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077B1 -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077B1
KR101352077B1 KR1020130137178A KR20130137178A KR101352077B1 KR 101352077 B1 KR101352077 B1 KR 101352077B1 KR 1020130137178 A KR1020130137178 A KR 1020130137178A KR 20130137178 A KR20130137178 A KR 20130137178A KR 101352077 B1 KR101352077 B1 KR 101352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casing
stopper
rotat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한선
Original Assignee
(주)세종그룹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종그룹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세종그룹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13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역방향 회전에 의해 이격 또는 깍지 맞물리는 제1 회전 지지편 및 제2 회전 지지편이 구비되어 절연애자에 배전용 가공전선을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 해짐으로써 설치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배전용 가공전선의 유지보수시 절연애자로부터 배전용 가공전선의 분리 교체가 용이 해지며, 분리 교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 {easily installable overhead distribution line fixing insulator}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용 가공전선을 지지하는 절연애자의 지지 구조를 개선한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자라 함은 전주에 밴드를 매개로 고정된 완철 상에 고정되어 배전용 가공전선의 나선부분을 절연하고 동시에 기계적으로 유지 또는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절연체이다.
애자는 단순히 배전용 가공전선을 고정하는 기능만 있으며, 통상 배전용 가공전선을 애자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당겨 연결하기 때문에 중간부가 하측으로 처지도록 느슨하게 연결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38694호(2004년01월05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는 배전용 가공전선을 설치할 때에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이 까다롭고, 설치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는 배전용 가공전선의 유지보수시 절연애자로부터 배전용 가공전선의 분리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추가로 발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38694호(2004년01월05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용이 해지고 작업이 간편해져 설치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전용 가공전선의 유지보수시 절연애자로부터 배전용 가공전선의 분리 교체가 용이 해질 수 있고, 분리 교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는:
절연재질의 애자 본체;
상기 애자 본체의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구비된 케이싱 커버로 이루어진 회전 지지 케이싱;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된 랙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베이스 물림부를 하부에 갖추고서 상기 케이싱 커버의 랙 개구부를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 가능하게 구비된 절연재질의 슬라이딩 랙;
상기 슬라이딩 랙에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의 중심부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축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에 구비되되 상기 피니언의 반대편에 구비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회전축에 구비되되 상기 피니언 및 상기 제1 기어 사이에 구비된 제1 회전체로 이루어진 제1 회전 유닛;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상기 피니언 및 상기 제1 기어의 회전방향에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의 중심부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구비된 또 다른 회전축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에 구비되되 상기 제1 회전체와는 대칭되게 구비된 제2 회전체로 이루어진 제2 회전 유닛;
좌우로 상호 이격 또는 깍지 맞물리게 회전되되,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만곡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호 깍지 맞물리면 배전용 가공전선(L)을 상하좌우로 밀착지지하도록, 각각의 일측은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타측은 상기 케이싱 커버의 지지편 개구부를 통해 상기 회전 지지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된 제1 및 제2 회전 지지편;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싱 커버의 일측에 구비된 스토퍼 케이싱과,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되 하강시 상기 슬라이딩 랙에 맞물리도록 구비된 걸림 랙과, 상기 걸림 랙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 스토퍼 작동간과, 상기 걸림 랙 및 상기 스토퍼 케이싱 사이에 구비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엔 상기 걸림 랙이 하강된 위치에 머물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스토퍼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용 가공전선의 설치가 용이 해지고 작업이 간편해짐으로써 설치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전용 가공전선의 유지보수시 절연애자로부터 배전용 가공전선의 분리 교체가 용이 해질 수 있고, 분리 교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애자 본체의 상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케이싱 커버를 벗겨낸 상태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제1 회전 지지편 및 제2 회전 지지편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재질의 애자 본체(110)와, 회전 지지 케이싱(200)과, 슬라이딩 랙(310)과, 제1 회전 유닛(320)과, 제2 회전 유닛(330)과, 제1 회전 지지편(410)과, 제2 회전 지지편(420)과, 슬라이딩 스토퍼 유닛(50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랙(310)의 슬라이딩 왕복에 의해 배전용 가공전선(L)을 지지해줄 제1 회전 지지편(410) 및 제2 회전 지지편(420)이 좌우로 상호 이격 또는 깍지 맞물리게 회전되도록 간편하게 조작됨으로써 배전용 가공전선(L)의 설치가 용이 해지고 작업이 간편해지도록 할 수 있다.
