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264B1 - Nfc-qr 코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Nfc-qr 코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264B1
KR101349264B1 KR1020120084335A KR20120084335A KR101349264B1 KR 101349264 B1 KR101349264 B1 KR 101349264B1 KR 1020120084335 A KR1020120084335 A KR 1020120084335A KR 20120084335 A KR20120084335 A KR 20120084335A KR 101349264 B1 KR101349264 B1 KR 101349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c
code
printed
printing step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241A (ko
Inventor
정민훈
조규진
강휘원
Original Assignee
(주) 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루 filed Critical (주) 파루
Priority to KR1020120084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26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1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triggering distinct operating modes or functions dependent on the strength of an energy or interrogation field in the proximity of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G06K19/1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the marking being sensed by radiation
    • G06K19/145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the marking being sensed by radiation at least one of the further markings being adapted for galvanic or wireless sensing, e.g. an RFID tag with both a wireless and an optical interface or memory, or a contact type smart card with ISO 7816 contacts and an optical interface or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FC-QR 코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텐션 컨트롤러를 통해서 텐션이 유지된 상태의 필름이 공급되는 필름 공급 단계(S510), 공급된 필름을 이용하여 단말기에서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위한 NFC 신호를 받는 안테나 및 인가되는 NFC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가 발생되는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 전극의 패턴이 인쇄되는 NFC 인식부 인쇄 단계(S520) 및 상품의 정보를 갖는 QR 코드의 패턴이 인쇄되는 QR 코드부 인쇄 단계(S530)로 이루어지는 NFC-QR 코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NFC-QR 코드 제조 방법 {A method for NFC-QR code.}
본 발명은 NFC-QR 코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단말기에서 감지되는 QR 코드에 해당하는 QR코드 인식 어플을 자동으로 실행시킴으로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NFC를 이용한 QR 코드 자동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품의 정보를 저장되어 있고 NFC 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NFC-QR 코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는 사각형의 가로세로 격자무늬 패턴으로 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2차원 형식의 코드이다. 기존의 바코드 형식에 비해서 종횡의 정보를 가져서 더 많은 숫자 데이터나 문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디지털 카메라 또는 전용 스캐너로 QR 코드를 읽어들여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QR 코드는 숫자는 최대 7089자, 문자(ASCII식) 최대 4296자, 이진 8비트 최대 2953바이트, 및 한자 등 아시아 문자의 경우 최대 1817자를 담을 수 있다.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는 RFID 방식 중 하나로서,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비접촉 인프라 구조와 호환되는 NFC 집적 회로(I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NFC IC 칩은 전형적으로 2개의 루프 안테나가 서로 근접 위치하여 자기장 유도를 이용한다. 이 기술은 약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0~20cm 거리 내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지만 기존의 QR 코드나 NFC의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각각 QR 코드와 NFC IC 칩에 해당되는 인식 어플의 작동시켜야 하는 동작을 통해서만 각각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동작된 인식 어플을 통해서 읽어 들이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은 전혀 없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 특허 2010-0085887호 ("큐알코드를 이용한 숲길안내 시스템 및 안내방법", 선행기술 1)는 QR 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및 CDMA 또는 WI-FI 방식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인식된 QR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숲길안내에 대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 공개 특허 2011-0063405호("큐알코드와 위험분석을 이용한 석면종합관리시스템", 선행기술 2)도 QR 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 및 CDMA 또는 WI-FI 방식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인식된 QR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석면 자제의 종류나, 관리상태 등에 따른 석면 위험 관리 분석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 및 2는 CDMA 또는 WI-FI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QR 코드 인식을 위한 QR 코드 인식 어플을 사용자가 동작시켜줘야 하는 불편함은 개선되어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0085887호 (공개일자 2010.07.29) 한국공개특허 0063405호 (공개일자 2011.06.