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019B1 -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019B1
KR101351019B1 KR1020070036562A KR20070036562A KR101351019B1 KR 101351019 B1 KR101351019 B1 KR 101351019B1 KR 1020070036562 A KR1020070036562 A KR 1020070036562A KR 20070036562 A KR20070036562 A KR 20070036562A KR 101351019 B1 KR101351019 B1 KR 101351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ice data
frame
channel
mobil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2760A (ko
Inventor
김종문
최인환
곽국연
김병길
송원규
김진우
이형곤
김진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6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019B1/ko
Priority to CA2683471A priority patent/CA2683471C/en
Priority to CN200880017705A priority patent/CN101682721A/zh
Priority to MX2009010912A priority patent/MX2009010912A/es
Priority to PCT/KR2008/001973 priority patent/WO2008127005A1/en
Priority to US12/100,630 priority patent/US7934244B2/en
Publication of KR20080092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760A/ko
Priority to US13/053,125 priority patent/US84956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019B1/ko
Priority to US14/806,120 priority patent/USRE46398E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 H03M13/25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with concatenated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22Intended application, e.g.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standard
    • H03M13/6538ATSC VB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1Recovering the multiplex stream from a specific network, e.g. recovering MPEG packets from ATM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9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 H03M13/2933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using a block and a convolutional code
    • H03M13/2936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combining two or more codes or code structures, e.g. product codes, generalised product codes, concatenated codes, inner and outer codes using a block and a convolutional code comprising an outer Reed-Solomon code and an inner convolutional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a single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할 때 에러에 강한 디지털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추가의 부호화를 수행하여 전송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강건성을 부여하면서 빠른 채널 변화에 강력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
Figure R1020070036562
디지털, 방송, VSB, 타이밍, 에러, 모바일, PSI, PSIP, 프로그램

Description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도 1은 디지털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서비스 다중화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3은 송신기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전처리기의 일 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5는 RS 프레임 부호화 과정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6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송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디인터리버 전후단의 데이터 구성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RS 프레임의 분할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패킷 다중화된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블록 처리기의 일 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10은 심볼 부호기의 일 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11은 심볼 인터리버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12a는 블록 처리기의 일 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12b는 블록 처리기의 다른 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13는 심볼-바이트 변환기의 출력을 블록 내에서 일정 기준에 따라 배열한 예시도.
도 14는 트렐리스 부호화부의 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15a는 록 처리기와 트렐리스 부호화부가 연접(concatenation)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15b는 블록 처리기와 트렐리스 부호화부의 다른 예시도
도 16은 1/N 부호율로 부호화를 수행하는 블록 처리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17은 블록 처리기의 다른 실시예에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18은 그룹 포맷터에서 전송 파라미터를 입력받아 데이터 그룹 내 바디 영역에 삽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9는 전송 파라미터를 입력받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동일한 과정으로 처리하는 블록 처리기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0은 패킷 포맷터에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하기 위하여 패킷 포맷터를 확장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21은 전송 파라미터를 필드 동기 세그먼트 영역에 삽입하기 위해 동기 다중화기를 확장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23은 RS 프레임 복호기의 에러 정정 복호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
도 24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프로그램에 따른 채널 운영의 예를 예시한 도면
도 26는 물리 채널의 대역에서 각 서비스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7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달하는 PMT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8은 모바일/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식별하는 정보를 파싱할 수 있는 디스크립터를 예시한 도면
도 29은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가 방송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예를 나타낸
도 30은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 중 VCT(virtual channel table)를 예시한 도면
도 31는 방송 신호의 변조 모드(modulation_mode)를 예시한 도면
도 32은 방송 신호의 서비스 타입(service_type)를 예시한 도면
도 33은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가상 채널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VCT를 각각 생성하여 송수신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4은 버스트 구간에 포함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수신할 수 있는 개념도
도 35는 도 34의 상세 예시도
도 36는 방송 수신 시스템의 예를 개시한 도면
도 37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8은 버스트 구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예시한 도면
도 39는 이동 수신을 위한 셀 정보를 전달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중 북미 및 국내에서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 채택된 VSB(Vestigial Sideband) 전송 방식은 싱글 캐리어 방식이므로 열악한 채널 환경에서는 수신 시스템의 수신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휴대용이나 이동형 방송 수신기의 경우에는 채널 변화 및 노이즈에 대한 강건성이 더욱 요구되므로, 상기 VSB 전송 방식으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수신 성능을 더욱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채널 변화 및 노이즈에 강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추가의 부호화를 수행하여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수신 시스템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디지털 방 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알고 있는 기지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의 소정 영역에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 시스템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구별하는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서비스 데이터를 프리-프로세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프리-프로세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를 RS 인코딩하고 RS 패리티 바이트를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RS 프레임 패이로드에 추가하고, 상기 RS 인코딩된 RS 프레임 패이로드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 신드롬 체크 바이트를 추가하여 RS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RS 프레임을 복수의 부분으로 나누는 단계;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의 데이터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데이터그룹은 시그널링 정보, 고정된 길이의 복수의 기지 데이터 시퀀스들 및 상기 나뉜 복수의 부분들 중 어느 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전송 프레임 동안 전송될 상기 데이터 그룹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 및 상기 기지 데이터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 1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과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을 다중화하는 단계, 여기서 제 2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은 제 2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데이터 패킷들 중 상기 제 2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의 데이터에 체계적 RS 인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의 데이터에 비체계적 RS 인코딩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RS 인코딩된 제 2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상기 RS 인코딩된 제 1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데이터 그룹의 집합이 상기 방송 신호의 일정 시간 간격동안 전송되고, 상기 일정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서비스 데이터를 다중화하기 위한 시간 단위를 나타내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데이터 그룹의 집합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을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송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방송 신호의 데이터 그룹들이 상기 전송 프레임의 일정 시간 간격동안 수신되고, 상기 일정 시간 간격은 제 1 서비스 데이터 및 제 2 서비스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시간 단위를 나타내고, 상기 데이터 그룹은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시그널링 정보 및 기정의된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기지 데이터 시퀀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데이터 그룹들의 집합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전송 프레임동안 전송되는 데이터 그룹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복호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그룹이 매핑된 복수의 데이터 부분들을 모아 RS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RS 프레임을 복호하는 단계; 및 상기 RS 프레임에 에러 검출을 수행하고, 상기 RS 프레임의 데이터에 에러 정정 복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RS 프레임은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RS 패리티 바이트 및 CRC 신드롬 체크 바이트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메인 서비스 데이터는 고정형 수신 시스템에서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로서, 오디오/비디오(A/V)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는 HD(High Definition) 또는 SD(Standard Definition)급의 A/V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데이터 방송을 위한 각종 데이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지(Known) 데이터는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미리 알고 있는 데이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모바일(mobile) 서비스 데이터는 모바일(Mobile) 서비스 데이터, 퍼데스트리언(Pedestrian) 서비스 데이터, 핸드헬드(Handheld) 서비스 데 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라 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M/P/H(Mobile/Pedestrian/Handheld) 서비스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동이나 휴대를 의미하는 서비스 데이터는 어느 것이나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 M/P/H 서비스 데이터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의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프로그램 실행 파일, 주식 정보 등과 같이 정보를 갖는 데이터일 수도 있고, A/V 데이터일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휴대용이나 이동형 단말기(또는 방송 수신기)를 위한 서비스 데이터로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비해서 작은 해상도와 작은 데이터 율을 가지는 A/V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존 메인 서비스를 위해 사용하는 A/V 코덱(Codec)이 MPEG-2 코덱(Codec)이라면,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A/V 코덱(Codec)으로는 보다 영상 압축 효율이 좋은 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 SVC(Scalable Video Coding)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로는 어떠한 종류의 데이터라도 전송될 수 있다. 일례로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방송하기 위한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데이터가 서비스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로는 날씨 서비스, 교통 서비스, 증권 서비스, 시청자 참여 퀴즈 프로그램, 실시간 여론 조사, 대화형 교육 방송, 게임 서비스, 드라마의 줄거리, 등장인물, 배경음악, 촬영장소 등에 대한 정보 제공 서비스, 스포츠의 과거 경기 전적, 선수의 프로필 및 성적에 대한 정 보 제공 서비스, 상품 정보 및 이에 대한 주문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별, 매체별, 시간별, 또는 주제별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전송 시스템은 기존 수신 시스템에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backward compatible), 동일한 물리적 채널에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송 시스템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추가적인 부호화를 수행하고, 송/수신측 모두가 미리 알고 있는 데이터 즉, 기지(known) 데이터를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시스템을 사용하면 수신 시스템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이동 수신이 가능하며, 또한 채널에서 발생하는 각종 왜곡과 노이즈에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안정적인 수신이 가능하다.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설명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로서, 서비스 다중화기(Service Multiplexer)(100)와 송신기(Transmitter)(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는 각 방송국의 스튜디오에 위치하고, 송신기(200)는 스튜디오로부터 거리가 떨어진 지역(site)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송신기(200)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로 상 기 복수개의 송신기는 동일한 주파수를 공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개의 송신기는 모두 동일한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면 수신 시스템에서는 채널 등화기가 반사파로 인한 신호 왜곡을 보상하여 원 신호를 복원할 수가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복수개의 송신기는 동일 채널에 대해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와 원격지에 위치한 각 송신기간의 데이터 통신은 여러 가지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SMPTE-310M(Synchronous Serial Interface for transport of MPEG-2 data)과 같은 인터페이스 규격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SMPTE-310M 인터페이스 규격에서는 서비스 다중화기의 출력 데이터 율이 일정한 데이터 율로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8VSB의 경우 19.39 Mbps로 정해져 있고, 16VSB의 경우 38.78 Mbps로 정해져 있다. 또한 기존 8VSB 방식의 전송 시스템에서는 한 개의 물리적인 채널에 데이터 율이 약 19.39 Mbps인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기존 전송 시스템과 역방향 호환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에서도,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하여 추가의 부호화를 수행한 후 이를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TS 패킷 형태로 다중화하여 전송하는데, 이때에도 다중화된 TS 패킷의 데이터 율은 약 19.39 Mbps가 된다.
이때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는 적어도 한 종류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각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테이블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각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으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는 적어도 한 종류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각 메인 서비스를 위한 PSI/PSIP 테이블 데이터를 입력받아 TS 패킷으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한다. 이어 상기 TS 패킷들을 기 설정된 다중화 규칙에 따라 다중화하여 송신기(200)로 출력한다.
서비스 다중화기
도 2는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로서,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Controller)(110), 메인 서비스를 위한 PSI/PSIP 발생기(120),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PSI/PSIP 발생기(130), 널 패킷 발생기(140),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 및 트랜스포트 다중화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포트 다중화기(160)는 메인 서비스 다중화기(161),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 TS) 패킷 다중화기(16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적어도 한 종류의 압축 부호화된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상기 메인 서비스를 위해 PSI/PSIP 발생기(120)에서 발생된 PSI/PSIP 테이블 데이터는 트랜스포트 다중화기(160)의 메인 서비스 다중화기(161)로 입력된다. 상기 메인 서비스 다중화기(161)는 입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PSI/PSIP 테이블 데이터를 각각 MPEG-2 TS 패킷 형태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고, 이러한 TS 패킷들을 다중화하여 TS 패킷 다중화기(162)로 출력한다. 상기 메인 서비스 다중화기(16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패킷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이라 하기로 한다.
또한 적어도 한 종류의 압축 부호화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상기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 PSI/PSIP 발생기(130)에서 발생된 PSI/PSIP 테이블 데이터는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로 입력된다.
상기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는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PSI/PSIP 테이블 데이터를 각각 MPEG-2 TS 패킷 형태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고, 이러한 TS 패킷들을 다중화하여 TS 패킷 다중화기(162)로 출력한다. 상기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패킷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이라 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송신기(200)에서 상기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구분하여 처리하기 위해서는 식별 정보가 필요하다. 상기 식별 정보는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을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데이터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해당 데이터 패킷 내 기 설정된 위치의 값을 변형시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에 각기 서로 다른 PID(Packet Identifier)를 할당하여 구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 동기 바이트를 변형함에 의해, 해당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동기 바이트 값을 이용하여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동기 바이트는 ISO/IEC13818-1에서 규정한 값(예를 들어, 0x47)을 변형없이 그대로 출력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동기 바이트는 변형시켜 출력함에 의해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모바일 서 비스 데이터 패킷을 구분할 수 있다. 반대로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동기 바이트를 변형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동기 바이트를 변형없이 그대로 출력함에 의해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동기 바이트를 변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 바이트를 비트별로 반전시키거나, 일부 비트만을 반전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상기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상기 트랜스포트 다중화기(160)는 기존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트랜스포트 다중화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다중화하여 전송하기 위하여 메인 서비스의 데이터 율을 (19.39-K) Mbps의 데이터 율로 제한하고, 나머지 데이터 율에 해당하는 K Mbps를 모바일 서비스에 할당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이미 사용되고 있는 트랜스포트 다중화기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포트 다중화기(160)는 메인 서비스 다중화기(161)에서 출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에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다중화하여 송신기(200)로 전송한다.
그런데 상기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의 출력 데이터 율이 K Mbps가 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는 출력 데이터 율이 K Mbps가 되도록 널 패킷 발생기(140)에서 발생된 널 데이터 패킷을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널 패킷 발생기(140)는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의 출력 데이터 율을 일정하게 맞추기 위하여 널 데이터 패킷을 발생하여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19.39 Mbps 중 K Mbps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할당하고, 그 나머지인 (19.39-K) Mbps를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할당한다고 하면, 실제로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다중화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데이터 율은 K Mbps보다 작아진다. 이는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경우, 송신기의 전 처리기(pre-processor)에서 추가의 부호화를 수행하여 데이터 량이 늘리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전송할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데이터 율(data rate)이 K Mbps보다 작아지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송신기의 전처리기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적어도 1/2 부호율 이하의 부호화를 수행하므로, 전처리기의 출력 데이터의 양은 입력 데이터의 양보다 2배 이상 많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다중화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데이터 율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데이터 율의 합은 항상 19.39 Mbps 보다 작거나 같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출력되는 최종 출력 데이터 율을 일정한 데이터 율(예를 들어, 19.39 Mbps)로 맞추기 위해, 상기 널 패킷 발생기(140)에서는 모자라는 데이터 율만큼 널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에서는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PSI/PSIP 테이블 데이터를 각각 MPEG-2 TS 패킷 형태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고, 이러한 TS 패킷들과 널 데이터 패킷을 다중화하여 TS 패킷 다중화기(162)로 출력한다.
상기 TS 패킷 다중화기(162)는 메인 서비스 다중화기(161)에서 출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에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다중화하여 19.39 Mbps 데이터 율로 송신기(2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에서 널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로 상기 TS 패킷 다중화기(162)에서 널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아 최종 데이터 율을 일정한 데이터 율로 맞출 수도 있다.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의 출력 경로 및 다중화 규칙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150), 트랜스포트 다중화기(160)의 메인 서비스 다중화기(161), TS 패킷 다중화기(162)에서의 다중화 및 널 패킷 발생기(140)에서의 널 데이터 패킷의 발생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송신기(200)에서는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전송하는 널 데이터 패킷을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하지 않고 버린다.
그리고 상기 송신기(200)에서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지 않고 버리기 위해서는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필요하다.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는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을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데이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 동기 바이트 값을 변형시켜 식별 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고, transport_error_indicator 플래그(flag)를 식별 정보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널 데이터 패킷 내 헤더의 transport_error_indicator 플래그를 널 데이터 패킷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로 이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의 transport_error_indicator 플래그는 1로 셋팅하고, 상기 널 데이터 패킷 이외의 모든 데이터 패킷들의 transport_error_indicator 플래그는 0으로 리셋시켜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을 구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즉, 상기 널 패킷 발생기(140)에서 널 데이터 패킷을 발생시킬 때 널 데이터 패킷의 헤더의 필드 중에서 transport_error_indicator 플래그를 '1'로 세팅하여 전송한다면 송신기(200)에서 이를 구분하여 버릴 수 있다.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는 널 데이터 패킷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상기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널 데이터 패킷의 적어도 일부, 또는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PSI/PSIP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또는 OM(Operations and Maintenance) 패킷(또는 OMP라 하기도 함.)에 전송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송신기(200)에서는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해당 블록으로 출력하며, 필요한 경우 수신 시스템으로도 전송한다.
즉, 전송 시스템의 동작 및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OMP(Operations and Maintenance Packet) 라는 패킷이 정의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OMP는 MPEG-2 TS 패킷의 형식을 따르며 해당 PID는 0x1FFA의 값을 가진다. 상기 OMP은 4바이트의 헤더와 184바이트의 페이로드로 구성된다. 상기 184 바이트 중 첫번째 바이트는 OM_type 필드로서 OM 패킷의 유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OMP의 형식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OM_type 필드의 미사용 필드 값들 중에서 미리 약속된 값을 사용하여, 송신기(200)에 전송 파라미터가 OMP으로 전송됨을 알릴 수 있다. 즉, 송신기(200)에서는 PID를 보고 OMP를 찾을 수 있으며, 상기 OMP 내 OM_type 필드를 파싱하여 해당 패킷의 OM_type 필드 다음에 전송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송/수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부가 정보들로서, 예를 들면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는 데이터 그룹 정보, 데이터 그룹 내 영역(region) 정보, RS 프레임 정보, 수퍼 프레임 정보, 버스트 정보, 터보 코드 정보, RS 코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트 정보에는 버스트 사이즈(size) 정보, 버스트 주기 정보, 다음 버스트까지의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버스트 주기(period)는 동일한 종류의 모바일 서비스를 전송하는 버스트가 반복되는 주기(period)를 의미하고, 버스트 사이즈(size)는 하나의 버스트에 포함되는 데이터 그룹의 개수를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 그룹은 다수개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데이터 그룹이 다수개 모여서 하나의 버스트를 형성한다. 그리고 버스트 구간(section)은 현재 버스트의 시작에서 다음 버스트의 시작까지를 의미하며, 데이터 그룹이 포함되는 구간(또는 버스트 온 구간이라 하기도 함)과 데이터 그룹이 포함되지 않는 구간(또는 버스트 오프 구간이라 하기도 함)으로 구분된다. 하나의 버스트 구간은 다수개의 필드들로 구성되는데, 하나의 필드는 하나의 데이터 그룹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심볼 영역의 신호들이 어떤 방법으로 부호화되는지에 대한 정보,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또는 여러 종류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간에 어떻게 다중화되는지에 대한 다중화 정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일 뿐이며,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들의 추가 및 삭제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전송 파라미터들은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송신기(200)로 제공할 수도 있고, 송신기(200) 자체적으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설정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받을 수 있다.
송신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200)의 구성 블록도로서, 역다중화기(210), 패킷 지터 경감기(Packet jitter mitigator)(220), 전 처리기(Pre-Processor)(230), 패킷 다중화기(240), 후처리기(Post-Processor)(250), 동기(Sync) 다중화기(260), 및 송신부(transmission unit)(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다중화기(210)는 서비스 다중화기(100)로부터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인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인지, 아니면 널 데이터 패킷인지를 구분하여야 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역다중화기(210)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 내 PID를 이용하여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구분하고, transport_error_indicator 필드를 이용하여 널 데이터 패킷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역다중화기(210)에서 분리된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은 패킷 지터 경감기(220)로 출력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은 전처리기(230)로 출력되며, 널 데이터 패킷은 버려진다. 만일 상기 널 데이터 패킷에 전송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면 전송 파라미터가 추출되어 해당 블록으로 출력된 후 널 데이터 패킷은 버려진다.
상기 전처리기(230)는 역다중화기(210)에서 역다중화되어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 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추가의 부호화 및 전송 프레임 상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들의 용도에 따라 어느 특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그룹 형성 과정을 수행한다. 이는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노이즈 및 채널 변화에 빠르고 강력하게 대응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전처리기(230)는 추가의 부호화시에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참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기(230)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다수개 모아 데이터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데이터 그룹 내 기 설정된 영역에 기지 데이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RS 패리티 데이터, MPEG 헤더 등을 할당한다.
