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612B1 - Pelt heater - Google Patents

Pelt h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612B1
KR101351612B1 KR1020120105774A KR20120105774A KR101351612B1 KR 101351612 B1 KR101351612 B1 KR 101351612B1 KR 1020120105774 A KR1020120105774 A KR 1020120105774A KR 20120105774 A KR20120105774 A KR 20120105774A KR 101351612 B1 KR101351612 B1 KR 101351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unit
pellet
ignition
chamb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5205A (en
Inventor
정연숙
Original Assignee
정연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숙 filed Critical 정연숙
Publication of KR20120125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2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6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returning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90/00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F23B90/02Start-up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11/00Safety arrangements
    • F23M11/04Means for supervising combustion, e.g. windows
    • F23M11/042Viewing ports of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난로 본체와, 난로 본체의 점화공간부에 설치되며 난로 본체에 연결되는 펠렛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펠렛을 연소시키는 연소유닛과, 연소유닛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소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덕트 및, 방열덕트로 통과하는 연소가스와 열을 점화공간부의 하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연소가스 순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난로가 개시된다.A combustion unit installed in the hearth body, an ignition space part of the hearth body and burning the pellets supplied from the pellet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hearth body, a heat radiation duct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to discharge combustion heat to the outside, and heat radiation A pellet stove is disclosed that includes a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for circulating combustion gas and heat passing through a duct to a lower portion of an ignition space.

Description

펠렛 난로{PELT HEATER}Pellet stove {PELT HEATER}

본 발명은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덕트를 배제할 수 있으며 펠렛을 연료로 하여 고효율을 얻을 수 있는 펠렛 난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llet stove which can eliminate the discharge duct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obtain a high efficiency by using the pellet as a fuel.

최근에 원유 등 에너지원 가격의 급등으로 인하여 임업 폐기물이나 벌채목 등을 분쇄하여 톱밥으로 만든 후 길이 3.8㎝, 굵기 0.6~0.8㎝ 이내의 원기둥 모양으로 압축해 가공한 우드 펠렛(wood-pellets)이 대체 에너지로서 각광받고 있는데, 이와 같은 우드 펠렛은 등유나 경유 등에 비하여 비교적 적은 약 50~60%의 비용으로 높은 열효율을 낼 수 있으며, 고온에서 완전 연소되기 때문에 소각 후에도 소각재가 거의 남지 않는 특성이 있고, 연소에 의한 유해 가스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게 된다.Recently, due to the surge in the price of energy sources such as crude oil, wood-pellets, which are processed by crushing forestry waste or harvested wood into sawdust and then processed into a cylindrical shape with a length of 3.8 cm and a thickness of 0.6 to 0.8 cm Such wood pellets can produce a high thermal efficiency at a relatively low cost of about 50 to 60% as compared with kerosene or diesel oil. Since the wood pellets are completely burned at a high temperature, there is almost no residual ash residue after incineration , So that noxious gas caused by combustion hardly occurs and the environment is not contaminated.

특히, 상기한 우드 펠렛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 배출량도 일반 경유의 1/12 수준으로 미약하여 IPCC(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에서 이산화탄소 규제 대상에서 제외된 연료이고, 균일한 형태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어 정확한 에너지 양의 조절이 가능하며, 에너지의 밀도와 저장능력이 크고, 에너지 비용절감에도 도움이 되는 선진국형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널리 알려져 있어서 이러한 우드 펠렛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Particularly, the wood pellet described above is a fuel excluded from carbon dioxide regulation in the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because the carbon emission, which is the main cause of global warming, is as low as 1/12 of the general diesel, Is widely known as an eco-friendly energy source in advanced countries that can control the amount of energy, can control energy density, and has a high energy density and storage capacity, and also helps to reduce energy costs. Therefore, researches for utilizing such wood pellets in various fields It is actively proceeding.

상기 우드 펠렛 등을 연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난로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56188호(펠렛 난로 온풍기)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 stove for using wood pellets or the like as a fuel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156188 (pellet stove heat fan).

그런데 상기와 같이 개시된 종래의 펠렛 난로 온풍기는 펠렛을 초기에 점화하는데 따른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그로 인하여 초기 점화시에 다량의 연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ellet stove heat fan described above takes a long time to ignite the pellets at the initial stage, and thus a large amount of smoke is generated at the time of initial ignition.

그론 인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통이 구비되며, 이러한 연통은 건물의 실내에서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배기덕트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펠렛 난로를 설치하는데 따른 장소의 제약시 많으며,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가스와 함께 다량의 열이 배출되므로 실질적으로 실내 온도를 높이기 위한 열손실이 과다하게 되어, 결국 원료의 사용량이 늘어나게 되어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for discharging the smoke to the outside, this communication ha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exhaust duct for connecting to the outside from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herefore,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location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pellet stove, and since a large amount of heat is discharged along with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uct, the heat loss is substantially excessive to increase the room temperature, and thus the amount of raw materials used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intenance cost increas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펠렛 연료의 점화시간을 단축하고, 연소가스를 연소실로 재순환시켜서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펠렛 난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pellet stove for shortening the ignition time of the pellet fuel and improving the thermal efficiency and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by recycling the combustion ga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펠렛 난로는, 난로 본체와; 상기 난로 본체의 점화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난로 본체에 연결되는 펠렛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펠렛을 연소시키는 연소유닛과;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소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덕트; 및 상기 방열덕트로 통과하는 연소가스와 열을 상기 점화공간부의 하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연소가스 순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ellet stov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earth body; A combustion unit installed in the ignition space of the hearth body and combusting the pellets supplied from the pellet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hearth body; A heat dissipation duct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to discharge combustion heat to the outside; And a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for circulating the combustion gas and heat passing through the heat radiation duc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gnition space.

