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283B1 -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 및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 및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283B1
KR101351283B1 KR1020130065923A KR20130065923A KR101351283B1 KR 101351283 B1 KR101351283 B1 KR 101351283B1 KR 1020130065923 A KR1020130065923 A KR 1020130065923A KR 20130065923 A KR20130065923 A KR 20130065923A KR 101351283 B1 KR101351283 B1 KR 101351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preter
management server
terminal
user
interpr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선
정영길
Original Assignee
김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선 filed Critical 김갑선
Priority to KR1020130065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상황에 적합한 통역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 및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 관리서버 및 통역자단말기간의 무선통신에 의한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리서버에는 등록된 통역자의 통역가능언어, 통역등급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통역자DB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통역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통역자단말기 또는 관리서버가 선정한 통역자단말기에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통역자단말기는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관리서버가 제공한 통역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통역자 인터페이스를 현시하고, 상기 통역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연결수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단말기와의 통화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연결수락신호를 수신한 때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간의 통화시간에 따른 요금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 및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Real-time interpreter matching system and Real-time interpreter matching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상황에 적합한 통역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 및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통통신이 발달하고 국제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국제교류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서로 다른 언어권 국가를 방문하는 일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언어의 통역인력 수요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업차 외국을 방문하는 경우에는 전문 통역사가 동행하면서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으나 고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급 호텔에서는 상주하는 통역사를 거쳐 의사소통을 할 수도 있으나, 호텔에서 세계 각국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통역인력을 모두 고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특정 언어에 대한 수요가 집중되거나 소수가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수요가 발생시에는 원만한 통역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방문국의 언어에 능숙하지 못한 외국인이 여행 중 현지인과 대화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언어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의사소통의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필요한 오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지에서 통역사를 고용할 수도 있으나, 통역사를 구하는 일이 쉽지 않거니와 인건비의 과다 지출도 문제가 된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모든 나라들이 실시간 통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바, 글로벌 시대에 부응하기 위한 통역 시스템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연구, 개발방향은 ① 자동 통역장치의 개발과 ② 기존 통역인력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시스템 개발로 구분할 수 있다.
자동 통역장치의 경우, 음성인식 기술과 언어학적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통역할 수 있는 기계로서, 그 개발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언어간의 구조적 차이가 너무 크기 때문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기 어렵다. 이와는 별개로 몇 가지 정형화된 문장을 다수의 외국어로 사전에 번역하여 전자수첩 또는 유무선 인터넷 단말기를 통해 표시하거나 발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개발되었으나, 특정 상황에 적합한 문장이 탑재되지 않거나, 탑재되었더라도 신속하게 검색하여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통역인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 내지 장치로서는, 각국의 언어 구사가 가능한 통역사가 배치된 통역서비스 제공센터가 있어서 유무선을 통해 통역요청이 들어오면 실시간으로 통역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58294호), ARS를 이용하여 즉시 통역인력을 연결시켜주는 시스템(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24225호), 스피커와 고감도 마이크가 내장된 핸드폰 단말기를 이용한 통역서비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86930호), 2
대의 TRS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역센터간에 3자 통역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78624호),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전세계 수준의 통역 의뢰자와 통역인력을 중개하는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54407호) 등이 도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방식은 단순히 통역인력을 통역 수요자에게 "효과적으로 연결" 시키겠다는 것으로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언어를 충족시키는 다수의 통역인력이 통역센터에 상주해야 하므로 과거의 경제적·실질적 문제를 거의 그대로 안고 있다.
