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862B1 -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862B1
KR101350862B1 KR1020120064125A KR20120064125A KR101350862B1 KR 101350862 B1 KR101350862 B1 KR 101350862B1 KR 1020120064125 A KR1020120064125 A KR 1020120064125A KR 20120064125 A KR20120064125 A KR 20120064125A KR 101350862 B1 KR101350862 B1 KR 101350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image data
photo
photo prin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222A (ko
Inventor
권영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에프
Priority to KR1020120064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862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02Exposure apparatus for contact printing
    • G03B27/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46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 G03B27/46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in enlargers, e.g. roll film prin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기기에서 전송되는 이미지신호를 인가받은 다음 이를 기존의 폴라로이드 필름에 이미지를 현출하여 공급하는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의 구성은; 휴대가 가능한 케이싱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3)로부터 디지털화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수신부(2); 상기 영상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진을 인화하는 사진인화부(5);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사진인화부(5)에 인가하여 현상 및 인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Portable Picture Printer}
본 발명은 사진 인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기기에서 전송되는 이미지신호를 인가받은 다음 이를 기존의 폴라로이드 필름에 이미지를 현출하여 공급하는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라로이드(Polaroid) 카메라는 즉시성과 현장성이라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오랜 기간 애용되어 왔다. 더구나 제공하는 사진도 선명하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일반 프린터와는 확연하게 차별된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릿, 휴대폰 등 휴대형 단말기의 성능이 하루가 다르게 향상되고 있는 것 또한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각종 휴대형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카메라의 성능도 전용 카메라에 근접하고 있다. 따라서 전문성을 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휴대형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필요시 선별하여 현상 및 인화하는 것이 근래의 추세이다.
서두에 언급했던 폴라로이드 카메라는 본래가 카메라이므로 촬영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요즘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널리 소지하고 있는 휴대형 단말기에도 카메라 기능이 있다. 즉 두 개의 기기가 모두 카메라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바, 이것은 낭비적 요소가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폴라로이드 카메라를 저렴하게 공급하는데 장애가 되기도 한다.
그간 폴라로이드 카메라에 대한 개선도 있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137860호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기능과 폴라로이드 카메라의 기능을 접목시킨 구성을 제안하였고, 특허출원 제10-2001-0066919호는 하나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동작하여 촬영하거나 또는 폴라로이드 카메라로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제안되었던 폴라로이드 카메라는 모두 '카메라' 본연의 기능을 벗어나서 고려된 바가 없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현상할 수 있는 휴대형 인화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휴대형 인화장치는 폴라로이드 카메라의 현상기능을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희귀성을 가진 고품질의 사진을 즉석에서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휴대가 가능한 크기의 케이싱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외부기기로부터 디지털화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수신부; 상기 영상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진을 인화하는 사진인화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사진인화부에 인가하여 현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mem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통신회선은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 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회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사진인화부는 폴라로이드 카메라에 사용되는 시트 형상의 폴라로이드 필름에 이미지를 현출시키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가 가능한 크기의 케이싱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외부기기로부터 디지털화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수신부; 폴라로이드 카메라에 사용되는 시트 형상의 폴라로이드 필름에 이미지를 현출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진을 인화하는 사진인화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사진인화부에 인가하여 현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 태블릿, 휴대폰 등 휴대형 단말기를 상기 외부기기로 이용함으로써;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 촬영한 정지영상이 상기 사진인화부에 의해 인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 편집한 정지영상이 상기 사진인화부에 의해 인화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카메라 기능을 갖는 각종의 휴대형 단말기에서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폴라로이드 필름에 인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폴라로이드 카메라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동일한 품질의 사진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소비자는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폴라로이드 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형 단말기가 갖는 각종의 부가 기능을 폴라로이드 사진에 부여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것과는 차별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의 사용상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로부터 더 나아가 이를 이용하는 방법도 제공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가 주로 설명되고 있지만, 이를 이용하는 방법도 함께 설명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관하여는 별도로 구분하여 설명하지는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는 휴대가 가능한 손바닥 크기의 케이싱(1) 형태로 제공되며, 기존의 폴라로이드 카메라에 준하는 크기를 갖는다.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는 예를 들어, 가로×세로×높이가 약 100mm×150mm×50mm가 되는 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는 케이싱(1)에 내장되는 건전지 또는 충전지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할 수도 있다.
데이터수신부(2)는 통상 통신모듈 형태로 제공되며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외부기기로부터 디지털화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외부기기라 함은 통신이 가능한 각종 전자장비를 말한다. 다만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를 이용하는 방법까지 제한하고 있다. 스마트폰, 태블릿, 휴대폰 등의 휴대형 단말기를 외부기기로 이용한다는 것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이용방법이다.
휴대형 단말기(3)는 현재 제공되고 있거나 앞으로 제공될 다양한 형태의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통신회선은 근거리 무선통신회선을 주로 의미한다. 근래 보급되어 있는 무선통신회선에는 적외선 통신(예를 들어, IRDA), 블루투스(Blue tooth), 와이파이(Wi-Fi)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통신회선 이외에 앞으로 개발될 다른 무선통신방식이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참고로 블루투스(Blue tooth)는 노트북 PC, 스마트폰을 비롯한 이동 가능한 휴대형 단말기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주는 규격으로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각종 디지털 장비간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를 교류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서 공지사항이다.
사진인화부(5)는 영상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진을 인화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인화라는 용어는 본래 의미의 현상과 인화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사진인화부(5)는 기존의 폴라로이드 카메라(즉석 사진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폴라로이드 필름(7)에 현상액을 확산시키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현출한다. 현상과 인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라로이드 필름의 구성와 원리는 주지사항이다.
본 발명의 휴대형 인화장치는 광원이 렌즈를 통해 유입된 것이 아닌 디지털 신호 형태로 공급된다는 것이 기존의 폴라로이드 카메라와 다르다. 디지털화된 영상신호를 모니터로 송출하거나 또는 프린트하기 위한 신호변환기술은 익히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9-0038086호를 참조하여 보면 사진인화부(5)의 구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9)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사진인화부(5)에 인가함으로써 폴라로이드 필름(7)에 인화되도록 한다.
제어부(9)는 데이터수신부(2)가 수신하는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는 즉시 인화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9)는 단순한 온오프 기능만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수신부와 사진인화부를 연결하는 가교역할만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 하여금 저장된 영상데이터중 일부분을 선별하여 인화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된 데이터의 영상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와 더불어 입력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는 버튼 형식일 수도 있다. 표시부(13)와 입력부(15)가 동시에 한 공간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터치패널(미도시됨)이 채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에는 카메라의 이미지 촬영기능을 제외한 다양한 부가기능이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편집, 수정, 메모 기능 등이 그러하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의 부수적 사항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기능들은 휴대형 단말기가 갖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는 순수하게 영상데이터만을 받아 즉시로 인화하는 장치로 사용되는 것이 비용 및 부피를 줄이기 위해 바람직하다. 기념이 될 수 있는 문구나 도안을 휴대형 단말기에 직접 입력한 다음 이 기재내용이 사진과 함께 인화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위에 설명된 각각의 세부적인 구성요소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얼마든지 조합될 수 있으며, 이들 조합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 : 케이싱 2 : 데이터수신부
3 : 휴대형 단말기 5 : 사진인화부
7 : 폴라로이드 필름 9 : 제어부
11 : 저장부 13 : 표시부
15 : 입력부

