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068B1 -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 - Google Patents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068B1
KR101351068B1 KR1020130151460A KR20130151460A KR101351068B1 KR 101351068 B1 KR101351068 B1 KR 101351068B1 KR 1020130151460 A KR1020130151460 A KR 1020130151460A KR 20130151460 A KR20130151460 A KR 20130151460A KR 101351068 B1 KR101351068 B1 KR 101351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se
lens module
cab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근
Original Assignee
(주)세븐전자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븐전자코리아 filed Critical (주)세븐전자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15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성을 강화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물기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침투된 물기에 의한 고장이나 오동작을 예방하고, 침투된 이물질에 의한 영상 품질의 저하를 예방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모듈;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조립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모듈 내장되어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커버에 조립결합되어서, 상기 렌즈모듈이 피사체를 투시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의 접촉부위에 구비되는 방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수수단은 상기 커버의 단턱구조에서 내측의 하부접촉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상부끼움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단턱구조에서 내측의 상부접촉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끼움돌기에 엇갈려 끼움결합되는 복수의 하부끼움돌기와, 상기 상부끼움돌기와 하부끼움돌기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도록 중간부는 지그재그구조를 갖고, 내부에는 에어가 채워져서, 상부끼움돌기와 하부끼움돌기가 끼움결합될 때 눌려 팽창됨으로써 베이스와 커버의 접촉면에 밀착되는 밀폐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CCTV enforced water-proof}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성을 강화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물기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침투된 물기에 의한 고장이나 오동작을 예방하고, 침투된 이물질에 의한 영상 품질의 저하를 예방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이고,
아울러, 전후좌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이 전후좌우로 각도조절을 위한 구성요소들이 컴팩트한 구조를 가져서 소형화되고, 더불어 반복되는 전후좌우의 각도조절 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시트가 손상되지 않도록 케이블시트 정렬수단을 구비한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돔형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카메라는 사무실, 주택, 병원은 물론 은행이나 보안이 요구되는 공공건물 등의 내외에 설치되어 출입관리나 방범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지하 주차장이나 주차 단속 등을 위한 도로 혹은 각종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주택가 등에도 많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감시카메라는 설치 형태에 따라 돔형, 세트형, 총알형, 미니어처형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 중 돔형은 실내 인테리어 조명장치 등에서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반구 형상을 기본 디자인 요소로 채택하고 있어 피 감시자가 느끼는 거부감을 줄일 수 있고 실내 인테리어와 잘 어울리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감시카메라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932146호 "돔형 감시카메라", 등록특허 제964339호 "광역 및 협역을 동시에 감시하는 감시카메라" 등 다양하게 개시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영상의 품질과, 야간에 피사체의 식별률, 사각지대의 최소화 등에 주로 관심을 갖고 개발되었다.
감시카메라는 위와 같은 기능도 중요하지만, 주로 야외에 설치되어 눈이나 비에 의한 물기와 공기 중을 떠나니는 먼지 등에 상시로 노출되는 관계로 물기와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성도 매우 중요하다.
물기가 카메라 내부로 침투되면 고장이 나서 부작동하거나 오동작하기 쉽고, 이물질이 카메라 내부로 침투되면 이물질이 렌즈에 부착되어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감시카메라에서 방수성은 매우 중요한 기능인데, 종래기술에 따름 감시카메라에서는 방수성에 대해서는 다소 소홀하게 취급하고 있다.
그리고 감시카메라는 설치 목적, 즉, 침입자나 사고발생을 감시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해당 공간의 대부분 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전후좌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처럼 전후좌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에 관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0847088호 "스피드 돔 감시카메라", 등록실용신안 제0468076호 "감시용 돔 카메라" 등이 개시되었다.
감시카메라는 전후방향으로 각도 조절을 위해 수직회전수단이,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을 위해 수평회전수단이 필요한데, 종래기술에서는 수직회전수단과 수평회전수단의 구성요소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서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감시 카메라의 부피가 크고, 이는 곧 피 감시자의 거부감을 줄이고 실내 인테리어와 잘 어울리는 돔형 감시카메라의 장점에 반하게 된다.
