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696B1 - 불변식 베어러 - Google Patents
불변식 베어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1696B1 KR101351696B1 KR1020087009560A KR20087009560A KR101351696B1 KR 101351696 B1 KR101351696 B1 KR 101351696B1 KR 1020087009560 A KR1020087009560 A KR 1020087009560A KR 20087009560 A KR20087009560 A KR 20087009560A KR 101351696 B1 KR101351696 B1 KR 1013516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
- spring
- bearer
- invariant
- cam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9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6316 preload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5561 Musa balbis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290 Musa x paradis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16L3/205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the axis of at least one spring being oblique or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pipe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5/00—Lining shafts; Linings therefor
- E21D5/016—Bearer cur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pring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부 (2), 하중지지부 (3), 및 일정한 지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체결부 (2) 와 하중지지부 (3)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 시스템 (4) 을 포함하는 이동 하중체, 구체적으로는 파이프라인 및 그 유사물을 위한 불변식 베어러에 관한 것이며, 스프링 시스템 (4) 은 하중을 흡수하는 주 스프링 조립체 (9) 및 주 스프링 조립체 (9) 의 스프링력 변화를 보상하는 보상 장치 (K) 를 구비한다.
스프링 조립체의 힘을 더 쉽게 전달하고 주 스프링 조립체의 힘 변화의 보상을 더 향상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두 개의 기본적인 실시예가 해결책으로서 제안되는데, 제 1 실시예에서는, 보상 장치 (K) 의 일부인 보조 스프링 조립체 (10) 및 주 스프링 조립체 (9) 가 지지력에 대략 직교하게 위치되고, 주 스프링 조립체 (9) 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부 (12) 가 지지력 방향 (t) 으로 이동 경로 상에서 미끄러지게 안내되는 하중지지부 (3) 에 제공되며, 주 스프링 조립체 (9) 의 하중측이 하중지지부 (3) 의 캠부 (12) 에 지지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보조 스프링 조립체가 필요하지 않으며, 스프링 편위시의 스프링력 변화의 보상이 캠부 (13) 와 캠 레버를 통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체결부, 하중지지부, 및 일정한 지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체결부와 하중지지부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 하중체, 구체적으로는 파이프라인 및 그 유사물을 위한 불변식 베어러 (bearer) 에 관한 것이며, 스프링 시스템은 하중을 흡수하는 주 스프링 조립체 및 주 스프링 조립체의 압축력 변화를 보상하는 보조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하며, 주 스프링 조립체는 지지력에 대략 직교하게 위치되는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한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체결부는 불변식 베어러를 기부에 체결하는 역할을 하며, 하중지지부는 하중에 의해 불변식 베어러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보상 장치를 구비하는 불변식 베어러에 관한 것이다.
보조 스프링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불변식 베어러의 중심 상태로부터의 주 스프링 조립체의 인장력 및/또는 압축력 변화를 보상하도록 구성되는 보상 장치의 실시예이다. 일반적인 불변식 베어러가 공보 FR 2 432 669 A1 및 US 2 535 305 A1 에 개시되어 있으며, 예컨대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의 힘은 각각 삼각형 레버를 구비하는 가상의 레버 시스템을 통해 하중지지부에 전달된다.
보상 장치를 구비하는 불변식 베어러가 US 2 395 730 A 에 개시되어 있으며, 불변식 베어러에서 주 압축 조립체의 힘이 삼각형 레버를 구비하는 가상의 레버 시스템을 통해 하중지지부에 전달되며, 상기 가상의 레버 시스템에 의해 약간의 보상이 실행될 수 있다.
GB 893 203 A 는 스프링력이 체인을 통해 삼각형 레버에 고정된 스프로킷휠에 전달되는 주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하는 불변식 베어러를 개시한다.
일반적이지 않은 불변식 베어러가 예컨대 EP 0 188 654 A1 에 개시되어 있으며, 불변식 베어러는 일정한 인장 지지력을 갖는 불변식 행거로서 구성된다.
보상 장치를 구비하는 불변식 베어러가 US 2 395 730 A 에 개시되어 있으며, 불변식 베어러에서 주 압축 조립체의 힘이 삼각형 레버를 구비하는 가상의 레버 시스템을 통해 하중지지부에 전달되며, 상기 가상의 레버 시스템에 의해 약간의 보상이 실행될 수 있다.
GB 893 203 A 는 스프링력이 체인을 통해 삼각형 레버에 고정된 스프로킷휠에 전달되는 주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하는 불변식 베어러를 개시한다.
일반적이지 않은 불변식 베어러가 예컨대 EP 0 188 654 A1 에 개시되어 있으며, 불변식 베어러는 일정한 인장 지지력을 갖는 불변식 행거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 조립체의 힘이 더 쉽게 전달되며 주 스프링 조립체의 압축력 변화의 보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불변식 베어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부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가 통상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 파이프라인에 의해 일반적으로 큰 하중이 발생되고 큰 여유 높이가 필요하기 때문에, 주 압축 스프링은 필연적으로 비교적 긴 구성을 갖는다. 주 스프링 조립체를 지지력에 직교하게 배치함으로써, 대응하게 작은 총 높이를 갖는 불변식 베어러가 획득될 수 있다. 캠부와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 사이의 상대 이동은 캠부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한 캠부의 변위에 의해 발생한다. 캠부의 기하형상에 따라,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는 압축되어 대응하는 스프링력을 발생시킨다. 스프링력이 캠부를 통해 하중지지부에 작용한다. 캠부의 기하형상을 통해, 스프링력은 원하는 경로종속적 방식으로 하중지지부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레버 또는 기어 기구 등을 고려하면 원칙적으로 하중 전달을 위한 다른 가능성도 열린다. 그러나, 캠부는 기계적으로 간단하고 강인하며, 캠부의 기하형상이 주 스프링 조립체의 스프링 부정확성을 보정할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캠부는 매우 정밀하게 구성될 수 있어, 주 스프링 조립체의 압축력 변화가 대부분 보상될 수 있으며 보조 스프링 조립체가 필요 없을 수 있다.
보조 스프링 조립체는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에 병렬로 놓이며 보조 캠부를 통해 하중지지부에 작용하는 보조 압축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캠부는 독립적인 선회 레버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력 방향에 직교하는 보조 압축 스프링 조립체의 위치, 및 선회 레버를 통한 하중지지부에의 보조 압축 스프링 조립체의 작용은 EP 0 188 654 A1 에 이미 기재되어 있으므로, 그 실시예의 응용 내용에 포함된다. 주 스프링 조립체 및 보조 스프링 조립체의 병렬 배치는, 특히 두 압축 스프링 조립체가 바로 위아래에 놓이거나 서로 작은 거리를 두고 이격된 채로 서로 병렬로 놓일 수 있기 때문에, 불변식 베어러가 매우 작은 총 높이를 갖게 한다.
불변식 베어러의 콤팩트한 구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조 스프링 조립체의 선회 레버는 서로 거리를 두고 주 압축 스프링을 가로질러 횡으로 배치될 수 있고, 체결부 또는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으며, 보조 캠부의 보조 캠 측면에 의해 미끄러지도록 하중지지부 바람직하게는 캠부에 놓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 압축 스프링 조립체는 하중측에서 보조 캠 측면의 반대쪽을 향하는 선회 레버 측면에서 선회 레버의 중간에 작용할 수 있다. 주 압축 스프링의 하중측 안내를 위한 상기 레버의 일단부는 주 압축 스프링으로부터 멀어지는 보조 압축 스프링 조립체의 측면의 레버에 위치되는 체결부의 선회 지점에 작용할 수 있다. 이는 가능한 최소 총 높이의 불변식 베어러에서 바람직한 최대 레버 길이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목적을 완전히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체결부, 하중지지부, 및 일정한 지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체결부와 하중지지부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 시스템이 제공되는 이동 하중체, 구체적으로는 파이프라인 및 그 유사물을 위한 불변식 베어러를 준비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시스템은 하중을 흡수하는 주 스프링 조립체 및 하중지지부에 대한 주 스프링 조립체의 스프링력 변화를 보상하는 보상 장치를 구비하며, 보상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캠부를 구비하고, 캠부는 주 스프링 조립체로부터 하중지지부로의 하중 전달을 위해 주 스프링 조립체 및 하중지지부에 연결되며, 하중지지부 및 캠부는 하중지지부에 대한 주 스프링 조립체의 스프링력 변화의 완전한 보상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하중지지부가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비선형 경로에서 서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불변식 베어러의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프링력 변화를 보상하는 보상 장치의 일부로서 부가적인 보조 스프링 조립체가 불필요하다. 보조 스프링 조립체의 제거는 불변식 베어러의 총 높이를 더 줄일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이러한 경우에는 앞서 기술한 불변식 베어러에 비해 전체적으로 훨씬 더 적은 이동부 및 더 적은 구성요소가 필요하다. 이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더 간단한 보관을 가능하게 한다.
주 스프링 조립체의 스프링 편위시의 스프링력 변화의 완전한 보상을 가능하게 하는 캠부의 윤곽 또는 비선형 경로는 반복에 의해, 예컨대 이동 경로에서의 스프링 시스템의 스프링 특성을 기초로 사용하여 정확하게 계산될 수 있다. 계산된 윤곽은 예컨대 프로그램화된 NC 또는 CNC 기계에 의해 캠부에 적용될 수 있다. 비용의 적절성 및 기술적으로 가능한 비선형 경로의 구성의 완성도에 따라, 보상이 일정 오차 범위 내에서 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가능하게는 실질적으로 완전할 수 있다.
주 스프링 조립체는 하중 전달을 위해 비정 (non-positive) 및/또는 정의 (positive) 형태로 캠부에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 스프링 조립체의 하중 단부는 이하에 더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캠부에 지지될 수 있거나 캠부에 선회되게 장착될 수 있다.
