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971B1 - 액정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971B1
KR101350971B1 KR1020060133598A KR20060133598A KR101350971B1 KR 101350971 B1 KR101350971 B1 KR 101350971B1 KR 1020060133598 A KR1020060133598 A KR 1020060133598A KR 20060133598 A KR20060133598 A KR 20060133598A KR 101350971 B1 KR101350971 B1 KR 101350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electrode
electrodes
voltage
crystal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498A (ko
Inventor
홍형기
정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0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02B30/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involving active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02F1/294Variable focal length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18Function characteristic adaptive optics, e.g. wavefront corr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28Function characteristic focussing or defocus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층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액정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 내면에 형성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2기판 내면에 형성되며, 제1거리에 대응되는 폭의 제1개구부를 갖는 제2전극과; 상기 제2전극 하부에 형성되며, 제2거리에 대응되는 폭의 제2개구부를 갖는 제3전극과; 상기 제1 및 제3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Liquid Crystal Lens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도1a 및 도1b는 각각 일반적인 액정렌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2는 도1a 및 도1b의 액정렌즈를 빛이 통과할 경우 입사광의 위상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렌즈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액정렌즈 120 : 제1기판
122 : 제1전극 124 : 제1배향막
130 : 제2기판 132 : 제2전극
134 : 절연층 136 : 제3전극
138 : 제2배향막 140 : 액정층
본 발명은 액정렌즈(liquid crystal lens)에 관한 것으로, 3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액정층을 구동하는 액정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마주보는 2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으로 구성되는데, 2개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으로 액정층의 액정분자를 구동한다. 액정분자는 분극성질과 광학적 이방성(optical anisotropy)을 갖는데, 분극성질은 액정분자가 전기장 내에 놓일 경우 액정분자내의 전하가 액정분자의 양쪽으로 몰려서 전기장에 따라 분자배열 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말하고, 광학적 이방성은 액정분자의 가늘고 긴 구조와 앞서 말한 분자배열 방향에 기인하여 입사광의 입사방향이나 편광상태에 따라 출사광의 경로나 편광상태를 달리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액정층은 2개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투과율의 차이를 나타내게 되고 그 차이를 화소별로 달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에 이러한 액정분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액정층이 렌즈 역할을 하게 하는 액정렌즈가 제안되었다.
즉, 렌즈는 렌즈를 구성하는 물질과 공기와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하여 입사광의 경로를 위치별로 제어하는 것인데, 액정층에 위치별로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 하여 위치별로 서로 다른 전기장에 의하여 액정층이 구동되도록 하면, 액정층에 입사하는 입사광은 위치별로 서로 다른 위상 변화를 느끼게 되고, 그 결과 액정층은 실제 렌즈와 같이 입사광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액정렌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a 및 도1b는 각각 일반적인 액정렌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1a 및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액정렌즈(10)는 마주보는 제1 및 제2기판(20, 30)과 제1 및 제2기판(20, 3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40)으로 구성된다. 제1기판(20)의 내면 전체에는 제1전극(22)이 형성되어 있고, 제2기판(30)의 외면에는 이격거리(d)만큼 서로 이격된 제2전극(3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전극(22, 32)에 전압이 인가되면 두 전극 사이에는 전기장(electric field: E)이 형성되는데, 제2전극(32)이 제2기판(30)의 외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분리된 형태를 가지므로 완전한 수직 전기장이 형성되지 않고 제2전극(32)의 이격구간(32a)에서 멀리 떨어진 영역에는 제1 및 제2기판(20, 30)에 거의 수직한 전기장이 생성되는 반면, 제2전극(32)의 이격구간(32a)에 가까운 영역에는 제1 및 제2기판(20, 30)에 경사진 전기장이 생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전극(22, 32)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장(E)은 제2전극(32)의 이격구간(32a)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세기와 방향이 변하고, 그 결과 전기장(E)에 의하여 구동되는 액정층(40)도 제1 및 제2전극(22, 32)의 이격구간(32a)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입사광의 위상을 다르게 변화시킨다.
