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986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986B1
KR101348986B1 KR1020110050222A KR20110050222A KR101348986B1 KR 101348986 B1 KR101348986 B1 KR 101348986B1 KR 1020110050222 A KR1020110050222 A KR 1020110050222A KR 20110050222 A KR20110050222 A KR 20110050222A KR 101348986 B1 KR101348986 B1 KR 101348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size
level table
size level
delete delet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835A (ko
Inventor
유-슈안 구오
Original Assignee
이노베이티브 소닉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3123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4898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베이티브 소닉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노베이티브 소닉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129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는,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 및 상기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보다 큰 제2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이 2개 이상의 업링크(uplink; UL) 캐리어 컴포넌트(carrier component; CC)를 가지고 구성될 경우에 또는 2개 이상의 UL CC가 활성화될 경우에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해야 할지 상기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해야 할지를 나타내기 위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제어 엘리먼트 또는 상기 MAC 제어 엘리먼트의 해당 서브헤더 중 하나 내의 표시가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buffer status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관련출원의 전후참조
본원은 2010년 5월 26일자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출원 제61/348,247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한 것이며, 상기 미국 임시 특허출원의 전체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조병합된다.
기술분야
본원의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기술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며, 좀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장치들로 그리고 이동 통신 장치들로부터 대량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급속히 늘어남에 따라, 전형적인 이동 음성 통신 네트워크들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데이터 패킷들을 가지고 통신하는 네트워크들로 진화하고 있다. 그러한 IP 데이터 패킷은 IP를 통한 음성,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및 주문형(on-demand) 통신 서비스들을 이동 통신 장치들의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준화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형적인 네트워크 구조는 진화된 범용 지상파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이다. 상기 E-UTRAN 시스템은 위에서 주지한 IP를 통한 음성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실현하기 위해 높은 데이터 처리량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E-UTRAN 시스템의 표준화 작업은 현재 3GPP 표준화 기구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3GPP 표준화 기구에 대한 수정안들이 현재 제출되고 있으며 3GPP 표준화를 진화 및 완성하는데 고려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개선된 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은,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1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 상기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보다 큰 제2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 및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이 2개 이상의 업링크(uplink; UL)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를 가지고 구성될 경우 또는 2개 이상의 UL CC가 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은,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 상기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보다 큰 제2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 및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제어 엘리먼트 또는 상기 MAC 제어 엘리먼트의 해당 서브헤더 중 하나 내의 표시를 이용하여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해야 할지 상기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해야 할지를 나타내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신 장치는, 제어 회로; 상기 제어 회로에 설치된 프로세서로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상기 제어 회로에 커맨드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설치된 메모리로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는,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 및 상기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보다 큰 제2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캐리어 집성(CA)이 2개 이상의 업링크(UL) 컴포넌트 캐리어(CC)를 가지고 구성될 경우 또는 2개 이상의 UL CC가 활성화될 경우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신 장치는, 제어 회로; 상기 제어 회로에 설치된 프로세서로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상기 제어 회로에 커맨드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설치된 메모리로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는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 및 상기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보다 큰 제2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2의 버퍼 크기 레벨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엘리먼트 또는 상기 MAC 제어 엘리먼트의 해당 서브헤더 중 하나 내의 표시를 이용하여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해야 할지 상기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해야 할지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될 경우에, 처리량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eNB에 의한 과잉 할당이 과도한 패딩을 회피하도록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L 무선 자원들이 낭비되지 않게 하기 위해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필요할 때 UE가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로서도 알려져 있는) 송신기 시스템 및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또는 UE로서도 알려져 있는) 수신기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른 UE를 기능적으로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형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및 장치들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채용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데이터 등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타입들을 제공하도록 널리 포진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장기간 진화) 무선 액세스, 3GPP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미래 장기간 진화), 3GPP2 UMB(Ultra Mobile Broadband;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 WiMax(와이맥스), 또는 기타 변조 기법들에 기반을 둔 것일 수 있다.
특히,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형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장치들은, 문서 번호'3GPP TS 36.331, V.9.2.0("진화된 범용 지상파 무선 액세스(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프로토콜 사양 (릴리스 9)")'; 및 문서 번호 '3GPP TS 36.321, V.9.2.0("진화된 범용 지상파 무선 액세스; E-UTRA);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 사양 (릴리스 9)")'를 포함하는, 본원에서 3GPP라고 언급되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 불리는 컨소시엄에 의해 제안된 표준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준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위에 리스트된 표준들 및 문서들은 이로써 본원에 명시적으로 참조병합된다.