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QR 코드나 NFC 사용을 위하여 사용자가 각각의 인식 어플을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NFC-QR 코드를 통해서 NFC 송신부가 구비된 단말기와 NFC-QR 코드 간에 접촉만으로 자동으로 QR 코드 인식 어플이 실행되고, 이를 통해서 QR 코드의 정보를 읽어 들이는 NFC를 이용한 QR 코드 자동 인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 변색 소자를 사용하여 NFC-QR 코드를 인쇄하여 보안이 용이한 QR 코드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QR 코드 자동 인식 시스템은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위한 NFC 신호를 송신하는 NFC 송신부(110)와 QR(Quick Response) 코드 인식 어플을 실행시키며 상기 인식 어플을 통해 QR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120)가 포함되는 단말기(100) 및 상기 NFC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210), 수신된 상기 NFC 신호에 대응하여 발생된 응답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220) 및 정보가 저장되는 코드 정보부(230)가 포함되는 NFC-QR 코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NFC-QR 코드(200)에서 발생되는 상기 응답 신호가 인가되는 신호 수신부(130), 상기 코드 인식부(120)에서 실행시킨 어플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코드 정보부(230)에 해당되는 정보를 읽어 들이는 정보 처리부(140) 및 상기 정보 처리부(140)에서 읽어 들인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에 나타내는 화면 표시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NFC-QR 코드(200)는 상기 안테나부(210)를 통해 인가된 NFC 신호를 변환하는 정류기부(240) 및 변환된 상기 NFC 신호를 통해 이에 대응되는 상기 응답 신호가 발생되는 신호 발생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발생된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신호 송신부(220)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의 신호 수신부(130)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QR 코드 자동 인식 방법은 A) 상기 단말기(100)의 NFC 송신부(110)에 의하여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NFC-QR 코드(200)가 인지되는 단계(S410), B) 인지된 상기 NFC-QR 코드(200)에 상기 NFC 송신부(110)에서 발생되는 NFC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NFC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단말기(100)로 송신되는 단계(S420), C) 상기 단말기(100)에 수신된 상기 응답 신호에 의해 QR 코드 인식 어플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상기 인식 어플을 통해서 상기 NFC-QR 코드(200)의 코드 정보부(230)에 대응되는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S430), D) 인식된 상기 NFC-QR 코드(200)에 해당하는 정보가 상기 단말기(100) 상에 표시되는 단계(S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상기 NFC-QR 코드(200)로 인가되는 상기 NFC 신호는 교류이며, 교류의 상기 NFC 신호가 직류로 변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변환된 직류의 상기 NFC 신호에 의해 상기 응답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NFC-QR 코드 제조 방법은 텐션 컨트롤러를 통해서 텐션이 유지된 상태의 필름이 공급되는 필름 공급 단계(S510), 공급된 필름을 이용하여 단말기에서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위한 NFC 신호를 받는 안테나 및 인가되는 NFC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가 발생되는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 전극의 패턴이 인쇄되는 NFC 인식부 인쇄 단계(S520) 및 상품의 정보를 갖는 QR 코드의 패턴이 인쇄되는 QR 코드부 인쇄 단계(S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전극의 패턴은 상기 NFC 신호를 교류로 이루어져 인가되며, 교류의 상기 NFC 신호를 직류로 변환해주는 정류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NFC 인식부 인쇄 단계(S520)는 a) 공급된 필름으로 안테나의 패턴과 신호 발생기 및 정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 전극의 패턴을 인쇄하고, 도체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된 상기 안테나 및 상기 하부 전극에 도체가 인쇄되는 제 1 도체 인쇄 단계(S521), b) 절연체 잉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도체가 인쇄된 상기 안테나를 제외한 하부 전극의 상단에 잉크가 인쇄되는 절연체 인쇄 단계(S522), c) 절연체가 인쇄된 상기 신호 발생기의 상단에 제 1 반도체 층이 인쇄되는 제 1 반도체 인쇄 단계(S523), d) 제 1 반도체 층이 인쇄된 상기 신호 발생기와 절연체가 인쇄된 상기 정류기의 상단에 도체 잉크 이용하여 상부 전극의 도체가 인쇄되는 제 2 도체 인쇄 단계(S524), e) 제 2 도체가 인쇄된 상기 정류기의 상단에 제 2 반도체 층이 인쇄되는 제 2 반도체 인쇄 단계(S525) 및 f) 제 2 반도체 층이 인쇄된 상기 정류기의 상단에 도체 잉크를 이용하여 상부 전극의 도체가 인쇄되는 제 3 도체 인쇄 단계(S52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QR 코드부 인쇄 단계(S530)는 g) 전도성 고분자의 도체 잉크를 이용하여 코드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패턴이 인쇄되는 제 1 고분자층 인쇄 단계(S531), h) 전도성 고분자 층이 인쇄된 상기 패턴의 상부에 절연 잉크를 이용하여 패턴이 인쇄되는 절연층 인쇄 단계(S532), i) 절연층이 인쇄된 상기 패턴의 상부에 전해질 잉크를 이용하여 패턴이 인쇄되는 