도2는 도1a 및 도1b의 액정렌즈를 빛이 통과할 경우 입사광의 위상변화를 도 시한 그래프이다. 도2에서는 비교를 위하여 빛이 실제 렌즈를 통과할 경우에 느끼는 위상변화를 함께 도시하였다.
도2에서, 제1, 2, 3곡선(40a, 40b, 40c)은 액정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위상변화를 보여주는 곡선이며, 제4곡선(40d)은 유리 등으로 구성되는 실제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위상변화를 보여주는 곡선이다. 제1, 2, 3곡선(40a, 40b, 40c)에서 알 수 있듯이, 액정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위상변화는 제2전극(도1a 및 도1b의 32)의 이격구간(도1a 및 도1b의 32a)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을 이룬다.
예를 들어 제1, 2, 3곡선(40a, 40b, 40c)은 제2전극(도1a 및 도1b의 32)의 이격거리(도1a 및 도1b의 d)를 점점 크게 변화시킬 때의 곡선일 수 있는데, 이격거리(도1a 및 도1b의 d)를 적절히 조절한다고 해도 한계가 있어서 실제 렌즈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는 없다. 즉, 제1, 2곡선(40a, 40b)은 전체적으로 제4곡선(40d)보다 위상변화가 적은 반면, 제3곡선(40c)은 전체적으로 제4곡선(40d)보다 위상변화가 많다.
이러한 결과는 액정렌즈의 위상변화 조절 변수가 적은 것이 기인하는 것으로, 액정렌즈에 있어서 위상변화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제2전극(도1a 및 도1b의 32)의 이격거리(도1a 및 도1b의 d)와 제2전극(도1a 및 도1b의 32)에 인가되는 전압뿐이어서, 이를 적절히 조절한다고 해도 실제 렌즈에서의 위상변화와 동일한 곡선을 얻기는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3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액정층을 구동함으로써 위상변화를 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액정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 내면에 형성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2기판 내면에 형성되며, 제1거리에 대응되는 폭의 제1개구부를 갖는 제2전극과; 상기 제2전극 하부에 형성되며, 제2거리에 대응되는 폭의 제2개구부를 갖는 제3전극과; 상기 제1 및 제3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렌즈를 제공한다.
상기 액정렌즈는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형성되는 제1배향막과; 상기 제3전극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형성되는 제2배향막과;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3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막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렌즈는 상기 제3전극과 상기 제2배향막 사이에 형성되는 보호막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전극에는 각각 제1 내지 제3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전압 중 적어도 하나는 교류전압이고, 특히 상기 제1전압은 직류전압이고, 상기 제2 및 제3전압은 동일한 주파수와 상이한 크기를 갖는 교류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제3전압과 상기 제1전압의 차의 절대값은 상기 제2전압과 상기 제1전압의 차의 절대값보다 크고, 상기 액정렌즈는 공통전압원 및 교류전압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전극에 각각 공급하는 구동회로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교류전압원과 연결되는 제1저항과, 상기 제1저항과 상기 공통전압원 사이에 연결되는 제2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전압원은 상기 제1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저항 사이의 노드는 상기 제2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교류전압원은 상기 제3전극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저항은 가변저항일 수 있으며, 상기 교류전압원과 상기 제3전극사이에 연결되는 제1버퍼와, 상기 제1 및 제2저항 사이의 노드와 상기 제2전극사이에 연결되는 제2버퍼를 더욱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버퍼 각각은 인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거리는 상기 제2거리보다 작으며,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제1기판 내면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및 3전극은 서로 중첩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및 제2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 전면에 배치되는 액정렌즈로서,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 내면에 형성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2기판 내면에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각각이 제1거리에 대응되는 폭의 제1개구부를 갖는 다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전극 하부에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각각이 제2거리에 대응되는 폭의 제2개구부를 갖는 다수의 제3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1 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3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액정렌즈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제2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3전극 각각은 막대형상이고, 상기 다 수의 제2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3전극은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제1전극, 상기 다수의 제2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3전극에 전압을 인가할 경우 3차원 입체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전극, 상기 다수의 제2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3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 2차원 평면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전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플라즈마표시소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발광소자(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렌즈(110)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1 및 제2기판(120, 130)과 제1 및 제2기판(120, 13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140)으로 구성된다. 제1기판(120)의 내면에는 제1전극(122)이 전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1전극(122) 상부에는 제1배향막(124)이 형성되어 있다.
