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506B1 -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506B1
KR101348506B1 KR1020050128425A KR20050128425A KR101348506B1 KR 101348506 B1 KR101348506 B1 KR 101348506B1 KR 1020050128425 A KR1020050128425 A KR 1020050128425A KR 20050128425 A KR20050128425 A KR 20050128425A KR 101348506 B1 KR101348506 B1 KR 101348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input
unit
output
lin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1991A (ko
Inventor
김호영
Original Assignee
김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영 filed Critical 김호영
Priority to KR1020050128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5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0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2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the information being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또는 전자 기기나 혹은 전자 제품의 입출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을 공개한다.
이 장치는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선 접속부; 각 부에 필요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변환 공급부; 전력선 통신 신호를 추출하거나 전원 선으로 로딩하기 위한 전력선 커플링부;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조시키거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소정의 제어 데이터로 복조시키기 위한 변/복조부; 및 입출력 신호통로를 형성하는 회로 결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시스템은 입력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 통신 장치의 입력 제어 데이터를 받아 소정의 출력 제어 데이터를 발생하는 제어 본체, 및 제어 본체에 접속되어 전력선 통신하기 위한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제어 본체; 및 복수의 단말기들을 각각 제어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제어 본체와 전력선 통신하는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 제어 본체들을 포함한다. 이 장치 및 이 시스템에 의하면 연결 배선이 간단하고 그에 따라 설치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50128425
전력선 통신, 전력선 제어, 적외선 통신 적외선 제어

Description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INPUT/OUTPUT APPARATU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TERMINAL CONTROL SYSTEM USING IT}
도 1은 종래의 통신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의 제 1 실시 예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의 제 2 실시 예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일부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3의 타부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7은 데이터 포맷의 구조를 보인 펄스 파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의 제 3 실시 예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의 제 4 실시 예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1 실시 예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4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2 실시 예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8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3 실시 예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9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4 실시 예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1 ~ 300n : 단말기 6001 ~ 600n : 단말기 제어 본체
500 : 네트워크 제어 본체 610 : 회로 결합부
620 : 변/복조부 630 : 전력선 커플링부
640 : 전력선 접속부 650 : 전원 변환 공급부
660, 600-1 : 적외선 통신부 670 : 주파수 변환 회로부
680 : 단말기 제어부 681 : 입력 접속 장치
682 : 출력 접속 장치 683 : D/A변환기
684 : A/D변환기 686 : 인테페이스제어부
690 : 주변 입력 회로부
본 발명은 전기 또는 전자 기기나 혹은 전자 제품의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선 통신을 하기 위한 전기 또는 전자 기기나 혹은 전기 전자 제품의 입출력 장치 및, 그 입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단말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단말기들의 각각은 전기 또는 전자 기기나 혹은 전기 또는 전자 제품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전기 또는 전자 기기나 혹은 전자 제품은 입력 장치와 출력장치가 따로 분리되어 있다. 더욱이 입력 장치와 전원 공급 장치도 역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그러므로 모든 전기 또는 전자 기기나 혹은 전기 또는 전자 제품은 전원 전압을 공급받기 위하여서는 전원 단자와는 독립적으로 입력 단자를 두고 있다. 또한, 요즘 거의 모든 전기 또는 전자 기기나 혹은 전기 또는 전자 제품은 어댑터를 이용하여 직류 전원 전압을 공급받고 있으므로 전력선을 통하여 들어오는 입력 신호를 공급받을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전력선 통신을 하기 위하여서는 입력 단자와 전력선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중간 매체 수단을 필연적으로 설치하여야 했다.
그러나, 모든 전기 또는 전자 기기나 혹은 전기 또는 전자 제품에서 입력 단자와 전력선 간의 이러한 중간 매체 수단을 따로 설치한다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고 유선과 같은 중간 매체 수단의 처리가 그리 쉬지 않았다. 더욱이 중간 매체 수단을 무선 처리하는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시스템 자원이 요구되고 제조 원가가 경제 적이지 못하였다.