전해질층 인쇄 단계(S533) 및 j) 전해질층이 인쇄된 상기 패턴의 상부에 상기 전도성 고분자의 도체 잉크를 이용하여 패턴을 재 인쇄하는 제 2 고분자층 인쇄 단계(S53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인쇄된 NFC-QR 코드의 인쇄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인쇄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QR 코드부 인쇄 단계(S530)의 절연층 인쇄 단계(S532)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QR 코드부 인쇄 단계(S530)는 NFC 주파수에 반응하여 변색되도록 상기 전해질층 인쇄 단계(S533)에서 이용하는 전해질 잉크에 전기 변색 소자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NFC의 신호가 수신되는 안테나와 구동회로 및 상품의 정보를 갖는 QR 코드를 롤투롤 인쇄 방식으로 인쇄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높은 생산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NFC가 포함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QR 코드가 인식되고, 해당되는 QR 코드 인식 어플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누구나 단말기를 통해서 QR 코드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NFC-QR코드는 전기 변색 소자를 이용하여 상품의 정보에 대한 보안이 용이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QR 코드 자동 인식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QR 코드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QR 코드 자동 인식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QR 코드 자동 인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QR 코드 제조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QR 코드 제조 방법의 NFC 인식부 인쇄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QR 코드 제조 방법의 QR 코드부 인쇄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된 NFC-QR 코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NFC를 이용한 QR 코드 자동 인식 시스템 및 방법, NFC-QR 코드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QR 코드 자동 인식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이용한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자동 인식 시스템은 단말기(100)와 NFC-QR 코드(200)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100)는 NFC 송신부(110)와 코드 인식부(120)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FC 송신부(110)는 NFC를 위한 NFC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코드 인식부(120)는 QR 코드 인식 어플을 실행시키며 실행된 상기 인식 어플을 통해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신호 수신부(130), 정보 처리부(140) 및 화면 표시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시 신호 수신부(130)는 상기 NFC-QR 코드(200)의 신호 송신부(220)에서 발생되는 응답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정보 처리부(140)는 상기 코드 인식부(120)에서 실행시킨 QR 코드 인식 어플을 이용하여 외부 서버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요청한 상기 코드 정보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 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표시부(150)는 상기 정보 처리부(140)에서 읽어 들인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상에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휴대 장치 내에 NFC 기능이 포함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NFC-QR 코드(200)는 안테나부(210), 신호 송신부(220) 및 코드 정보부(2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테나부(210)는 상기 단말기(100)의 NFC 송신부(110)에서 보내는 NFC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신호 송신부(220)는 수신된 상기 NFC 신호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정보부(230)는 상기 NFC-QR 코드(200)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NFC-QR 코드는 정류기부(240)와 신호 발생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류기부(240)는 상기 단말기(100)의 NFC 송신부(110)를 통해 상기 안테나부(210)로 인가되는 NFC 신호를 변환하며, 상기 신호 발생부(250)는 변환된 상기 NFC 신호에 의해서 이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신호 송신부(220)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100)의 신호 수신부(130)로 보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QR 코드 자동 인식 시스템을 상세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NFC를 이용한 QR 코드 자동 인식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단말기(100)의 NFC 송신부(110)는 인덕터로 표현되는 루프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100)는 전원 공급부(미도시), 송신 제어부(미도시) 및 전력 변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NFC-QR 코드(200)의 안테나부(210)는 상기 NFC 송신부(110)와 매칭되는 인덕터로 표현되는 루프 안테나로 구성되며, 상기 NFC 송신부(110)에서 무선 송신하는 13.56MHz의 주파수에 공진되어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신부(220)는 상기 신호 발생부(250)에서 발생된 응답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의 신호 수신부(130)로 송신하며, 1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 될 수 있다.
