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533A -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533A
KR20170045533A KR1020150145189A KR20150145189A KR20170045533A KR 20170045533 A KR20170045533 A KR 20170045533A KR 1020150145189 A KR1020150145189 A KR 1020150145189A KR 20150145189 A KR20150145189 A KR 20150145189A KR 20170045533 A KR20170045533 A KR 20170045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frame
image
smart terminal
data
user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서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지레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지레몬 filed Critical (주)에스앤지레몬
Priority to KR1020150145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5533A/ko
Publication of KR20170045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13/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04N13/0402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스마트폰으로 촬영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편집가능하게 하고, 이와 같이, 편집가공된 촬영데이터를 전자액자용 무안경 입체이미지로 컨버팅처리하며, 그 컨버팅 처리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재차, 전자액자로 실시간 전송하여,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메뉴선택에 따라, 그 전자액자의 액정화면을 통해 평면방식 또는 무안경 입체방식으로 선택 출력되게 함으로서, 사용의 편의성과 기능성을 향상되도록 한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사용자 스마트단말 및 그 사용자 스마트단말에 다운설치되는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편집된 촬영데이터를 영상변환 컨버터에 의해 전자액자용 무안경 입체이미지로 컨버팅처리하는 클라우드서버와;
상기 컨버팅 처리된 촬영데이터를 액정화면을 통해 출력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전자액자로 구성되게 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E-framed glasses-free stereoscopic content conversion system}
본 발명은 전자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으로 촬영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편집가공하고, 이와 같이, 편집가공된 데이터를 무안경 입체이미지로 컨버팅하며, 재차, 컨버팅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이터를 전자액자로 실시간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한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 예컨데, 휴대폰의 기능 또한, 단순한 통화 내지 문자전송의 기능을 넘어, 인터넷 검색, 영상 및 각종 데이터정보의 송,수신, 디엠비(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P3, 게임, 팩스, 이메일, 그리고, 내장형 카메라에 의한 촬영기능 등 복합적인 하나의 휴대용 컴퓨터 개념으로서, 스마트폰이라 통칭 되며 사용되고 현실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스마트폰이라는 기기를 통해, 단순한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시,공간에 구애받음 없이,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 정보를 검색, 습득, 공유함은 물론, 특히, 남기고 싶은 영상이나 이미지 등을 실시간 정보로 촬영하여,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스마트폰을 통해, 등산이나 낚시를 즐기며 음악을 감상하고,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 풍경이나, 사물, 또는 인물 등에 대한 영상 내지 이미지 등을 촬영하여, 이를, 하나의 기록물 데이터로 저장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대량보급에 따라 변화된 생활환경의 또 다른 일예를 살펴보면, 이는, 사진 또는 영상관련 전문종사자뿐만 아니라, 일반 개개인 모두가 일종의 아마추어작가로서 언제어디서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손쉽게 촬영하고, 이와 같이,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편집저장하며, 그 저장된 자료를 보다 적극적으로 감상하려는 욕구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임을 알 수 있는 것인바, 이에, 이러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 있어서는, "디지털액자"(특허공개 제2010-0085541), "디지털 전자액자"(특허공개 제2009-0069955호)외 다수의 전자액자 관련기술들이 다양하게 개발 출시되고 있는 현실인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액자는, 촬영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데이터를, 외장 메모리카드 또는 USB메모리를 통해 다운받아 저장하고, 이와 같이, 저장된 사진이미지 및 동영상데이터를 디지털액자의 액정화면을 통해 단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형태로하여, 여기에, 음향출력기능, 사용자 근접감지에 따른 절전기능 등을 부가시킨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그 기능이 매우 제한적일수 밖에 없는 것이었으며, 일련의 사용관계에 있어서 또한, 촬영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데이터에 대하여, 실시간 편집 및 원거리 무선전송, 기타, 출력방식의 다양한 변화 등은 전혀 기대할 수 없는 것이었던바, 따라서, 그 이용관계에 있어, 소비자의 기대욕구를 충족시키못하고, 쉽게 식상하게 하는 등, 효율적이지 못한 상당한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디지털 