도 1에는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진화된 범용 지상파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100)의 전형적인 네트워크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E-UTRAN 시스템은 또한 LTE(장기간 진화; Long-Term Evolution) 시스템 또는 LTE-A(미래 장기간 진화; Long-Term Evolution Advanced)라고도 언급될 수 있다. 상기 E-UTRAN은, 이동 음성 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eNode B 또는 eNB(102)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각각의 eNB는 X2 인터페이스들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eNB들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들 또는 사용자 장비(UE)(104)에 접속되며, S1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들 또는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106)에 접속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LTE 시스템은,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제어 평면(108) 프로토콜 스택 및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평면(110) 프로토콜 스택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제어 평면은 UE 및 eNB 간에 제어 신호를 교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 평면은 UE 및 eNB 간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평면 및 상기 사용자 평면 모두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 및 물리(physical; PHY) 계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평면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어 평면은, 많은 것 가운데 특히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 베어러 관리, 인증 및 보안 제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스트라툼(Network Access Stratum; NAS) 계층을 또 포함한다.
상기 PHY 계층은,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방 시스템 상호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계층의 제1 계층에 상응하는 것이다. 상기 PHY 계층은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MAC 계층에 접속된다. 상기 MAC 계층 및 상기 PHY 계층 간의 데이터 교환은 상기 전송 채널을 통해 수행된다. 상기 전송 채널은, 특정 데이터가 상기 PHY 계층에서 처리되게 하는 스킴(scheme)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MAC 계층은, RLC 계층으로부터 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적절한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PHY 계층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PHY 계층으로부터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적절한 논리 채널을 통해 상기 RLC 계층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수행한다. 더욱이, 상기 MAC 계층은, 상기 논리 채널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내에 추가 정보를 삽입하며, 상기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삽입된 추가 정보를 분석하여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고, 그리고 랜덤 액세스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MAC 계층 및 상기 RLC 계층은 논리 채널을 통해 서로 접속된다. 상기 RLC 계층은, 논리 채널의 설정 및 설정해제를 제어하며 승인 모드(acknowledged mode; AM) 동작 모드, 비승인 모드(unacknowledgement mode; UM) 동작 모드 및 투명 모드(transparent mode; TM) 동작 모드 중 하나로 동작가능하다. 상기 RLC 계층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 단위(Service Data Unit; SDU)를 적절한 크기로 분할하고 이와는 반대로 하위 계층으로부터 송신된 서비스 데이터 단위(SDU)를 적절한 크기로 분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욱이, 상기 RLC 계층은 자동 재송 요구(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ARQ)를 통한 오류 정정 기능을 맡고 있다.
상기 PDCP 계층은, 상기 RLC 계층 상에 배치되어 있고 IP 패킷 형태로 전송된 데이터의 헤더 압축 기능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가 UE의 이동에 기인한 서비스 변경들을 제공하는 경우라도 손실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RC 계층은 단지 상기 제어 평면에만 정의되어 있다. 상기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확립, 재-구성 및 해제와 관련하여 논리 채널들, 전송 채널들 및 물리 채널들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RB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E-UTRAN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OSI 계층의 제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나타낸다. 만약 RRC 접속이 UE의 RRC 계층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RRC 계층 간에 확립되어 있다면, UE는 RRC 접속 모드에 있게 된다. 만약 RRC 접속이 UE의 RRC 계층 및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RRC 계층 간에 확립되어 있지 않다면, UE는 RRC 유휴 모드에 있게 된다.
도 4는 (액세스 네트워크로서도 알려져 있는) 송신기 시스템(210) 및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 시스템(200) 내의 액세스 단말기 또는 UE라고도 알려져 있는) 수신기 시스템(250)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송신기 시스템(2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는 데이터 소스(212)로부터 송신(transmit; TX) 데이터 프로세서(214)로 제공된다.