상기 코드 정보부(230)는 상품의 정보를 저장하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어할 수 있으며, QR 코드를 인쇄 시, 전기 변색 소자를 이용하면 평상시에는 보이지 않고 NFC 통신을 통해서만 나타날 수 있도록 하여 도난 방지 및 정보를 보호 할 수도 있다. 상기 코드 정보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상기 NFC-QR 코드(200)가 부착된 상품의 정보 뿐 만 아니라, 안내 표시판의 안내 정보 및 출입 통제를 위한 개인 정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될 수 있다.
상기 정류기부(240)는 상기 안테나부(210)로 인가된 NFC 신호를 제거하는 정류용 다이오드와 전력에 포함되는 파형을 소거하는 평활용 콘덴서 및 신호 성분을 제거한 전력을 충전하여 저장하는 캐패시터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기(100)의 NFC 송신부(110)로부터 교류로 인가되는 NFC 신호를 직류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직류로 변환된 상기 NFC 신호를 통해서 이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가 상기 신호 발생부(250)에서 발생되며, 상기 신호 발생부(250)는 10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 될 수 있다. 또한, 발생된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NFC 송신부(110)의 결정에 의해서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NFC-QR 코드(20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거리는 보안 상의 문제와 NFC-QR 코드의 부정확한 인식을 막기 위해서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거리 한정을 통해서 원거리에서 NFC-QR 코드를 해킹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NFC를 이용한 자동 인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NFC를 이용한 자동 인식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단말기(100)의 NFC 송신부(110)에 의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상기 NFC-QR 코드(200)가 인지될 수 있다.(S410)
인지된 상기 NFC-QR 코드(200)의 안테나부(210)에 상기 NFC 송신부(110)에서 발생되는 NFC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NFC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단말기(100)의 신호 수신부(130)로 송신될 수 있다.(S420)
이때, 상기 안테나부(210)로 인가되는 상기 NFC 신호를 교류이며, 상기 정류기부(240)에서 직류로 변환된 후 상기 신호 발생부(250)를 통해서 상기 응답 신호가 발생되게 된다.
상기 단말기(100)의 신호 수신부(130)에 수신된 상기 응답 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QR 코드 인식 어플을 실행시키고, 상기 단말기(100)의 카메라 또는 전용 스캐너를 통해 상기 NFC-QR 코드(200)가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의 정보 처리부(140)에서 상기 QR 코드 인식 어플을 이용해서 인식된 상기 NFC-QR 코드(200)의 정보를 외부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를 통해서 대응되는 정보가 수신된다.(S430) 이때, 상기 NFC-QR 코드(200)의 정보는 상기 코드 정보부(230)에 저장되어 있다.
인식된 상기 NFC-QR 코드(200)의 코드 정보부(230)에 해당하는 정보는 상기 단말기(100)의 화면 표시부(150)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100)에 표시된다.(S440)
다음,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NFC-QR 코드 제조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NFC-QR 코드(200)의 안테나부(210)의 바탕 재료가 되며 공급 롤러에 감긴 필름을 텐션 컨트롤러를 통해서 텐션이 유지된 상태의 필름이 공급된다.(S510)
공급된 상기 필름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에서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위한 NFC 신호를 받은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에 인가되는 NFC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 전극의 패턴이 인쇄된다.(S520) 이때, 상기 NFC 신호는 교류로 이루어지며, 교류의 상기 NFC 신호를 직류로 변환해주는 정류기의 패턴을 인쇄할 수도 있다.