제2기판(130)의 내면에는 제2기판(13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서로 제1거리(d1)에 대응되는 폭의 제1개구부를 갖는 제2전극(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전극(132) 하부에는 절연막(134)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134) 하부에는 제2기판(13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서로 제2거리(d2)에 대응되는 폭의 제2개구부를 갖는 제3전극(1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3전극(136) 하부에는 제2배향막(13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및 제3전극(132, 136)은 절연막(134)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서로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평면적으로 봤을 때 제2 및 제3전극(132, 136)은 제1 및 제2개구부 끝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배향막(124, 138) 사이에는 액정층(140)이 형성되는데, 특별한 경우에는 제1 및 제2배향막(124, 138)을 생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배향막(138)이 제3전극(136)과 접촉하여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3전극(136)과 제2배향막(138) 사이에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보호막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2, 3전극(122, 132, 136)은 투명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액정렌즈(110)에서, 제1, 2, 3전극(122, 132, 136)에 각각 인가되는 제1, 2, 3전압에 의하여 전기장이 생성되고 생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액정층(140)이 구동된다. 이 때 생성된 전기장은 제1, 2, 3전압의 크기와 제1, 2거리(d1, d2)에 의하여 그 크기 및 방향이 조절되는데, 종래보다 더 많은 조절 변수가 있으므로 더 다양한 형태의 전기장을 더 세밀하게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전기장의 위치별 크기 및 방향의 다양성은 액정층(140)에서의 위상변화 곡선의 다양성을 의미하며, 이들 제1, 2, 3전압과 제1, 2거리(d1, d2)를 적절히 조절하여 실제 렌즈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변화 곡선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렌즈(110)에서는 생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액정층(140)의 굴절률이 위치별로 세밀하게 조절되며 이에 따라 액정층(140)을 통과하는 입사광이 느끼는 세밀한 위상변화는 실제 렌즈에서와 동일한 광경로 변경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액정렌즈(110)의 구동을 살펴보면, 제1, 2, 3전극에 각각 인가되는 제1, 2, 3전압은 그 크기가 서로 다른 전압일 수 있으며, 직류(DC)전압 또는 교류(AC)전압일 수 있다. 액정층(140)에 직류전압에 의한 전기장을 지속적으로 인가할 경우 전하의 한 방향으로의 축적에 의하여 액정층(140)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제1, 2, 3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전압은 교류전압인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전극(122)에 직류전압을 인가하고, 제2 및 제3전극(132, 136)에 동일한 주파수에 상이한 크기를 갖는 교류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거리(d1)가 제2거리(d2)보다 작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필요에 따라 제1거리(d1)가 제2거리(d2)보다 크거나 같을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렌즈용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4a 및 도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렌즈용 구동회로의 회로도이다.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렌즈용 구동회로는 액정렌즈의 제1 내지 제3전극(122, 132, 136)에 각각 제1 내지 제3전압(V1, V2, V3)을 공급한다. 이때, 제1전압(V1)은 직류전압이고, 제2 및 제3전압(V2, V3)은 서로 다른 크기의 교류전압이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전압(V1, V2, V3)을 생성하기 위한 액정렌즈용 구동회로는 서로 직렬연결된 제1 및 제2가변저항(VR1, VR2)과 공 통전압원(Vcom) 및 교류전압원(Vac)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직류인 공통전압원(Vcom)은 제1전극(122)에 연결되어 기준전압으로서 공통전압을 인가하고, 교류인 교류전압원(Vac)은 제1가변저항(VR1)의 일끝단에 연결된다. 제2가변저항(VR2)은 제1가변저항(VR1)의 타끝단에 연결되어 노드(n)를 형성하고, 제2가변저항(VR2)의 다른 끝단은 공통전압원(Vcom)에 연결된다.