액자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으로 촬영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실시간 편집가능하게 하고, 이와 같이, 편집가공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전자액자용 무안경 입체이미지로 컨버팅처리하며, 그 컨버팅 처리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재차, 전자액자로 실시간 전송입력되게 하여,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메뉴선택에 따라, 그 전자액자의 액정화면을 통해 평면방식 또는 무안경 입체방식으로 선택 출력되게 함으로서, 사용의 편의성과 기능성을 향상되도록 하고, 아울러, 출력방식의 다변화로서 소비자의 호기심을 충족되게하여, 활용성과 판매효율성 또한 증대시킬수 있도록 한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사용자 스마트단말 및 그 사용자 스마트단말에 다운설치되는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편집된 촬영데이터를 영상변환 컨버터에 의해 전자액자용 무안경 입체이미지로 컨버팅처리하는 클라우드서버와;
상기 컨버팅 처리된 촬영데이터를 액정화면을 통해 출력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전자액자로 구성되게 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는, 부가적 구성으로 마련된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촬영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취향에 맞추어 실시간 편집 및 저장가능하게 하고, 그와 같이, 편집 저장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무안경 입체데이터로 컨버팅처리하며, 그 컨버팅 처리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이미지를, 전자액자로 실시간 전송입력되게 하여,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메뉴선택에 따라, 그 전자액자의 액정화면을 통해 평면방식 또는 무안경 입체방식으로 선택 출력되게 한 것으로, 이에, 이러한, 기능 구성의 본원발명은 사용편의성 및 기능성을 향상되게 한 것임은 물론, 전자액자 디스플레이방식의 다변화로서 소비자의 호기심 또한 충족되게하여, 활용성과 판매효율성 증대되게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의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의 이실시예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의 삼실시예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첨부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스마트단말(1)과,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2)과, 클라우드서버(3)와, 전자액자(4)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사용자 스마트단말(1)은, 음성 및 화상통화, 문자전송, 인터넷 검색, 영상 및 각종 정보데이터의 송,수신, 디엠비(DMB), MP3, 게임, 팩스, 이메일, 그리고, 내장형 카메라에 의한 촬영기능 등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통상의 스마트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사용자 스마트단말(1)을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사용자 스마트단말(1)에, 후술하는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2)을 다운 받아 설치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 편지전용 어플리케이션(2)은, 전술한 사용자 스마트단말(1), 예컨대, 스마트단말 내장형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사용자 취향에 맞추어 실시간 편집 및 저장하고, 그와 같이, 편집 저장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후술하는 클라우드 서버(3)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와 같은,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2)은,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스마트단말(1)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중, 편집을 원하는 촬영데이터를 불러오는 촬영데이터 선택모드(21)와, 상기 선택된 촬영데이터를 자신의 취향게 맞게 편집, 예컨대, 문자입력, 색상보정, 배경수정, 이미지 합성 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촬영데이터 편집모드(22)와, 상기 편집된 촬영데이터를 저장하는 촬영데이터 저장모드(23)와, 상기 저장된 촬영데이터를 후술하는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촬영데이터 전송모드(24)로 구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1)는, 전술한,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2)에 의해 편집된 촬영데이터를 온라인을 통해 전송받고, 그 전송받은 촬영데이터를 전자액자용 무안경 입체이미지로 컨버팅처리하여 후술한 전자액제로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 일종의 서비스 운영자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이와 같은, 클라우드 서버를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변환 컨버터(31)를 더 마련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클라우드 서버(1)로 마련되는 영상변환 컨버터(31)는, 2D 평면이미지 또는 영상을, 무안경 3D 입체이미지 또는 입체영상으로, 변환되게 하는 일반적 기능의 프로그램, 예컨대, 다양한 입력포맷과 출력포맷을 지원하고, 변환출력되는 무안경 3D 입체이미지 또는 입체영상을 컴퓨터, 티브이, 디지털액자 등의 디스플레이설비와 광범위하게 호환되며, 기타, 3D포맷의 자유지정, 원하는 3D프레임의 크기 선택, 그리고, 시각의 깊이와 수치변경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적 2D-3D 컨버터 프로그램과 상이함이 없는 것으로, 그에 대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기 한다.