도 1은 종래의 통신 장치를 이용한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제어 본체(200)는 외부 통신 장치(30)로부터 내부 통신 장치(100)를 통신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기(300)를 제어한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특허 제 0400364호, 특허 제0475194호, 및 특허출원 제 2003-0006488호에 개시된 기술 내용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이때, 제어 본체(200)가 단말기(300)를 제어하려면 일대일 대응하는 시스템 자원들이 그만큼 많이 필요하였다. 다시 말하면, 제어 본체(200)와 각 단말기(300) 사이에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에 모뎀 시스템의 설치에 따른 비용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각 단말기(300)와 제어 본체(200) 사이에 통신 프로토콜 또는 데이터 포맷이 상호 호환성이 없어 통신 시스템을 설치하였더라도 제어 본체(200)가 각 단말기(300)를 제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제어 본체(200)와 각 단말기(300) 사이에 유선 통신을 하는 경우에 새로이 유선을 설치하기 때문에 배선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 공간이 말끔히 처리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요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 시스템의 개발이 한창이다.
도 2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도이다.
도 2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은 전력선 통신 송신부(10) 와 전력선 통신 수신부(20)를 포함한다. 전력선 통신 송신부(10) 및 전력선 통신 수신부(20)는 일반적으로 전력선 접속부(1), 전력선 커플링부(2), 변/복조부(3), 인터페이스부(4)를 각각 포함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은 제어 본체(200)와 각 단말기(300) 사이에 유선 통신을 하려면 통신 거리의 제약이 있어 장거리 통신을 하려면 필연적으로 중간 매체가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 개발중에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장거리 통신을 한 다음에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이동성이 취약하였고 또 하나의 유선이 필요하였다.
또한 제어 본체(200)와 각 단말기(300) 사이에 근 거리 무선 통신 방식중에 하나가 적외선 통신 방식이 연구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적외선 발광 및 수신의 범위가 한계가 있으므로 층간(1층 또는 2층) 또는 곡선이나 구부러진 부분에서는 통신의 제약이 따랐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전력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전력선을 통하여 전력과 함께 들어오는 전력선 통신신호를 주고 받기 위하여 전원 단자와 전력선 통신 신호의 입출력 단자를 하나의 공통 단자로 사용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전력과 함께 들어오는 전력선 통신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리모콘 방식의 적외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전력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네트워크 제어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전력선을 거쳐 단말기 제어 본체로 전송함으로써 외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복수의 단말기들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전력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리모콘 방식의 적외선 통신에 의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전력선을 거쳐 네트워크 제어 본체 또는 단말기 제어 본체로 전송함으로써 리모콘 방식의 적외선 통신에 의하여 복수의 단말기들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는 전력선을 통하여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전력선 접속부; 전력선 접속부에 접속되고 각 부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 전압보다 더 낮은 소정의 교류 전원 전압으로 다운시키고 다운된 교류 전원 전압을 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 변환 공급부; 전력선 접속부를 통하여 들어오는 전력으로부터 전력선 통신 신호만을 추출하거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원 선으로 로딩시키기 위한 전력선 커플링부;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조시키거나 전력선 커플링부로부터 추출된 전력선 통신 신호를 소정의 제어 데이터로 복조시키기 위한 변/복조부; 및 변/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데이터를 그 의 입출력 단자로 받아 입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그의 출력 단자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출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그의 입력 단자를 통하여 출력 신호인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의 입출력 단자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변/복조부에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회로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는 입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회로 결합부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입력 접속 장치; 출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회로 결합부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출력 접속 장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입출력인터페이스와 입력 접속 장치의 사이에 접속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입출력인터페이스와 출력 접속 장치의 사이에 접속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는 전력선을 통하여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전력선 접속부; 전력선 접속부에 접속되고 각 부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 전압보다 더 낮은 소정의 교류 전원 전압으로 다운시키고 다운된 교류 전원 전압을 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 변환 공급부; 전력선 접속부를 통하여 들어오는 전력으로부터 전력선 통신 신호만을 추출하거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원 선으로 로딩시키기 위한 전력선 커플링부;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조시키거나 전력선 커플링부로부터 추출된 전력선 통신 신호를 소정의 제어 데이터로 복조시키기 위한 변/복조부; 변/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데이터를 그의 입출력 단자로 받아 입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그의 