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이 개별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14)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그러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의 부호화 스킴에 기반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 부호화, 및 인터리브(interleave)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부호화된 데이터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기법들을 이용하여 파일롯 데이터와 다중화될 수 있다. 상기 파일롯 데이터는,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인 것이 전형적이며 상기 수신기 시스템에서 채널 응답을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된 파일롯 및 부호화된 데이터는 그후에,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도록 그러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선택된 특정의 변조 스킴(예컨대,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이진 위상 편이 변조),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직교 위상 편이 변조), M-PSK(m-ary phase shift keying; m진 위상 편이 변조), 또는 M-QAM(m-ar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m진 직교 진폭 변조))에 기반하여 변조(즉, 심볼 매핑(symbol mapping))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비율, 부호화, 및 변조는 프로세서(230)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어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그후에, TX MIMO 프로세서(220)에 제공되는데, 상기 TX MIMO 프로세서(220)는 (예컨대, OFDM을 위해) 상기 변조 심볼들을 부가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TX MIMO 프로세서(220)는 그후에, N T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 T 송신기(TMTR)들(222a 내지 222t)에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TX MIMO 프로세서(220)는, 빔형성(beam forming) 가중치들을,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에, 그리고 상기 심볼이 전송되고 있는 안테나에 적용한다.
각각의 송신기(222)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개별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고, MIMO 채널을 통한 전송에 적합한 변조 신호를 제공하도록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부가적으로 컨디셔닝(conditioning)(예컨대, 증폭, 필터링, 및 상향 변환(up-conversion))한다. 송신기들(222a 내지 222t)로부터의 N T 변조 신호들은 그후에, N T 안테나들(224a 내지 224t)로부터 각각 전송된다.
수신기 시스템(250)에서는, 상기 전송된 변조 신호들은 N R 안테나들(252a 내지 2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252)로부터의 상기 수신된 신호는 개별 수신기(RCVR)(254a 내지 254r)에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254)는 개별 수신 신호를 컨디셔닝(예컨대, 필터링, 증폭 및 하향 변환(down-conversion))하고, 샘플들을 제공하도록 상기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며, 그리고 상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도록 상기 샘플들을 부가적으로 처리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그후에, N T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도록 특정의 수신기 처리 기법에 기반하여 N R 수신기들(245)로부터 N R 수신된 심벌 스트림들을 수신 및 처리한다. 상기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그후에,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하도록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브(deinterleave) 및 복호화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60)에 의한 처리는 송신기 시스템(210)에서의 TX MIMO 프로세서(2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214)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는 상보적(complementary)이다.
프로세서(270)는 어느 사전 부호화(pre-coding) 매트릭스를 이용해야 할지를 주기적으로 판단한다(이하에서 논의됨). 프로세서(2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랭크(rank)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링크(reverse link) 메시지를 공식화한다.
상기 역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링크 메시지는 그후에, TX 데이터 프로세서(238)에 의해 처리되는데, 상기 TX 데이터 프로세서(238)는 데이터 소스(2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러한 트래픽 데이터는 변조기(280)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들(254a 내지 254r)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그리고 송신기 시스템(210)으로 다시 전송된다.
송신기 시스템(210)에서는, 수신기 시스템(250)으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이 안테나(2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222)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복조기(240)에 의해 복조되고, 그리고 RX 데이터 프로세서(242)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상기 수신기 시스템(250)에 의해 전송된 역링크 메시지가 추출되게 한다. 프로세서(230)는 그후에, 빔형성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느 사전 부호화 매트릭스를 이용해야 할지를 판단한 다음에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도면에는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른 변형적인 통신 장치의 기능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UE(104)를 실현하기 위해 채택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LTE 시스템, LTE-A 시스템 등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 장치(300)는 입력 장치(302), 출력 장치(304), 제어 회로(306),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308), 메모리(310), 프로그램 코드(312), 및 트랜시버(transceiver; 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는 애플리케이션 계층들 및 상기 PHY 계층을 제외하고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제어 평면(108)의 계층들 및 사용자 평면(110)의 계층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회로(306)는 상기 CPU(308)를 통해 상기 메모리(310) 내의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통신 장치(300)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 장치(302)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모니터 또는 스피커들과 같은 출력 장치(304)를 통해 이미지들 및 사운드들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트랜시버(314)는, 무선 신호들을 수신 및 전송함으로써, 무선 방식으로, 수신된 신호들을 상기 제어 회로(306)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 회로(306)에 의해 생성된 신호들을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버퍼 상태 보고 절차에서는, 상기 UE가 MAC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을 사용하여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 MAC 제어 엘리먼트를 반송(搬送)함으로써, 업링크(UpLink; UL) 버퍼들에서 이용가능한 데이터량에 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에 보고한다. 