주 스프링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지지력에 대략 직교하게 배치되는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불변식 베어러의 총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불변식 베어러의 양태에 있어서, 캠부는 체결부에 선회되게 장착되는 캠 레버로서 구성되며, 종방향 길이부에 서로 대향하게 놓이는 두 측면으로서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구비할 수 있다. 주 스프링 조립체의 하중측은 제 1 측면에 선회되게 장착되거나 제 1 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게다가, 제 2 측면은 하중지지부가 미끄러지거나 회전되게 놓이는 캠 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캠 측면은 캠 레버 또는 캠부의 측면이고, 캠 측면의 윤곽은 캠 레버 및 하중지지부의 상대 이동을 통해, 또는 특히 보조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하는 불변식 베어러의 실시예에 관해서는 캠부 및 보조 스프링 조립체의 상대 이동을 통해 보상이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대 이동이 최소의 마찰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중지지부는 스프링 축선 및 지지력 방향에 직교하는 회전 축선을 갖는 하중 롤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캠 측면은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하중 롤러에 놓일 수 있다.
캠 측면은 하중의 적용을 위해 하중지지 단부로서 구성된 하중지지부의 일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이동 경로 상의 변화량에 의해 이동 경로 상에서 변하고 편향되는 영역을 갖는 하중지지부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중지지부의 하중 롤러는 지지력 방향의 힘이 상기 측면을 통해 하중의 유지를 위한 하중지지부에 전달될 수 있도록 이동 경로상의 모든 지점에서 캠 측면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역이 하중지지 단부로부터 더 편향될수록, 압축 스프링 조립체에 의해 전달되는 스프링력의 지지력 방향 성분은 더 커진다. 불변식 베어러는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가 이동 경로의 중간 이동 위치에서 매개 스프링력에 의해 압축되고 지지력 방향의 일정 스프링력이 하중지지부에 전달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중지지부가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가 더 느슨해지는 경우, 스프링력은 스프링 편위에 직접 비례하는 것보다 더 크게 감소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하중지지부에 전달되는 스프링력의 지지력 방향의 성분은 선회 레버(들)의 선회에 의해 하중지지 단부로부터 상기 영역이 더 크게 편향됨으로써 지지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증가될 수 있다. 이는, 스프링력이 스프링 편위에 직접 비례하는 것보다 더 크게 증가되는 주 압축 스프링의 더 큰 압축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여기서 보상을 위해 하중지지부에 전달되는 스프링력의 지지력 방향의 성분은 선회 레버(들)의 선회에 의해 하중지지 단부를 향하는 상기 영역의 더 큰 편향에 의해 지지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감소될 수 있다.
주 스프링 조립체 및/또는 보조 스프링 조립체는, 예컨대 서로 병렬로 놓이는 수 개의 주 압축 스프링 또는 보조 압축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반경방향으로 수렴하는 주 스프링 조립체 및/또는 보조 스프링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캠부는 반경방향으로 배치되는 주 압축 스프링이 하중측에 작용하는 원형 또는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본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이동 하중체가 본질적으로 파이프라인 축선으로 파이프라인과 함께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보조 스프링 조립체를 위한 전술한 보조 캠부는 동일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불변식 베어러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는 두 개의 주 압축 스프링을 가질 수 있고, 주 압축 스프링의 하중측은 하중지지부에 대칭으로 작용한다. 대칭은 힘의 모멘트가 부가되는 것을 회피하는 스프링력의 힘의 균형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레버 기구가 중심에 올 수 있고 불변식 베어러의 자기안정화 (self-stabilisation) 가 달성될 수 있어, 하중의 안정적인 들어올리기 또는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체결부는 불변식 베어러를 기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체결부는 하중지지부 및 스프링 시스템을 횡으로 감싸서 그들을 보호하는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하우징은 스프링 시스템을 위한 유지 지점 및/또는 지지 지점을 둘러싸는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불변식 베어러는 종래 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불변식 행거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불변식 베어러는 일정한 압축 지지력을 갖는 불변식 지지물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력은 중력에 독립적인 스프링 시스템에 의해 보상될 수 있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기 때문에, 불변식 베어러는 공간의 임의의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주 압축 스프링은 공통 스프링 축선에 위치된다. 게다가, 하중측은 캠부에 지지되고 체결측은 체결부에 지지되는 서로 대향하게 놓이는 주 압축 스프링을 준비할 수 있다.
불변식 베어러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캠부는 각각의 주 압축 스프링을 위한 관련된 캠 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캠부는 개구부를 구비하거나 개구부를 둘러싸는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고, 스프링은 이 개구부의 내측에 작용한다. 이를 위해, 내측은 캠 측면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 캠 측면에서 스프링의 하중측은 캠 측면에 대해 어떤 다른 경로에서 미끄러지거나 이동한다. 캠 측면은 다소 복잡한 구성을 가지며 공간을 절약하기 때문에, 캠부가 주 압축 스프링 사이에 위치되는 불변식 베어러가 바람직하다.
캠부는 방편적으로 좁은 측면을 갖는 판형 요소로 구성되며, 두 개의 캠 측면은 두 개의 대향하는 거울면대칭으로 배치되는 좁은 측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특히 평평한 구성의 불변식 베어러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거울면대칭 배치의 결과로, 스프링력은 힘의 총합에서 힘의 모멘트 없이 캠부 또는 하중지지부에 전달될 수 있다. 주 압축 스프링은 동일한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주 압축 스프링으로서 나선형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보조 스프링 조립체를 갖는 불변식 행거의 양태에 있어서, 캠 측면은 원뿔형 또는 대략 원뿔형의 간격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완전한 원뿔형 간격에 의해 이동 경로가 스프링 편위로 선형적으로 전환되거나 스프링력이 지지력으로 선형적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이는 대략 충분하다. 캠 측면의 윤곽의 양태에 있어서, 원뿔 형태로부터의 편향이 보상 장치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어, 주 스프링 조립체의 압축력 변화의 보상을 달성하며, 그리고/또는 하기와 같이 힘 방향의 변화 특히 압축력 방향의 변화의 보상을 달성한다. 이러한 보상은 크기 때문에 보조 스프링 조립체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스프링력의 전달은 원뿔 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주 압축 스프링은 접촉부, 즉 하중측에서는 제 1 하중 접촉부 또는 제 2 하중 접촉부에, 그리고 주 압축 스프링의 체결측에서는 체결 접촉부에 장착될 수 있다.
주 스프링 조립체의 하중측과 캠부 사이의 상대 이동 중에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특히 보조 스프링 조립체를 갖는 불변식 행거에서 주 압축 스프링의 하중측에 스프링 축선 및 지지력 방향에 직교하는 회전 축선을 갖는 회전 롤러를 구비하는 제 1 하중 접촉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하중 접촉부를 통해 주 압축 스프링은 캠부에 회전되게 지지된다.
보조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하지 않는 불변식 베어러에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주 압축 스프링을 위해 각각의 주 압축 스프링에 할당되는 캠 레버를 준비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주 압축 스프링은 캠 레버 중 하나의 제 1 측면의 지지 영역에서 제 2 하중 접촉부에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캠 레버는, 지지력 방향으로 지지 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영역에서, 스프링 축선에 병렬이거나 스프링 축선상에 있으며 지지력 방향에 병렬인 선회면에서 선회되게 체결부에 장착될 수 있다.
두 캠 레버의 캠 측면은 미끄러지거나 회전되게 하중지지부에 놓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중 롤러가 각각의 캠 레버에 할당될 수 있다. 하중 롤러는 공통 하중 롤러 축에 선회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방편적으로는 개별적으로 회전되게 하중 롤러 축에 위치된다. 이는 더 콤팩트한 구성의 불변식 베어러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캠 측면은, 방편적으로 설치 위치에서 그리고 작동시에, 이동 경로를 따른 하중지지부의 모든 이동 위치에서 지지력 방향의 힘 성분 (Fs) 및 스프링 축선 (f) 방향이고 힘 성분 (Fs) 에 직교하는 힘 성분을 갖는 힘을 롤러에 가할 수 있도록 배향된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스프링 축선 방향의 힘 성분은, 바람직한 대칭 구조 또는 주 압축 스프링의 바람직한 대칭 배치로 인해, 서로 상쇄될 수 있으며, 부착된 하중과 함께 불변식 베어러의 개별적인 이동부들이 함께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캠 측면은, 하중지지부가 하중쪽으로 최대로 이동한 하부 이동 위치로부터 하중지지부가 하중 반대쪽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부 이동 위치까지 지지력 방향의 힘 성분이 연속해서 비선형적으로 계산된 범위까지 증가하도록 윤곽이 정해질 수 있어, 주 스프링 조립체가 압축되고 느슨해질 때 주 스프링 조립체의 스프링력 변화가 보상된다. 이는 부착된 하중 (비도시) 에 대한 지지력이 이동 경로상에서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스프링 편위 동안 주 압축 스프링의 안내가 방편적으로 제공된다.
안내부는 각각의 주 압축 스프링을 위한 레버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레버의 일단부는 각각의 주 압축 스프링의 하중측에 장착되고, 상기 레버의 타단부는 지지력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선회지점에서 선회되게 체결부에 장착된다.