동시에, 공통전압원(Vcom)은 제1전극(122)에 연결되어 공통전압원(Vcom)의 직류전압을 제1전압(V1)으로 제1전극(122)에 인가하고, 교류전압원(Vac)은 제3전극(136)에 연결되어 교류전압원(Vac)의 교류전압을 제3전압(V3)으로 제3전극(136)에 인가한다. 여기서 교류전압원(Vac)의 교류전압은 구형파 형태를 가지며 양(+)의 극성과 음(-)의 극성을 교대로 가지는 전압일 수 있다.
노드(n)는 제2전극(132)과 연결되는데, 저항의 직렬연결에 있어서의 전압분배식(식1)에 의하여 제1 및 제3전압(V1, V3) 사이의 크기를 갖는 교류전압을 제2전압(V2)을 제2전극(132)에 인가한다.
결론적으로, 공통전압원(Vcom)과 교류전압원(Vac)을 이용하여 구동회로가 생성하는 제1 내지 제3전압(V1, V2, V3)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게 된다.
V1=Vcom
V2=[VR2/(VR1+VR2)]*Vac (식1)
V3=Vac
이때, 액정렌즈의 원활한 구동을 위하여 제2 및 제3전압(V2, V3)과 제1전압(V1)의 차의 절대값은 각각 수 볼트(V)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액정렌즈가 이상 적인 렌즈에 가까운 기능을 하기위해서는 가장자리의 액정층이 더 회전구동되는 것이 좋으므로 제3전압(V3)과 제1전압(V1)의 차의 절대값이 제2전압(V2)과 제1전압(V1)의 차의 절대값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액정커패시터(CLC1)는 제3전극(136) 및 제1전극(122)과 그 사이의 액정층(도3의 140)에 의한 액정커패시터를 의미하고, 제2액정커패시터(CLC2)는 제2전극(134) 및 제1전극(122)과 그 사이의 액정층(도3의 140)에 의한 액정커패시터를 의미한다. 액정층(도3의 140)은 그 자체의 저항이 수 MΩ에 달하므로 제1 및 제2가변저항(VR1, VR2)을 수 KΩ이 되도록 설계하면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액정층으로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액정렌즈가 이상적인 렌즈로 구동되도록 제1 및 제2가변저항(VR1, VR2)을 적절히 조절하여 어느 정도 확정된 후에는 가변저항을 고정저항으로 교체하여 구동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회로는 하나의 교류전압원(Vac)을 사용하여 크기가 다르고 위상이 동일한 2개의 교류전압(V2, V3)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액정렌즈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인버전(inversion)구동에 의하여 전하의 축적에 의한 액정층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4a의 액정렌즈용 구동회로에 제1 및 제2버퍼(BF1, BF2)를 추가하여 액정렌즈에 인가되는 제2 및 제3전압(V2, V3)을 더욱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교류전압원(Vac)과 제3전극(136)사이에 제1버퍼(BF1)를 배치하고, 노드(n)와 제2전극(132)사이에 제2버퍼(BF2)를 배치하여 제2 및 제3전극(132, 136)에 더욱 안정적인 제2 및 제3전압(V2, V3)을 공급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버퍼(BF1, BF2)는 인버터를 직렬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액정렌즈(110)는 각종 광학수단에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2차원 및 3차원 영상을 전환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렌즈로 사용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렌즈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5의 액정렌즈에 대하여 도3의 액정렌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260)는 표시패널(250)과 액정렌즈(230)로 구성되고, 액정렌즈(230)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1 및 제2기판(220, 230)과 제1 및 제2기판(220, 23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240)으로 구성된다. 제1기판(220)의 내면에는 제1전극(222)이 전면에 형성되어 있고, 제1전극(222) 상부에는 제1배향막(224)이 형성되어 있다.
