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861B1 - 오일 하역 장치 및 오일 하역 방법 - Google Patents

오일 하역 장치 및 오일 하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861B1
KR101349861B1 KR1020120044722A KR20120044722A KR101349861B1 KR 101349861 B1 KR101349861 B1 KR 101349861B1 KR 1020120044722 A KR1020120044722 A KR 1020120044722A KR 20120044722 A KR20120044722 A KR 20120044722A KR 101349861 B1 KR101349861 B1 KR 101349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tugboat
oil
side end
thermal da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486A (ko
Inventor
임선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4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86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1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오일 하역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유를 시추하는 제1 선박과, 카고 탱크를 구비하며, 제1 선박과 연결된 제2 선박, 및 제2 선박과 연결되어 제2 선박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1 예인선박을 포함하고, 제1 선박에는 화염을 형성하는 버너가 제1 선박의 측단에 설치되어 열적 피해 영역을 형성하고, 제1 예인선박이 제2 선박을 열적 피해 영역에서 회피하도록 예인하는 오일 하역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오일 하역 장치 및 오일 하역 방법{OIL OFFLOADING SYSTEM AND OIL OFFLOADING METHOD}
본 발명은 오일 하역 장치 및 오일의 하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해저 시추에는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일 지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시추 작업을 하는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폼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첨단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할 수 있는 시추선(드릴십, drillship)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시추선의 작업은 데크 바닥에 설치된 적치대로부터 시추용 파이프들(라이저, 드릴 파이프 등)을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드릴플로어(drillfloor)로 이동시키고, 데릭(derrick)을 사용하여 시추용 파이프를 세워 시추선의 중앙에 형성된 문풀(moonpool)을 통해 하향 전진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라이저가 먼저 해저 바닥까지 전진하여 설치되면 라이저 내부로 드릴 파이프가 이동하고 해저 지층을 천공하여 유정까지 하향 전진함으로써 유정에 저장되어 있는 해저 자원을 시추한다. 해저 바닥에는 이상 고압이 드릴 파이프를 타고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는 분출 방지용 스택(blow out preventor, BOP)이 설치된다.
전술한 오일 시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버너 붐 또는 플래어 타워를 이용하여 소각하게 된다. 그러나 버너 붐 또는 플레어 타워에서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열에 의한 피해를 차단하기 위해서 해수를 이용한 냉각 및 워터 커튼을 생성하여 주변 시설을 보호한다.
그러나 텐덤(tandem) 하역(offloading) 방식으로 원유를 하역할 경우에는 유조선에 열이 전달되어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조선에 가해지는 열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오일 하역 시스템 및 오일 하역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유를 시추하는 제1 선박과, 카고 탱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선박과 연결된 제2 선박, 및 상기 제2 선박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선박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1 예인선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선박에는 화염을 형성하는 버너가 설치되어 열적 피해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예인선박은 상기 제2 선박을 상기 열적 피해 영역에서 회피하도록 예인하는 오일 하역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예인선박은 상기 제2 선박의 후단에 호저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선박의 측단에는 호저를 매개로 제2 예인선박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박의 측단에는 상기 제2 선박과의 연결을 위한 호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호저는 제2 선박의 측단 또는 후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박과 상기 제2 선박은 복수 개의 호저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 선박의 일측 측단의 선수, 선미, 중간에 각각 호저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선박의 측단 또는 후단의 중앙에 상기 호저들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박의 선단에는 상기 제2 선박과의 연결을 위한 호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호저는 상기 제2 선박의 측단 또는 후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유를 시추하는 제1 선박과 제1 선박에서 원유를 공급받아 이송하는 제2 선박을 이용하여 오일을 하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박과 제2 선박을 연결하는 제2 선박 연결단계와, 상기 제2 선박을 제1 예인선박과 연결하는 제1 예인선박 연결단계, 및 상기 제1 예인선박을 이용하여 제2 선박의 위치를 제어하면서 원유를 이동시키는 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선박에는 화염을 형성하는 버너가 상기 제1 선박의 측단에 설치되어 열적 피해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예인선박이 상기 제2 선박을 상기 열적 피해 영역에서 회피하도록 예인하는 오일 하역 방법이 제공된다.
버너에서 발생하는 열이 유조선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오일의 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은 제1 선박(10), 제2 선박(20), 제1 예인선박(31), 및 제2 예인선박(35)을 포함한다.
