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458B1 -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부재중 안내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부재중 안내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458B1
KR101351458B1 KR1020070067831A KR20070067831A KR101351458B1 KR 101351458 B1 KR101351458 B1 KR 101351458B1 KR 1020070067831 A KR1020070067831 A KR 1020070067831A KR 20070067831 A KR20070067831 A KR 20070067831A KR 101351458 B1 KR101351458 B1 KR 101351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ptv
missed
authentication
terminal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976A (ko
Inventor
김대건
박수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067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458B1/ko
Publication of KR20090003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13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generating or managing key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04N21/63345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by transmitting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5Multi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신져, 채널 채팅, 부재중 안내 등의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중 부재중 안내를 가입자에게 서비스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과 관련한 프로그램 특정 정보(PSI),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을 멀티플렉싱한 후, 멀티플렉싱된 스트림을 IP 패킷화하여 출력하는 헤드엔드 시스템과 상기 IP 패킷화된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전송받아 가입자에게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 가입자 단말과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는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는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은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제공하는 헤드엔드 시스템과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는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함으로써 상대방이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로 전화를 할 경우에 상기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는 부재중으로 응답하는 효과가 있다.
IPTV, 헤드엔드 시스템, 셋탑 박스, 멀티캐스팅,

Description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IPTV SYSTEM FOR OFFERING IN ABSENTIA AND METHOD FOR OFFERING IN ABSENTI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헤드엔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IPTV 셋탑 박스 내에서 동작되는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의 모듈과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과 관계하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는 셋탑 박스와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 사이에 발생되는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가입자 단말에서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 101: 접속전단서버
102: 접속분배서버 103: 프레젠스 서버
104: 인증 서버 105: 부재중 설정 서버
106: 지능망 연동 서버 215: 네트워크 스위치 시스템
220: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 225: 개인화 인증 서버
20: IPTV 가입자 단말
본 발명은 IPTV 텔레커뮤니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IPTV 가입자 단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신져, 채널 채팅, 부재중 안내 등의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중 부재중 안내를 가입자에게 서비스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에서 제공하는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부재중메시지, 전화통화목록, 문자메시지, 메일보관함, 쪽지보관함 등을 관리하는 메시지함 서비스, 채널을 통해 여러 사람과의 대화를 하는 채널 채팅 서비스, 기념일을 관리하는 가족일정 서비스 및 상대방과 대화를 할 수 있는 메신져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상대방의 유선전화(휴대폰)와 자신의 유선전화(휴대폰)간에 호를 자신의 휴대폰이 아닌 클라이언트와 서버 시스템을 통해 연결시켜주는 전화걸기 서비스, 상대방의 휴대폰에서 자신의 휴대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자신의 휴대폰이 아닌 클라이언트와 서버 시스템을 통해 착신 호를 확인할 수 있는 발신자번호표시 서비스 등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서비스들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가입자가 자신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직접 부재중으로 설정하지 않고,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는 부재중 안내 서비스도 가능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수십 내지 수백 개의 방송 채널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IPTV를 들 수 있다. 상기 IPTV(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는 방송 프로그램 공급자(PP:Program Provider), 지상파, 케이블,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다양한 방송 채널을 헤드엔드 시스템과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IPTV 가입자 단말(셋탑 박스)로 전송하여 셋탑 박스에 연결된 TV 화면을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PTV 헤드엔드 시스템은 다양한 콘텐츠와 관련한 방송채널을 제공하고 있지만, 앞서 설명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텔레커뮤니케이 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IPTV 헤드엔드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제공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IPTV 헤드엔드 시스템과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포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 수행하는 서버,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연동하여 가입자 유선전화나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전송하는 IPTV 헤드엔드 시스템과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포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여 가입자에게 자신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제공 시스템 및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IPTV 가입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부재중 안내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탈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방송 시스템과; IP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과 리턴 채널로 연결되고,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부터 발생된 상기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으며, 상기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이용한 가입자의 로그(log) 정보와 시작/종료시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과; 상기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고,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키(Unique Key, UK)를 생성하여 상기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 및 IP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개인화 인증 서버; 및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여 상기 IPTV 가입자 단말에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 특정 정보(PSI) 및 상기 포탈화면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한 후, 전송 스트림을 IP 패킷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 시스템과; 상기 다중화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IP 패킷화한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IP 네트워크를 통해 IPTV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스위치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특정 정보(PSI)는 PSI Repository에 저장된 채널정보, 등급정보, 스케쥴링 정보 등을 가공하여 PSI/SI Generator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은 IPTV 가입자 단말 내의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상기 IPTV 가입자 단말과 접속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접속전단 서버와; 상기 접속전단 서버와 연계되어 가입자의 로그인 및 로그아웃을 처리하고, 이에 따른 접속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프레젠스 서버와; IPTV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IPTV 가입자 단말의 인증 또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가입자 개인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서버와;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되도록 IPTV 가입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부재중 안내 설정메뉴를 클릭함에 따라 발생된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부재중 설정 서버; 및 상기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전송받아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부재중 안내 설정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지능망 시스템과 연동되어 부재중 안내 호처리 메시지를 출력하는 지능망 연동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능망 연동 서버는 상기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에 의한 부재중 안내 설정 결과에 대한 부재중 안내 설정 결과 메시지를 응답으로 IPTV 가입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요청 메시지는 단말인증이거나 개인인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은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IPTV 가입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a) 가입자의 IPTV 가입자 단말이 IPTV 네트워크 및 리턴패스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단말인증을 요청하면, 개인화 인증 서버가 단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b) IPTV 헤드엔드 시스템이 IPTV 가입자 단말로 IPTV 네트워크를 통하여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제공하는 단계와; (c) 상기 제공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로부터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 스가 선택되면, 개인화 인증 서버가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d) 부재중 설정 