회전 지지 케이싱(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 본체(110)의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210)와,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케이싱 커버(22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10)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랙(310)의 베이스 물림부(311)가 맞물리게 랙 가이드 홈(211)이 함몰 형성되고, 제1 회전 유닛(320)의 제1 회전축(323)과 제2 회전 유닛(330)의 제2 회전축(33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213)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랙(310)이 베이스부(2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랙 가이드 홈(211)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려 슬라이딩 랙(310)의 왕복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 유닛(320)과 제1 회전 유닛(320)에 맞물려 제1 회전 유닛(320)의 회전방향에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회전 유닛(330)이 회전축 지지부(213)에 의해 베이스부(2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회전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축 지지부(21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10)의 상부에서 제1 회전 유닛(320)에 대응되는 측에서 제1 회전축(323)을 따라 전방과 후방에 한 쌍으로 각각 구비됨과 동시에 제2 회전 유닛(330)에 대응되는 측에서 제2 회전축(333)을 따라 전방과 후방에 한 쌍으로 각각 구비되어 총 4개가 구비된다.
한편, 회전축 지지부(213)에서 제1 회전축(323) 또는 제2 회전축(333)이 관통되어 접촉되는 부분에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커버(220)의 상부에는 제1 회전 지지편(410) 및 제2 회전 지지편(420)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호 근접되게 회전시 상부가 깍지 맞물림에 의해 배전용 가공전선(L)을 밀착지지하도록 제1 회전 지지편(410) 및 제2 회전 지지편(420)이 회전되는 경로의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편 개구부(221)가 제1 회전 지지편(410) 및 제2 회전 지지편(420)에 각각 대응되게 한 쌍으로 천공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 커버(220)의 양 측면 하부에는 슬라이딩 랙(310)이 관통하며 슬라이딩 왕복 될 수 있게 랙 개구부(223)가 천공 형성된다.
한편, 슬라이딩 랙(310)은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형성된 랙 가이드 홈(2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베이스 물림부(311)를 하부에 갖추고서 케이싱 커버(220)의 랙 개구부(223)를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되, 고강도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재질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랙(310)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제1 회전 유닛(320)의 피니언(321)이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려 제1 회전 지지편(410)이 벌어진 상태에서 오므라지게 회전됨과 동시에 제2 회전 유닛(330)의 제2 기어(331)가 제1 회전 유닛(320)의 제1 기어(325)에 맞물려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회전 지지편(420)이 벌어진 상태에서 오므라지게 회전됨으로써 제1 회전 지지편(410) 및 제2 회전 지지편(420)이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 깍지 맞물림 되는 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배전용 가공전선(L)이 상하좌우로 밀착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랙(310)이 절연재질로 마련됨으로써 배전용 가공전선(L)의 설치 작업시 감전사고의 발생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베이스 물림부(311)는 단면이 대략 ‘T’자를 거꾸로 세워 놓은 형상이 되도록 마련되고, 랙 가이드 홈(211)은 베이스 물림부(311)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 지지 케이싱(200), 제1 회전 유닛(320), 제2 회전 유닛(330), 제1 회전 지지편(410), 제2 회전 지지편(420), 스토퍼 케이싱(510) 및 스토퍼 작동간(530)도 절연재질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회전 유닛(3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피니언(321)과, 피니언(321)의 중심부에 구비되되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축 지지부(213)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회전축(323)과, 제1 회전축(323)에 구비되되 피니언(321)의 반대편에 구비된 제1 기어(325)와, 제1 회전축(323)에 구비되되 피니언(321) 및 제1 기어(325) 사이에 구비된 제1 회전체(327)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랙(310)의 슬라이딩 왕복에 의해 제1 회전 