그 결과, 주 압축 스프링은 스프링 편위 동안 하중측에서 안내되고,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주 압축 스프링은 그 구성으로 인해 하중측에서 레버를 통해 선회 이동하며, 이러한 이동은 레버 길이 및 체결부의 선회 지점의 위치에 종속적이다. 따라서, 스프링력 방향, 즉 압축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본 압축 스프링의 체결측은 예컨대 선회 이동과 동시에 체결부에 대해 위치가 바뀔 수 있어, 주 압축 스프링의 스프링 축선은 단지 평행하게만 변위된다.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 더 일반적으로는 주 스프링 조립체가 지지되는 캠부의 구성을 통한 주 압축 스프링의 선회에 의해 스프링력 변화의 보상이 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보조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하지 않는 불변식 베어러의 실시예에서, 캠부는 스프링 편위 동안 스프링력 변화 및 주 스프링 조립체의 선회에 의한 스프링력의 방향 변화를 보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하는 불변식 베어러의 실시예에서, 캠부는 주 스프링 조립체의 선회에 의한 스프링력의 방향 변화를 보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 압축 스프링에 할당되는 레버는 각각의 경우에 스프링 편위의 중간 지점 및/또는 하중지지부가 체결부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이동 경로의 중간 지점에서 지지력 방향으로 평행하게 놓이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의 목적은 스프링 축선에 직교하는 주 압축 스프링의 하중 단부의 편향을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레버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편향을 부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동부 사이에서 낮은 마찰력을 갖는 대칭적인 힘을 달성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게 놓이고 서로 대향하게 놓이며 하중 단부에 선회되게 횡으로 장착되는 주압축 스프링 당 두 개의 레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보조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하지 않는 불변식 베어러의 실시예에서, 레버는 방편적으로 동시에 캠 레버를 형성할 수 있다.
보조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하는 불변식 베어러의 방편적인 양태에 있어서, 레버는 제 1 하중 접촉부에 선회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하중 단부는 스프링 편위 및 이동 경로에 직교하게 이어지는 두 개의 대응하게 횡으로 배치되는 웨브, 볼트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웨브, 볼트 등의 자유단에 레버가 각각 선회되게 장착된다. 체결부의 레버의 선회 지점은 방편적으로 하우징 측벽에 제공될 수 있으며, 하우징 측벽은 내측에 위치되고 스프링 편위 및 이동 경로에 직교하게 이어지는 볼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볼트에 레버가 선회되게 장착된다. 불변식 베어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레버는 단부에 입형 (mouth-like)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고, 레버는 상기 개구부에 의해 볼트에서 횡으로 미끄러질 수 있으며, 입형 개구부는 각각의 할당된 주 압축 스프링의 하중측 또는 레버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 요소에 개방된다.
안내부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하중 접촉부 및/또는 제 2 하중 접촉부는 체결부에 제공되고 스프링 축선 방향으로 놓이는 제 1 안내 슬릿을 통해 스프링 축선 및 지지력 방향에 직교하게 이어지며, 안내를 위한 안내 슬릿의 내측면에 미끄러지게 놓이는 횡방향 제 1 안내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스프링 축선 방향으로 주 압축 스프링이 직선으로 안내되게 한다.
제 1 안내 슬릿은 제한된 종방향 길이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한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할당된 주 압축 스프링의 스프링 편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 1 안내 돌출부를 위한 멈춤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스프링 편위는 스프링 편위의 함수인 스프링력의 변화가 가능한 선형적인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불변식 베어러를 기대 하중으로 설정하기 위해서, 슬릿의 종 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제한부를 준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제 1 안내 슬릿에서 미끄러지고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나사식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제 1 안내 슬릿은 방편적으로 동시에 최대 가능 스프링 편위를 제한할 수 있는 슬롯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불변식 베어러는 바람직하게는 주 스프링 조립체의 프리텐션 (pre-tension) 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측에 제공된 체결 접촉부 및/또는 주 압축 스프링의 제 1 및/또는 제 2 하중 접촉부는 스프링 축선 방향으로 미끄러지고 적합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상적인 실시예에서, 접촉부는 각각 방편적으로 주 압축 스프링이 표면 단부에 지지되는 접촉 디스크를 구비할 수 있다. 접촉 디스크는 나사 연결에 의해 스프링 축선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조정될 수 있다. 접촉부에의 주 압축 스프링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접촉부는 각각 접촉 디스크로부터 주 압축 스프링쪽으로 이어져 단부가 접촉부를 둘러싸거나 단부가 접촉부로 이어지는 슬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주 압축 스프링의 단부는 방편적으로 슬리브에 횡으로 놓일 수 있다. 이는 주 압축 스프링이 접촉 디스크를 횡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체결 접촉부의 접촉 디스크는 암나사와 맞물리는 수나사를 구비한 볼트가 통과하는 암나사를 구비한 동심 관통구멍을 구비할 수 있으며, 주 압축 스프링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볼트의 표면 단부는 회전되게 체결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접촉 디스크는 볼트를 회전시킴으로써 변위될 수 있다. 접촉 디스크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은 볼트가 회전할 때 접촉 디스크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접촉 디스크의 원주 방향으로 접촉부에 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해 부가적인 설비를 구성할 수 있다.
볼트를 쉽게 회전시키기 위해, 주 압축 스프링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표면 단부는 볼트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저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저널은 종 방향으로 동심으로 이어지고 설치 위치에서 저널에 적용된 체결부의 지지 개구부를 통과하고 공구의 적용을 위해 지지 개구부를 지나 돌출하는 작업 단부를 제공받으며, 볼트의 표면 단부는 지지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지지된다. 이러한 작업 단부는 예컨대 나사 머리, 수동 핸들 또는 수동 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작업 단부의 회전 수를 나타내기 위해서, 지지 개구부 주위에 놓이는 스케일 또는 계수기가 외측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설치 위치에서 하중지지부 쪽을 향하는 볼트의 표면 단부는 조정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지지 개구부 반대측에 놓이는 횡으로 돌출하는 멈춤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멈춤부는 예컨대 볼트의 외주면을 지나 돌출하는 잠금 스플릿핀 (locking split-pin) 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 축선 방향으로의 접촉부의 변위의 결과로, 스프링은 스프링 편위시에 대응하게 압축되거나 느슨해지고, 따라서 일정 예하중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 압축 스프링이 하중지지부에 작용한다. 예하중은 정지 위치에서 예하중이 기대 하중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EP 0 188 654 A1 에서와 같이, 부가적인 조정 장치를 통한 예비설정 및 조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주 압축 스프링의 예비설정 및 조정을 위한 기본적인 방법에 관한 EP 0 188 654 A1 의 설명은 본 출원의 내용에 포함된다.
접촉 디스크의 변위를 나타내기 위해서, 접촉 디스크는 접촉 디스크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도록 스프링 축선 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2 안내 슬릿을 통해 체결부를 통과하는 횡방향 제 2 안내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제 2 안내 슬릿은 체결부의 하우징 측벽에 제공될 수 있다. 횡방향 제 2 안내 돌출부의 위치를 읽기 위한 스케일 등이 슬롯에 인접하게 하우징 측벽의 외측에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 편위와 스프링력 사이의 간단하면서도 거의 선형적인 관계로 인해, 스케일은 예하중으로서 미리설정된 스프링력을 읽기 위한 하중 스케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접촉 디스크의 안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촉 디스크는 두 개의 제 2 안내 슬릿을 통과하는 두 개의 횡방향으로 대향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 결과, 미리설정된 일정한 예하중을 두 측면에서 읽을 수 있다. 제 2 안내 슬릿은 방편적으로 접촉 디스크의 최대 가능 변위를 동시에 제한할 수 있는 슬롯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안내를 위해, 캠부는 체결부에 제공되고 스프링 축선 방향으로 놓이는 제 3 안내 슬릿을 통해 스프링 축선 및 이동 방향에 직교하게 이어지며 제 3 안내 슬릿의 내측면에 미끄러지게 놓이는 횡방향 제 3 안내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제 3 안내 돌출부는 캠부의 두 측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놓이는 두 개의 제 3 안내 슬릿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제 3 안내 슬릿은 하우징 측벽에 위치될 수 있다. 제 3 안내 슬릿 역시 마찬가지로 슬롯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측벽의 외측에서, 거리 스케일로 구성된 스케일이 안내 돌출부(들)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도록 제 3 안내 슬릿(들)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종래 기술에 따르면, 특히 EP 0 188 654 A1 에 따르면,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의 프리텐션 및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의 이동 경로상의 캠부의 0 위치의 설정 및 재조정을 위해 조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통상적인 작동시에 제 3 안내 돌출부의 0 위치로부터 제 3 안내 돌출부가 편향되는 것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읽을 수 있도록, 거리 스케일 이외에 또는 거리 스케일을 대신하여, 예컨대 0 위치 및 0 위치로부터의 허용가능한 편향을 나타내는 표식 (marking) 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기호 및/또는 색상이 있는 표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불변식 베어러는 불변식 행거 또는 불변식 지지물로 사용될 수 있다. 불변식 베어러가 불변식 행거로 사용되는 경우, 불변식 베어러가 그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체결 장치를 구비하는 체결부는 상부에 위치되며 하중을 부착하기 위한 하중지지부는 하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하중지지부는 일정한 인장 지지력을 통해 부착된 하중에 작용한다. 체결 장치는 방편적으로 기부로부터의 들어올림을 위한 스트랩 또는 아이 (eye) 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불변식 행거로서 구성되는 불변식 베어러는 상기 기부에서 선회되게 위치될 수 있다. 선회 이동을 통해, 불변식 베어러는 이동 하중체의 이동 경로를 따를 수 있어, 지지력 방향은 불변식 베어러에 대해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예컨대, 불변식 베어러가 바닥장착식 불변식 지지물로서 사용되는 경우, 체결부는 설치 위치에서 하부에 있고 기부로서의 바닥에 연결되며, 하중지지부는 하중을 수용하도록 상부에 위치되어, 스프링 시스템은 부착된 하중에 일정한 압축지지력을 가한다. 그러나, 스프링 시스템에 기초한 기능적인 원리에 의해 불변식 베어러는 공간의 임의의 위치에서 불변식 행거 또는 불변식 지지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의 도면으로부터 직접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불변식 베어러는 대칭 구성을 갖는다.