서버가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되도록 IPTV 가입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부재중 안내 설정메뉴를 클릭함에 따라 발생된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e) 지능망 연동 서버가 상기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전송받아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부재중 안내 설정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지능망 시스템과 연동되어 부재중 안내 호처리 메시지를 출력하는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a)의 단말 인증은 (a1) 개인화 인증 서버가 IPTV 단말로부터 그 단말의 아이디(SAID)가 포함된 단말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SAID에 해당하는 단말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와; (a2)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부터 상기 SAID 및 단말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수신하면, 인증을 수행하고 결과를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와; (a3)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면, 로그인을 수행하고 결과를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인증은 IPTV 가입자 단말이 부팅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c)의 단말 인증은 (c1)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인화 인증 서버가 IPTV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 단말의 아이디(SAID) 및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개인인증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가 포 함된 개인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SAID 및 PIN에 해당하는 개인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와; (c2)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부터 상기 SAID 및 개인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수신하면, 인증을 수행하고 결과를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와; (c3)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면, 로그인을 수행하고 결과를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c2)에서 수신된 인증요청에는 IPTV 가입자 단말 부팅 후 최초의 개인 인증 요청일 경우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능망 연동 서버는 상기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의 응답으로 부재중 안내 설정 결과에 대한 부재중 안내 설정 결과 메시지를 상기 부재중 설정 서버를 통하여 셋탑 박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능망 시스템은 상기 부재중 안내 호처리 메시지를 수신받아 가입자의 유선 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도록 호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가입자 단말에서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은 헤드엔드 시스템으로부터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전송받고,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는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는 셋탑 박스를 포함 하여 발생되는 것으로서, (a) 단말인증모듈이 셋탑 박스의 아이디(SAID)가 포함된 단말인증 요청 메시지를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개인화 인증 서버로 송신하고, 그 SAID에 해당하는 단말 인증키를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b) 단말인증모듈이 상기 SAID 및 단말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인증 서버로 송신하고 단말 인증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c) 단말인증모듈이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로그인 요청을 프레젠스 서버로 요청하고 로그인을 수행 결과를 상기 프레젠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d)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 수신모듈이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헤드엔드 시스템으로부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받는 단계와; (e) 개인인증모듈이 셋탑 박스의 아이디(SAID) 및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개인인증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가 포함된 개인인증 요청 메시지를 리터 패스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개인화 인증 서버로 송신하고, 그 SAID 및 PIN에 해당하는 개인 인증키를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f) 개인인증모듈이 상기 SAID 및 개인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인증 서버로 송신하면 개인 인증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g) 개인인증모듈이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로그인 요청을 프레젠스 서버로 요청하면 로그인을 수행 결과를 상기 프레젠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h) 부재중 안내 설정모듈이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도록 부재중 안내 설정메뉴를 클릭함에 따라 발생된 제 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부재중 안내 설정 결과에 대한 부재중 안내 설정결과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IPTV 가입자 단말 내에서 수행되고,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면서 가입자에게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포함하는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 텔레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으로서, 상기 IPTV 텔레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는 IPTV 가입자 단말 부팅시 실행되어, 단말인증 과정을 수행하며,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각 서비스의 제어를 담당하는 커뮤니케이션 메인 모듈과; IPTV 가입자가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선택시에 단말인증을 수행하는 단말인증모듈과; IPTV 가입자가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중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선택시에 개인 인증을 수행하는 개인인증모듈; 및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는 부재중 안내 설정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부재중 안내 설정모듈은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도록 부재중 안내 설정메뉴를 클릭함에 따라 발생된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출력하는 부재중 안내 설정 출력모듈과; 상기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부재중 안내 설정 결과에 대한 부재중 안내 설정결과 메시지를 전송받는 부재중 안내 설정 수신모듈과; 상기 부재중 설정 출력모듈과 부재중 설정결과 수신모듈을 제어하는 부재중 안내 설정 제어모듈을 포함한 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 및 관련되는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IPTV 헤드엔드 시스템(200),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 IP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IPTV 헤드엔드(Head-end) 시스템(200)은 프로그램 공급자(PP), 데이터 공급자(DP), 지상파 공급자 또는 IPTV 콘텐츠 제공자(CP) 등, 각 방송 컨텐츠 공급자(10)로부터 공급되는 방송 콘텐츠 및, 그 방송 콘텐츠들에 대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를 IPTV 시청자의 셋탑 박스(STB)로 송출하는 시스템으로서, 특히 상기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위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과 관련한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포탈화면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포탈화면 데이터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가 포함된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과 관련한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다.
IPTV 헤드엔드 시스템(200)은 프리미엄망(300)의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Gigabit 이상의 고속 라우터 및 L3 스위치를 경유하여 가입자 스위치(L3 스위치, 350), 가입자 집선장치(xDSL 집선장치, DSLAM 또는 FES(Fast Ethernet Switch, 360)를 통해 방송 콘텐츠 및 EPG 정보,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과 관련한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포함한 포탈화면 데이터를 해당 채널에 조인된 다수의 가입자의 IP 셋탑박스(20)로 전송한다. IPTV 헤드엔드 시스템(200)에 대하여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멀티캐스팅 라우팅 프로토콜은 PIM-SM (Protocol Indentpendent Multicast-Sparse Mode) 프로토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DVMRP(Distance Vector Multicast Routing Protocol), MOSPF(Multicast Extensions to OSPF), CBT(Core Based Tree), 및 PIM-DM(Protocol Independent Multicast-Dense Mode) 중 어느 하나의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IP 네트워크는 유니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P 백본 네트워크(IP Backbone), 가입자망(예:Ethernet, xDSL, HFC, FTTC, FTTH), IPTV 가입자 단말(20)로 구성된다.
IP 백본 네트워크에는 프리미엄 망(300)과, 그 안의 랑데뷰포인트(Rendezvous Point, RP, 310)와 프리미엄 에지(Premium Edge, PE) 라우터(320)를 포함한 각 라우터, 매트로 스위치(L3 스위치, 330), N-Topia 스위치(L3 스위치, 340)(N-Topia: UTP가 포설된 집단 건물에 설치된 LAN 장비를 통해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하는 서비스), 가입자 스위치(L3 스위치, 350)를 포함한다. 이러한 Layer 3 네트워크 장비는 각각 PIM-SM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IPTV 가입자 단말(20) 및 가입자 집선장치(360)는 각각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IGMP Snooping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가입자 집선장치(360)에는 xDSL 집선장치, DSLAM, 또는 FES(Fast Ethernet Switch)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프리미엄 망(300)의 상기 랑데뷰 포인트(310)는 다수의 멀티캐스트 그룹(multicast group)에 대한 PIM Join 리스트와 PIM Prune(해제) 리스트를 관리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포함한 방송채널이 멀티캐스트 그룹(multicast group)에 해당하므로 다수의 방송채널 별로 Join 리스트 및 Prune 리스트를 관리하게 된다.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는 방송채널의 선택/해제를 요청하는 IPTV 가입자 단말(20)과 이 요청을 받아들이는 Layer 3 네트워크 장비(예:가입자 스위치(350))사이에 사용된다.
IGMP Snooping 프로토콜은 채널 선택/해제를 요청하는 가입자의 IP 셋탑 박스(20.1 ... 20.N)와 이 요청을 받아들이는 Layer 3 장비(예:가입자 스위치(350) 사이에 위치한 Layer 2 장비(예:가입자 집선장치(360))에서 구동되는 프로토콜로써, IGMP Snooping 프로토콜이 구동된 Layer 2 장비(가입자 집선장치(360))는 IP 셋탑 박스(20.1 .. 20.N)와 Layer 3 네트워크 장비간 IGMP 송수신 메시지를 인식하여, 채널 요청을 한 가입자의 IP 셋탑 박스(20.1..20.N)로만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포함한 방송채널을 전송한다.