그리고 감시카메라는 렌즈모듈이 촬영하는 영상의 처리를 위한 회로, 수평회전수단의 제어를 위한 회로, 수직회전수단의 제어를 위한 회로, 관제실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회로 등의 여러 회로가 필요한데, 이들 회로가 하나의 제어보드에 탑재되면 회로들 간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회로는 다수의 제어보드에 분리되어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리된 다수의 제어보드는 서로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케이블로 연결이 되는데, 렌즈모듈이 전후좌우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이 함께 움직이면서 케이블이 꼬이거나 다른 부품에 걸려서 단선되는 등의 사고가 종종 발생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감시카메라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방수성을 강화하여 물기나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될 소지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침투된 물기나 이물질에 의한 부작동이나 오동작, 영상품질 저하 등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는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렌즈모듈을 전후좌우로 회전시켜 촬영 각도를 조절하는 수직회전수단과 수평회전수단 컴팩트한 구조를 가져서 소형화되고, 케이블시트 정렬수단을 구비하여 전후좌우의 각도 조절시에 제어보드를 상호 연결하는 케이블시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모듈;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조립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모듈 내장되어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커버에 조립결합되어서, 상기 렌즈모듈이 피사체를 투시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의 접촉부위에 구비되는 방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수수단은
상기 커버의 단턱구조에서 내측의 하부접촉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상부끼움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단턱구조에서 내측의 상부접촉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끼움돌기에 엇갈려 끼움결합되는 복수의 하부끼움돌기와,
상기 상부끼움돌기와 하부끼움돌기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도록 중간부는 지그재그구조를 갖고, 내부에는 에어가 채워져서, 상부끼움돌기와 하부끼움돌기가 끼움결합될 때 눌려 팽창됨으로써 베이스와 커버의 접촉면에 밀착되는 밀폐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수수단은
상기 밀폐패드의 내측에서 상하부로 연장형성되어서 상기 베이스 및 커버의 내면에 접촉되는 연장부와,
상기 베이스 및 커버의 내면에서 돌출형성되어서, 에어가 몰려 팽창되는 상기 밀폐패드의 연장부가 상기 베이스 및 커버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는 상기 렌즈모듈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의 내면과 외면을 밀착하여 덮는 덮개부와,
상기 삽입부의 중심에 형성되며, 관통된 상기 케이블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돌출형성되는 체결보스와,
상기 체결보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에 관통형성되는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며 상기 체결보스에 스크류결합되는 체결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핀의 헤드 상부면에는 체결핀의 조임시에 서로 중첩되어 눌려서 상기 체결홀과의 틈새를 밀폐하는 복수의 날개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는 밀폐패드, 케이블 패킹, 날개편을 갖는 체결핀 등의 강력한 방수수단을 통해 내부로 물기나 이물질이 침투할 수 있는 모든 틈새를 완벽하게 밀폐차단하여서, 물기나 이물질 등에 의한 부동작, 오동작, 영상품질 저하 등의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아울러, 컴팩트한 구조를 통해 소형화됨으로써 피감시자의 거부감이 줄어들고, 실내 인테리어에 조화되어 잘 어울릴 수 있고, 케이블시트 정렬수단이 전후좌우로 촬영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시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의 사시도.
도 2 는 방수성을 강화하는 방수수단, 케이블 패킹 등에 대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 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수직회전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수평회전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케이블시트 정렬수단의 분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는 하우징(10), 렌즈모듈(20), 차광커버(30), 투명돔(40), 수직회전수단(50), 수평회전수단(60), 컨트롤러(90), 케이블시트 정렬수단(70)의 구성요소와,
방수성을 강화하는 방수수단(110), 케이블 패킹(120), 날개편(131)을 갖는 체결핀(130), 투명돔 패킹(140)의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우선, 방수성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된 방수수단(110), 케이블 패킹(120), 날개편(131)을 갖는 체결핀(130), 투명돔 패킹(140) 등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고, 이들을 설명함에 있어 방향의 기준은 도2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방수수단(110)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10)을 구성하는 베이스(11)와 커버(13)의 결합틈새를 밀폐한다.