송신기 내의 전처리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기(230)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로서, 데이터 랜더마이저(301), RS 프레임 부호기(302), 블록 처리기(303), 그룹 포맷터(304), 데이터 디인터리버(305), 및 패킷 포맷터(3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처리기(230) 내 데이터 랜더마이저(301)는 역다중화기(210)를 통해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랜더마이징시켜 RS 프레임 부호기(302)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랜더마이저(301)에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랜더마이징을 수행함으로써, 후처리기(250)의 데이터 랜더마이저(251)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랜더마이징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는 랜더마이즈되어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복수개 모아 RS 프레임을 구성하고, RS 프레임 단위로 에러 정정 부호화(encoding) 과정, 에러 검출 부호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렇게 하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강건성을 부여하면서 전파 환경 변화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군집 에러를 흐트림으로써 극심하게 열악하고 빠르게 변하는 전파 환경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RS 프레임을 모아 수퍼 프레임(Super Frame)을 구성하고, 수퍼 프레임 단위로 인터리빙(interleaving or permutation)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수퍼 프레임의 각 열을 기 설정된 규칙으로 섞는 인터리빙을 수행하면, 수퍼 프레임 내에서 인터리빙 전후의 로우의 위치가 달라진다. 상기 수퍼 프레임 단위의 인터리빙을 수행하면, 다량의 에러가 발생한 구간이 매우 길어 복호하려는 한 개의 RS 프레임 내에 정정 불가능할 만큼의 에러가 포함되더라도 수퍼 프레임 전체에서는 이 에러들이 분산되므로 단일 RS 프레임과 비교하여 복호 능력이 향상된다.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에러 정정 부호화는 RS 부호화를 적용하고, 에러 검출 부호화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호화를 적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RS 부호화를 수행하면 에러 정정을 위해 사용될 패리티 데이터가 생성되고, CRC 부호화를 수행하면 에러 검출을 위해 사용될 CRC 데이터가 생성된다.
상기 RS 부호화는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중 하나이다. 상기 FEC는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기술을 말한다. 상기 CRC 부호화에 의해 생성된 CRC 데이터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채널을 통해 전송되면서 에러에 의해서 손상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CRC 부호화 이외에 다른 에러 검출 부호화 방법들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에러 정정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수신측에서의 전체적인 에러 정정 능력을 높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는 미리 설정된 전송 파라미터 및/또는 상기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제공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RS 프레임 구성, RS 부호화, CRC 부호화, 수퍼 프레임 구성, 수퍼 프레임 단위의 인터리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전처리기 내 RS 프레임 부호기
도 5의 (a) 내지 (e)는 본 발명에 따른 RS 프레임 부호기(302)의 부호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즉,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는 먼저,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일정 길이(A) 단위로 구분한다. 상기 일정 길이(A)는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187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일정 길이(A)를 패킷이라 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188바이트 단위로 구성된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이라면 도 5의 (b)와 같이 첫 번째 MPEG 동기 바이트를 제거하여 187바이트로 한 패킷을 구성한다. 여기서 MPEG 동기 바이트를 제거하는 이유는 모든 모바일 서비스 패킷이 동일한 값을 갖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MPEG 동기 바이트 제거는 데이터 랜더마이저(301)에서 랜더마이징시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MPEG 동기 바이트 제거 과정은 생략되며, 수신 시스템에서 MPEG 동기 바이트를 부가할 때에 RS 프레임 복호기 대신 데이터 디랜더마이저에서 부가한다.
따라서 입력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제거 가능한 고정된 한 바이트가 존재하지 않거나 입력된 패킷의 길이가 187 바이트가 아닌 경우에는,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187 바이트 단위로 나누고, 나누어진 187 바이트 단위로 하나의 패킷을 구성한다.
이어, 도 5의 (c)와 같이 187바이트로 구성된 패킷을 N개 모아서 하나의 RS 프레임을 구성한다. 이때 하나의 RS 프레임의 구성은 187 * N 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RS 프레임에 187 바이트의 패킷을 차례대로 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렇게 생성된 RS 프레임을 제1 RS 프레임이라 하기도 한다. 즉, 제1 RS 프레임에는 순수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 포함되어 있으며, N 바이트로 된 로우가 187개 구성된 것과 같다.
그리고, 상기 RS 프레임 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일정 크기로 나눈 후, RS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 입력되는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전송을 하게 되면, 송/수신간에 특정 시점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RS 프레임 상에서도 에러가 모여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 에러 정정 디코딩시에 RS 이레이저(erasure) 디코딩을 사용함으로써, 에러 정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RS 프레임의 N개의 모든 컬럼(column)은 도 5의 (c)와 같이 187바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각 컬럼에 대해서 (Nc,Kc)-RS 부호화를 수행하여 Nc-Kc개의 패리티 바이트를 생성하고, 해당 컬럼의 맨 마지막 바이트 다음에 추가하여 Nc 바이트의 한 컬럼을 만들 수가 있다. 여기서 Nc는 Kc보다 큰 수이며, 일 실시예로 Nc 값은 235, Kc 값은 187로 설정한다.
그러면 각 컬럼에 대해 (235,187)-RS 부호화가 수행되어 48개의 패리티 바이트가 생성된다.
그리고 도 5의 (c)의 N개의 모든 컬럼에 대해서 도 5의 (d)와 같이 (235,187)-RS 부호화를 수행하면, 235 * N 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RS 프레임을 만들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RS 패리티가 부가된 RS 프레임을 제2 RS 프레임이라 하기도 한다. 즉, 제2 RS 프레임은 N 바이트로 된 로우가 235개 구성된 것과 같다.
도 5의 (c) 또는 (d)에서와 같이 RS 프레임의 각 로우(row)는 N 바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송/수신간의 채널 상황에 따라서 상기 RS 프레임에 에러가 포함될 수가 있다. 이렇게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 각 로우 단위로 에러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CRC 데이터(또는 CRC 코드 또는 CRC 체크섬이라고도 함)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는 상기 CRC 코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RS 부호화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CRC 부호화를 수행한다. 상기 CRC 부호화에 의해 생성된 CRC 코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채널을 통해 전송되면서 에러에 의해서 손상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CRC 부호화 이외에 다른 에러 검출 부호화 방법들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에러 정정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수신측에서의 전체적인 에러 정정 능력을 높일 수도 있다.
도 5의 (e)는 CRC 데이터로 2 바이트(즉, 16비트) CRC 체크섬(checksum)을 사용하는 예를 보인 것으로서, 각 로우의 N 바이트에 대한 2바이트 CRC 체크섬을 생성한 후 N 바이트 후단에 부가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로우는 N+2 바이트로 확장이 된다.
하기의 수학식 1은 N 바이트로 된 각 로우에 대해 2바이트 CRC 체크섬을 생 성하는 다항식의 예를 보이고 있다.
g(x) = x16 + x12 + x5 + 1
상기 각 로우마다 2바이트 CRC 체크섬을 부가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된 예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RS 패리티 및 CRC 체크섬이 부가된 RS 프레임을 제3 RS 프레임이라 하기도 한다. 즉, 제3 RS 프레임은 N+2 바이트로 된 로우가 235개 구성된 것과 같다.
지금까지 설명한 RS 부호화 및 CRC 부호화 과정을 모두 거치게 되면, 187 * N 바이트의 RS 프레임은 235 * (N+2) 바이트의 RS 프레임으로 확장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e)와 같이 확장된 RS 프레임은 블록 처리기(303)로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부호화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블록 처리기(303)로 입력된다.
상기 블록 처리기(303)는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다시 G/H(여기서 G<H 임) 부호율로 부호화하여 그룹 포맷터(304)로 출력한다.
즉, 상기 블록 처리기(303)는 바이트 단위로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비트로 구분하고, 구분된 G 비트를 H 비트로 부호화한 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일 예로 입력 데이터 1비트를 2비트로 부호화하여 출력한다면 G=1, H=2가 되고, 입력 데이터 1비트를 4비트로 부호화하여 출력한다면 G=1, H=4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를 1/2 부호율의 부호화(또는 1/2 부호화라 하기도 함)라 하고, 후자를 1/4 부호율의 부호화(또는 1/4 부호화라 하기도 함)라 한다.
여기서 1/4 부호화를 사용하는 경우는 1/2 부호화에 비해서 높은 부호율 때문에 높은 에러 정정 능력을 가질 수가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후단의 그룹 포맷터(304)에서 1/4 부호율로 부호화된 데이터는 수신 성능이 떨어질 수 있는 영역에 할당하고, 1/2 부호율로 부호화된 데이터는 더 우수한 성능을 가질 수 있는 영역에 할당한다고 가정하면, 그 성능의 차이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블록 처리기(303)는 전송 파라미터를 담고 있는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도 입력받을 수 있는데, 이 시그널링 정보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처리 과정과 동일하게 1/2 부호화 또는 1/4 부호화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시그널링 정보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로 간주되어 처리된다.
한편 상기 그룹 포맷터(304)는 상기 블록 처리기(303)에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기 정의된 규칙에 따라 형성되는 데이터 그룹 내 해당 영역에 삽입하고, 또한 데이터 디인터리빙과 관련하여 각종 위치 홀더나 기지 데이터(또는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도 상기 데이터 그룹 내 해당 영역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그룹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층화된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고, 계층화된 각 영역의 특성에 따라 각 영역에 삽입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영역은 일 예로 데이터 그룹 내에서 수신 성능 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데이터 그룹은 필드 동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디인터리빙 전의 데이터 구성에서 하나의 데이터 그룹을 A,B,C 영역(Region)으로 구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그룹 포맷터(304)는 RS 부호화 및 블록 부호화되어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해당 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
도 6a는 데이터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들이 구분되어 나열된 형태이고, 도 6b는 데이터 인터리빙 전의 데이터들이 구분되어 나열된 형태를 보여준다. 즉, 도 6a와 같은 데이터 구조가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도 6a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데이터 그룹이 데이터 디인터리버(305)로 입력된다.
도 6a는 데이터 디인터리빙 전의 데이터 구성에서 데이터 그룹을 크게 세 개의 영역(region) 예를 들어, A 영역(Region A), B 영역(Region B), C 영역(Region C)으로 구분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 내지 C 영역을 각각 복수개의 하위 영역으로 다시 구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6a는 상기 A 영역이 5개의 하위 영역(A1~A5)으로 구분되고, B 영역이 2개의 하위 영역(B1,B2)으로 구분되며, C 영역이 3개의 하위 영역(C1~C3)으로 구분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A 내지 C 영역은 데이터 그룹 내에서 비슷한 수신 성능을 갖는 영역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때 각 영역의 특성에 따라 삽입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간섭 정도를 기준으로 A 내지 C 영역을 나누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그룹을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각각의 용도를 달리하기 위해서이다. 즉,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간섭이 없거나 적은 영역은 그렇지 않은 영역보다 강인한 수신 성능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지 데이터를 데이터 그룹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연속적으로 긴 기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삽입하고자 할 때,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간섭이 없는 영역(예를 들어, A 영역)에는 일정 길이의 기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간섭이 있는 영역(예를 들어, B,C 영역)에는 서비스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간섭으로 기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고 연속적으로 긴 기지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도 곤란하다.
다음은 도 6a를 참조하여 데이터 그룹 내에서 A(A1~A5), B(B1,B2), C(C1~C3) 영역이 할당되는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6a의 데이터 그룹의 크기, 데이터 그룹 내 계층화된 영역의 수와 각 영역의 크기, 계층화된 각 영역에 삽입 가능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 수 등은 본 발명을 기술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이다.
이때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는 필드 동기가 삽입될 위치를 포함하여 데이터 그룹을 형성함으로써, 아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데이터 그룹을 구성할 수가 있다.
즉, 상기 A 영역은 상기 데이터 그룹 내 긴 기지 데이터 열(sequence)이 주기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영역이면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섞이지 않는 영역을 포함한다(예, A2~A5). 또한 상기 A 영역은 상기 데이터 그룹에 삽입될 필드 동기 영역과 첫 기지 데이터 열이 삽입될 영역 사이에 있는 영역(예, A1)을 포함한다. 상기 필드 동기 영역은 ATSC에 존재하는 한 세그먼트 길이(즉, 832 심볼)를 갖는다.
일 실시예로 도 6a에서 A1 영역에는 2428 바이트, A2 영역에는 2580 바이트, A3 영역에는 2772 바이트, A4 영역에는 2472 바이트, A5 영역에는 2772 바이트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서 트렐리스 초기화나 기지 데이터, MPEG 헤더, RS 패리티 등은 제외된다.
상기와 같이 앞뒤로 기지 데이터 열을 갖는 A 영역의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는 기지 데이터나 필드 동기로부터 얻을 수 있는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등화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강인한 등화 성능을 얻을 수가 있다.
상기 B 영역은 상기 데이터 그룹 내 필드 동기 영역의 앞쪽 8 세그먼트 이내에 위치하는 영역(시간적으로 A1 영역의 앞에 위치함)(예, B1 영역)과, 상기 데이터 그룹에 삽입되는 가장 마지막 기지 데이터 열 다음 8 세그먼트 내에 위치하는 영역(시간적으로 A 영역의 뒤에 위치함)(예, B2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B1 영역에는 930 바이트, B2 영역에는 1350 바이트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서 트렐리스 초기화나 기지 데이터, MPEG 헤더, RS 패리티 등은 제외된다.
상기 B 영역의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는 필드 동기 구간에서 얻어진 채널 정보를 사용하여 등화를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마지막 기지 데이터 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채널 정보를 사용하여 등화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채널의 변화에 대응할 수가 있다.
상기 C 영역은 필드 동기 영역의 앞쪽 9번째 세그먼트를 포함하여 그 앞쪽으로 30 세그먼트 내에 위치하는 영역(시간적으로 A 영역의 앞에 위치함)(예, C1 영역), 상기 데이터 그룹 내 마지막 기지 데이터 열 다음 9번째 세그먼트를 포함한 12 세그먼트 내에 위치하는 영역(시간적으로 A 영역의 뒤에 위치함)(예, C2 영역), 및 상기 C2 영역 다음에 오는 32 세그먼트 내에 위치하는 영역(예, C3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C1 영역에는 1272 바이트, C22 영역에는 1560 바이트, C3 영역에는 1312 바이트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서 트렐리스 초기화나 기지 데이터, MPEG 헤더, RS 패리티 등은 제외된다.
이때 상기 A 영역보다 시간적으로 앞에 위치한 C 영역(예, C1 영역)은 제일 가까운 기지 데이터인 필드 동기에서도 꽤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수신 시스템에서 채널 등화시에 필드 동기로부터 얻은 채널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이전 데이터 그룹의 가장 최근의 채널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A 영역보다 시간적으로 뒤에 위치한 C 영역(예, C2,C3 영역)은 수신 시스템에서 채널 등 화시에 상기 마지막 기지 데이터 열에서 얻은 채널 정보를 사용하여 등화를 하더라도 채널이 빠르게 변하는 경우에는 등화가 완벽하게 되지 않을 수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C 영역은 B 영역보다 등화 성능이 떨어질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 그룹을 다수개의 계층화된 영역으로 할당한다고 가정하면, 전술한 블록 처리기(303)에서는 계층화된 영역의 특성에 따라 각 영역에 삽입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다른 부호율로 부호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A 영역 내 A1~A5 영역에 삽입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블록 처리기(303)에서 1/2 부호율로 부호화를 수행하도록 하고, 이렇게 부호화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상기 A1~A5 영역에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B 영역 내 B1,B2 영역에 삽입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블록 처리기(303)에서 1/2 부호율보다 에러 정정 능력이 높은 1/4 부호율로 부호화를 수행하도록 하고, 이렇게 부호화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상기 B1,B2 영역에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C 영역 내 C1~C3 영역에 삽입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블록 처리기(303)에서 1/4 부호율이나 또는 1/4 부호율보다 더 강력한 에러 정정 능력을 갖는 부호율로 부호화를 수행하도록 하고, 이렇게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상기 C1~C3 영역에 삽입하도록 할 수도 있고, 추후의 사용을 위해서 미사용(reserve) 영역으로 남겨둘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는 별도로 전체적 인 송신 정보를 알려주는 시그널링(signaling)과 같은 부가 정보 데이터도 상기 데이터 그룹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는 블록 처리기(303)에서 출력된 부호화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들 외에도 도 6a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후단의 데이터 디인터리빙과 관련하여 MPEG 헤더 위치 홀더, 비체계적 RS 패리티 위치 홀더, 메인 서비스 데이터 위치 홀더를 삽입한다. 여기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 위치 홀더를 삽입하는 이유는 도 6a와 같이 데이터 디인터리버의 입력을 기준으로 B,C 영역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사이사이에 섞이게 되기 때문이다. 일 예로 상기 MPEG 헤더를 위한 위치 홀더는 상기 데이터 디인터리빙 후의 출력 데이터를 기준으로 볼 때, 각 패킷의 제일 앞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는 기 정해진 방법에 의해서 발생된 기지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기지 데이터를 추후에 삽입하기 위한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를 삽입한다. 더불어서 트렐리스 부호화부(Trellis Encoding Module)(256)의 초기화를 위한 위치 홀더를 해당 영역에 삽입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초기화 데이터 위치 홀더는 상기 기지 데이터 열의 앞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데이터 그룹에 삽입 가능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사이즈는 해당 데이터 그룹에 삽입되는 트렐리스 초기화 위치 홀더나 기지 데이터(또는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 MPEG 헤더 위치 홀더, RS 패리티 위치 홀더등의 사이즈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그룹 포맷터(304)의 출력은 데이터 인터리버(305)로 입력되고, 상기 데 이터 디인터리버(305)는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그룹 내 데이터 및 위치 홀더를 데이터 인터리빙의 역과정으로 디인터리빙하여 패킷 포맷터(306)로 출력한다. 즉, 도 6a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 데이터 그룹 내 데이터 및 위치 홀더가 상기 데이터 디인터리버(305)에서 디인터리빙되면 패킷 포맷터(306)로 출력되는 데이터 그룹은 도 6b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패킷 포맷터(306)는 디인터리빙되어 입력된 데이터 중에서 디인터리빙을 위해 할당되었던 메인 서비스 데이터 위치 홀더와 RS 패리티 위치 홀더를 제거하고, 나머지 부분들을 모은 후, 4바이트의 MPEG 헤더 위치 홀더에 널 패킷 PID(또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에서 사용하지 않는 PID)를 갖는 MPEG 헤더를 대체하여 삽입한다.
또한 상기 패킷 포맷터(306)는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를 삽입한 경우 상기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에 실제 기지 데이터를 삽입할 수도 있고, 또는 나중에 대체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를 조정없이 그대로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패킷 포맷터(306)는 상기와 같이 패킷 포맷팅된 데이터 그룹 내 데이터들을 188바이트 단위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즉, MPEG TS 패킷)으로 구분하여 패킷 다중화기(240)에 제공한다.
상기 패킷 다중화기(240)는 상기 전처리기(230)에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패킷 지터 경감기(220)에서 출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기 정의된 다중화 방법에 따라 다중화하여 후처리기(Post-Processor)(250)의 데이터 랜더마이저(251)로 출력한다. 상기 다중화 방법은 시스템 설계의 여러 변수들에 의해서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패킷 다중화기(240)의 다중화 방법 중 하나로서, 시간축 상으로 버스트(burst) 구간을 두고, 버스트 구간 내 버스트 온 구간에서는 다수개의 데이터 그룹을 전송하고 버스트 오프 구간에서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버스트 구간은 현재 버스트의 시작에서 다음 버스트의 시작까지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버스트 온 구간에서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패킷 다중화기(240)는 상기 전송 파라미터 예를 들어, 버스트 사이즈나 버스트 주기 등의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의 버스트에 포함되는 데이터 그룹의 개수, 주기 등을 알 수 있다.
이때 버스트 온 구간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및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혼재할 수 있으며, 버스트 오프 구간에서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 존재한다. 따라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은 버스트 온 구간과 버스트 오프 구간에 모두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버스트 온 구간 내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과 버스트 오프 구간에 포함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 수는 서로 다를 수도 있고, 같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버스트 구조로 전송하게 되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을 수신하는 수신 시스템에서는 버스트 구간에서만 전원을 온시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외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 전송되는 구간에서는 전원을 오프 시켜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신 시스템의 소모 전력을 줄일 수가 있다.
RS 프레임 구성 및 패킷 다중화에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
다음은 전처리기(230)와 패킷 다중화기(24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구성되는 RS 프레임의 한 로우의 길이인 N 값을 538로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는 538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을 입력받아 187 * 538 바이트 크기의 제1 RS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235,187)-RS 부호화를 거쳐 235 * 538 바이트 크기의 제2 RS 프레임을 형성하고, 다시 16-비트 CRC 체크섬 생성 과정을 거쳐서 235 * 540 바이트 크기의 제3 RS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6a에서와 같이 데이터 그룹 내 다수개의 영역들 중에서 1/2 부호화를 거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삽입하게 될 A 영역 내 A1-A5 영역의 바이트 수를 합치면 13024 바이트(=2428+2580+2772+2472+2772 바이트)이다. 이 경우 1/2 부호화 전의 바이트 수는 6512(=13024/2) 바이트이다.
그리고 1/4 부호화를 거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삽입하게 될 B 영역 내 B1,B2 영역의 바이트 수를 합치면 2280(=930+1350) 바이트가 된다. 이 경우 1/4 부호화 전의 바이트 수는 570(=2280/4) 바이트이다.