출력 단자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출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그의 입력 단자를 통하여 출력 신호인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의 입출력 단자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변/복조부에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회로 결합부; 및 적외선 통신을 하기 위하여 변/복조부와 회로 결합부의 사이에 제 1 적외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는 전력선을 통하여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전력선 접속부; 전력선 접속부에 접속되고 각 부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 전압보다 더 낮은 소정의 교류 전원 전압으로 다운시키고 다운된 교류 전원 전압을 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 변환 공급부; 전력선 접속부를 통하여 들어오는 전력으로부터 전력선 통신 신호만을 추출하거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원 선으로 로딩시키기 위한 전력선 커플링부;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조시키거나 전력선 커플링부로부터 추출된 전력선 통신 신호를 소정의 제어 데이터로 복조시키기 위한 변/복조부; 변/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데이터를 그의 입출력 단자로 받아 입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그의 출력 단자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출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그의 입력 단자를 통하여 출력 신호인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의 입출력 단자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변/복조부에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회로 결합부; 적외선 통신을 하기 위하여 전력선 커플링부와 변/복조부의 사이에 제 2 적외선 통신부; 및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기 위하여 전력선 커플링부와 제 2 적외선 통신부의 사이에 주파수 변환 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단말기 제어시스템은 소정의 입력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외부 통신장치와 통신하는 내부 통신 장치; 상기 내부 통신 장치와 일체화되거나 분리되어 상호 접속되고 입력 제어 데이터를 받아 소정의 출력 제어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어 본체, 및 상기 제어 본체로부터 출력 제어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전력선에 싣거나 혹은 역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제어 본체; 및 그와 일체화되거나 분리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각 해당 단말기를 각각 제어하기 위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제어 본체와 전력선 통신 신호를 주고 받고 전력선 통신 신호를 출력 제어 데이터로 혹은 역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 제어 본체들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들의 각각은 전력선을 통하여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전력선 접속부; 전력선 접속부에 접속되고 각 부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 전압보다 더 낮은 소정의 교류 전원 전압으로 다운시키고 다운된 교류 전원 전압을 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 변환 공급부; 전력선 접속부를 통하여 들어오는 전력으로부터 전력선 통신 신호만을 추출하거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원 선으로 로딩시키기 위한 전력선 커플링부;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조시키거나 전력선 커플링부로부터 추출된 전력선 통신 신호를 소정의 제어 데이터로 복조시키기 위한 변/복조부; 및 변/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데이터를 그의 입출력 단자로 받아 입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그의 출력 단자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출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그의 입력 단자를 통하여 출력 신호인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의 입출력 단자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변/복조부에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회로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단말기 제어시스템은 소정의 입력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외부 통신장치와 통신하는 내부 통신 장치; 상기 내부 통신 장치와 일체화되거나 분리되어 상호 접속되고 입력 제어 데이터를 받아 소정의 출력 제어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어 본체, 및 상기 제어 본체로부터 출력 제어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전력선에 싣거나 혹은 역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제어 본체; 및 그와 일체화되거나 분리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각 해당 단말기를 각각 제어하기 위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제어 본체와 전력선 통신 신호를 주고 받고 전력선 통신 신호를 출력 제어 데이터로 혹은 역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단말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 제어 본체들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는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의 구성 이외에, 적외선 통신을 하기 위하여 변/복조부와 회로 결합부의 사이에 제 1 적외선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단말기 제어시스템은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의 구성 이외에, 적외 선 통신을 하기 위하여 전력선 커플링부와 변/복조부의 사이에 제 2 적외선 통신부; 및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기 위하여 전력선 커플링부와 제 2 적외선 통신부의 사이에 주파수 변환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들의 구성도이다.
도 3(b)에서 제 1 실시 예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는 그의 입출력 단자(I/O)로부터 들어오는 입력 신호는 그의 출력 단자(OUT)로 전송하고 그의 입력 단자(IN)로 들어오는 출력 신호는 그의 입출력 단자(I/O)로 전송하기 위한 회로 결합부(610)를 포함한다.
회로 결합부(610)의 출력 단자(OUT)는 입력 접속 장치(681) 및 출력 접속 장치(682)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장치들(681)(682)은 단말기의 제어부(685)에 접속된다.
