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722B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722B1
KR101351722B1 KR1020130050131A KR20130050131A KR101351722B1 KR 101351722 B1 KR101351722 B1 KR 101351722B1 KR 1020130050131 A KR1020130050131 A KR 1020130050131A KR 20130050131 A KR20130050131 A KR 20130050131A KR 101351722 B1 KR101351722 B1 KR 101351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ib
bare cell
cover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2592A (ko
Inventor
고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0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7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2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있어서, 베어셀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고, 성형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높은 구조를 갖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은 베어셀; 및 상기 베어셀의 상면, 하면 및 양 단측면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베어셀의 양 단측면과 대응되는 양 측부의 길이방향 일부에만 형성되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팩은 전극조립체를 케이스에 수용하여 형성된 베어셀과, 상기 베어 셀의 측면 둘레를 감싸는 커버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어셀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고, 성형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높은 커버 프레임의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있어서, 베어셀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고, 성형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높은 구조를 갖는 커버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베어셀 및, 상기 베어셀의 상면, 하면 및 양 단측면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베어셀의 양 단측면과 대응되는 양 측부 각각의 길이방향 일부와, 상기 베어셀의 하면과 대응되는 하단부의 길이방향 일부에만 형성된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베어셀의 상면을 감싸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베어셀의 하면을 감싸며, 상기 제 1 프레임과 마주 보도록 형성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베어셀의 단측면을 각각 감싸며,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 3 프레임 및 제 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제 2 프레임, 제 3 프레임 및 제 4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리브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 단부로 부터 이르는 거리가 같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프레임 및 제 4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으로부터 이르는 거리가 같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두께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의 두께방향 타측 단부에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브가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두께 방향 타측 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베어셀의 상면의 일부를 덮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어셀의 하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는 각각 제 3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의 일측단부 및 제 4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의 일측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제 3 프레임 및 제 4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프레임에 형성된 리브와 제 4 프레임에 형성된 리브는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한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에 형성된 리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에 형성된 리브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 단부로부터 이르는 거리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는 각각 제 3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의 일측단부 및 제 4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의 일측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팩은 커버 프레임의 성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금형 비용을 절감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 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완성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폴리머 셀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버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버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버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버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완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베어셀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베어셀(10) 및 베어셀(10)의 상면, 하면 및 양 단측면을 감싸는 커버 프레임(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베어셀(10)은, 도 2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0) 및 전극 조립체(10)를 수용하는 케이스(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극 조립체(1)는 양면에 양극 활물질이 코팅된 양극판(2), 양면에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음극판(4)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양극판(2)에는 일정 길이 돌출되어 양극으로 작용하는 양극탭(5)이 접합된다. 또한, 상기 음극판(4)에는 일정 길이 돌출되어 음극으로 작용하는 음극탭(6)이 접합된다. 또한, 상기 양극탭(5) 및 음극탭(6)은 케이스(11)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 테이프(7)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양극탭(5) 및 음극탭(6)은 케이스(11)의 어느 일측면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보호회로모듈(PCM: protection circuit module, 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케이스(11)는 케이스 막의 중간이 접철되어 하부 케이스(12)와 상부 케이스(13)로 나누어진다. 상기 하부 케이스(12)에는 프레스(press) 가공을 통해 전극 조립체(1)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12a)가 형성된다. 상기 전극 조립체(1)를 수용부(12a)에 수용하고 상부 케이스(13)로 하부 케이스(12)를 덮은 후, 수용부(12a)의 가장자리를 따라 열융착이 이루어 짐으로써 베어셀(10)이 완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어셀(10)에 있어서, 전극탭(5,6)이 인출되는 면을 상면이라고 칭하기로 하며, 상면과 마주보는 반대쪽 면을 하면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상면 및 하면의 길이방향 일측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면을 제 1 단측면이라고 칭하기로 하며, 상면 및 하면의 길이방향 타측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면을 제 2 단측면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상면 및 하면의 두께방향 일측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면, 즉 하부 케이스(12)의 하면을 제 1 장측면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상면 및 하면의 두께방향 타측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면, 즉 상부 케이스(13)의 상면을 제 2 장측면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버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버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프레임(20)은 베어셀(10)의 상면, 하면 및 양 단측면을 각각 감싸는 제 1 프레임(21), 제 2 프레임(22), 제 3 프레임(23) 및 제 4 프레임(2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셀(10)은 상기 프레임(21,22,23,24)으로 둘러싸인 셀 수용부(20a)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20)은 제 1 프레임(21)을 사이에 두고 셀 수용부(20a)의 반대편에 형성된 PCM 수용부(20b)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20)은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커버 프레임(20)의 재질을 고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약간의 변형이 가능한 정도의 탄성을 갖는 재질이면 가능하다.