참고로, 상기 베이스(11)는 렌즈모듈 등이 고정 장착되고, 상기 커버(13)는 렌즈모듈 등이 내장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방수수단(110)은
상기 커버(16)의 단턱구조에서 내측의 하부접촉면(17)에서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상부끼움돌기(111)와,
상기 베이스(11)의 단턱구조에서 내측의 상부접촉면(12)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끼움돌기(111)에 엇갈려 끼움결합되는 복수의 하부끼움돌기(112)와,
상기 상부끼움돌기(111)와 하부끼움돌기(112)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도록 중간부는 지그재그구조를 갖고, 내부에는 에어가 채워져서, 상부끼움돌기(111)와 하부끼움돌기(112)가 끼움결합될 때 눌려 팽창됨으로써 베이스(11)와 커버(16)의 접촉면에 밀착되는 밀폐패드(113)와,
상기 밀폐패드(113)의 내측에서 상하부로 연장형성되어서 상기 베이스(11) 및 커버(16)의 내면에 접촉되는 연장부(113a)와,
상기 베이스(11) 및 커버(16)의 내면에서 돌출형성되어서, 에어가 몰려 팽창되는 상기 밀폐패드의 연장부(113a)가 상기 베이스(11) 및 커버(16)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장부(113a)의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패드(113)는 그 형상을 최대한 유지하며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서, 상부끼움돌기(111)와 하부끼움돌기(112)가 끼움결합되어 접촉 가압하면,
밀폐패드(113)의 전체적인 부피가 줄어들면서 내부의 공기가 반발하여 밀폐패드(113)의 외면이 상부끼움돌기(111)와 하부끼움돌기(112)에 밀착되고,
특히, 밀폐패드(113)의 내외측의 양측은 이동해온 내부 공기에 의해 팽창을 하게 되는데, 외측은 베이스(11)의 단턱구조에 막히고 내측은 지지부(114)에 막히면서 더욱 강력하게 상부끼움돌기(111)와 하부끼움돌기(112)에 밀착되어 틈새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11)의 바닥에는 하우징(10)에 내장된 렌즈모듈 등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C)이 관통하는 관통공(13)이 형성되는데, 관통공(13)의 내경이 작으면 케이블(C)을 관통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관통공(13)의 내경은 케이블(C)의 직경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케이블(C)과 관통공(13)의 틈새는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케이블(C)과 관통공(13)의 틈새를 밀폐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블 패킹(120)을 도입하였다.
상기 케이블 패킹(120)은
상기 관통공(13)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21)와,
상기 삽입부(121)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3)의 내면과 외면을 밀착하여 덮는 덮개부(122)와,
상기 삽입부(121)의 중심에 형성되며, 관통된 상기 케이블(C)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밀착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13)의 외면 가장자리에는 돌기(14)가 환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3)의 외면을 덮는 덮개부(122)에는 상기 돌기(14)를 감싸 수용하는 수용부(124)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패킹(120)은 상기 베이스(11)의 외면측에서 내면측으로 상기 관통공(14)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시키면 상기 수용부(124)는 상기 돌기(14)를 자연스럽게 감싸 덮게 된다.
상기 케이블(C)의 외피와 상기 케이블 패킹(14)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밀착부(123)가 케이블(C)의 외주연(즉, 외피)에 밀착되어 틈새를 완벽하게 밀폐차단하지만, 상기 베이스(11)는 보통 금속재질이나 경성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서 베이스(11)와 케이블 패킹(120)의 결합 틈새는 완벽하게 밀착되기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11)의 외면에 상기 관통공(13) 주변으로 오목홈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의 내벽에 나사산(15)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15)에 가압구(126)가 스크류결합되어서 상기 케이블 패킹(120)의 덮개부(123)가 가압되어 관통공(13) 주변의 베이스(11) 외면에 완벽하게 밀착되어 밀폐차단하도록 하였다.
상기 하우징(10)의 베이스(11)와 커버(16)는 단턱구조를 통해 서로 맞물려 조립결합되고, 체결핀(130)을 통해 고정결합된다.
상기 베이스(11)와 커버(16)의 고정결합을 위해서, 상기 베이스(11)의 바닥에는 체결보스(136)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커버(16)에는 상기 체결보스(136)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핀(130)이 관통하는 체결홀(137)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핀(130)의 핀부는 상기 체결보스(136)에 스크류결합되나, 체결작업과 해체작업의 용이신속을 위해서 체결홀(137)은 그냥 관통하게 된다. 그래서 체결홀(137)의 내경은 체결핀(130)의 핀부의 외경 보다 크게 되어서 결합틈새가 발생된다.
이 체결핀(130)과 체결홀(137)의 결합틈새를 완벽하게 밀폐차단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체결핀(130)의 헤드 상부면에 체결핀의 조임시에 서로 중첩되어 눌려서 상기 체결홀(137)과의 틈새를 밀폐하는 복수의 날개편(131)을 구비하였다.