또한 도 3(b)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는 전력선을 통하여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전력선 접속부(640), 전력선 접속부(640)를 통하여 들어오는 전력선 통신 신호를 추출하거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원 선으로 로딩시키기 위한 전력선 커플링부(630), 및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조시키거나 소정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소정의 제어 데이터로 복조시키기 위한 변/복조부(620)를 포함한다.
변/복조부(620)은 회로 결합부(610)의 입출력 단자(I/O)와 전력선 커플링부(630)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회로 결합부(610)의 입출력 단자(I/O)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조시켜 전력선 커플링부(630)로 공급하거나 혹은 전력선 커플링부(630)에 의하여 추출되는 소정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소정의 제어 데이터로 복조시켜 회로 결합부(610)의 입출력 단자(I/O)로 공급한다. 여기에서, 전력선 접속부(640)는 콘센트와 플러그이고 어댑터일 수도 있으며 이때, 어댑터인 경우에 어댑터로부터 발생되는 전원의 전압은 교류 전원의 전압이어야 한다. 전력선 커플링부(630)는 전력선 드라이버/트랜시버이다.
도 3(b)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는 전원 변환 공급부(650)를 더 포함한다. 전원 변환 공급부(650)은 전력선 접속부(6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부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 전압보다 더 낮은 소정의 교류 전원 전압으로 다운시키고 다운된 교류 전원 전압을 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만약에 전력선 접속부(640)는 콘센트와 어댑터인 경우에도 전원 변환 공급부(650)는 전력 전압보다 더 낮은 소정의 교류 전원 전압으로 다운시키지 않고 이미 다운된 교류 전원 전압을 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제, 도 3(b)은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력선 접속부(640)를 전력선에 접속시키면 전력과 함께 전력선을 통하여 들어온 소정의 제 1 전력선 통신 신호가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전력선 접속부(640)에 인가된다. 전력선 접속부(640)에 접속되는 전원 변환 공급부(650)는 공급된 전력 전압보다 더 낮은 소정의 교류 전원 전압으로 다운시키고 다운된 교류 전원 전압을 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시켜 소정의 전원 전압을 필요로 하는 각 부에 공급한다. 또한 전력선 접속부(640)에 접속되는 전력선 커플링부(630)는 전원 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제 1 전력선 통신 신호를 추출하여 이를 변/복조부(620)에 전달한다. 변/복조부(620)는 전달된 소정의 제 1 전력선 통신 신호를 소정의 제 1 제어 데이터로 복조하여 이를 회로 결합부(610)의 입출력 단자(I/O)로 제공한다. 그러면 회로 결합부(610)는 소정의 제 1 제어 데이터를 그의 출력 단자(OUT)로 전송한다. 회로 결합부(610)의 출력 단자(OUT)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제 1 제어 데이터는 입력 접속 장치(681)를 통하여 제어부(685)에 공급된다.
반대로, 제어부(685)로부터 출력된 소정의 제 2 제어 데이터는 출력 접속 장치(682)를 통하여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회로 결합부(610)의 입력 단자(IN)로 공급된다. 회로 결합부(610)의 입출력 단자(I/O)에 접속되는 변/복조부(620)는 소정의 제 2 제어 데이터를 공급받아 소정의 제 2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조시키고 이를 전력선 커플링부(630)로 제공한다. 전력선 커플링부(630)는 제공받은 소정의 제 2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원 선으로 로딩시킨다. 그러면 로딩된 소정 의 제 2 전력선 통신 신호는 전력선 접속부(640)를 통하여 전력선으로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전력선에 접속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를 통하여 전원 전압과 전력선 통신 신호가 모두 입력되고 전력선에 접속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를 통하여 전력선 통신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므로 제어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력선 통신 신호가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를 통하여 입력되고 출력되기 때문에 전력선 통신이 가능하다.
도 3(B)은 입출력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의 제 2 실시 예의 구성도이다.
도 3(B)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는 도 3(b)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구성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이하, 간단히 D/A변환기라 한다.)(683)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이하, 간단히 A/D변환기라 한다.)(684)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D/A변환기(683)는 회로 결합부(610)의 출력 단자(OUT)와 입력 접속 단자(681) 사이에, 그리고 A/D변환기(684)는 회로 결합부(610)의 입력 단자(IN)와 출력 접속 단자(682) 사이에 각각 접속된다.