매우 큰 하중을 수용하기 위해, 예컨대 하나의 주 압축 스프링, 두 개의 대칭으로 배치된 주 압축 스프링, 또는 모든 주 압축 스프링은 보조 스프링 조립체를 갖는 불변식 베어러의 제 1 실시예 및/또는 보조 스프링 조립체를 갖지 않는 제 2 실시예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주 압축 스프링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주 압축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동 경로에 대해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있거나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주 압축 스프링은 서로 동축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내측에 동축으로 위치되는 주 압축 스프링은 방편적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주 압축 스프링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구비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공된 보조 스프링 조립체는 서로 동축으로 배치되는 보조 압축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련된 도면과 두 개의 실질적인 예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전방 하우징 측벽, 전방 우측 레버, 및 연결 스트랩이 없는 불변식 베어러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a 는 도 1 에 따른 상부 이동 위치에 있는 불변식 베어러의 측면도이다.
도 2b 는 도 2a 에 따른 그러나 중간 이동 위치에 있는 불변식 베어러의 측면도이다.
도 2c 는 도 2b 에 따른 그러나 하부 이동 위치에 있는 불변식 베어러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2a 에 따른 그러나 부분 단면의 상세도이다.
도 4 는 도 2a 에 따른 그러나 부가적인 전방 하우징 측벽을 갖는 상세도이다.
도 5a 는 하중지지부가 상부 이동 위치에 있으며, 전방 하우징 측벽 및 연결 스트랩이 없는 불변식 베어러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b 는 도 5a 에 따른 그러나 하부 이동 위치에 있는 제 2 실시예의 사시 도이다.
도 6a 는 도 5a 에 따른 불변식 베어러의 측면도이다.
도 6b 는 도 6a 에 따른 그러나 중간 이동 위치에 있는 불변식 베어러의 측면도이다.
도 6c 는 도 5b 에 따른 불변식 베어러의 측면도이다.
도 7a 는 전방 하우징 측벽이 있으며 수송용 잠금장치가 삽입되어 있는 불변운 반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7b 는 수송용 잠금장치가 삽입되어 있지 않는 도 8a 에 따른 불변식 베어러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8 은 전방 하우징 측벽이 없는 도 6a 에 따른 불변식 베어러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는 체결부 (2), 하중지지부 (3), 및 일정한 지지력 (F) 을 발생시키기 위해 체결부 (2) 와 하중지지부 (3)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 시스템 (4) 을 포함하는 이동 하중체 (비도시), 구체적으로는 파이프라인 및 그 유사물 (비도시) 을 위한 불변식 행거로서 구성된 불변식 베어러 (1) 의 제 1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며, 도 5 내지 도 8 은 상기 불변식 베어러 (1) 의 제 2 실시예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두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시스템은 주 스프링 조립체 (9) 의 압축력 변화를 보상하는 보상 장치 (K) 를 구비한다.
여기 설명된 두 실시예에 있어서, 불변식 베어러 (1) 는 설치 위치의 최상부 에 있는 체결부 (2) 및 하중 (비도시) 을 부착하기 위해 하방으로 이어지는 하중지지부 (3) 를 구비하는 불변식 행거로서 구성되어 있다. 체결부 (2) 는 측벽 (6) 을 구비하는 하우징 (5) 을 구비하며, 하우징의 전방 측벽은 도면을 더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내지 도 6 에서 각각 생략되어 있다. 두 개의 더 큰 측벽 (6) 이 상부 연결 스트랩 (7) 에 연결되며, 이 스트랩은 기부 (비도시) 에의 연결 및 기부에의 매달기를 위한 체결 구멍 (8) 을 구비한다. 하우징 (5) 은 최상측에서 횡으로 스프링 시스템 (4) 및 하중지지부 (3) 를 둘러싸며, 여기서 하중지지부 (3) 는 이동 경로 (w) 에서 이동 방향 (v) 으로 하우징 (5) 외부의 하방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다시 하우징으로 돌아올 수 있다.
불변식 베어러 (1) 의 제 1 실시예가 먼저 이하에 상세하기 설명되어 있으며, 그 다음 제 2 실시예가 설명된다.
불변식 베어러 (1) 의 제 1 실시예에서, 스프링 시스템 (4) 은 하중을 흡수하는 주 스프링 조립체 (9), 및 보상 장치 (K) 의 일부로서 주 스프링 조립체 (9) 의 압축력 변화를 보상하는 보조 스프링 조립체 (10) 를 포함한다. 두 스프링 조립체 (9, 10) 는 서로 병렬로 그리고 이동 방향 (v) 에 직교하게, 즉 도시된 불변식 베어러 (1) 의 실시예의 설치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는 불변식 베어러 (1) 의 콤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주 스프링 조립체 (9) 및 보조 스프링 조립체 (10) 는 하중측의 하중지지부 (3) 에 작용하며, 체결측의 하우징 (5) 에 지지되어 있다. 주 스프링 조립체 (9) 는 두 개의 대칭으로 배치된 주 압축 스프링 (11) 을 구비하는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 (9a) 를 구비하고, 상기 주 압축 스프링은 그 하중측이 체결부 (2) 의 캠부 (12) 에 놓여 서로 대향하게 위치되며, 여기서 캠부 (12) 는 주 압축 스프링 (11) 사이에 위치되고 각각의 주 압축 스프링 (11) 을 위한 관련 캠 측면 (13) 을 구비한다.
캠부 (12) 는 본질적으로 삼각형 기본 형상을 갖는 판형 요소로 구성되며, 캠 측면 (13) 은 판형 요소의 두 개의 좁은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캠 측면 (13) 은 상방으로 넓어지는 대략 원뿔형의 간격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주 압축 스프링 (11) 은 하중측의 제 1 하중 접촉부 (14) 및 체결측의 체결 접촉부 (15) 인 접촉부 (14, 15) 에 각각 안내되어 있다. 제 1 하중 접촉부 (14) 에는 원통형 롤러 (16) 가 이동 방향 (v) 및 스프링 축선 (f) 에 직교하게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를 통해 각각의 주 압축 스프링 (11) 은 자신에게 할당된 캠 측면 (13) 에서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롤러 (16) 와 동일한 축에 그리고 롤러 (16) 의 어느 한 측에는 제 1 하중 접촉부 (14) 의 각각의 주 압축 스프링 (11) 의 하중측 단부를 안내하기 위한 레버 (17) 가 선회되게 장착되어 있다. 레버 (17) 의 타단부는 하우징 (5) 의 내측에서 지지력 방향 (t) 으로 떨어진 선회 지점에 선회되게 장착되어 있으며, 여기서 하우징 (5) 은 내측에 위치되어 스프링 축선 (f) 및 이동 방향 (v) 에 직교하게 이어지는 볼트 (18) 를 구비하며, 상기 볼트에서 레버 (17) 는 볼트의 단부에 제공된 입형 개구부 (19) 를 통해 횡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개구부 (19) 는 레버 (17) 의 타단부를 향하는 방향 요소를 구비하며, 따라서 작동시에 레버가 인장 응력에 노출되는 구성을 갖는 레버가 개구부 (19) 에 단단하게 장착된다. 개구부 (19) 의 입 형상은 불변식 베어러 (1) 를 조립할 때 레버 (17) 가 하우징 (5) 에 선회되게 연결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선택된다.
도 2a 내지 도 2c 는 하중지지부 (3) 가 세 위치, 즉 도 2a 의 상부 이동 위치, 도 2b 의 중간 이동 위치, 및 도 2c 의 하부 이동 위치로 이동한 것을 도시한다. 상부 이동 위치로부터 하부 이동 위치로 하우징 (5) 을 벗어나는 하중지지부 (3) 에 의해, 불변식 베어러 (1) 는 하중지지부 (3) 에 부착된 하중 (비도시) 이 불변식 베어러 (1) 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에 반응한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주 압축 스프링 (11) 은 캠부 (12) 의 캠 측면 (13) 에서 회전하는 롤러 (16) 에 의해 압축되어 캠부 (12) 를 통해 하중지지부 (3) 및 이동 하중체에 대응하게 증가하는 스프링력을 가한다. 주 압축 스프링 (11) 의 하중측은 각각 관련된 레버 (17) 를 통해 안내되기 때문에, 주 압축 스프링 (11) 의 하중 단부는 대응하는 선회 경로를 따라 안내되며, 여기서 레버 (17) 는 도 2b 에 도시된 중간 이동 위치에 있을 때 이동 방향 (v) 과 일치한다. 크기가 작아 도면에 정확하게 도시될 수 없는 이동 방향 (v) 의 방향으로의 스프링력의 선형적인 전달에 의한 결과적인 편향은 대응하게 적용되는 캠 측면 (13) 의 윤곽에 의해 교정된다.
보조 스프링 조립체 (10) 는 주 압축 스프링 (11) 에 병렬로 놓이는 보조 압축 스프링 조립체 (20) 를 구비하며, 보조 캠부 (21) 를 통해 캠부 (12) 및 하중지지부 (3) 에 작용하고, 여기서 보조 캠부 (21) 는 독립적인 선회 레버 (22) 에 위치된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보조 압축 스프링 조립체 (20) 의 선회 레버 (22) 는 서로 병렬로 그리고 거리를 두고 주 압축 스프링 (11) 및 보조 압축 스프 링 조립체 (20) 에 대해 횡으로 배치되고, 하단부에서 하우징 (5) 에 선회되게 장착되며, 대략 중간 부분에서 보조 압축 스프링 조립체 (20) 의 제 1 하중 접촉부 (14) 에 지지된다.
상부 이동 위치에서, 선회 레버 (22) 의 보조 캠부의 보조 캠 측면의 상단부가 캠부 (12) 의 상부에 작용한다. 이 지점에서, 캠부 (12) 는 캠부 (12) 와 선회 레버 (22) 사이의 상대 이동 동안 마찰을 줄이기 위한 롤러 (16) 를 각각 구비하며, 여기서 롤러 (16) 는 이동 방향 (v) 및 스프링 축선 (f) 에 직교하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캠부 (12) 에 장착되어 있다. 캠부 (12) 또는 하중지지부 (3) 가 상부 이동 위치 (도 2a) 로부터 하부 이동 위치 (도 2c) 로 이동할 때, 보조 압축 스프링 조립체 (20) 는 보조 캠부 (21) 를 통해 캠부 (12) 에 상이한 힘을 가한다.