상기 가입자망은 Layer 2 장비(예:가입자 집선장치(360))와 IPTV 가입자 단말(20)간의 망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H(Fiber To The Home) 구조 중 어느 하나의 토폴리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IPTV 가입자 단말(20)은 , IP 셋탑박스(20.1 .. 20.N, STB)가 내장된 TV, 또는 가입자의 TV와 연결된 IP 셋탑 박스(20.1 .. 20.N), 컴퓨터, 노트북, 또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IPTV 가입자 단말로서, IP 셋탑 박스가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며, 부호 20으로 동일하게 한다.
IP 셋탑 박스(20)는 CPU, 미디어 프로세서, 플래시램, 이더넷 모듈 등의 STB 하드웨어로 구성된 하드웨어 계층,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운영 체제를 포함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계층, 자바 버추얼 머신(JVM:Java Virtual Machine), JNI(Java Network Interface), ACAP API(ACAP-J, ACAP-X API)(Java TV, Havi UI, JMF, DAVIC, CA Interface), 수신 제한 시스템(CAS:Conditional Access System) 모듈 또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인터페이스 모듈, IP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API(Navigator, Audio streaming API, VOD, Flash player, HDS Client, SSO Client), 스트리밍 프로토콜(RTP,RTSP)을 탑재한 미들웨어 계층, MPEG2, MPEG4, MPEG7, H.264, WMV-9, 기타 코덱 등의 다양한 멀티 코덱(Multi Codec)을 지원하며 전자프로그램 가이드(EPG) 클라이언트, 시간이동 방송 서비스 사용을 위한 웹 브라우저 또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4계층을 포함한다. 가입자의 IP 셋탑 박스(20)는 IPv4 주소 또는 IPv6 주소가 할당된다.
상기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은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여 상기 IPTV 가입자 단말에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제공 한다. 상기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에 대하여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후의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헤드엔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헤드엔드 시스템(200)은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IPTV 가입자 단말에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데이터 방송 시스템(235), 다중화 시스템(210), 네트워크 스위치 시스템(215),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220) 및 개인화 인증 서버(225), 미디어 관리 시스템(240)을 포함하며, 부가적으로, 헤드엔드 시스템(200)은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베이스 밴드 시스템(205), 가입자의 연령에 따라 프로그램을 제한하는 수신제한 시스템(245), 가입자에게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 만큼 과금하는 과금처리 시스템(2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방송 시스템(235)은 기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과 관련한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포함한 포탈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며, 아울러,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과 관련한 프로그램 특정 정보(PSI) 및 부가서비스 정보(SI)를 더 생성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방송 시스템(235)은 PSI Repository, PSI 생성기, SI 생성기를 포함한다.
상기 PSI Repository는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프로그램 편성, 제작 및 채널 관리하는 미디어 관리 시스템(MOC;Media Operation Core, 240)으로부터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대한 EPG 정보, 채널정보, 등급정보, 스케쥴링 정보 등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상기 PSI 생성기는 PSI Repository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관련한 EPG 정보, 채널정보, 등급정보, 스케쥴링 정보 등을 가공하게 되는데, 즉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국제표준 규격에 따라 PSIP 테이블, DVB-SI 테이블, PSI 테이블, ACAP 데이터 방송과 관련한 테이블 등으로 가공한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정보를 생성하여 다중화 시스템(210)으로 공급한다.
상기 SI 생성기는 PSI Repository에 저장된 부가서비스와 관련한 EPG 정보, 채널정보, 등급정보, 스켈쥴링 정보 등을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국제표준 규격에 따라 개인 섹션(Section) 테이블 및 SI 데이블 등으로 가공한 SI(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다중화 시스템(210)으로 영상 및 음성 신호가 더 공급되는데, 이는 베이스 밴드 시스템(210)으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베이스 밴드 시스템(205)은 기본적으로 지상파 등의 방송 신호를 각각 DS-3 광단국, 야기 안테나, IRD(Integrated Receiver Decoder)로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Tuner), 수신된 원래(Source) 신호를 SDI 신호로 변환 및 보정하고 프레임을 동기화하기 위한 프레임 동기화기(Frame Synchronizer), 운용 관리를 위해 모든 방송 신호 채널을 연결/집중화하는 A/V 라우터 등의 신호 분배기, 상기 SDI 신호에 광고, 로고, 자막을 삽입하여 신호를 편집하고 가공하는 자막 생성기(character generator)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밴드 시스템(205)은 프로그램 공급자(PP)로부터 공급되는 MPEG-2 방송신호, 또는 지상파로부터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신호를 SDI(Serial Digital Interface) 신호로 변환하여 프레임(Frame)을 동기화하며, 루틴 스위처(Routine Switcher)를 통해 다수의 방송 채널(예:100 채널)의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들로 분배하여 다중화 시스템(210)으로 공급한다. 이때, 베이스밴드 시스템(205)은 자막 생성기(CG) 및 자동 프로그램 제어기(APC:Automatic Program Controller)에 의해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에 광고, 로고, 또는 자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DI(Serial Digital Interface) 신호는 270Mbps의 전송률을 가진 디지털 신호 표준안으로써 콤포지트 디지털 영상과 4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중화 시스템(210)은 베이스밴드 시스템(205)으로부터 출력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방송 채널 별로 각각 A/V 인코더(A/V Encoder)에 의해 SDI 영상 신호를 H.264로 압축하고, 음성 신호를 MPEG-2 AAC로 압축하여 MPEG-2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패킷으로 포맷 변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다중화 시스템(210)은 데이터 방송 시스템(235)으로부터 생성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과 관련한 프로그램 특정 정보(PSI),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포함한 포탈화면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한 후,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과 관련한 스트림을 IP 패킷화하여 출력하고, 이를 네트워크 스위치 시스템(215)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다중화 시스템(210)은 IPTV 가입자 단말(20)에서 텔레커뮤니케이 션 채널을 제공받도록 가입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모자익(Mossic) EPG에 대한 모자익 데이터(Mosic Data)를 더 다중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 시스템(215)은 PIM-SM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Register 메시지를 랑데뷰 포인트(RP)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랑데뷰포인트(RP)로부터 JOIN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 시스템(150)으로 수신받아 패스(path)를 설정하는 랑데뷰 포인트(RP)에 등록 과정이 이루어진다.
IP 네트워크에는 랑데뷰 포인트(RP,310)와 Metro Switch(330), N-Topia Switch(340) 및 가입자망에 형성된 L3 스위치인 가입자 스위치(350)와 L2 스위치인 가입자 집선장치(360)가 형성되는데 이는 도 1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이에 따라, 도 1에서 전술한 PIM-SM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 및 PIM-SM JOIN/PRUNE을 사용한 상기 IP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스위치 시스템(215)으로부터 수신된 IP 패킷화되어 전송 스트림화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포함한 방송 채널들을 멀티캐스팅 방식으로 IPTV 전용망(백본망)인 L3 스위치가 위치한 랑데뷰 포인트(RP,170)까지 먼저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랑데뷰 포인트(RP,310)의 라우터까지 IP 패킷화되어 전송 스트림화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포함한 다수의 방송채널을 IPTV 가입자 단말(20)로 전송하는 방법은 2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 L3 스위치인 가입자 스위치(350)는 랑데뷰 포인트(RP)의 라우터(310)로 Static Join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랑데뷰 포인트(RP,310)로부 터 IP 패킷화하여 저장된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가입자 스위치(350)에서 전송받는다. 물론, 가입자 스위치(350)는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만이 전송받는 것이 아니라 공중파 방송 채널 및 다양한 콘텐츠에 따른 방송채널을 모두 전송받는다.