제1 선박(10)은 시추선(drillship, 드릴십)이고, 제2 선박(20)은 유조선(tanker)일 수 있다. 제1 예인선박(31)과 제2 예인선박(35)은 제2 선박(20)과 연결되어 제2 선박(20)이 설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1 선박(10)은 크레인(crane), 데릭(derrick), 문풀(moonpool) 등 공지의 시추 설비를 갖춘 선박으로서 드릴 파이프를 이용하여 해저 지층을 천공함으로써 유정에 저장되어 있는 해저 자원(오일)을 시추한다. 제1 선박(10)은 시추 설비 이외에 임시저장 탱크, 및 버너(12)를 구비한다.
시추 설비에서 시추한 오일은 원유와 가스 및 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가스는 버너(12)에서 연소된다. 버너(12)는 가스를 연소하여 화염(13)을 형성하며, 화염(13)에 의하여 버너 주변에 열적 피해 영역(15)이 형성된다.
제2 선박(20)은 카고 탱크(21)를 구비한 대형 선박으로서 제1 선박(10)으로부터 원유를 제공받는다. 이를 위해 연결관(45)이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에 된다.
또한,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은 호저(hawser)(41)에 의하여 연결되며, 제2 선박(20)과 제1 예인선박(31)도 호저(42)에 의하여 연결된다. 호저(41)는 제1 선박(10)의 후단과 제2 선박(20)의 선단에 연결되며, 호저(42)는 제2 선박(20)의 후단과 제1 예인선박(30)의 선단에 연결된다.
또한, 제2 선박(20)은 호저(43)를 통해서 제2 예인선박(35)과 연결되는 바, 호저(43)는 제2 선박(20)의 측단과 제2 예인선박(35)의 후단에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방법은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을 호저(41)로 연결하는 제2 선박 연결 단계(S101)와, 제2 선박(20)을 제1 예인선박(31)과 호저(42)로 연결하는 제1 예인선박 연결 단계(S102), 및 제1 예인선박(31)을 이용하여 제2 선박(20)의 위치를 제어하면서 원유를 이동시키는 위치 제어 단계(S103)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선박(10)에는 화염(13)을 형성하는 버너(12)가 제1 선박(10)의 측단에 설치되어 열적 피해 영역(15)을 형성하고, 위치 제어 단계(S103)에서는 제1 예인선박(31)이 제2 선박(20)을 열적 피해 영역(15)에서 회피하도록 제어한다.
제1 예인선박 연결 단계(S102)는 제2 선박(20)의 후미에 제1 예인선박(31)을 호저(42)로 연결하는 단계와 제2 선박(20)의 측단에 제2 예인선박(35)을 호저(43)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예인선박(31)과 제2 예인선박(35)에 의하여 제2 선박(20)은 2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예인되어 위치가 제어된다.
또한, 위치 제어 단계(S103)에서는 제1 선박(10)의 길이방향 중심선(DL1)에 대하여 제2 선박(20)의 길이 방향 중심선(DL2)이 설정된 경사각(θ1)만큼 빗각으로 경사지도록 제2 선박(20)의 위치를 제어한다. 이 때, 제2 선박(20)은 버너(12)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선박(20)은 열적 피해 영역(15)에서 벗어나게 되며,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의 연결 작업 및 제1 선박(10)에서 제2 선박(20)으로 원유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은 제1 선박(10), 제2 선박(20), 제1 예인선박(30)을 포함한다.
제1 선박(10)은 시추선(drillship, 드릴십)이고, 제2 선박(20)은 유조선(tanker)일 수 있다. 제1 예인선박(30)은 제2 선박(20)과 연결되어 제2 선박(20)이 설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1 선박(10)은 가스를 연소하는 버너(12)를 구비하여 화염(13)을 형성하며, 화염(13)에 의하여 버너 주변에 열적 피해 영역(15)이 형성된다. 버너(12)는 제1 선박(10)의 선미측 일측 측단에 설치된다. 제2 선박(20)은 카고 탱크(21)를 구비한 대형 선박으로서 제1 선박(10)으로부터 원유를 제공받는다.
또한,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은 호저(hawser)(52)에 의하여 연결되며, 호저(52)는 제1 선박(10)의 측단과 제2 선박(20)의 측단에 연결된다. 제1 선박(10) 및 제2 선박(20)에는 3개의 호저(52)가 연결되는 바, 호저들(52)의 일측 단부는 제1 선박(10)의 일측 측단 중앙과 선수측, 선미측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호저들(52)의 타측 단부는 제2 선박에서 제1 선박과 마주하는 측단 중앙에 연결 고정된다.
