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927B1 - WSUN을 위한 OpenAPI 어뎁터 - Google Patents

WSUN을 위한 OpenAPI 어뎁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927B1
KR101348927B1 KR1020120114650A KR20120114650A KR101348927B1 KR 101348927 B1 KR101348927 B1 KR 101348927B1 KR 1020120114650 A KR1020120114650 A KR 1020120114650A KR 20120114650 A KR20120114650 A KR 20120114650A KR 101348927 B1 KR101348927 B1 KR 101348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openapi
adapter
services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철
차승준
임형준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1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73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web services for network management, e.g.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 H04L41/028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web services for network management, e.g.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for search or classification or discovery of web services providing management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6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meta-data, objects or commands for formatting management information, e.g. usin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WSUN(Web Service on Universal Network)에서 Open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서비스와 다른 서브네트워크의 서비스 간에 상호운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OpenAPI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WSUN의 US(Universal Service) Broker와 웹상에 존재하는 OpenAPI 서비스 사이를 연결하는 OpenAPI 어댑터로서, OpenAPI 서비스의 설명정보를 수동적으로 유니버설 서비스 레지스트리(US Registry)에 등록하게 하는 서비스 등록기, 상기 서비스 등록기에 OpenAPI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해 대상 OpenAPI 서비스를 WSDL(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로 정의된 웹서비스로 변경하는 가상화기, 상기 서비스의 동적 발견을 위해 서비스 상태를 알려주는 이벤트 조절기, 상기 OpenAPI 어댑터의 모든 메시지 전달 업무를 관여하는 메시지 조절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OpenAPI 어댑터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모든 서브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는 OpenAPI 서비스를 자신의 서브네트워크 서비스인 것처럼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WSUN을 위한 OpenAPI 어뎁터{OpenAPI Adaptor for WSUN}
본 발명은 WSUN(Web Service on Universal Network)을 위한 Open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어댑터(Adap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WSUN에서 OpenAPI 서비스와 다른 서브네트워크의 서비스 간에 상호운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OpenAPI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환경이 도래하면서 유비쿼터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서브네트워크들이 다양화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서비스 검색을 위해 지니(Jini), UPnP, DPWS, Bluetooth 등 여러 서브네트워크(Sub-network)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기존 프로토콜 중 하나가 각종 디바이스 및 서비스의 위치, 정보, 상태 등의 유동성과 같은 발생되는 문제를 모두 해결하기는 어렵다. 이를 위해, 다양한 이질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 미들웨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개인 전자기기 및 가전제품에 특화된 새로운 서비스 디스커버리 미들웨어가 생겨나고 있다.
즉, 유비쿼터스 환경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시·공간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많은 종류의 유비쿼터스 디바이스와 서비스들이 개발되게 되었다. 이러한 서비스들이 통신하기 위해서 각각 나름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하나의 서브네트워크에서 개발된 서비스는 오직 해당 서브네트워크에서만 동작한다는 제약이 있다. 달리 말하면 특정 서브네트워크의 서비스는 다른 서브네트워크의 서비스와 호환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WSUN가 개발되었다.