여기서, 상기 연소유닛으로 공급된 펠렛을 가스불꽃을 이용하여 점화하기 위한 가스 점화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gas ignition unit for igniting the pellets supplied to the combustion unit using a gas flame.

또한, 상기 연소유닛은, 하부에 공기 흡입구멍이 형성되고, 상부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연소실 몸체와; 상기 연소실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펠렛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펠렛을 전달받아 상기 연소실 몸체 내부로 안내하는 펠렛 안내부와; 상기 연소실 몸체에 설치되는 투명창; 및 상기 연소실 몸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가스 점화불꽃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되어 급속 가열되는 가열선;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combustion unit may include: a combustion chamber body having an air suction hol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n exhaust port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pellet guide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body to receive the pellet supplied from the pellet supply unit and guide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body; A transparent window installed in the combustion chamber body; And a heating wire installed at an inner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body and heated instantly by a gas ignition flame and rapidly heated.

또한, 상기 연소가스 순환유닛은, 상기 방열덕트에 연결되는 제1연결덕트와; 일단이 상기 점화공간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덕트와; 상기 제1 및 제2연결덕트 각각에 연통되도록 상기 난로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챔버와; 상기 제2연결덕트에 설치되는 송풍홴;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duct connected to the heat dissipation duct; A second connection duc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gnition space; A connection chamber provided inside the hearth body to communicate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duct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lower fan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ion duct.

또한, 상기 연소가스 순환유닛은, 상기 점화공간부와 상기 제2연결덕트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bypass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ignition space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duct.

또한, 상기 연소가스 순환유닛의 연소가스 순환경로 상에 설치되어 연소가스에 포함된 재와 이물질을 회수하는 연소잔여물 회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ombustion residue recovery unit which is installed on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path of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to recover the ash 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또한, 상기 연소잔여물 회수유닛은 상기 연결챔버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재 회수용기와; 상기 재 회수용기를 제1 및 제2공간으로 격리하는 격판과; 상기 격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연결덕트 각각에 연통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ombustion residue recovery unit is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connection chamber, the upper part of the re-collection container is open to accommodate water; A diaphragm which insulates said reclaim container into first and second spaces; And a connecting pipe installed on the diaphragm to communicate the first and second spaces,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paces communicates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ducts.

또한, 상기 연소실 몸체는, 하부 연소실 몸체와, 상기 하부 연소실 몸체와 분리 가능하며 상기 방열덕트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상부 연소실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및 상부 연소실 몸체의 외측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승시 상기 하부 및 상부 연소실 몸체가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연소실 몸체와 상기 방열덕트를 동시에 밀어 올릴 수 있는 셔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combustion chamber body may include a lower combustion chamber body and an upper combustion chamber body detachable from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body and coupled to the heat dissipation duct so as to be slidable up and down outside the lower and upper combustion chamber bodies. In addition, the lower and the upper combustion chamber body may further include a shutter member capable of simultaneously pushing up the upper combustion chamber body and the heat dissipation duct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연소가스 순환유닛 상에 설치되어 연소가스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lter installed on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combustion gas.

또한, 상기 펠렛 공급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유닛으로 공급할 펠렛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펠렛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red that the pellet supply unit further comprises a pellet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pellets to be supplied to the combustion unit.

또한, 상기 점화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연소유닛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소유닛 지지부는, 상기 점화공간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가스점화유닛 상에 설치되며, 원통형상을 가지며 측면에 다수의 통기홀을 가지는 하부 지지연통과; 상기 하부 지지연통의 내부 바닥에 지지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며 상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절두원추형 지지체와; 상기 절두원추형 지지체의 상단 테두리와 상기 점화공간부의 하부 사이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원반형의 하부차단부재와; 상기 하부차단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절두원추형 지지체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하는 연소유닛 안착용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mbustion unit support part installed in the ignition space part to support the combustion unit, wherein the combustion unit support part is installed on a gas ignition unit provided below the ignition space part, and has a cylindrical shape. A lower support communication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on the side; A truncated conical support support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lower support communication, the diameter of which decreases toward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which has an open top; A disk-shaped lower blocking member installed to block between an upper edge of the truncated cone support and a lower portion of the ignition space; Combustion unit seating vessel for passing through the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blocking member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truncated conical support;

또한, 상기 하부차단부재의 상부와 상기 하부 지지연통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덮는 하부커버와; 상기 연소유닛과 상기 점화공간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a lower cover for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locking member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 communication to cov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upper cover covering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and the ignition space.

본 발명의 펠렛 난로에 따르면, 펠렛을 공급하여 초기에 점화시에는 가스점화유닛을 이용하여 점화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신속한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점화 초기에 발생될 수 있는 연기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ellet sto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gas ignition unit at the time of initial ignition by supplying the pellets, so that the ignition can be performed faster than the conventional o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smoke that may occur at the initial stage of ignition.