정리하면, 상기 블록 처리기(303)로 7082 바이트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 중 6512 바이트는 1/2 부호화를 통해서 13024 바이트로 확장되고, 570 바이트는 1/4 부호화를 통해서 2280 바이트로 확장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그룹 포맷터(304)는 13024 바이트로 확장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A 영역 내 A1~A5 영역에 삽입하고, 2280 바이트로 확장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B 영역 내 B1,B2 영역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블록 처리기(303)로 입력되는 7082 바이트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RS 프레임 부호기(302)의 출력과 시그널링 정보로 구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7082 바이트 중 7050 바이트는 RS 프레임 부호기(302)의 출력에서 받아들이고, 나머지 32 바이트는 시그널링 정보 데이터를 입력받아 1/2 부호화 또는 1/4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한편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RS 부호화 및 CRC 부호화를 거친 한 개의 RS 프레임은 235 * 540 바이트 즉, 126900 바이트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이것을 시간축에 대해 7050 바이트 단위로 나누면, 18개의 7050 바이트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출력되는 7050 바이트 단위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32 바이트 단위의 부가 정보 데이터와 합쳐진 후 블록 처리기(303)에서 1/2 부호화 또는 1/4 부호화되어 그룹 포맷터(304)로 출력된다. 상기 그룹 포맷터(304)는 1/2 부호화된 데이터는 A 영역에 삽입하고, 1/4 부호화된 데이터는 B 영역에 삽입한다.
다음은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RS 프레임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N 값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즉,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RS 부호화 및 CRC 부호화된 최종 RS 프레임(즉, 제3 RS 프레임) 크기인 235 * (N+2) 바이트는 정수개의 그룹에 할당이 되어야 한다. 이때 단일 데이터 그룹에는 부호화 전을 기준으로 7050 바이트가 할당이 되기 때문에, 235 * (N+2)바이트를 7050(=235*30)으로 나누어 떨어지도록 하면, RS 프레임 부호기(302)의 출력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데이터 그룹에 할당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N+2가 30의 배수가 되도록 N 값을 결정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N 값으로 538을 결정하고, N+2(=540)를 30으로 나누면 18이 된다. 이것은 하나의 RS 프레임 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1/2 부호화 또는 1/4 부호화 과정을 거쳐 18개의 데이터 그룹에 나누어 할당됨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RS 프레임의 분할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즉, 235 * (N+2) 크기를 갖는 RS 프레임을 30*235 바이트 블록으로 나눈다. 그리고 나누어진 각 블록은 하나의 그룹에 매핑된다. 즉, 30*235 바이트 크기를 갖는 하나의 블록의 데이터는 1/2 부호화 또는 1/4 부호화 과정을 거쳐 하나의 데이터 그룹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그룹 포맷터(304)에서 계층화된 각 영역에 해당 데이터 및 위치 홀더가 삽입된 데이터 그룹은 데이터 디인터리버(305)와 패킷 포맷터(306)를 거쳐 패킷 다중화기(240)로 입력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패킷 다중화기(240)의 동작 예를 보인 것이다. 즉, 상기 패킷 다중화기(240)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섞여 있는 데이터 그룹이 포함된 필드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 있는 필드를 다중화하여 데이터 랜더마이저(251)로 출력한다.
이때, 235 * 540 바이트 크기를 갖는 한 개의 RS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18개의 데이터 그룹을 전송해야 한다. 여기서 각 데이터 그룹은 도 6a와 같이 필드 동기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18개의 데이터 그룹은 18 필드 구간 동안 전송되며, 상기 18개의 데이터 그룹이 전송되는 구간을 버스트 온 구간이라 하기로 한다.
상기 버스트 온 구간 내 각 필드에서는 필드 동기를 포함하는 하나의 데이터 그룹과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출력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버스트 온 구간 내 각 필드에서는 118 세그먼트 크기의 데이터 그룹과 194 세그먼트 크기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출력된다.
도 8을 보면, 버스트(burst) 온 구간 동안 즉, 18 필드 구간 동안은 18개의 데이터 그룹이 포함된 필드를 전송하고, 그 다음 버스트 오프 구간 즉, 12 필드 구간 동안은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으로 구성된 필드를 전송하게 된다. 이후 다시 버스트 온 구간에서는 18개의 데이터 그룹이 포함된 18 필드를 전송하고, 다음 버스트 오프 구간에서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으로 구성된 12 필드를 전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첫번째 18개의 데이터 그룹을 포함한 버스트 온 구간과 두 번째 18개의 데이터 그룹을 포함한 버스트 온 구간에서 같은 종류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첫 번째 버스트 온 구간과 두 번째 버스트 온 구간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하고, 수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만 수신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는 원하는 데이터 서비스를 포함하는 해당 버스트 온 구간에서만 전원을 온시켜 18개의 필드를 수신하고, 나머지 42개의 필드 구간 동안에는 전원을 오프시켜 수신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신 시스템의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버스트 온 구간에서 수신된 18개의 데이터 그룹으로부터 하나의 RS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디코딩이 용이해지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버스트 온 구간에 포함되는 데이터 그룹의 수는 RS 프레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RS 프레임의 크기는 N 값에 따라 달라진다. 즉, N 값을 조정하여 버스트 내 데이터 그룹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235,187)-RS 부호화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N 값을 조정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데이터 그룹 내 삽입 가능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크기는 해당 데이터 그룹에 삽입되는 트렐리스 초기화나 기지 데이터, MPEG 헤더, RS 패리티 등의 크기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킷 다중화 과정에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 사이사이에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그룹이 다중화되기 때문에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시간적인 위치가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수신 시스템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시스템 목표 디코더(즉, MPEG 디코더)에서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을 수신하여 복호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은 널 데이터 패킷으로 인식하여 버리게 된다.
따라서 수신 시스템의 시스템 목표 디코더가 데이터 그룹과 다중화된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경우 패킷 지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스템 목표 디코더에서는 비디오 데이터를 위한 여러 단계의 버퍼가 존재하고 그 사이즈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상기 패킷 다중화기(240)에서 발생시키는 패킷 지터는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시스템 목표 디코더가 가지는,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버퍼의 사이즈는 작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킷 지터로 인해 수신 시스템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위한 버퍼,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를 위한 버퍼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나 언더플로우(underflow)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킷 지터 경감기(220)에서는 상기 시스템 목표 디코더의 버퍼에서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상대적인 위치를 재조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버퍼의 동작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오디오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재배치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상기 패킷 지터 경감기(220)는 메인 서비스의 오디오 데이터 패킷이 최대한 균일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재배치한다.
상기 패킷 지터 경감기(220)에서 메인 서비스의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재배치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패킷 지터 경감기(220)는 후단의 패킷 다중 화기(240)의 다중화 정보를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첫번째, 버스트 온 구간 내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 예를 들어 두개의 데이터 그룹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에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이 한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의 제일 앞에 배치하고, 2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일 앞과 제일 뒤에 배치하며, 3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일 앞과 제일 뒤에 배치하고 나머지를 그 사이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두번째, 버스트 온 구간 시작 전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 즉, 버스트 오프 구간에서는 제일 마지막 위치에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배치한다.
세번째, 버스트 온 구간이 끝난 후 버스트 오프 구간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에서는 제일 앞에 오디오 데이터 패킷을 배치한다.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가 아닌 패킷들은 입력되는 순서대로 오디오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제외한 공간에 배치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재조정하게 되면 그에 따른 PCR(Program Clock Reference) 값을 수정해 주어야 한다. PCR 값은 MPEG 디코더의 시간을 맞주기 위한 시간 기준값으로 TS 패킷의 특정 영역에 삽입되어 전송되어진다. 상기 패킷 지터 경감기(220)에서 PCR 값 수정의 기능도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패킷 지터 경감기(220)의 출력은 패킷 다중화기(240)로 입력된다. 상기 패킷 다중화기(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킷 지터 경감기(220)에서 출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전처리기(230)에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기 설정된 다중화 규칙에 따라 버스트 구조로 다중화하여 후 처리기(250)의 데이터 랜더마이저(251)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랜더마이저(251)는 입력된 데이터가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이면 기존의 랜더마이저와 동일하게 랜더마이징을 수행한다. 즉,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 내 동기 바이트를 버리고 나머지 187 바이트를 내부에서 발생시킨 의사랜덤(pseudo random) 바이트를 사용하여 랜덤하게 만든 후 RS 부호기/비체계적 RS 부호기(252)로 출력한다.
그러나 입력된 데이터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이면, 패킷의 일부만을 랜더마이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처리기(230)에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미리 랜더마이징을 수행하였다고 가정하면, 상기 데이터 랜더마이저(251)는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4바이트의 MPEG 헤더 중 동기 바이트를 버리고 나머지 3바이트에 대해서만 랜더마이징을 수행하여 상기 RS 부호기/비체계적 RS 부호기(252)로 출력한다. 즉, 상기 MPEG 헤더를 제외한 나머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서는 랜더마이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RS 부호기/비체계적 RS 부호기(252)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랜더마이저(251)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기지 데이터(또는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와 초기화 데이터 위치 홀더에 대해서는 랜더마이징을 수행할 수도 있고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RS 부호기/비체계적 RS 부호기(252)는 상기 데이터 랜더마이저(251)에서 랜더마이징되는 데이터 또는 바이패스되는 데이터에 대해 RS 부호화를 수행하여 20바이트의 RS 패리티를 부가한 후 데이터 인터리버(253)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RS 부호기/비체계적 RS 부호기(252)는 입력된 데이터가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인 경우 기존 방송 시스템과 동일하게 체계적 RS 부호화를 수행하여 20바이트의 RS 패리티를 187바이트의 데이터 뒤에 부가한다. 그리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이면 비체계적 RS 부호화를 수행하고, 이때 얻은 20바이트의 RS 패리티를 패킷 내 미리 정해진 패리티 바이트 위치에 삽입한다.
상기 데이터 인터리버(253)는 바이트 단위의 길쌈(convolutional) 인터리버이다.
상기 데이터 인터리버(253)의 출력은 패리티 치환기(254)와 비체계적 RS 부호기(255)로 입력된다.
한편 상기 패리티 치환기(254)의 후단에 위치한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출력 데이터를 송/수신측에서 약속에 의해 정의한 기지 데이터로 하기 위해 먼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 내의 메모리의 초기화가 필요하다. 즉 입력되는 기지 데이터 열이 트렐리스 부호화되기 전에 먼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메모리를 초기화시켜야 한다.
이때 입력되는 기지 데이터 열의 시작 부분은 실제 기지 데이터가 아니라 전처리기(230) 내 그룹 포맷터에서 삽입된 초기화 데이터 위치 홀더이다. 따라서 입력되는 기지 데이터 열이 트렐리스 부호화되기 직전에 초기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트렐리스 메모리 초기화 데이터 위치 홀더와 치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트렐리스 메모리 초기화 데이터는 상기 트렐리스 부호화부(256) 의 메모리 상태에 따라 그 값이 결정되어 생성된다. 또한 치환된 초기화 데이터에 의한 영향으로 RS 패리티를 다시 계산하여 상기 데이터 인터리버(253)에서 출력되는 RS 패리티와 치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비체계적 RS 부호기(255)에서는 상기 데이터 인터리버(253)로부터 초기화 데이터로 치환될 초기화 데이터 위치 홀더가 포함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고,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로부터 초기화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입력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 중 초기화 데이터 위치 홀더를 초기화 데이터로 치환하고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에 부가된 RS 패리티 데이터를 제거한 후 비체계적인 RS 부호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비체계적 RS 부호화하여 얻은 RS 패리티를 상기 패리티 치환기(255)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패리티 치환기(255)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 내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인터리버(253)의 출력을 선택하고, RS 패리티는 비체계적 RS 부호기(255)의 출력을 선택하여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패리티 치환기(254)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이 입력되거나 또는 치환될 초기화 데이터 위치 홀더가 포함되지 않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이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 인터리버(25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RS 패리티를 선택하여 그대로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로 출력한다.
상기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는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를 심볼 단위로 바꾸고 12-way 인터리빙하여 트렐리스 부호화한 후 동기 다중화기(260)로 출력한다.
상기 동기 다중화기(260)는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출력에 필드 동기와 세그먼트 동기를 삽입하여 송신부(270)의 파일롯 삽입기(271)로 출력한다.
상기 파일롯 삽입기(271)에서 파일롯이 삽입된 데이터는 변조기(272)에서 기 설정된 변조 방식 예를 들어, VSB 방식으로 변조된 후 RF 업 컨버터(273)를 통해 각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블록 처리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처리기의 상세 블록도로서, 바이트-비트 변환기(401), 심볼 부호기(402), 심볼 인터리버(403), 및 심볼-바이트 변환기(4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트-비트 변환기(401)는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112)에서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를 비트로 구분하여 심볼 부호기(402)로 출력한다.
상기 바이트-심볼 변환기(401)는 전송 파라미터 등을 담고있는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 시그널링 정보 바이트들도 비트로 구분하여 심볼 부호기(402)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담고 있는 시그널링 정보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처리 과정과 동일하게 데이터 랜더마이저(301)와 RS 프레임 부호기(302)를 거쳐 블록 처리기(303)로 입력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데이터 랜더마이저(301)와 RS 프레임 부호기(302)를 거치지 않고 바로 블록 처리기(303)로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심볼 부호기(402)는 입력되는 데이터 G비트를 H비트로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G/H 부호기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상기 심볼 부호기(402)는 1/2 부호율의 부호화(또는 1/2 부호화라 하기도 함) 또는 1/4 부호율의 부호화(또는 1/4 부호화라 하기도 함)를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상기 심볼 부호기(402)는 입력받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들과 시그널링 정보에 대해 1/2 부호화 또는 1/4 부호화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시그널링 정보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로 간주되어 처리된다.
상기 심볼 부호기(402)에서는 1/2 부호화인 경우에는 1비트를 입력받아 2비트(즉, 1개의 심볼)로 부호화하여 출력하고, 1/4 부호화인 경우에는 1비트를 입력받아 4비트(즉, 2개의 심볼)로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도 10은 상기 심볼 부호기(402)의 일 실시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로서, 2개의 지연기(501,503)와 3개의 가산기(502,504,505)로 구성되어, 입력 데이터 비트 U를 부호화하여 4비트(u0~u3)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비트 U는 최상위 비트 u0로 그대로 출력됨과 동시에 부호화되어 하위 비트 u1u2u3로 출력된다.
즉, 입력 데이터 비트 U는 그대로 최상위 비트 u0로 출력됨과 동시에 제1,제3 가산기(502,505)로 출력된다. 상기 제1 가산기(502)는 입력 데이터 비트 U와 제1 지연기(501)의 출력을 더하여 제2 지연기(503)로 출력하며, 상기 제2 지연기(502)에서 일정 시간(예를 들어 1 클럭) 지연된 데이터는 하위 비트 u1로 출력됨과 동시에 제1 지연기(501)로 피드백된다. 상기 제1 지연기(501)는 상기 제2 지연기(502)에서 피드백되는 데이터를 일정 시간(예를 들어, 1 클럭) 지연시켜 제1 가산기(502)와 제 2 가산기(504)로 출력한다. 상기 제2 가산기(504)는 제1,제2 지연기(501,503)의 출력을 더하여 하위 비트 u2로 출력한다. 상기 제3 가산기(505)는 입력 데이터 비트 U와 제2 가산기(504)의 출력을 더하여 하위 비트 u3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심볼 부호기(402)는 입력 데이터 비트 U가 1/2 부호율로 부호화될 데이터라면 4개의 출력 비트 u0u1u2u3 중 u0u1 비트로 한 심볼을 구성하여 출력하면 된다. 또한 1/4 부호율로 부호화될 데이터라면 u0u1 비트로 구성된 심볼을 출력하고, 이어 u2u3 비트로 된 또 다른 심볼을 출력하면 된다. 다른 실시예로, 1/4 부호율로 부호화될 데이터라면 u0u1 비트로 구성된 심볼을 두 번 반복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심볼 부호기(402)에서는 4개의 출력 비트 u0u1u2u3을 모두 출력하고, 후단의 심볼 인터리버(403)에서 1/2 부호율인 경우에는 4개의 출력 비트 u0u1u2u3 중 u0u1 비트로 구성된 심볼만을 선택하고, 1/4 부호율인 경우에는 u0u1 비트로 구성된 심볼과 u2u3 비트로 구성된 또 다른 심볼을 모두 선택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1/4 부호율인 경우에는 u0u1 비트로 구성된 심볼을 반복하여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심볼 부호기(402)의 출력은 심볼 인터리버(403)로 입력되고, 상기 심볼 인터리버(403)는 상기 심볼 부호기(402)의 출력 데이터에 대해 심볼 단위로 블록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상기 심볼 인터리버(403)는 구조적으로 어떤 순서 재배열을 하는 인터리버이면 어느 인터리버라도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순서를 재배열하려는 심볼의 길이가 다양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가변 길이 심볼 인터리버를 사용하 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심볼 인터리버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순서를 재배열하려는 심볼의 길이가 다양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가변 길이 심볼 인터리버이다.
특히 도 11은 K=6, L=8인 경우의 심볼 인터리버의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K는 심볼 부호기(402)에서 심볼 인터리빙을 위해 출력되는 심볼들의 개수이고, L은 심볼 인터리버(403)에서 실제로 인터리빙이 되는 심볼들의 개수이다.
본 발명의 심볼 인터리버(403)는 L = 2n(여기서 n은 자연수)이면서 L K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만일 K와 L의 값이 차이가 나게 되면, 차이나는 개수(=L-K)만큼 널(null 또는 dummy) 심볼이 추가되어 인터리빙 패턴이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K는 인터리빙을 위해 상기 심볼 인터리버(403)로 입력되는 실제 심볼들의 블록 크기가 되고, L은 상기 심볼 인터리버(403)에서 생성된 인터리빙 패턴에 의해 인터리빙이 이루어지는 인터리빙 단위가 된다.
도 11은 그 예를 보인 것으로서, 인터리빙하기 위해 심볼 부호기(402)에서 출력되는 심볼의 수(=K)는 6 심볼이고, 실제 인터리빙 단위(L)는 8 심볼이 된다. 따라서 도 11의 (a)와 같이 2 심볼이 널 심볼로 추가되어 인터리빙 패턴이 만들어진다.
하기의 수학식 2는 상기 심볼 인터리버(403)에서 순서를 재배열하고자 하는 심볼 K개를 순서대로 입력받은 후, L = 2n이면서 L ≥ K 조건을 만족하는 L을 찾아 인터리빙 패턴을 만들어 재배열하는 과정을 수학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모든 위치 0 ≤ i ≤ L-1 에 대해서,
P(i) = S × i × (i+1) / 2 mod L
여기서 L ≥ K , L = 2n이고, n, S는 자연수이다. 도 11에서 S는 89, L은 8로 가정하고, 구현한 인터리빙 패턴 및 인터리빙 예이다.
상기 수학식 2, 도 11의 (b)와 같이 L 심볼 단위로 K개의 입력 심볼과 (L-K)개의 널 심볼의 순서를 재배열한 후 하기의 수학식 3, 도 11의 (c)와 같이 널 심볼의 위치를 제거하고 다시 정렬하며, 정렬된 순서대로 인터리빙된 심볼을 심볼-바이트 변환기(404)로 출력된다.
if P(i) > K-1, then P(i) 위치는 제거하고 정렬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404)는 상기 심볼 인터리버(403)에서 순서 재배열이 완료되어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심볼들을 바이트로 변환하여 그룹 포맷터(304)로 출력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처리기의 상세 블록도로서, 인터리빙부(Interleaving nit)(610), 및 블록 포맷터(block formatter)(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리빙부(610)는 바이트-심볼 변환기(converter)(611), 심볼-바이트 변환기(612), 심볼 인터리버(613), 및 심볼-바이트 변환기(6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볼 인터리버는 블록 인터리버라 하기도 한다.
상기 인터리빙부(610)의 바이트- 심볼 변환기(611)는 상기 RS 프레임 부호기(302)에서 바이트 단위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X)를 심볼 단위로 변환하여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와 심볼 인터리버(613)로 출력한다. 즉, 상기 바이트- 심볼 변환기(611)는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8비트)의 2비트를 1개의 심볼로 하여 출력한다. 이는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입력이 2비트로 된 심볼 단위이기 때문이다. 상기 블록 처리기(303)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와의 관계는 뒤에서 설명한다.