따라서, 상기 네트워크는 하나 또는 모든 논리 채널 그룹들에 걸쳐 이용가능한 총체적인 데이터량을 판단할 수 있다. BSR MAC 제어 엘리먼트들은 2가지 포맷들, 즉 짧은 포맷 및 긴 포맷으로 목록화될 수 있다. 짧은 포맷 BSR 제어 엘리먼트는 1-바이트 길이이며, 8개의 비트를 지닌다. 처음 2개의 비트는 버퍼 상태가 보고되고 있는 논리 채널 그룹 ID(Logic Channel Group ID; lCG ID)를 식별하며, 나머지 6개의 비트로 이루어진 버퍼 크기(BS) 필드는 상기 논리 채널 그룹에 걸쳐 이용가능한 데이터량 또는 버퍼 크기를 나타낸다. 4개의 BS 필드들을 포함하는 긴 포맷 BSR 제어 엘리먼트는 3-바이트 길이이며, 모든 논리 채널 그룹들의 UL 버퍼들의 데이터량을 보고하는데 채용된다. 상기 2가지 포맷들의 구체적인 설명은 관련 프로토콜 사양들에서 찾아 볼 수 있는 것이므로 본원 명세서에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3GPP TS 36.321, V.9.2.0("진화된 범용 지상파 무선 액세스(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 사양 (릴리스 9)")에서는, BSR 제어 엘리먼트 내의 버퍼 크기(BS) 필드의 값이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로부터 취해진다. 상기 BSR 제어 엘리먼트 내의 버퍼 크기 필드의 값은, 상기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에 따라 상이한 버퍼 크기 값 범위들에 상응하는, 0 내지 63 범위의 인덱스에 기반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인덱스 0은 BS=0 바이트인 것에 상응하며, 인덱스 25는 367 < BS <= 440 바이트인 것에 상응하며, 인덱스 50은 19325 < BS <= 22624 바이트인 것에 상응한다. LTE 프로토콜 사양들에 의하면, 상기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은, 버퍼 크기가 150 Kbyte에 이르기까지인 것만을, 즉 인덱스 62가 128125 < BS <= 150000 바이트인 것에 상응한 것만을 나타낼 수 있거나, 또는 버퍼 크기가 150 Kbyte를 초과하는 것만을, 즉 인덱스 63이 BS > 150000 바이트인 것에 상응한 것만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150 Kbyte 버퍼 크기는 인덱스된 버퍼 크기 범위들이 최대값를 초과해서 제공되지 않도록 하는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에서의 최대값이다.
미래 LTE(LTE-A)에서는,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갖는 UE가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들을 통해 동시에 수신 및/또는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로, BSR에 대한 최대 버퍼 크기 레벨은 LTE 프로토콜 사양들에 따라 상기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 내에 제공된 최대 버퍼 크기 레벨보다 수배 클 수 있다. 따라서,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UE 버퍼에 도달했는지와는 관계없이, 상기 UE는 단지 BSR에서 자신의 버퍼 크기가 적어도 150 Kbyte인 것만을 지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LTE 사양들에 따른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은, 상기 eNB가 과도한 패딩(padding)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과잉 할당(over-allocation)을 수용함으로써 효율을 희생하지 않는 한, 처리량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UE로 하여금 (이하 '이전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라고 언급되는)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에 의해 제공되는 최대 버퍼 크기보다 BSR에서 큰 버퍼 크기들을 지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추가적이거나 새로운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보다 높은 데이터 비율들과 함께 사용할 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3GPP TSG-RAN WG2 R2-102805 ("캐리어 집성을 위한 BSR(BSR for Carrier Aggregation)")에서는 특징, 예컨대, CA 또는 UL MIMO가 구성될 경우에 새로운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UE는 현재 버퍼 상태에 따라 어느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해야 할지를 선택하고 어느 테이블이 이용될지를 상기 eNB에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새로운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은 보다 큰 입도(granularity)를 지닐 수 있고, 상기 이전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은 보다 정확한 버퍼 상태를 상기 eNB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새로운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은 500 Kbyte인 최대 버퍼 크기를 지닐 수 있으며, 각각의 인덱스된 버퍼 크기 범위는 상기 이전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의 인덱스된 버퍼 크기 범위들에 비하여 보다 큰 범위를 커버(cover)할 수 있다. 그러나, R2-102805에 의해 제안된 대안의 한가지 결함은, BSR MAC 제어 엘리먼트를 반송하는 MAC PDU 내의 일부 희소 예약 값들, 예컨대 예약된 '논리 채널 ID(LCID)' 값들, 또는 예약된 필드들이 어느 테이블이 이용될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 외에도, 비록 상기 UE가 CA를 가지고 구성된다 하더라도 어떤 환경에서는 상기 새로운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항상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CA가 다운링크(downlink; DL) 트래픽 버스트에 기인하여 구성될 경우에나 또는 집성된 UL CC들이 작은 대역폭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 상기 새로운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새로운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필요하지 않을 때 상기 UE가 상기 새로운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eNB가 정확한 UE 버퍼 상태를 획득할 수 없으며 UL 무선 자원들이 낭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새로운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사용하는 적절한 타이밍을 지정하도록 하는 다른 대안이 필요하며 물론 그러한 타이밍이 eNB와 UE 간에 동기되어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UE에 대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400)은, 참조번호 402에서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과 참조 번호 404에서 상기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보다 큰 제2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그후에, 참조번호 406에서 CA가 2개 이상의 UL CC를 가지고 구성될 경우에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UE가 단지 하나의 UL CC(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의 UL CC)만을 가지고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단지 하나의 UL CC만이 구성되고 UL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가 구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방법(400)은 상기 메모리(31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코드들(312)을 실행하는 상기 UE(300)의 CPU(30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의 실시예와 유사한, UE에 대한 버퍼 크기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500)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방법(500)은, 참조번호 402에서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과; 참조번호 404에서 상기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보다 큰 제2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그후에, 참조번호 506에서 2개 이상의 UL CC가 활성화될 경우에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UL CC들은 PCell의 UL CC 및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의 UL C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L CC는 MAC 제어 엘리먼트에 의해 활성화된다. 