부(17) 사이의 거리와 상기 받침용 바아의 거리가 맞지 않아서 받침용 바아가 걸리게 되고, 이처럼 받침용 바아의 사이즈가 덕트(10)의 각 플랜지부(17) 사이의 거리에 맞지 않아 걸리는 경우에는 각각의 받침용 바아 사이에 비어 있는 부분(즉, 바아가 받쳐지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사각판(4)의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를 롤러 등으로 눌러서 가조립 덕트(10)의 외표면에 밀착시키는 가공을 할 때에 상기 받침용 바아가 비어 있는 부분(즉, 받침용 바아가 받쳐주지 못하는 부분)에는 뒤로 밀리는 힘에 의한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이 생겨서 들뜨는 공간이 다수개 생겨버리므로, 완성된 덕트(15)의 각 사각판(4) 결합 부위에 다수의 기밀이 세어 나가는 부분이 생겨버리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덕트(10)의 상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7)로 인하여 상기 받침용 바아가 덕트(10)의 코너부에 받쳐줄 수 없는 부분이 생겨서,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눌러서 절곡시킬 때에 상기 받침용 바아가 대주지 못하는 부분은 오히려 뒤로 밀리는 현상(상기 스프링백 현상)에 의해 이 부분이 들뜨게 되어, 덕트(15)의 조립을 완료한 후에도 덕트(15)의 코너부에 다수개의 기밀이 세어 나가는 부분이 생길 수 밖에 없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덕트(15) 시공후 사용시에 덕트(15) 자체에서 기밀이 세어 나가는 문제가 초래되는 것이다. 특히, 상하 높이 사이즈가 비교적 큰 덕트(15)의 경우에는 상기한 기밀이 세어 나가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그만큼 많이 생겨서 더 큰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결국,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덕트(15) 조립 방식의 경우, 사각판(4)들의 양쪽 측단부에 구비된 결합 지지용 절곡편(6e)을 절곡 가공하여 덕트(15)를 만들기 위해서는 가조립 덕트(10)의 바깥쪽 위치에서 받쳐주는 받침용 바아를 사이즈별로 구비해야 하고, 상기 바아도 사용할 수 있는 사이즈에 있어서 제한적이므로, 덕트(15) 조립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과 덕트(15)의 제작 완료 후에도 사각판(4)의 코너부 연결 부분에 군데 군데 기밀이 세어 나가는 부분이 생기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사각판의 양쪽 측단부를 결합하고 덕트의 코너부에 형성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 부분을 덕트의 표면으로 밀착되도록 절곡시켜서 덕트를 조립할 때에 덕트의 피절곡편이 절곡되는 위치와 반대되는 뒤쪽 위치에 받침을 위해 대주는 바아를 사이즈별로 일일이 다르게 준비할 필요가 없어서 덕트 조립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함은 물론 덕트의 길이 사이즈에 대응하여 덕트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을 절곡시키는 주요부의 상하 거리를 충분하게 늘리거나 줄여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덕트의 길이 사이즈에 관계없이 호환성 있게 활용할 수 있으며, 덕트의 조립 후에는 덕트의 코너부에서 기밀이 세어 나가는 부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덕트의 신뢰성 등을 보장할 수 있는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쪽 측단부에 제1 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폴딩부에는 측방으로 연장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너비가 더 크도록 측방으로 연장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이 구비되며 다른 쪽 측단부에는 너비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폴딩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사각판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사각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사각판의 제1 폴딩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다른 사각판의 제2 폴딩부를 끼워주는 방식으로 조립한 덕트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덕트 지지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투입된 상기 덕트의 코너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덕트를 구성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각판의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을 상기 다른 사각판의 외표면으로 밀착되도록 벤딩시키는 폴딩 유닛과; 상기 폴딩 유닛을 상기 덕트의 코너부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작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덕트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 위치에 서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서포팅편과, 상기 한 쌍의 제1 서포팅편과 나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 위치에 서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2 서포팅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서포팅편과 상기 제2 서포팅편에 상기 덕트의 서로 직교하는 외표면이 지지되어 상기 덕트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본체에는 클램핑 작동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서포팅편의 내측면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 클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서포팅편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1 서포팅편과 나란하도록 본체의 내부 타측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클램핑 작동유닛에 의해 상기 제2 서포팅편의 내측면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 클램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서포팅편과 상기 제2 클램프가 지지된 상기 지지부재는 전후진 작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전후진 작동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서포팅편과 상기 제1 클램프에 대해 상기 제2 서포팅편과 상기 제2 클램프가 상대 전후진되면서 덕트의 길이 방향 사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진 작동수단은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2 서포팅편과 상기 제2 클램프를 상기 제1 서포팅편와 상기 제1 클램프에 대해 상대 전후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딩 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제1 서포팅편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에 구비된 제2 서포팅편 위치로 이송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 이송되면서 상기 덕트의 일면에서 측방으로 돌출 연장된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을 상기 덕트의 상기 일면과 직교하는 타면으로 밀착되도록 절곡시키는 폴딩 롤러와, 상기 덕트의 상기 일면에 밀착되어 상기 폴딩 롤러에 의해 상기 덕트의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이 