이때 상기 바이트-심볼 변환기(611)는 전송 파라미터 등을 담고 있는 시그널링(signaling) 정보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 시그널링 정보 바이트들도 심볼 단위로 구분하여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와 심볼 인터리버(613)로 출력한다.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는 상기 바이트-심볼 변환기(611)에서 출력되는 4개의 심볼을 모아 바이트를 구성한 후 블록 포맷터(62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와 상기 바이트-심볼 변환기(611)는 서로 역의 과정이기 때문에 두 블록의 결과는 상쇄되어 도 12b에서와 같이 입력 데이터 X가 그대로 블록 포맷터(620)로 바이패스되는 효과가 있다. 즉, 도 12b의 인터리빙부(610)는 도 12a의 인터리빙부(610)와 등가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상기 심볼 인터리버(613)는 상기 바이트-심볼 변환기(61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심볼 단위로 블록 인터리빙을 수행하여 심볼-바이트 변환기(614)로 출 력한다.
상기 심볼 인터리버(613)는 구조적으로 순서 재배열을 하는 인터리버이면 어떠한 인터리버라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순서를 재배열하려는 심볼의 길이가 다양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가변 길이 인터리버를 사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면, 도 12a, 도 12b에서도 도 11의 심볼 인터리버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는 상기 심볼 인터리버(613)에서 순서 재배열이 완료되어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심볼들을 모아 바이트를 구성한 후 블록 포맷터(620)로 출력한다. 즉,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는 상기 심볼 인터리버(613)에서 출력되는 4개의 심볼을 모아 바이트를 구성한다.
상기 블록 포맷터(620)는 도 13과 같이 각 심볼-바이트 변환기(612,614)의 출력을 블록 내에서 일정 기준에 따라 배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블록 포맷터(620)는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와 관계되어 동작한다.
즉, 상기 블록 포맷터(620)는 상기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로 입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기지 데이터, RS 패리티 데이터, MPEG 헤더 데이터 등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들의 위치(또는 순서)를 고려하여 각 심볼-바이트 변환기(612,614)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출력 순서를 결정한다.
상기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는 일 실시예로서, 내부에 12개의 트렐리스 부호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상세 블록도 로서, 12개의 동일한 트렐리스 부호기가 노이즈 분산을 위해 인터리버로 결합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각 트렐리스 부호기는 프리코더(Pre cod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a는 상기 블록 처리기(303)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가 연접(concatenation)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실제로 송신 시스템에서는 도 3과 같이 블록 처리기(303)를 포함하는 전처리기(230)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 사이에 다수의 블록이 존재하지만, 수신 시스템에서는 두 블록이 연접된 것으로 간주하여 복호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로 입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기지 데이터, RS 패리티 데이터, MPEG 헤더 데이터 등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한 데이터들은 상기 블록 처리기(303)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 사이에 존재하는 블록들에서 부가되는 데이터들이다. 도 15b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블록 처리기(303)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 사이에 데이터 처리부(650)가 배치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 처리기(303)의 인터리빙부(610)는 1/2 부호율로 부호화를 수행하는 경우, 도 12a(또는 도 12b)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650)는 도 3을 예로 들 경우, 그룹 포맷터(304), 데이터 인터리버(305), 패킷 포맷터(306), 패킷 다중화기(240), 후 처리기(250)의 데이터 랜더마이저(251), RS 부호기/비체계적 RS 부호기(252), 데이터 인터리버(253), 패리티 치환기(254), 비체계적 RS 부호기(2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심볼화하여 기 정의된 방식에 따라 각각의 트렐리스 부호기로 나누어 보낸다. 이때, 한 바이트는 2비트로 구성된 4개의 심볼로 변환되고, 하나의 바이트로부터 만들어진 심볼들은 모두 같은 트렐리스 부호기로 전송된다. 그러면 각 트렐리스 부호기는 입력 심볼 중 상위 비트는 프리코딩시켜 최상위 출력 비트 C2로 출력하고, 하위 비트는 트렐리스 부호화하여 두 개의 출력 비트 C1,C0으로 출력한다.
상기 블록 포맷터(620)는 각 심볼-바이트 변환기의 출력 바이트가 서로 다른 트렐리스 부호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다음은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 포맷터(620)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a를 예로 들 경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의 출력 바이트와 심볼-바이트 변환기(614)의 출력 바이트는 상기 블록 포맷터(620)의 제어에 의해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서로 다른 트렐리스 부호기로 입력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의 출력 바이트를 X라 하고,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의 출력 바이트를 Y라 하기로 한다. 도 13의 (a)에서 각 숫자(0~11)는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1번째부터 12번째까지의 트렐리스 부호기를 각각 지시한다.
그리고 상기 블록 포맷터(620)는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의 출력 바이트들이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0번부터 5번까지의 트렐리스 부호기(0~5)로 입력되고,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의 출력 바이트들이 6번부터 11번까지의 트렐 리스 부호기(6~11)로 입력되도록, 각 심볼-바이트 변환기(612,614)의 출력 순서를 배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의 출력 바이트들이 할당되는 트렐리스 부호기들 및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의 출력 바이트들이 할당되는 트렐리스 부호기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일 뿐이다.
또한 상기 블록 처리기(303)의 입력이 12바이트로 구성된 블록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에서는 X0~X11까지 12바이트가 출력되고,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에서도 Y0~Y11까지 12바이트가 출력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13의 (b)는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로 입력되는 데이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뿐만 아니라 메인 서비스 데이터 및 RS 패리티 데이터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로 입력되어 각 트렐리스 부호기로 분배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즉, 상기 블록 처리기(303)로부터 출력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그룹 포맷터(304)를 거치면서,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도 13의 (a)와 같이 메인 서비스 데이터, 그리고 RS 패리티 데이터가 섞인 형태로 출력된다고 할 때, 각 바이트들은 데이터 인터리빙 후의 데이터 그룹 내 위치에 따라 12개의 트렐리스 부호기로 입력된다.
여기에 앞서 언급한 원칙에 따라 심볼-바이트 변환기(612,614)의 출력 바이트들(X,Y)을 해당 트렐리스 부호기에 할당하면, 각 트렐리스 부호기의 입력은 도 13의 (b)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도 13의 (b)를 보면,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에서 출력되는 6개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X0~X5)는 상기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1번째부터 6번째 트렐리스 부호기(0~5)에 순차적으로 할당(또는 분배)되고,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에서 출력되는 2개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Y0,Y1)는 7번째,8번째 트렐리스 부호기(6,7)에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그리고 5개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 중 4개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가 9번째부터 12번째 트렐리스 부호기(8~11)에 순차적으로 할당되고, 다음 1개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가 다시 첫 번째 트렐리스 부호기(0)에 할당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도 13의 (b)와 같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메인 서비스 데이터, RS 패리티 데이터 등이 각 트렐리스 부호기에 할당된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록 처리기(303)의 입력이 12바이트로 구성된 블록이고,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에서는 X0~X11까지 12바이트가 출력되고,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4)에서도 Y0~Y11까지 12바이트가 출력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블록 포맷터(620)는 도 13의 (c)와 같이 X0~X5,Y0,Y1,X6~X10,Y2~Y7,X11,Y8~Y11 순으로 상기 심볼-바이트 변환기(612,614)의 출력을 배열하여 출력한다.
즉, 각 데이터 바이트들이 전송 프레임 내의 어느 위치에 삽입되는가에 따라 각각 어떠한 트렐리스 부호기에서 부호화되는지가 결정된다. 이때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뿐만 아니라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MPEG 헤더 데이터, RS 패리티 데이터 등도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에 입력되므로,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하기 위해서 블록 포맷터(620)는 데이터 인터리빙 이후의 데이터 그룹 포맷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다 고 가정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1/N 부호율로 부호화를 수행하는 블록 처리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로서, 병렬로 구성된 (N-1)개의 심볼 인터리버(741~74N-1)를 포함한다. 즉, 1/N 부호율을 갖는 블록 처리기는 원래의 입력 데이터가 그대로 블록 포맷터(730)로 전달되는 가지(branch or path)를 포함하여 총 N개의 가지를 갖는다. 그리고 각 가지의 심볼 인터리버(741~74N-1)는 서로 다른 형태의 심볼 인터리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1)개의 심볼 인터리버(741~74N-1)의 출력단에는 대응되는 (N-1)개의 심볼-바이트 변환기(751~75N-1)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1)개의 심볼-바이트 변환기(751~75N-1)의 출력도 블록 포맷터(730)로 입력된다.
본 발명에서 N은 12보다 같거나 작은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만일 N이 12라면 상기 블록 포맷터(730)는 12번째 심볼-바이트 변환기(75N-1)의 출력 바이트는 12번째 트렐리스 부호기로 입력되도록 출력 데이터를 배열할 수 있다. 만일 N이 3이라면 상기 블록 포맷터(730)는 심볼-바이트 변환기(720)의 출력 바이트들은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첫 번째부터 4번째 트렐리스 부호기로 입력되고, 심볼-바이트 변환기(751)의 출력 바이트들은 5번째부터 8번째 트렐리스 부호기로 입력되며, 심볼-바이트 변환기(752)의 출력 바이트들은 9번째부터 12번째 트렐리스 부호기로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 심볼-바이트 변환기의 출력 데이터 순서는 각 심볼-바이트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섞이게 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외의 데이터들의 데이터 그룹 내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블록 처리기의 상세 블록도를 보인 것으로서, 블록 포맷터를 제거하고 블록 포맷터의 역할을 그룹 포맷터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17의 블록 처리기는 바이트-심볼 변환기(810), 심볼-바이트 변환기(820,840), 및 심볼 인터리버(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심볼-바이트 변환기(820,840)의 출력은 그룹 포맷터(850)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블록 처리기는 심볼 인터리버와 심볼-바이트 변환기를 더 추가하여 원하는 부호율을 얻을 수 있다. 만일 1/N 부호율로 부호화를 원하면 원래의 입력 데이터가 그대로 그룹 포맷터(850)로 전달되는 가지(branch or path)를 포함하여 총 N개의 가지와, N-1개의 가지에 병렬로 구성되는 (N-1)개의 심볼 인터리버, 심볼-바이트 변환기를 구비하면 된다. 이때 상기 그룹 포맷터(850)는 MPEG 헤더, 비체계적 RS 패리티,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위한 위치를 확보하는 위치 홀더를 삽입하는 동시에 블록 처리기의 각 가지로부터 출력되는 바이트들을 정해진 위치에 배치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트렐리스 부호기의 개수, 심볼-바이트 변환기의 개수, 심볼 인터리버의 개수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이거나 단순한 예시인 바, 상기 수치들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트렐리스 부호화부(256)의 각 트렐리스 부호기로 할당되는 바이트 종류 및 위치는 데이터 그룹 포맷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블록 처리기(303)에서 1/N 부호율로 부호화되어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그룹 포맷터(304)로 입력된다. 여기서는 상기 블록 처리기(303)의 블록 포맷터에서 출력 데이터 순서가 데이터 그룹 내 바이트 위치에 따라 배열되어 출력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시그널링 정보 처리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200)에서는 전송 파라미터를 여러 가지 방법, 및 위치에서 삽입하여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송신기에서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해야 할 전송 파라미터에 대해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데이터 그룹 정보, 데이터 그룹 내 영역 정보, 수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RS 프레임의 개수(Super frame size :SFS), RS 프레임에서 한 개 컬럼당 RS 패리티 개수(P), RS 프레임의 로우 방향으로 에러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추가되는 체크섬의 사용유무, 사용되는 경우 그 종류와 크기(현재는 CRC로 2바이트 추가), 한 개의 RS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 그룹의 개수- RS 프레임은 한 개의 버스트 구간에 전송되므로 한 버스트내의 데이터 그룹 개수(Burst size : BS)와 동일하다 - 그리고 터보 코드 모드, RS 코드 모드 등이 있다. 또한 버스트 수신시 필요한 전송 파라미터로는 버스트 주기(Burst Period :BP) - 한 버스트 주기는 한 버스트의 시작부터 다음 버스트의 시작까지를 필드 개수로 카운트한 값이다.- 그리고 현재 전송되는 RS 프레임이 한 개의 수퍼 프레임 내에서 차지하는 순서(Permuted Frame Index : PFI)나 한 개의 RS 프레임 (버스트) 내에서 현재 전송되고 있는 그룹의 순서(Group Index :GI), 버스트 사이즈 등이 있다. 버스트 운용방법에 따라서는 다음 버스트 시작까지 남아있는 필드 개수(Time to Next Burst :TNB)가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을 전송 파라미터로서 전송함에 의해, 수신 시스템에 전송되는 각 데이터 그룹마다 다음 버스트 시작까지의 상대적인 거리(필드 개수)를 알려줄 수도 있다.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일 뿐이며, 상기 전송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정보들의 추가 및 삭제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제1 실시예로서, 전송 파라미터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 또는 데이터 그룹의 일정 영역을 할당하여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는 일단 수신 신호에 대해 동기와 등화가 이루어지고 심볼 단위의 복호가 이루어지고 난 후, 패킷 디포맷터에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전송 파라미터를 분리해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그룹 포맷터(304)에서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2 실시예로서, 전송 파라미터를 다른 데이터와 다중화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지 데이터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다중화할 때, 기지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는 위치에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할 수 있으며 또는 기지 데이터와 혼합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그룹 포맷터(304) 또는 패킷 포맷터(306)에서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 다.
제3 실시예로서, 전송 파라미터는 전송 프레임의 필드 동기 세그먼트 내에 미사용 영역의 일부를 할당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는 수신 신호에 대한 심볼 단위의 복호가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블록 처리기(303), 그룹 포맷터(304)의 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를 갖는 전송 파라미터를 상기 필드 동기 신호의 미사용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 시스템에서는 필드 동기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필드 동기를 획득한 후 약속된 위치에서 전송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동기 다중화기(260)에서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4 실시예로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패킷보다 높은 계층(layer)에서 삽입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는 신호를 수신하여 TS 패킷 계층 이상으로 이미 만들 수 있어야 하고, 이때 전송 파라미터의 용도는 현재 수신한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에 대한 검증 역할과 이 후에 수신될 신호의 전송 파라미터를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송 신호에 관련된 여러 가지의 전송 파라미터들을 상기된 실시예들의 방법을 통해 삽입하여 전송하는데, 이때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어느 한 실시예를 통해서만 삽입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일부 실시예를 통해서 삽입하여 전송할 수도 있으며, 모든 실시예를 통해 삽입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전송 파라미터 내 정보는 각 실시예에서 중복되어 삽입될 수도 있고, 필요한 정보만 해당 실시예의 해당 위치에서 삽입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강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짧은 주기의 블록 부호화를 수행한 후 해당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짧은 주기의 블록 부호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커독(Kerdock) 부호화, BCH 부호화, RS 부호화, 전송 파라미터의 반복 부호화 등이 있다. 또한, 여러 개의 블록 부호화의 조합도 가능하다.
상기 전송 파라미터들을 모아 작은 크기의 블록 부호를 만들어 데이터 그룹 내에 signaling용으로 할당해둔 바이트에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수신 측면에서 블록 복호기를 통과하여 전송 파라미터 값이 얻어지므로 블록 복호시 필요한 터보 코드 모드, RS 코드 모드 등의 전송 파라미터는 먼저 얻어져야 한다. 이 때문에 모드에 관련된 전송 파라미터는 기지 데이터 영역의 일부 구간에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빠른 복호를 위해 심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직교성이 우수한 시퀀스 8개(예, 표2의 8가지 모드를 나타냄)중에 한 개를 현재 모드에 맞춰 각 데이터 그룹마다 이 구간에 삽입한다. 수신 시스템은 각 시퀀스들과 현재 수신된 시퀀스간에 상관 관계를 보고 부호 모드와 조합 모드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송 파라미터가 필드 동기 세그먼트 영역 또는 기지 데이터 영역에 삽입되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전송 파라미터가 전송 채널을 거쳤을 때 그 신뢰도가 떨어지므로,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기 정의된 패턴들 중 하나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수신 시스템에서는 수신된 신호와 기 정의된 패턴들과의 상관 연산을 수행하여 전송 파라미터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트 내의 그룹의 개수가 5개인 경우를 A 패턴으로 송/수신측 의 약속에 의해 미리 정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송신측에서는 버스트 내의 그룹의 개수가 5개일 때는 A 패턴을 삽입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수신측에서는 수신 데이터와 미리 생성한 A 패턴을 포함하는 여러 기준 패턴들과의 상관 연산을 수행한다. 이때 수신 데이터와 A 패턴과의 상관값이 제일 크면 상기 수신 데이터는 전송 파라미터 특히, 버스트 내의 그룹의 개수를 나타내며 이때 그 개수는 5개라고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전송 파라미터 삽입 및 전송하는 과정을 제1 내지 제3 실시예로 나누어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8은 그룹 포맷터(304)에서 전송 파라미터를 입력받아 데이터 그룹 내 A 영역에 삽입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략도이다.
이때, 상기 그룹 포맷터(304)는 블록 처리기(303)로부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에 반해 전송 파라미터는 데이터 랜더마이징 과정, RS 프레임 부호화 과정, 블록 처리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거친 후 그룹 포맷터(304)로 입력될 수도 있고, 세 과정 모두를 거치지 않고 그룹 포맷터(304)로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서비스 다중화기(100)에서 제공될 수도 있고, 송신기(200) 내부에서 발생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수신 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 그룹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데이터 그룹 정보, 다중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는 데이터 그룹을 형성하는 규칙에 따라 데이터 그룹 내 해당 영역에 입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짧은 주기의 블록 부호화를 거친 후 상기 데이터 그룹 내 A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A 영역 중 약속된 임의의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전송 파라미터가 블록 처리기(303)에서 블록 처리 과정을 거쳤다고 가정하면, 상기 블록 처리기(303)에서는 전송 파라미터를 담고있는 시그널링 정보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처리 과정과 동일하게 1/2 부호화 또는 1/4 부호화를 수행한 후 그룹 포맷터(304)로 출력한다. 이후 상기 시그널링 정보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로 간주되어 처리된다.
도 19는 전송 파라미터를 입력받아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동일한 과정으로 처리하는 블록 처리기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9의 구성 요소에 시그널링 정보 제공부(411)와 다중화기(412)가 더 추가된 예를 보이고 있다.
즉, 시그널링 정보 제공부(411)에서는 전송 파라미터를 담고있는 시그널링 정보를 다중화기(412)로 출력한다. 상기 다중화기(412)는 시그널링 정보와 RS 프레임 부호기(302)의 출력을 다중화하여 바이트-비트 변환기(401)로 출력한다.
상기 바이트-비트 변환기(401)는 다중화기(412)에서 출력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바이트 또는 시그널링 정보 바이트를 비트로 구분하여 심볼 부호기(402)로 출력한다.
이후의 동작은 상기된 도 9를 참조하면 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만일, 상기 블록 처리기(303)의 상세 구성이 도 12, 도 15 내지 도 17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한다면 상기 시그널링 정보 제공부(411)와 다중화기(412)는 바이드-심볼 변환기 전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그널링 정보 제공부(411)에서 제공되는 전송 파라미터가 심볼 단위라면 상기 시그널링 정보 제공부(411)와 다중화기(412)는 바이트-심볼 변환기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한편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기 정해진 방법에 의해서 발생된 기지 데이터를 데이터 그룹 내 해당 영역에 삽입할 경우, 기지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그룹 내 A 영역의 시작 부분에 긴 기지 데이터 열을 삽입하는 경우, 이 중 일부에는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송 파라미터가 삽입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삽입되는 기지 데이터 열 중 일부는 수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그룹의 시작점을 포착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수신 시스템에서 채널 등화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 데이터 영역에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하는 경우, 전송 파라미터는 짧은 주기로 블록 부호화하여 삽입할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기 정의된 패턴을 삽입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데이터 그룹 내 기지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는 영역에 기지 데이터 대신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패킷 포맷터(306)에서 삽입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패킷 포맷터(306)는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를 삽입한 경우 상기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에 기지 데이터를 대체하여 삽입할 수도 있고, 상기 그룹 포맷터(304)에서 기지 데이터를 삽입한 경우에는 그대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0은 상기 패킷 포맷터(306)에서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하기 위하여 패킷 포맷터를 확장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로서, 상기 패킷 포맷터(306)에 기지 데이터 발생부(351)와 시그널링 다중화기(352)가 더 포함된 구조이다. 상기 시그널링 다중화기(352)로 입력되는 전송 파라미터는 현재 버스트의 길이에 대한 정보, 다음 버스트의 시점을 알려주는 정보, 버스트 내 그룹들이 존재하는 위치와 길이, 버스트 내에서 현재 그룹에서 다음 그룹까지의 시간, 기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다중화기(352)는 전송 파라미터와 기지 데이터 발생부(351)에서 발생된 기지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패킷 포맷터(306)로 출력한다. 상기 패킷 포맷터(306)는 상기 데이터 디인터리버(305)에서 출력되는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에 상기 시그널링 다중화기(352)에서 출력되는 기지 데이터 또는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패킷 포맷터(306)는 기지 데이터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그룹 내 A 영역의 시작 부분에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를 삽입한 경우, 상기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 중 일부에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 데이터 위치 홀더에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전송 파라미터는 짧은 주기로 블록 부호화하여 삽입할 수도 있고,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기 정의된 패턴을 삽입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시그널링 다중화기(352)에서는 기지 데이터와 전송 파라미터(또는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정의된 패턴)를 다중화하여 새로운 기지 데이터 열을 구성한 후 패킷 포맷터(306)로 출력한다. 상기 패킷 포맷터(306)는 데이터 디인터리버(305)의 출력으로부터 메인 서비스 데이터 위치 홀더, RS 패리티 위치 홀더를 제거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MPEG 헤더, 시그널링 다중화기(352)의 출력으로 188 바이트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패킷 다중화기(240)로 출력한다.