한편, 공개특허 제2002-0027447호는 실시간 원격 통역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역인력이 비교적 자유롭게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필요한 때에 즉시 실시간 통역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상황에 적합한 통역서비스 제공방안, 통역품질 확보방안 등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통역자 지정, 통역예약, 통역내용 리뷰 등 실질적 수요에 대한 대응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는 필요한 시간, 장소, 상황에 맞는 통역자와 신속하게 연결되어 합리적인 비용으로 조력을 받을 수 있어야 하며, 비용에 따른 통역품질에 대한 기대치와 실제 통역품질이 안정적으로 일치되어야 한다. 또한, 통역자는 일상생활과 본업을 자유롭게 영위하며,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통역요청에 응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관리서버측에서는 통역자 지정, 통역예약, 통역내용에 대한 음성파일 또는 텍스트파일의 제공 등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조건을 모두 충족시켜, 언제 어디서든 상황에 적합한 통역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 및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 관리서버 및 통역자단말기간의 무선통신에 의한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리서버에는 등록된 통역자의 통역가능언어, 통역등급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통역자DB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통역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통역자단말기 또는 관리서버가 선정한 통역자단말기에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통역자단말기는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관리서버가 제공한 통역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통역자 인터페이스를 현시하고, 상기 통역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연결수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단말기와의 통화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연결수락신호를 수신한 때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간의 통화시간에 따른 요금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을 제공한다.
위에서, 상기 통역자단말기는 상기 통역자 프로그램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관리서버로 활성모드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활성모드신호를 송신하는 통역자단말기에 한하여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연결수락신호를 수신한 때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간의 통화내용을 음성파일 및 텍스트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음성파일 또는 텍스트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지정된 전자메일로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음성파일 또는 텍스트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언어 및 상황에 따라 분류한 실통역DB를 더 구축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가 각자의 단말기로 상기 실통역DB를 검색하여 청취 또는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 관리서버 및 통역자단말기간의 무선통신에 의한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a) 상기 관리서버가, 등록된 통역자의 통역가능언어, 통역등급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통역자DB를 구축하고, 상기 통역자단말기에 통역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관리서버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사용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에서 현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통역요청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통역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통역자단말기 또는 관리서버가 선정한 통역자단말기에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e) 상기 통역자단말기가,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통역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통역자 인터페이스에 현시하고, 상기 통역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연결수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와의 통화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및 (f)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연결수락신호를 수신한 때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간의 통화시간에 따른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이 때, 상기 (f)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간의 통화내용을 모니터링하여 통역자별 통역등급을 조정하여, 상기 통역자DB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f)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통역자단말기와의 통화상태 종료 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만족도 평가점수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가, 수신된 만족도 평가점수를 반영하여 상기 통역자DB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단계의 실시 전에는 「(b-1)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에서 현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통역예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b-2)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통역예약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통역자단말기 또는 관리서버가 선정한 통역자단말기에 예약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b-3) 상기 통역자단말기가, 상기 예약요청신호를 수신하여 통역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통역자 인터페이스에 현시하고, 상기 통역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예약수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예약수락신호를 송신한 통역자단말기에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위와는 별개로 상기 (c)단계의 실시 전에, 「(b-1)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에서 현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통역예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b-2')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통역예약신호를 수신하여 등록된 통역자단말기에 공지하는 단계; 및 (b-3') 상기 관리서버가, 등록된 통역자단말기로부터 예약수락신호를 접수받고, 선정된 통역자단말기에 예약사항을 통지하는 단계」 를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예약사항을 통지한 통역자단말기에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f)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연결수락신호를 수신한 때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간의 통화내용을 음성파일 및 텍스트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음성파일 또는 텍스트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지정된 전자메일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실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a)단계에서는 「실통역DB를 구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g) 상기 관리서버가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상기 음성파일 또는 텍스트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언어 및 상황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실통역DB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 및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통역자 풀(pool)이 거의 무한정이기 때문에 통역자 중개(통역 서비스의 성공) 가능성이 증대된다.
2. 통역자는 자유롭게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자신이 원하는 때에 실시간 통역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분야의 많은 통역인력의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3. 중요한 회의나 거래시에는 통역자 지정, 통역예약 등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통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4. 종래 원격 통역서비스의 경우 통역자가 통역센터에 상주해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 및 시설비가 많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통역자 상주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더욱 경제적인 통역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5. 관리서버에서는 지속적으로 통역품질을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 등을 가하여 통역등급별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다.