벤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폴딩 롤러에 지지하는 힘을 가해주는 서포팅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딩 롤러는, 상기 서포팅 롤러의 회전 중심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중심부의 각도가 다르게 외측으로 틀어져 배치되는 복수개의 폴딩 롤러 그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딩 롤러 그룹은, 상기 덕트의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에 가압력을 작용시켜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이 상기 덕트의 타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벤딩시키는 하측 폴딩 롤러와, 상기 하측 폴딩 롤러의 회전 중심부보다 상대적으로 외측 방향으로 회전 중심부의 각도가 더 틀어져 배치되는 중간 폴딩 롤러와, 상기 중간 폴딩 롤러의 회전 중심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외측 방향으로 회전 중심부의 각도가 더 틀어져 배치되는 상측 폴딩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내부의 상하 위치에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서포팅편과 제2 서포팅편에 덕트의 코너부 인접 외표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가 덕트의 코너부 안쪽으로 회동되면서 제1 서포팅편 및 제2 서포팅편과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에 의해 덕트가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클램핑될 수 있는 것인데, 상기 제2 서포팅편과 제2 클램프가 지지된 지지부재는 전후진 작동유닛에 연결되어, 이러한 전후진 작동유닛에 의해 제1 서포팅편와 제1 클램프에 대해 제2 서포팅편과 제2 클램프가 상대 전후진되면서 덕트의 길이 방향 사이즈에 대응하여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므로, 덕트의 상하 사이즈가 달라지더라도 호환성 있게 덕트의 조립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덕트에서 결합 지지용 절곡편을 절곡시키는 작업을 할 때에 덕트를 지지하는 주요부의 상하 길이 사이즈를 충분하게 늘리거나 줄여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덕트의 상하 사이즈가 달라지더라도 관계없이 모든 사이즈의 덕트에 호환성 있게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덕트의 외부에 덕트 조립을 위한 결합 지지용 절곡편을 절곡시킬 때에 받쳐주기 위한 바아를 덕트의 외부에서 일일이 대줄 필요도 없고 상기 바아를 사이즈별로 다르게 준비하여야 하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덕트 조립 작업이 번거롭지 않고 용이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덕트의 상하 사이즈에 대응하여 덕트의 외부 위치에서 정해진 길이의 지지용 바아를 덕트(즉, 덕트)의 상하 방향으로 몇 군데 대주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상기 바아의 사이즈도 제한적이어서 덕트 조립 작업시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지지용 바아를 덕트의 외부(즉, 덕트의 외부)에 사이즈별로 대주어야 하는 경우가 없고 바아의 사이즈 제한으로 인해 조립 작업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없으므로, 덕트 조립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폴딩 유닛을 구성하는 서포팅 롤러의 외주면은 덕트의 어느 하나의 사각편 외표면에 밀착되어 폴딩 롤러의 뒤쪽에서 받쳐준 상태에서 폴딩 롤러는 덕트의 코너부를 따라 연속으로 이송되면서 덕트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사각판 측방으로 돌출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을 연속적으로 부드럽게 벤딩시켜서 다른 사각판의 외표면에 견고하게 기밀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사각판을 결합하여 덕트의 제작을 완료한 다음에도 덕트의 코너부 군데 군데에서 기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완성된 덕트의 코너부 군데 군데에서 기밀이 세어 나가는 문제를 근절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하 높이 사이즈가 비교적 큰 덕트의 경우에는 상기한 기밀이 세어 나가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많이 생기는데, 본 발명에서는 덕트의 코너부에 여러 군데 기밀이 세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덕트의 상하 사이즈가 커지면 커질수록 기밀적인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며, 이로 인하여 덕트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을 확실하게 보장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복수개의 사각판의 코너부를 가조립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각판의 코너부를 가조립한 덕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덕트의 코너부를 벤딩하여 완성된 덕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덕트 지지부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내지 도 9은 도 6에 도시된 또 다른 주요부인 클램프의 구조와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다른 주요부인 폴딩 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주요부인 가이드 레일을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에 의해 덕트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도 10에 도시된 폴딩 유닛에 의해 덕트의 코너부를 벤딩하여 결합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는 복수개의 사각판(4)의 양쪽 측단부가 예비적으로 연결된 가조립 덕트(10)가 수용되는 본체(20)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사각판(4)의 양쪽 측단부를 연결한 덕트(15)는 도 1과 도 2의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다. 다시 말해,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사각판(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사각판(4)의 제1 폴딩부(6)에 형성된 결합홈에 다른 이웃한 사각판(4)의 제2 폴딩부(8)를 끼워서 이웃한 두 개의 사각판(4)을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 배치하고, 다른 두 개의 사각판(4)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 배치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조립 덕트(10)를 만들어 주며, 이러한 덕트(10)를 본 발명을 구성하는 주요부인 본체(20)에 투입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20)는 바닥부를 이루는 베이스 패널(22)과, 이 베이스 패널(22)과 마주하여 상부측에 배치된 어퍼 패널(26)과, 상기 베이스 패널(22)과 어퍼 패널(26)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서포팅 바디(24)를 포함한다. 서포팅 바디(24)는 전면과 배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이 구비된 대략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패널(22)에는 커버부재(21)가 구비된다. 