한편, 호저(53)는 제2 선박(20)의 측단과 제1 예인선박의 후단에 고정된다. 호저(53)는 제2 선박(20)에서 호저(52)가 연결된 측단의 반대편 측단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방법은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을 호저(52)로 연결하는 제2 선박 연결 단계와, 제2 선박(20)을 제1 예인선박(30)과 호저(53)로 연결하는 제1 예인선박 연결 단계, 및 제1 예인선박(30)을 이용하여 제2 선박(20)의 위치를 제어하면서 원유를 이동시키는 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선박(10)에는 화염(13)을 형성하는 버너(12)가 제1 선박(10)의 측단에 설치되어 열적 피해 영역(15)을 형성하고, 위치 제어 단계에서는 제1 예인선박(30)이 제2 선박(20)을 열적 피해 영역(15)에서 회피하도록 제어한다.
제2 선박 연결 단계에서는 제1 선박(10)의 측단과 제2 선박(20)의 측단에 호저(52)를 연결한다. 또한, 제1 선박(10)의 일측 측단에서 선수, 선미, 중앙에 호저(52)를 각각 연결하고, 호저들(52)을 제2 선박(20)의 측단 중앙에 연결한다.
제1 예인선박 연결 단계에서는 제2 선박(20)의 측단과 제1 예인선박의 후단에 호저(53)를 고정한다.
또한, 위치 제어 단계에서는 제1 예인선박(30)이 제2 선박(20)의 측단을 끌어 당겨서, 제1 선박(10)의 길이방향과 제2 선박(20)의 길이 방향이 평행하도록 제2 선박(20)의 위치를 제어하고, 제2 선박(20)은 제1 선박(10)에서 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제2 선박(20)은 버너(12)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선박(20)은 열적 피해 영역(15)에서 벗어나게 되며,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의 연결 작업 및 제1 선박(10)에서 제2 선박(20)으로 원유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은 제1 선박(10), 제2 선박(20), 제1 예인선박(30)을 포함한다.
제1 선박(10)은 시추선(drillship, 드릴십)이고, 제2 선박(20)은 유조선(tanker)일 수 있다. 제1 예인선박(30)은 제2 선박(20)과 연결되어 제2 선박(20)이 설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1 선박(10)은 가스를 연소하는 버너(12)를 구비하여 화염(13)을 형성하며, 화염(13)에 의하여 버너 주변에 열적 피해 영역(15)이 형성된다. 버너(12)는 제1 선박(10)의 선미측 일측 측단에 설치된다. 제2 선박(20)은 카고 탱크(21)를 구비한 대형 선박으로서 제1 선박(10)으로부터 원유를 제공받는다.
또한,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은 호저(hawser)(52)에 의하여 연결되며, 호저(52)는 제1 선박(10)의 측단과 제2 선박(20)의 후단에 연결된다.
제1 선박(10) 및 제2 선박(20)에는 3개의 호저(52)가 연결되는 바, 호저들(52)의 일측 단부는 제1 선박(10)의 일측 측단 중앙과 선수측, 선미측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호저들(52)의 타측 단부는 제2 선박의 후단 중앙에 연결 고정된다. 한편, 호저(53)는 제2 선박(20)의 선단과 제1 예인선박(30)의 후단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방법은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을 호저(52)로 연결하는 제2 선박 연결 단계와, 제2 선박(20)을 제1 예인선박(30)과 호저(53)로 연결하는 제1 예인선박 연결 단계, 및 제1 예인선박(30)을 이용하여 제2 선박(20)의 위치를 제어하면서 원유를 이동시키는 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선박(10)에는 화염(13)을 형성하는 버너(12)가 제1 선박(10)의 측단에 설치되어 열적 피해 영역(15)을 형성하고, 위치 제어 단계에서는 제1 예인선박(30)이 제2 선박(20)을 열적 피해 영역(15)에서 회피하도록 제어한다.
제2 선박 연결 단계에서는 제1 선박(10)의 측단과 제2 선박(20)의 후단에 호저(52)를 연결한다. 또한, 제1 선박(10)의 일측 측단에서 선수, 선미, 중앙에 호저(52)를 각각 연결하고, 호저들(52)을 제2 선박(20)의 후단 중앙에 연결한다.
제1 예인선박 연결 단계에서는 제2 선박(20)의 선단과 제1 예인선박의 후단에 호저(53)를 고정한다.