6. 통화내용에 대한 음성파일 또는 텍스트파일 제공 서비스를 부가함으로써 대화내용의 리뷰, 외국어 학습, 구두계약의 문서화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7. 관리서버에서 실통역DB 구축을 통해 불특정 다수인이 통역내용을 공유하며 학습에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역 오류에 대해 다수인이 크로스체크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통역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8. 외국어에 능통하지 않더라도 국제적인 인적교류에 적극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사업역량이 강화된다.
9. 교수, 엔지니어, 법률가, 유학생 등 특정 분야의 전문인력이 자유롭게 통역자로 활동함으로써 통역의 저변을 넓히고, 통역자 개개인의 수입과 역량을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통역 중개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관리서버의 기본 역할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과 [도 4]는 사용자 APP에 의해 현시되는 UI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관리서버와 통역자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관계의 모식도이다.
[도 6]은 통역자단말기에서 연결수락신호 발송에 따른 후속 작용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7]은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 간의 통화내용을 음성파일 또는 텍스트파일로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8]은 관리서버가 구축한 실통역DB의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의 기본 얼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통역예약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통화내용의 음성파일이나 텍스트파일을 저장한 실통역DB 구축 과정이 부가된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Ⅰ.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 관리서버 및 통역자단말기간의 무선통신에 의한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관리서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역자의 통역가능언어, 통역등급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통역자DB(Data Base)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사용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이하 "APP"이라 함)을 제공하고, 상기 통역자단말기에 통역자 APP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에는 실통역DB를 별도록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가 제공한 사용자 APP이 실행된 상태에서 현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reface, 이하 "UI"라 함)를 통해 입력된 통역요청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단말기는 통화기능, 인터넷기능 등을 실행시킬 수 있는 스마트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다.
[도 3] 및 [도 4]는 사용자가 통역요청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UI의 실시예이다. 상기 UI는 상기 통역자DB에서 소스(source)를 얻어 재구성한 것이다. 국·내외 각종 비지니스 현장에서 실시간 통역이 필요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에 다운로딩해둔 사용자 APP을 실행시키고, [도 3]에서와 같이 통역 대상 언어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중국어 간 통역이 필요한 경우 해당 언어를 체크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역등급을 선택하는 UI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통역등급에 따라 요금에 차이를 두어 전문적인 통역이 필요할 때는 높은 등급의 통역자를 선택하고, 일상적인 대화의 통역이 필요할 때는 낮은 등급의 통역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합리적인 비용 계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통역등급은 상기 관리서버에 통역자 등록을 할 때 테스트, 인터뷰 등을 통해 분류한 결과를 통역자DB에 기록함으로써 관리할 수 있으며, 추후 관리서버에서 실통역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 등을 반영하여 수시로 등급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역등급을 선택한 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등급 내에서 관리서버로부터 통역자를 추천받거나 통역자를 지정함으로써 통역요청신호가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UI의 구성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사용자의 세부적인 요구사항이 포함된 통역요청신호를 송신하거나, 통역자의 이름, 닉네임, ID 등을 검색·입력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통역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송신한 통역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가 지정한 통역자단말기 또는 관리서버가 선정한 통역자단말기에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통역자단말기는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관리서버가 제공한 통역자 APP을 실행하여 통역자 인터페이스(Interpreter User Interface, 이하, "IUI")를 현시하고, 상기 IUI를 통해 입력된 연결수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단말기와의 통화상태로 전환되고, 이때부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를 통해 실시간 통역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단말기는 통화기능, 인터넷기능 등을 실행시킬 수 있는 