이 커버부재(21)는 서포팅 바디(24)의 일측면(본체(20)의 정면을 기준으로 서포팅 바디(24)의 우측면)과 마주하는 측면부와, 이 측면부에 일체화되며 서포팅 바디(24)의 배면과 인접된 위치에 배치된 배면부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커버부재(21)의 하단부가 베이스 패널(22)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립 설치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부호 27은 상부 케이스인데, 이 상부 케이스(27)의 하단부가 어퍼 패널(26)과 커버부재(21)의 상단부에 각각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 케이스(27)에는 후술할 볼스크류의 스크류축(3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6)가 브라켓과 체결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가조립 덕트(10)(도 2에 도시됨)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덕트 지지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덕트 지지부는 본체(20)의 내부 일측 위치에 서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서포팅편(41)을 구비한 제1 서포팅편(41)와, 이 제1 서포팅편(41)의 제1 서포팅편(41)과 나란하도록 본체(20)의 내부 타측 위치에 서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2 서포팅편(54)을 구비한 제2 서포팅편(5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서포팅편(41)은 본체(20)의 하부 위치에 구비되고 제2 서포팅편(54)은 제1 서포팅편(41)보다 상부 위치에 배치되도록 본체(20)에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본체(20)의 내부 일측 위치에서 타측 위치(구체적으로는 본체(20) 내부의 하부 위치에서 상부 위치)로 연장된 서포팅 바디(24)가 본체(20)의 일부 구성인데, 이러한 서포팅 바디(24)의 하부 일측면(정면)에는 제1 서포팅편(41)의 한 쌍의 제1 서포팅편(41) 중에서 한 쪽의 제1서포팅편(41)(상기 본체(20)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 제1 서포팅편(41) 부분)이 고정됨과 동시에 본체(20)의 하부 베이스의 상면에서 이격되어 있고, 다른 한 쪽의 제1 서포팅편(41)(상기 본체(20)의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 제1 서포팅편(41) 부분)도 본체(20)의 하부 베이스 상면에서 이격되어 있어서, 상기 제1 서포팅편(41)과 본체(20)의 베이스 패널(22) 사이에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페이스에 덕트(10)의 하단 플랜지부(17)가 끼어들어 간다. 상기 좌측의 제1 서포팅편(41)은 볼트 등에 의해 서포팅 바디(24)의 정면 하부에 고정됨과 동시에 베이스 패널(22)의 상면에서 뜬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우측의 제1 서포팅편(41)은 외측면에 수평 방향의 연결패널이 구비되고, 연결패널이 베이스 패널(22)의 상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우측의 제1 서포팅편(41)도 역시 베이스 패널(22)의 상면에서 뜬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상기 본체(20)의 베이스 패널(22) 상면과 제1 서포팅편(41) 사이에 덕트(10)의 하단 플랜지부(17)가 끼어 들어갈 수 있는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서포팅편(41)과 나란하도록 본체(20)의 내부 타측 위치에 서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2 서포팅편(54)을 구비한다.
상기 제2 서포팅편(54)은 지지부재(45)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재(45)는 상면에서 볼 때에 한쪽(본체(20)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의 좌측 지지 패널부와, 이 좌측 지지 패널부에 일체화되며 상면에서 볼 때에 다른 쪽(본체(20)의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우측 지지 패널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한 쌍의 제2 서포팅편(54) 중에서 좌측 제2 서포팅편(54) 외측단이 직립 패널에 연결되어 있고, 직립 패널은 지지부재(45)의 좌측 지지 패널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45)의 다른 쪽(본체(20)의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의 우측 지지 패널부의 외측단은 다른 사각의 직립 패널에 연결되고, 이 직립 패널은 수평 연결패널을 매개로 상기 우측 제2 서포팅편(54) 외측단에 연결되어 있어서, 지지부재(45)의 우측 지지 패널부와 우측 제2 서포팅편(54)이 다른 우측의 직립 패널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서포팅편(54)의 상단부는 지지부재(45)의 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서, 상측에서 볼 때에 대략 기역자 패널 형상의 상기 지지부재(45)와 제2 서포팅편(54) 사이에 덕트(10)의 상단 플랜지부(17)가 끼어 들어갈 수 있는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20)의 내부에 사각통 형상으로 조립된 덕트(10)를 투입하면, 상기 덕트(10)의 하단 플랜지부(17)는 제1 서포팅편(41)과 베이스 패널(22) 사이의 스페이스에 끼워지고, 덕트(10)의 상단 플랜지부(17)는 제2 서포팅편(54)과 지지부재(45) 사이의 스페이스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 서포팅편(41)과 제2 서포팅편(54)의 내측면에 덕트(10)의 서로 직교하는 외표면(정확하게는, 어느 하나의 사각판(4)의 제1 폴딩부(6)에 형성된 결합홈에 다른 이웃한 사각판(4)의 제2 폴딩부(8)가 끼워짐으로써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두 개의 사각판(4)이 연결되는데, 이러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두 개의 사각판(4)의 외표면)이 닿아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 내부의 제1 서포팅편(41)와 인접된 위치에는 클램핑 작동유닛에 의해 제1 서포팅편(41)의 내측면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 클램프(40)가 구비되고, 제2 서포팅편(54)은 지지부재(45)에 의해 지지되어 제1 서포팅편(41)과 나란하도록 본체(20)의 내부 타측 위치에 배치되며, 지지부재(45)에는 클램핑 작동유닛에 의해 제2 서포팅편(54)의 내측면 방향으로 회동 작동되는 제2 클램프(5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클램프(40)는 덕트(10)의 직각 코너부 안쪽에 맞아들어가는 한 쌍의 직교하는 클램핑 지지편이 구비된 구조이다. 이러한 제1 클램프(40)의 기단부는 제1 힌지부에 의해 본체(20)의 하부 베이스 패널(22)의 저면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2 힌지부에 의해 제1 실린더(42)의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패널(22)은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는 클램프 회동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실린더(42)의 기단부도 본체(20)의 하부 베이스 패널(22) 저면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패널(22)의 클램프 회동 가이드홀의 위쪽으로 제1 클램프(40)가 상향 회동되어 덕트(10)의 하부 코너부 안쪽을 클램핑하고, 베이스 패널(22)의 클램프 회동 가이드홀의 아래쪽으로 제1 클램프(40)가 다시 원위치 회동되면서 덕트(10)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즉, 제1 실린더(42)의 실린더 로드를 전진시키면 제1 클램프(40)가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에 의해 베이스 패널(22)의 아래에서 상향으로 회동되어 클램핑되고, 제1 실린더(42)의 실린더 로드를 다시 후퇴시키면 제1 클램프(40)가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에 의해 베이스 패널(22)의 위에서 하향으로 회동되어 클램핑 해제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실린더(42)가 제1 클램프(40)의 회동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클램핑 작동유닛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클램프(50) 역시 덕트(10)의 직각 코너부 안쪽에 맞아들어가는 한 쌍의 직교하는 클램핑 지지편이 구비된 구조이다. 