이 경우 각 데이터 그룹 내 A 영역은 각기 다른 기지 데이터 패턴을 갖게 된다. 따라서 수신 시스템에서는 기지 데이터열 중에서 약속된 구간의 심볼만을 떼어 전송 파라미터로 인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지 데이터는 송신 시스템의 설계 방식에 따라 패킷 포맷터(306)나 그룹 포맷터(304) 또는 블록 처리기(303)등 다른 위치에서 삽입될 수 있으므로, 기지 데이터를 삽입하는 블록에서 상기 기지 데이터 대신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기지 데이터 영역 중 일부에 블록 처리기(303)의 처리 방법을 포함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송 파라미터 심볼 자체를 위한 심볼 처리 방법과 그 위치가 정해져 있으며, 복호할 다른 데이터 심볼보다 시간적으로 먼저 송수신하도록 위치시켜야 한다. 그러면 수신 시스템에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 심볼을 데이터 심볼 복호 전에 검출하여 데이터 심볼을 위한 복호에 사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한편 전송 파라미터는 상기 필드 동기 세그먼트 영역에 삽입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1은 전송 파라미터를 필드 동기 세그먼트 영역에 삽입하기 위해 동기 다중화기를 확장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로서, 상기 동기 다중화기(260)에 시그널링 다중화기(261)가 더 포함된 구조이다.
통상 VSB 방식의 전송 프레임은 2개의 필드로 구성되고, 각 필드는 하나의 필드 동기 세그먼트와 312개의 데이터 세그먼트로 이루어진다. 각 데이터 세그먼트는 총 832 심볼로 구성된다. 이때, 한 데이터 세그먼트에서 첫 번째 4 심볼은 세그먼트 동기 부분이고, 한 필드에서 첫 번째 데이터 세그먼트는 필드 동기 부분이 된다.
하나의 필드 동기 신호는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 길이로 이루어지며, 처음 4개의 심볼(symbol)에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패턴이 존재하고, 그 다음에 유사 랜 덤 시퀀스(Pseudo Random Sequence)인 PN 511, PN 63, PN 63, PN 63이 존재하며 그 다음 24 심볼에는 VSB 모드 관련 정보가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VSB 모드 관련 정보가 존재하는 24 심볼 다음의 나머지 104 심볼은 미사용(Reserved)인데, 상기 미사용 영역 중 마지막 12 심볼에는 이전 세그먼트의 마지막 12 심볼 데이터를 복사하여 놓는다. 그러면 상기 필드 동기 세그먼트에서 92개 심볼이 실제적인 미사용 영역이 된다.
따라서 상기 시그널링 다중화기(261)는 전송 파라미터가 필드 동기 세그먼트의 미사용 영역에 삽입되도록 기존의 필드 동기 세그먼트 심볼과 다중화하여 동기 다중화기(260)로 출력한다. 상기 동기 다중화기(260)는 세그먼트 동기 심볼, 데이터 심볼들, 그리고 상기 시그널링 다중화기(261)에서 출력되는 새로운 필드 동기 세그먼트를 다중화하여 새로운 전송 프레임을 구성한다. 상기 전송 파라미터가 삽입된 필드 동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전송 프레임은 송신부(270)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삽입하기 위한 필드 동기 세그먼트 내의 미사용 영역은 92 심볼의 미사용 영역의 일부 또는 전체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미사용 영역에 삽입하는 전송 파라미터는 일 예로, 메인 서비스 데이터인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인지 또는 다른 종류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인지 등을 구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블록 처리기(303)의 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가 전송 파라미터의 일부로서 전송되는 경우, 수신 시스템에서 블록 처리기(303)에 해당하는 복호가 수행될 때 이 블록 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복호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블록 처리기(303)의 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는 블록 디코딩 전에 알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블록 처리기(303)(및/또는 그룹 포맷터(304))의 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를 갖는 전송 파라미터를 상기 필드 동기 신호의 미사용 영역에 삽입하여 전송하면, 수신 시스템에서는 수신 신호에 대한 블록 디코딩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전송 파라미터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수신 시스템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2의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에서는 송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구간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기지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반송파 동기 복원, 프레임 동기 복원 및 채널 등화 등을 수행함으로써,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은 튜너(901), 복조기(902), 등화기(903), 기지 데이터 검출부(904), 블록 복호기(905), 데이터 디포맷터(906), RS 프레임 복호기(907), 디랜더마이저(908), 데이터 디인터리버(909), RS 복호기(910), 및 데이터 디랜더마이저(9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 디포맷터(906), RS 프레임 복호기(907), 및 디랜더마이저(908)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처리부라 하고, 데이터 디인터리버(909), RS 복호기(910), 및 데이터 디랜더마이저(911)를 메인 서비스 데이터 처리부라 하기로 한다.
즉, 상기 튜너(901)는 특정 채널의 주파수를 튜닝하여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다운 컨버전한 후 복조기(902)와 기지 데이터 검출부(904)로 출력한다.
상기 복조기(902)는 입력되는 IF 신호에 대해 자동 이득 제어, 반송파 복구 및 타이밍 복구 등을 수행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만든 후 등화기(903)와 기지 데이터 검출부(904)로 출력한다.
상기 등화기(903)는 상기 복조된 신호에 포함된 채널 상의 왜곡을 보상한 후 블록 복호기(905)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기지 데이터 검출부(904)는 상기 복조기(902)의 입/출력 데이터 즉, 복조가 이루어지기 전의 데이터 또는 복조가 이루어진 후의 데이터로부터 송신측에서 삽입한 기지 데이터 위치를 검출하고 위치 정보와 함께 그 위치에서 발생시킨 기지 데이터의 심볼 열(sequence)을 복조기(902)와 등화기(903)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기지 데이터 검출부(904)는 송신측에서 추가적인 부호화를 거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추가적인 부호화를 거치지 않은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블록 복호기(905)에 의해서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블록 복호기(905)로 출력한다. 그리고 도 22의 도면에서 연결 상태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지 데이터 검출부(904)에서 검출된 정보는 수신 시스템에 전반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데이터 디포맷터(906)와 RS 프레임 복호기(907) 등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복조기(902)는 타이밍 복원이나 반송파 복구시에 상기 기지 데이터 심볼열을 이용함으로써, 복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등화기(903)에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기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등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복호기(905)의 복호 결과를 상기 등화기(903)로 피드백하여 등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등화기(903)는 다양한 방법으로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채널 임펄스 응답(Channel Impulse Response ; CIR)을 추정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송신 시스템에서 계층화되어 전송된 데이터 그룹 내 각 영역에 따라 채널 임펄스 응답(CIR)의 추정 및 적용을 다르게 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위치와 내용을 알고 있는 기지 데이터와 필드 동기를 이용하여 CIR을 추정함으로써, 채널 등화를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때 등화를 위해 입력된 하나의 데이터 그룹은 도 6a와 같이, A 내지 C 영역으로 구분되고, 다시 A 영역은 A1~A5 영역으로, B 영역은 B1,B2 영역으로, C1 영역은 C1~C3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6a와 같은 데이터 구조에서 필드 동기로부터 추정되는 CIR을 CIR_FS 라고 하고, A 영역에 존재하는 다섯 개의 기지 데이터 열(sequence)로부터 추정되는 CIR을 순서대로 CIR_N0, CIR_N1, CIR_N2, CIR_N3, CIR_N4 라고 하자.
본 발명은 상기 필드 동기와 기지 데이터 열로부터 추정된 CIR을 이용하여 데이터 그룹 내 데이터에 대해 채널 등화를 수행하는데, 이때 데이터 그룹의 각 영역의 특징에 따라 상기 추정된 CIR들 중 하나를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고,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CIR을 보간(interpolation)하거나, 외삽(extrapolation)하여 생성된 CIR을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서 보간(interpolation)은 어떤 함수 F(x)에 대해 시점 A에서의 함수값 F(A)와 시점 B에서의 함수값 F(B)를 알고 있을 때 A와 B 사이의 어떤 시점에서의 함수값을 추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보간의 가장 간단한 예로 선형 보간(Linear Interpolation)이 있다. 상기 선형 보간 기법은 수많은 보간 기법 중 가장 간단한 예이며 상기한 방법 외에 여러 가지 다양한 보간 기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된 예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외삽(extrapolation)은 어떤 함수 F(x)에 대해 시점 A에서의 함수값 F(A)와 시점 B에서의 함수값 F(B)를 알고 있을 때 A와 B 사이의 구간이 아닌 바깥쪽의 시점에서의 함수값을 추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외삽의 가장 간단한 예로 선형 외삽(Linear Extrapolation)이 있다. 상기 선형 외삽 기법은 수많은 외삽 기법 중 가장 간단한 예이며 상기한 방법 외에 여러 가지 다양한 외삽 기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된 예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즉, 상기 C1 영역의 경우, 이전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N4, 채널 등화를 수행할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FS, 또는 현재 데이터 그룹의 CIR_FS와 CIR_N0를 외삽하여 생성한 CIR 중 하나를 사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B1 영역의 경우, C1 영역과 같이 여러 가지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FS와 CIR_N0를 선형 외삽(extrapolation)하여 생성한 CIR을 사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FS를 사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A1 영역의 경우,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FS와 CIR_N0를 보간하여 생성한 CIR를 사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FS와 CIR_N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A2~A5 영역의 경우,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N(i-1)과 CIR_N(i)를 보간하여 생성한 CIR을 사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N(i-1)과 CIR_N(i)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B2,C2,C3 영역의 경우,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N3와 CIR_N4를 외삽하여 생성한 CIR을 사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데이터 그룹에서 추정한 CIR_N4를 사용하여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그룹에 삽입된 데이터에 대해 채널 등화시에 최적의 성능을 얻을 수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서 설명한 데이터 그룹 내 각 영역에서 채널 등화를 위해 CIR을 구하는 방법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이며, 이러한 방법들은 보다 넓고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제시한 것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상기 등화기(903)에서 채널 등화된 후 블록 복호기(905)로 입력되는 데이터가 송신측에서 추가적인 부호화와 트렐리스 부호화가 모두 수행된 모바일 서비 스 데이터이면 송신측의 역으로 트렐리스 복호화 및 추가적 복호화가 수행되고, 추가적인 부호화는 수행되지 않고 트렐리스 부호화만 수행된 메인 서비스 데이터이면 트렐리스 복호화만 수행된다. 상기 블록 복호기(905)에서 복호화된 데이터 그룹은 데이터 디포맷터(906)로 입력되고,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디인터리버(909)로 입력된다.
즉 상기 블록 복호기(905)는 입력된 데이터가 메인 서비스 데이터이면 입력 데이터에 대해 비터비 복호를 수행하여 하드 판정값을 출력하거나 또는 소프트 판정값을 하드 판정하고 그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입력된 데이터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이면 상기 블록 복호기(905)는 입력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하여 하드 판정값 또는 소프트 판정값을 출력한다.
즉, 상기 블록 복호기(905)는 입력된 데이터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이면 송신 시스템의 블록 처리기와 트렐리스 부호화부에서 부호화된 데이터에 대해서 복호를 수행한다. 이때 송신측의 전처리기의 RS 프레임 부호기는 외부 부호가 되고, 블록 처리기와 트렐리스 부호기는 하나의 내부 부호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접 부호의 복호시에 외부 부호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는 내부 부호의 복호기에서 소프트 판정값을 출력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블록 복호기(905)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하드 판정(hard decision) 값을 출력할 수도 있으나, 필요한 경우 소프트 판정값을 출력하는 것이 더 좋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디인터리버(909), RS 복호기(910), 및 디랜더마이저(911)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블록들로서, 오직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시스템 구조에서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디인터리버(909)는 송신측의 데이터 인터리버의 역과정으로 상기 블록 복호기(905)에서 출력되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여 RS 복호기(910)로 출력한다.
상기 RS 복호기(910)는 디인터리빙된 데이터에 대해 체계적 RS 복호를 수행하여 디랜더마이저(911)로 출력한다.
상기 디랜더마이저(911)는 RS 복호기(910)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송신기의 랜더마이저와 동일한 의사 랜덤(pseudo random) 바이트를 발생시켜 이를 bitwise XOR(exclusive OR)한 후 MPEG 동기 바이트를 매 패킷의 앞에 삽입하여 188 바이트 메인 서비스 데이터 패킷 단위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블록 복호기(905)에서 데이터 디포맷터(906)로 출력되는 데이터의 형태는 데이터 그룹 형태이다. 이때 상기 데이터 디포맷터(906)에서는 입력 데이터 그룹의 구성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그룹 내에서 시스템 정보를 갖는 시그널링 정보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구분한다. 그리고 구분된 시그널링 정보는 시스템 정보를 위한 곳으로 전달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RS 프레임 복호기(907)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디포맷터(906)에서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및 데이터 그룹에 삽입되었던 기지 데이터, 트렐리스 초기화 데이터, MPEG 헤더 그리고 송신 시스템의 RS 부호기/비체계적 RS 부호기 또는 비체계적 RS 부호기에서 부가된 RS 패리티를 제거하여 RS 프레임 복호기(907)로 출력한다.
즉,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는 상기 데이터 디포맷터(906)로부터 RS 부호화 및 CRC 부호화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을 입력받는다.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에서는 송신 시스템의 RS 프레임 부호기에서의 역과정을 수행하여 RS 프레임 내 에러들을 정정한 후, 에러 정정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에 RS 프레임 부호화 과정에서 제거되었던 1 바이트의 MPEG 동기 바이트를 부가하여 디랜더마이저(908)로 출력한다.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의 상세한 동작은 뒤에서 설명한다.
상기 디랜더마이저(908)는 입력받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서 송신 시스템의 랜더마이저의 역과정에 해당하는 디랜더마이징을 수행하여 출력함으로써, 송신 시스템에서 송신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의 상세한 동작 설명이다.
도 23은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의 에러 정정 복호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즉,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는 데이터 디포맷터(906)로부터 입력받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들을 모아서 RS 프레임을 구성한다. 상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송신 시스템에서 RS 부호화 및 CRC 부호화된 데이터이다.
도 23의 (a)는 RS 프레임을 구성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즉, 송신 시스템에서 235 * (N+2) 크기의 RS 프레임을 30*235 바이트 블록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블록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각 데이터 그룹에 삽입시켜 전송하였다고 가정하 면, 수신 시스템에서도 각 데이터 그룹에 삽입된 30*235 바이트 블록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모아 235 * (N+2) 크기의 RS 프레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RS 프레임이 18개의 30*235 바이트 블록으로 구분되어 하나의 버스트 구간에서 전송되었다고 가정하면, 수신 시스템에서도 해당 버스트 구간 내 18개의 데이터 그룹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모아 RS 프레임을 구성한다. 또한 N이 538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는 하나의 버스트 안에 있는 18개의 데이터 그룹 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들을 모아서 235 * 540 바이트 크기의 RS 프레임을 구성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블록 복호기(905)에서 복호 결과를 소프트 판정값으로 출력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는 상기 소프트 판정값의 부호로 해당 비트의 0과 1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결정된 비트를 8개 모아서 한 바이트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하나의 버스트 안에 있는 18개의 데이터 그룹의 소프트 판정값에 대해 모두 수행하면 235 * 540 바이트 크기의 RS 프레임을 구성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 판정값을 RS 프레임을 구성하는데 이용할 뿐만 아니라, 신용 맵(Reliability Map)을 구성하는데 이용한다.
상기 신용 맵은 상기 소프트 판정값의 부호로 결정된 비트를 8개 모아 구성한 해당 바이트가 믿을만하지 여부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로, 소프트 판정값의 절대값이 기 설정된 문턱값을 넘을 경우에는 해당 소프트 판정값의 부호로 판단한 해당 비트 값은 믿을만하다고 판단하고, 넘지 못할 경우에는 믿을만하지 못하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나서, 소프트 판정값의 부호로 판단한 비트를 8개 모아 구성한 한 바이트 내 한 비트라도 믿을만하지 못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신용 맵에 해당 바이트를 믿을 수 없다고 표시한다. 여기서 한 비트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복수개 예를 들어, 4개의 이상의 비트가 믿을만하지 못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신용 맵에 해당 바이트를 믿을 수 없다고 표시할 수도 있다.
반대로 한 바이트 내 모든 비트가 믿을만하다고 판단된 경우 즉, 한 바이트의 모든 비트의 소프트 판정값의 절대값이 기 설정된 문턱값을 넘는 경우에는 신용 맵에 해당 바이트를 믿을만하다고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한 바이트 내 복수개 예를 들어, 4개 이상의 비트가 믿을만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신용 맵에 해당 바이트를 믿을만하다고 표시한다.
상기 예시한 수치는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수치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프트 판정값을 이용한 RS 프레임의 구성과 신용 맵의 구성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신용 맵 내 신용 정보는 상기 RS 프레임 내 각 바이트에 1:1로 대응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RS 프레임이 235 * 540 바이트 크기를 가진다면, 상기 신용 맵은 235 * 540 비트 크기를 가진다. 도 2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신용 맵 형성 과정을 보이고 있다.
한편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는 235 * (N+2) 바이트 크기의 RS 프레임이 구성되면, 이 RS 프레임에 대해 CRC 신드롬 체크를 수행하여 각 로우의 에러 발생여부를 검사한다. 이어 도 23의 (b)와 같이 2 바이트 CRC 체크섬을 제거하여 235 * N 바이트 크기의 RS 프레임을 구성하고, 각 로우에 대응하는 에러 플래그에 에러 여부를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신용 맵 중 CRC 체크섬에 해당하는 부분은 활용도가 없으므로, 이 부분을 제거하여 도 23의 (b')와 같이 235 * N 개의 신용 정보만을 남긴다.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는 CRC 신드롬 체크가 수행되고 나면, 컬럼 방향으로 RS 복호화(decoding)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CRC 에러 플래그의 수에 따라 RS 이레이저(erasure) 정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23의 (c)와 같이 상기 RS 프레임 내 각 로우에 대응하는 CRC 에러 플래그를 검사하여, 에러를 가진 로우의 개수가 컬럼 방향 RS 복호화를 할 때 RS 이레이저 정정을 수행할 수 있는 최대 에러 개수보다 같거나 작은지를 판단한다. 상기 최대 에러 개수는 RS 부호화시 삽입된 패리티 개수로서,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각 컬럼마다 48개의 패리티 바이트가 부가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만일 CRC 에러를 가진 로우의 개수가 RS 이레이저 복호화(decoding)로 수정 가능한 최대 에러 개수(실시예에 따르면 48)보다 작거나 같다면 도 23의 (d)와 같이 235개의 N 바이트 로우를 갖는 RS 프레임에 대해서 컬럼 방향으로 (235,187)-RS 이레이저 복호화를 수행하고, 도 23의 (f)와 같이 각 컬럼의 마지막에 부가되었던 48바이트의 패리티 데이터를 제거한다.
그런데, CRC 에러를 가진 로우의 개수가 RS 이레이저 복호화로 수정 가능한 최대 에러 개수(즉, 48)보다 크다면 RS 이레이저 복호화를 수행할 수가 없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RS 복호화를 통해서 에러 정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 한 본 발명은 소프트 판정값으로부터 RS 프레임을 구성할 때 함께 생성한 신용 맵을 이용하여 에러 정정 능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RS 프레임 복호기(907)에서는 블록 복호기(905)의 소프트 판정값의 절대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해당 소프트 판정값의 부호로 결정되는 비트 값의 신용을 판단하였다. 그리고 소프트 판정값의 부호로 판단한 비트를 8개 모아 구성한 해당 바이트에 대한 신용 정보를 신용 맵에 표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23의 (e)와 같이 특정 로우의 CRC 신드롬 체크 결과 그 로우에 CRC 에러가 있다고 판단되더라도 그 로우의 모든 바이트가 에러가 있는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 신용 맵의 신용 정보를 참조하여 믿을만하지 못하다고 판단된 바이트에 대해서만 에러로 설정한다. 즉, 해당 로우의 CRC 에러 여부에 상관없이 신용 맵의 신용 정보에서 믿을만하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바이트만을 이레이저 포인트(erasure point)로 설정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CRC 신드롬 체크 결과 해당 로우에 CRC 에러가 있다고 판단되면서 신용 맵의 신용 정보가 믿을만 하지 못한다고 판단된 바이트에 대해서만 에러로 설정한다. 즉, 해당 로우에 CRC 에러가 있으면서 신용 맵의 신용 정보에서 믿을만 하지 못하다고 판단이 되는 바이트만을 이레이저 포인트(erasure point)로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각 컬럼별로 에러 포인트의 수가 RS 이레이저 복호화로 수정 가능한 최대 에러 개수(즉, 48)보다 작거나 같다면 그 컬럼에 대해서는 RS 이레이저 복호화를 수행한다. 반대로 에러 포인트의 수가 RS 이레이저 복호화로 수정 가 능한 최대 개수(즉, 48)보다 크다면 그 컬럼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RS 복호화를 수행한다.