상기 제 1 프레임(21)은 두께 방향 하단에 형성된 제 1 지지부(21a) 및 두께 방향 상단에 형성된 탭 수용홈(21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지지부(21a)는 제 1 프레임(21)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제 1 프레임(21)의 두께 방향 하단부로부터 커버 프레임(20)의 내측방향 즉, 셀 수용부(20a)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지지부(21a)는 커버 프레임(20)의 셀 수용부(20a) 내부에 수용되는 베어셀(10)의 제 1 장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21a)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서, 제 1 지지부(21a)는 제 1 프레임(21)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탭 수용홈(21b)은 셀 수용부(20a)에 수용된 베어셀(10)의 양극탭(5) 및 음극탭(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양극탭(5) 및 음극탭(6)은 탭 수용홈(21b)을 통해서 PCM 수용부(20b) 방향으로 각각 인출되며, PCM 수용부(20b)에 수용된 PC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프레임(22)은 두께 방향 하단에 형성된 제 2 지지부(22a) 및 두께 방향 상단에 형성된 제 1 리브(22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2 지지부(22a)는 제 2 프레임(22)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제 2 프레임(22)의 두께 방향 하단부로부터 셀 수용부(20a)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지지부(22a)는 커버 프레임(20)의 셀 수용부(20a)의 내부에 수용되는 베어셀(10)의 제 1 장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22a)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서, 제 2 지지부(22a)는 제 2 프레임(22)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리브(22b)는 제 2 프레임(22)의 길이방향의 일부에 형성되며, 제 2 프레임(22)의 두께 방향 상단부로부터 셀 수용부(20a)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리브(22b)는 커버 프레임(20)의 셀 수용부(20a) 내부에 수용되는 베어셀(10)의 제 2 장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프레임(22)에 제 1 리브(22b)가 형성된 구조는 특히 베어셀(10)의 장측면이 넓은 대면적 박형 배터리 팩에 대해 우수한 고정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상기 제 1 리브(22b)는 제 2 프레임(22)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커버 프레임(20)의 셀 수용부(20a)에 수용되는 베어셀(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b에 나타나듯이, 상기 커버 프레임(20)을 상부에서 바라 볼 때, 제 2 지지부(22a)와 제 1 리브(22b)는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2 지지부(22a)는 제 2 프레임(22)의 길이방향 중 제 1 리브(22b)가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금형의 구조를 간단하게 함으로써 사출 성형에 의한 커버 프레임(20)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배터리 팩(100)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 3 프레임(23)은 두께 방향 하단에 형성된 제 3 지지부(23a) 및 두께 방향 상단에 형성된 제 2 리브(23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3 지지부(23a)는 제 3 프레임(23)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제 3 프레임(23)의 두께 방향 하단부로부터 셀 수용부(20a)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지지부(23a)는 커버 프레임(20)의 셀 수 용부(20a)의 내부에 수용되는 베어셀(10)의 제 1 장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3 지지부(23a)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서, 제 3 지지부(23a)는 제 3 프레임(23)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제 3 지지부(23a)는 후술할 제 2 리브(23b)가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지지부(23a)의 일측 및 타측 단부는 각각 제 1 지지부(21a) 및 제 2 지지부(22a)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부(21a,22a,23a)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리브(23b)는 제 3 프레임(23)의 길이방향의 일부에 형성되며, 제 3 프레임(23)의 두께 방향 상단부로부터 셀 수용부(20a)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리브(23b)는 커버 프레임(20)의 셀 수용부(20a)의 내부에 수용되는 베어셀(10)의 제 2 장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 리브(23b)는 제 3 프레임(23)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커버 프레임(20)의 셀 수용부(20a)에 베어셀(1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베어셀(10)이 셀 수용부(20a)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b에 나타나듯이, 상기 커버 프레임(20)을 상부에서 바라 볼 때, 제 3 지지부(23a)와 제 2 리브(23b)는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2 지지부(23a)는 제 3 프레임(23)의 길이방향 중 제 2 리브(23b)가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에 의한 커버 프레임(20) 제작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배터리 팩(100)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2 리브(23b)는 제 3 지지부(23a)와 비교할 때, 제 3 프레임(23)의 길이방향으로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커버 프레임(20)의 상부로부터 베어셀(10)을 셀 수용부(20a)에 삽입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베어셀(10)을 셀 수용부(20a)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제 2 리브(23b)가 상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 2 리브(23b)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면 제 2 리브(23b)와 제 3 지지부(23a) 사이에 베어셀(10)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 4 프레임(24)은 두께 방향 하단에 형성된 제 4 지지부(24a) 및 두께 방향 상단에 형성된 제 3 