단지 하나의 UL CC(PCell의 UL CC)만이 활성화될 경우에는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단지 하나의 UL CC만이 활성화되고 UL MIMO가 구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방법(500)은 상기 메모리(31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코드들(312)을 실행하는 상기 UE(300)의 CPU(30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의 실시예와 유사한, UE에 대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600)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방법(600)은, 참조번호 402에서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과; 참조번호 404에서 상기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보다 큰 제2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그후에, 참조번호 606에서 RRC 메시지 내의 표시를 이용하여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되어야 할지를 나타내거나 또는 어느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되어야 할지를 나타내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RRC 메시지는 또한 CA를 구성 또는 재구성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RRC 메시지는 UL MIMO를 구성 또는 재구성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RRC 메시지는 RRC 접속 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는 UL MIMO를 허용하거나 CA를 허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에서 언급된 상기 방법(600)의 동작들 모두는 상기 메모리(31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코드들(312)을 실행하는 상기 UE(300)의 CPU(30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의 실시예와 유사한, UE에 대한 버퍼 상태의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700)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방법(700)은, 참조번호 402에서 제1의 최대 버퍼 크기를 지니는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과; 참조번호 404에서 상기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보다 큰 제2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제2의 버퍼 크기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그후에, 참조번호 706에서 MAC 제어 엘리먼트 또는 상기 MAC 엘리먼트의 해당 서브헤더 내의 표시를 이용하여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거나 또는 어느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되어야 할지를 나타내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MAC 제어 엘리먼트는 DL에서 전송된다. 상기 MAC 제어 엘리먼트는 또한 CC를 활성화 및/또는 불활성화시키는데 사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방법(700)은 상기 메모리(310)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코드들(312)을 실행하는 상기 UE(300)의 CPU(30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들 모두에서,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되어선 안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또한 상기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은 보다 큰 입도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서빙 eNB에 덜 정확한 BSR을 제공할 수 있으며 UL 자원들을 낭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은, 상기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될 수 있는 경우에 이용되어선 안된다.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은 LTE 프로토콜 사양들(즉, LTE에서 사용된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에 따라 150 Kbyte인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닐 수 있고,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은 150 Kbyte를 초과하는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닐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은 상기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보다 큰 입도를 지닌다. 그러나,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에 대한 입도라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원 명세서에서 설명된 상기 제1 및 제2 버퍼 크기 레벨에 대해 주지된 최대 버퍼 크기 값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러한 값들은 바람직한 동작을 제공하도록 어떠한 레벨로도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에 대한 최대 버퍼 크기 값이 500 Kbyte일 수 있다. 상기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의 최대 값 이상의 어떠한 크기라도 특정 값 또는 버퍼 크기 범위를 지정하지 않고서도 상기 최대 값 이상인 것으로 보고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새로운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사용해야 할지의 여부는 CA 또는 MIMO에 결부되지 않는다. R2-102805에서 제안된 대안과 비교해 볼 때,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들은 어느 테이블이 이용되어야 할지를 상기 네트워크로 하여금 제어하게 함에 있어서 보다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더군다나, 여러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될 경우에, 처리량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eNB에 의한 과잉 할당이 과도한 패딩을 회피하도록 방지될 수 있다. 더군다나, UL 무선 자원들이 낭비되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필요할 때 상기 UE가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위에서 본 개시내용의 여러 실시태양들이 설명되었다. 여기서 분명히 알아야 할 점은 본 개시내용의 교시들이 다양한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된 임의의 특정 구조, 기능 또는 이들 모두가 단지 대표적인 것뿐이라는 점이다. 