제2기판(230)의 내면에는 각각이 제1거리(d1)에 대응되는 폭의 제1개구부를 갖는 다수의 제2전극(232)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제2전극(232) 하부에는 절연막(234)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234) 하부에는 각각이 제2거리(d2)에 대응되는 폭의 제2개구부를 갖는 다수의 제3전극(236)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으 며, 제3전극(236) 하부에는 제2배향막(238)이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제2전극 및 다수의 제3전극(232, 236)은 절연막(134)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서로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전극(232)과 제3전극(236)은 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일 수 있으며, 제1및 제2개구부의 끝단에서 각각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액정렌즈(210)는 도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하나의 렌즈로 작용하는데, 제1전극(222), 한 쌍의 제2전극(232)과 한 쌍의 제3전극(236)은 하나의 단위액정렌즈(ULL)를 구성한다. 즉 제1전극(222), 한 쌍의 제2전극(232), 한 쌍의 제3전극(236)에 각각 제1, 2, 3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단위액정렌즈(ULL)는 하나의 원통형렌즈(cylindrical lens)로 작용하고, 액정렌즈(210) 전체는 다수의 연결된 원통형렌즈로 작용한다.
비록 도5에서는 제2 및 제3전극(232, 236)이 각 단위액정렌즈(ULL) 별로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각 단위액정렌즈(ULL)의 굴절률 등의 광학특성이 동일하도록 설계되었다면 각 단위액정렌즈(ULL)의 제2 및 제3전극(232, 236)에는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므로 인접한 단위액정렌즈(ULL)의 제2 및 제3전극(232, 236)은 연결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2, 3전극(222, 232, 236)에 각각 인가되는 제1, 2, 3전압에 의하여 전기장이 생성되고 생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액정층(240)이 구동된다. 이 때 생성된 전기장은 제1, 2, 3전압의 크기와 제1, 2거리(d1, d2)에 의하여 그 크기 및 방향이 조절되어 결과적으로 액정층(240)에서의 위상변화 곡선의 형태가 조절된다.
제1, 2, 3전압은 그 크기가 서로 다른 전압일 수 있으며, 직류(DC)전압 또는 교류(AC)전압일 수 있고, 제1, 2, 3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전압은 교류전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전극(222)에 직류전압을 인가하고, 제2 및 제3전극(232, 236)에 동일한 주파수에 상이한 크기를 갖는 교류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표시패널(250)에는 제1 및 제2영상(IM1, IM2)을 각각 표시하는 제1 및 제2영상화소(P1, P2)가 순차적으로 반복 배열되어 있으며, 이러한 표시패널(250)로는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전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플라즈마표시소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발광소자(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등의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2, 3전극(222, 232, 236)에 제1, 2, 3전압을 인가할 경우, 액정렌즈(210)는 광학 렌즈로 작용하게 되고, 표시패널(250)로부터 출사된 제1 및 제2영상은 액정렌즈(210)에 의하여 각각 제1 및 제2시역(viewing zone: VZ1, VZ2)으로 전달되고, 만약 제1 및 제2시역(VZ1, VZ2)간의 거리를 사람의 두 눈 사이의 거리로 설계하면 사용자는 제1 및 제2시역(VZ1, VZ2)으로 각각 전달되는 제1 및 제2영상(IM1, IM2)을 합성하여 스테레오그래픽에 의한 3차원 영상을 인식한다.
한편, 제1, 2, 3전극(222, 232, 236)에 제1, 2, 3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 액정렌즈(210)는 표시패널(250)의 제1 및 제2영상(IM1, IM2)이 굴절 없이 그대로 표시되는 단순 투명층 역할만을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영상(IM1, IM2)은 시역구분 없이 그대로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사용자는 2차원 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렌즈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는 액정렌즈의 각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유무에 따라 2차원 평면영상과 3차원 입체영상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렌즈는 3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 전기장으로 액정층을 구동함으로써 액정층에서의 입사광의 위상변화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제 렌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액정렌즈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정렌즈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는 액정렌즈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2차원 영상과 3차원 영상을 전환 표시할 수 있다.