상기 날개편(131)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서 서로 중첩되고, 체결핀(130)의 헤드와 체결홀(137)의 외면 사이에서 가압되어 체결핀(130)과 체결홀(137)의 결합틈새를 완벽하게 밀폐차단하고, 인서트사출 방식에 의해 체결핀(130)의 헤드에 일체화되어 결합됨으로써 체결핀(130)의 헤드와의 사이에도 틈새가 없게 된다.
상기 하우징(10) 커버(16)에는 투명돔(40)에 조립결합되고, 이들 간의 결합틈새를 밀폐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투명돔 패킹(140)을 도입하였다.
상기 커버(16)의 상부 내측으로는 상기 투명돔(40)의 하부 일부가 수용되며, 투명돔(40)의 하단을 지지하여 잡아주는 수용턱(18)이 형성되고, 고정핀(19)이 상기 수용턱(18)을 관통하며 상기 투명돔(40)의 내부로 스크류결합되어서 투명돔(40)을 커버(16)에 고정결합시킨다.
상기 투명돔 패킹(140)은 상기 수용턱(18)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면 수용턱(18)에 접촉되고,
상기 투명돔 패킹(140)의 내경은 상기 투명돔(40)의 하부측 외경 보다 살짝 작아서, 투명돔(40)이 투명돔 패킹(140)이 구비된 수용턱(18)으로 억지끼움되면서 투명돔(40)이 투명돔 패킹(140)을 가압하여 투명돔(40)과 수용턱(18) 간의 결합틈새를 밀폐시킨다.
이때, 투명돔(40)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수용턱(18)으로 삽입되면서 고무재질의 투명돔 패킹(140)이 투명돔(40)에 밀려 찌그러지면서 투명돔(40)의 억지끼움을 방해하고, 억지끼움되어라도 찌그러짐에 의한 굴곡 틈이 발생될 수 있어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상기 수용턱(18)의 상부측에는 내측으로 걸림홈(143)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돔 패킹(140)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홈(143)에 수용되어 걸리는 걸림돌출부(141)를 형성함으로써,
투명돔(40)이 수용턱(18)에 억지끼움되더라도 투명돔 패킹(140)이 밀려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 렌즈모듈(20), 차광커버(30), 투명돔(40), 수직회전수단(50), 수평회전수단(60), 컨트롤러(90), 케이블시트 정렬수단(70) 등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들을 설명함에 있어 방향의 기준은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는 상기 투명돔(40)이 조립되어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렌즈모듈(20), 차광커버(30), 컨트롤러(90) 등이 장착된다.
상기 투명돔(40)은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결합되어 그 내부에 배치되는 렌즈모듈(20) 등을 보호하고, 렌즈모듈(20)이 피사체를 투시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광커버(30)는 상기 렌즈모듈(20)과 수직회전수단(50) 등을 덮어서, 상기 투명돔(40)을 투시하여 보이는 내부 모습이 깔끔하도록 하고, 렌즈모듈(20)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여 최소화함으로써 촬영된 영상의 품질이 불량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차광커버(30)는 그 상단에 상기 수평회전수단(60)의 수평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후크식으로 결합되는 후크돌기(31)를 구비한다.
상기 렌즈모듈(20)은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수직회전수단(50)은 상기 렌즈모듈(20)을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렌즈모듈(20)의 전후방향 촬영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수평회전수단(60)은 상기 렌즈모듈(2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렌즈모듈(20)의 좌우방향 촬영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컨트롤러(90)는 상기 렌즈모듈(20), 수직회전수단(50) 및 수평회전수단(60)을 제어하며, 관제실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관제실에서 전송된 명령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컨트롤러(90)는 다수의 제어보드(91, 93, 95)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제어보드는 분리되어 설치됨으로써 서로 간의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다수의 제어보드는 상기 렌즈모듈(20)이 촬영하는 영상을 데이터화하여 관제실로 전송하며, 관제실이 전송하는 명령신호를 처리하는 메인제어보드(91) 이외에 각각 상기 수직회전수단(50)을 제어하고, 상기 수평회전수단(60)을 제어하는 제1제어보드(93), 제2제어보드(95)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렌즈모듈(20)을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수직회전수단(50)은 수직플레이트(51), 힌지플레이트(52), 제1원형링기어(53), 제1모터(54), 제1타이밍벨트(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플레이트(51)는 상기 렌즈모듈(20)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서, 내측에 상기 렌즈모듈(20)을 고정장착시킨다.