Claims (5)

  1. 휴대가 가능한 손바닥 크기의 케이싱 형태로 제공되며, 건전지 또는 충전지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서;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 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휴대폰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디지털화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수신부;
    폴라로이드 카메라에 사용되는 시트 형상의 폴라로이드 필름에 현상액을 확산시킴으로써 이미지를 현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영상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진을 현상하고 인화하는 사진인화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사진인화부에 인가하여 현상 및 인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64125A 2012-06-15 2012-06-15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 KR101350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125A KR101350862B1 (ko) 2012-06-15 2012-06-15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125A KR101350862B1 (ko) 2012-06-15 2012-06-15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222A KR20130142222A (ko) 2013-12-30
KR101350862B1 true KR101350862B1 (ko) 2014-01-13

Family

ID=4998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125A KR101350862B1 (ko) 2012-06-15 2012-06-15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8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678B1 (ko) * 2002-07-30 2004-10-08 권황섭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에 녹화된 화상을 출력하는 공중통신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0669542B1 (ko) * 2005-09-30 2007-01-16 이태우 이동통신 프린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678B1 (ko) * 2002-07-30 2004-10-08 권황섭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에 녹화된 화상을 출력하는 공중통신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0669542B1 (ko) * 2005-09-30 2007-01-16 이태우 이동통신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222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2953B2 (en) Camera-lens automatic pop-up assembly
US9332208B2 (en) Imaging apparatus having a projector with automatic photography activation based on superimposition
JP6363299B2 (ja) 色域モードの切り替え方法及び装置
JP6214812B2 (ja) 振込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5149915B2 (ja) マルチメディアベースのデータ伝送を行う装置及び関連方法
CN105872361A (zh) 拍摄指导装置、系统及方法
US10097703B2 (en) Image printing device and method using display device
CN106506945A (zh) 一种控制方法及终端
US20150215514A1 (en) Device for wirelessly controlling a camera
US9615035B2 (en) Competitive photo rig
US20110001890A1 (en) Portable image projector and projection method
JP2010283519A (ja) 携帯端末装置、表示情報の出力制御方法、及び表示情報の出力制御プログラム
KR101350862B1 (ko) 휴대형 사진 인화장치
JP2008098828A (ja) 携帯端末装置
JP3135684U (ja) 表示装置
JP2008034997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3024282A (zh) 拍照系统及拍照方法
JP4146700B2 (ja) 携帯端末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印刷媒体
KR20160069679A (ko) 스티커 출력장치
TWI531227B (zh) 電子紙顯示系統
JP2005051600A (ja) 携帯電話
JP2013243455A (ja) 撮影装置、撮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45533A (ko)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
CN110933300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和电子终端设备
TWI653886B (zh) 畫面傳輸方法及攝像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