두 번째, IPTV 가입자 단말(20)은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선택/해제함에 따라 발생된 IGMP JOIN/LEAVE 메시지를 가입자 집선장치(360)와 가입자 스위치(350)로 전송하고, 연이어 가입자 스위치(350)에 의해 PIM-SM JOIN/PRUNE 메시지를 전송하여 랑데뷰 포인트(RP)에 저장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가입자 스위치(350)에서 전송받는다. 물론, 가입자 스위치(350)는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만이 전송받는 것이 아니라 공중파 채널 및 다양한 콘텐츠에 따른 방송채널을 모두 전송받는다.
이에 따라, 상기 두 방법에 의한 IP 네트워크는 IPTV 가입자 단말(20)로부터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선택/해제함에 따라 발생된 IGMP JOIN/LEAVE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포함한 방송채널을 IPTV 가입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관리 시스템(240)은 방송 업무를 운영하기 위한 각종 비즈니스 프로세스 정보(프로그램 편성 정보, 소재 정보, 계약 정보, 상품 정보 등)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 콘텐츠 및 미디어 관리 정보, 프로그램 공급자(PP)와 콘텐츠 공급자(CP)의 계약 정보, 상품 정보를 관리하고, 방송 센터의 중앙에서 각 시스템들과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정보 흐름을 통합 관리하 는 중재자(Coordinator)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미디어 관리 시스템(240)은 획득(Acquisition) 측면에서 계약 관리, 미디어 및 콘텐츠 메타데이타(meta data) 관리, 텔레커뮤니케이션 콘텐츠와 관련한 방송 스케쥴 정보인 EPG 정보 획득/관리, 운영(operation) 측면에서 실시간 방송 및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 편성 관리, 분석(Analysis) 측면에서 CP/CA와의 정산, 가입자 시청 성향 등의 마케팅 분석 리포팅 관리, 송출(Delivery) 측면에서 CP/CA와의 정산을 위한 송출 결과 기록/관리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미디어 관리 시스템(240)은 데이터 방송 시스템(235), 프로그램 제공업체(Program Provider; PP)/콘텐츠 제공업체(CP), 백오피스 시스템 등과 연동되므로 전술한 각각의 관리에 따른 정보 및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각 서브시스템과의 데이터 동기화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미디어 관리 시스템(240)은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의 EPG 정보뿐만 아니라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의 프로그램 특정 정보 및 부가 서비스 정보와 관련한 채널정보, 등급정보, 스케쥴링 정보 등을 추출하여 데이터 방송 시스템(235)으로 전송한다.
상기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220)은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포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한 가입자의 사용 시작/종료 시간 및 IPTV 가입자 단말(20)을 이용한 로그(log) 정보를 기록하고,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양방향 데이타를 처리하며, IPTV 가입자 단말(20)로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온라인 청구서 전달, 과금처리 시스템(250)과 연동하여 양방향 데이타의 이용 내역/과 금 연동 처리를 제공하며, 양방향 데이타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타를 유니캐스팅 방식에 의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IPTV 가입자 단말(20)로 전송한다.
특히,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220)은 IP 네트워크를 통해 IPTV 가입자 단말(20)과 리턴 채널로 연결되고,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포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인증 요청 메시지가 IPTV 가입자 단말(20)로부터 발생되어 IP 네트워크 및 네트워크 스위치 시스템(215)을 통해 전송받는다.
상기 개인화 인증 서버(225)는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포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거치는 서버로서, IPTV 가입자 단말(20)로부터 전송된 인증 요청 메시지를 IP 네트워크, 네트워크 스위치 시스템(215) 및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220)을 통해 전송받고,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키(Unique Key, UK)를 생성하여 상기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220), 네트워크 스위치 시스템(215) 및 IP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20)로 전송한다. 이때,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220)은 인증키를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IP 네트워크를 통해 IPTV 가입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요청 메시지는 단말인증이거나 개인인증이다. 인증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EPG 제공 시스템(230)은 셋탑 박스(20.1 .. 20.N)로 EPG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255)은 관제 시스템으로, IPTV 방송을 위한 A/V 방송 신호의 송출 장애, IPTV 헤드엔드 시스템(200)의 다운 링크를 모니터링하여 수신 장애 등을 모니터링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접속전단 서버(101), 접속분배 서버(102), 프레젠스 서버(103), 인증 서버(104), 부재중 설정 서버(105) 및 지능망 연동 서버(106)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요소와 연관된 헤드엔드 시스템(200)의 개인화 인증 서버(225),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220) 및 네트워크 스위치 시스템(2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정보통신망은 IPTV 전용망인 IP 네트워크 망과 일상의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개인화 인증서버(225) 및 리턴 패스(Return Path) 서버(220)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하였듯이 IPTV 헤드엔드 시스템(200)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며,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의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개인화 인증서버(225)는, IPTV 가입자 단말(20) 상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과 통신하는 프로그램인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에 의해 인증을 요청받고 인증키(Unique Key, UK)를 생성해 준다. 인증에는 IPTV 가입자단말(20)의 아이디(SAID)를 기준으로 하는 단말인증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개인의 개인인증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에 의한 PIN 인증이 있다. IPTV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따라 단말인증만으로 서비스할 것인지 PIN 인증까지 할 것인지는 미리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 역시 두 가 지 중에 선택할 수 있으나, 자신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할 경우에 PIN 인증까지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선전화의 전화번호와 같이, 가족이 공통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PIN 인증이 제외될 수 있다.
상기 개인화 인증 서버(225)는, 단말인증시 상기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로부터 SAID가 포함된 인증요청정보를 받고 이로부터 인증키(Unique Key, UK)를 생성하여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로 보내주며, 개인인증시에는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로부터 SAID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PIN이 포함된 인증요청정보를 받고 이로부터 인증키(Unique Key, UK)를 생성하여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로 보내주게 된다. 해당 SAID, 또는 SAID와 PIN에 해당하는 UK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그 UK를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로 보내준다.