스마트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어야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 간의 통화를 위해서는 3G, 4G, WiFi 등의 상용화된 통신망 또는 장래 상용화될 수 있는 통신망 중 어느 것이든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은 특정 통역자들이 특정 장소에서 항시 대기하도록 구성된 것이 아니라, 전 세계의 불특정 통역자들이 자유롭게 관리서버에 등록하여, 각자의 생활 장소에서, 각자가 가능한 시간에 통역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관리서버가 통역자들을 고용하여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명칭대로 본 발명을 이용하려는 사용자와 통역자들을 효율적으로 중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 못지않게 통역자의 편의도 고려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에서 통역요청신호를 송신하면, 관리서버가 이를 수신하여 통역자단말기에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역자단말기는 상기 통역자 프로그램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관리서버로 활성모드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활성모드신호를 송신하는 통역자단말기에 한하여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역자단말기는 아무때나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통역자 APP의 활성모드에서만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즉, 등록된 통역자들은 각자 통역업무가 가능한 상황에서 통역자 APP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통역자는 불필요한(대응 불가능한) 연결요청신호의 수신을 미리 차단할 수 있고, 관리서버 입장에서도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통역자단말기를 한정지음으로써 통역 중개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통역자가 자의로 통역자 APP을 활성화시켰다 하더라도 연결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그 순간에는 특별한 사정에 의해 통역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역자 APP은 통역자단말기에 연결요청신호가 현시되더라도 연결수락신호를 회신할지 여부를 다시 결정할 수 있는 IUI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관리서버가 등록된 통역자단말기 중 어느 것에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할 것인지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대상을 활성모드 통역자단말기로만 한정짓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1) 사용자가 통역자를 지정한 경우
① 즉시 지정방식 :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시스템을 통해 통역 중개 서비스를 제공받았던 사용자는 마음에 드는 통역자의 조력을 다시 받고 싶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APP을 통해 해당 통역자의 성명, 닉네임, ID 등을 검색하여 통역자를 지정하여 통역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통역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성명 등이 비공개 상태로 유지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통역자의 성명 등을 검색할 수 없으므로, 전에 통역 중개 서비스를 이용했던 기록을 조회하여 해당 통역자를 지정하여 통역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측에서 통역자를 지정했더라도 해당 통역자단말기가 비활성모드에 있거나, 연결수락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APP을 통해 사용자의 동의를 얻은 후 관리서버에서 선정한 통역자를 중개해줄 수 있다.
② 예약방식 : 전술한 즉시 지정방식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통역자를 적시에 컨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전에 통역자를 지정하여 예약하는 예약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다만, 예약의 남발을 방지하기 위한 계약금 사전 납입 수단, 예약에 응한 지정 통역자의 해태(懈怠)를 방지하기 위한 위약금 공탁 수단 등을 본 시스템에 함께 적용할 수 있다. 예약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2) 사용자가 관리서버에게 통역자 추천을 요청한 경우
사용자는 통역자의 성실성과 실력을 미리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관리서버에게 적절한 통역자 추천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역자를 지정했더라도 지정한 통역자가 통역업무에 응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관리서버가 적절한 통역자를 추천해 주어야 한다. 관리서버가 통역자를 선정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① 통역자 랭킹에 따른 순차 선정방식 : 관리서버는 통역자 등록시의 테스트, 인터뷰 및 실통역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 등을 토대로 통역자의 등급을 분류함은 물론, 동일 등급내에서도 점수에 따라 통역자 랭킹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가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부합하는 통역자 그룹을 선정하여 상위 랭킹 통역자부터 순차적으로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최상위 랭킹 통역자가 연결수락을 하지 않으면 차상위 랭킹 통역자에게 다시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통역 중개 시간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나, 통역 품질의 만족도는 높아질 수 있다. 관리서버는 통역 중개 시간 단축을 위해 활성모드신호를 송신하는 통역자단말기만을 선별하여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토록 할 수 있으며, 연결요청신호 송신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연결수락신호가 회신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차상위 랭캥 통역자단말기에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을 택할 수 있다.