이러한 제2 클램프(50)의 기단부는 제1 힌지부에 의해 본체(20) 내부의 상기 지지부재(45) 상면 위치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2 힌지부에 의해 제2 실린더(47)의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실린더(47)의 기단부도 지지부재(45)에 구비된 지지 브라켓 등의 지지체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45)의 아래쪽으로 제2 클램프(50)가 하향 회동되어 덕트(10)의 상부 코너부 안쪽을 클램핑하고, 지지부재(45)의 위쪽으로 제2 클램프(50)가 다시 원위치 회동되면서 덕트(10)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즉, 제2 실린더(47)의 실린더 로드를 전진시키면 제2 클램프(50)가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에 의해 지지부재(45)의 아래 방향으로 회동되어 클램핑되고, 제2 실린더(47)의 실린더 로드를 다시 후퇴시키면 제2 클램프(50)가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에 의해 지지부재(45)의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다시 상향으로 회동되면서 클램핑 해제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실린더(47)는 제2 클램프(50)의 회동 작동을 수행하는 클램핑 작동유닛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20) 내부의 상하 위치에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서포팅편(41)과 제2 서포팅편(54)에 덕트(10)의 코너부 인접 외표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제1 클램프(40)와 제2 클램프(50)가 덕트(10)의 코너부 안쪽으로 회동되면서 제1 서포팅편(41) 및 제2 서포팅편(54)과 제1 클램프(40) 및 제2 클램프(50)에 의해 덕트(10)가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클램핑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서포팅편(54)과 제2 클램프(50)가 지지된 지지부재(45)는 전후진 작동유닛에 연결되어, 이러한 전후진 작동유닛에 의해 제1 서포팅편(41)와 제1 클램프(40)에 대해 제2 서포팅편(54)과 제2 클램프(50)가 상대 전후진되면서 덕트(15)의 길이 방향 사이즈에 대응하여 제1 클램프(40)와 제2 클램프(5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전후진 작동수단은 볼스크류와, 이 볼스크류를 회전시켜서 제2 서포팅편(54)과 제2 클램프(50)를 제1 서포팅편(41)와 제1 클램프(40)에 대해 상대 전후진시키는 구동모터(36)를 포함한다.
상기 볼스크류는 지지부재(45)에 고정된 너트와, 이 너트에 나사 회전식으로 축결합된 스크류축(32)으로 구성되며, 너트부재와 스크류축(32) 사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나사홈에는 나사홈에 강구를 삽입한 구조이다.
상기 스크류축(32)은 양단부가 본체(20)(정확하게는 하부 베이스 패널(22)과 상부 어퍼 패널(26) 부분)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제1 서포팅편(41) 및 제2 서포팅편(54)과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서포팅편(41)과 제2 서포팅편(54)이 본체(2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크류축(32) 역시 제1 서포팅편(41) 및 제2 서포팅편(54)과 나란하도록 본체(2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직립 배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스크류축(32)은 본체(20)의 상부 케이스(27)에 장착된 구동모터(36)의 회전축에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있어서, 구동모터(36)에 의해 회전 작동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36)의 회전축에 구동풀리가 구비되고, 스크류축(32)의 상부측 외주면에는 종동풀리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는 벨트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6)에 의해 스크류축(3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축(32)에 볼스크류 타입으로 연결된 상기 지지부재(45)와 제2 클램프(50) 및 지지부재(45)에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서포팅편(54) 및 제2 실린더(47)가 함께 제1 서포팅편(41)과 제1 클램프(4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제1 클램프(40) 및 제1 서포팅편(41)과 제2 클램프(50) 및 제2 서포팅편(54) 사이의 거리가 벌어질 수 있고, 상기 구동모터(36)에 의해 스크류축(32)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부재(45)와 제2 클램프(50)와 제2 서포팅편(54) 및 제2 실린더(47)가 동시에 제1 서포팅편(41)과 제1 클램프(4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다시 이송되면서 제1 클램프(40) 및 제1 서포팅편(41)과 제2 클램프(50) 및 제2 서포팅편(54) 사이의 거리가 좁혀질 수 있게 되며, 이처럼 제1 서포팅편(41), 제1 클램프(40)와 제2 서포팅편(54), 제2 클램프(5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덕트(15)의 길이 사이즈(상하 사이즈)에 대응하여 덕트(15)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2 서포팅편(54)과 제2 클램프(50) 및 제2 실린더(47)를 이송시킬 수 있는 전후진 작동수단으로는 상기의 볼스크류 이외에 다른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 서포팅편(54)과 제2 클램프(50) 및 제2 실린더(47)를 이송시킬 수 있는 전후진 작동수단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든지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20)는 아래에서 위로 직립 설치되어 있고, 스크류축(32)도 상하 방향으로 직립 설치되어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전후진 작동이라 함은 상하 방향으로 오르내리는 승강 작동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서포팅편(54)을 지지하는 패널 형상의 지지부재(45)에는 개별 캐터필러가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캐터필러 스트랩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캐터필러 스트랩의 타단부는 본체(20)의 하부 베이스 패널(22)에 하단부가 지지된 직립 포스트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대략 역유자(reverse U) 형상으로 캐터필러 스트랩에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제2 서포팅편(54)과 지지부재(45)를 상기 전후진 작동 수단에 의해 승강시킬 때에 캐터필러 스트랩이 벤딩 작동되면서 제2 서포팅편(54)과 지지부재(45) 및 제2 클램프(50)를 본체(20)의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가이드한다. 