또한, 연소된 고온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연소가스 순환유닛을 통해 연소유닛과 방열덕트를 계속해서 경유하도록 순환시키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외부로 나가는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난로의 효율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igh-temperature gas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combustion unit and the heat-radiating duct are continuously circulated through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thereby minimizing the heat loss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heat- . Therefore, the fuel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the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렛 난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펠렛 난로의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펠렛 난로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펠렛 난로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펠렛 공급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펠렛 공급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연소가스 순환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렛 난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ellet stove shown in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pellet stove shown in FIG.
4A and 4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ellet stove shown in FIG.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pellet supply uni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pellet supply unit.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8 and 9 are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렛 난로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렛 난로(100)는, 난로본체(10)와, 난로 본체(10)에 마련되는 점화공간부(15)에 설치되는 연소유닛(20)과, 상기 연소유닛(20)으로 펠렛(1)을 공급하기 위한 펠렛 공급유닛(30)과, 상기 연소유닛(20)으로 공급된 펠렛(1)을 가스불꽃을 이용하여 점화하기 위한 가스점화유닛(40)과, 상기 연소유닛(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소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덕트(50)와, 상기 방열덕트(50)로 통과하는 연소가스와 열을 상기 점화공간부(15) 하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연소가스 순환유닛(60)과, 상기 연소가스 순환유닛(60)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연소가스에 포함된 재와 이물질을 회수하는 연소잔여물 회수유닛(70)을 구비한다.
1 to 5, the pellet stov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unit (10) and the combus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ignition space (15) provided in the stove body (10) 20), a gas for igniting the pellet supply unit 30 for supplying the pellets 1 to the combustion unit 20, and the pellets 1 supplied to the combustion unit 20 using a gas flame. An ignition unit 40, a heat dissipation duct 50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20 to discharge combustion heat to the outside, and combustion gas and heat passing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duct 50 to the ignition space portion ( 15) a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60 for circulating to the lower portion, and a combustion residue recovery unit 70 installed on a path of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60 to recover ash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Equipped.

상기 난로 본체(10)는 하부 하우징(11)과, 상기 하부 하우징(11)의 후면측에서 상부로 연장된 후면패널(12)과, 상기 후면패널(1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13) 및, 상부 패널(13)과 후면패널(12) 및 하부하우징(11) 각각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안전망(14)을 구비한다. 후면패널(12)의 후방에는 펠렛 공급유닛(30)이 설치된다. 상부 패널(13)은 도 1과 같이 상하로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연소유닛(20) 및 방열덕트(50)를 외부로 분리하여 청소 내지 점검할 수 있다.
The hearth body 10 includes a lower housing 11, a rear panel 12 extending upward from a rear side of the lower housing 11, and an upper panel 13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panel 12. And a safety net 14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panel 13, the rear panel 12, and the lower housing 11. At the rear of the rear panel 12, a pellet supply unit 30 is installed. The upper panel 13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up and down as shown in FIG. 1, so that the combustion unit 20 and the heat dissipation duct 50 can be separated and cleaned or inspected.

상기 하부 하우징(11)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인입되게 점화공간부(15)가 마련된다. 점화공간부(15)의 하부에는 연소유닛(20)을 지지하기 위한 연소유닛 지지부(80)가 구비된다.An ignition space portion 15 is provided to lea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11. The combustion unit support part 80 for supporting the combustion unit 20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ignition space part 15.

연소유닛 지지부(8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가지며 측면에 다수의 통기홀을 가지는 하부 지지연통(81)과, 하부 지지연통(81)의 내부 바닥에 지지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며 상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절두원추형 지지체(82)와, 상기 절두원추형 지지체(82)의 상단 테두리와 상기 점화공간부(15)의 하부 사이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원반형의 하부차단부재(83)와, 상기 하부차단부재(83)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절두원추형 지지체(82)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하는 연소유닛 안착용기(84) 및 하부커버(85)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4B, the combustion unit support part 8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supported by a lower support communication 81 having a plurality of vent holes on the side, and an inner bottom of the lower support communication 81. Increasing diameter decreases gradually and the top of the truncated cone-shaped support 82, and the disc-shaped lower block is installed to block between the upper edge of the truncated cone-shaped support 8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gnition space (15) A combustion unit seating container 84 and a lower cover 85 that pass through a member 83 and a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blocking member 83 to be seated and supported on an upper end of the frustoconical support 82. do.

하부 지지연통(81)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 하단부에 상기 절두원추형 지지체(82)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놓일 수 있다. 절두원추형 지지체(82)는 원추형상에서 상단이 절단되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The lower support tube 81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truncated cone-shaped support 82 may be integrally formed or separately manufactured at an inner lower end thereof. The truncated cone support 82 has a shape in which the upper end is cut open in a conical shape.

하부차단부재(83)는 하부 하우징(11)의 점화공간부(15) 내벽에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형 링형상을 가지며, 하부 하우징(1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blocking member 83 is formed in a flange shape on the inner wall of the ignition space 15 of the lower housing 11, has a circular ring shap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housing 11, or is manufactured and fixed separately. Can be.

상기 연소유닛 안착용기(84)는 원통형 외측용기(84a)와, 원통형 내측용기(84b)를 가진다. 원통형 외측용기(84a)는 하부 지지연통(81)의 내부로 삽입되어 절두원추형 지지체(82)에 안착되어 지지되며, 하부에 개방된 홀을 가짐으로써 불꽃이 연소유닛(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원통형 내측용기(84b)는 원통형 외측용기(84a)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원통형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불꽃이 연소유닛(20)의 하단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소유닛 안착용기(84)에는 다수의 공기 통과홀이 형성된다.The combustion unit seating container 84 has a cylindrical outer container 84a and a cylindrical inner container 84b. The cylindrical outer container 84a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pport communication 81 to be seated and supported by the frustoconical support 82, and the flam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bustion unit 20 by having an open hole in the lower portion. . And the cylindrical inner container (84b) is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shap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cylindrical outer container (84a), and serves to guide the flame can be concentra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mbustion unit (20). The combustion unit seating vessel 84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passage holes.