리브(24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4 지지부(24a)는 제 4 프레임(24)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제 4 프레임(24)의 두께 방향 하단부로부터 셀 수용부(20a)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4 지지부(24a)는 커버 프레임(20)의 셀 수용부(20a)의 내부에 수용되는 베어셀(10)의 제 1 장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4 지지부(24a)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서, 제 4 지지부(24a)는 제 4 프레임(24)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제 4 지지부(24a)는 후술할 제 3 리브(24b)가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지지부(24a)의 일측 및 타측 단부는 각각 제 1 지지부(21a) 및 제 2 지지부(22a)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부(21a,22a,24a)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제 3 리브(24b)는 제 4 프레임(24)의 길이방향의 일부에 형성되며, 제 4 프레임(24)의 두께 방향 상단부로부터 셀 수용부(20a)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리브(24b)는 커버 프레임(20)의 셀 수용부(20a)의 내부에 수용되는 베어셀(10)의 제 2 장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3 리브(24b)는 제 4 프레임(24)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커버 프레임(20)의 셀 수용부(20a)에 베어셀(1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베어셀(10)이 셀 수용부(20a)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b에 나타나듯이, 상기 커버 프레임(20)을 상부에서 바라 볼 때, 제 4 지지부(24a)와 제 3 리브(24b)는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2 지지부(24a)는 제 4 프레임(24)의 길이방향 중 제 3 리브(24b)가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출 성형에 의한 커버 프레임(20) 제작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배터리 팩(100)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3 리브(24b)는 제 4 지지부(24a)와 비교할 때, 제 4 프레임(24)의 길이방향으로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커버 프레임(20)의 상부로부터 베어셀(10)을 셀 수용부(20a)에 삽입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베어셀(10)을 셀 수용부(20a)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제 3 리브(24b)가 상부 방향으로 탄성 변형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 3 리브(24b)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면 제 3 리브(24b)와 제 4 지지부(24a) 사이에 베어셀(10)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다음은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버 프레임(3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버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 및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버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버 프레임(30)은 베어셀(10)의 상면, 하면 및 양 단측면을 각각 감싸는 제 1 프레임(31), 제 2 프레임(32), 제 3 프레임(33) 및 제 4 프레임(3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셀(10)은 상기 프레임(31,32,33,34)으로 둘러싸인 셀 수용부(30a)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30)은 제 1 프레임(31)을 사이에 두고 셀 수용부(30a)의 반대편에 형성된 PCM 수용부(30b)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31)은 두께 방향 하단에 형성된 제 1 지지부(31a) 및 두께 방향 상단에 형성된 탭 수용홈(31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프레임(32)은 두께 방향 하단에 형성된 제 2 지지부(32a) 및 두께 방향 상단에 형성된 제 1 리브(32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 프레임(33)은 두께 방향 하단에 형성된 제 3 지지부(33a) 및 두께 방향 상단에 형성된 제 2 리브(33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4 프레임(34)은 두께 방향 하단에 형성된 제 4 지지부(34a) 및 두께 방향 상단에 형성된 제 3 리브(34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버 프레임(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의 커버 프레임(20)과 비교할 때, 제 3 지지부(33a), 제 2 리브(33b), 제 4 지지부(34a) 및 제 3 리브(34b)의 형성 위치가 다르며 그에 따른 작용 효과가 다를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커버 프레임(30)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지부(33a), 제 2 리브(33b), 제 4 지지부(34a) 및 제 3 리브(34b)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리브(33b)는 제 3 프레임(33)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제 1 프레임(31)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3 리브(34b)는 제 4 프레임(34)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제 2 프레임(32)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지지부(33a) 및 제 4 지지부(34a)는 각각 제 2 리브(33b) 및 제 3 리브(34b)가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 프레임(30)을 상부에서 바라 볼 때, 제 3 지지부(33a)와 제 2 리브(33b)는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리브(33b)는 제 3 프레임(33)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제 2 프레임(31)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3 리브(34b)는 제 4 프레임(34)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제 1 프레임(32)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지지부(33a) 및 제 4 지지부(34a)는 각각 제 2 리브(33b) 및 제 3 리브(34b)가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 프레임(30)을 상부에서 바라 볼 때, 제 3 지지부(33a)와 제 2 리브(33b)는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리브(33b)와 제 3 리브(34b) 중 하나는 제 1 프레임(31)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제 2 프레임(32)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베어셀(10)을 커버 케이스(30)에 삽입하는 공정이 좀 더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배터리 팩 10: 베어셀