즉, 상기 캐터필러 스트랩은 제2 서포팅편(54)과 지지부재(45) 및 제2 클램프(50)를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루프형 가이드 스트랩 기능을 가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포팅편(54)이 지지된 지지부재(45)에는 별도의 가이드 블록(77)(미도시)가 구비되고, 이 지지부재(45)의 가이드 블록(77)은 본체(20)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별도의 가이드 레일(24a)(미도시)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2 서포팅편(54)과 지지부재(45) 및 클램프가 상기 전후진 작동수단에 의해 본체(20)의 상하 방향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가이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폴딩 유닛은 본체(2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제1 서포팅편(41) 위치에서 본체(20)의 내부 타측에 구비된 제2 서포팅편(54) 위치로 이송되는 슬라이더(70)와, 이러한 슬라이더(70)에 장착되어 슬라이더(70)에 의해 덕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 이송되면서 덕트(10)의 일면에서 측방(정확하게는 덕트(10)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사각판(4)의 한쪽 측단부에서 너비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덕트(10)의 일면(상기 어느 하나의 사각판(4)의 외표면)과 직교하는 타면((상기 어느 하나의 사각판(4)에 예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사각판(4)의 외표면)으로 밀착되도록 절곡시키는 폴딩 롤러(80)와, 덕트(10)의 일면(상기 어느 하나의 사각판(4)의 외표면)에 밀착되어 폴딩 롤러(80)에 의해 덕트(10)의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이 벤딩되는 과정에서 폴딩 롤러(80)를 받쳐주는 힘을 가하는 서포팅 롤러(9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70)는 본체(20)의 일측 위치에서 타측 위치로 전후진되도록 구성된다. 본체(2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서포팅 바디(24)의 일측면(본체(20)의 정면을 기준으로 우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24a)이 설치되고, 슬라이더(70)의 서포팅 바디(24) 우측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가이드 블록(77)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 블록(77)은 서포팅 바디(24)의 가이드 레일(24a)에 결합되어 있어서, 슬라이더(70)가 본체(20)의 상하부 방향으로 승강 작동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더(70)는 제1 슬라이드 블록(72), 제2 슬라이드 블록(74) 및 제3 슬라이드 블록(7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슬라이드 블록(72)은 본체(20) 내부의 서포팅 바디(24) 우측면과 마주하는 안쪽면에 두 개의 가이드 블록(77)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 블록(77)은 서포팅 바디(24)의 우측면에 상하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24a)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드 블록(74)은 고정 연결부와, 이 고정 연결부에 구비된 폴딩 롤러홈을 포함하는데, 상기 고정 연결부가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외측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폴딩 롤러홈은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좌우 너비 방향과 나란한 하측 폴딩 롤러홈과, 이 하측 롤러홈의 상부 위치에 구비되어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좌우 너비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소정 각도 틀어져 배치된 중간 폴딩 롤러홈과, 이 중간 폴딩 롤러홈의 상부 위치에 구비되며 중간 폴딩 롤러홈에 비하여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좌우 너비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더 각도가 틀어져 배치된 상부 폴딩 롤러홈으로 구성된다. 즉, 하측 폴딩 롤러홈은 중심부가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좌우 너비 방향 외측면과 나란하고, 중간 폴딩 롤러홈은 중심부가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좌우 너비 방향의 외측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더 틀어지도록 배치되어 하측 폴딩 롤러홈의 중심부에 대해 대략 30° 정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측 폴딩 롤러홈은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외측면에 대해 대략 30° 정도 외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롤러 지지부에 형성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롤러 지지부는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전단부(즉, 제1 클램프(40)와 제2 클램프(50)와 마주하는 단부)에서 후단부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며, 이 롤러 지지부에 상측 폴딩 롤러홈이 구멍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3 슬라이드 블록(76)은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외측면에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후술할 이송 작동 유닛을 구성하는 체인(10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폴딩 롤러(80)는 후술할 서포팅 롤러(90)의 회전 중심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중심부의 각도가 다르게 외측으로 틀어져 배치되는 복수개의 폴딩 롤러 그룹으로 구성된다. 즉, 폴딩 롤러 그룹은 덕트(10)의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에 가압력을 작용시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이 덕트(10)의 타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벤딩시키는 하측 폴딩 롤러(82)와, 이 하측 폴딩 롤러(82)의 회전 중심부보다 상대적으로 외측 방향으로 회전 중심부의 각도가 더 틀어져 배치되는 중간 폴딩 롤러(84)와, 이 중간 폴딩 롤러(84)의 회전 중심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외측 방향으로 회전 중심부의 각도가 더 틀어져 배치되는 상측 폴딩 롤러(8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하측 폴딩 롤러(82)는 롤링 지지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서, 하측 폴딩 롤러(82)의 롤링 지지축 부분이 제3 슬라이드 블록(74)에 형성된 하측 폴딩 롤러홈에 결합되어, 하측 폴딩 롤러홈의 외측에서 관통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하측 폴딩 롤러(8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하측 폴딩 롤러(82)는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외측면과 나란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 폴딩 롤러(84)도 롤링 지지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서, 중간 폴딩 롤러(84)의 롤링 지지축 부분이 제3 슬라이드 블록(74)에 형성된 중간 폴딩 롤러홈에 결합되어, 중간 폴딩 롤러홈의 외측에서 관통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중간 폴딩 롤러(8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때, 중간 폴딩 롤러(84)는 하측 폴딩 롤러(82)의 회전 중심부보다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외측면에서 바깥으로 더 틀어진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외측면에 대해 중간 폴딩 롤러(84)의 회전 중심부가 대략 30° 정도 바깥 방향으로 틀어져 있다.