상품의 정보를 갖는 QR 코드부의 패턴이 인쇄되며(S530), 상기 NFC-QR 코드 제조 방법은 구성에 QR 코드부의 패턴이 먼저 인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NFC-QR 코드 제조 방법은 스크린, 잉크젯, 옵셋, 플렉소 및 롤대롤 그라비아 인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인쇄가 가능하다. 상기 QR 코드의 패턴은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모든 잉크를 통해서 제조가 가능하며, 전기 변색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QR 코드부의 패턴이 인쇄 될 수도 있다.
다음, 도 7을 참고하여 NFC-QR 코드 제조 방법의 NFC 인식부 인쇄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텐션이 유지된 상태로 공급되는 상기 필름으로 안테나, 신호 발생기 및 정류기의 하부 전극 패턴을 인쇄하고, 도체 잉크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 전극에 도체가 인쇄되며(S521), 인쇄된 하부 전극의 도체를 건조시켜 공급한다.
도체가 인쇄된 상기 하부 전극에서 상기 안테나를 제외한 하부 전극의 상단에 절연체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하고(S522), 인쇄된 절연체를 건조시켜 공급한다.
절연체가 인쇄된 상기 신호 발생기의 상단에 반도체 층이 인쇄되며(S523), 인쇄된 반도체를 건조시켜 공급한다.
반도체 층이 인쇄된 상기 신호 발생기와 절연체가 인쇄된 상기 정류기의 상단에 도체 잉크를 이용하여 상부 전극에 도체가 재인쇄되며(S524), 인쇄된 상부 전극의 도체를 건조시켜 공급한다.
상부 전극에 도체가 인쇄된 상기 정류기의 상단에 반도체 층이 재인쇄되며(S525), 인쇄된 반도체를 건조시켜 공급한다.
상단에 반도체 층이 인쇄된 상기 정류기의 상단에 도체 잉크를 이용하여 상부 전극에 도체가 재인쇄되며(S526), 인쇄된 상부 전극의 도체를 전조시켜 공급한다.
이때, 상기 NFC-QR 코드(200)의 구성에 따라 도체, 절연체, 반도체를 인쇄하지 않거나, 중복 인쇄할 수도 있다.
다음, 도 8을 참고하여 NFC-QR 코드 제조 방법의 QR 코드부 인쇄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도성 고분자의 도체 잉크를 이용하여 QR 코드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패턴이 인쇄되며(S531), 인쇄된 도체 잉크를 건조시켜 공급한다.
절연 잉크를 이용하여 전도성 고분자 층이 인쇄된 상기 패턴의 상부에 인쇄하며(S532), 인쇄된 절연 잉크를 건조시켜 공급한다.
전해질 잉크를 이용하여 절연층이 인쇄된 상기 패턴의 상부에 인쇄하며(S533), 인쇄된 전해질 잉크를 건조시켜 공급한다.
전도성 고분자의 도체 잉크를 이용하여 전해질 층이 인쇄된 상기 패턴의 상부에 재인쇄하며(S534), 인쇄된 도체 잉크를 건조시켜 공급한다.
이때, 상기 QR 코드부의 구성에 따라 도체, 절연체, 전해질 층을 중복 인쇄하거나 선택적으로 인쇄할 수도 있다.
상기 NFC-QR 코드(200)의 인쇄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절연층 인쇄 단계(S532)로 되돌아가고, 완료된 경우 필름을 권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인쇄가 완료한 후, 리더기를 통해서 상기 NFC-QR 코드(200)를 인식하였을 경우, 인식이 되지 않으면 인쇄가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어 상기 절연층 인쇄 단계(S532)로 되돌아가게 된다.