지지편(410)이 제2 회전 지지편(420)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나 근접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회전 지지편(410)이 연결된 제1 회전체(327)가 좌우로 회전되게 할 수 있고, 제1 기어(325)를 통해 제2 회전 유닛(330)이 제1 회전 유닛(320)의 회전방향에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제2 회전 유닛(3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325)에 맞물려 피니언(321) 및 제1 기어(325)의 회전방향에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제2 기어(331)와, 제2 기어(331)의 중심부에 구비되되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또 다른 회전축 지지부(213)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회전축(333)과, 제2 회전축(333)에 구비되되 제1 회전체(327)와는 대칭되게 구비된 제2 회전체(33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랙(310)의 슬라이딩 왕복에 의해 제2 회전 지지편(420)이 제1 회전 지지편(410)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나 근접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회전 지지편(420)이 연결된 제2 회전체(335)가 좌우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회전 지지편(410,4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상호 이격 또는 깍지 맞물리게 회전되되,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만곡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호 깍지 맞물리면 배전용 가공전선(L)을 상하좌우로 밀착지지하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일측은 제1 회전체(327) 및 제2 회전체(335)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타측은 케이싱 커버(220)의 지지편 개구부(221)를 통해 회전 지지 케이싱(2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지지편(410)은 제1 회전체(327)에 연결되고, 제2 회전 지지편(420)은 제2 회전체(335)에 연결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지지편(410)의 상부에는 복수의 제1 핑거(411)가 구비되고, 제2 회전 지지편(420)의 상부에는 제1 회전 지지편(410)과 상호 근접시 제1 핑거(411)와 함께 상호 깍지 맞물림 교합을 이루도록 복수의 제2 핑거(421)가 제1 핑거(411)에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랙(310)의 슬라이딩 왕복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회전체(327) 및 제2 회전체(335)에 제1 회전 지지편(410) 및 제2 회전 지지편(420)이 각각 연결되어 상호 이격에 의해 깍지 맞물림 해제되거나 상호 접근에 의해 깍지 맞물림 될 수 있고, 제1 핑거(411) 및 제2 핑거(421)가 상호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상호 깍지 맞물림에 의해 배전용 가공전선(L)을 상하좌우로 견고하게 밀착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 스토퍼 유닛(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10)의 상부에서 케이싱 커버(220)의 일측에 구비된 스토퍼 케이싱(510)과, 스토퍼 케이싱(510)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되 하강시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리도록 구비된 걸림 랙(520)과, 걸림 랙(520)의 상부에 구비되되 스토퍼 케이싱(51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 스토퍼 작동간(530)과, 걸림 랙(520) 및 스토퍼 케이싱(510) 사이에 구비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엔 걸림 랙(520)이 하강된 위치에 머물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54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스토퍼 작동간(530)을 들어올려 걸림 랙(520)이 슬라이딩 랙(310)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걸림 랙(520)을 상승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랙(310)이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스토퍼 작동간(530)을 내버려두면 스토퍼 작동간(530)이 하강 되면서 걸림 랙(520)이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려지도록 함으로써 제1 회전 지지편(410) 및 제2 회전 지지편(420)이 상호 이격 또는 접근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하여 제1 회전 지지편(410) 및 제2 회전 지지편(420)의 상호 이격 또는 접근된 상태가 단계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100)의 작동 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회전 지지편(410) 및 제2 회전 지지편(420)이 상호 이격되어 벌어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스토퍼 유닛(500)의 스토퍼 작동간(530)을 들어올린 후, 슬라이딩 랙(310)을 회전 지지 케이싱(200) 속으로 밀어 넣는다.