본 개시내용의 교시들에 기반해서, 당업자라면 본 개시내용에 언급된 실시태양이 기타 실시태양들과는 별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태양들 중 2 이상이 여러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된 실시태양을 임의 개수 사용하여 특정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특정 방법이 실시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된 실시태양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해서나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된 실시태양들 중 하나 이상과는 달리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사용하여 그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된 개념들 중 일부에 대한 예로서,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병행 채널들이 펄스 반복 주파수들에 기반하여 확립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병행 채널들이 펄스 위치 또는 오프셋들에 기반하여 확립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병행 채널들이 시간 호핑 시퀀스들에 기반하여 확립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병행 채널들이 펄스 반복 주파수들, 펄스 위치들 또는 오프셋들, 및 시간 호핑 시퀀스들에 기반하여 확립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여러 다른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정보 및 신호들이 표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위에서 언급된 내용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어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된 실시태양들과 연관지어 설명된 여러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예컨대, 소스 부호화 또는 기타 기법을 이용하여 설계될 수 있는, 디지털 구현, 아날로그 구현, 또는 상기 두가지 구현들의 조합), (편의상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을 합체하고 있는 여러 형태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여러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에 대해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의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숙련된 기술자들이라면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위에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 판단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이탈한 것으로 해석되어선 안된다.
그 외에도,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된 실시태양들과 연관지어 설명된 여러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액세스 단말기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집적 회로, 액세스 단말기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IC는,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장치,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전기 컴포넌트들, 광학 컴포넌트들, 기계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IC 내부에, 상기 IC 외부에, 또는 상기 IC 내부 및 외부에 상주하는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변형적으로는, 상기 프로세서가 기존의 어떤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기계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장치들, 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체, 복수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더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들, 또는 기타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해할 점은 위에서 언급된 어떤 과정에서의 단계들의 어떤 특정 순서나 또는 계층이라도 예시적인 접근 예이라는 점이다. 설계상의 선호들에 기반해서 당업자라면 상기 과정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재배치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에 수반되는 방법의 청구항들은 예시적인 순서로 여러 단계 요소들을 기재하고 있으며, 상기 청구항들에 기재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으로 국한하도록 의미를 부여한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에서 언급된 실시태양들과 연관지어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들 2가지 모두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실행가능한 명령어들 및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및 다른 데이터는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기타 형태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상주해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예컨대,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프로세서(편의상 "프로세서"라고 본원 명세서에서 언급될 수 있음)와 같은 기계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에 합체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해 있을 수 있다. 상기 ASIC는 사용자 장비에 상주해 있을 수 있다. 변형적으로는,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저장 매체는 사용자 장비 내의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실시태양들에서는, 적합한 어떤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태양들 중 하나 이상의 실시태양들에 관한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태양들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포장재(packaging materials)를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이 여러 실시태양들과 연관지어 설명되었지만, 여기서 이해할 점은 본 발명이 부가적인 수정들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본원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들을 따르고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되고 관례적인 실시에 부속되는 그러한 본 개시내용으로부터의 이탈을 포함하는 임의의 변경들, 이용들 또는 적응을 포괄하고자 한 것이다.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 내의 표시를 이용하여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해야 할지를 나타내는 것;
    을 포함하며,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은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고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은 상기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보다 큰 제2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의 구성, CA의 재구성, 업링크(uplink; UL)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의 구성, 또는 UL MIMO의 재구성을 수행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를 가지고 UL MIMO 또는 CA를 허용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될 경우에는, 상기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되지 않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제어 회로;
    상기 제어 회로에 설치된 프로세서로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상기 제어 회로에 커맨드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설치된 메모리로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
    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 내의 표시를 이용하여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을 이용해야 할지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며,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은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고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은 상기 제1의 최대 버퍼 크기 값보다 큰 제2의 최대 버퍼 크기 값을 지니는, 통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의 구성, CA의 재구성, 업링크(uplink; UL)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의 구성, 또는 MIMO의 재구성을 수행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를 가지고 UL MIMO 또는 CA를 허용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될 경우에는, 상기 제1의 버퍼 크기 레벨 테이블이 이용되지 않는, 통신 장치.