Claims (20)

  1.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 내면에 형성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2기판 내면에 형성되며, 제1폭의 제1개구부를 갖는 제2전극과;
    상기 제2전극을 덮으며 형성되는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폭 보다 큰 제2폭의 제2개구부를 갖는 제3전극과;
    상기 제1 및 제3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
    을 포함하는 액정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형성되는 제1배향막과;
    상기 제3전극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형성되는 제2배향막과;
    을 더욱 포함하는 액정렌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과 상기 제2배향막 사이에 형성되는 보호막을 더욱 포함하는 액정렌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전극에는 각각 제1 내지 제3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전압 중 적어도 하나는 교류전압인 액정렌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은 직류전압이고, 상기 제2 및 제3전압은 동일한 주파수와 상이한 크기를 갖는 교류전압인 액정렌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압과 상기 제1전압의 차의 절대값은 상기 제2전압과 상기 제1전압의 차의 절대값보다 큰 액정렌즈.
  7. 제 5 항에 있어서,
    공통전압원 및 교류전압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전극에 각각 공급하는 구동회로를 더욱 포함하는 액정렌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교류전압원과 연결되는 제1저항과, 상기 제1저항과 상기 공통전압원 사이에 연결되는 제2저항을 포함하는 액정렌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압원은 상기 제1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저항 사이의 노드는 상기 제2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교류전압원은 상기 제3전극에 연결되는 액정렌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저항은 가변저항인 액정렌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압원과 상기 제3전극사이에 연결되는 제1버퍼와, 상기 제1 및 제2저항 사이의 노드와 상기 제2전극사이에 연결되는 제2버퍼를 더욱 포함하는 액정렌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버퍼 각각은 인버터를 포함하는 액정렌즈.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제1기판 내면 전면에 형성되는 액정렌즈.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3전극은 서로 중첩되는 액정렌즈.
  16. 제1 및 제2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 전면에 배치되는 액정렌즈로서,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1 및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 내면에 형성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2기판 내면에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각각이 제1폭의 제1개구부를 갖는 다수의 제2전극과;
    상기 제2전극을 덮으며 형성되는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 하부면에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각각이 상기 제1폭 보다 큰 제2폭의 제2개구부를 갖는 다수의 제3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1 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3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는 액정렌즈
    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3전극 각각은 막대형상인 영상표시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3전극은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영상표시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상기 다수의 제2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3전극에 전압을 인가할 경우 3차원 입체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전극, 상기 다수의 제2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3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 2차원 평면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전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플라즈마표시소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발광소자(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중 하나인 영상표시장치.
KR1020060133598A 2006-06-27 2006-12-26 액정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1350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233 2006-06-27
KR20060058233 2006-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498A KR20080000498A (ko) 2008-01-02
KR101350971B1 true KR101350971B1 (ko) 2014-01-14

Family

ID=3767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598A KR101350971B1 (ko) 2006-06-27 2006-12-26 액정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14782B2 (ko)
JP (1) JP4607089B2 (ko)
KR (1) KR101350971B1 (ko)
CN (1) CN100529861C (ko)
FR (1) FR2902899B1 (ko)
GB (1) GB243956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9859B2 (en) 2015-01-13 2017-07-18 Samsung Display Co., Ltd. Optical modulation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US10133143B2 (en) 2016-09-23 2018-11-20 Samsung Display Co., Ltd. Lens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25498B (zh) * 2008-07-10 2012-11-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变焦透镜、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481671B1 (ko) * 2008-07-21 2015-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전계 렌즈를 구비한 입체 표시 장치