상기 하부커버(85)는 하부차단부재(83)의 상부와 상기 하부 지지연통(81)을 덮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커버(85)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의 하부커버(85)와 후술할 상부커버(25) 사이에 외부와 차단된 공간을 형성되고, 이 차단된 공간의 고온의 공기는 상기 바이패스 연결관(66)을 통해 가스 순환유닛(60)으로 재공급되어 방열덕트(50)로 공급되도록 하여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 lower cover 85 is install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locking member 83 and the lower support communication 81. The lower cover 85 has a shape in which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gradually narrows toward the upper par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cover 85 and the upper cover 25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the hot air of the blocked space is connected to the gas circulation unit through the bypass connection pipe 66. 60) can be supplied back to the heat radiation duct 50 to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상기 연소유닛(20)은 하부에 공기 흡입구멍이 형성되고, 상부에 배기구(21a)가 형성되는 연소실 몸체(21)와, 연소실 몸체(21)의 일측에 연결되어 펠렛 공급유닛(30)으로부터 공급되는 펠렛(1)을 전달받아 연소실 몸체 내부로 안내하는 펠렛 안내부(22)와, 연소실 몸체(21)에 설치되는 투명창(23)을 구비한다. 투명창(23)을 통해서는 연소실 몸체(21) 내부의 연소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combustion unit 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body 21 and the combustion chamber body 21 in which an air inlet hole is formed at the bottom, and an exhaust port 21a is formed at the top, and is supplied from the pellet supply unit 30. A pellet guide portion 22 receiving the pellet 1 to be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body and a transparent window 23 installed in the combustion chamber body 21 are provided.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23, the combustion state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body 21 can be visually confirmed.

상기 구성의 연소유닛(20)은 연소유닛 지지부(80) 즉, 연소유닛 안착용기(84)에 안착되도록 점화공간부(15)의 중앙에 설치되며, 상부의 배기구(21a)는 상기 방열덕트(5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연소실 몸체(21)의 내부 바닥에는 가스 점화불꽃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되어 급속 가열되는 가열선(미크론선)(2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열선(24)은 가느다란 철사줄 등으로서, 가스점화불꽃이 닿게 되면, 순간적으로 온도가 수백도 이상으로 급상승하여 가열됨으로써, 연소실 몸체 내부로 투입된 펠렛(1)을 신속하게 점화시킬 수 있게 된다.
Combustion unit 20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ignition space 15 to be seated in the combustion unit support unit 80, that is, combustion unit seating container 84, the upper exhaust port 21a is the heat radiation duct ( 50) is detachably connected. Preferably, a heating wire (micron wire) 24 which is instantaneously heated by a gas ignition flame and rapidly heated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body 21. The heating wire 24 is a thin wire, or the like, when a gas ignition flame is touched, the temperature is rapidly increased by several hundred degrees or more, thereby rapidly igniting the pellet 1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body. do.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소유닛(20)의 중앙부분과 상기 점화공간부(15)의 상부를 덮도록 상부커버(25)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상부커버(25)로 인하여 연소유닛(20)에서 발생되어 점화공간부(15)로 방열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후술할 보조 바이패스관(66)을 통해 상기 가스 순환유닛(60)으로 순환되어 다시 연소유닛(20)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방열덕트(50)를 통한 방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preferably the upper cover 25 is further provided to cover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ignition space (15).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unit 20 due to the upper cover 25 and radiated to the ignition space 15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gas circulation unit 60 is provided through the auxiliary bypass pipe 66 to be described later. By circulating to be supplied back to the combustion unit 2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eat radiation efficiency through the heat radiation duct (50).

상기 펠렛 공급유닛(30)은, 후면패널(12)의 배후에 설치되는 펠렛 호퍼부(31)와, 상기 펠렛 호퍼부(31)와 상기 후면패널(12)의 전면을 통과하여 상기 연소유닛(20)으로 연결되는 펠렛 공급덕트(32)와, 펠렛 호퍼부(31)에 설치되어 펠렛 공급덕트(32)로 펠렛을 이송시키는 스크류부재(33) 및 구동부(34)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부(34)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스크류부재(33)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기어열 또는 벨트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부재(33)가 회전하면서 펠렛 호퍼부(31)에 수용된 펠렛(1)이 펠렛 공급덕트(32)로 이동되어 연소유닛(20)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pellet supply unit 30 passes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pellet hopper unit 31 and the pellet hopper unit 31 and the rear panel 12 installed behind the rear panel 12 and the combustion unit ( It is provided with a pellet supply duct 32 connected to the 20, and a screw member 33 and a drive unit 34 is installed in the pellet hopper portion 31 to transfer the pellets to the pellet supply duct (32). The drive unit 34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ing a gear train or a belt)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drive motor and the drive motor to the screw member 33. As the screw member 33 is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the pellet 1 accommodated in the pellet hopper unit 31 may be moved to the pellet supply duct 32 and supplied to the combustion unit 20.

여기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렛(1)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펠렛 감지센서(9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펠렛 감지센서(93)는 발광부(93a)와 수광부(93b)를 포함하는 수발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펠렛 호퍼부(31)에 일정량 이상으로 펠렛(1)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수광부(93b)에서 광을 수광하지 못하다가 펠렛(1)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수광부(93b)에서는 발광부(93a)에서 조사된 광을 수광함으로써 펠렛(1)의 재공급시기를 알려줄 수 있다. 수광부(93b)에서의 수광신호는 제어부(95)로 전달되고, 제어부(95)는 수광부(93b)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근거로 하여 출력부(96)를 통해 펠렛(1)의 보충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출력부(96)는 스피커(96a), 경광등(96b) 및 디스플레이(96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력부(96)를 통해 출력되는 펠렛(1) 보충신호를 확인하고 펠렛 호퍼부(31)에 펠렛(1)을 보충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 6, a pellet sensor 93 may be further provided to detect the amount of the pellet 1. The pellet detecting sensor 93 may include a light receiving sensor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93a and a light receiving unit 93b. When the pellet hopper 31 is filled with the pellet 1 i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when the light is no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93b, but the amount of the pellet 1 is reduced, the light receiving unit 93b is us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93a. By receiving the irradiated light, it is possible to indicate when to resupply the pellet 1. The light receiving signal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93b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95, and the control unit 95 outputs the supplemental signal of the pellet 1 through the output unit 96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93b. To control. The output unit 96 may include a speaker 96a, a warning lamp 96b, a display 96c, and the like. 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pellet 1 replenishment signal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96 and replenish the pellet 1 in the pellet hopper unit 31.