상기 상측 폴딩 롤러(86) 역시 롤링 지지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서, 상측 폴딩 롤러(86)의 롤링 지지축 부분은 제3 슬라이드 블록(74)의 선단부에 구비되면서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외측면에 대해 대략 30° 정도 외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롤러 지지부의 상측 폴딩 롤러홈에 끼워지고, 상기 상측 폴링 롤러의 롤링 지지축에 형성된 나사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제3 슬라이드 블록(74)의 롤러 지지부에 상측 폴딩 롤러(86)를 장착할 수 있으며, 이때, 상측 폴딩 롤러(86)는 중간 폴딩 롤러(84)의 회전 중심부보다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외측면에서 바깥으로 더욱 더 틀어진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외측면에 대해 상측 폴딩 롤러(86)의 회전 중심부가 대략 45° 정도 바깥 방향으로 틀어져 있는 구조이다.
정리하면, 하측 폴딩 롤러(82)의 회전 중심부는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외측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중간 폴딩 롤러(84)의 회전 중심부는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외측면에 대해 하측 폴딩 롤러(82)의 회전 중심부보다 바깥으로 더 틀어져 있고, 상측 폴딩 롤러(86)의 회전 중심부는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외측면에 대해 중간 폴딩 롤러(84)의 회전 중심부보다 바깥으로 더 틀어져 있다.
상기 서포팅 롤러(90)는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전단부측 외측면에 상하로 복수개로 그룹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폴딩 롤러(80)가 상하로 제1 내지 제3 폴딩 롤러(82,84 및 86)로 이루어지므로, 세 개의 서포팅 롤러 그룹(92,94 및 96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서포팅 롤러 그룹(92,94 및 96)의 회전 중심부는 제1 슬라이드 블록(72)의 외측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다.
결국, 상기 하측 폴딩 롤러(82)의 회전 중심부와 맨 아래 하측 서포팅 롤러(92)의 회전 중심부 사이의 벌어진 각도는 대략 직각이고, 중간 폴딩 롤러(84)의 회전 중심부와 중간 서포팅 롤러(94)의 회전 중심부 사이의 벌어진 각도는 대략 120° 정도이며, 상측 폴딩 롤러(86)의 회전 중심부와 맨 위의 상측 서포팅 롤러(96)의 회전 중심부 사이의 벌어진 각도는 대략 135° 정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서포팅 롤러(90)와 폴딩 롤러(80) 및 슬라이더(70)롤 포함하는 폴딩 유닛을 덕트(10)의 코너부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작동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이송 작동 유닛은 본체(20)의 하부 베이스 패널(2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부 스프로켓과, 본체(20)의 상부 어퍼 패널(2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 스프로켓과, 상기 하부 스프로켓과 상부 스프로켓에 연결되어 본체(20)의 상하부로 무한궤도 운동하며 일부에는 상기 폴딩 유닛의 슬라이더(70)가 연결된 체인(102)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70)의 제1 슬라이드 블록(72)이 체인(102)에 결합됨으로써, 체인(102)의 상하부로의 무한궤도 운동에 따라 상기 서포팅 롤러(90)와 폴딩 롤러(80) 및 슬라이더(70)가 덕트(10)의 코너부를 따라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70)의 제1 슬라이드 블록(72) 내측면에는 슬라이드 블록이 구비되고, 이 슬라이드 블록은 본체(20)에 상하부로 배치된 서포팅 바디(24)의 가이드 레일(24a)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서포팅 롤러(90)와 폴딩 롤러(80) 및 슬라이더(70)가 덕트(10)의 코너부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도록 가이드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20)의 내부에 사각통 형상으로 조립된 덕트(10)를 투입하는 동시에 덕트(10)의 하단 플랜지부(17)는 제1 서포팅편(41)과 베이스 패널(22) 사이의 스페이스에 끼우고, 덕트(10)의 상단 플랜지부(17)는 제2 서포팅편(54)과 지지부재(45) 사이의 스페이스에 끼운 상태에서 제1 서포팅편(41)과 제2 서포팅편(54)의 내측면에 덕트(10)의 서로 직교하는 외표면이 닿아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클램프(40)와 제2 클램프(50)를 덕트(10)의 안쪽으로 회동시켜서 제1 서포팅편(41)과 제1 클램프(40)에 의해 덕트(10)의 하측 코너부를 견고하게 클램핑하고, 제2 서포팅편(54)과 제3 클램프에 의해 덕트(10)의 상측 코너부를 견고하게 클램핑한다. 즉, 제1 클램프(40)와 제2 클램프(50)의 클램핑 작동에 의해 덕트(10)의 상하부를 잡아줌으로써, 덕트(10)가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본체(2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다음,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서포팅편(41) 및 제2 서포팅편(54)과 제1 클램프(40) 및 제2 클램프(50)에 의해 덕트(10)의 코너부가 서포팅 롤러(90)와 폴딩 롤러(8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폴딩 유닛이 이송 작동 유닛에 의해 상승하면, 폴딩 유닛을 구성하는 서포팅 롤러(90)의 외주면은 덕트(10)의 어느 하나의 사각편 외표면에 밀착되어 폴딩 롤러(80)의 뒤쪽에서 받쳐주는 한편, 상측 폴딩 롤러(86)는 다른 사각판(4)의 외표면 위치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사각판(4) 측방으로 돌출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미리 적정 각도(상기 다른 사각판(4)의 외표면에 대해 대략 45° 정도의 각도)로 벤딩시키고, 아래의 중간 폴딩 롤러(84)는 상측 폴딩 롤러(86)에 의해 대략 45° 정도의 각도로 벤딩된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상기 다른 사각판(4)의 외표면에 대해 대략 30° 정도의 각도로 절곡시키며, 하측 폴딩 롤러(82)는 중간 폴딩 롤러(84)에 의해 대략 30° 정도의 각도로 절곡된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상기 다른 사각판(4)의 외표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절곡시킴으로써, 덕트(10)를 구성하는 이웃한 사각판(4)의 코너부가 견고하게 기밀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덕트(10)의 다른 코너부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덕트(15)를 조립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덕트(10)의 플랜지부(17)가 인접된 상부와 하부의 경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공구와 받침용 바아를 이용하여 적정 길이만큼 절곡시켜서 덕트(15)의 상하부측 인접 코너부를 마감처리하도록 한다.