즉, CRC 에러를 가진 로우의 개수가 RS 이레이저 복호화로 수정 가능한 최대 에러 개수(예를 들면, 48)보다 크면, 신용 맵의 신용 정보에 의해 결정된 해당 컬럼 내 이레이저 포인트 수에 따라 그 컬럼에 대해서 RS 이레이저 복호화를 수행하거나, 일반적인 RS 복호화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RS 프레임 내에서 CRC 에러를 가진 로우의 개수가 48보다 크고, 신용 맵의 신용 정보에 의해 결정된 이레이저 포인트 수가 첫 번째 컬럼에서는 40개가 표시되고, 두 번째 컬럼에서는 50개가 표시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첫 번째 컬럼에 대해서는 (235,187)-RS 이레이저 복호화를 수행하고, 두 번째 컬럼에 대해서는 (235,187)-RS 복호화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RS 프레임 내 모든 컬럼 방향으로 에러 정정 복호화가 수행되면 도 23의 (f)와 같이 각 컬럼의 마지막에 부가되었던 48바이트의 패리티 데이터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RS 프레임 내 각 로우에 대응되는 전체 CRC 에러의 개수는 RS 이레이저 복호화로 정정 가능한 최대 에러 개수보다 크더라도, 특정 컬럼의 에러 정정 복호화시에 해당 컬럼의 신용 맵의 신용 정보에 의해 신용이 낮은 바이트의 수가 RS 이레이저 복호화로 정정 가능한 최대 에러 개수보다 같거나 작으면 그 컬럼에 대해서는 RS 이레이저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RS 복호화와 RS 이레이저 복호화의 차이는 정정 가능한 에 러의 개수이다. 즉, 일반적인 RS 복호화를 수행하면 RS 부호화 과정에서 삽입된 (패리티의 개수)/2에 해당하는 개수(예를 들면, 24)만큼 에러를 정정할 수 있고, RS 이레이저 복호화를 수행하면 RS 부호화 과정에서 삽입된 패리티의 개수(예를 들면, 48)만큼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에러 정정 복호화가 수행되고 나면, 도 23의 (f)와 같이 187개의 N 바이트 로우(즉, 패킷)로 된 RS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187 * N 바이트 크기의 RS 프레임은 순서대로 N개의 187 바이트의 크기로 출력이 되는데, 이때 도 23의 (g)와 같이 각 187 바이트의 패킷에 송신 시스템에서 삭제한 1 바이트의 MPEG 동기 바이트를 부가하여 188 바이트 단위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방송 수신 시스템의 실시예 중 수신 신호의 타이밍 에러를 제거할 수 있는 타이밍 복구부에 대해 상세히 예시한다.
도 6a의 신호 프레임 구조로부터 필드 동기 영역의 데이터(즉, 필드 싱크 데이터), 기지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는 방송 수신 시스템이 이미 알고 있으므로 이러한 신호들임을 알기 위해 신뢰도 검사를 수행한 후 동기 영역의 데이터 및 기지 데이터임을 알 수 있다. 이 영역의 데이터들은 복조기(902)에서 이용될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밍 주파수 및 위상 오프셋 복구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예시한 방송 송수신 시스템에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할 경우,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다중화 정보를 송수신하는 예를 개시한다. 여기서 다중화 정보는 하나 이상의 섹션을 포함하는 테이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테이블 형태의 정보를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라고 호칭한다. 예를 들어, PSIP/PSIP는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고정 수신용 채널은 방송 시스템이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채널을 의미하고, 이동 수신용 채널은 방송 시스템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채널을 지칭한다.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전송될 경우,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가 동일한 패킷 식별자로 각각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즉,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모든 다중화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다중화되어 전송된다. 즉, 메인 서비스 데이터 내의 PSI/PSIP 정보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내의 PSI/PSIP 정보는 동일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가 되고, 그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모두 파싱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24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다중화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도 2와 유사하지만, 도 2와 다르게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동일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PSI/PSIP for main and mobile service)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모든 다중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고정 수신용 채널에 포함된 VCT와 이동 수신용 채널에 포함된 VCT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비록 서비스 다중화가 송신기로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예를 개시하지만, 송신기가 방송 수신 시스템에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도 24의 예에서 보인 바와 같이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모든 다중화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가 통합된 프로그램테이블정보부호화기(PSIP encoder for the united PSI/PSIP with main and mobile service)에서 부호화된다. 그리고, 부호화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는 각각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되어 송신될 수 있다. 이하 다중화되는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에 대해 개시하고자 하는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프로그램에 따른 채널 운영의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방송국이 하나의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에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예를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25의 예에서 방송국은 고정 수신용 채널인 30-1, 이동 수신용 채널인 30-5 및 30-6을 방송 전송 채널 내의 물리 채널인 15번 (도 25에서는 채널 15번의 RF 대역을 620. 31MHz로 가정) 채널에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고정 수신용 채널에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전송되고, 이동 수신용 채널에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전송된다.
도 25의 예에서 고정 수신용 채널(major channel - minor channel; 30-1)에는 하나의 비디오 서비스와 두 개의 오디오 서비스가 전달된다. 여기서, 30-1 채널의 비디오 서비스에 대한 비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ES)의 PID(packet identifier)는 0x31, 한국어 오디오 서비스에 대한 오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ES)의 PID는 0x34, 영어 오디오 서비스에 대한 오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PID는 0x35라고 가정한다. 30-1 채널의 비디오 서비스는 HD(high definition)급의 화질의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가정한다.
도 25의 예에서 이동 수신용 채널 중 하나인 30-5에는 하나의 SD급 비디오 서비스, 하나의 오디오 서비스 및 하나의 데이터 서비스가 전달된다. 30-5 채널의 비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PID는 0x51이고, 오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PID는 0x54, 데어티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PID는 0x78이다.
그리고, 도 25의 예에서 다른 이동 수신용 채널인 30-6는 하나의 SD급 비디오 서비스, 두 개의 오디오 서비스가 전달된다. 30-6 채널의 비디오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PID는 0x61이고, 한국어 오디오 서비스의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PID는 0x64, 영어 오디오 서비스의 엘리먼터리 스트림의 PID는 0x65라고 가정한다. 도 25의 예시된 가상 채널의 구조는 이하의 예에서도 사용한다. 도 25의 예와 같이 하나의 물리 채널에 다수의 고정 수신용 채널에 대한 정보와 다수의 이동 수신용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경우 각각 채널에 동일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로 송신할 수 있다. 동일한 종류의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 예를 들면 VCT는 고정 수신용 채널과 이동 수신용 채널에서 같은 PID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PMT 등의 PSI 정보와 VCT, MGT, EIT, ETT, SST, RRT 등의 PSIP 정보에 따른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들은 각각 이동 수신용 채널과 고정 수신용 채널에 동일한 내용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6는 도 25에서 예시한 방송 서비스 데이터가 물리 채널에 포함되어 전송될 경우 물리 채널의 대역에서 각 서비스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체 채널의 대역 폭을 19.39Mbps라고 가정하면, 전체 대역 폭 중 일부(도 26에서는 19.39-K Mbps로 가정)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다른 일부(도 26에서는 K Mbps라고 가정)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전송된다.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 대역폭에는 도 25에서 설명한 하나의 비디오 ES (elementary stream),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PSI/PSIP)가 포함된다. 반면에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 대역폭에는 30-5 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비디오 ES, 오디오 ES 및 데이터 ES와, 30-6 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비디오 ES , 오디오 ES, 오디오 ES가 각각 포함되고,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PSI/PSIP)가 포함된다. 여기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PSI/PSIP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도 2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K Mbps로 유지되기 위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영역에 널 패킷이 전송될 수도 있다. 도 26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영역에 방송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율을 맞추기 위해 널 패킷이 전송되는 경우를 예시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27 내지 도 33에서는 동일한 내용을 포함지만, 각각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구간에 다중화되는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가 각각 같은 PID를 가지고 전송되는 예를 개시한다.
도 27은 서비스 데이터에 다중화되는 PMT의 예를 나타낸다. 도 27의 PMT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술할 수 있는데,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술하더라도 도 24의 예와 같이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도 24에 따르면. 동일한 PMT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도 다중화되어 전송된다).
도 27의 PMT는 헤더에는 table_id, section_syntax_indicator, '0', reserved, section_length, program_number, reserved, version_number, current_next_indicator, section_number, last_section_number, reserved, PCR_PID가 포함된다. table_id는 PMT의 테이블 식별자로서 예를 들어 PMT의 table_id는 0x02가 될 수 있다. section_syntax_indicator는 MPEG long-form의 신택스(syntax)에 따른 값을 가진다. PMT의 정의에 따라 '0'이 설정된 필드와 reserved 필드가 후속한다. 그리고, section_length는 PMT 섹션의 길이를 나타내고, program_number는 PAT와 일치하는 정보로서 프로그램의 번호가 된다. 그리고, 2비트의 reserved 필드가 위치하고, version_number는 테이블 갱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버전 정보가 설정된다. current_next_indicator는 현재 테이블 섹션이 적용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식자이다. section_number는 PMT가 섹션으로 세그먼트될 경우 각 세그먼트의 순차번호를 나타내고, last_section_number는 마지막 세그먼트의 섹션 번호를 나타낸다. 1의 값을 가지는 3비트의 reserved 영역 이후에 현재 프로그램의 PCR(program clock reference)를 전달하는 PID가 설정된다.
PMT는 프로그램 디스크립터(program descriptor)와 스트림 디스크립터(stream descriptor)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디스크립터(a)에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프로그램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통해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디스크립터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PMT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다중화되지만,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따른 프로그램 정보를 기술하는 PMT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예는 도 28에서 개시한다.
도 28은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에 포함되어 모바일/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식별하는 정보를 파싱할 수 있는 디스크립터를 예시한다. 도 28에 예시된 식별정보는 도 27에 따르면 PMT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지만, 다른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에도 포함될 수 있다. 도 28의 디스크립터(이하에서 mobile_service_descriptor라고 호칭한다)는 디스크립터 식별자인 descriptor_tag, 디스크립터 길이인 descriptor_length를 포함한다. 그리고, 모바일/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식별 정보가 될 수 있는 modulation_mode 및 service_typ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odulation_mode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변조기법인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변조기법인지를 나타낼 수 있는 식별 정보이다. modulation_mode는 도 31에서 상세히 예시한다. 그리고, service_type은 각 프로그램의 서비스 타입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service_type은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따른 서비스 타입인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따른 서비스 타입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service_type은 도 32에서 상세히 예시한다. 즉, 도 27과 같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기술하는 PMT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에 모두 다중화되지만,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식별하는 디스크립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에서 burst_id는 도 8에서 기술하는 버스트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방송 수신 시스템은 버스트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다중화된 버스트 구간을 식별하고, 그 버스트 구간에서만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에 포함되는 mobile_service_descriptor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그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포함된 버스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은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가 방송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여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다중화 정보를 전송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9의 예에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각각의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의 PID는 0x0000이다. 그리고,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 스트림에 대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아이디(transport stream ID)는 도 29에서 임의의 값인 ttt1이라고 가정한다. 도 25의 예에 따르면 메인 서비스 데이터의 프로그램의 수는 1개이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프로그램의 수(Num of program)는 2이므로, 도 29의 num of Program은 메인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과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의 수의 합인 3이다.
PAT는 각 프로그램에 대한 PMT의 PID를 포함한다. 각 프로그램은 메인 서비스 데이터로 전송될 수도 있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29의 예에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PMT(program map table)의 PID는 ppp1(30-1채널),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PMT의 PID는 ppp2(30-5채널), ppp3(30-6채널)이다. 30-1 채널의 메인 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PMT(도 29에서 PMT1)는 program number의 값으로 1을 포함하고, 스트림 타입이 비디오(video)인 엘리먼터리 스트림에 대한 ES 패킷 식별자(ES PID = 0x31)를 포함한다. 그리고, PMT1은 한국어 오디오 스트림 타입에 대한 ES 패킷 식별자(0x34)와 영어 오디오 스트림 타입에 대한 ES 패킷 식별자(0x35)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30-5 채널의 모바일 서비스에 따른 프로그램에 대한 PMT(도 29에서 PMT2)에서 program number의 값은 5이고, 그 PMT(도 29에서 PMT2)로 파싱되는 스트림 정보는, 스트림 타입이 비디오(video)인 엘리먼터리 스트림에 대한 ES 패킷 식별자(ES PID = 0x51)이다. 그리고, PMT2은 한국어 오디오 스트림 타입에 대한 ES 패킷 식별자(0x54)와 데이터 스트림 타입에 대한 ES 패킷 식별자(0x78) 정보를 포함한다.
도 29의 예에서 30-6 채널로 전송되는 모바일 서비스에 따른 프로그램에 대한 PMT3(PID=ppp3)에는 program number의 값으로 6이 설정되고, 비디오 스트림 타입의 비디오 스트림 ES PID(0x61), 한국어로 제공될 수 있는 오디오 스트림의 ES PID(0x64), 영어로 제공될 수 있는 오디오 스트림의 ES PID(0x65)가 각각 포함된다. 그리고, 도 29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모바일 서비스에 따른 프로그램에 대한 PMT2, PMT3는 도 28에서 예시한 디스크립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에서 예시된 PAT, PMT 등의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는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 부호화기(PSIP Encoder)에서 부호화된다. 그리고, 부호화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는 메인 서비스 다중화기(main service mux)와 모바일 서비스 다중화기(mobile service mux)에서 각각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구간과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에 동일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도 30은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 중 VCT(virtual channel table)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9과 유사하게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다중화되는 VCT가 송신될 수 있다. 도 30를 참조하여 메인/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다중화되는 VCT 정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VCT는 MPEG-2 시스템의 전송 형식에 따른 헤더를 포함한다.
VCT의 헤더에는 table_id, section_syntax_indicator, private_indicator, reserved, section_length, transport_stream_id, reserved, version_number, current_next_indicator, section_number, last_section_number, protocol_-version 등이 전송될 수 있다. table_id는 VCT의 테이블 식별자로서 예를 들어 TVCT(terrestrial virtual channel table)의 table_id는 0xC8이다. section_syntax_indicator는 MPEG long-form의 신택스(syntax)에 따른 값을 가진 다. VCT는 PSIP의 정의에 따라 1로 셋팅되는 private_indicator를 포함하고, 그에 연속하여 2비트의 reserved 영역을 포함한다. section_length는 VCT 섹션의 길이를 나타내고, transport_stream_id는 PAT의 TSID값을 전달한다. VCT는 transport_stream_id에 연속하여 2비트의 reserved 영역을 포함하고, version_number는 테이블 갱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버전 정보를 가진다. current_next_indicator는 현재 테이블 섹션이 적용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식자이다. section_number는 VCT가 섹션으로 세그먼트될 경우 각 세그먼트의 순차번호를 나타내고, last_section_number는 마지막 세그먼트의 섹션 번호를 나타낸다. protocol_version은 해당 테이블 섹션의 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낸다.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동일한 물리 채널에서 전송될 경우 num_channel_in_section은 하나의 물리 채널에 포함되는 가상 채널의 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하나의 물리 채널에 고정 수신용 채널과 이동 수신용 채널이 함께 포함될 경우 고정 수신용 채널에 대한 VCT의 num_channel_in_section는 메인 서비스 따른 프로그램 수와 모바일 서비스에 따른 프로그램의 수의 합이 된다.
VCT는 가상 채널과 관계되는 메이저 채널의 수(major_channel_number)와 마이너 채널의 수(minor_channel_number)에 대한 정보를 각각 포함한다. 그리고, VCT는 num_channel_in_section에 따른(즉, 각 가상 채널에 따른) 가상 채널의 반송파의 변조 모드 정보인 modulation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odulation mode는 8-VSB, 16-VSB, 64QAM, 256QAM 등의 변조 모드에 따른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modulation mode는 num_channel_in_section에 따른 채널 중 이동 수신용 채널 과 고정 수신용 채널에 대해 각각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가상 채널에서 modultion mode는 8-VSB 또는 16-VSB를 지칭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반면에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가상 채널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변조 방식을 나타내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가상 채널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가상 채널에 대해 각각 별개의 변조 모드 정보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수신 시스템은 VCT의 modultion mode를 가상 채널이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채널인지 메인 서비스에 대한 채널인지 구별하는 식별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VCT 중 modulation mode에 설정되는 상세한 예는 도 31을 참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service_type은 가상 채널로 전송되는 서비스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가상 채널의 서비스 타입 정보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가상 채널의 서비스 타입 정보가 VCT의 num_channels_in_section에 따라 VCT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VCT의 service_type은 가상 채널에 대해 모바일 서비스와 메인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예는 도 32에서 예시한다.
또 다른 예로서, VCT의 디스크립터인 service_location_descriptor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가상 채널과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가상 채널(즉, num_channels_in_section에 따른 가상 채널)을 각각 식별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수신용 채널에 대해 VCT의 service_location_descriptor는 이동 수신용 채널의 오디오 ES, 비디오 ES 및 데이터 ES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에 고정 수신용 채널에 대해 VCT의 service_location_descriptor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전송되는 가상 채널의 스트림 ES P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수신 시스템은 동일한 VCT가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되더라도 service_location_descriptor로 메인 서비스와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가상 채널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VCT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각각 다중화되어 전송된다.
도 31는 방송 신호의 변조 모드(modulation_mode)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1를 참조하여 변조 모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VCT로 전달될 수 있는 변조 모드는 0x00은 미지정(reserved), 0x01은 아날로그, 0x02는 SCTE_mode_1, 0x03은 SCTE_mode_2, 0x04는 ATSC (8VSB), 0x05는 ATSC(16VSB)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수신용 채널로 전송되는 신호의 변조 모드(modulation mode)는 VCT의 가상 채널 루프(num_channels_in_section)에서 0x06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1의 예는 이동 수신용 가상 채널에 대해서는 변조 모드(modulation mode)의 값으로 0x06을 예시한다(도 31에서 mobile-VSB로 표시). 도 31의 예에서 0x07-0x7은 미지정 영역(reserved for future)이고, 0x80-0xFF는 사용자 정의 영역(user private)임을 나타낸다. 도 31의 예에 따라 VCT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가상 채널과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가상 채널을 각각 구분하는 변조 모드(modulation_mod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가상 채널 과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가상 채널를 모두 포함하는 VCT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모두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32은 방송 신호의 서비스 타입(service_type)를 예시한다. 도 32의 예에서 0x00부터 0x07까지는 각각 reserved(0x00), analog_television(0x01), ATST_digital_television(0x02), ATSC_audio(0x03), ATSC_data_only_service (0x04), software download data service(0x05), unassociated/small screen service(0x06), paremeterized service(0x07)를 나타낸다. 도 32의 예에서 0x08-0x0F는 미지정영역을 나타낸다. 도 32의 예에서 0x10은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디지털 텔레비전 서비스 타입, 0x11은 모바일 서비스로 제공되는 오디오 서비스 타입, 0x12는 모바일 서비스로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 타입을 각각 나타낸다. 0x14-0x07F는 미지정영역, 0x80-0xFF는 사용자 정의 영역임을 나타낸다. 도 32의 예에 따라 VCT는 이동 수신용 채널과 고정 수신용 채널을 구분하는 서비스 타입(service_typ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수신용 채널과 고정 수신용 채널을 구분하는 서비스 타입(service_typ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VCT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각각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33은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가상 채널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VCT를 각각 생성하여 송수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상 채널로 전송되는 서비스의 예는 도 25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도 33에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VCT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VCT는 각각 동일한 PID(0x0FFB)를 가질 수 있다. 도 33에 예시바와 같이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VCT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채널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VCT는 이동 수신용 채널과 고정 수신용 채널이 모두 전송되는 하나의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하나의 물리채널에서 transport_stream_id는 동일하다. 도 33에서 transport_stream_id = ttt1 (임의의 수)로 표시). 도 33의 예에서 고정 수신용 가상 채널의 수가 1개(num of channel = 1)이고, 이동 수신용 가상 채널에 포함되는 채널의 수는 2개(num of channel = 2)이므로 num of channel은 3(= 1+2)이다.