또한, 펠렛 감지센서(93)의 다른 예로서, 펠렛 호퍼부(31)의 바닥부분에 설치되어 펠렛(1)의 중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스위칭센서, 펠렛(1)의 무게를 감지하여 신호를 감지된 무게정보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는 무게감지센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pellet detection sensor 93, the switching sensor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pellet hopper unit 31 to be selectively switch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pellet (1), the weight of the pellet (1) is detected The signal may include a weight sensor for transmitt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ed weight information.

상기 구동부(34)도 제어부(95)에 의해 제어되어 동작되며, 펠렛(1)을 미리 설정된 일정량씩 연소유닛(20)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펠렛 공급유닛(30)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rive unit 34 is also controlled and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95, and supplies the pellet 1 to the combustion unit 20 by a predetermined amount. Pellet supply unit 3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또한, 상기 제어부(95)에 의한 구동부(34)의 구동동작은 상기 연소가스 순환유닛(60)의 송풍홴(64)의 구동동작 등과 연동되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34 by the control unit 95 may be set to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64 of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60.

상기 가스 점화유닛(40)은, 연소유닛(2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점화플러그(41)와, 점화플러그(41) 주변의 가스노즐부(42) 및 가스노즐부(42)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부(43)를 구비한다. 상기 가스 공급부(43)는 부탄가스(44)가 장착되는 가스탱크 장착부(43a)와, 가스탱크 장착부(43a)에 장착되는 가스탱크 즉, 부탄가스(44)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가스노즐부(42)로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43b)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가스 점화유닛(40)은 일반적은 여행용 가스레인지 등과 유사한 기술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작동원리에 의해 연소유닛(20)의 하부에서 가스불꽃을 점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연소유닛(20)에 공급된 펠렛(1)을 가스불꽃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점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스 점화유닛(40)의 구성은 다양한 예가 가능하며, 구체적인 기술구성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11)의 전방에는 점화스위치 레버(45)가 설치된다.
The gas ignition unit 40 supplies gas to the ignition plug 41 positioned below the combustion unit 20, the gas nozzle part 42, and the gas nozzle part 42 around the ignition plug 41. It is provided with a gas supply unit 43 for. The gas supply part 43 is a gas tank mounting part 43a on which the butane gas 44 is mounted, and a gas tank that is mounted on the gas tank mounting part 43a, that is, gas supplied from the butane gas 44. And a gas supply pipe 43b for supplying to 42. Gas ignition unit 4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 technical configuration similar to a general gas stove for travel, and by the same operating principle it is possible to ignite the gas flam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20, the combustion unit 20 It is possible to ignite the pellet (1) supplied to the ignition quickly using a gas flame. The configuration of the gas ignition unit 40 may be various examples, and since the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an ignition switch lever 45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lower housing 11.

상기 방열덕트(50)는 하단이 연소유닛(20)의 상부의 배기구(21a)에 연결되어 지그재그 식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방열덕트(50)는 상기 연소가스 순환유닛(60)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열덕트(50)를 통해 열이 대기중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주변온도(실내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The heat dissipation duct 50 has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21a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20 and extends in a zigzag manner. The heat dissipation duct 50 i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60.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air through the heat radiation duct 50 to increase the ambient temperature (room temperature).

상기 연소가스 순환유닛(60)은 방열덕트(50)에 연결되는 제1연결덕트(61)와, 일단이 상기 하부하우징(11)의 점화공간부(15)에 연결되는 제2연결덕트(62)와, 제1 및 제2연결덕트(61,62) 각각에 연결되도록 하부하우징(11)에 마련되는 연결챔버(63)와, 상기 제2연결덕트(62)에 설치되는 송풍홴(64)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방열덕트(50)로 통과하는 고온의 연소가스(재와 같은 연소 잔여물을 포함)는 제1연결덕트(61), 연결챔버(63) 및 제2연결덕트(62)를 통과하여 점화공간부(15)로 회수되어 다시 연소실을 통과하여 방열덕트(50)로 빠져나가는 순환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연소가스 순환유닛(60)에 의해서 고온의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펠렛 난로에서 계속해서 순환됨으로써 난로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60 has a first connection duct 61 connected to the heat dissipation duct 50, and a second connection duct 6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gnition space part 15 of the lower housing 11. ), A connection chamber 63 provided in the lower housing 1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ducts 61 and 62, and a blower fan 64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ion duct 62. I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ot combustion gas (including the combustion residue such as ash) passing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duct 50 passes the first connection duct 61, the connection chamber 63, and the second connection duct 62. After the passage is recovered to the ignition space 15 is passed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again to exit the heat dissipation duct 50 is repeated. By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6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combustion gas of high temperature is continuously discharged from the pellet stove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stove.

또한, 연소가스 순환유닛(60)의 순환경로 상에는 외부 공기를 연소가스 순환경로 상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유입구(65)가 설치된다. 공기유입구(65)는 도 2와 같이 제1연결덕트(61)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제2연결덕트(62)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on the circulation path of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60, an air inlet 65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path is provided. The air inlet 65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duct 61 as shown in FIG. 2, or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ion duct 62.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연결덕트(61,62)를 폐쇄형으로 구성하고, 난로본체(10)의 연결챔버(63)에 연통되도록 공기유입구(68)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유입구(65)(68)를 통해서 연소가스의 연속적인 순환시 공기의 부족분을 유입시킴으로써 연소유닛(20)에서 원활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ducts 61 and 62 are configured in a closed type, and an air inlet 68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chamber 63 of the stove body 10. You may. Through the air inlets 65 and 68 as described above, a smooth combustion can be made in the combustion unit 20 by introducing a shortage of air during continuous circulation of the combustion gas.