WSUN은 SOA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웹서비스 기반으로 서브네트워크들을 저장하여 활용하다. 어댑터는 서브네트워크와 WSUN간의 가교 역할을 한다. 따라서 어댑터는 각 서브네트워크별로 하나씩 존재해야 한다. 이러한 어댑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직 네트워크 범위 안의 서브네트워크끼리 만의 통합을 제공한다. 도 1은 WSUN와 어댑터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이질적인 서브네트워크를 유니버설 네트워크(Universal Networks)로 하여 이 기종 서브네트워크 환경과 다양한 컴퓨팅 환경이 융합된 환경에서 웹서비스를 연계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비쿼터스 서브네트워크 연동을 위한 브로커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JINI 서비스와 웹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JINI 서비스와 웹서비스간의 연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룩업서비스, 어댑터, 등록 에이전트, 질의 에이전트, 디바이스/서비스 레지스트리, 컨텍스트 레지스트리 및 UDDI(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를 포함하는 JINI 서비스와 웹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연동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비특허문헌 등에는 서브네트워크의 상호운용을 위하여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웹서비스를 중간매개체로 하여 서비스들을 검색하고 사용하는 방식인 WSUN을 기반으로 지니 시스템과 이질의 서브네트워크 간의 상호운용을 위한 지니 어댑터를 설계하고 구현하고, 지니 어댑터는 룩업서비스, 지니 사용자, 웹서비스 사용자를 확장한 것이며, 지니 어댑터가 지니 서비스를 발견하여 웹서비스로 변환하고 UDDI에 등록하며, 지니 어댑터가 지니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여 WSUN을 이용하여 이질 서브네트워크 사용자의 서비스 검색에 활용하며, 지니 어댑터를 통하여 WSUN 클라이언트가 지니 서비스 상태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검색 및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이질의 네트워크 간의 상호운용을 위한 양방향 지니 어댑터 설계 및 구현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5458호(2010.06.1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6924호(2011.01.03 등록)
정보과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2008년 12월) pp.864-875 1738-6322 Yun-Young, H., Il-Jin O, Hyung-Jun, Y., Kyong-Ha, L., Kangchan, L., Seungyun, L., Kyu-Chul, L., 2008, Web Service on Universal Networks,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ICUIMC’08. ACM, 555-559. Il-Jon, O., Yun-Young, H., Kyu-Chul, L., 2008,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wo-way Jini Adaptor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Dec. 2008., 864-875 Hyung-Jun, Y., Yun-Young, H., Kyu-Chul, L., A Self-Organizing Two-way DPWS Adaptor for Adaptive Interoperability of Multiple Heterogeneous Services,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ICUIMC’10. ACM Hyung-Jun, Y., Dong-Ho, R., Hyun-Woo, L., Kyu-Chul, L., 2011, A Bluetooth Adaptor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Bluetooth and Heterogeneous Networks, Proceeding of the Information Networking (ICON) 2011, ICOIN ’11, IEEE, 478-483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서브네트워크들은 서비스 기술방식, 통신방식 및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언어가 상이함으로 인하여 서로 간에 상호운용이 되지 않는다. 유비쿼터스의 정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용자가 모든 서비스를 발견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한다. 하지만 기존의 서브네트워크는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WSUN에서 OpenAPI 서비스와 다른 서브네트워크의 서비스 간에 상호운용성을 갖는 WSUN을 위한 OpenAPI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든 서브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는 OpenAPI 서비스를 자신의 서브네트워크 서비스인 것처럼 활용하는 WSUN을 위한 OpenAPI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WSUN을 위한 OpenAPI 어댑터는 WSUN(Web Service on Universal Network)의 US(Universal Service) Broker와 웹상에 존재하는 OpenAPI 서비스 사이를 연결하는 Open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어댑터로서, OpenAPI 서비스의 설명정보를 수동적으로 유니버설 서비스 레지스트리(US Registry)에 등록하게 하는 서비스 등록기, 상기 서비스 등록기에 OpenAPI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해 대상 OpenAPI 서비스를 WSDL(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로 정의된 웹서비스로 변경하는 가상화기, 상기 서비스의 동적 발견을 위해 서비스 상태를 알려주는 이벤트 조절기, 상기 OpenAPI 어댑터의 모든 메시지 전달 업무를 관여하는 메시지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OpenAPI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기에서 