또한, 위치 제어 단계에서는 제1 예인선박(30)이 제2 선박(20)의 선단을 끌어 당겨서, 제1 선박(10)의 길이방향과 제2 선박(20)의 길이 방향이 수직하도록 제2 선박(20)의 위치를 제어하고, 제2 선박(20)은 제1 선박(10)에서 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제2 선박(20)은 버너(12)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선박(20)은 열적 피해 영역(15)에서 벗어나게 되며,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의 연결 작업 및 제1 선박(10)에서 제2 선박(20)으로 원유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은 제1 선박(10), 제2 선박(20), 제1 예인선박(30)을 포함한다.
제1 선박(10)은 시추선(drillship, 드릴십)이고, 제2 선박(20)은 유조선(tanker)일 수 있다. 제1 예인선박(30)은 제2 선박(20)과 연결되어 제2 선박(20)이 설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1 선박(10)은 가스를 연소하는 버너(12)를 구비하여 화염(13)을 형성하며, 화염(13)에 의하여 버너 주변에 열적 피해 영역(15)이 형성된다. 버너(12)는 제1 선박(10)의 선미측 일측 측단에 설치된다. 제2 선박(20)은 카고 탱크(21)를 구비한 대형 선박으로서 제1 선박(10)으로부터 원유를 제공받는다.
또한,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은 호저(hawser)(62)에 의하여 연결되며, 호저(62)는 제1 선박(10)의 선단과 제2 선박(20)의 후단에 연결된다. 한편, 호저(63)는 제2 선박(20)의 선단과 제1 예인선박(30)의 후단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방법은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을 호저(62)로 연결하는 제2 선박 연결 단계와, 제2 선박(20)을 제1 예인선박(30)과 호저(63)로 연결하는 제1 예인선박 연결 단계, 및 제1 예인선박(30)을 이용하여 제2 선박(20)의 위치를 제어하면서 원유를 이동시키는 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선박(10)에는 화염(13)을 형성하는 버너(12)가 제1 선박(10)의 측단에 설치되어 열적 피해 영역(15)을 형성하고, 위치 제어 단계에서는 제1 예인선박(30)이 제2 선박(20)을 열적 피해 영역(15)에서 회피하도록 제어한다.
제2 선박 연결 단계에서는 제1 선박(10)의 선단과 제2 선박(20)의 후단에 호저(62)를 연결한다. 제1 예인선박 연결 단계에서는 제2 선박(20)의 선단과 제1 예인선박의 후단에 호저(63)를 고정한다.
또한, 위치 제어 단계에서는 제1 예인선박(30)이 제2 선박(20)의 선단을 끌어 당겨서, 제1 선박(10)의 길이방향과 제2 선박(20)의 길이 방향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제2 선박(20)의 위치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2 선박(20)은 열적 피해 영역(15)에서 벗어나게 되며,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의 연결 작업 및 제1 선박(10)에서 제2 선박(20)으로 원유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은 제1 선박(10), 제2 선박(20), 제1 예인선박(30)을 포함한다.
제1 선박(10)은 시추선(drillship, 드릴십)이고, 제2 선박(20)은 유조선(tanker)일 수 있다. 제1 예인선박(30)은 제2 선박(20)과 연결되어 제2 선박(20)이 설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1 선박(10)은 가스를 연소하는 버너(12)를 구비하여 화염(13)을 형성하며, 화염(13)에 의하여 버너 주변에 열적 피해 영역(15)이 형성된다. 제2 선박(20)은 카고 탱크(21)를 구비한 대형 선박으로서 제1 선박(10)으로부터 원유를 제공받는다. 제1 선박(10)의 선미측 일측 측단에는 화염(13)을 형성하는 버너(12)가 설치되고, 제1 선박(10)의 타측 측단에는 화염(17)을 형성하는 버너(1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선박(10)의 양쪽 측단에 버너(12, 16)가 형성되면 보다 신속하게 가스를 소비할 수 있으며, 화염(13, 17)의 크기가 작아져서 열적 피해 영역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은 호저(hawser)(62)에 의하여 연결되며, 호저(62)는 제1 선박(10)의 선단과 제2 선박(20)의 후단에 연결된다. 한편, 호저(63)는 제2 선박(20)의 선단과 제1 예인선박(30)의 후단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방법은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을 호저(62)로 연결하는 제2 선박 연결 단계와, 제2 선박(20)을 제1 예인선박(30)과 호저(63)로 연결하는 제1 예인선박 연결 단계, 및 제1 예인선박(30)을 이용하여 제2 선박(20)의 위치를 제어하면서 원유를 이동시키는 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선박(10)에는 화염(13)을 형성하는 버너(12, 16)가 제1 선박(10)의 양쪽 측단에 설치되어 열적 피해 영역(15, 18)을 형성하고, 위치 제어 단계에서는 제1 예인선박(30)이 제2 선박(20)을 열적 피해 영역(15, 18)에서 회피하도록 제어한다.