KR1020110050222A 2010-05-26 2011-05-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48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824710P 2010-05-26 2010-05-26
US61/348,247 2010-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835A KR20110129835A (ko) 2011-12-02
KR101348986B1 true KR101348986B1 (ko) 2014-01-08

Family

ID=4431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222A KR101348986B1 (ko) 2010-05-26 2011-05-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13498B2 (ko)
EP (2) EP2672778B1 (ko)
JP (1) JP2011250408A (ko)
KR (1) KR101348986B1 (ko)
CN (1) CN102333347B (ko)
ES (1) ES2895328T3 (ko)
TW (1) TWI4440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997B1 (ko) * 2009-10-30 2017-10-17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방법 및 그 기지국, 단말의 수신방법
CN102202345A (zh) * 2010-06-03 2011-09-28 美商威睿电通公司 移动通讯装置及机器类型通讯数据的寄存器状态回报方法
EP2398273B1 (en) * 2010-06-18 2018-02-14 Acer Incorporated Method of handling buffer status report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EP2584466B1 (en) 2010-06-18 2018-09-12 Fujitsu Limited Reporting method of terminal buffer state report(bsr), obtaining method for obtaining bsr from base station, and corresponding terminal, bas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JP5875581B2 (ja) * 2010-06-21 2016-03-02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効率的スケジューリングを支援するためのbsr情報の送達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CN102291771B (zh) * 2010-06-21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缓冲区状态上报的方法及系统
US8705398B2 (en) * 2011-09-12 2014-04-22 Broadcom Corporation Mechanism for signaling buffer status information
US9402253B2 (en) 2012-08-01 2016-07-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ignaling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for
KR101960529B1 (ko) * 2013-01-11 201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퍼 상태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 장치
US20140269267A1 (en) * 2013-03-14 2014-09-18 Raytheon Bbn Technologies Corp. Methods for dynamic transceiver resource allocation in multi-transceiver systems
EP2997784B1 (en) * 2013-05-15 2019-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uplink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EP2824986B1 (en) 2013-07-11 2023-03-22 Fujitsu Limited Buffer status reporting in small cell networks
US20160150440A1 (en) 2013-07-26 2016-05-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iggering a burffer status reporting and a device therefor
CN103402267A (zh) * 2013-08-08 2013-11-20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一种智能电网无线通信中的上行资源调度系统和方法
WO2015041408A1 (en) * 2013-09-23 2015-03-26 Lg Electronics Inc. Forwarding a buffer status report for dual connectivity
US10342035B2 (en) 2013-12-25 2019-07-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a buffer status and device therefor
EP3122131B1 (en) * 2014-03-20 2019-12-11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04936296B (zh) * 2014-03-21 2019-07-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报和接收缓冲区状态的方法和装置
JP2014197907A (ja) * 2014-07-14 2014-10-16 富士通株式会社 バッファ状態報告の報告方法、取得方法、端末、基地局及び通信システム
US20160227540A1 (en) * 2015-01-30 2016-08-04 Qualcomm Incorporated Soft buffer management for enhanced carrier aggregation
HUE063148T2 (hu) * 2015-05-14 2023-12-28 Ntt Docomo Inc Felhasználói terminál és eljárás
CN106470445A (zh) * 2015-08-21 2017-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缓冲区状态报告生成方法及装置
JP6308246B2 (ja) * 2016-06-14 2018-04-11 富士通株式会社 バッファ状態報告の報告方法、取得方法、端末、基地局及び通信システム
CN107889144B (zh) * 2016-09-29 2020-04-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缓冲状态报告的处理方法及装置
US20230247478A1 (en) * 2020-07-31 2023-08-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uffer status reporting tables for extremely high data rate
WO2024097082A1 (en) * 2022-10-31 2024-05-10 Apple Inc. Buffer size optimization in x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7342A (ko) * 2008-12-11 2010-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캐리어 집적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 및 그것의버퍼 상태 보고 방법
KR20110112179A (ko) * 2010-04-06 201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61091B1 (en) 2005-08-30 2012-1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dmission control in a cellular network