상부 이동 위치에서, 보조 스프링 조립체 (10) 는 이동 방향 (v) 에서 상향력 성분을 갖는 인장력으로서 작용하여 하중에 작용하는 주 압축 스프링 (11) 의 상대적으로 낮은 인장력을 보충한다. 중간 이동 위치에서, 보조 스프링 조립체는 이동 방향에 직교하게 작용하고 이동 방향으로는 작용하지 않으며,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보조 스프링 조립체의 힘은 서로 상쇄된다. 이러한 관계에서, 주 압축 스프링 (11) 은 미리 설정된 예하중을 캠부 (12) 에 가한다. 이 위치를 0 위치라고도 한다. 하부 이동 위치에서, 보조 스프링 조립체 (10) 는 이동 방향 (v) 의 힘 성분을 갖는 압축력으로서 작용하여, 주 압축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 있을 때 비교적 높은 인장력을 감소시킨다. 캠부 (12, 21) 가 정확하게 설정 및 구성되면, 스프링 시스템 (4) 에 의해 하중지지부 (3) 에 가해지는 모든 힘의 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동 방향 (v) 으로의 합력의 변화는 이상적인 주 압축 스프링 (11) 의 선형 특성에 정확하게 대응한다. 이렇게 하여, 스프링유도 기술적 편차를 갖는 주 압축 스프링의 힘은 일정한 지지력을 얻도록 보상된다.
주 압축 스프링 (11) 의 정확한 안내 그리고 설치 및 표시를 위해 다른 조치가 취해진다. 이를 위해, 접촉부 (14, 15) 는 주 압축 스프링 (11) 의 내부로 이어지는 슬리브 (24) 를 구비하는 접촉 디스크 (23) 를 구비하며, 여기서 주 압축 스프링의 단부측은 슬리브 (24) 에 놓인다.
주 압축 스프링 (11) 의 체결 접촉부 (15) 는 주 압축 스프링 (11) 의 프리텐션을 설정하도록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도 2a 에 따른 상세도 Ⅲ/Ⅳ 에 기초하여 도 3 에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 있어서, 상세도는 부분 단면을 부가적으로 도시하며, 도 4 는 도 2a 에서 생략되어 있는 전방 하우징 측벽 (6) 을 부가적으로 도시한다. 체결 접촉부 (15) 의 접촉부 디스크 (23) 에는, 암나사 (26) 와 맞물리는 숫나사 (28) 를 구비하는 볼트 (27) 가 통과하는 암나사 (26) 를 구비하는 동심 관통구멍 (25) 이 제공되어 있으며, 여기서 주 압축 스프링 (11) 으로부터 멀어지는 볼트 (27) 의 표면 단부는 하우징 (5) 의 측벽 (6) 에 회전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볼트 (27) 의 표면 단부는 종 방향으로 동심으로 이어지는 볼트 (27)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저널 (29) 을 구비하고, 저널 (29) 은 저널에 적용되는 측벽 (6) 의 지지 개구부 (30) 를 통과하며 공구 (비도시) 의 적용을 위해 지지 개구부를 지나 외측에 돌출해 있는 작업 단부 (31) 를 구비한다. 볼트 (27), 저널 (29) 및 작업 단부 (31) 는 일체로 구성되며, 무하중 상태에서 지지 개구부 (30) 에서 빠지지 않도록 유지 링 (32) 에 의해 고정된다. 작업 단부 (31) 또는 볼트 (27) 의 회전에 의해, 체결 접촉부 (15) 는 접촉부 디스크 (23) 및 볼트 (27) 의 맞물림 나사를 통해 스프링 축선 (f) 의 방향으로 변위되며, 따라서 관련된 주 압축 스프링 (11) 은 필요한 프리텐션을 갖게 된다. 그 결과, 스프링 시스템 (4) 은 EP 0 188 654 A1 에 원칙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 하중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계에 대해서, 접촉부 디스크 (23) 는 일측에서는 측벽 (6) 까지 갈 수 있고, 타측에서는 동시에 멈춤부로서 작용할 수 있는 잠금 스플릿핀 (비도시) 이 삽입될 수 있는 멈춤구멍 (33) 이 제공되어 있는 볼트 (27) 의 자유단까지 갈 수 있다.
주 압축 스프링 (11) 의 체결 접촉부 (15) 의 접촉 디스크 (23) 에는, 특히 도 1 및 도 4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 (6) 에 제공되어 있으며 스프링 축선 (f) 의 방향으로 놓여있는 제 2 안내 슬릿 (35) 을 통해 스프링 축선 (f) 및 이동 방향 (v) 에 직교하게 이어지고, 안내를 위한 제 2 안내 슬릿 (35) 의 내측면에서 미끄러지게 놓이는 횡방향 제 2 안내 돌출부 (34) 가 제공되어 있다. 측벽 (6) 의 외측에는, 제 2 안내 슬릿 (35) 의 제 2 안내 돌출부 (34) 의 변위를 통해 주 압축 스프링 (11) 의 예하중의 설정을 바로 읽을 수 있는 하중 스케일 (38) (도 4 에 도시) 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하중 스케일 (38) 의 척도는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힘의 단위인 "Newton" 이다. 따라서, 설정된 예하중을 바로 읽을 수 있다. 특히, 주 압축 스프링 (11) 이 작게 압축된 경우 에, 제 2 안내 슬릿 (35) 에서의 제 2 안내 돌출부 (34) 의 안내는 부가적으로 볼트 (27) 를 회전시켜 프리텐션을 설정할 때 체결 접촉부 (15) 가 볼트 (27) 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유사하게는, 캠부 (12) 가 이동 방향으로 안내되고, 제 3 안내 슬릿 (36) 이 하우징 (5) 의 대향하는 큰 측벽 (6) 각각에 제공되며, 이 각각의 안내 슬릿에서 제 3 안내 돌출부 (37) 가 미끄러지면서 안내된다. 제 3 안내 슬릿 (36) 은 그 단부가 체결부 (2) 의 이동 경로를 제한하기 위한 멈춤부로서 동시에 작용하는 슬롯으로 구성된다. 게다가, 제 3 안내 돌출부 (37) 는, 제 3 안내 슬릿 (36) 을 지나 이어지며, EP 0 188 654 A1 에 더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 하중에 대한 주 압축 스프링 (11) 의 프리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마커 (marker) 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는, 그 후방에 놓이는 스프링 시스템 (4) 의 일부를 더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았다).
선회 레버 (22) 의 형상은 하우징 (5) 의 큰 측벽 (6) 에의 장착 지점과 선회 레버 (22) 가 캠부 (12) 에 작용하게 하는 보조 캠부 (21) 의 시작점 사이의 구간에 불연속부 (39) 를 구비한다. 이 불연속부 (39) 에 의해, 선회 레버 (22) 는, 하부 이동 위치 (도 2c) 에 있을 때, 제 1 하중 접촉부 (14) 의 볼트 (40) 에 도달하며, 상기 볼트를 통해 레버 (17) 가 선회되게 제 1 하중 접촉부 (14) 에 작용하며, 상기 볼트는 레버를 주 압축 스프링 (11) 으로부터 횡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불변식 베어러 (1) 의 콤팩트한 구성을 더 향상시킨다. 따라서, 하부 위치에서, 보조 스프링 조립체 (10) 에 속한 불연속부 (39) 및 주 압 축 스프링 (11) 을 수용하는 제 1 하중 접촉부 (14) 는 서로 결합되어 필요한 최소 스프링 길이로 압축되는 주 압축 스프링 (11) 을 통해 하중지지부 (3) 가 하부 이동 위치를 지나 하방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EP 0 188 654 A1 에서 인용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보조 압축 스프링 조립체 (20) 도 마찬가지로 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련된 체결 접촉부 (15) 는 나사식 조정 장치 (41) 를 통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8 의 다양한 도면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불변식 베어러 (1) 의 제 2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2 실시예는 지지력 (F) 에 대략 직교하게 위치된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 (9a) 를 구비하는 수평한 주 스프링 조립체 (9) 를 구비하고, 여기서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 (9a) 는 두 개의 주 압축 스프링 (11) 을 포함하며, 이 두 개의 주 압축 스프링 사이에는 캠부 (12) 가 위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 1 실시예에 비해, 불변식 베어러 (1) 의 제 2 실시예는 보상 장치 (K) 로서 보조 스프링 조립체를 구비하지 않는다. 대신에, 캠부 (12) 가 보상 장치 (K) 의 일부로서 구성된다. 주 스프링 조립체 (9) 로부터 하중지지부 (3) 로의 하중 전달을 위해, 캠부 (12) 는 주 스프링 조립체 (9) 및 하중지지부 (3) 에 연결된다. 캠부의 특별한 구성으로 인해, 하중지지부 (3) 및 캠부 (12) 는, 본 발명에 따라, 하중지지부 (3) 가 이동 경로 (w) 를 따라 이동할 때 하중지지부 (3) 에 작용하는 주 스프링 조립체 (9) 의 스프링력 변화가 완전히 보상되도록 비선형 경로에서 서로 상대이동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실시예의 캠부 (12) 는 캠 레버 (42) 로서 구성된 네 개의 레버를 구비하며, 이 각각의 레버는 이동 방향 (v) 및 스프링 축선 (f) 을 포함하는 선회면에서 선회되게 체결부 (2) 에 장착된다. 캠 레버 (42) 는 두 개의 좁은 대향하는 측면으로서, 제 1 측면 (43) 및 제 2 측면 (44) 을 구비하는 평평한 요소로서 구성되며, 여기서 제 2 측면 (44) 은 각각 캠 측면 (13) 으로서 구성된다. 쌍을 이루는 캠 레버 (42) 가 캠 레버 쌍 (45) 으로 조합되어, 주 압축 스프링 (11) 중 하나에 할당된다. 주 압축 스프링 (11) 은 횡단 볼트 (47) 를 구비하는 제 2 하중 접촉부 (46) 를 통해 각각의 관련된 캠 레버 쌍 (45) 에 선회되게 장착되며, 여기서 횡단 볼트 (47) 는 제 1 측면 (43) 의 중간 영역에 제공된 홈 (48) 에 회전할 수 있게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결합된다. 하중 롤러 (49) 를 통해, 하중지지부 (3) 는 캠 측면 (13) 에 회전되게 놓이고, 여기서 하중 롤러 (49) 는 각각의 캠 레버 (42) 에 할당되며, 모든 하중 롤러 (49) 는 회전 축선 (d) 을 갖는 공통 하중 롤러 축 (50) 에 회전되게 장착된다. 주 압축 스프링 (11) 의 스프링력은 제 2 하중 접촉부 (46) 를 통해 캠 레버 (42) 의 제 1 측면 (43) 을 누르며, 이는 또한 하중지지부에 할당된 하중 롤러 (49) 를 통해 하중지지부 (3) 에 스프링력을 전달한다.