상기 리턴 패스(Return Path) 서버 시스템(220)은 IPTV 가입자 단말(20)로부터 발생된 인증요청 메시지를 개인화 인증 서버(225)로 전송해주며, 개인화 인증 서버로(225)로부터 발생된 인증키를 IPTV 가입자 단말(20)로 전송해준다.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제공 시스템(230)에 의해 제공된 EPG 정보에 의해 구현된 전자프로그램 가이드(EPG)를 통해 보다 쉽게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나,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전송받아 구현된 텔레커뮤니케이션 메인 메뉴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설정 메뉴를 통하여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전단 서버(101)는 IPTV 가입자 단말(20) 상의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와 접속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한다. 상기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는 IPTV 단말 부팅시 전술한 단말인증을 상기 개인화 인증서버(225)에 요청하게 되는데 이후 인증과정 후 로그인 되었을 때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과 IPTV 가입자 단말(20)의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 간에는 메인 세션이 설정된다. 이와 같은 메인 세션을 통하여, PIN 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 서비스가 이용가능해진다. 또한 PIN 인증(개인 인증)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 선택시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PIN으로부터 PIN 인증을 거친 후 로그인 되었을 때 서비스 세션(예를 들어, 부재중 세션 등)이 설정되고 그와 같은 서비스가 이용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메인 세션, 서비스 세션 등의 설정과 유지가 상기 접속전단 서버(101)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분배 서버(102)는 특정 IPTV 가입자 단말(20)에 대하여, 다수의 접속전단 서버(101.1 내지 101.N) 중 적절한 위치에 있는 서버에 접속되도록 해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프레젠스 서버(103)는 상기 접속전단 서버(101)와 연계되어 가입자의 로그인 및 로그 아웃을 처리하고, 이에 따른 접속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의 로그인을 처리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의 프레젠스(Presence), 즉 접속상태를 관리할 수 있으며, 그러한 프레젠스 상태를 저장하는 프레젠스 데이터베이스(106)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인증 서버(104)는 전술한 개인화 인증 서버(225)에서 생성한 인증키(Unique Key, UK)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IPTV 가입자 단말 아이디(SAID)를 이용한 인증, 즉 단말인증에 있어서의 UK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고, 개인인증이 필요한 서비스에 있어서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개인인증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를 이용한 PIN 인증에 있어서의 UK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부재중 설정 서버(105)는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되도록 IPTV 가입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부재중 안내 설정메뉴를 가입자가 클릭함에 따라 발생된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출력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에는 가입자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 유선전화(집전화)의 전화번호 등과 같이 부재중으로 설정할 수 있는 부재중 안내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능망 연동 서버(106)는 지능망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부재중 설정 서버(105)와 지능망 시스템(미도시) 사이에 형성되는 서버로서, 상기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전송받아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부재중 안내 설정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07)에 저장하고, 지능망 시스템(미도시)과 연동되어 부재중 안내 호처리 메시지를 출력하여 지능망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한다.
상기 지능망 시스템(미도시)은 이동통신 시스템 및 유선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지능망으로서, 상기 부재중 안내 호처리 메시지를 수신하여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한다. 상기 지능망 시스템(미도시)은 일반적인 시스템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IPTV 셋탑 박스 내에서 동작되는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의 모듈과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과 관계하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는 단말인증 모듈(22), 개인인증모듈(23), 부재중 안내 설정모듈(24), 커뮤니케이션 메인 모듈(25)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인증 모듈(22)은 셋탑 박스의 아이디(SAID)가 포함된 단말인증 요청 메시지를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의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220)을 통하여 개인화 인증 서버(225)로 송신하면, 그 SAID에 해당하는 단말 인증키를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220)을 통하여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단말인증 모듈(22)은 상기 SAID 및 단말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의 인증 서버(104)로 송신하면 인증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인증 서버(104)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단말인증 모듈(22)은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로그인 요청을 프레젠스 서버(103)로 요청하면 로그인을 수행 결과를 상기 프레젠스 서버(103)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개인인증모듈(23)은 IPTV 셋탑 박스(20)의 아이디(SAID) 및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개인인증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가 포함된 개인인증 요청 메시지를 리터 패스 서버 시스템(220)을 통하여 개인화 인증 서버(225)로 송신하면, 그 SAID 및 PIN에 해당하는 개인 인증키를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220)을 통하여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개인인증모듈(23)은 상기 SAID 및 개인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의 인증 서버(104)로 송신하면 인증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인증 서버(104)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개인인증모듈(23)은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로그인 요청을 프레젠스 서버(103)로 요청하면 로그인을 수행 결과를 상기 프레젠스 서버(103)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부재중 안내 설정모듈(24)은 부재중 안내 설정 출력모듈과 부재중 안내 설정 제어모듈, 부재중 안내 설정 수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부재중 안내 설정 출력모듈은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도록 부재중 안내 설정메뉴를 클릭함에 따라 발생된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부재중 안내 설정 수신모듈은 상기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부재중 안내 설정 결과에 대한 부재중 안내 설정결과 메시지를 전송받아 가입자가 볼 수 있는 아이콘 형태로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부재중 안내 설정 제어모듈은 상기 부재중 설정 출력모듈과 부재중 설정결과 수신모듈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메인 모듈(25)은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과 메인 세션을 설정한 후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700)의 각 서비스 모듈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 메인 모듈(710)은 IPTV 단말(20)에서 IPTV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선택될 경우 구동되거나, IPTV 단말(20)의 부팅시 구동되어 단말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화 인증서버(225)에 단말 인증 을 요청하고, 인증 서버(104)에 의한 인증통과 후 로그인을 요청하여 로그인 되면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과 접속전단 서버(101)를 통하여 메인 세션이 설정된다. 개인인증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의 입력이 필요없는 IPTV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이러한 메인 세션의 설정만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PIN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개인화된 서비스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PIN을 입력했을 때, 예를 들어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선택하고 PIN을 입력했을 때에도, 상기 커뮤니케이션 메인 모듈(25)은 역시 PIN 인증을 개인화 인증서버(225)에 요청하고, 인증 서버(104)에 의한 인증통과 후 로그인을 요청하여 로그인 되면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과 접속전단 서버(101)를 통하여 부재중 세션이 설정되게 된다. 이는 앞서 언급한 메인 세션과는 별도로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위하여 설정되고 유지되는 세션이다.
이와 같이 커뮤니케이션 메인 모듈(25)은 단말인증 및 개인인증을 수행하여 메인 세션 및 부재중 세션을 설정할 뿐 아니라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가 수행하는 각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메신져 서비스, 발신자번호표시 서비스, 전화걸기 서비스 등..)를 위한 각 모듈의 구동 및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컨(30) 등을 통하여 IPTV 가입자 단말(20)에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IPTV 단말(20) 내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 모듈인 옵저버(Observer) 모듈(미도시)이 입력된 요청을 인식하고, 옵저버 모듈은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의 커뮤니케이션 메인 모듈(25)을 구동한다.