상기 렌즈모듈(20)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두 수직플레이트(51)는 일측이 연결판(59)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제1제어보드(93)로 연결된다.
상기 힌지플레이트(52)는 상기 수직플레이트(51)의 외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힌지핀(58)을 통해 수직플레이트(51)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1원형링기어(53)는 상기 수직플레이트(51)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모터(54)는 상기 힌지플레이트(52)의 외면에 결합되며 그 회전축(54a)은 힌지플레이트(52)를 관통하여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타이밍벨트(55)는 상기 제1원형링기어(53)와 상기 제1모터(54)의 회전축(54a)에 치합되어서, 제1모터(54)의 회전축(54a)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원형링기어(53)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직플레이트(51)에 고정장착된 상기 렌즈모듈(20)이 전후방향(즉,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렌즈모듈(2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수평회전수단(60)은 수평플레이트(61), 제2원형링기어(63), 제2모터(64), 제2타이밍벨트(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플레이트(61)는 상부면에 상기 힌지플레이트(52)가 고정장착되고, 하부에 배치된 상기 컨트롤러(90)의 메인제어보드(9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수평플레이트(61)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그 가장자리에 상기 차광커버(30)의 후크돌기(31)가 후크식으로 조립결합되고, 중앙에는 상기 메인제어보드(91)에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공(61a)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공(61a)에는 원통형의 지지부(62a)와, 상기 지지부(62a)의 상하단에서 각각 내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상부연장부(62b)와 하부연장부(62c)로 구성되는 힌지부재(62)가 결합되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61)가 메인제어보드(9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힌지부재(62)의 지지부(62a)는 상기 힌지공(61a)에 배치되어 수평플레이트(61)가 회전할 수 있는 축의 역할을 하고, 상기 상부연장부(62b)는 상기 메인제어보드(91)에 고정결합되어 힌지부재를 고정시키고, 상기 하부연장부(62c)는 상기 수평플레이트(61)의 힌지공(61a) 주변 상부면을 덮어 수평플레이트(61)가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원형링기어(63)는 상기 수평플레이트(61)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모터(64)는 상기 메인제어보드(91)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그 회전축(64a)은 메인제어보드(91)를 관통하여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타이밍벨트(66)는 상기 제2원형링기어(63)와 상기 제2모터(64)의 회전축(64a)에 치합되어서, 제2모터(64)의 회전축이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원형링기어(63)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평플레이트(61)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렌즈모듈(20)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케이블시트 정렬수단(70)은 상기 수직플레이트(51)에 결합된 제1제어보드(93)와 상기 힌지플레이트(52)의 상부측에 결합된 제2제어보드(9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호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케이블시트(80)를 정렬하여, 수직플레이트(51) 또는 수평플레이트(6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시트가 꼬이거나 부하가 가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케이블시트 정렬수단(70)은 권취롤(71)과 고정블럭(73)을 포함한다.
상기 권취롤(71)은 상기 케이블시트(80)의 중간부위를 권취하여서, 상기 수직플레이트(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제어보드(93)와 제2제어보드(95)의 거리(즉, 상기 제1제어보드(93)와 제2제어보드(95)에 각각 연결된 상기 케이블시트(80)의 양단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에 따라 권취된 케이블시트(80)를 풀어주거나 풀린 케이블시트를 권취시킨다.
상기 권취롤(71)은 상기 케이블시트(80)의 폭에 상응하는 거리로 이격되어서 케이블시트가 안착되어 권취되는 안착홈(713)을 형성하는 내측링(711)과 외측링(7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링(711)의 후면에는 상기 수직플레이트(51)에 힌지결합되는 상기 힌지플레이트(52)의 하부측 가장자리에 후크식으로 결합되는 후크돌기(715)가 다수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외측링(712)과 상기 안착홈(713)을 형성하는(즉, 상기 내측링(711)과 외측링(712)을 연결하는) 바닥에는 인입안내홈(717)이 형성되어서, 케이블시트(80)의 중간 부위가 안착홈(713)으로 인입되어 권취될 수 있도록 하고, 케이블시트(80)의 일측이 권취롤(71)에서 나와 제2제어보드(95)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블럭(73)은 상기 수직플레이트(51)에 결합되며 상기 권취롤(71)에서 나온 상기 케이블시트의 타측을 잡아주어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블럭(73)에는 상기 케이블시트가 관통하는 관통홀(731)과, 관통홀(731)에서 나온 케이블시트(80)의 이동방향이 90도 전환되도록 안내하는 방향전환판(733)이 구비된다.