CN101355773B (zh) * 2007-07-23 2011-07-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缓冲区容量状态判断方法
US8331308B1 (en) * 2007-11-09 2012-12-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MIMO
TW200931918A (en) * 2007-12-07 2009-07-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nfiguration and control of the RLC and PDCP sub-layers
US7894367B2 (en) 2007-12-31 2011-02-2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s and systems for bandwidth protection
KR20100034165A (ko) * 2008-09-23 2010-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Bsr 전송 방법 및 bsr 전송 시 우선순위 결정방법
KR101612557B1 (ko) * 2009-03-13 2016-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mbms 수신방법
AR075864A1 (es) * 2009-03-17 2011-05-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Metodo y aparato para control de potencia ascendente en entradas multiples salidas multiples
KR101749346B1 (ko) * 2009-03-25 2017-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harq 수행 장치 및 방법
CN101932019B (zh) 2009-06-19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上报缓冲区状态报告的方法、终端及网络系统
US20110159867A1 (en) * 2009-12-24 2011-06-30 Richard Lee-Chee Kuo Method and apparatus to allocate random access channel (rach) resources for carrier aggre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WI459839B (zh) * 2010-04-02 2014-11-01 Mediatek Inc 管理多成分載波、緩存器狀態報告以及功率餘裕回報方法
US8625415B2 (en) * 2010-04-02 2014-01-07 Nokia Siemens Networks Oy Dynamic buffer status report selection for carrier aggregation
US8780729B2 (en) * 2010-05-03 2014-07-15 Nokia Corporation Monitoring pattern separation between component carriers based on user equipment RF layout
TW201210238A (en) * 2010-05-06 2012-03-01 Htc Corp Method of handling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101763978B1 (ko) * 2010-05-25 2017-08-0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비연속 수신에서의 리튜닝 갭 및 스케줄링 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7342A (ko) * 2008-12-11 2010-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캐리어 집적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 및 그것의버퍼 상태 보고 방법
KR20110112179A (ko) * 2010-04-06 201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Nokia Siemens Networks et al., ‘BSR for Carrier Aggregation’ 3GPP TSG-RAN WG2 Meeting #70 R2-102805(2010.05.10)*
인용발명: Nokia Siemens Networks et al., 'BSR for Carrier Aggregation' 3GPP TSG-RAN WG2 Meeting #70 R2-102805(2010.05.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835A (ko) 2011-12-02
EP2391172A3 (en) 2012-02-08
EP2391172B1 (en) 2013-09-18
CN102333347B (zh) 2014-09-10
EP2391172A2 (en) 2011-11-30
US20110292873A1 (en) 2011-12-01
EP2672778B1 (en) 2021-08-04
ES2895328T3 (es) 2022-02-18
US9413498B2 (en) 2016-08-09
TW201203949A (en) 2012-01-16
TWI444015B (zh) 2014-07-01
EP2672778A1 (en) 2013-12-11
CN102333347A (zh) 2012-01-25
JP2011250408A (ja)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98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682183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ランダムアクセス設定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684588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クロスキャリア・スケジューリングを考慮した下りリンクデータのバッファリ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460767B1 (ko) 전송 블록에서의 제어 정보의 효율적인 다중화
CN111918401B (zh) 报告侧链路承载配置的用户设备能力信息的方法和设备
KR10137835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네트워크로 측정 보고서를 제공하는 방법
US9967865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handle uplink (U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432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시 세컨더리 셀 릴리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6380860B2 (ja) 256qamに対するmcsテーブルの適応
CN111954310B (zh) 区分侧链路缓冲区状态报告中传送反馈模式的方法和设备
JP202019515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チャネル送信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48639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영구 스케줄링 동작을 재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741714A (zh) 下一代移动通信系统中支持多个调度请求的方法
US201300837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5584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EP28090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bundling for small cell enhanc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506645B1 (en)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ymbol configu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