따라서, 구동된 커뮤니케이션 메인 모듈(25)은 PIN 인증을 수행하고, 부재중 안내서비스를 위한 부재중 제어부(미도시)를 구동하여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 수신모듈(21)은 메신져 서비스, 문자/카드 서비스, 가족일정 서비스, 메시지함 서비스, 채널 채팅 서비스, 부재중 안내 서비스 등과 관계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과 연동된 IPTV 헤드엔드 시스템(200)으로부터 IPTV 가입자 단말에서 원활하게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포탈 화면 데이터를 전송받아 구현됨으로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과정은 먼저, IPTV 가입자 단말(20)이 부팅되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20)은 개인화 인증 서버(225)로 단말인증을 요청하여 인증과정을 시작한다(S501). 도 4에서 전술하였듯이 인증과정은 상기 IPTV 가입자 단말(20) 내에서 수행되는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의 커뮤니케이션 메인 모듈(25)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SAID 요청에 포함되는 정보에는 상기 IPTV 가입자 단말의 아이디인 SAID와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현재는 커뮤니케이션 메인모듈(25)만이 수행되고 있으므로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IPTV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된다. 개인화 인증 서버(225)는 상기 SAID와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해당하는 인증키(Unique Key, UK)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존재하면 그 UK를 리턴해 주고, 없을 경우에는 새로 UK를 생성하여 IPTV 단말(20)로 전송해준다.(S502). 상기 IPTV 가입자 단말(20)의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는 접속할 접속전단 서버 정보를 접속분배서버(102)로 요청한다(S503). 이때 UK, SAID 등을 암호화 할 "seed값"을 상기 접속분배 서버(102)로 요청할 수 있다(S503). 접속분배 서버(102)는 상기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접속전단 서버 정보를 보내주며(S504), 상기 "seed값"요청이 있었을 경우는 "seed값"을 생성해서 함께 보내줄 수도 있다(S504).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는 상기 "seed값"을 이용하여 UK, SAID 등을 암호화한 키를 생성하여 그 값을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시스템(500)의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인증을 담당하는 인증 서버(104)로 보내어 인증을 요청하고(S505), 인증서버(104)는 수신한 키 값을 검증하여 결과를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700)에게로 보낸다(S506). 인증이 통과된 경우,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는 SAID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요청하고(S507), 이를 수신한 접속전단서버(101)는 그 로그인 요청을 다시 프레젠스 서버(103)로 전달한다(S508). 로그인 결과가 접속전단 서버(101)을 거쳐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에게로 보내지고(S509,S510) 로그인이 통과되었으면,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와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 간에는 접속전단 서버(10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메인 세션이 형성된다. 메인 세션은 SAID로 관리된다.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중 개인 인증 없이 서비스되는 것으로 설정된 서비스의 경우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메인 세션이 설정된 상태에서, 그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즉, 이 경우, 후술하는 단계 S511 내지 S521은 거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의 경우에는 개인 인증을 거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선택시, 이용자는 개인인증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를 입력하고 PIN 인증과정을 거치게 된다.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이용자가 선택하여 PIN을 입력했을 때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메인 모듈(25)은 PIN인증을 개인화 인증 서버(225)에 요청한다(S511). 상기 PIN 인증요청에 포함되는 정보에는 상기 IPTV 단말의 아이디인 SAID와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함께 이용자가 입력한 PIN이 포함된다. 개인화 인증 서버(225)는 상기 SAID와 어플리케이션 정보 및 PIN에 해당하는 인증키(Unique Key, UK)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존재하면 그 UK를 리턴해 주지만 없을 경우에는 새로 UK를 생성하여 IPTV 단말(20)로 그 UK를 리턴해 준다(S512).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700)는 그 UK, SAID 등으로 암호화한 키를 생성하여 그 값을 인증서버(104)로 보내어 인증을 요청하고(S513), 인증 서버(104)는 수신한 키 값을 검증하여 결과를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에게로 보내준다(S514).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는, 처음 서비스 이용시에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자로부터 입력받아(S515), 인증 서버(104)에 인증을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며(S516,S517) 통과시에는 접속전단 서버(101)를 통하여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위한 로그인을 요청하고(S518,S519), 프레젠스 서버(103)는 로그인 결과를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로 보내준다(S520,S521). 로그인이 통과되면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와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 간에는 접속전단 서버(101)를 통하여 부재중 세션이 형성되어 부재중 안내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는 셋탑 박스와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 사이에 발생되는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는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되도록 IPTV 가입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부재중 안내 설정메뉴를 클릭함에 따라 도 4에서 설명한 부재중 안내 설정모듈이 동작하게 되는데, 상기 부재중 안내 설정모듈(24)은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의 부재중 안내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부재중 안내설정 메시지를 접속전단 서버(101)를 통하여 부재중 설정 서버(105)로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부재중 설정 서버(105)는 상기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제어하여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출력하여 지능망 연동 서버(106)로 송신한다.
상기 지능망 연동 서버(106)는 상기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전송받아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부재중 안내 설정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부재중 안내 호처리 메시지를 지능망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지능망 시스템은 호처리를 수행하여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고, 설정한 결과를 부재중안내 호처리 확인 메시지를 지능망 연동 서버(106)로 전송한다. 상기 지능망 연동 서버(106)는 부재중으로 설정한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정보를 저장하고, 부재중 안내 설정 결과 메시지를 부재중 설정 서버(105) 및 접속 전단 서버(101)를 통하여 셋탑 박스(20) 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가입자 단말(20)은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지능망 시스템(미도시)에서 부재중으로 설정함으로써 상대방이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로 전화를 할 경우에 상기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는 부재중으로 응답하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은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IPTV 가입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서, (a) 단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600), (b)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제공하는 단계(S610), (c)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620), (d)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S630), (e)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전송받아 부재중 안내 설정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부재중 안내 호처리 메시지를 출력하는 하는 단계(S640)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S600)의 단말인증은 가입자의 IPTV 가입자 단말이 IPTV 네트워크 및 리턴패스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단말인증을 요청하면, 개인화 인증 서버가 단말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계(a)(S600)의 단말인증은 IPTV 가입자 단말이 부팅될 때, 이루어지며, (a1) 단말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 인증키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S601), (a2) SAID 및 단말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수신하면 인증을 수행하고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S602), (a3)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면 로그인을 수행하고,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S60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계 (a1)(S601)는 개인화 인증 서버(225)가 IPTV 가입자 단말(20)로부터 그 단말의 아이디(SAID)가 포함된 단말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SAID에 해당하는 단말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IPTV 가입자 단말(20)로 송신한다. 이후, 상기 단계 (a2)(S602)는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20)로부터 상기 SAID 및 단말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수신하면, 인증을 수행하고 결과를 상기 IPTV 가입자 단말(20)로 송신한다. 이후, 상기 단계 (a3)(S603)는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20)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면, 로그인을 수행하고 결과를 상기 IPTV 가입자 단말(20)로 송신한다.
이후, 단계 (b)(S610) IPTV 헤드엔드 시스템(200)이 IPTV 가입자 단말(20)로 IPTV 네트워크를 통하여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제공한다. 이후, 단계 (c)(S620)는 개인화 인증 서버(225)가 상기 제공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로부터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계(c)(S620) 인증은 (c1) 개인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SAID 및 PIN에 해당하는 개인 인증키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S621), (c2) SAID 및 개인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수신하면, 인증을 수행하고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S622), (c3)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면, 로그인을 수행하고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S6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계 (c1)(S621)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의 개인화 인증 서버(225)가 IPTV 가입자 단말(20)로부터 그 단말의 아이디(SAID) 및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개인인증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가 포함된 개인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SAID 및 PIN에 해당하는 개인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IPTV 가입자 단말(20)로 송신한다.