도 5a 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중지지부 (3) 가 하우징 (5) 으로 최대로 들어가는 상부 이동 위치에 있는 하중지지부 (3) 를 도시한다. 도 5b 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중지지부 (3) 가 하우징 (5) 으로부터 최대로 나오는 하부 이동 위치에 하중지지부 (3) 가 도시되어 있다. 유사하게는, 도 6a 및 도 6c 는 하중지지부 (3) 가 상부 이동 위치 및 하부 이동 위치에 있는 불변식 베어러 (1) 를 도시하며, 각각 측면도의 모습이다. 도 6c 에는 하중지지부 (3) 의 최대 이동 경로 (w) 가 부가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이동 경로를 따라 하중지지부 (3) 는 하우징 (5) 밖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b 는 중간 이동 위치에 있는 하중지지부 (3) 를 도시한다. 캠 레버 (42) 가 하우징 (5) 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불변식 베어러 (1) 의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체결 접촉부 (15) 를 통해 하우징 (5) 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주 압축 스프링 (11) 의 하중측은 제 2 하중 접촉부 (44) 에서 체결 접촉부 (15) 를 선회 지점으로 하여 약간 선회된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불변식 베어러 (1) 의 기하형상은 중간 이동 위치에서 주 압축 스프링 (11) 이 이동 방향 (v) 에 직교하도록 선택된다. 하중 (비도시) 부착을 위해, 하중지지 단부 (51) 로서 구성된 하중지지부 (3) 의 단부는 안내 구멍 (52) 을 통해 하우징 (5) 밖으로 나온다.
캠 레버 (42) 를 통해, 이 경우에 있어서 지지력 방향의 수직력 성분 (Fs) 및 스프링 축선 (f) 방향이고 힘성분 (Fs) 에 직교하는 수평력 성분 (Fh) 을 갖는 지지력 (F) 이 이동 경로 (w) 의 하중지지부 (3) 의 모든 이동 위치에서 롤러에 가해지며, 대칭 구조 또는 주 압축 스프링 (11) 의 대칭 배치로 인해, 수평력 성분 (Fh) 은 서로 상쇄되고, 하중지지부 (3) 의 하중지지 단부 (51) 에 위치한 하중 (비도시) 과 함께 불변식 베어러 (1) 의 개별 이동부가 함께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캠 측면 (13) 은, 힘 성분 (F) 이 하부 이동 위치로부터 상부 이동 위치로 산출 범위까지 연속해서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윤곽이 정해져, 주 스프링 조립체 (9) 가 압축되고 느슨해질 때, 주 스프링 조립체 (9) 의 스프링력 변화, 및 주 압축 스프링 (11) 의 상기 선회와 캠 레버 (42) 의 선회에 의해 변하는 스프링 축선 (f) 의 방향은 완전히 보상되며, 일정한 지지력 (F) 이 이동 경로 (w) 의 하중에 작용한다. 정성적으로 말하면, 지지력 (F) 은 대략 하중 롤러 (49) 의 모든 수직 힘 성분 (Fs) 의 합이다. 지지력 (F) 및 힘 성분 (Fs, Fh) 의 예로서 하중 롤러 (49) 에 대한 캠 레버 (42) 의 지지 반응인 도 6a 내지 도 6c 에 나타낸 힘 화살표는 오직 정성적으로만 해석되며 정확한 크기를 나타내지 않는다.
구성의 콤팩트함이 향상되는데, 이는 특히 도 5a 및 도 5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캠 레버 쌍 (45) 이 하부 이동 위치로부터 상부 이동 위치까지 가는 중에 설형 (tong-like) 으로 맞물리고, 각각의 캠 측면 (13) 이 공통 하중 롤러 축 (50) 에 회전되게 장착되며 거기서 지지되는 하중 롤러 (49) 중 하나를 지나가기 때문이다. 캠 레버 (42) 가 하우징 (5) 에 연결되어 있는 영역을 제외하고, 캠 레버 (42) 의 외측 윤곽은 대략 낫 또는 바나나 형상의 구성을 가지며, 이는 재료 최소화를 고려하여 캠 레버 (42) 에 기대 힘 및 순간 윤곽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 스프링 조립체 (9) 가 불변식 베어러의 작업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스프링 시스템 (4) 의 영구적인 스프링력이 하중에 가해진다. 하중이 없을 때, 예컨대 불변식 베어러를 수송하거나 보관해 둘 때, 하중지지부 (3) 는 파이프라인을 지지하기 위한 힘을 갖는 하중지지력을 받게 된다. 그러 므로, 사용되지 않을 때는, 도 7a 및 도 7b 에 도시된 톱니 판을 구비하는 수송용 잠금장치 (53) 가 불변식 베어러에 제공된다. 톱니 판은 제 3 안내 슬릿 (37) 을 통과하는 하중 롤러 축 (50) 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하우징 (5) 에 제공된 두 톱니 레일 (55) 사이에 놓일 경우 상기 레일과 결합되어 이동 경로에서 하중지지부 (3) 의 이동을 막게 된다. 톱니 판 (54) 은 하중이 하중지지 단부 (51) 에 부착될 때는 제거될 수 있다 (도 7b).
이 수송용 잠금장치 (53) 는 제 1 실시예에도 제공되지만 명확화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5 에서는 생략되었다.
제 2 실시예의 체결 접촉부 (15) 및 제 2 하중 접촉부 (46) 는 대체로 제 1 실시예의 체결 접촉부 (15) 및 제 1 하중 접촉부 (14) 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유사하게는, 각각의 주 압축 스프링 (11) 의 더 정확한 장착을 위해 하중 스케일 (38) 도 제공된다. 대칭 구조로 인해, 두 주 압축 스프링 (11) 에 오직 하나의 하중 스케일 (38) 만이 필요하다. 도 8 의 상세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정된 형태의 슬리브 (24) 가 제공되는데, 이 경우에는 더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불변식 베어러 2 체결부
3 하중지지부 4 스프링 시스템
5 하우징 6 측벽
7 연결 스트랩 8 체결 구멍
9 주 스프링 조립체 9a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
10 보조 스프링 조립체 11 주 압축 스프링
12 캠부 13 캠 측면
14 제 1 하중 접촉부 15 체결 접촉부
16 롤러 17 레버
18 볼트 19 개구부
20 보조 압축 스프링 조립체 21 보조 캠부
22 선회 레버 23 접촉부 디스크
24 슬리브 25 관통구멍
26 암나사 27 볼트
28 숫나사 29 저널
30 지지 개구부 31 작업 단부
32 유지 링 33 멈춤 구멍
34 제 2 안내 돌출부 35 제 2 안내 슬릿
36 제 3 안내 슬릿 37 제 3 안내 돌출부
38 하중 스케일 39 불연속부
40 볼트 41 나사식 조정 장치
42 캠 레버 43 제 1 측면
44 제 2 측면 45 캠 레버 쌍
46 제 2 하중 접촉부 47 횡단 볼트
48 홈 49 하중 롤러
50 하중 롤러 축 51 하중지지 단부
52 안내 구멍 53 수송용 잠금장치
54 톱니 판 55 톱니 레일
d 회전 축선 F 지지력
Fs 수직력 성분 Fh 수평력 성분
f 스프링 축선 K 보상 장치
t 지지력 방향 v 이동 방향
w 이동 경로
Claims (31)
- 하우징을 갖는 체결부 (2), 하중지지부 (3), 및 일정한 지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체결부 (2) 와 하중지지부 (3)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 시스템 (4) 을 포함하는 이동 하중체를 위한 불변식 베어러로서, 스프링 시스템 (4) 은 하중을 흡수하는 주 스프링 조립체 (9) 및 주 스프링 조립체 (9) 의 압축력 변화를 보상하는 보조 스프링 조립체 (10) 를 구비하며, 주 스프링 조립체 (9) 는 지지력에 직교하게 위치되는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 (9a) 를 구비하는 불변식 베어러에 있어서,주 압축 스프링 시스템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는 주 압축 스프링들을 구비하고,주 스프링 조립체 (9) 는 지지력에 직교하게 위치된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 (9a) 를 구비하고,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 (9a) 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부 (12) 가 이동 경로에서 지지력 방향 (t) 으로 미끄러지게 안내되는 하중지지부 (3) 에 제공되며,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 (9) 의 하중측이 하중지지부 (3) 의 캠부 (12) 에 지지되어 있고,보조 스프링 조립체 (10) 는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 (9a) 에 병렬로 놓이고 보조 캠부 (21) 를 통해 하중지지부에 작용하는 보조 압축 스프링 조립체 (20) 를 구비하며, 보조 캠부 (21) 는 독립적인 선회 레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1 항에 있어서,보조 스프링 조립체의 선회 레버는 서로 이격되어 주 압축 스프링을 횡으로 가로지르며, 체결부 또는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체결부 (2), 하중지지부 (3), 및 일정한 지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체결부 (2) 와 하중지지부 (3)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 시스템 (4) 을 포함하는 이동 하중체를 위한 불변식 베어러로서, 상기 스프링 시스템 (4) 은 하중을 흡수하는 주 스프링 조립체 (9) 및 하중지지부 (3) 에 대한 주 스프링 조립체 (9) 의 스프링력 변화를 보상하는 보상 장치 (K) 를 구비하고,상기 보상 장치 (K) 는 적어도 하나의 캠부 (12) 를 구비하고, 캠부 (12) 는 주 스프링 조립체 (9) 로부터 하중지지부 (3) 로의 하중 전달을 위해 주 스프링 조립체 (9) 및 하중지지부 (3) 에 연결되며, 하중지지부 (3) 가 이동 경로 (w) 를 따라 이동할 때, 하중지지부 (3) 및 캠부 (12) 는 하중지지부 (3) 에 대한 주 스프링 조립체 (9) 의 스프링력 변화가 완전히 보상될 수 있도록 비선형 경로로 서로 상대이동 할 수 있고, 캠부 (12) 는 캠 레버 (42) 로서 구성되고, 체결부 (2) 에 선회되게 장착되며, 그 종방향 길이부에 두 개의 대향하는 측면으로서 제 1 측면 (43) 및 제 2 측면 (44) 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구비하고, 주 스프링 조립체 (9) 의 하중측은 제 1 측면 (43) 에 선회되게 장착되거나 그 측면에 지지되며, 제 2 측면 (44) 은 하중 지지부 (3) 의 전체 이동 경로 (W) 상에서 이동하고,상기 제 2 측면 (44) 은 하중의 적용을 위해, 하중 지지부 (3) 의 일 단부 (51) 로부터 멀어지는 전체 이동 경로 (W) 상에서 감소되게 편향되는 하중지지부 (3) 에 놓이는 오목한 캠 측면 (13) 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3 항에 있어서,주 스프링 조립체 (9) 는 지지력에 직교하게 위치되는 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 (9a)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4 항에 있어서,하중지지부 (3) 는 스프링 축선 (f) 및 지지력 방향 (t) 에 직교하는 회전 축선 (d) 을 갖는 하중 롤러 (49) 를 구비하며, 캠 측면 (13) 은 회전 축선 (d) 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하중 롤러 (49) 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캠 측면 (13) 은, 하중의 적용을 위한 하중지지부 (3) 의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이동 경로상의 변화량에 의해 이동 경로 (w) 에서 변하며 편향되는 영역을 갖는 하중지지부 (3) 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불변식 베어러.