케이블시트(80)는 상기 고정블럭(73)의 관통홀(731)의 입구에서 90도 방향 전화되어 관통되고, 관통홀(731)의 출구에 있는 방향전환판(733)에서 다시 90도 방향 전화되고, 다시 방향전환판(733)에서 90도 방향 전화되어 제1제어보드(93) 측으로 나간다. 그리하여 수직플레이트(51)가 회전하여 케이블시트(80)의 중간 부위가 권취롤(71)에 권취되거나 풀릴 때 고정블럭(73)을 통과하여 제1제어보드(93)로 연결된 케이블시트(80)의 타측은 영향을 받지 않아 아무런 움직임이 없도록, 즉, 케이블시트(80)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케이블시트 정렬수단(70)을 이용하면, 고정블럭(73)에서 나와 제1제어보드(93)에 연결되는 케이블시트(80)의 타측과, 권취롤(71)에서 나와 제2제어보드(95)에 연결되는 케이블시트의 일측은 수직플레이트(51)가 회전하여도 아무런 움직임이 없이 고정되고, 권취롤(71)과 고정블럭(73) 사이에 있는 케이블시트(80)의 중간 부위는 케이블시트가 회전함에 따라 변화되는 길이만큼만이 케이블시트가 권취롤(71)에서 풀리거나 권취되어서 케이블시트가 늘어지거나 당겨지는 상황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정렬수단(70)에 의해 케이블시트(80)가 꼬이거나 다른 구성품에 걸리거나 하여 손상되는 사고를 예방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우징 20 : 렌즈모듈
30 : 차광커버 40 : 투명돔
50 : 수직회전수단 60 : 수평회전수단
70 : 케이블시트 정렬수단 80 : 케이블시트
90 : 컨트롤러
110 : 방수수단 120 : 케이블 패킹
130 : 체결핀 140 : 투명돔 패킹

Claims (4)

  1. 피사체를 촬영하는 렌즈모듈;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조립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모듈 내장되어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커버에 조립결합되어서, 상기 렌즈모듈이 피사체를 투시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의 접촉부위에 구비되는 방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수수단은
    상기 커버의 단턱구조에서 내측의 하부접촉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상부끼움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단턱구조에서 내측의 상부접촉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끼움돌기에 엇갈려 끼움결합되는 복수의 하부끼움돌기와,
    상기 상부끼움돌기와 하부끼움돌기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도록 중간부는 지그재그구조를 갖고, 내부에는 에어가 채워져서, 상부끼움돌기와 하부끼움돌기가 끼움결합될 때 눌려 팽창됨으로써 베이스와 커버의 접촉면에 밀착되는 밀폐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수단은
    상기 밀폐패드의 내측에서 상하부로 연장형성되어서 상기 베이스 및 커버의 내면에 접촉되는 연장부와,
    상기 베이스 및 커버의 내면에서 돌출형성되어서, 에어가 몰려 팽창되는 상기 밀폐패드의 연장부가 상기 베이스 및 커버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는 상기 렌즈모듈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의 내면과 외면을 밀착하여 덮는 덮개부와,
    상기 삽입부의 중심에 형성되며, 관통된 상기 케이블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돌출형성되는 체결보스와,
    상기 체결보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에 관통형성되는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며 상기 체결보스에 스크류결합되는 체결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핀의 헤드 상부면에는 체결핀의 조임시에 서로 중첩되어 눌려서 상기 체결홀과의 틈새를 밀폐하는 복수의 날개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
KR1020130151460A 2013-12-06 2013-12-06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 KR101351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460A KR101351068B1 (ko) 2013-12-06 2013-12-06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460A KR101351068B1 (ko) 2013-12-06 2013-12-06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068B1 true KR101351068B1 (ko) 2014-01-15

Family

ID=5014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460A KR101351068B1 (ko) 2013-12-06 2013-12-06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06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319A (ko) * 2014-06-03 2015-12-11 (주)미래텍 회전형 사이드카메라 어셈블리
KR101723146B1 (ko) * 2016-11-14 2017-04-05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Ip 카메라 모듈 일체형 led 등기구
CN109073144A (zh) * 2017-12-29 2018-12-2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驱动装置、云台、拍摄装置及无人飞行器