또한 입력 접속 장치(681)는 각 단말기의 주변 회로 장치(도시 하지 않음)를 통하여 제어부(685)에 접속되는 반면에, 출력 접속 장치(682)는 주변 회로 장치를 통하여 제어부(685)에 접속된다. 그리고 주변 입력 회로부(690)은 주변 회로 장치를 통하여 제어부(685)에 접속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의 제 2 실시 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B)에서, 소정의 제 3 제어 데이터가 제어부(685)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제 3 제어 데이터는 주변 회로 장치를 통하여 출력 접속 장치(682)에 공급된다. 이때, A/D변환기(684)는 출력 접속 장치(68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회로 결합부(610)의 입력 단자(IN)에 디지털 신호가 공급된다. 회로 결합부(610)는 공급된 디지털 신호를 변/복조부(620)에 제공한다. 변/복조부(620)는 제공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소정의 제 3 제어 데이터를 공급받아 소정의 제 3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조시키고 이를 전력선 커플링부(630)로 제공한다. 전력선 커플링부(630)는 제공받은 소정의 제 3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원 선으로 로딩시킨다. 그러면 전원 선에 로딩된 소정의 제 3 전력선 통신 신호는 전력선 접속부(640)를 통하여 전력선으로 전송된다.
반대로 전력선을 통하여 전력과 함께 들어온 제 4 전력선 통신 신호는 변/복조부(620)에 의하여 제 4 제어 데이터가 추출되어 회로 결합부(610)를 통하여 D/A변환기(683)에 제공되면 이는 D/A변환기(683)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입력 접속 장치(682)로 공급된다. 이 아날로그 신호는 주변 회로 장치를 통하여 제어부(685)에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아날로그 신호가 입출력되더라도 전력선에 접속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를 통하여 전원 전압과 전력선 통신 신호가 모두 입력되고 전력선에 접속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를 통하여 전력선 통신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므로 제어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력선 통신 신호가 전력선 통신용 입출 력 장치(600)를 통하여 입력되고 출력되기 때문에 전력선 통신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제 3 및 제 4 실시 예들의 구성도이다.
도 4(b)에서 제 3 실시 예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는 회로 결합부(610)의 출력 단자(OUT)와 입력 접속 장치(681) 사이에 접속되는 입출력인터페이스(686)를 제외하고는 도 3(b)와 비슷하다.
도 4(b)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에서 입출력인터페이스(686)는 상호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로 결합부(610)와 입력 접속 장치(681) 및 출력 접속 장치(682) 사이의 신호의 전압, 주파수, 데이터의 형식, 타이밍 등의 전기적 특성, 공통의 물리적 상호 접속 특성, 명령과 응답 등의 논리적 특성을 변환시켜 준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제 3 실시 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력선 접속부(640)으로부터 회로 결합부(610)까지의 신호 전달 과정은 도 3(b)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제 5 제어 데이터가 회로 결합부(610)의 출력 단자(OUT)로부터 출력되면 입출력인터페이스(686)는 그 출력 신호를 받아 그의 전기적 특성, 상호 접속 특성, 논리적 특성을 변환시켜 입력 접속 장치(681)에 제공할 신호를 발생시킨다.
반대로 입출력인터페이스(686)는 출력 접속 장치(68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를 받아 그의 전기적 특성, 상호 접속 특성, 논리적 특성을 변환시켜 회로 결합부(610)에 제공할 신호를 발생시킨다. 회로 결합부(610)에 입력되는 신호는 제 6 제어 데이터이다. 회로 결합부(610)로부터 전력선 접속부(640)까지의 제 6 제어 데이터의 신호 전달 과정은 도 3(B)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도 4(B)에서 제 4 실시 예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는 도 4(b)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구성에 D/A변환기(683)와 A/D변환기(684)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D/A변환기(683)는 입출력인터페이스(686)와 입력 접속 단자(681) 사이에, 그리고 A/D변환기(684)는 입출력인터페이스(686)와 출력 접속 단자(682) 사이에 각각 접속된다.
이제,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제 4 실시 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력선 접속부(640)으로부터 입출력인터페이스(686)까지의 신호 전달 과정은 도 4(b)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입출력인터페이스(686)에 의하여 변환된 제 7 제어 데이터가 D/A변환기(683)에 공급되면 D/A변환기(683)는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 접속 장치(681)에 제공한다.