참고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NFC-QR 코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NFC-QR 코드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NFC-QR 코드(200)는 상기 NFC 인식부 인쇄 단계(S520)와 상기 QR 코드부 인쇄 단계(S530)을 거쳐서 제조되며, 선택된 패턴을 파고 파여진 패턴에 잉크를 주입하며, 주입된 잉크로 인쇄하는 음각 인쇄 기법으로 동작하는 그라비아 인쇄 시스템과 유사할 수 있으며, 상기 QR 코드부는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모든 잉크를 통해서 제조가 가능하지만, 전기 변색 소자를 이용하여 제조한 경우에는 평상시에는 상기 QR 코드부가 보이지 않게 되며, NFC 통신을 통해서만 나타나게 됨으로써 정보 보호 및 도난 방지가 용이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해질층 인쇄 단계(S533)에서 전기 변색 소자가 포함된 전해질 잉크를 이용하여 상기 QR 코드부를 인쇄함으로써, NFC 주파수에 반응한 경우에만, 인쇄된 QR 코드부를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단말기
110 : NFC 송신부 120 : 코드 인식부
130 : 신호 수신부 140 : 정보 처리부
150 : 화면 표시부
200 : NFC-QR 코드
210 : 안테나부 220 : 신호 송신부
230 : 코드 정보부 240 : 정류기부
250 : 신호 발생부

Claims (6)

  1. 텐션 컨트롤러를 통해서 텐션이 유지된 상태의 필름이 공급되는 필름 공급 단계(S510);
    공급된 필름을 이용하여 단말기에서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위한 NFC 신호를 받는 안테나 및 인가되는 NFC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가 발생되는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 전극의 패턴이 인쇄되는 NFC 인식부 인쇄 단계(S520); 및
    g) 전도성 고분자의 도체 잉크를 이용하여 코드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패턴이 인쇄되는 제 1 고분자층 인쇄 단계(S531)와,
    h) 전도성 고분자 층이 인쇄된 상기 패턴의 상부에 절연 잉크를 이용하여 패턴이 인쇄되는 절연층 인쇄 단계(S532)와,
    i) 절연층이 인쇄된 상기 패턴의 상부에 전해질 잉크를 이용하여 패턴이 인쇄되는 전해질층 인쇄 단계(S533)와,
    j) 전해질층이 인쇄된 상기 패턴의 상부에 상기 전도성 고분자의 도체 잉크를 이용하여 패턴을 재 인쇄하는 제 2 고분자층 인쇄 단계(S534)로 이루어지며, 상품의 정보를 갖는 QR 코드의 패턴이 인쇄되는 QR 코드부 인쇄 단계(S5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QR 코드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의 패턴은
    상기 NFC 신호를 교류로 이루어져 인가되며, 교류의 상기 NFC 신호를 직류로 변환해주는 정류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QR 코드 제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NFC 인식부 인쇄 단계(S520)는
    a) 공급된 필름으로 안테나의 패턴과 신호 발생기 및 정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 전극의 패턴을 인쇄하고, 도체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된 상기 안테나 및 상기 하부 전극에 도체가 인쇄되는 제 1 도체 인쇄 단계(S521);
    b) 절연체 잉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도체가 인쇄된 상기 안테나를 제외한 하부 전극의 상단에 잉크가 인쇄되는 절연체 인쇄 단계(S522);
    c) 절연체가 인쇄된 상기 신호 발생기의 상단에 제 1 반도체 층이 인쇄되는 제 1 반도체 인쇄 단계(S523);
    d) 제 1 반도체 층이 인쇄된 상기 신호 발생기와 절연체가 인쇄된 상기 정류기의 상단에 도체 잉크 이용하여 상부 전극의 도체가 인쇄되는 제 2 도체 인쇄 단계(S524);
    e) 제 2 도체가 인쇄된 상기 정류기의 상단에 제 2 반도체 층이 인쇄되는 제 2 반도체 인쇄 단계(S525); 및
    f) 제 2 반도체 층이 인쇄된 상기 정류기의 상단에 도체 잉크를 이용하여 상부 전극의 도체가 인쇄되는 제 3 도체 인쇄 단계(S526);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QR 코드 제조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FC-QR 코드 제조 방법은
    인쇄된 NFC-QR 코드의 인쇄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인쇄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QR 코드부 인쇄 단계(S530)의 절연층 인쇄 단계(S532)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QR 코드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부 인쇄 단계(S530)는
    NFC 주파수에 반응하여 변색되도록 상기 전해질층 인쇄 단계(S533)에서 이용하는 전해질 잉크에 전기 변색 소자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QR 코드 제조 방법.