CN109218688A (zh) * 2018-11-23 2019-01-15 意诺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监控摄像头
KR20190071948A (ko) 2017-12-15 2019-06-25 (주)엔토스정보통신 돔 카메라
KR102355390B1 (ko) 2021-12-06 2022-02-08 주식회사 인더스비젼 수중용 cctv 카메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837U (ko) * 2007-11-16 2009-05-20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감시 카메라 및 이의 마이크 장착 구조
KR20110106626A (ko) * 2010-03-23 2011-09-29 김인균 돔형 폐쇄 회로 카메라
KR20120133554A (ko) * 2011-05-31 2012-12-11 주식회사 네오콤 감시카메라의 방수구조
KR200467572Y1 (ko) 2013-04-16 2013-06-20 주식회사 씨켐시스템즈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837U (ko) * 2007-11-16 2009-05-20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감시 카메라 및 이의 마이크 장착 구조
KR20110106626A (ko) * 2010-03-23 2011-09-29 김인균 돔형 폐쇄 회로 카메라
KR20120133554A (ko) * 2011-05-31 2012-12-11 주식회사 네오콤 감시카메라의 방수구조
KR200467572Y1 (ko) 2013-04-16 2013-06-20 주식회사 씨켐시스템즈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9319A (ko) * 2014-06-03 2015-12-11 (주)미래텍 회전형 사이드카메라 어셈블리
KR101588344B1 (ko) * 2014-06-03 2016-01-26 (주)미래텍 회전형 사이드카메라 어셈블리
KR101723146B1 (ko) * 2016-11-14 2017-04-05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Ip 카메라 모듈 일체형 led 등기구
KR20190071948A (ko) 2017-12-15 2019-06-25 (주)엔토스정보통신 돔 카메라
CN109073144A (zh) * 2017-12-29 2018-12-2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驱动装置、云台、拍摄装置及无人飞行器
WO2019127392A1 (zh) * 2017-12-29 2019-07-0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驱动装置、云台、拍摄装置及无人飞行器
CN109073144B (zh) * 2017-12-29 2020-04-10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驱动装置、云台、拍摄装置及无人飞行器
CN111361752A (zh) * 2017-12-29 2020-07-03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驱动装置、云台、拍摄装置及无人飞行器
CN111361752B (zh) * 2017-12-29 2022-02-1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驱动装置、云台、拍摄装置及无人飞行器
CN109218688A (zh) * 2018-11-23 2019-01-15 意诺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监控摄像头
KR102355390B1 (ko) 2021-12-06 2022-02-08 주식회사 인더스비젼 수중용 cctv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068B1 (ko) 방수성이 강화된 감시카메라
KR100959937B1 (ko) 방수기능이 강화된 돔형 감시카메라 구조
KR101011269B1 (ko) 다중렌즈를 갖는 돔형 카메라
KR100726346B1 (ko) 외부에서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카메라
KR20080048260A (ko) 적외선 반사광 차단수단이 구비된 돔형 적외선 감시카메라
CN109151286B (zh) 一种摄像头模组及具有该摄像头模组的电子设备
US20140301727A1 (en) Underwater light with camera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20190383090A1 (en) Smart peephole
US8783974B2 (en) Photographic apparatus and case structure thereof
KR101937143B1 (ko) 비구면 반구 돔으로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시킨 cctv 장치
KR20060098496A (ko) 적외선 조명 감시 카메라 장치
KR101454405B1 (ko) 감시카메라용 정션박스
KR101344762B1 (ko) 팬틸트 구조를 갖는 전방위 감시카메라
KR200342138Y1 (ko) 난반사로 인한 허상촬영을 없앤 돔형 적외선 감시 카메라
CN203243432U (zh) 一种半球摄像机
KR101326062B1 (ko)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돔형 감시카메라
KR20100047929A (ko) 사면 감시용 카메라 장치
AU2022224774A1 (en) Triaxial dome-type surveillance camera
CN208380455U (zh) 智能门眼装置
KR100913392B1 (ko) 카메라 틸팅 장치
KR200180585Y1 (ko) 촬영각 조절이 자유로운 보안카메라
CN111561249A (zh) 智能门
KR200316928Y1 (ko) 돔형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
WO2004086753A1 (ja) 撮像装置
KR101410617B1 (ko) 감시카메라 하우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