② 연결수락신호의 선착순에 따른 선정방식 : 관리서버는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부합하는 통역자 그룹을 선정하여 일괄적으로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고, 가장 먼저 연결수락신호를 송신하는 통역자단말기가 통역요청신호를 송신한 사용자단말기와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통역자의 적극적 참여에 의해 통역 중개가 신속히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③ 예약방식 : 사용자가 동일 등급내에서도 높은 순위의 통역자를 컨택하기 위해서는 예약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도 계약금, 위약금 등을 통해 예약에 따르는 문제점의 최소화를 꾀할 수 있다. 예약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통역자단말기가 상기 IUI를 통해 입력된 연결수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면, 이때부터 상기 통역자단말기와 사용자단말기간 통화연결이 되어 실시간 통역이 이루어지게 되며, 관리서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수락신호를 수신한 때부터 통화시간을 카운팅하여 통역 요금(비용)을 계산한다. 관리서버는 계산된 통역 요금의 일정비율을 중개 수수료로 제한 나머지를 통역자에게 정산해 주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인 통역은 2인 이상의 대화를 1인의 통역자가 번갈아가며 통역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대화 당사자들의 음성을 수음하는 음성입력부와 통역자의 음성이 송출되는 음성출력부(스피커)가 구비된 것을 적용하여, 대화 당사자들의 대화내용을 상기 통역자단말기를 통해 들을 수 있고, 통역자의 통역내용이 상기 사용자단말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송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사용자단말기 1대와 통역자단말기 1대 간의 1:1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사용자단말기 복수대와 통역자단말기 1대 간의 다(多):1 통신, 사용자단말기 1대와 통역자단말기 복수대 간의 1:다(多) 통신, 사용자단말기 복수대와 통역자단말기 복수대 간의 다(多):다(多) 통신이 필요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1:多 통신, 多:1 통신, 多:多 통신을 구현하는 시스템으로 응용·발전시킬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수락신호를 수신한 때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간의 통화내용을 음성파일 및 텍스트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음성파일 또는 텍스트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지정된 전자메일로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음성파일 또는 텍스트파일을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경우는 상기 사용자 APP을 통해 음성파일이 재생되거나 텍스트파일이 현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통화내용을 음성파일, 텍스트파일 등으로 저장하는 것은 사용자가 관리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할 때 일괄적으로 동의를 구하거나, 사용자의 개별적 동의(또는 요청)를 수령하는 방식 등에 의해 정보통신망법에 위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저장된 음성파일이나 텍스트파일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단말기 또는 지정된 전자메일로 송신한다. 음성파일이나 텍스트파일을 수령한 사용자는 대화내용과 통역내용을 리뷰하고, 오류가 없는지 재점검함으로써 대화내용에 착오를 방지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학습용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특히, 통화내용을 텍스트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한 경우에는 외국인 클라이언트와의 약속사항, 구두계약 내용을 즉시 문서화할 수 있으므로 사업상 매우 유용하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파일 또는 텍스트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언어 및 상황에 따라 분류한 실통역DB를 더 구축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가 각자의 단말기로 상기 실통역DB를 검색하여 청취 또는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실통역 내용으로 회원들이 외국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역내용 중에는 개인적인 사항, 업무상 비밀사항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실통역 내용을 DB화 하기 전에는 반드시 대화 당사자인 사용자의 동의를 구해야 한다. 한편, 실통역 내용의 DB화에 동의한 사용자에 대해서는 마일리지 부여 등을 통한 유인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Ⅱ.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 관리서버 및 통역자단말기간의 무선통신에 의한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의 기본 알고리즘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1. (a)단계
본 (a)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등록된 통역자의 통역가능언어, 통역등급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통역자DB를 구축하고, 상기 통역자단말기에 통역자 APP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통역등급은 통역자가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에서 관리서버가 주관하는 테스트 또는 인터뷰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등록된 통역자는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통역자 APP을 통역자단말기에 설치한 후 본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다. 본 단계는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역자 확보 및 준비단계라 할 수 있다. 본 단계는 동시 다발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므로 상기 통역자DB는 수시로 업데이트된다.