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의 뒤쪽에서 받침용 바아를 대고 덕트(10)의 상하부 플랜지부(17)와 인접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의 일부를 적정 길이만큼 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절곡시킴으로써, 덕트(15)의 상하부측 코너부를 마감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덕트(10)를 지지하기 위한 상하부측 지지부, 구체적으로, 제1 서포팅편(41)과 제2 서포팅편(54) 사이의 거리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조절되고, 제1 클램프(40)와 제2 클램프(50) 사이도 역시 상호 거리가 조절될 수 있어서, 덕트(15)의 상하 사이즈가 달라지더라도 호환성 있게 덕트(15)의 조립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와 달리, 가조립 덕트(10)의 외부에서 받쳐주도록 대주는 바아를 사이즈별로 다르게 준비하여야 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덕트(15) 조립 작업이 번거롭지 않고 용이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덕트(15)의 상하 사이즈에 대응하여 덕트(15)의 외부에 1m짜리 바아나 1.8m짜리 바아를 덕트(15)의 상하 방향으로 몇 군데 대주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상기 바아의 사이즈도 제한적이어서 덕트(15) 조립 작업시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조립 덕트(10)의 외부에 상기와 같은 받침용 바아를 사이즈별로 대주어야 하는 경우가 없고, 상기 받침용 바아의 사이즈 제한으로 인해 조립 작업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없으므로, 덕트(15) 조립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폴딩 유닛을 구성하는 서포팅 롤러(90)의 외주면은 덕트(10)의 어느 하나의 사각편 외표면에 밀착되어 폴딩 롤러(80)의 뒤쪽에서 받쳐준 상태에서 폴딩 롤러(80)는 덕트(10)의 코너부를 따라 연속으로 이송되면서 덕트(10)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사각판(4) 측방으로 돌출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연속적으로 부드럽게 벤딩시켜서 다른 사각판(4)의 외표면에 견고하게 기밀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사각판(4)을 제1 폴딩부(6)와 제2 폴딩부(8)에 의해 결합하여 덕트(15)를 만든 다음에 덕트(15)의 코너부 군데 군데에 기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완성된 덕트(15)의 코너부 군데 군데에서 기밀이 세어 나가는 문제를 근절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하 높이 사이즈가 비교적 큰 덕트(15)의 경우에는 상기한 기밀이 세어 나가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많이 생기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덕트(15)의 상하 사이즈가 커지면 커질수록 기밀적인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폴딩 롤러(8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덕트(10)의 코너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점차적으로 더 벌어지는 복수개의 폴딩 롤러 그룹(82,84 및 86)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폴딩 유닛이 이송 작동 유닛에 의해 상승하면, 맨 위의 상측 폴딩 롤러(86)는 다른 사각판(4)의 외표면 위치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사각판(4) 측방으로 돌출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미리 적정 각도로 꺾어주고, 그 아래의 중간 폴딩 롤러(84)는 상측 폴딩 롤러(86)에 의해 미리 벤딩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다시 더 안쪽으로 벤딩시켜주고, 최종적으로, 맨 아래의 하측 폴딩 롤러(82)가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다른 사각판(4)의 외표면에 완전하게 가압 밀착되도록 벤딩시키기 때문에, 덕트(15)의 코너부에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벤딩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무리가 없고 절곡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덕트(15) 조립시 각 사각판(4)의 코너부 연결 결합 구조를 만드는 작업 공정에 있어서 신뢰성과 편리성 등을 보다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조립된 각 사각판(4)의 코너부에 돌출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상대적으로 위쪽 위치에서부터 피접합면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큰 각도에서 적은 각도로 벤딩시켜주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의 벤딩 작업에 의한 덕트(15) 코너부 연결 작업이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4. 사각판 6. 제1 폴딩부
6a. 연결 절곡부 6b. 내측 절곡부
6c. 중간 절곡부 6d. 외측 절곡부
6e.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 10. 덕트
15. 덕트 20. 본체
21. 커버부재 22. 베이스 패널
24. 서포팅 바디 26. 어퍼 패널
27. 상부 케이스 36. 구동모터
40. 제1 클램프 41. 제1 서포팅편
42. 제1 실린더 47. 제2 실린더
53. 제1 클램프 54. 제2 서포팅편
70. 슬라이더 72. 제1 슬라이드 블록
74. 제2 슬라이드 블록 76. 제3 슬라이드 블록
77. 가이드 블록 80. 폴딩 롤러
82. 하측 폴딩 롤러 84. 중간 폴딩 롤러
86. 상측 폴딩 롤러 90. 서포팅 롤러
92. 하측 서포팅 롤러 94. 중간 서포팅 롤러
96. 상측 서포팅 롤러 102. 체인

Claims (8)

  1. 한쪽 측단부에 제1 폴딩부(6)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폴딩부(6)에는 측방으로 연장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너비가 더 크도록 측방으로 연장된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이 구비되며 다른 쪽 측단부에는 너비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폴딩부(8)가 형성된 복수개의 사각판(4)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사각판(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사각판(4)의 제1 폴딩부(6)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다른 사각판(4)의 제2 폴딩부(8)를 끼워주는 방식으로 조립한 덕트(10)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덕트 지지부를 구비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에 투입된 상기 덕트(10)의 코너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20)의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덕트(10)를 구성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사각판(4)의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상기 다른 사각판(4)의 외표면으로 밀착되도록 벤딩시키는 폴딩 유닛과;