또한, 상기 전자액자(4)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3)에 의해 컨버팅 처리된 촬영데이터, 예컨대, 편집 변환된 무안경 3D 입체이미지 또는 입체영상을 온라인을 연결을 통해 전송제공받고, 그 제공받은 촬영데이터를 입력저장하며, 재차, 입력저장된 촬영데이터를 액정화면(41)으로 디스플레이되게 하여 출력하는 일반적 형태의 디지털 액자구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와 같은, 구성의 전자액자(4)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화면(41)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촬영이미지의 선택적 변환을 위해, 손터치 제어방식을 갖는 메뉴모듈(42)을 더 마련하고, 이러한, 메뉴모듈(42)을 이용한 선택적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촬영데이터를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적 구성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은 시공간에 구애받음 없이, 사용자 스마트단말(1)에 의해 촬영 편집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무안경 3D 입체이미지 또는 입체영상으로 자유롭게 컨버팅처리하여, 전자액자(4)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것으로, 그에 따른 일련의 사용관계 및 구성간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상의 앱스토어 등을 통해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2)을 다운받아, 이를, 사용자 스마트단말(1)에 설치토록 한다.
이어, 사용자 스마트단말(1)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2)에 마련된 촬영데이터 선택모드(21)와, 촬영데이터 편집모드(22), 그리고, 촬영데이터 저장모드(23)를 통해, 사용자 취향에 맞게 편집 하여 저장하고, 상기 편집 저장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재차 촬영데이터 전송모드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 전송처리한다.
이에, 상기 클라우드 서버(3)로 전송처리된 촬영데이터는, 그 클라우드 서버(3)에 마련된 영상변환 컨버터(31)에 의해 전자액자용 무안경 입체이미지로 컨버팅처리되고, 이와 같이, 컨버팅 처리된 촬영데이터는, 연속하여, 온라인을 통해 전자액자(4)로 전송 제공되어, 액정화면(41)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로 출력되는 것인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그 사용관계를 갖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의 이실시 구성으로서, 이와 같은,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의 구성에 있어, 사용자 스마트단말(1)에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2)을 다운받아 설치토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성으로하여, 여기에, 편집된 촬영데이터를 무안경 입체이미지로 컨버팅처리하는 자동영상변환 데몬프로그램(11)을 더 다운받아 설치토록하며, 이에, 상기 설치된 자동영상변환 데몬프로그램(11)에 의해 변환된 촬영데이터를 별도 클라우드서버(3)를 경유함 없이, 온라인을 통해 전자액자(4)로 직접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게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르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의 삼실시 구성으로서, 이와 같은, 삼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의 구성에 있어, 전자액자(4)에, 자동영상변환 데몬프로그램(43)을 설치 마련되도록 하여, 사용자 스마트단말(1)에 의해 촬영된 촬영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3)를 경유함 없이, 상기 사용자 스마트단말(1)로 부터 온라인을 통해 전자액자(4)로 직접 전송되도록 하며, 이에, 상기 사용자 스마트단말(1)로 부터 전송받은 촬영데이터를, 상기 자동영상변환 데몬프로그램(43)에 의해 무안경 입체이미지로 컨버팅처리하여 전자액자(4)의 액정화면(41)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게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이러한 삼시실시예에 있어, 자동영상변환 데몬프로그램(43)은, 전술한 이실시예의 자동영상변환 데몬프로그램(11)과 동일기능의 프로그램으로서, 이에, 그 명칭은 동일하게 부여하고, 단지, 구성요소의 식별을 위해 부호만을 달리하여 표기한 것임.