2. (b)단계
본 (b)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사용자 APP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즉, 본 단계는 사용자가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준비단계라 할 수 있다.
3. (c)단계
본 (c)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APP이 실행된 상태에서 현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통역요청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b)단계를 거쳐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된 사용자 APP을 실행시킬 때 현시되는 UI를 통해 통역언어, 통역등급 등을 지정한 통역요청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즉, 본 단계는 통역요청신호 송신단계라 할 수 있다.
4. (d)단계
본 (d)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통역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통역자단말기 또는 관리서버가 선정한 통역자단말기에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사용자가 통역자를 지정하거나 관리서버가 통역자를 선정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단계는 연결요청신호 송신단계라 할 수 있다.
5. (e)단계
본 (e)단계는, 상기 통역자단말기가,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통역자 APP을 통해 IUI에 현시하고, 상기 IUI를 통해 입력된 연결수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와의 통화상태로 전환되는 단계이다. 본 단계는 연결수락신호 송신단계라 할 수 있다.
6. (f)단계
본 (f)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연결수락신호를 수신한 때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간의 통화시간에 따른 요금을 계산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는 통역제공 및 요금계산 단계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f)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통역자단말기간의 통화내용을 모니터링하여 통역자별 통역등급을 조정하여, 상기 통역자DB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이와 같은 모니터링에 대한 거부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관리서버의 모니터링이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f)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통역자단말기와의 통화상태 종료 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만족도 평가점수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가, 수신된 만족도 평가점수를 반영하여 상기 통역자DB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단계의 실시 전에는 통역예약 단계를 거치도록 할 수 있다. 통역예약은 지정식 예약과 자원식(自願式) 예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정식 예약과 자원식 예약 과정의 순서도는 [도 10]에 함께 나타나 있다.
1. 지정식 예약
지정식 예약이라는 것은 사용자가 직접 통역자를 지정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관리서버가 통역자를 지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정식 예약은 (c)단계 실시 전에 다음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1) (b-1)단계
본 (b-1)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에서 현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통역예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2) (b-2)단계
본 (b-2)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통역예약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통역자단말기 또는 관리서버가 선정한 통역자단말기에 예약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3) (b-3)단계
본 (b-3)단계는, 상기 통역자단말기가, 상기 예약요청신호를 수신하여 통역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통역자 인터페이스에 현시하고, 상기 통역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예약수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위와 같은 (b-1) 내지 (b-3)단계를 거쳐 통역예약이 이루어지면,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예약수락신호를 송신한 통역자단말기에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e)단계에서 예약된 통역자단말기에서 연결수락신호를 관리서버에 송신함으로써 통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2. 자원식 예약
자원식 예약이라는 것은 사용자단말기에서 송신한 통역예약신호를 관리서버를 통해 수신한 통역자 측에서 그 통역을 자원(自願)하는 방식으로 통역예약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자원 통역자가 다수일 경우에는 선착순 방식에 의하거나 관리서버가 자원 통역자 중 상위랭커를 선정하여 지정하는 방식에 따라 통역예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자원식 예약은 (c)단계 실시 전에 다음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1) (b-1)단계
전술한 바와 같다.
(2) (b-2')단계
본 (b-2')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통역예약신호를 수신하여 등록된 통역자단말기에 공지하는 단계이다. 이 때 예약요청신호에 요구하는 통역등급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등급 내의 통역자단말기를 대상으로 공지할 수 있다. 공지는 통역자 APP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지만, 문자, 이메일 등 여러 가지 공지 방식을 택일하거나 둘 이상의 방식을 병행하여 할 수 있다.