정의된 WSDL과 추가적인 메타데이터는 변경 후 상기 US Registry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OpenAPI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조절기는 다른 타입의 분산된 서브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해서 각각의 메시지를 OpenAPI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OpenAPI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서브네트워크에 접속/해제, 서비스의 접속, 서비스 접속해제, 서비스 상태 변화로 실행되고, 서비스의 상태가 변경되거나 메타데이터 정보가 변경될 경우, 변경된 정보는 상기 US Registry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OpenAPI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WSUN안에 등록된 서비스를 활용하는 단일 서비스 또는 다른 서브네트워크의 서비스와 OpenAPI 서비스를 혼합하여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WSUN을 위한 OpenAPI 어댑터에 의하면, 모든 서브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는 OpenAPI 서비스를 자신의 서브네트워크 서비스인 것처럼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WSUN을 위한 OpenAPI 어댑터에 의하면, 클라이언트는 다른 서브네트워크의 서비스와 OpenAPI 서비스를 혼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WSUN와 어댑터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WSUN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OpenAPI 어댑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OpenAPI 어댑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구글 이미지 서비스인 피카사(Picasa)와 구글맵 서비스를 동작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다른 서브네트워크의 서비스와 OpenAPI 서비스를 혼합하여 활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OpenAPI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JavaScript 등의 웹 기술을 활용하여 웹사이트들 간에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OpenAPI 서비스들은 웹상에 존재하는 서비스이며, 이미 많은 서비스들이 배포되어 활용된다. 이러한 OpenAPI 서비스를 WSUN에 통합하게 되면, WSUN은 확장성을 갖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WSUN에 OpenAPI 서비스 적용을 위해 OpenAPI 어댑터를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WSUN에 저장된 디바이스와 서비스들은 범위 안의 다른 서브네트워크의 서비스 뿐만 아니라 웹 상에 존재하는 OpenAPI 서비스도 활용할 수 있다.
WSUN은 상기 비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SOA(Service-Oriented Architecture) 기반의 프레임워크로 유비쿼터스 웹서비스 들의 검색 및 바인딩을 제공한다. 상기 WSUN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WSUN 디바이스, US(Universal Service) Broker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WSUN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US Broker는 동적 검색 및 서브네트워크 간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핵심 모듈로, 크게 6가지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1) Listener : US Broker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한다.
2) 유니버설 서비스 레지스트리(US Registry) : 동적 검색을 위해 디바이스와 서비스의 정보, 디바이스의 위치 등을 저장하고 있다.
3) Query Agent : 클라이언트로부터 오는 질의를 처리한다.
4) Publish Agent : US Registry에 디바이스와 서비스의 정보를 저장한다.
5) Routing Proxy : 클라이언트의 서비스에 접속한다.
6) Adaptor : 서브네트워크와 US 브로커 사이의 중계 역할을 담당한다.
기본적인 동작방식은 다음과 같다. 어댑터에 의해 발견된 서비스는 Publish Agent에 의해 US Registry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Query Agent를 통해 서비스를 검색하며, 검색된 서비스는 Routing Proxy에 의해 바인딩된다.
이러한 어댑터는 각 서브네트워크와 WSUN 간의 연결점이기 때문에 각 서브네트워크별로 하나씩 존재해야 한다. 상기 비특허문헌 3,4,5에 개시된 바와 같이, JINI, DPWS, Bluetooth를 위한 어댑터는 이미 개발되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OpenAPI는 REST, SOAP, JavaScript 등의 웹 기술을 활용하여 웹사이트들 간에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이 OpenAPI의 적용 가능성은 단지 웹-기반의 애플리케이션에만 국한되지 않기 때문에 흔히 웹 2.0이라 불리워지는 새로운 웹 패러다임의 주요한 기술이 되었다.
OpenAPI 서비스에 대해 잘 정리해놓은 대표적인 사이트인 프로그래머블웹(Programmableweb)[http://www.programmableweb.com]에 따르면, 수천 개의 OpenAPI가 존재하며, 매월 30개 이상의 OpenAPI가 추가될 정도로 그 증가속도 또한 빠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OpenAPI 어댑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OpenAPI 어댑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OpenAPI 어댑터는 WSUN의 US Broker와 웹상에 존재하는 OpenAPI 서비스 간의 연결점을 구성한다.
상기 OpenAPI 어댑터는 WSUN 및 다른 어댑터들과 같이 SOA 개념을 따르며, 이러한 개념 설계는 저장소를 위한 유니버설 서비스 레지스트리(US Registry)와 OpenAPI 서비스 제공자(Provider), 요청자(Requester)로 구성된다.