    상기 폴딩 유닛을 상기 덕트(10)의 코너부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작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 지지부는, 상기 본체(20)의 내부 일측 위치에 서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서포팅편(41)과, 상기 한 쌍의 제1 서포팅편(41)과 나란하도록 상기 본체(20)의 내부 타측 위치에 서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2 서포팅편(5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서포팅편(41)과 상기 제2 서포팅편(54)에 상기 덕트(10)의 서로 직교하는 외표면이 지지되어 상기 덕트(10)가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상기 제1 서포팅편(41)와 인접된 위치에는 클램핑 작동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서포팅편(41)의 상기 제1 서포팅편(41) 내측면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 클램프(4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서포팅편(54)의 상기 한 쌍의 제2 서포팅편(54)은 지지부재(45)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1 서포팅편(41)과 나란하도록 상기 본체(20)의 내부 타측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재(45)에는 클램핑 작동유닛에 의해 상기 제2 서포팅편(54)의 상기 제2 서포팅편(54) 내측면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 클램프(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포팅편(54)과 상기 제2 클램프(50)가 지지된 상기 지지부재(45)는 전후진 작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전후진 작동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서포팅편(41)와 상기 제1 클램프(40)에 대해 상기 제2 서포팅편(54)과 상기 제2 클램프(50)가 상대 전후진되면서 덕트(15)의 길이 방향 사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클램프(40)와 상기 제2 클램프(5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작동수단은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2 서포팅편(54)과 상기 제2 클램프(50)를 상기 제1 서포팅편(41)와 상기 제1 클램프(40)에 대해 상대 전후진시키는 구동모터(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유닛은, 상기 본체(2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제1 서포팅편(41) 위치에서 상기 본체(20)의 내부 타측에 구비된 제2 서포팅편(54) 위치로 이송되는 슬라이더(70)와, 상기 슬라이더(70)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70)에 의해 상기 덕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 이송되면서 상기 덕트(10)의 일면에서 측방으로 돌출 연장된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을 상기 덕트(10)의 상기 일면과 직교하는 타면으로 밀착되도록 절곡시키는 폴딩 롤러(80)와, 상기 덕트(10)의 상기 일면에 밀착되어 상기 폴딩 롤러(80)에 의해 상기 덕트(10)의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이 벤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폴딩 롤러(80)를 지지하는 힘을 작용시키는 서포팅 롤러(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롤러(80)는, 상기 서포팅 롤러(90)의 회전 중심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중심부의 각도가 다르게 외측으로 틀어져 배치되는 복수개의 폴딩 롤러 그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롤러 그룹은, 상기 덕트(10)의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에 가압력을 작용시켜 상기 결합 지지용 피절곡편(6e)이 상기 덕트(10)의 타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벤딩시키는 하측 폴딩 롤러(82)와, 상기 하측 폴딩 롤러(82)의 회전 중심부보다 상대적으로 외측 방향으로 회전 중심부의 각도가 더 틀어져 배치되는 중간 폴딩 롤러(84)와, 상기 중간 폴딩 롤러(84)의 회전 중심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외측 방향으로 회전 중심부의 각도가 더 틀어져 배치되는 상측 폴딩 롤러(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
KR1020110103902A 2011-10-12 2011-10-12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 KR101352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902A KR101352079B1 (ko) 2011-10-12 2011-10-12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902A KR101352079B1 (ko) 2011-10-12 2011-10-12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390A KR20130039390A (ko) 2013-04-22
KR101352079B1 true KR101352079B1 (ko) 2014-01-15

Family

ID=4843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902A KR101352079B1 (ko) 2011-10-12 2011-10-12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0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504A (ja) * 2000-11-30 2002-06-14 Fuji Kucho Kogyo Kk ダクト用板のハゼ結合構造及びハゼ結合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504A (ja) * 2000-11-30 2002-06-14 Fuji Kucho Kogyo Kk ダクト用板のハゼ結合構造及びハゼ結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390A (ko)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7089B2 (en) Cabinet assembly jig
US9511409B2 (en) Apparatus for closing Pittsburgh seams associated with duct assemblies and other box-shaped members
CN104670945A (zh) 双工位翻转贴合结构
CN105592947A (zh) 用于弯曲成型段如管的装置
US20090235613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Framework of Length of Timber
KR101352079B1 (ko) 덕트 코너부 결합 장치
US20080066854A1 (en) Staging System for Automated Window or Door Fabrication
MY122970A (en) Sheets reg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JP4794476B2 (ja) 変圧器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で用いる治具
KR102264022B1 (ko) 철망 절곡장치
JP2003181752A5 (ko)
KR101200315B1 (ko) 지퍼용 테이프의 결합장치
WO2021102802A1 (zh) 工件面板组装设备
JP3999381B2 (ja) 枠体製造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枠体製造方法
CN205573382U (zh) 一种大型装订机
CN209242037U (zh) 一种斜胶排插钉设备
CN217716449U (zh) 一种对准定位装置
CN111791037A (zh) 磁铁供料装置
KR102636048B1 (ko) 자동 배관 조립장치
CN217992376U (zh) 一种板材胀塞的自动装配装置
JP4351312B2 (ja) 釘打ち機、これを備えた釘打ち設備、釘打ち装置および枠組製造装置
CN211196761U (zh) 一种摆框机
US3961407A (en) Manufacture of construction elements
JPH03277434A (ja) 木製パネル組立用支持フレームにおける可動定規の構造
JPS5844345Y2 (ja) 管材整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