KR1020120084335A 2012-08-01 2012-08-01 Nfc-qr 코드 제조 방법 KR101349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35A KR101349264B1 (ko) 2012-08-01 2012-08-01 Nfc-qr 코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335A KR101349264B1 (ko) 2012-08-01 2012-08-01 Nfc-qr 코드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450 Division 2012-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241A KR20130105241A (ko) 2013-09-25
KR101349264B1 true KR101349264B1 (ko) 2014-01-16

Family

ID=4945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335A KR101349264B1 (ko) 2012-08-01 2012-08-01 Nfc-qr 코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025B1 (ko) * 2017-01-11 2018-12-13 주식회사 니어네트웍스 상품에 대한 정품 또는 위조품을 확인하는 정품인증시스템
KR102027459B1 (ko) * 2017-02-03 2019-10-04 주식회사 더코더 가상 근거리 통신 지원 시스템
KR20190032012A (ko) 2017-09-19 2019-03-27 장동의 Nfc-qr코드 시스템
CN113302625B (zh) * 2018-12-19 2024-03-19 成均馆大学校产学协力团 用于防伪的nfc qr代码标签及nfc qr代码标签的制造方法
KR102358327B1 (ko) * 2020-02-06 2022-02-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롤투롤 인쇄 기반 인쇄 렉테나 제조 방법 및 인쇄 렉테나와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233A (ko) * 2003-11-27 2004-01-13 충 정 Qr코드라벨을 천공하여 생성 및 출력하는 방법, 그리고 직·간접광원을 비추어 상기 라벨을 인식하는 방법
JP2011087229A (ja) 2009-10-19 2011-04-28 Panasonic Corp 近距離無線通信装置および近距離無線通信用の半導体集積回路
KR20120019423A (ko) * 2011-11-28 2012-03-06 박현균 Qr코드 생성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233A (ko) * 2003-11-27 2004-01-13 충 정 Qr코드라벨을 천공하여 생성 및 출력하는 방법, 그리고 직·간접광원을 비추어 상기 라벨을 인식하는 방법
JP2011087229A (ja) 2009-10-19 2011-04-28 Panasonic Corp 近距離無線通信装置および近距離無線通信用の半導体集積回路
KR20120019423A (ko) * 2011-11-28 2012-03-06 박현균 Qr코드 생성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241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264B1 (ko) Nfc-qr 코드 제조 방법
JP466831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268924B2 (en) Transmission apparatus, electronic appliance, reception apparatus, and authentication system
US9042814B2 (en) Measurement and reporting of received signal strength in NFC-enabled devices
KR102034323B1 (ko) 급전 장치, 급전 방법 및 기록 매체
US20120300860A1 (en)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27999A (ko)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US9904820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integrated circuit, and electronic instrument
US20140375138A1 (en) Power supply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and program
KR100968071B1 (ko) 인증 정보 카드와 근거리 무선 통신 칩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로 교통카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JP2010507142A (ja) マルチモードタグとマルチモードタグの作製方法および使用方法
US20130211607A1 (en)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ing method
KR201101262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와 탈부착이 가능한 보호 케이스형 rfid 태그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rfid 태그 정보 처리 시스템
EP2933936B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30235219A1 (en) Portab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7644179A (zh) 一种线缆快速识别方法及线缆识别标签
CN101132577A (zh) 在移动通信终端中提供固有信息的方法和设备
JP2007226560A (ja) Icカードシステム
KR101492891B1 (ko) 센서를 내장한 근거리 무선 태그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7968673A (zh) 基于柔性电路板的通信装置
JP2018093453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動作方法
CN105144192A (zh) 带显示器的移动式接近耦合装置
KR20160022011A (ko) 이동식 정보기기의 보호장치
CN212084179U (zh) 一种无源nfc电子登机牌及电子登机牌系统
KR100804498B1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이종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