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주 압축 스프링 조립체 (9a) 는 두 개의 주 압축 스프링 (11) 을 구비하며, 상기 주 압축 스프링의 하중측은 대칭으로 하중지지부 (3) 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7 항에 있어서,주 압축 스프링 (11) 은 공통 스프링 축선 (f) 에 위치되고, 서로 대향하게 놓이는 주 압축 스프링 (11) 은 하중측에서는 캠부 (12) 에 지지되고 체결측에서는 체결부 (2) 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8 항에 있어서,캠부 (12) 는 주 압축 스프링 (11)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7 항에 있어서,캠부 (12) 는 각각의 주 압축 스프링 (11) 을 위한 관련된 캠 측면 (13)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7 항에 있어서,캠부 (12) 는 좁은 캠 측면을 갖는 판형 요소로 구성되며, 두 개의 캠 측면 (13) 은 두 개의 대향하는 거울면대칭으로 배치된 좁은 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10 항에 있어서,캠 측면 (13) 은 원뿔형 간격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7 항에 있어서,주 압축 스프링 (11) 의 하중측에서는, 제 1 하중 접촉부 (14) 에 스프링 축선 (f) 및 지지력 방향 (t) 에 직교하는 회전 축선 (d) 을 갖는 회전 롤러 (16) 가 제공되며, 상기 회전 롤러를 통해 주 압축 스프링 (11) 이 캠부 (12) 에 롤링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7 항에 있어서,각각의 주 압축 스프링 (11) 이 그것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캠 레버 (42) 를 구비하고, 주 압축 스프링 (11) 은 관련된 캠 레버 (42) 의 제 1 측면 (43) 의 지지 영역의 제 2 하중 접촉부 (46) 에 지지되고, 캠 레버 (42) 는 지지 영역으로부터 지지력 방향 (t) 으로 떨어진 영역에서 이동 방향 (v) 및 스프링 축선 (f) 에 병렬인 또는 이동 방향 (v) 및 스프링 축선 (f) 자체의 선회면에서 선회되게 체결부 (2) 에 장착되며, 캠 레버 (42) 의 캠 측면 (13) 은 하중지지부 (3) 에 미끄러지거나 롤링되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14 항에 있어서,하중 롤러 (49) 가 각각의 캠 레버 (42) 에 할당되며, 하중 롤러 (49) 는 공통 하중 롤러 축 (50) 에 회전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7 항에 있어서,주 압축 스프링 (11) 은 스프링 편위시에 안내되고, 안내부는 각각의 주 압축 스프링 (11) 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레버 (17) 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의 일 단부 또는 그 중간 부분이 각각의 주 압축 스프링 (11) 의 하중측에 장착되며, 상기 레버의 타단부는 지지력 방향 (t) 으로 떨어져 있는 선회 지점에서 선회되게 체결부 (2) 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16 항에 있어서,레버 (17) 는 스프링 편위의 중간 지점에서 지지력 방향 (t) 에 병렬로 놓이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16 항에 있어서,서로 병렬로 놓이며 서로 대향하게 놓이는 두 개의 레버 (17) 는 하중 단부에 선회되게 횡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16 항에 있어서,레버 (17) 는 캠 레버 (42) 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주 스프링 조립체 (9) 의 프리텐션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장치이며, 체결측에 제공된 체결 접촉부 (15) 및 주 압축 스프링 (11) 의 하중 접촉부 (14) 중 하나 이상은 스프링 축선 (f) 방향으로 미끄러져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20 항에 있어서,접촉부 (14, 15) 는 각각 주 압축 스프링 (11) 을 표면 단부에 지지하고 나사식 장치에 의해 스프링 축선 (f)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조정될 수 있는 접촉 디스크 (23)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21 항에 있어서,접촉 디스크 (23) 는 접촉 디스크 (23) 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스프링 축선 (f) 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2 안내 슬릿 (35) 을 통해 체결부 (2) 를 통과하는 횡방향 제 2 안내 돌출부 (34)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캠부 (12) 또는 하중지지부 (3) 는 체결부 (2) 에 제공되고 스프링 축선 (f) 방향으로 놓이는 제 3 안내 슬릿 (36) 을 통해 스프링 축선 (f) 및 이동 방향에 직교하게 이어지며, 안내를 위해 제 3 안내 슬릿 (36) 의 내면에 미끄러지게 놓이는 횡방향 제 3 안내 돌출부 (37)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변식 베어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05045736.3 | 2005-09-23 | ||
DE102005045736A DE102005045736B4 (de) | 2005-09-23 | 2005-09-23 | Konstantträger |
PCT/DE2006/001678 WO2007033661A1 (de) | 2005-09-23 | 2006-09-21 | Konstantträg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1893A KR20080081893A (ko) | 2008-09-10 |
KR101351696B1 true KR101351696B1 (ko) | 2014-01-23 |
Family
ID=3760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09560A KR101351696B1 (ko) | 2005-09-23 | 2006-09-21 | 불변식 베어러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2) | US7971846B2 (ko) |
EP (2) | EP1929191B1 (ko) |
JP (2) | JP5086261B2 (ko) |
KR (1) | KR101351696B1 (ko) |
CN (1) | CN101273226B (ko) |
AT (1) | ATE548603T1 (ko) |
AU (1) | AU2006294192B2 (ko) |
DE (1) | DE102005045736B4 (ko) |
ES (2) | ES2385729T3 (ko) |
RU (1) | RU2427751C2 (ko) |
WO (1) | WO200703366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6005720B3 (de) * | 2006-02-08 | 2007-05-16 | Wampfler Ag | Endklemme für eine Schleppleitung |
DE102006062195B3 (de) * | 2006-12-22 | 2008-04-30 | Lisega Ag | Konstantträger |
US20090152782A1 (en) * | 2007-12-17 | 2009-06-18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User interface with controllable dual spring rate return to null cantilever springs |
RU2444667C1 (ru) * | 2010-06-25 | 2012-03-10 |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Энергомаш (Белгород) - БЗЭМ" | Подвеска постоянного усилия |
US8689646B2 (en) * | 2011-01-26 | 2014-04-08 | Cynthia Kriesmer Carr | Sealed, slim-line constant force, generation unit |
US8899540B2 (en) * | 2011-01-31 | 2014-12-02 | Weber Knapp Company | Counterbalance mechanism |
CN105556588B (zh) | 2013-09-03 | 2020-02-21 | 因图恩技术有限责任公司 | 恒定张力设备 |
US9791093B2 (en) * | 2013-10-11 | 2017-10-17 | Canon Finetech Nisca Inc. | Load support mechanism |
JP6283192B2 (ja) * | 2013-10-11 | 2018-02-21 |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 荷重支持機構 |
JP6261070B2 (ja) * | 2013-10-11 | 2018-01-17 |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 荷重支持機構 |
JP6283193B2 (ja) * | 2013-10-11 | 2018-02-21 |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 荷重支持機構 |
US9709209B2 (en) * | 2013-10-11 | 2017-07-18 | Nisca Corporation | Load support mechanism |
CN103557373B (zh) * | 2013-11-12 | 2015-08-19 | 成都科盛石油科技有限公司 | 石油管道安装机构 |
CN103574170B (zh) * | 2013-11-12 | 2015-09-09 | 成都科盛石油科技有限公司 | 一种可调式管道支架 |
US9792886B2 (en) * | 2015-01-22 | 2017-10-17 | Intune Technologies, Llc | String tensioner for stringed instrument |
DE102015218851A1 (de) * | 2015-09-30 | 2017-03-30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Federaggregat, Federspeicher und Aktor |
CN105909877A (zh) * | 2016-06-29 | 2016-08-31 | 舒海球 | 一种管道支撑装置 |
CN106764217B (zh) * | 2017-01-19 | 2018-10-19 | 浙江工业大学 | 一种适用于便携式压入仪在管道类结构固定的万能支座 |
CN106764089A (zh) * | 2017-03-14 | 2017-05-31 | 扬州市泰克管道机械有限公司 | 一种双簧平衡式恒力支吊架 |
DE102017114776A1 (de) * | 2017-07-03 | 2019-01-03 | Hettich-Oni Gmbh & Co. Kg | Dämpferanordnung und Klappenbeschlag |
TWM591753U (zh) * | 2018-11-09 | 2020-03-01 | 信錦企業股份有限公司 | 可升降支撐裝置 |
CN109794478A (zh) * | 2019-02-27 | 2019-05-24 | 沈阳鑫联石化设备有限公司 | 一种自动补偿型磁力除垢清管器 |
CN110686128B (zh) * | 2019-10-17 | 2021-05-28 | 苏州热工研究院有限公司 | 适用于大荷载在役恒力弹簧吊架的调节装置及其调节方法 |