다음에, 슬라이딩 랙(310)이 회전 지지 케이싱(200)의 내부로 진입됨에 따라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리는 제1 회전 유닛(320)의 피니언(321)이 회전되어 제1 회전체(327)에 연결된 제1 회전 지지편(410)이 배전용 가공전선(L)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오므라짐과 동시에 제2 회전체(335)는 제1 회전체(327)의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회전 지지편(420)도 배전용 가공전선(L)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오므라져 마침내 제1 회전 지지편(410)과 제2 회전 지지편(420)은 제1 핑거(411)들과 제2 핑거(421)들이 상호 깍지 맞물리게 교합되도록 접근된다.
그리고, 스토퍼 작동간(530)을 들어올린 힘을 놓으면 걸림 랙(520)이 하강되어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리게 되면서 제1 회전 지지편(410) 및 제2 회전 지지편(420)이 상호 깍지 맞물리게 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고정하게 된다.
한편, 배전용 가공전선(L)의 유지보수시 절연애자로부터 배전용 가공전선(L)을 분리 교체할 때에는 다시 스토퍼 작동간(530)을 들어올린 후, 슬라이딩 랙(310)을 회전 지지 케이싱(200)의 외부를 향해 잡아당긴다.
슬라이딩 랙(310)이 회전 지지 케이싱(200)의 외부를 향해 수평방향을 따라 인출됨에 따라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리는 제1 회전 유닛(320)의 피니언(321)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회전 지지편(410)이 벌어지게 됨과 동시에 제2 회전체(335) 또한 제1 회전체(327)의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회전 지지편(420)도 제1 회전 지지편(410)과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스토퍼 작동간(530)을 들어올린 힘을 놓으면 걸림 랙(520)이 하강되어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리게 되면서 제1 회전 지지편(410) 및 제2 회전 지지편(420)이 상호 이격되게 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고정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용 가공전선(L)의 설치가 용이 해지고 작업이 간편해짐으로써 설치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배전용 가공전선(L)의 유지보수시 절연애자로부터 배전용 가공전선(L)의 분리 교체가 용이 해질 수 있고, 분리 교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애자 본체 200 : 회전 지지 케이싱
210 : 베이스부 220 : 케이싱 커버
310 : 슬라이딩 랙 320 : 제1 회전 유닛
321 : 피니언 323 : 제1 회전축
325 : 제1 기어 327 : 제1 회전체
330 : 제2 회전 유닛 331 : 제2 기어
333 : 제2 회전축 335 : 제2 회전체
410 : 제1 회전 지지편 420 : 제2 회전 지지편
500 : 슬라이딩 스토퍼 유닛 510 : 스토퍼 케이싱
520 : 걸림 랙 530 : 스토퍼 작동간
540 : 스프링 부재

Claims (1)

  1. 절연재질의 애자 본체(110);
    상기 애자 본체(110)의 상부에 고정된 베이스부(210)와,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케이싱 커버(220)로 이루어진 회전 지지 케이싱(200);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형성된 랙 가이드 홈(2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베이스 물림부(311)를 하부에 갖추고서 상기 케이싱 커버(220)의 랙 개구부(223)를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 가능하게 구비된 절연재질의 슬라이딩 랙(310);
    상기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피니언(321)과, 상기 피니언(321)의 중심부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축 지지부(213)에 의해 지지되는 제1 회전축(323)과, 상기 제1 회전축(323)에 구비되되 상기 피니언(321)의 반대편에 구비된 제1 기어(325)와, 상기 제1 회전축(323)에 구비되되 상기 피니언(321) 및 상기 제1 기어(325) 사이에 구비된 제1 회전체(327)로 이루어진 제1 회전 유닛(320);
    상기 제1 기어(325)에 맞물려 상기 피니언(321) 및 상기 제1 기어(325)의 회전방향에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제2 기어(331)와, 상기 제2 기어(331)의 중심부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또 다른 회전축 지지부(213)에 의해 지지되는 제2 회전축(333)과, 상기 제2 회전축(333)에 구비되되 상기 제1 회전체(327)와는 대칭되게 구비된 제2 회전체(335)로 이루어진 제2 회전 유닛(330);