OpenAPI 어댑터는 필요한 메타데이터(metadata)를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읽어와 수동적으로 US Registry에 입력해야 한다. US Registry에서는 다양한 이질적인 서비스들의 동적 발견을 위해 디바이스와 서비스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US Registry에 서비스를 저장시 다른 서브네트워크와 상호운용성을 갖기 위해 서비스들을 가상 웹서비스(Virtual web service) 형태로 변환한다.
서비스 요청자는 OpenAPI 어댑터에게 서비스를 요청한다. OpenAPI 어댑터가 요청된 서비스를 발견하였을 경우에는 요청자에게 해당 서비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OpenAPI 어댑터에서는 서비스 제공자와 요청자 간에 주고 받아야 하는 모든 메시지를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OpenAPI 어댑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즉, 가상화기(Virtualizer), 이벤트 조절기(Event Controller), 서비스 등록기(Service Register), 메시지 조절기(Message Controller)로 구성된다.
OpenAPI 서비스들이 이질적인 프로토콜의 다른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모든 OpenAPI 서비스들은 웹서비스 형태로 표출되어야 한다. WSUN의 US Registry에 등록된 모든 서비스들은 이미 웹 서비스 기술 언어(WSDL ; 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로 정의된 가상 웹서비스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상기 가상화기는 서비스 등록기에 OpenAPI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해 대상 OpenAPI 서비스를 WSDL로 정의된 웹서비스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의된 WSDL과 추가적인 메타데이터는 변경 후 US Registry에 저장된다.
상기 이벤트 조절기에서는 서비스의 동적 발견을 위해 서비스 상태를 알려준다. 클라이언트가 OpenAPI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클라이언트는 요청 당시에 가능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서비스 확인을 위해 OpenAPI 어댑터는 서비스에게 구독 메시지(Subscribe message)를 보낸다. 메시지는 웹 서비스 이벤팅(WS-Eventing) 표준을 맞도록 작성되며, 이를 통해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가 현재 접근 가능하다면 응답메시지에 구독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반환된다. 만약 OpenAPI 어댑터가 해당 서비스에 대한 상태가 변경됨을 확인하면,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새로 수정한다.
OpenAPI 서비스는 SOAP, REST, JavaScript, Atom/RSS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통해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서브네트워크의 서비스들은 규칙화되거나 표준적인 방법으로 서비스 설명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OpenAPI 서비스들은 단지 서비스 제공자의 웹페이지를 통해 서비스 설명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OpenAPI 서비스를 US Registry에 자동적으로 등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등록기에서는 OpenAPI 서비스 설명정보를 수동적으로 US Registry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를 제공한다.
상기 메시지 조절기는 OpenAPI 어댑터의 모든 메시지 전달 업무를 관여한다. OpenAPI는 HTTP 위에 SOAP, REST와 같은 경량화된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때문에 쉽게 통신이 가능하지만, 다른 타입의 분산된 서브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해서 각각의 메시지를 OpenAPI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WSUN을 위한 OpenAPI 어뎁터의 운영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운영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실행시(runtime)'와 '설계시(design time)'로 구성된다. 설계시에 어댑터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된다. 실행시에는 서비스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접속 해제되고, 또한 상태를 변경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사항들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OpenAPI 어댑터에서의 운영 프로세스를 다음과 같이 설계한다.
즉, 서브네트워크에 접속(join)/해제(leave), 서비스의 접속, 서비스 접속해제, 서비스 상태 변화로 설계한다.
상기 서브네트워크에 접속(훅업)은 다음과 같다.
WSUN 또는 특정 어댑터가 초기화될 때, 어댑터는 주위에 가능한 디바이스/서비스를 찾아서 관련된 정보를 US Registry에 저장한다. 이 작업을 훅업(Hook-up)이라고 부른다.
OpenAPI 서비스에서 서브네트워크는 웹 자체를 의미한다. 웹은 언제나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OpenAPI에서 의 훅업의 과정은 특별히 존재하지 않는다.