1: 전극조립체 2: 양극판
3: 세퍼레이터 4: 음극판
5: 양극탭 6: 음극탭
7: 절연테이프 11: 케이
12: 하부 케이스 12a: 수용부
13: 상부 케이스 20,30: 커버 프레임
20a,30a: 셀 수용부 20b,30b: PCM 수용부
21,31: 제 1 프레임 21a,31a: 제 1 지지부
21b,31b: 탭 수용 홈 22,32: 제 2 프레임
22a,32a: 제 2 지지부 22b,32b: 제 1 리브
23,33: 제 3 프레임 23a,33a: 제 3 지지부
23b,33b: 제 2 리브 24,34: 제 4 프레임
24a,34a: 제 4 지지부 24b,34b: 제 3 리브

Claims (10)

  1. 베어셀; 및
    상기 베어셀의 상면, 하면 및 양 단측면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베어셀의 양 단측면과 대응되는 양 측부 각각의 길이방향 일부와, 상기 베어셀의 하면과 대응되는 하단부의 길이방향 일부에만 형성된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베어셀의 상면을 감싸는 제 1 프레임;
    상기 베어셀의 하면을 감싸며, 상기 제 1 프레임과 마주 보도록 형성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베어셀의 단측면을 각각 감싸며,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 3 프레임 및 제 4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제 2 프레임, 제 3 프레임 및 제 4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리브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 단부로 부터 이르는 거리가 같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프레임 및 제 4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으로부터 이르는 거리가 같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두께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의 두께방향 타측 단부에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가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두께 방향 타측 단부는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베어셀의 상면의 일부를 덮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어셀의 하면의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는 각각 제 3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의 일측단부 및 제 4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의 일측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130050131A 2013-05-03 2013-05-03 배터리 팩 KR101351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131A KR101351722B1 (ko) 2013-05-03 2013-05-03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131A KR101351722B1 (ko) 2013-05-03 2013-05-03 배터리 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869A Division KR20120091837A (ko) 2011-02-10 2011-02-10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592A KR20130052592A (ko) 2013-05-22
KR101351722B1 true KR101351722B1 (ko) 2014-01-15

Family

ID=4866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131A KR101351722B1 (ko) 2013-05-03 2013-05-03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200B1 (ko) * 2015-01-19 2021-06-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3203A (ja) * 2005-09-02 2007-03-22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KR20090043917A (ko) * 2007-10-30 2009-05-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3203A (ja) * 2005-09-02 2007-03-22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KR20090043917A (ko) * 2007-10-30 2009-05-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592A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1837A (ko) 배터리 팩
JP5484242B2 (ja)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9899638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296964B1 (ko) 배터리 팩
US9876205B2 (en) Battery module
US20140242449A1 (en) Pack Case for Battery
US8343651B2 (en) Battery pack
US9755215B2 (en) Secondary battery
US9601813B2 (en) Battery pack
KR101152471B1 (ko) 배터리 팩
KR101233615B1 (ko) 배터리 팩
KR20150115358A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2096067B1 (ko) 배터리 팩
KR101351722B1 (ko) 배터리 팩
US20100266877A1 (en)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manufacturing method
KR102187172B1 (ko) 커브드 케이스용 금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커브드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2197999B1 (ko) 전지 팩
KR102332331B1 (ko) 배터리 팩
US20230330900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uch of Secondary Battery
KR20130132093A (ko) 이차 전지용 포장재의 성형 장치
KR101750486B1 (ko)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팩
US20190259981A1 (en) Rechargeable battery
CN205752321U (zh) 加厚结构及电池模组
KR102056362B1 (ko) 전지팩의 셀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CN209496930U (zh) 电池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