반대로 출력 접속 장치(68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A/D변환기(684)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입출력인터페이스(686)에 공급된다. 입출력인터페이스(686)로부터 전력선 접속부(640)까지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제 8 제어 데이터의 신호 전달 과정은 도 4(b)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회로 결합부(610)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5에서, 회로 결합부(610)는 제 1 및 제 2 OP앰프들(OP1)(OP2)을 포함한다. 제 1 OP 앰프(OP1)의 비반전(+) 단자와 회로 결합부(610)의 입출력 단자(I/O) 사이에 제 1 저항(R1)이 접속되고 제 1 OP 앰프(OP1)의 반전(-) 단자와 제 1 OP 앰프(OP1)의 출력 단자인 변환 회로(610)의 출력 단자(OUT) 사이에 제 4 저항(R4)이 접속된다. 제 1 저항(R1)의 일 단과, 제 2 저항(R2)의 일 단과, 제 1 OP 앰프(OP1)의 비반전(+) 단자가 상호 만나는 a 절점이다. 제 2 OP 앰프(OP2)의 출력 단자와 제 4 저항(R4)의 일단 사이에 제3 저항(R3)이접속된다. 제3 저항(R3)의 일 단과, 제 1 OP1 앰프(OP1)의 반전(-) 단자와, 제 4 저항(R4)의 일 단이 상호 만나는 접점은 b 절점이다. 또한 제 2 저항(R2)의 타 단과 제 3 저항(R3)의 타 단이 상호 만나는 접점은 c 절점이다. c 절점은 제 2 OP 앰프(OP2)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여기에서 제 1 저항(R2)의 값과 제 2 저항(R2)의 값이 동일하고 제 3 저항(R3)의 값과 제 4 저항(R4)의 값이 동일하다.
제 2 OP 앰프(OP2)의 비반전(+) 단자와 회로 결합부(610)의 입력 단자(IN) 사이에 제 5 저항(R5)이 접속되고 제 2 OP 앰프(OP2)의 반전(-) 단자와 제 OP 앰프 (OP2)의 출력 단자 사이에 제 6 저항(R6)이 접속된다. 제 2 OP 앰프(OP2)의 반전(-) 단자와 접지(GND) 사이에 제너 다이오드(ZD)와 제 7 저항(R7)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OP 앰프(OP2)의 반전(-) 단자와, 제 6 저항(R6)의 일단과, 제너 다이오드(ZD)의 일단과, 제 7 저항(R7)의 일 단이 상호 만나는 접점이 d 절점이다. d 절 점에는 전원 전압(VCC)가 인가된다.
이하, 회로 결합부(610)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1 저항(R1)의 값과 제 2 저항(R2)의 값은 동일하기 때문에 a 절점에서 보면, 회로 결합부(610)의 입력 단자(IN)를 통하여 들어와 제 2 OP 앰프(OP2)에 의하여 증폭되어 출력되는 제 1 입력 신호(Vin1)가 제 1 저항(R1) 및 제 2 저항(R2)에 의하여 분배된 그의 절반 값이 제 1 OP 앰프(OP1)의 비반전(+) 단자에 입력되고 b 절점에서 보면 제 3 저항(R3)의 값과 제 4 저항(R4)에 의하여 분배된 제 1 입력 신호(Vin1)의 절반 값이 제 1 OP(OP1)의 반전(-) 단자에 입력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 1 OP 앰프(OP1)의 비반자(+) 단자와 제 1 OP 앰프(OP1)의 반전(-) 단자에 제 1 입력 신호(Vin1)의 절반 값인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므로 제 1 OP 앰프(OP1)의 출력은 변하지 않는다. 이 결과로 회로 결합부(610)의 입력 단자(IN)를 통하여 들어온 제 1 입력 신호(Vin1)가 피드백되어 회로 결합부(610)의 출력 단자(OUT)로 출력되지 않고 회로 결합부(610)의 입출력 단자(I/O)로 출력된다. 여기에서, 제 1 입력 신호(Vin1)는 제 2 OP 앰프(OP2)의 출력 신호이면서 전원 전압(VCC)을 제 6 저항(R6) 및 제 7 저항(R7)에 의하여 분배되고 제너다이오드(ZD)에 의하여 안정화된 전압과, 회로 결합부(610)의 입력 단자(IN)의 입력 신호와 비교 증폭되는 신호이다.