JP2010211036A (ja) 2009-03-11 2010-09-24 Sony Corp 立体表示装置
TW201042336A (en) * 2009-05-25 2010-12-01 Tunable Optix Corp Panel
TWI412788B (zh) * 2009-05-27 2013-10-21 Au Optronics Corp 立體顯示器及其液晶透鏡
TWI414846B (zh) * 2009-10-30 2013-11-11 Au Optronics Corp 可切換二維顯示模式與三維顯示模式之顯示裝置及其液晶透鏡
US8223279B2 (en) * 2010-01-20 2012-07-17 Shenzhen Super Perfect Optics Limited Three-dimensional (3D) display system and method
US8427626B2 (en) * 2010-01-27 2013-04-23 Sony Corporation Lens array element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707607B1 (ko) * 2010-03-04 2017-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594547B1 (ko) 2010-05-21 2016-02-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스위칭 가능한 단일-다중 뷰 모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12003072A (ja) * 2010-06-17 2012-01-05 Sony Corp レンズアレイ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2156353B (zh) 2010-10-15 2012-06-27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二维/三维可转换显示装置、显示方法、个人数字助理及电脑
TWI422865B (zh) 2010-10-28 2014-01-11 Au Optronics Corp 可切換式立體顯示器
KR101698571B1 (ko) 2010-10-29 2017-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회절 소자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1707587B1 (ko) 2010-12-28 2017-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회절 소자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GB2488978A (en) 2011-03-07 2012-09-19 Sharp Kk Switching lenses for multi-view displays
GB2488979A (en) * 2011-03-07 2012-09-19 Sharp Kk Switchable Optics with GRIN lenses formed in liquid crystal layer
WO2012143817A2 (en) 2011-04-19 2012-10-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 output panel and device having the same
KR101921172B1 (ko) * 2011-05-18 2018-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5667928B2 (ja) * 2011-05-20 2015-02-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画像表示装置
CN102645814B (zh) * 2011-05-23 2015-05-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透镜及其制作、使用方法和光电设备
CN102243402B (zh) * 2011-07-13 2014-09-24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一种液晶透镜光栅及其立体显示装置
CN102323702B (zh) * 2011-10-13 2013-07-03 福州华映视讯有限公司 液晶透镜
CN102385198A (zh) * 2011-10-25 2012-03-2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系统
KR20130046116A (ko) 2011-10-27 2013-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2차원/3차원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28939B1 (ko) 2011-11-30 2019-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2차원/3차원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JP5802571B2 (ja) * 2012-02-20 2015-10-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5583158B2 (ja) * 2012-02-29 2014-09-03 株式会社東芝 液晶光学素子、駆動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379746B1 (ko) * 2012-03-12 2014-04-01 이동혁 엘시디 셀의 적층 구조
CN102662208B (zh) * 2012-03-15 2015-05-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柱透镜光栅、液晶光栅及显示器件
US10215895B2 (en) 2012-03-15 2019-02-26 Boe Technology Group Co., Ltd. Liquid crystal grating forming lenticular lenses
JP2013195994A (ja) 2012-03-23 2013-09-30 Japan Display West Co Ltd 製造装置、製造方法、光学素子、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2707514B (zh) * 2012-05-03 2014-03-26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3d触控液晶透镜光栅、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0708575B2 (en) 2012-06-25 2020-07-0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system with diffuse and specular reflective modes
US9679506B2 (en) 2012-06-25 2017-06-13 Sharp Kabushiki Kaisha Multiple function display system
KR20140028475A (ko) 2012-08-29 2014-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렌즈 패널,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패널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CN103091931A (zh) * 2013-01-30 2013-05-0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透镜和立体显示装置
CN103091930B (zh) * 2013-01-30 2016-05-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透镜和立体显示装置
KR102082996B1 (ko) 2013-02-13 2020-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표시 장치 및 3차원 표시 장치용 액정 렌즈부
KR20150030913A (ko) 2013-09-13 2015-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2061234B1 (ko) 2013-10-28 2020-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액정 렌즈 패널
KR20150069415A (ko) * 2013-12-13 2015-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액정 렌즈 패널 장치