상기 연결챔버(63)는 하부 하우징(11)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연소잔여물 회수유닛(7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덕트(61)를 통해 연결챔버(63)로 진입한 연소가스는 상기 연소잔여물 회수유닛(70)을 통과하면서 연소잔여물 즉, 재와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제2연결덕트(62)로 진입하여 연소유닛(20)으로 재공급될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on chamber 63 is provided in the lower housing 11, and the combustion residue recovery unit 70 is installed therein. Accordingly, the combustion gas entering the connection chamber 63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duct 61 passes through the combustion residue recovery unit 70 while the combustion residue, ie, ash and foreign substances, is filtered. Entering 62 can be supplied to the combustion unit 20 again.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연결덕트(62)와 상기 점화공간부(15)가 보조 바이패스관(66)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로 인하여 점화공간부(15)의 고온의 열(공기)이 제2연결덕트(62)로 회수되어 다시 연소유닛(20)을 통과하도록 하여 방열덕트(50)를 통해 방열되도록 하여 난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nection duct 62 and the ignition space 15 may have a structure connected through the auxiliary bypass pipe 66. Therefore, the high temperature heat (air) of the ignition space 15 is recovered to the second connection duct 62 and passes through the combustion unit 20 again to radiate heat through the heat radiation duct 50 to further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tove. It can be improved.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가스 순환경로 상에는 필터(91)가 더 설치되어 연소가스에 포함된 이물질과 유해물질 등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91)는 백금열촉매방식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연결덕트(61)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filter 91 is further installed on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path may be configur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nd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The filter 91 may include a platinum thermal catalyst type filter and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duct 61.

상기 연소잔여물 회수유닛(70)은 연결챔버(63)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재 회수용기(71)와, 재 회수용기(71)를 복수 공간으로 격리하는 격판(72)과, 격판(72)에 설치되는 연결관(73)을 구비한다. 재 회수용기(71)는 상부가 개방된 구성을 가지며, 격판(72)에 의해서 제1 및 제2공간(71a,71b)으로 분리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재 회수용기(71)의 2개의 공간(71a,71b) 각각에는 재를 회수하기 위한 물이 일정량 채워지며, 격판(72)에는 양측 공간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연결관(73)이 연결된다. 제1공간(71a)에는 제1연결덕트(61)가 연결되고, 제2공간(71b)에는 제2연결덕트(62)가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연결덕트(61)를 통해 제1공간(71a)으로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재는 제1공간(71a)에 채워진 물로 낙하되어 회수되며, 일부 재는 연결관(73)을 통해 제2공간(71b)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연결관(73) 및 격벽(72)에 충돌하여 물로 낙하되어 회수된다. 그리고 제2공간(71b)으로 이동된 연소가스에 포함된 재도 제2공간(71b)의 물로 낙하하여 회수되고, 재가 거의 제거된 연소가스만이 제2연결덕트(62)를 통해 회수되어 순환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The combustion residue recovery unit 70 is a reclaimable container 71 detachably mounted in the connection chamber 63, a diaphragm 72 for separating the reclaimable container 71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a diaphragm ( 72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ipe (73). The recovery container 71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opened, and has a configuration separa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paces 71a and 71b by the diaphragm 72. Each of the two spaces 71a and 71b of the reclaim container 71 is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for recovering ash, and the connecting pipe 73 is connected to the diaphragm 72 so as to protrude into both spaces. The first connection duct 61 is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71a, and the second connection duct 62 is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pace 71b. Therefore, the ash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into the first space 71a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duct 61 is dropped and recovered by the water filled in the first space 71a, and some ash is recover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73. In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space 71b, it collides with the connection pipe 73 and the partition wall 72, falls into water, and is recovered. And ash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moved to the second space (71b) is also recovered by falling into the water of the second space (71b), so that only the combustion gas almost removed ash is recover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duct 62 and circulated. You can do it.

상기 재 회수용기(71)를 하부하우징(11) 외부로 빼내기 위해서 연결챔버(11)의 측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별도의 셔터부재(74)에는 개폐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The side of the connecting chamber 11 is open to remove the reclaim container 71 to the outside of the lower housing 11, and an opening and closing door may be installed on a separate shutter member 74.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렛 난로에 따르면, 펠렛(1)을 공급하여 초기에 점화시에는 가스점화유닛(40)을 이용하여 점화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신속한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점화 초기에 발생될 수 있는 연기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ellet st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the pellet (1) to perform the ignition operation using the gas ignition unit 40 at the initial ignition, faster ignition than conventional Can be ma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smoke that may occur at the initial stage of ignition.

또한, 연소된 고온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연소가스 순환유닛(60)을 통해 연소유닛(20)과 방열덕트(50)를 계속해서 경유하도록 순환시키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외부로 나가는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난로의 효율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료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eat loss to the outside by circulating through the combustion unit 20 and the heat dissipation duct 50 through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60 without discharging the burned high-temperature gas to the outside By minimizing it, the efficiency of the stove can be improved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the amount of fuel used can be reduced and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또한, 별도의 외부로 향하는 연통을 구비하지 않고, 연소가스를 계속해서 순환시키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실내에서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설치 및 사용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by having a configuration to continuously circulate the combustion gas without providing a communication to the outs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hermal efficiency in the room can be improved,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and use place.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소유닛(120)은 하부 연소실몸체(121)와 상부 연소실 몸체(122)가 상하로 연결된 구조로서, 상부 연소실 몸체(122)의 배출구(122a)에 방열덕트(50)가 고정 결합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8 and 9,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unit 1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body 121 and the upper combustion chamber body 122 are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heat dissipation duct 5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outlet 122a of the body 122.