또, 상기 서비스의 접속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어댑터에서는 서비스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hello'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보낸다. 해당 어댑터는 메시지를 받은 후 해당 서비스가 US Registry에 등록된 적이 있는지 확인한다. 등록된 적이 없는 서비스일 경우에 해당 서비스의 메타데이터 정보를 저장소에 저장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이미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정보를 변경한다.
OpenAPI에서 설명정보 및 관련 메타데이터는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penAPI 서비스는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서비스를 읽어오고, 분석하고, 등록하기 어렵다. 따라서 관리자는 US Broker에 등록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수동적으로 입력해야 한다. OpenAPI에서 '접속'은 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의 해제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서비스가 서브네트워크에서 해제될 경우, 'bye' 메시지를 해당 어댑터에 전송한다. 어댑터는 해당 메시지를 받아 서비스 상태를 'disconnect'로 변경한다. 시스템 오류과 같이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해제될 경우를 위해 어댑터는 확인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보낸다. 서비스가 특정기간동안 해당 확인 메시지에 답을 하지 않을 경우 해당 서비스의 상태를 'disconnect'로 변경한다.
OpenAPI 서비스는 웹으로부터 제공하기 때문에 서비스가 불가능해질 경우 'bye' 메시지를 보낼 수 없다. 또한 서비스가 가용하지 않은 것이 실제 불가능한 건지 아니면 네트워크 문제와 같이 잠시 연결이 끊어진 것인지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OpenAPI에서 서비스의 해제는 다음 두 가지로 정의된다.
첫 번째는 관리자가 서비스의 상태를 수동적으로 'disconnect'로 변경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어댑터에서 해당 서비스에 주기적으로 메시지를 보내서 일정 기간 응답하지 않을 경우 'disconnect'로 변경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상태 변화는 다음과 같다.
서비스의 상태가 변경되거나 메타데이터 정보가 변경될 경우, 변경된 정보는 US Registry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OpenAPI 어댑터에서 단일 서비스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
모든 서브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는 OpenAPI 서비스를 자신의 서브네트워크 서비스인 것처럼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구글 이미지 서비스인 피카사(Picasa)와 구글맵 서비스를 동작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일 서비스일 경우에는 마치 OpenAPI 자체를 활용한 것 같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WSUN안에 등록된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OpenAPI 어댑터에서 다른 서비스와 혼합된 활용은 다음과 같다.
클라이언트는 도 6과 같이 다른 서브네트워크의 서비스와 OpenAPI 서비스를 혼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OpenAPI 서비스를 통해 피카사 서비스를 이용하여 도 6의 그림을 보고 있다. 만약 보고 있는 그림을 출력하고 싶은 경우에 어댑터를 통해 프린터 서비스를 찾게 된다.
만약 해당 서브네트워크에 프린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어댑터는 다른 서브네트워크의 서비스도 검색하게 되며, 그리고, 다른 서브네트워크(예: 블루투스)에 프린터가 검색되면 이미지를 전송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때 클라이언트는 프린터가 마치 자신의 서브네트워크에 있는 것처럼 활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WSUN에서 OpenAPI 서비스와 다른 서브네트워크의 서비스 간에 상호운용성을 제공하기 위해 OpenAPI 어댑터를 개발하였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WSUN을 위한 OpenAPI 어댑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모든 서브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는 OpenAPI 서비스를 자신의 서브네트워크 서비스인 것처럼 활용할 수 있다.