US10699612B2 (en) 2014-10-27 2020-06-3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system with specular reflective mode
KR102371780B1 (ko) 2015-01-08 2022-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렌즈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CN105759528B (zh) 2016-05-19 2019-0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组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TWI624696B (zh) * 2016-12-27 2018-05-21 點晶科技股份有限公司 變焦液晶透鏡組件及其液晶透鏡結構
TWI663430B (zh) 2017-11-27 2019-06-21 點晶科技股份有限公司 多功能透鏡裝置
CN112154077A (zh) * 2018-05-24 2020-12-29 三菱电机株式会社 车辆用显示控制装置和车辆用显示控制方法
WO2023220619A2 (en) * 2022-05-10 2023-11-16 E-Vision Smart Optics, Inc. Electro-active lenses with multiple electrode lay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2038A (ja) 1998-09-18 2000-04-07 Sanyo Electric Co Ltd 2次元映像/3次元映像互換型映像表示装置
KR20030048828A (ko) * 2001-12-13 2003-06-25 일진다이아몬드(주) 고분자 분산형 액정셀을 이용한 광학렌즈 및 그 제조방법
JP2004004616A (ja) 2002-03-22 2004-01-08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液晶レンズ
KR20060058406A (ko) * 2004-11-25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19176D0 (en) 2001-08-06 2001-09-26 Ocuity Ltd Optical switching apparatus
JP2003161810A (ja) 2001-11-28 2003-06-06 Citizen Electronics Co Ltd 密着イメージセンサー用紫外線硬化型液晶マイクロレンズ
GB2398130A (en) * 2003-02-05 2004-08-11 Ocuity Ltd Switchable active lens for display apparatus
JP4627083B2 (ja) 2005-03-24 2011-02-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液晶レンズ、光ピックアップ、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JP2007017934A (ja) 2005-06-07 2007-01-2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光学素子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
KR101528143B1 (ko) * 2007-11-02 2015-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전계렌즈를 이용한 입체표시장치
TWI412788B (zh) * 2009-05-27 2013-10-21 Au Optronics Corp 立體顯示器及其液晶透鏡
KR101603237B1 (ko) * 2009-10-27 2016-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전계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TWI414846B (zh) * 2009-10-30 2013-11-11 Au Optronics Corp 可切換二維顯示模式與三維顯示模式之顯示裝置及其液晶透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2038A (ja) 1998-09-18 2000-04-07 Sanyo Electric Co Ltd 2次元映像/3次元映像互換型映像表示装置
KR20030048828A (ko) * 2001-12-13 2003-06-25 일진다이아몬드(주) 고분자 분산형 액정셀을 이용한 광학렌즈 및 그 제조방법
JP2004004616A (ja) 2002-03-22 2004-01-08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液晶レンズ
KR20060058406A (ko) * 2004-11-25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9859B2 (en) 2015-01-13 2017-07-18 Samsung Display Co., Ltd. Optical modulation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US10133143B2 (en) 2016-09-23 2018-11-20 Samsung Display Co., Ltd. Lens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14782B2 (en) 2013-12-24
JP4607089B2 (ja) 2011-01-05
FR2902899B1 (fr) 2011-02-18
CN100529861C (zh) 2009-08-19
US20070296911A1 (en) 2007-12-27
GB0624298D0 (en) 2007-01-10
CN101097308A (zh) 2008-01-02
GB2439564A (en) 2008-01-02
FR2902899A1 (fr) 2007-12-28
KR20080000498A (ko) 2008-01-02
GB2439564B (en) 2008-11-05
JP2008009370A (ja)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971B1 (ko) 액정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JP5952853B2 (ja) ビーム成形デバイス
US8786683B2 (en) Stereoscopic display unit
JP5142356B2 (ja) 立体画像変換パネル
US9007554B2 (en) Liquid crystal optical apparatus and image display device
JP5944616B2 (ja) 光学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KR101852121B1 (ko) 전자 영상 기기
TWI470277B (zh) 菲涅耳液晶透鏡及可切換式平面/立體顯示面板
KR20120011342A (ko) 2d/3d 겸용 표시 장치
TW201030378A (en) Lens array device and image display
WO2013163871A1 (zh) 触控光栅、显示装置及实现立体显示和触控功能的方法
JP2013015613A (ja) 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表示装置
KR20110078793A (ko) 입체 표시 장치
KR101677997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TW201411191A (zh) 裸眼與眼鏡可切換式立體顯示裝置
KR20080060872A (ko) 액정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TW201423236A (zh) 可切換二維顯示模式與三維顯示模式之顯示裝置及其液晶透鏡
TWI467245B (zh) 顯示裝置及液晶透鏡
TW201334510A (zh) 裸眼與眼鏡可切換式立體顯示裝置
KR20130094680A (ko) 액정 광학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419231B1 (ko) 입체 표시 장치
KR20170089472A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301955B1 (ko) 액정렌즈의 피치 제어 방법
US20160077362A1 (en) Liquid crystal optical device, control device of liquid crystal optical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TW201543451A (zh) 可切換2d/3d顯示系統及其驅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