US11335305B2 (en) | 2019-11-15 | 2022-05-17 | Cosmos Lyles | String tensioner for musical instrument |
CN111550610A (zh) * | 2020-06-09 | 2020-08-18 |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 一种载荷逆向变化的复合型弹性支吊装置 |
DE102020116261A1 (de) | 2020-06-19 | 2021-12-23 | Lisega SE | Positionsanzeigevorrichtung für ein Tragelement |
CN111720629A (zh) * | 2020-07-17 | 2020-09-29 | 江苏富友电力机械设备有限公司 | 一种低矮型直线式恒力弹簧支吊架 |
CN112283485A (zh) * | 2020-11-19 | 2021-01-29 | 江苏富友电力机械设备有限公司 | 一种低矮型恒力碟簧支吊架 |
CN113685616B (zh) * | 2021-06-23 | 2023-02-28 | 山西省交通科技研发有限公司 | 一种地铁抗震建设用管道支撑装置 |
CN118009105B (zh) * | 2024-04-07 | 2024-07-09 | 山西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 一种具有对管线固定作用的建筑施工管线支架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95730A (en) | 1944-07-20 | 1946-02-26 | American Locomotive Co | Constant load-supporting device |
US2535305A (en) * | 1949-09-02 | 1950-12-26 | Grinnell Corp | Spring support |
US5018700A (en) * | 1988-05-17 | 1991-05-28 | Lisega Gmbh | Suspension device for conveying loads, particularly pipes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393260A (en) * | 1930-08-29 | 1933-06-01 | Gen Spring Corp | Improved device for exerting on a movable member a force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in all positions of said member |
US2784962A (en) * | 1954-05-04 | 1957-03-12 | Grinnell Corp | Adjustment scales for spring devices |
GB893203A (en) * | 1959-12-11 | 1962-04-04 | Henryk Cieluch | Suspension devices for pipes |
US3552695A (en) * | 1968-10-07 | 1971-01-05 | Lisega Gmbh | Elastic pipe hanger |
US3588010A (en) * | 1968-11-02 | 1971-06-28 | Lisega Gmbh | Sprung pipe support |
FR2286330A1 (fr) * | 1974-09-24 | 1976-04-23 | Aquitaine Chaudronneries Tuyau | Dispositif equilibreur de charge a reaction constante ou sensiblement constante |
DE2623929A1 (de) * | 1976-05-28 | 1977-12-08 | Lisega Kraftwerktech Gmbh | Aufhaengevorrichtung fuer sich verschiebende lasten, insbesondere rohrleitungen u.dgl. |
FR2432669A1 (fr) * | 1978-08-03 | 1980-02-29 | Coillaro Jack | Dispositif equilibreur elastique d'une charge |
DE3501853A1 (de) * | 1985-01-22 | 1986-07-24 | Lisega Kraftwerkstechnik GmbH, 2730 Zeven | Aufhaengevorrichtung fuer sich verschiebende lasten, insbesondere rohrleitungen u.dgl. |
DE3863019D1 (de) * | 1987-07-14 | 1991-07-04 | Siemens Ag |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funktionsueberpruefung einer haengevorrichtung fuer eine last. |
DE3861713D1 (de) * | 1987-09-08 | 1991-03-07 | Iwk Regler Kompensatoren | Konstanthaenger. |
DE8806433U1 (de) * | 1988-05-17 | 1989-09-14 | Lisega Kraftwerkstechnik GmbH, 2730 Zeven | Aufhängevorrichtung für sich verschiebende Lasten, insbesondere Rohrleitungen u. dgl. |
JPH0557573U (ja) * | 1991-12-27 | 1993-07-30 | 三和テッキ株式会社 | ダブルアーム式コンスタントサポート |
US6026755A (en) * | 1996-01-11 | 2000-02-22 | Long; Dennis L. | Counterbalance apparatus |
CN1211599C (zh) * | 1999-03-26 | 2005-07-20 | 樊红 | 互动式恒力碟簧支吊架 |
CN1166886C (zh) * | 2001-12-11 | 2004-09-15 | 帖德顺 | 支、吊力和位移方向不变的载荷力可调的恒力弹簧支吊架 |
-
2005
- 2005-09-23 DE DE102005045736A patent/DE102005045736B4/de active Active
-
2006
- 2006-09-21 AT AT06805329T patent/ATE548603T1/de active
- 2006-09-21 RU RU2008115929/06A patent/RU2427751C2/ru active
- 2006-09-21 JP JP2008531528A patent/JP5086261B2/ja active Active
- 2006-09-21 ES ES06805329T patent/ES2385729T3/es active Active
- 2006-09-21 EP EP06805329A patent/EP1929191B1/de active Active
- 2006-09-21 EP EP12154094.2A patent/EP2463563B1/de active Active
- 2006-09-21 ES ES12154094.2T patent/ES2439847T3/es active Active
- 2006-09-21 KR KR1020087009560A patent/KR10135169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6-09-21 US US12/067,896 patent/US7971846B2/en active Active
- 2006-09-21 AU AU2006294192A patent/AU2006294192B2/en active Active
- 2006-09-21 CN CN200680034936XA patent/CN101273226B/zh active Active
- 2006-09-21 WO PCT/DE2006/001678 patent/WO2007033661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
- 2011-01-19 US US13/009,165 patent/US8152126B2/en active Active
-
2012
- 2012-07-27 JP JP2012167215A patent/JP5667605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95730A (en) | 1944-07-20 | 1946-02-26 | American Locomotive Co | Constant load-supporting device |
US2535305A (en) * | 1949-09-02 | 1950-12-26 | Grinnell Corp | Spring support |
US5018700A (en) * | 1988-05-17 | 1991-05-28 | Lisega Gmbh | Suspension device for conveying loads, particularly pip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63563B1 (de) | 2013-09-18 |
JP5086261B2 (ja) | 2012-11-28 |
KR20080081893A (ko) | 2008-09-10 |
US8152126B2 (en) | 2012-04-10 |
ES2385729T3 (es) | 2012-07-31 |
ATE548603T1 (de) | 2012-03-15 |
US7971846B2 (en) | 2011-07-05 |
EP1929191B1 (de) | 2012-03-07 |
US20090065675A1 (en) | 2009-03-12 |
ES2439847T3 (es) | 2014-01-27 |
DE102005045736B4 (de) | 2008-12-11 |
JP2009509105A (ja) | 2009-03-05 |
EP2463563A1 (de) | 2012-06-13 |
RU2008115929A (ru) | 2009-10-27 |
RU2427751C2 (ru) | 2011-08-27 |
JP5667605B2 (ja) | 2015-02-12 |
CN101273226A (zh) | 2008-09-24 |
DE102005045736A1 (de) | 2007-04-05 |
EP1929191A1 (de) | 2008-06-11 |
WO2007033661A1 (de) | 2007-03-29 |
JP2012211705A (ja) | 2012-11-01 |
AU2006294192B2 (en) | 2012-03-01 |
US20110114816A1 (en) | 2011-05-19 |
CN101273226B (zh) | 2011-02-02 |
AU2006294192A1 (en) | 2007-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1696B1 (ko) | 불변식 베어러 | |
JP5415958B2 (ja) | 定荷重支持装置 | |
US5340072A (en) | Linkage assembly for mechanical arm | |
JP5913110B2 (ja) | 車両のスライド式開閉体のローラアセンブリ | |
US6640599B1 (en) | Tool for automatic roll folding | |
US6776280B2 (en) | Guidance unit for conveyor belt | |
US20070289094A1 (en) | Adjustable hinge | |
BR112018009193B1 (pt) | Retentor de porta de veículo | |
US6192765B1 (en) | Planarity measuring roller | |
EP1203891B1 (en) | Linear rail system having preload adjustment apparatus | |
US6250146B1 (en) | Web tension transducer apparatus | |
EP3995713B1 (en) | Transport system having a carriage with self-adjusting bearings | |
CN112974979A (zh) | 具有张紧调节凸轮的台锯靠板 | |
US12095242B2 (en) | Guide apparatus for a cable guide device comprising a cable guide device | |
US6842961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 linear guiding device | |
US11313164B2 (en) | Flap fitting | |
JPH0615160U (ja) | パネル開閉操作力の調整構造 | |
JPH0378238B2 (ko) | ||
PL119792B1 (en) | Pipeline mounting of fixed acting forceija | |
PL46922B1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