이후, 단계 (c2)(S622)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의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20)로부터 상기 SAID 및 개인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수신하면, 인증을 수행하고 결과를 상기 IPTV 가입자 단말(2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단계(c2)에서 수신된 인증요청에는 IPTV 가입자 단말 부팅 후 최초의 개인 인증 요청일 경우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단계 (c3)(S623)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의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200)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20)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면, 로그인을 수행하고 결과를 상기 IPTV 가입자 단말(20)로 송신한다.
이후, 단계 (d)(S630) 부재중 설정 서버(105)가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되도록 IPTV 가입자 단말(20)에서 제공하는 부재중 안내 설정메뉴를 클릭함에 따라 발생된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출력시키도록 제어한다. 이후, 단계 (e)(S640) 지능망 연동 서버(106)가 상기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전송받아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부재중 안내 설정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지능망 시스템과 연동되어 부재중 안내 호처리 메시지를 출력하는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가입자 단말에서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가입자 단말에서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은 헤드엔드 시스템(200)으로부터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전송받고,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는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과 연동하는 셋탑 박스(20.1..20.N)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서, (a) 단말인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면, 그 SAID에 해당하는 단말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S700), (b) SAID 및 단말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송신하면 인증을 수행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701), (c)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로그인 요청을 요청하면 로그인을 수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702), (d)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전송받는 단계(S703), (e) 개인인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면, 그 SAID 및 PIN에 해당하는 개인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S704), (f) SAID 및 개인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송신하면 인증을 수행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705), (g)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로그인 요청을 요청하면 로그인을 수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706), (h)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출력하고, 그 응답으로 부재중 안내 설정결과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S707)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S700)는 단말인증모듈(22)이 셋탑 박스의 아이디(SAID)가 포함된 단말인증 요청 메시지를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220)을 통하여 개인화 인증 서버(225)로 송신하면, 그 SAID에 해당하는 단말 인증키를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220)을 통하여 수신한다. 이후, 단계 (b)(S701)는 단말인증모듈(22)이 상기 SAID 및 단말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의 인증 서버로 송신하면 인증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인증 서버(104)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단계 (c)(S702)는 단말인증모듈(22)이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로그인 요청을 프레젠스 서버로 요청하면 로그인을 수행 결과를 상기 프레젠스 서버(103)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단계(a) 내지 단계(c)는 단말인증이다.
이후, 단계 (d)(S703)는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 수신모듈(21)이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헤드엔드 시스템(200)으로부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받는다. 이후, 단계 (e)(S704)는 개인인증모듈(22)이 셋탑 박스의 아이디(SAID) 및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개인인증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가 포함된 개인인증 요청 메시지를 리터 패스 서버 시스템(220)을 통하여 개인화 인증 서버(225)로 송신하면, 그 SAID 및 PIN에 해당하는 개인 인증키를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220)을 통하여 수신한다.
이후, 단계 (f)(S705)는 개인인증모듈(23)이 상기 SAID 및 개인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의 인증 서버(104)로 송신하면 인증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인증 서버(104)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상기 단계(f)에서 송신하는 인증요청에는 IPTV 가입자 단말(20)이 부팅 후 최초의 개인 인증 요청일 경우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단계 (g)(S706)는 개인인증모듈(23)이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로그인 요청을 프레젠스 서버(103)로 요청하면 로그인을 수행 결과를 상기 프레젠스 서버(103)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상기 단계(e) 내지 단계(g)는 개인인증이다.
이후, 단계 (h)(S707)는 부재중 안내 설정모듈(24)이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도록 부재중 안내 설정메뉴를 클릭함에 따라 발생된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부재중 안내 설정 결과에 대한 부재중 안내 설정결과 메시지를 수신받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은 헤드엔드 시스템(200)과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100)을 통하여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및 상기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위한 인증을 제공하고,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IPTV 가입자 단말(20)에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 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제공하는 헤드엔드 시스템과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는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함으로써 상대방이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로 전화를 할 경우에 상기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는 부재중으로 응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엔드 시스템과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및 상기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위한 인증을 제공하고,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IPTV 가입자 단말(20)에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IPTV 가입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부재중 안내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탈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방송 시스템;
    IP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과 리턴 채널로 연결되고,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부터 발생된 상기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인증 요청 메시지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으며,
    상기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이용한 가입자의 로그(log) 정보와 시작/종료시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
    상기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고,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키(Unique Key, UK)를 생성하여 상기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 및 IP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개인화 인증 서버; 및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여 상기 IPTV 가입자 단말에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
    을 포함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특정 정보(PSI) 및 상기 포탈화면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한 후, 전송 스트림을 IP 패킷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 시스템; 및
    상기 다중화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IP 패킷화한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IP 네트워크를 통해 IPTV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스위치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특정 정보(PSI)는
    PSI Repository에 저장된 채널정보, 등급정보, 스케쥴링 정보 등을 가공하여 PSI/SI Generator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은
    IPTV 가입자 단말 내의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상기 IPTV 가입자 단말과 접속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접속전단 서버;
    상기 접속전단 서버와 연계되어 가입자의 로그인 및 로그아웃을 처리하고, 이에 따른 접속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프레젠스 서버;
    IPTV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IPTV 가입자 단말의 인증 또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가입자 개인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서버;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되도록 IPTV 가입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부재중 안내 설정메뉴를 클릭함에 따라 발생된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부재중 설정 서버; 및
    상기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전송받아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부재중 안내 설정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지능망 시스템과 연동되어 부재중 안내 호처리 메시지를 출력하는 지능망 연동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 연동 서버는
    상기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에 의한 부재중 안내 설정 결과에 대한 부재중 안내 설정 결과 메시지를 응답으로 IPTV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요청 메시지는
    단말인증이거나 개인인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 공 시스템.