(3) (b-3')단계
본 (b-3')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등록된 통역자단말기로부터 예약수락신호를 접수받고, 선정된 통역자단말기에 예약사항을 통지하는 단계이다. 공지기간 동안 예약수락신호를 발신한 통역자단말기가 1대라면, 해당 통역자단말기에 예약사항을 통지하면 되나, 여러 대의 통역자단말기에서 예약수락신호를 발신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선착순 방식, 상위 랭커 지정 방식 등을 기준으로 선정된 통역자단말기에 예약사항을 통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b-1)단계, (b-2')단계 및 (b-3')단계를 거쳐 통역예약이 이루어지면,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예약수락신호를 송신한 통역자단말기에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e)단계에서 예약된 통역자단말기에서 연결수락신호를 관리서버에 송신함으로써 통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f)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연결수락신호를 수신한 때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간의 통화내용을 음성파일 및 텍스트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음성파일 또는 텍스트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지정된 전자메일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단계에서는 통역자DB 구축과 더불어 실제 통역 내용을 정리하여 저장한 실통역DB를 함께 구축하고, 상기 관리서버가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상기 음성파일 또는 텍스트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언어 및 상황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실통역DB에 저장하는 (g)단계를 추가로 실시하여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상기 실통역DB를 열람하거나 청취토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Sig1. : 통역요청신호 Sig2. : 연결요청신호
Sig3. : 연결수락신호 Sig4. : 활성모드신호
Sig5. : 통역예약신호 Sig6. : 예약요청신호
Sig7. : 예약수락신호
S01 : (a)단계 S02 : (b)단계
S02-1 : (b-1)단계 S02-2 : (b-2)단계
S02-2' : (b-2')단계 S02-3 : (b-3)단계
S02-3' : (b-3')단계 S03 : (c)단계
S04 : (d)단계 S05 : (e)단계
S06 : (f)단계 S07 : (g)단계

Claims (11)

  1. 사용자단말기, 관리서버 및 통역자단말기간의 무선통신에 의한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가 제공한 사용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에서 현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통역요청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통역자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가 제공한 통역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관리서버로 활성모드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에는 등록된 통역자의 통역가능언어, 통역등급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통역자DB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통역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활성모드신호를 송신하는 통역자단말기 중 사용자가 지정한 통역자단말기 또는 관리서버가 선정한 통역자단말기에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통역자단말기는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역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통역자 인터페이스를 현시하고, 상기 통역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연결수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단말기와의 통화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연결수락신호를 수신한 때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간의 통화시간에 따른 요금을 계산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간의 통화내용을 음성파일 및 텍스트파일로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음성파일 및 텍스트파일을 사용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지정된 전자메일로 송신하며, 상기 음성파일 및 텍스트파일 중 대화 당사자의 동의를 얻은 것을 언어, 상황 및 통역등급에 따라 분류한 실통역DB를 구축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가 각자의 단말기로 상기 실통역DB를 검색하여 청취·열람할 수 있게 해 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사용자단말기, 관리서버 및 통역자단말기간의 무선통신에 의한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a) 상기 관리서버가, 등록된 통역자의 통역가능언어, 통역등급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통역자DB와 실통역DB를 구축하고, 상기 통역자단말기에 통역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관리서버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사용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에서 현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통역요청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통역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통역자단말기 또는 관리서버가 선정한 통역자단말기에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e) 상기 통역자단말기가,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통역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통역자 인터페이스에 현시하고, 상기 통역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연결수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와의 통화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f)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연결수락신호를 수신한 때부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간의 통화시간에 따른 요금을 계산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간의 통화내용을 음성파일 및 텍스트파일로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음성파일 및 텍스트파일을 사용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지정된 전자메일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통역자단말기와의 통화상태 종료 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만족도 평가점수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역자단말기간의 통화내용 모니터링 결과에 수신된 만족도 평가점수를 반영하여 통역자별 통역등급을 조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관리서버가, 사용자의 동의를 얻어 상기 음성파일 및 텍스트파일을 언어 및 상황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실통역DB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서,
    상기 (c)단계의 실시 전에,