    좌우로 상호 이격 또는 깍지 맞물리게 회전되되,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만곡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호 깍지 맞물리면 배전용 가공전선(L)을 상하좌우로 밀착지지하도록, 각각의 일측은 상기 제1 회전체(327) 및 상기 제2 회전체(335)에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타측은 상기 케이싱 커버(220)의 지지편 개구부(221)를 통해 상기 회전 지지 케이싱(200)의 외부로 노출된 제1 및 제2 회전 지지편(410,420);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싱 커버(220)의 일측에 구비된 스토퍼 케이싱(510)과, 상기 스토퍼 케이싱(510)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되 하강시 상기 슬라이딩 랙(310)에 맞물리도록 구비된 걸림 랙(520)과, 상기 걸림 랙(52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스토퍼 케이싱(51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 스토퍼 작동간(530)과, 상기 걸림 랙(520) 및 상기 스토퍼 케이싱(510) 사이에 구비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엔 상기 걸림 랙(520)이 하강된 위치에 머물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540)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스토퍼 유닛(5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
KR1020130137178A 2013-11-12 2013-11-12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 KR101352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178A KR101352077B1 (ko) 2013-11-12 2013-11-12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178A KR101352077B1 (ko) 2013-11-12 2013-11-12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077B1 true KR101352077B1 (ko) 2014-01-15

Family

ID=5014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178A KR101352077B1 (ko) 2013-11-12 2013-11-12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0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8556A (zh) * 2018-10-19 2018-12-18 浙江理工大学 一种折叠挂篮
KR101963413B1 (ko) * 2018-12-21 2019-03-28 (주)디케이이엔지 활선작업이 용이한 가공 배전선의 애자장치
KR102158588B1 (ko) * 2020-04-28 2020-09-22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KR102208974B1 (ko) * 2020-07-23 2021-01-27 김도현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167A (ko) * 2005-10-24 2007-04-27 이디아이 주식회사 라인 포스트 애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167A (ko) * 2005-10-24 2007-04-27 이디아이 주식회사 라인 포스트 애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8556A (zh) * 2018-10-19 2018-12-18 浙江理工大学 一种折叠挂篮
KR101963413B1 (ko) * 2018-12-21 2019-03-28 (주)디케이이엔지 활선작업이 용이한 가공 배전선의 애자장치
KR102158588B1 (ko) * 2020-04-28 2020-09-22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KR102208974B1 (ko) * 2020-07-23 2021-01-27 김도현 고전압 케이블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074B1 (ko) 배전가공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352077B1 (ko) 설치가 용이한 배전용 가공전선 절연애자
KR101352072B1 (ko) 배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금
KR102077771B1 (ko) 특고압 송배전 선로의 고정대
CN103259119B (zh) 防触电、防水插座
EP2690641A1 (en) Circuit breaker
EP2842150B1 (en) Isolating/grounding switch with three phases in one enclosure
CN206921752U (zh) 提高反向电寿命的高压直流接触器结构
KR101352076B1 (ko) 특고압 배전 전용 가공전선 고정대
KR20170070599A (ko) 컨버터의 접지를 위한 단락장치
CN205723140U (zh) 剩余电流检测装置
CN205752055U (zh) 断路器与电器附件的取电结构
CN201435350Y (zh) 一种可防窜动的磁保持继电器
CN105719886A (zh) 一种高压隔离开关
CN107550275B (zh) 电加热装置底座及电水壶
CN106158515B (zh) 一种带微动开关的高压直流继电器
CN102077310B (zh) 带有消弧装置的负载断流器
CN205410843U (zh) 家电器具
CN204517705U (zh) 星/三角降压启动专用的接触器
CN203521276U (zh) 一种一字型快速接地开关装置
CN102592895B (zh) 手柄居中的塑壳断路器扣盖
CN103500680B (zh) 低压熔断器式隔离开关
CN205723139U (zh) 剩余电流检测装置
CN203588903U (zh) 安全闸刀开关
CN102176396B (zh) 三相共箱式快速接地开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