고정 수신용 가상 채널에 대해 VCT는 메이저 채널(30번)과 마이너 채널(1번) 정보를 포함하고, 고정 수신용 가상 채널로 전송되는 신호의 변조 모드 정보(도 31의 예를 따르면 0x04나 0x05 등이 될 수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3의 고정 수신용 채널의 프로그램의 넘버(program number)는 1이고, 서비스 타입은 2(0x02; ATSC_digital_television)로서 디지털 텔레비전에 제공되는 서비스 타입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그리고, 고정 수신용 채널에 대해 VCT의 service_location_descriptor는 비디오 ES PID 정보(0x31), 한국어 오디오 스트림의 ES PID(0x34), 영어 오디오 스트림의 ES PID(0x34) 정보를 포함한다.
이동 수신용 채널에 대해 VCT는 이동 수신용 가상 채널의 메이저 채널 정보와 마이너 채널 정보를 포함한다(도 33의 예에서 30-5, 30-6) 그리고, 이동 수신용 채널인 30-5, 30-6에 대해 VCT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에 대한 변조 모드가 포함되도록 전송될 수 있다. 도 33에서 변조 모드를 mobile로 표시하지만, 상셍한 값의 예는 도 31에서 예시하였다.
도 33의 예에서 VCT는 이동 수신용 가상 채널인 30-5 채널의 program number 정보로 5를, 30-6 채널의 program number는 6을 포함한다. 그리고, VCT는 가상 채널로 전달되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서비스 타입에 대한 값으로 각각 도 32에서 예시한 값을 가질 수 있다(도 33에서는 mobile로 표시한다).
VCT의 service_location_descriptor는 이동 수신용 채널인 30-5 채널의 채널 정보로 비디오 스트림의 ES PID (0x51), 한국어 오디오 스트림의 ES PID (0x54), 데이터 스트림의 ES PID(0x78)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수신용 가상 채널 중 30-6 채널에 대해 VCT의 service_location_descriptor는 가상 채널 30-6에 포함되는 스트림에 대한 ES PID를 전달한다. 도 33의 예에서 service_location_descriptor는 30-6 채널에 대해 비디오 스트림의 ES PID (0x61), 한국어 오디오 스트림의 ES PID (0x64), 영어 오디오 스트림의 ES PID(0x78) 등을 포함한다. 위에서 개시한 고정 수신용 채널과 이동 수신용 채널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VCT는 통합된 프로그램테이블정보(PSIP) 부호화기에서 부호화되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각각 다중화되어 송신될 수 있다.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통합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는 송신기에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통합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는 전처리기에서 전처리 과정이 수행되고,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통합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는 패킷 지터가 제거되는 과정이 수행한다. 그리고, 후처리 과정을 통해 VSB 전송 신호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118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그룹 단위로 버스트 구간에 포함되는 예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버스트 구간 전체에 분포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시스템은 버스트 구간에서만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버스트 구간이 아닌 구간에서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른 예로서, 하나의 버스트 구간 내에 도 8과 예시한 비율과 다른 비율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그룹과 메인 서비스 데이터 그룹이 배치되어 송수신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시스템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을 얻고자 할 경우(예를 들면, 이동 전용 방송 수신 시스템이나 이동/고정 방송 수신 시스템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얻고자 할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에는 버스트 구간 내에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그룹을 처리할 수 있다.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을 수신하는 과정은 도 22에서 모바일 데이터만 처리되는 신호 흐름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고정 방송 수신 시스템은 버스트 구간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 그룹와 버스트 구간이 아닌 구간의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도 34는 버스트 구간에 포함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수신할 수 있는 개념도를 예시한다. 방송 수신 시스템은 사용자가 시청하기를 원하는 가상 채널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포함된 버스트 구간만에서만 전원이 온(on)되어 그 버스트 구간의 방송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다(도 8의 예에 따르면 버스트 구간에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메인 서비스 데이터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구분되어 처리되거나 버리질 수 있으므로 버스트 구간 내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통합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는 버스트 구간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구간에서 수신되어 처리된다. 예를 들면 제 1 가상 채널(도 32는 service 1)을 시청하고자 한다면, 방송 수신 시스템은 제 1 가상 채널의 프로그램에 대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포함된 버스트 구간에서만 파워 온(power on) 하고 나머지 신호 구간에서는 파워 오프(power off)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 2 가상 채널의 프로그램을 시청하고자 한다면, 방송 수신 시스템은 제 2 가상 채널의 프로그램이 포함된 버스트 구간에서만 파워 온(on)하여 제 2 가상 채널에 대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1 가상 채널로부터 제 2 가상 채널로 채널 전환한 경우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전원의 온/오프하는 구간도 변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시스템이 버스트 구간에 온(on)된 경우에는 각 버스트 구간에 다중화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다중화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에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다중화 정보, 채널 정보, 방송 프로그램 정보가 모두 포함된다. 그리고,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에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5는 버스트 구간에 포함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전력 소모를 줄이면 서 방송 수신 시스템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도면을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도 25의 예를 따를 경우 하나의 물리 채널에 가상 채널 30-1, 30-5, 30-6가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포함된 버스트 구간은 각 버스트 구간이 포함된 가상 채널에 따라 버스트 식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버스트 식별 정보(burst_id)에 대한 설명은 도 28에서 예시하였다.
도 34에서 예시한 것처럼 각각의 가상 채널에 따른 방송 서비스는 서로 다른 버스트 구간에 다중화되고, 따라서 각 버스트 구간은 그 버스트에 포함된 가상 채널에 따른 식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각 버스트 또는 각 버스트에 포함된 서비스 데이터를 식별하는 버스트 식별 정보는 VCT 등의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의 디스크립터(도 28에 예시)나 방송 신호의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도 35의 예에서 30-5 채널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service 1; S1)에 대한 버스트(그 버스트 구간에 메인 서비스 데이터(M)가 포함될 수도 있다) 식별 정보는 1이고, 30-6 채널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service 2; S2)가 포함된 버스트(그 버스트 구간에 메인 서비스 데이터(M)가 포함될 수도 있다)의 식별 정보는 2임을 예시한다. 도 35에서 메인 서비스 데이터는 버스트 구간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버스트 식별 정보가 설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5는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전원이 온(on) 된 경우에 30-6을 출력하도록 셋팅되었다고 가정한다(a).
방송 수신 시스템은 방송 신호 중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얻기 위해 버스트에 관계없이 파워 온 시점(a)부터 소정 기간(b) 계속하여 방송 신호로부터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수신용 채 널의 신호를 수신할 경우라도 버스트 구간에 관계없이 채널 정보를 모두 얻을 시점까지 방송 신호를 계속하여 수신할 수 있다(b). 방송 수신 시스템은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동일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수신 시스템은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에 포함된 채널 정보 등의 다중화 정보를 보다 빨리 수신할 수 있다. 즉, 방송 수신 시스템은 메인/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구간으로부터 메인/모바일 서비스에 대해 통합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모두 얻을 수 있으므로 전체 채널 정보 등을 보다 빨리 얻을 수 있다. 방송 수신 시스템은 통합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로부터 이동/고정 수신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과 그 채널로 전달되는 방송 스트림의 PID 정보 등을 모두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채널 정보를 이용해 채널 맵을 생성한 시점(c)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또는 본래 출력해야 하는 채널의 방송 스트림의 PID를 선택하여 방송 스트림을 출력한다. 만약 이동 수신용 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이 이동 수신용 채널일 경우, 그 채널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포함된 버스트 식별 정보를 얻고, 그 버스트에서만 전원을 온(on)(e,f)하고, 나머지 신호 구간에서는 전원을 오프(off)(d,g)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시스템은 버스트 구간에 따라 전원을 온(on)하는 구간부터 방송 신호를 출력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버스트 구간이 시작되는 시점에서부터 방송 서비스가 출력될 수 있다.
만약 방송 수신 시스템이 고정 수신용 채널을 수신하는 경우라면 버스트에 관계없이 채널 맵이 생성된 직후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출력 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시스템은 채널 맵이 생성되기 전이라도 이미 저장하고 있던 채널 맵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먼저 출력하도록 하고, 이후에 채널 맵을 생성한 후 사용자의 채널 변경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36은 방송 수신 시스템의 예를 개시한 도면이다. 도 36를 참조하여 방송 수신 시스템의 예를 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개시한 방송 수신 시스템의 예는 튜너(1100), 복조부(1200), 역다중화부(1300), 프로그램테이블정보복호부(1400), 제어부(1500), 복호부(1600), 저장부(1700) 및 표출부(1800)를 포함한다.
튜너(1100)는 고정 수신용 채널이나 이동 수신용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튜너(1100)가 수신하는 방송 신호는 그 신호 내에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튜너(1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튜닝하여 해당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출력한다. 고정 수신용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신호는 지상파/케이블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1200)는 튜너(1100)가 출력하는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복조부(1200)는 고정 수신용 채널의 방송 신호와 이동 수신용 채널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조부(1200)는 64VSB/256 VSB 변조 신호에 대해 복조하거나, 64QAM/256QAM 변조 신호에 대해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0)는 고정 수신용 채널의 방송 신호와 이동 수신용 채널의 방송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복조하는 예는 도 22(도 22에서 튜너를 뺀 나머지 동작도와 그 설명을 참조한 다)에서 상세히 예시하였다. 복조부(1200)는 수신 신호 중 전송율을 맞추기 위해 전송되는 널 패킷에 따른 방송 신호에 대해서는 복조하지 않고 무시할 수 있다. 도 36의 예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을 수신 가능할 경우 복조부(1200)는 버스트 구간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을 복조하고, 나머지 메인 서비스 데이터는 무시할 수 있다. 반면에 도 36의 예가 메인/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경우 모든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역다중화부(1300)는 복조부(1200)가 출력하는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역다중화부(1300)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 스트림이나 메인 서비스 데이터 스트림을 외부 기기로부터 직접 전송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시스템이 digital VCR 등으로부터 방송 스트림을 수신받을 수 있는 경우에 역다중화부(1300)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IEEE 1394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방송 스트림을 입력받고 이를 역다중화할 수도 있다. 역다중화부(1300)는 수신된 방송 스트림 중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 등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1300)는 도 27 내지 도 33의 예에 따른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가 수신 신호에 포함될 경우, 그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프로그램테이블정보복호부(1400)로 출력하도록 역다중화하고, 방송 신호 중 비디오, 오디오 신호는 복호부(160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역다중화부(1300)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및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다중화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와 방송 신호를 각각 역다중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역다중화부(1300)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다중화 정보가 모두 포함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역다중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1300)는 제어부(1500)로부터 채널 선택 명령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PID에 따른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을 복호부(1400)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그램테이블정보복호부(1400)는 역다중화된 프로그램테이블정보를 복호하고 복호한 정보를 제어부(1500)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그램테이블정보복호부(1400)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다중화 정보가 모두 포함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복호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6의 예가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을 수신한다면, 프로그램테이블정보복호부(1400)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얻어 복호하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을 수신한다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얻어 복호한다. 그리고, 메인/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면, 동일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로부터 모두 얻어 복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방송 신호로부터 채널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다.
제어부(1500)는 도 36에 예시된 각 구성요소 블록들을 제어하고, 수신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이용해 각 채널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0)는 파싱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이용해 각 채널에 대한 비디오/오디오/데이터 스트림의 정보를 채널 맵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0)는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채널 맵과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채 널 맵을 각각 별개의 채널 맵 형태로 구분하여 저장하거나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0)는 사용자 제어 신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채널 변경 등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제어부(1500)는 채널 맵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채널 정보와 메인 서비스에 대한 채널 정보가 하나의 채널 맵 형태로 저장되더라도 제어부(1500)는 각 채널로 전달되는 방송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0)는 메인 서비스와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채널 간의 채널 변환, 또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채널 간의 채널 변환이 된 경우 해당 채널의 방송 신호가 출력되도록 튜너(1100), 복조부(1200), 역다중화부(13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변환 명령이 있을 경우 제어부(1500)는 채널 맵을 참조하여 튜너(1100)를 통해 변환된 채널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채널의 신호가 복조되도록 복조부(1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 수신용 채널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500)는, 이동 수신용 채널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다중화된 버스트 구간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을 복조하도록 복조부(1200)를 제어할 수 있다(복조부의 복조 동작은 도 22의 튜너를 제외한 블록의 설명을 참조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고정 수신용 채널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500)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을 복조하도록 복조부(1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0)는 저장된 채널 맵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한 패킷이 역다중화되도록 역다중화부(1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0)는 도 36에 예시된 블록의 전원(power)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에 예시된 방송 수신 시스템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그 수신 채널의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버스트 구간에서만 신호를 수신하도록 방송 수신 시스템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한 방송 수신 시스템은 이동 수신용 채널을 수신하더라도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제어부(1500)는 버스트 구간의 식별 정보를 시그널링 정보나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의 디스크립터로부터 얻을 수 있는다. 따라서, 제어부(15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가 어떤 버스트 구간으로 전송되는지 버스트에 대한 정보를 통해 복조부(1200)가 해당 버스트 구간만을 복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 스트림의 PID에 따른 방송 신호가 역다중화되도록 역다중화부(13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0)는 도 36의 방송 수신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0)는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통해 채널 맵을 갱신 및 관리하고 튜너(1100)와 프로그램테이블정보복호부(1400)를 제어하여 시청자의 채널 요구에 응하도록 채널 매니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채널 매니저는 채널 맵을 새로 수신하는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을 이용해 갱신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스트림의 PID를 역다중화부(1300)가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호부(1600)는 역다중화부(1300)가 출력하는 비디오 또는/및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복호부(1600)는 AC-3 방식에 따라 부호화된 오 디오 스트림을 복호하거나, MPEG-2 방식으로 부호화된 비디오 스트림을 복호할 수 있다. 복호부(1600)는 복호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에러 발생을 제어부(1700)로 전송할 수 있다.
표출부(1800)는 복호부(1600)가 출력하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표출할 수 있다. 도 36의 예에서 표출부(1800)는 비디오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표출부는(1800)는 제어부(1700)가 생성하는 그래픽 신호를 화면에 표출되는 비디오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부상(on screen display)에서 표시할 수 있다. 표출부(1800)가 그래픽 신호로 표출하는 신호는 채널 번호,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방송국 정보, 방송 제목, 방송 시간, 캡션, 방송등급, 상세줄거리 등의 EPG 정보를 포함한다.
저장부(1700)는 채널 맵에 따른 채널 정보나, 어플리케이션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700)는 NV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이나 플래쉬 메모리일 수 있다.
도 37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7를 참조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예를 개시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방송 수신 시스템의 파워를 온(on)한다(S105).
사용자가 물리 채널을 선택하거나 기존의 튜닝하던 물리 채널을 변경한다(S110). 채널 맵이 형성되거나, 수신 신호에 포함된 채널의 채널 맵이 이미 형성되어 있으면 채널 맵에 따라 선택된 채널의 주파수로 튜닝한다(S120). 튜너는 가장 좋은 튜닝 결과를 채널 맵이 저장된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튜닝한 방송 신호를 복조한다(S130). 방송 신호를 복조할 경우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시스템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서는 복조하지 못하고 널 패킷으로 처리하여 무시할 수 있다. 반면에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 시스템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가 변조된 방식을 고려하여 신호 복조를 수행한다. 상세한 복조 과정은 도 22에 대한 예를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시스템은 버스트 구간과 버스트 구간이 아닌 구간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모두 수신하여 처리한다.
복조된 신호로부터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역다중화하여 파싱한다(S140). 예를 들면 PAT를 수신하여 파싱한 후, 각 프로그램의 PMT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과 모바일 서비스 구간으로부터 모두 전송되므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 처리할 수 있는지 또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 처리할 수 있는지 또는 두 데이터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경우라도 동일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과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채널 정보 등을 모두 포함하고, 메인 서비스 데이터과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파싱한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로부터 채널에 대한 정보를 얻고, 각 채널에 대한 오디오/비디오/데이터 엘리먼터리 스트림(ES)의 PID 정보를 검출한다(S150). 예를 들어 VCT를 수신한 후 파싱하여 이동 수신용 채널과 고정 수신용 채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경우에는 두 데이터 구간으로부터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얻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어느 하나의 데이터 구간으로부터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얻는 것 보다 빠른 채널 정보 수집이 가능하다. S 150의 결과로부터 검출한 채널 정보는 채널 맵으로 저장되거나 저장된 채널 맵이 갱신된다. 이동 수신용 채널은 위의 예에 따르면 VCT의 modulation_mode, service_type이나, PMT의 mobile_service_descriptor 등을 이용해 고정 수신용 채널과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따라 수신된 채널 정보의 오디오/비디오/데이터 엘리먼터리 스트림 등의 서비스가 수신 시스템에서 유효한 것인지 판단한다(S160). 만약 유효 채널이 아닌 경우(S160 no), 예를 들어 채널 없음(no channel), 신호 없음(no signal) 등 정해진 채널 운영에 따라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줄 수 있다(S165). 그리고, 유효 채널의 채널 정보를 얻기 위해 새로운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에 대해 수신 시도하도록 S140 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S167).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을 처리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동 수신용 채널은 유효 채널이 아닌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즉, S160 no의 처리 과정을 따른다). 반면에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 처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고정 수신용 채널은 유효 채널이 아닌 채널로 처리할 수 있다.
만약 출력한 채널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이 유효 채널이면(S160 yes) 채널 맵에 따라 해당 가상 채널의 오디오/비디오/데이터 스트림의 PID를 선택한다(S170). 채널 맵에 따라 시청자가 선택한 채널이 고정 수신 채널인지 또는 이동 수신 채널인지에 따라 S 130 단계의 복조과정을 제어한다.
역다중화된 PID에 따른 오디오/비디오/데이터 스트림을 복호하여 방송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 수신용 채널에 따른 메인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해당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해 채널 튜닝, 복조, 역다중화를 연속하여 수행한다. 반면에 이동 수신용 채널에 따른 모바일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동 수신 채널의 방송 신호가 포함된 버스트 구간의 신호만을 채널 튜닝을 하고, 복조하고, 역다중화되도록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이 출력되는 경우 OSD 등을 통해 선택된 채널 번호나 채널 정보를 화면에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S175).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을 출력한다(S180). 선택한 가상 채널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의 비디오/오디오/데이터 스트림을 복호하여 표출한다. 사용자는 정상적인 방송을 시청하고 OSD 등을 통해 방송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방송 시청 중 물리 채널 또는 가상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S190). 물리 채널이 변경된 경우 S110 단계를 수행하고, 가상 채널이 변경된 경우 S170 단계를 수행한다. 메인 서비스 데이터와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이동 수신용 채널 간의 채널 변경이 있거나, 고정 수신용 채널로부터 이동 수신용 채널로 채널 변경되면, S170 단계를 수행하여 변경된 채널의 방송 신호가 포함된 버스트를 찾고, 그 버스트 구간에서만 방송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반면에, 고정 수신용 채널 간의 채널 변경이 있거나, 이동 수신용 채널로부터 고정수신용 채널로 채널 변경이 있으면 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포함된 구간을 복조한다(메인 서비스 데이터가 버스트 구간에 포함될 경우에는 버스트 구간을 포함한 메인 서비스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그러나, 메인 서비스 데이터만 처리할 수 있다면,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는 널 패킷에 따른 신호로 간주하므로 이동 수신용 채널은 선택할 수 없거나, 선택하더라도 유효 채널이 아닌 채널로 처리한다. 그리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만 처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고정 수신용 채널을 유효 채널이 아닌 채널로 처리한다.