제2 선박 연결 단계에서는 제1 선박(10)의 선단과 제2 선박(20)의 후단에 호저(62)를 연결한다. 제1 예인선박 연결 단계에서는 제2 선박(20)의 선단과 제1 예인선박의 후단에 호저(63)를 고정한다.
또한, 위치 제어 단계에서는 제1 예인선박(30)이 제2 선박(20)의 선단을 끌어 당겨서, 제1 선박(10)의 길이방향과 제2 선박(20)의 길이 방향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제2 선박(20)의 위치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2 선박(20)은 열적 피해 영역(15)에서 벗어나게 되며,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의 연결 작업 및 제1 선박(10)에서 제2 선박(20)으로 원유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시스템은 제1 선박(10), 제2 선박(20), 제1 예인선박(30)을 포함한다.
제1 선박(10)은 시추선(drillship, 드릴십)이고, 제2 선박(20)은 유조선(tanker)일 수 있다. 제1 예인선박(30)은 제2 선박(20)과 연결되어 제2 선박(20)이 설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1 선박(10)은 가스를 연소하는 버너(12)를 구비하여 화염(13)을 형성하며, 화염(13)에 의하여 버너 주변에 열적 피해 영역(15)이 형성된다. 제1 선박(10)의 선미측 일측 측단에는 화염(13)을 형성하는 버너(12)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선박(20)은 카고 탱크(21)를 구비한 대형 선박으로서 제1 선박(10)으로부터 원유를 제공받는다.
또한,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은 호저(hawser)(62)에 의하여 연결되며, 호저(62)는 제1 선박(10)의 선단과 제2 선박(20)의 측단에 연결된다. 한편, 호저(63)는 제2 선박(20)의 측단과 제1 예인선박(30)의 후단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일 하역 방법은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을 호저(62)로 연결하는 제2 선박 연결 단계와, 제2 선박(20)을 제1 예인선박(30)과 호저(63)로 연결하는 제1 예인선박 연결 단계, 및 제1 예인선박(30)을 이용하여 제2 선박(20)의 위치를 제어하면서 원유를 이동시키는 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제1 선박(10)에는 화염(13)을 형성하는 버너(12, 16)가 제1 선박(10)의 일측 측단에 설치되어 열적 피해 영역(15)을 형성하고, 위치 제어 단계에서는 제1 예인선박(30)이 제2 선박(20)을 열적 피해 영역(15)에서 회피하도록 제어한다.
제2 선박 연결 단계에서는 제1 선박(10)의 선단과 제2 선박(20)의 일측 측단에 호저(62)를 연결한다. 제1 예인선박(30) 연결 단계에서는 제2 선박(20)의 타측 측단과 제1 예인선박의 후단에 호저(63)를 고정한다. 여기서 호저(63)는 제2 선박(20)에서 제1 선박(10)을 향하는 측단과 반대방향을 향하는 측단에 연결된다.
또한, 위치 제어 단계에서는 제1 예인선박(30)이 제2 선박(20)의 측단을 끌어 당겨서, 제1 선박(10)의 길이방향과 제2 선박(20)의 길이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제2 선박(20)의 위치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2 선박(20)은 열적 피해 영역(15)에서 벗어나게 되며, 제1 선박(10)과 제2 선박(20)의 연결 작업 및 제1 선박(10)에서 제2 선박(20)으로 원유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제1 선박 12, 16: 버너
13, 17: 화염 15, 18: 열적 피해 영역
20: 제2 선박 21: 카고 탱크
30: 제1 예인선박 31: 제1 예인선박
35: 제2 예인선박
41, 42, 43, 45, 52, 53, 62, 63: 호저

Claims (6)

  1. 원유를 시추하는 제1 선박;
    카고 탱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선박과 연결된 제2 선박; 및
    상기 제2 선박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선박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1 예인선박;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선박에는 화염을 형성하는 버너가 설치되어 열적 피해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예인선박은 상기 제2 선박을 상기 열적 피해 영역에서 회피하도록 예인하며,
    상기 제1 예인선박은 상기 제2 선박에 호저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선박에는 호저를 매개로 제2 예인선박이 연결 설치된 오일 하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예인선박은 상기 제2 선박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예인선박은 제2 선박의 측단에 연결 설치된 오일 하역 장치.