1 : 사용자 스마트단말 2 :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
3 : 클라우드 서버 4 : 전자액자
11,43 : 자동영상변환 데몬프로그램 21 : 촬영데이터 선택모드
22 : 촬영데이터 편집모드 23 : 촬영데이터 저장모드
24 : 촬영데이터 전송모드 31 : 영상변환 컨버터
41 : 액정화면 42 : 메뉴모듈

Claims (5)

  1. 사용자 스마트단말(1)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스마트단말(1)에 다운설치되는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2);
    상기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2)에 의해 편집된 촬영데이터를 온라인을 통해 전송받고, 이를 영상변환 컨버터(31)에 의해 전자액자용 무안경 입체이미지로 컨버팅처리하는 클라우드서버(3);
    상기 컨버팅 처리된 촬영데이터를 온라인을 통해 전송제공받고, 제공받은 촬영데이터를 입력,저장하며, 저장된 촬영데이터를 액정화면(41)으로 출력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전자액자(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2)에 의해 편집되는 촬영데이터는, 사용자 스마트단말(1)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미지 또는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의 촬영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단말(1)은, 카메라 편집전용 어플리케이션(2)에 의해 편집된 촬영데이터를 무안경 입체이미지로 컨버팅처리하는 자동영상변환 데몬프로그램(11)을 더 다운받아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자동영상변환 데몬프로그램(11)에 의해 변환된 촬영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3)를 경유함 없이, 온라인을 통해 전자액자(4)로 직접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액자(4)는, 손터치 제어방식을 갖는 메뉴모듈(42)을 더 마련하고, 상기 메뉴모듈(42)을 이용한 선택적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촬영데이터를 변환되게 함을 특징으로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액자(4)는, 자동영상변환 데몬프로그램(43)을 설치 마련하고;
    사용자 스마트단말(1)에 의해 촬영된 촬영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3)를 경유함 없이, 상기 스마트단말(1)로 부터 온라인을 통해 전자액자(4)로 직접 전송받으며;
    상기 사용자 스마트단말(1)로 부터 전송받은 촬영데이터를, 상기 자동영상변환 데몬프로그램(43)에 의해 무안경 입체이미지로 컨버팅처리하여 전자액자(4)의 액정화면(41)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게 함을 특징으로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
KR1020150145189A 2015-10-19 2015-10-19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 KR20170045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189A KR20170045533A (ko) 2015-10-19 2015-10-19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189A KR20170045533A (ko) 2015-10-19 2015-10-19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533A true KR20170045533A (ko) 2017-04-27

Family

ID=5870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189A KR20170045533A (ko) 2015-10-19 2015-10-19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55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5745A3 (zh) * 2018-12-29 2020-08-06 未来科技(襄阳)有限公司 裸眼 3d 图像的显示方法及显示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5745A3 (zh) * 2018-12-29 2020-08-06 未来科技(襄阳)有限公司 裸眼 3d 图像的显示方法及显示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44492A1 (zh) 一种投屏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10182187B2 (en) Composing real-time processed video content with a mobile device
KR101874895B1 (ko) 증강 현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4145474A (zh) 引导式图像拍摄
CN111476911A (zh) 虚拟影像实现方法、装置、存储介质与终端设备
CN105580013A (zh) 通过搜索多个用户评论并将其覆盖到内容中来浏览视频
KR101949832B1 (ko) 사진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및 단말 장치
CN109167937B (zh) 视频发布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026992B (zh) 多媒体资源预览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05657254A (zh) 一种图像合成方法及装置
JP6445707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2011124966A (ja) マルチメディアベースのデータ伝送を行う装置及び関連方法
CN106134189A (zh) 图像处理装置、摄像装置、图像处理方法及程序
KR20150144264A (ko) 태그 작성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13747199A (zh) 视频编辑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CN112785672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580056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50057707A (ko) 파일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5183638A1 (en) Selectively adding content to user group host
JP2006344134A (ja) 通信端末用画像作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サービス
CN113467663A (zh) 界面配置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US2015034746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based searching
KR20170045533A (ko) 무안경 입체컨텐츠 컨버팅 전자액자 시스템
KR20140097668A (ko) 온라인 기반의 모바일 포토북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6521471A (ja) マルチモーダルセンサからの混合メディ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