  7.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IPTV 가입자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가입자의 IPTV 가입자 단말이 IPTV 네트워크 및 리턴패스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단말인증을 요청하면, 개인화 인증 서버가 단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IPTV 헤드엔드 시스템이 IPTV 가입자 단말로 IPTV 네트워크를 통하여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제공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로부터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가 선택되면, 개인화 인증 서버가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개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d) 부재중 설정 서버가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되도록 IPTV 가입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부재중 안내 설정메뉴를 클릭함에 따라 발생된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전송받아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e) 지능망 연동 서버가 상기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전송받아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부재중 안내 설정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지능망 시스템과 연동되어 부재중 안내 호처리 메시지를 출력하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단말 인증은
    (a1) 개인화 인증 서버가 IPTV 단말로부터 그 단말의 아이디(SAID)가 포함된 단말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SAID에 해당하는 단말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a2)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부터 상기 SAID 및 단말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수신하면, 인증을 수행하고 결과를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a3)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면, 로그인을 수행하고 결과를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인증은
    IPTV 가입자 단말이 부팅될 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개인 인증은
    (c1)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인화 인증 서버가 IPTV 가입자 단말로부터 그 단말의 아이디(SAID) 및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개인인증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가 포함된 개인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SAID 및 PIN에 해당하는 개인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c2)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부터 상기 SAID 및 개인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수신하면, 인증을 수행하고 결과를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c3)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면, 로그인을 수행하고 결과를 상기 IPTV 가입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2)에서 수신된 인증요청에는
    IPTV 가입자 단말 부팅 후 최초의 개인 인증 요청일 경우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 연동 서버는
    상기 제2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의 응답으로 부재중 안내 설정 결과에 대한 부재중 안내 설정 결과 메시지를 상기 부재중 설정 서버를 통하여 셋탑 박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 시스템은
    상기 부재중 안내 호처리 메시지를 수신받아 가입자의 유선 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도록 호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14. 헤드엔드 시스템으로부터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전송받고,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수행하는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는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 가입자 단말에서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a) 단말인증모듈이 셋탑 박스의 아이디(SAID)가 포함된 단말인증 요청 메시지를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개인화 인증 서버로 송신하고, 그 SAID에 해당하는 단말 인증키를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b) 단말인증모듈이 상기 SAID 및 단말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인증 서버로 송신하고 단말 인증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c) 단말인증모듈이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로그인 요청을 프레젠스 서버로 요청하고 로그인을 수행 결과를 상기 프레젠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d)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 수신모듈이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관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헤드엔드 시스템으로부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받는 단계;
    (e) 개인인증모듈이 셋탑 박스의 아이디(SAID) 및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개인인증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가 포함된 개인인증 요청 메시지를 리터 패스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개인화 인증 서버로 송신하고, 그 SAID 및 PIN에 해당하는 개인 인증키를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f) 개인인증모듈이 상기 SAID 및 개인 인증키가 포함된 인증요청을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인증서버로 송신하면 개인 인증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g) 개인인증모듈이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로그인 요청을 프레젠스 서버로 요청하면 로그인을 수행 결과를 상기 프레젠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h) 부재중 안내 설정모듈이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도록 부재중 안내 설정메뉴를 클릭함에 따라 발생된 제1 부재 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부재중 안내 설정 결과에 대한 부재중 안내 설정결과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IPTV 가입자 단말에서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인증은
    셋탑 박스가 부팅시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가입자 단말에서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에서 송신하는 인증요청에는
    IPTV 가입자 단말이 부팅 후 최초의 개인 인증 요청일 경우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가입자 단말에서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17. IPTV 가입자 단말 내에서 수행되고, 부재중 안내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면서 가입자에게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포함하는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 텔레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하, IPTV 텔레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라 한다.)이 기록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IPTV 텔레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는
    IPTV 가입자 단말 부팅시 실행되어, 단말인증 과정을 수행하며,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포함된 각 서비스의 제어를 담당하는 커뮤니케이션 메인 모듈;
    IPTV 가입자가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선택시에 단말인증을 수행하는 단말인증모듈;
    IPTV 가입자가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중 부재중 안내 서비스를 선택시에 개인 인증을 수행하는 개인인증모듈; 및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는 부재중 안내 설정모듈
    을 포함하는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가 기록된 기록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중 안내 설정모듈은
    가입자의 유선전화나 휴대폰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부재중으로 설정하도록 부재중 안내 설정메뉴를 클릭함에 따라 발생된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를 출력하는 부재중 안내 설정 출력모듈,
    상기 제1 부재중 안내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부재중 안내 설정 결과에 대한 부재중 안내 설정결과 메시지를 전송받는 부재중 안내 설정 수신모듈;
    상기 부재중 설정 출력모듈과 부재중 설정결과 수신모듈을 제어하는 부재중 안내 설정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커뮤니케이션 클라이언트가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70067831A 2007-07-06 2007-07-06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부재중 안내서비스 제공방법 KR101351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831A KR101351458B1 (ko) 2007-07-06 2007-07-06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부재중 안내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831A KR101351458B1 (ko) 2007-07-06 2007-07-06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부재중 안내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976A KR20090003976A (ko) 2009-01-12
KR101351458B1 true KR101351458B1 (ko) 2014-01-14

Family

ID=4048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831A KR101351458B1 (ko) 2007-07-06 2007-07-06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부재중 안내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4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7218B1 (en) 2021-07-13 2024-01-16 T-Mobile Usa, Inc.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and subscriber data system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120273A1 (it) * 2012-03-27 2013-09-28 Inst Rundfunktechnik Gmbh Metodo per 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4411A (ja) 2005-02-14 2006-09-21 Hitachi Ltd Ip通信システム、ip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制御方法およびクライアント端末、ならびにクライアントサー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4411A (ja) 2005-02-14 2006-09-21 Hitachi Ltd Ip通信システム、ip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制御方法およびクライアント端末、ならびにクライアントサー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7218B1 (en) 2021-07-13 2024-01-16 T-Mobile Usa, Inc.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and subscriber data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976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421B1 (ko) Iptv 서비스 시스템 및 네트워크, 콘텐츠 및 데이타송수신 방법
KR101351460B1 (ko) Iptv mms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44287B1 (ko) Iptv 신문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송수신 방법
KR101439318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iptv 원격시청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80076154A (ko) 뉴스 콘텐츠를 제공하는 iptv 서비스 시스템, 뉴스 콘텐츠를 송신하는 방법, 뉴스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법 및 뉴스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90116508A (ko) 동영상 객체의 키워드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63416B1 (ko) P2p 기반의 화상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 통신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351458B1 (ko) Iptv 부재중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부재중 안내서비스 제공방법
KR101409932B1 (ko) Iptv sms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02759A (ko) 동영상 객체정보를 활용한 vod 추천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KR100836470B1 (ko) 스포츠 중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351457B1 (ko) Iptv 발신자 번호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발신자번호표시 서비스 제공방법
KR101266837B1 (ko) 구간별 텍스트 정보가 수반된 동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37374B1 (ko) Iptv 메시지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메시지함 서비스제공 방법
KR101310952B1 (ko) Iptv 채널채팅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51459B1 (ko) Iptv 메신저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019094A (ko) 개인 맞춤형 모닝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93302B1 (ko) Iptv 개인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1188740A (zh) 直播网络电视的组播方法
KR101081485B1 (ko)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62144B1 (ko) Iptv 음악 포탈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송수신 방법
KR101362424B1 (ko) Iptv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증 방법 및그 시스템
KR20090003970A (ko) Iptv 가족일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가족일정 서비스제공 방법.
KR101337375B1 (ko) Iptv를 이용한 전화 걸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09933B1 (ko) Iptv 게임 포탈 서비스 시스템 및 가입자 단말과 그를이용한 게임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