    (b-1)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에서 현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통역예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b-2)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통역예약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통역자단말기 또는 관리서버가 선정한 통역자단말기에 예약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b-3) 상기 통역자단말기가, 상기 예약요청신호를 수신하여 통역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통역자 인터페이스에 현시하고, 상기 통역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예약수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를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예약수락신호를 송신한 통역자단말기에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9. 제5항에서,
    상기 (c)단계의 실시 전에,
    (b-1)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어플리캐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에서 현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통역예약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b-2')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통역예약신호를 수신하여 등록된 통역자단말기에 공지하는 단계; 및
    (b-3') 상기 관리서버가, 등록된 통역자단말기로부터 예약수락신호를 접수받고, 선정된 통역자단말기에 예약사항을 통지하는 단계; 를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예약사항을 통지한 통역자단말기에 상기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065923A 2013-06-10 2013-06-10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 및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KR101351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923A KR101351283B1 (ko) 2013-06-10 2013-06-10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 및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923A KR101351283B1 (ko) 2013-06-10 2013-06-10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 및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283B1 true KR101351283B1 (ko) 2014-01-14

Family

ID=5014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923A KR101351283B1 (ko) 2013-06-10 2013-06-10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 및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2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0124A (ja) * 2015-05-25 2016-12-22 株式会社ビーマップ 通訳利用システム
KR102391589B1 (ko) * 2021-11-23 2022-04-29 박진희 통역 중개 시스템 및 통역 중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490A (ko) * 2000-07-05 2002-01-16 임무혁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통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7447A (ko) * 2002-03-16 2002-04-13 변승환 실시간 원격 통역서비스 제공방법
KR20020038441A (ko) * 2000-11-17 2002-05-23 진성산 휴대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역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20073548A (ko) * 2010-12-27 2012-07-05 오정택 앱형식의 통역기 화면구성 알고리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490A (ko) * 2000-07-05 2002-01-16 임무혁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통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38441A (ko) * 2000-11-17 2002-05-23 진성산 휴대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역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020027447A (ko) * 2002-03-16 2002-04-13 변승환 실시간 원격 통역서비스 제공방법
KR20120073548A (ko) * 2010-12-27 2012-07-05 오정택 앱형식의 통역기 화면구성 알고리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0124A (ja) * 2015-05-25 2016-12-22 株式会社ビーマップ 通訳利用システム
KR102391589B1 (ko) * 2021-11-23 2022-04-29 박진희 통역 중개 시스템 및 통역 중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6467B2 (en) Bot permissions
US103466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management and task routing based on data tagging
US9992334B2 (en) Multi-modal customer care system
US11941642B2 (en) Queue management system utilizing virtual service providers
US20070206086A1 (en) On-line expert provision system and method
US8645064B2 (en) Prioritized and subjectively personal navigation
US11170323B2 (en) Generating and managing group reservations of travel resources
CN101384999A (zh) 客户请求和联系管理的系统和方法
WO2013039791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rdinated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US20180033018A1 (en) Queue management system utilizing virtual service providers
KR10220389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오토콜을 통한 고객 관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795877A (zh) 智能语音
WO20192459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customer interactions with enterprises
US20220083983A1 (en)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KR20180120646A (ko) 사용자의 추천조건에 의한 전문상담사 추천을 이용한 심리상담 방법
CN110070298A (zh) 呼叫中心任务分配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0619450A (zh) 风险交流管理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692143B1 (ko) 문자통신을 이용한 개인 비서 시스템
KR101351283B1 (ko) 실시간 통역 중개 시스템 및 실시간 통역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11296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콜센터 업무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4420B1 (ko) Qr 코드를 이용한 대리운전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50079959A1 (en) Smart Microphone
CN116915913A (zh) 呼叫匹配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20200109156A (ko) O2o 기반 택시, 관광객 및 관광지를 연결하는 다국어 지원 서비스를 이용한 통합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US10149128B2 (en) Simultaneous messag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