  3. 원유를 시추하는 제1 선박;
    카고 탱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선박과 연결된 제2 선박; 및
    상기 제2 선박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선박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1 예인선박;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선박에는 화염을 형성하는 버너가 설치되어 열적 피해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예인선박은 상기 제2 선박을 상기 열적 피해 영역에서 회피하도록 예인하며,
    상기 제1 선박의 측단 또는 선단에는 상기 제2 선박과의 연결을 위한 호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호저는 제2 선박의 측단 또는 후단에 고정 설치된 오일 하역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박과 상기 제2 선박은 복수 개의 호저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 선박의 일측 측단의 선수, 선미, 중간에 각각 호저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제2 선박의 측단 또는 후단의 중앙에 상기 호저들이 고정 설치된 오일 하역 장치.
  5. 삭제
  6. 원유를 시추하는 제1 선박과 제1 선박에서 원유를 공급받아 이송하는 제2 선박을 이용하여 오일을 하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박과 제2 선박을 연결하는 제2 선박 연결단계;
    상기 제2 선박을 제1 예인선박과 연결하는 제1 예인선박 연결단계; 및
    상기 제1 예인선박을 이용하여 제2 선박의 위치를 제어하면서 원유를 이동시키는 위치 제어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선박에는 화염을 형성하는 버너가 상기 제1 선박의 측단에 설치되어 열적 피해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예인선박이 상기 제2 선박을 상기 열적 피해 영역에서 회피하도록 예인하는 오일 하역 방법.
KR1020120044722A 2012-04-27 2012-04-27 오일 하역 장치 및 오일 하역 방법 KR101349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722A KR101349861B1 (ko) 2012-04-27 2012-04-27 오일 하역 장치 및 오일 하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722A KR101349861B1 (ko) 2012-04-27 2012-04-27 오일 하역 장치 및 오일 하역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486A KR20130121486A (ko) 2013-11-06
KR101349861B1 true KR101349861B1 (ko) 2014-01-10

Family

ID=4985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722A KR101349861B1 (ko) 2012-04-27 2012-04-27 오일 하역 장치 및 오일 하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8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928B1 (ko) * 2014-03-21 2015-06-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버너 붐 제어 장치 및 버너 붐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253B1 (ko) * 1998-01-30 2006-04-12 스타토일 에이에스에이 Lng를 생산, 저장 및 하역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253B1 (ko) * 1998-01-30 2006-04-12 스타토일 에이에스에이 Lng를 생산, 저장 및 하역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486A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3838B1 (en) Turret-less floating production ship
CA2593874A1 (en) Spar-type offshore platform for ice flow conditions
JP2002537171A (ja) 浮遊式海洋構造物
US8534213B2 (en) Skid shoe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JP2017532250A (ja) 浮体式炭化水素貯蔵プラントおよび/または浮体式炭化水素処理プラントの外殻として用いる船体、同船体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同船体を備える船舶、ならびに同船体を有する同船舶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101349861B1 (ko) 오일 하역 장치 및 오일 하역 방법
KR101369480B1 (ko) 극지용 해상작업선박
US8690483B2 (en) Method for assembling tendons
KR101349860B1 (ko) 오일 언로딩 장치
KR20120035990A (ko) 선박
KR101335253B1 (ko) 부유식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장치와 부설방법
KR101435389B1 (ko) 버너 붐 및 오일 처리 시스템
KR101358144B1 (ko) 부유식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장치
KR101358121B1 (ko)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설시스템
KR20150004082A (ko) 살수용 핸드레일을 구비한 시추선
KR20110120608A (ko) 해양 플랫폼용 심해 냉각수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해양 플랫폼
KR101695886B1 (ko) 소화수 모니터가 구비된 시추선
KR20160000192U (ko) 시추선
KR101386045B1 (ko) 오일 처리 시스템
KR20140058998A (ko) 통 포스트가 구비된 드릴쉽의 드릴 플로어 배치구조
KR20160000496U (ko) 드릴쉽
KR101580906B1 (ko) 버너 붐
Hendriks et al. Magellan class drillship: Designing the rig of the future
KR102225570B1 (ko) 라이저 지지장치
KR101751846B1 (ko) 시추작업 지원선 장착형 시추 해양구조물 및 그 시추작업 지원선 장착형 시추 해양구조물의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