이 경우 하부 연소실 몸체(121)와 상부 연소실 몸체(122)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그 외부에 셔터부재(13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shutter member 130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body 121 and the upper combustion chamber body 122 so as to move upward and downward.

즉, 셔터부재(130)는 도 8의 상태에서는 하부 연소실 몸체(121)와 상부 연소실 몸체(122) 사이를 막도록 위치됨으로써 연소유닛(120)의 내부에서 연소된 연소가스가 배출구(122a)로 배출되도록 밀폐하고, 하부 연소실 몸체(121)와 상부 연소실 몸체(122)가 서로 상하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셔터부재(130)를 들어올리게 되며, 셔터부재(130)가 상승하다가 상부 연소실 몸체(121)의 걸림턱(122b)에 걸려서 상부 연소실 몸체(121)와 방열덕트(50)도 함께 위로 들어올릴 수 있다. 그러면, 도 9와 같이, 하부 연소실 몸체(121)와 상부 연소실 몸체(122)가 분리되며, 이 상태에서 하부 연소실 몸체(121)를 펠렛 난로의 외부로 꺼내서 뒤집어서 내부 바닥에 달라붙어 있는 연소찌꺼기 등을 털어낸 뒤, 다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 연소실 몸체(121)와 상부 연소실 몸체(122) 사이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셔터부재(130)를 이용하여 서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방열덕트(50)를 펠렛 난로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하부 연소실 몸체(121) 만을 분리하여 내부의 이물질 등을 털어낼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shutter member 130 is positioned to block between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body 121 and the upper combustion chamber body 122 in the state of FIG. 8 so that the combustion gas combusted in the combustion unit 120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22a. Sealed to be discharged, and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body 121 and the upper combustion chamber body 122 is maintain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up and down. And, as shown in Figure 9, the shutter member 130 is lifted, the shutter member 130 is raised and caught by the locking jaw 122b of the upper combustion chamber body 121, the upper combustion chamber body 121 and the heat dissipation duct 50 Can also be lifted up together. Then, as shown in Figure 9,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body 121 and the upper combustion chamber body 122 is separated, and in this state the combustion combustion residues such as to take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body 121 to the outside of the pellet stove to turn over and stick to the inner bottom. After wiping off, it can be refitted. As such,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body 121 and the upper combustion chamber body 122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using the shutter member 130, so that the heat dissipation duct 50 is not separated from the pellet stove. By separating only the body 121, it is possible to shake off foreign matters.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난로 본체 20..연소유닛
30..펠렛 공급유닛 40..가스 점화유닛
50..방열덕트 60..연소가스 순환유닛
70..연소잔여물 회수유닛 80..연소유닛 지지부
10. stove body 20. combustion unit
30. Pellet supply unit 40. Gas ignition unit
50. Radiation duct 60.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70. Combustion residue recovery unit 80. Combustion unit support

Claims (11)