Claims (5)

  1. WSUN(Web Service on Universal Network)의 US(Universal Service) Broker와 웹상에 존재하는 OpenAPI 서비스 사이를 연결하는 Open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어댑터로서,
    OpenAPI 서비스의 설명정보를 수동적으로 유니버설 서비스 레지스트리(US Registry)에 등록하게 하는 서비스 등록기,
    상기 서비스 등록기에 OpenAPI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해 대상 OpenAPI 서비스를 WSDL(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로 정의된 웹서비스로 변경하는 가상화기,
    상기 서비스의 동적 발견을 위해 서비스 상태를 알려주는 이벤트 조절기,
    상기 OpenAPI 어댑터의 모든 메시지 전달 업무를 관여하는 메시지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enAPI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기에서 정의된 WSDL과 추가적인 메타데이터는 변경 후 상기 US Registry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enAPI 어댑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조절기는 다른 타입의 분산된 서브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해서 각각의 메시지를 OpenAPI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enAPI 어댑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서브네트워크에 접속/해제, 서비스의 접속, 서비스 접속해제, 서비스 상태 변화로 실행되고, 서비스의 상태가 변경되거나 메타데이터 정보가 변경될 경우, 변경된 정보는 상기 US Registry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enAPI 어댑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WSUN안에 등록된 서비스를 활용하는 단일 서비스 또는 다른 서브네트워크의 서비스와 OpenAPI 서비스를 혼합하여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penAPI 어댑터.
KR1020120114650A 2012-10-16 2012-10-16 WSUN을 위한 OpenAPI 어뎁터 KR101348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650A KR101348927B1 (ko) 2012-10-16 2012-10-16 WSUN을 위한 OpenAPI 어뎁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650A KR101348927B1 (ko) 2012-10-16 2012-10-16 WSUN을 위한 OpenAPI 어뎁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927B1 true KR101348927B1 (ko) 2014-01-09

Family

ID=5014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650A KR101348927B1 (ko) 2012-10-16 2012-10-16 WSUN을 위한 OpenAPI 어뎁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9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779A (ko)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엘에프아이티 OpenAPI 연계를 위한 자동 설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067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 서비스 기반 개방형 api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서버에서 통신망 이벤트 통보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70724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픈 api 통합 검색 및 매쉬업 블록 기반코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067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 서비스 기반 개방형 api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서버에서 통신망 이벤트 통보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70724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픈 api 통합 검색 및 매쉬업 블록 기반코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 (한국정보과학회) *
논문2 : (한국정보과학회)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779A (ko)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엘에프아이티 OpenAPI 연계를 위한 자동 설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eeb et al. Service-oriented architectures for embedded systems using devices profile for web services
CA2604897C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synchronous push-based applications on a wireless device
EP1542409B1 (en) Protocol for multi-hop ad-hoc networks
Leguay et al. An efficient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for heterogeneous and dynamic wireless sensor networks
Efremov et al. An integrated approach to common problems in the Internet of Things
Raverdy et al. A multi-protocol approach to service discovery and access in pervasive environments
US20110105024A1 (en) Transport independent service discovery
JP2006236354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のサービスフレームワーク及びその制御方法
EP2215547A1 (en) Integrating service-orientated architecture applications with a common messaging interface
US7693972B2 (en) Directory service in an automation system
JP4317562B2 (ja) ウェブサービス提供装置、ウェブサービス要請装置、ウェブ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ウェブサービス要請方法
Mingkhwan et al. Dynamic service composition in home appliance networks
Elenius et al. Ontology-based Service Discovery in P2P Networks.
Park et al. InterX: A service interoperability gateway for heterogeneous smart objects
CN102497364A (zh) 用于桥接IGRS设备和UPnP设备的桥接器及方法
KR101348927B1 (ko) WSUN을 위한 OpenAPI 어뎁터
Dave et al. Ponte message broker bridge configuration using mqtt and coap protocol for interoperability of IoT
CN101427519B (zh) 用于在网络中执行发现的设备、系统和方法
KR100965458B1 (ko) 유비쿼터스 서브네트워크 연동을 위한 브로커
Medeiros Araújo et al. The device service bus: a solution for embedded device integration through web services
KR101834637B1 (ko) 사설망을 지원하는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2317726A1 (en) Transport independent service discovery
JP2015201758A (ja) 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93712B2 (ja) ウェブ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ウェブサービス提供方法
Alexandrov et al. Implementation of 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in smart sensor systems integration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