만약 채널 변경이 없다면 채널 정보의 버전이 갱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00). 채널 정보가 갱신된 경우 채널 맵의 정보를 갱신하고, 새로운 프로그램테이블 정보를 받기 위해 S140 단계를 수행하고, 채널 정보가 갱신되지 않으면 계속하여 S18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8은 버스트 구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예시하고, 도 39는 PMT 등의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에 이동 수신을 위한 셀 정보를 전달하는 예를 개시한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에 의해 송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각 가상 채널 정보에 대한 버스트 구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나타낸 예이다. 도 38에서 편의상 상기에서 설명한 디스크립터를 time_slice-_informaiton_descriptor라고 호칭한다. 이러한 디스크립터는 PMT 또는 VCT 등에 포함된 디스크립터로 전송될 수 있다.
time_slice_informaiton_descriptor는 디스크립터 태그, 디스크립터 길이, 버스트 구간의 식별 정보인 Burst_TS_id, 및 버스트 구간 사이인 오프셋 정보를 포함한다. 방송 신호 상 각각의 버스트 구간은 그 버스트 구간에 포함된 방송에 따른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프셋 정보는 연속하는 버스트 구간 사이의 오프셋 정보일 수도 있고, 동일한 채널의 방송이 전송되는 버스트 구간 사이의 오프셋 정보일 수도 있다. 도 38에 따르면 방송 신호 중 방송 신호가 포함된 버스트 구간을 식별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이를 수신하여 그 정보에 따라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 중 각 셀에 대한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예시한다. 각 셀(여기서, 셀은 어느 하나의 송신기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에서 전송되는 물리 채널 정보는 PSI의 NIT(network information table)로 전송될 수 있다. NIT는 현재의 셀 및 그 이외의 셀에 대한 물리 채널 정보를 포함하므로, 임의의 방송국에서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의 변조 방식에 따른 방송 신호를 송신할 경우 그 방송국 이외의 타 방송국의 물리 채널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도 39의 예에서 NIT가 전송되는 패킷의 PID는 0x010, 테이블 식별자(table_id)는 0x40이다. 도 39는 설명의 편의상 두 개의 셀에 대한 채널 정보만을 전달할 경우를 예시한다. 도 XX의 예에서 각 셀의 식별자와 각 셀에 대한 채널 정보는 network_descriptor()의 cell_frequency_link_descriptor에 포함된다. 제 1 셀의 식별자(cell_id)는 0x0001, 제 1 셀의 주파수는 0x03aefe40(fc = 618MHz)이고, 제 2 셀의 식별자는 0x0002, 제 2 셀의 주파수는 0x4a32240(fc = 778MHz)이다.
도 39의 예는 NIT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루프(transport stream loop ;TS loop)를 통해 셀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셀에 대한 물리 채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트랜스포트 스트림 루프(TS loop)내에 각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식별자에 따른 서비스들의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service_list_descriptor()를 둘 수 있다. 도 39의 예에서 제 1 셀과 제 2 셀에 전송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식별자(transport_stream_identifier)는 0x901로 동일하므로 제 1 셀과 제 2 셀은 동일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전송한다. 그리고, NIT는 각 셀에 대한 방송 전달 시스템 기술자 (terrestrial-_delivery_system_descriptor())에 해당 셀에 대한 물리 채널 정보를 포함한 셀 정보를 전달한다.
도 39의 예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전달하는 제 1 셀에 대한 정보는, 전송 신호의 중심 주파수 (618Mhz;0x03aefe40), 대역폭은 (6Mhz;010), 버스트 신호 전송에 따른 타임 슬라이싱 스킴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식별자(time_slicing_indicator), mobile VSB인지 등을 알 수 있는 변조 기법(modulation), 상위(high priority) 채널에 대한 제 1 에러 정정 부호화율(sccc_rate-HP_stream)을 나타내는 값, 하위(lowgh priority) 채널에 대한 제 1 에러 정정 부호화율(sccc_rate-LP_stream)을 나타내는 값, 상위(high priority) 채널에 대한 제 2 에러 정정 부호화율(rs_code_rate-HP_stream)을 나타내는 값, 하위(low priority) 채널에 대한 제 2 에러 정정 부호화율(rs_code_rate-LP_stream)을 나타내는 값 및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셀에도 방송되는지를 나타내는 식별자(other_frequency_flag)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9의 예에서 제 1 셀과 동일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전달하는 제 2 셀에 대한 정보도 전송 신호의 중심 주파수 (778Mhz;0x04a32240), 대역폭은 (6Mhz;010) 등 물리 채널 정보를 포함한 셀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9의 예와 같이 각 셀로부터 전송되는 NIT는, 그 셀로부터 전송되는 모든 트랜스포트 스트림들이 다른 셀에서 어떤 물리 채널로 전송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임의의 셀로부터 전송되는 NIT는 그 셀과 다른 셀, 예를 들면 그 셀의 인접 셀에 대한 물리 채널 정보를 포함한 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신호 수신 장치가 제 1 셀로부터 제 2 셀로 핸드오버한 경우, 제 1셀로부터 수신하던 방송이 제 2 셀에서 다른 채널로 방송되더라도 제 2셀로부터 동일한 방송을 수신하여 표출할 수 있다. 핸드오버시 사용자는 부가적인 채널 탐색없이 동일한 방송 채널을 시청할 수 있어서 끊임없이 동일한 채널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도 XX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NIT를 통해 전송되는 디스크립터들이 PMT 내의 디스크립터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설명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은 채널 변화 및 노이즈에 강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추가의 부호화를 수행하여 수신 시스템 으로 전송함으로써, 수신 시스템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알고 있는 기지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의 소정 영역에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 시스템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서비스 데이터와 메인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각각의 프로그램 테이블 정보를 전송할 수있다.

Claims (6)

  1. 제 1 서비스 데이터를 프리-프로세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프리-프로세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를 RS 인코딩하고 RS 패리티 바이트를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RS 프레임 패이로드에 추가하고, 상기 RS 인코딩된 RS 프레임 패이로드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 신드롬 체크 바이트를 추가하여 RS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RS 프레임을 복수의 부분으로 나누는 단계;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의 데이터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데이터그룹은 시그널링 정보, 고정된 길이의 복수의 기지 데이터 시퀀스들 및 상기 나뉜 복수의 부분들 중 어느 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전송 프레임 동안 전송될 상기 데이터 그룹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 및 상기 기지 데이터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 1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과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을 다중화하는 단계, 여기서 제 2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은 제 2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데이터 패킷들 중 상기 제 2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의 데이터에 체계적 RS 인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의 데이터에 비체계적 RS 인코딩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RS 인코딩된 제 2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상기 RS 인코딩된 제 1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데이터 그룹의 집합은 상기 방송 신호의 일정 시간 간격동안 전송되고, 상기 일정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서비스 데이터를 다중화하기 위한 시간 단위를 나타내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데이터 그룹의 집합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은,
    상기 다중화된 패킷들 내의 데이터를 트렐리스 인코더에서 트렐리스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트렐리스 인코더의 메모리는 상기 데이터 그룹의 복수의 기지 데이터의 시작에서 초기화되는, 방송 신호 송신 방법.
  3. 전송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방송 신호의 데이터 그룹들이 상기 전송 프레임의 일정 시간 간격동안 수신되고, 상기 일정 시간 간격은 제 1 서비스 데이터 및 제 2 서비스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시간 단위를 나타내고, 상기 데이터 그룹은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시그널링 정보 및 기정의된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기지 데이터 시퀀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데이터 그룹들의 집합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전송 프레임동안 전송되는 데이터 그룹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복호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그룹이 매핑된 복수의 데이터 부분들을 모아 RS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RS 프레임을 복호하는 단계, 상기 RS 프레임을 복호하는 단계는, 상기 RS 프레임에 에러 검출을 수행하고, 상기 RS 프레임의 데이터에 에러 정정 복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RS 프레임은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RS 패리티 바이트 및 CRC 신드롬 체크 바이트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
  4. 제 1 서비스 데이터를 프리-프로세싱하는 프리프로세서, 여기서 상기 프리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를 RS 인코딩하고 RS 패리티 바이트를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RS 프레임 패이로드에 추가하고, 상기 RS 인코딩된 RS 프레임 패이로드에 CRC 신드롬 체크 바이트를 추가하여 RS 프레임을 형성하는 RS 프레임 인코더;
    상기 RS 프레임을 복수의 부분으로 나누는 디바이더;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의 데이터그룹을 형성하는 데이터 그룹 포맷터, 여기서 상기 데이터그룹은 시그널링 정보, 고정된 길이의 복수의 기지 데이터 시퀀스들 및 상기 나뉜 복수의 부분들 중 어느 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전송 프레임 동안 전송될 상기 데이터 그룹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및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 및 상기 기지 데이터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제 1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을 형성하는 데이터 패킷 포맷터;를 포함하고,
    제 2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과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을 다중화하는 다중화기, 여기서 제 2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은 제 2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데이터 패킷들 중 상기 제 2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의 데이터에 체계적 RS 인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패킷들의 데이터에 비체계적 RS 인코딩을 수행하는 인코더; 및
    상기 RS 인코딩된 제 2 서비스 데이터 패킷과 상기 RS 인코딩된 제 1 서비스 데이터 패킷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데이터 그룹의 집합이 상기 방송 신호의 일정 시간 간격동안 전송되고, 상기 일정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및 상기 제 2 서비스 데이터를 다중화하기 위한 시간 단위를 나타내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데이터 그룹의 집합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
  5. 전송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여기서 상기 방송 신호의 데이터 그룹들이 상기 전송 프레임의 일정 시간 간격동안 수신되고, 상기 일정 시간 간격은 제 1 서비스 데이터 및 제 2 서비스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시간 단위를 나타내고, 상기 데이터 그룹은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시그널링 정보 및 기정의된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기지 데이터 시퀀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데이터 그룹들의 집합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전송 프레임동안 전송되는 데이터 그룹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상기 시그널링 정보를 복호하는 디코더; 및
    상기 데이터 그룹이 매핑된 복수의 데이터 부분들을 모아 RS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RS 프레임을 복호하는 RS 프레임 디코더, 여기서 상기 RS 프레임 디코더는, 상기 RS 프레임에 에러 검출을 수행하고, 상기 RS 프레임의 데이터에 에러 정정 복호를 수행하고, 여기서 상기 RS 프레임은 상기 제 1 서비스 데이터, RS 패리티 바이트 및 CRC 신드롬 체크 바이트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6. 삭제
KR1020070036562A 2007-04-13 2007-04-13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KR101351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562A KR101351019B1 (ko) 2007-04-13 2007-04-13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CA2683471A CA2683471C (en) 2007-04-13 2008-04-08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a data processing method
CN200880017705A CN101682721A (zh) 2007-04-13 2008-04-08 数字广播系统和数据处理方法
MX2009010912A MX2009010912A (es) 2007-04-13 2008-04-08 Sistema de difusion digital y un metodo de procesamiento de datos.
PCT/KR2008/001973 WO2008127005A1 (en) 2007-04-13 2008-04-08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a data processing method
US12/100,630 US7934244B2 (en) 2007-04-13 2008-04-10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3/053,125 US8495695B2 (en) 2007-04-13 2011-03-21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4/806,120 USRE46398E1 (en) 2007-04-13 2015-07-22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562A KR101351019B1 (ko) 2007-04-13 2007-04-13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760A KR20080092760A (ko) 2008-10-16
KR101351019B1 true KR101351019B1 (ko) 2014-01-13

Family

ID=3986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562A KR101351019B1 (ko) 2007-04-13 2007-04-13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7934244B2 (ko)
KR (1) KR101351019B1 (ko)
WO (1) WO20081270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1779A1 (en) 2006-02-10 2007-08-1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WO2007126196A1 (en) 2006-04-29 2007-11-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WO2007136166A1 (en) 2006-05-23 2007-11-29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20070276813A1 (en) * 2006-05-23 2007-11-29 Joshua Rosen Online Advertisement Selection and Delivery Based on Search Listing Collections
US7873104B2 (en) 2006-10-12 2011-01-18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transmitting system and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ing data
KR101253185B1 (ko) 2007-03-26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85887B1 (ko) 2007-03-26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85888B1 (ko) 2007-03-30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351019B1 (ko) 2007-04-13 201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KR101494028B1 (ko) * 2007-05-16 2015-02-16 톰슨 라이센싱 신호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는 장치 및 방법
CA2692484C (en) * 2007-07-02 2013-04-1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WO2009005326A2 (en) 2007-07-04 2009-01-08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8433973B2 (en) 2007-07-04 2013-04-30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KR20090012180A (ko) 2007-07-28 2009-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58653B1 (ko) * 2007-08-07 2010-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8099654B2 (en) 2007-08-24 2012-01-1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JP5331814B2 (ja) * 2007-10-15 2013-10-30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バーストモードアクティビティを通信する装置および方法
EP2201775A2 (en) 2007-10-15 2010-06-30 Thomson Licensing High definition television transmission with mobile capability
EP2093908B1 (en) * 2008-01-28 2018-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ervice data in a broadcasting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configuring the broadcast service data, and frame including the broadcast service data
JP5380862B2 (ja) * 2008-03-05 2014-01-08 日本電気株式会社 Ipストリーム送受信システム、ipストリーム受信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受信処理タイミング同期化方法
KR101527034B1 (ko) * 2009-01-22 2015-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8310976B2 (en) * 2009-03-15 2012-11-13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broadcasting signal i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US8489961B2 (en) 2009-10-19 2013-07-16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igital broadcast signal in transmitting system,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 signal in receiving system
US8612822B1 (en) 2010-01-07 2013-12-17 Marvell Israel (M.I.S.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error correction
US8516302B2 (en) * 2010-04-16 2013-08-20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ic error control scheme selection for fixed-length messages based upon message payload size
KR102240740B1 (ko) * 2015-01-27 2021-04-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길이가 16200이며, 부호율이 2/15인 ldpc 부호어 및 256-심볼 맵핑을 위한 비트 인터리버 및 이를 이용한 비트 인터리빙 방법
KR102287621B1 (ko) * 2015-02-16 2021-08-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길이가 64800이며, 부호율이 3/15인 ldpc 부호어 및 256-심볼 맵핑을 위한 비트 인터리버 및 이를 이용한 비트 인터리빙 방법
CN106604060B (zh) * 2016-12-28 2023-08-11 桂林龙隐科技有限公司 无线WiFi多媒体广播系统的分发方法和分发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6244A1 (en) 2004-01-27 2005-07-28 Moon Kyoung S. Virtual channel table data structure, transport stream discrimination method,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20060184965A1 (en) 2005-02-15 2006-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program guide for digital broadcasting
EP1768396A2 (en) * 2005-09-21 200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US20070071110A1 (en) 2005-09-27 2007-03-29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transmitter and method of coding data in digital television transmitter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8311B2 (en) * 1996-05-28 2004-01-13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variable sized channel codes
US5930230A (en) * 1996-05-28 1999-07-27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5754651A (en) * 1996-05-31 1998-05-1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rocessing and storage of digital data and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WO1998005144A1 (en) * 1996-07-25 1998-02-05 Hybrid Networks, Inc. High-speed internet access system
EP0985292B1 (en) * 1997-05-30 2005-04-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rror protection for over-the-air file transfer
JPH1169253A (ja) 1997-08-22 1999-03-09 Hitachi Ltd 統合番組ガイドを有する放送受信装置
US6735185B1 (en) * 1997-12-24 2004-05-11 Nokia Mobile Phones Ltd DS/CDMA reverse link structure for high data rate transmission
EP1014711A4 (en) 1998-05-29 2003-02-05 Son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SUPPLY MEDIUM
US6317462B1 (en) 1998-10-22 2001-11-13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PEG video over the internet
US6378101B1 (en) * 1999-01-27 2002-04-23 Agere Systems Guardian Corp. Multiple program decoding for digital audio broadcasting and other applications
JP3652176B2 (ja) 1999-08-13 2005-05-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半導体デバイス
JP4250832B2 (ja) 1999-10-14 2009-04-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送出装置
US6622005B1 (en) * 2000-03-03 2003-09-16 Ericsson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cascaded communications
JP4631235B2 (ja) 2000-08-25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送信方法、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並びに、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406731B1 (ko) 2001-04-25 2003-11-20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층간막 평탄화 구조의 형성 방법
US20030099303A1 (en) * 2001-06-04 2003-05-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l television (DTV) transmission system using enhanced coding schemes
GB0119569D0 (en) 2001-08-13 2001-10-03 Radioscape Ltd Data hiding in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KR20030030175A (ko) 2001-10-09 2003-04-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크립터를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US7649829B2 (en) * 2001-10-12 2010-01-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reduction of decoding complex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3134117A (ja) 2001-10-22 2003-05-09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Ip電話機、コールマネージャおよびip電話機のipアドレス取得方法
KR100440687B1 (ko) 2001-11-02 2004-07-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US6909753B2 (en) 2001-12-05 2005-06-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bined MPEG-4 FGS and modulation algorithm for wireless video transmission
US7924347B2 (en) * 2002-03-29 2011-04-12 Weiss S Merrill Digital signal transmitter synchronization system
JP3916542B2 (ja) 2002-10-07 2007-05-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ドレス割当システム
KR100920723B1 (ko) 2002-10-08 200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환경변화에 적응가능한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20726B1 (ko) 2002-10-08 200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반송파 전송시스템 및 그 전송방법
US7660998B2 (en) * 2002-12-02 2010-02-0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Relatively unique ID in integrated circuit
AU2003303166A1 (en) 2002-12-20 2004-07-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layered media data
US7769580B2 (en) 2002-12-23 2010-08-03 Loquendo S.P.A. Method of optimising the execution of a neural network in a speech recognition system through conditionally skipping a variable number of frames
US8159982B2 (en) 2003-01-21 2012-04-17 Nokia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network entity for providing digital broadband transmission
EP1463309A1 (fr) 2003-03-26 2004-09-29 THOMSON Licensing S.A. Traitement d'un format de flux de données pour la réception audiovisuelle mobile
GB2406483A (en) 2003-09-29 2005-03-30 Nokia Corp Burst transmission
KR100565646B1 (ko) 2003-12-19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 수신기에서 서비스 컴포넌트 동기화 방법
KR100565900B1 (ko) 2003-12-26 2006-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디지털 라디오 방송신호로변환하는 방송신호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FR2864869A1 (fr) 2004-01-06 2005-07-08 Thomson Licensing Sa Methode de transmission de services numeriques sur un reseau et appareil mettant en oeuvre la methode
KR20050072988A (ko) 2004-01-08 2005-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방송수신기에서 이동형정보단말기로의 방송콘텐츠참조정보 전송장치 및 그 방법
KR100896684B1 (ko) * 2004-01-27 2009-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의신호처리방법
US7626960B2 (en) 2004-04-20 2009-12-01 Nokia Corporation Use of signaling for auto-configuration of modulators and repeaters
EP1603339A1 (en) * 2004-06-01 2005-12-07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video data in a packet-switched network, related network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KR100552678B1 (ko) 2004-06-10 2006-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패킷의 접근 지연 시간 단축을 위한 송/수신 장치및 그 방법
KR100626665B1 (ko) 2004-08-03 2006-09-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이피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변환 장치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시스템
KR100666981B1 (ko) 2004-08-09 200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 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651939B1 (ko) 2004-08-18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디코딩 방법
JP4828906B2 (ja) * 2004-10-06 2011-11-30 三星電子株式会社 デジタルオーディオ放送でのビデオサービスの提供及び受信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101080966B1 (ko) * 2004-11-23 2011-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60066444A (ko) * 2004-12-13 2006-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87614B1 (ko) 2004-12-21 2007-02-27 엘지노텔 주식회사 아이피 기반 키폰 시스템의 아이피 주소 동적 할당 방법
US7451361B2 (en) * 2005-01-27 2008-11-1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 error correction in 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KR100713481B1 (ko) 2005-08-01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채널의 전환을 위한 채널 맵을 생성하는 디지털 방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4643406B2 (ja) 2005-09-27 2011-03-02 株式会社東芝 放送受信装置
US8441913B2 (en) * 2005-09-27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Switching diversity in broadcast OFDM systems based on multiple receive antennas
US8320819B2 (en) * 2005-11-01 2012-11-27 Nokia Corporation Mobile TV channel and service access filtering
KR101199369B1 (ko) 2005-11-25 201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191182B1 (ko) 2005-11-26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208504B1 (ko) 2005-12-27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20070075549A (ko) 2006-01-13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US7751466B2 (en) * 2006-02-10 2010-07-06 Broadcom Corporation Channel estimation for a high-speed data packet access rake receiver
WO2007123302A1 (en) * 2006-04-25 2007-11-01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KR100771631B1 (ko) 2006-05-23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시스템 및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KR101199386B1 (ko) * 2006-12-19 201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WO2008097028A1 (en) * 2007-02-09 2008-08-14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KR101253186B1 (ko) * 2007-03-26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351019B1 (ko) * 2007-04-13 201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6244A1 (en) 2004-01-27 2005-07-28 Moon Kyoung S. Virtual channel table data structure, transport stream discrimination method,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20060184965A1 (en) 2005-02-15 2006-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program guide for digital broadcasting
EP1768396A2 (en) * 2005-09-21 200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US20070071110A1 (en) 2005-09-27 2007-03-29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transmitter and method of coding data in digital television transm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RE46398E1 (en) 2017-05-09
US7934244B2 (en) 2011-04-26
US20090049472A1 (en) 2009-02-19
KR20080092760A (ko) 2008-10-16
US20110188501A1 (en) 2011-08-04
US8495695B2 (en) 2013-07-23
WO2008127005A1 (en)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019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KR101328949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KR101221914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351026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KR101253186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53187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276863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199387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723416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253188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CA2683583C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a data processing method
CA2683471C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a data processing method
KR100921472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30899B1 (ko) 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17213B1 (ko) 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21471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31461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