난로 본체와;
상기 난로 본체의 점화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난로 본체에 연결되는 펠렛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펠렛을 연소시키는 연소유닛과;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소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덕트; 및
상기 방열덕트로 통과하는 연소가스와 열을 상기 점화공간부의 하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연소가스 순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가스 순환유닛은,
상기 방열덕트에 연결되는 제1연결덕트와; 일단이 상기 점화공간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덕트와; 상기 제1 및 제2연결덕트 각각에 연통되도록 상기 난로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챔버와; 상기 제2연결덕트에 설치되는 송풍홴; 및 상기 점화공간부와 상기 제2연결덕트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난로.
Hearth body;
A combustion unit installed in the ignition space of the hearth body and combusting the pellets supplied from the pellet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hearth body;
A heat dissipation duct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to discharge combustion heat to the outside; And
And a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configured to circulate the combustion gas and heat passing through the heat radiation duc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gnition space.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A first connection duct connected to the heat dissipation duct; A second connection duc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gnition space; A connection chamber provided inside the hearth body to communicate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ducts; A blowing fan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ion duct; And a bypass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ignition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유닛으로 공급된 펠렛을 가스불꽃을 이용하여 점화하기 위한 가스 점화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난로.
The method of claim 1,
Pellet stove further comprises a gas ignition unit for igniting the pellets supplied to the combustion unit using a gas fl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유닛은,
하부에 공기 흡입구멍이 형성되고, 상부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연소실 몸체와;
상기 연소실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펠렛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펠렛을 전달받아 상기 연소실 몸체 내부로 안내하는 펠렛 안내부와;
상기 연소실 몸체에 설치되는 투명창; 및
상기 연소실 몸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가스 점화불꽃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되어 급속 가열되는 가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난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bustion unit,
A combustion chamber body having an air suction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n exhaust port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pellet guide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body to receive the pellet supplied from the pellet supply unit and guide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body;
A transparent window installed in the combustion chamber body; And
And a heating wire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body and heated instantly by a gas ignition flame to be rapidly he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순환유닛의 연소가스 순환경로 상에 설치되어 연소가스에 포함된 재와 이물질을 회수하는 연소잔여물 회수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소잔여물 회수유닛은
상기 연결챔버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재 회수용기와;
상기 재 회수용기를 제1 및 제2공간으로 격리하는 격판과;
상기 격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연결덕트 각각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난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bustion residue recovery unit is installed on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path of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to recover the ash 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The combustion residue recovery unit
A resealable container detachably mounted in the connection chamber and having an upper portion open to receive water;
A diaphragm which insulates said reclaim container into first and second spaces;
And a connection pipe installed at the diaphragm to communicate the first and second spaces.
And each of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communicates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duc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몸체는,
하부 연소실 몸체와, 상기 하부 연소실 몸체와 분리 가능하며 상기 방열덕트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상부 연소실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및 상부 연소실 몸체의 외측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승시 상기 하부 및 상부 연소실 몸체가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연소실 몸체와 상기 방열덕트를 동시에 밀어 올릴 수 있는 셔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난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mbustion chamber body,
A lower combustion chamber body and an upper combustion chamber body separable from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body and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heat dissipation duct;
It is further provided to slide up and down outside of the lower and upper combustion chamber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shutter member that can simultaneously push up the upper combustion chamber body and the heat dissipation duct so that the lower and upper combustion chamber body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raised. Featured Pellet St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순환유닛 상에 설치되어 연소가스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난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ilter installed on th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combustion gas.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펠렛 공급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유닛으로 공급할 펠렛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펠렛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난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6 to 8,
And a pellet detecting sensor installed at the pellet supply unit to detect an amount of pellet to be supplied to the combustion unit.
난로 본체와;
상기 난로 본체의 점화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난로 본체에 연결되는 펠렛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펠렛을 연소시키는 연소유닛과;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소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덕트;
상기 방열덕트로 통과하는 연소가스와 열을 상기 점화공간부의 하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연소가스 순환유닛;
상기 점화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연소유닛 지지부; 및
상기 점화공간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스 점화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소유닛 지지부는,
상기 점화공간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상기 가스점화유닛 상에 설치되며, 원통형상을 가지며 측면에 다수의 통기홀을 가지는 하부 지지연통과;
상기 하부 지지연통의 내부 바닥에 지지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며 상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절두원추형 지지체와;
상기 절두원추형 지지체의 상단 테두리와 상기 점화공간부의 하부 사이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원반형의 하부차단부재와;
상기 하부차단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절두원추형 지지체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하는 연소유닛 안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난로.
Hearth body;
A combustion unit installed in the ignition space of the hearth body and combusting the pellets supplied from the pellet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hearth body;
A heat dissipation duct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to discharge combustion heat to the outside;
Combustion gas circulation unit for circulating the combustion gas and heat passing through the heat radiation duc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gnition space;
A combustion unit support unit installed in the ignition space to support the combustion unit; And
And a gas ignition unit installed below the ignition space portion.
The combustion unit support,
A lower support communication unit installed on the gas ignition unit provided below the ignition space,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on a side thereof;
A truncated conical support support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lower support communication, the diameter of which decreases toward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which has an open top;
A disk-shaped lower blocking member installed to block between an upper edge of the truncated cone support and a lower portion of the ignition space;
Pellet stov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bustion unit seating container for passing through the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blocking member seated on the top of the truncated cone suppo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차단부재의 상부와 상기 하부 지지연통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덮는 하부커버와;
상기 연소유닛과 상기 점화공간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난로.
The method of claim 10,
A lower cover connecting and covering an upper end of the lower blocking member and an upper end of the lower support communication;
And an upper cover which covers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and the ignition space.
KR1020120105774A 2012-08-30 2012-09-24 Pelt heater KR10135161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847 2012-08-30
KR20120095847 2012-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205A KR20120125205A (en) 2012-11-14
KR101351612B1 true KR101351612B1 (en) 2014-01-15

Family

ID=4751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774A KR101351612B1 (en) 2012-08-30 2012-09-24 Pelt h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6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350B1 (en) * 2013-03-28 2014-08-22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ellet stove of no chimney
KR20210002048U (en) 2020-03-06 2021-09-15 강보성 Shoes for pressing sole of foot
KR102477780B1 (en) * 2021-01-20 2022-12-14 하영근 Combustion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241A (en) * 2006-02-28 2007-09-13 Kaneko Agricult Mach Co Ltd Wood pellet fuel combustion device
KR20110020977A (en) * 2009-08-25 2011-03-04 용인수 Wood pellet far infrared ray heater
KR20110057902A (en) * 2009-11-25 2011-06-01 주식회사 전주페이퍼 Transport apparatus for a combustion system of solid fu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241A (en) * 2006-02-28 2007-09-13 Kaneko Agricult Mach Co Ltd Wood pellet fuel combustion device
KR20110020977A (en) * 2009-08-25 2011-03-04 용인수 Wood pellet far infrared ray heater
KR20110057902A (en) * 2009-11-25 2011-06-01 주식회사 전주페이퍼 Transport apparatus for a combustion system of solid fu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205A (en)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0723B1 (en) Dry distillation incinerator and dry distillation incinera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US7861707B2 (en) Gravity feed natural draft pellet stove
KR101351612B1 (en) Pelt heater
JP2009085452A (en) Solid biomass-firing compact incinerator for waste plastic to suppress generation of dioxine, and upper structure of chimney
JP2007232241A (en) Wood pellet fuel combustion device
KR101478221B1 (en) Pelt heater
US6945180B1 (en) Miniature garbage incinerator and method for incineration
JP2007255747A (en) Wood pellet fuel combustion apparatus
KR101564844B1 (en) Pellet stove with high efficiency
JP2006242539A (en) Biomass fuel combustion device
DK9700348U3 (en) Stoker stove for wood pellets
KR20120006929A (en) Heater with pellet of fule
KR101658559B1 (en) Heater using pellets
KR101481807B1 (en) A ignition apparatus for pelt heater
KR101431129B1 (en) Non-powered pellet stove
JP4044431B2 (en) Pellet fuel combustion equipment
CN103307637B (en) One is cooked a meal heating stove
GB2530668A (en) Stove
JP2010142161A (en) Hot-air heater for horticultural greenhouse
KR101272062B1 (en) Pellet fan heater
CN210135574U (en) Wood chip particle multifunctional boiler with automatic cleaning function
KR200465794Y1 (en) pellet type heating apparatus
KR102106463B1 (en) Solid fuel combustor having detachable combustion plate
KR100594380B1 (en) Portable industrial waste incinerator
KR20150000221A (en) Nonmotorized Heater using Solid refuse fu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