한편, 회로 결합부(610)의 입출력 단자(I/O)를 통하여 들어온 제 2 입력 신호(Vin2)는 제 2 OP 앰프(OP2)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 결합부(610)의 입력 단자(IN)로 출력되지 않고 제 1 OP 앰프(OP1)를 통하여 회로 결합부(610)의 출력 단자(OUT)로 출력된다.
결과적으로 회로 결합부(610)는 그의 입력 단자(IN)로 들어오는 제 2 입력 신호(Vin2)는 출력 단자(OUT)로 출력된다.
도 6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변/복조부(620)의 구성도이다.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의 변/복조(620)는 회로 결합부(610)와 전력선 커플링부(630)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변/복조부(620)는 회로 결합부(610)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력선 커플링부(630)에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의 데이터 포맷을 갖춘 펄스 위치 변조(이하, 간단히 "PPM(Pulse Position Modulation)"라 함.)방식의 소정의 펄스 열을 형성하는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세서(621)와,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세서(621)에 클록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를 발생하는 클록 발생부(622)를 포함한다. 클록 신호의 주파수는 바람직하게는 1 ~ 10M Hz가 좋다. 또한 데이터 포맷 프로세서(621)는 전력선 커플링부(630)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회로 결합부(610)에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의 데이터 포맷을 갖춘 PPM 방식의 소정의 펄스 열로부터 소정의 제어 데이터만을 추출한다. 더욱이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세서(621)는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어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그램의 흐름에 의하여 작동한다.
이하, 도 3 및 도 4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변/복조부(620)의 동작을 설명한다.
회로 결합부(610)로부터 소정의 제어 데이터가 공급되면 변/복조부(620)의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세서(621)는 제어부(685)의 제어에 의하여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회로 결합부(610)로 공급받은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16진수 4비트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세서(621)는 자체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소정의 데이터 포맷을 각각 불러 온다. 이때,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세서(621)는 불러들인 소정의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부속에다 16진수 4비트 데이터로 변환된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넣어 소정의 데이터 포맷 신호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소정의 데이터 포맷 신호는 PPM 방식의 소정의 펄스 열이다.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세서(621)는 PPM 방식의 소정의 펄스 열을 형성한 후에 클록 발생부(622)로부터 발생되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를 받아 그 클록 신호의 주파수에 응하여 데이터 포맷 변환된 PPM 방식의 소정의 펄스 열을 출력한다. 클록 발생부(622)로부터 발생되는 클록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에 따라서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세서(622)로부터 출력되는 PPM 방식의 소정의 펄스 열이 바로 전력선 통신 신호이며 이 전력선 통신 신호는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세서(621)로부터 전력선 커플링부(630)로 공급된다.
반대로 전력선 커플링부(630)로부터 변/복조부(620)의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세서(621)로 전력선 통신 신호가 공급되면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세서(621)는 클록 발생부(622)로부터 발생되는 클록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에 따라서 전력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PPM 방식의 소정의 펄스 열인 소정의 데이터 포맷 신호속에 포함된 데이터부의 16진수 4비트 데이터를 다시 소정의 제어 데이터로 변환시켜 회로 결합부(610)로 공급한다.
도 7은 변/복조부(620)에서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세서(621)의 포맷 변환 프로그램에 의하여 형성되는 PPM 방식의 소정의 펄스 열인 소정의 데이터 포맷 신호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여기에서 (b)는 소정의 데이터 포맷 신호의 전체 포맷을 보인 도이고 (b)는 리더 코드부의 포맷을, (c)는 데이터 "0" 및 "1"를 의미하는 데이터 코드부의 포맷을 보인 도이며 (d)는 트레일러의 포맷을 보인 도이다.
도 7(b)에서 소정의 데이터 포맷 신호는 리더 코드부(L), 커스텀 코드부(C), 데이터 코드부(D), 및 트레일러(S)로 구성된다. 리더 코드부(L)는 전력선 통신 신호를 판독할 때에 필요한 신호이다. 일조의 송수신 변/복조부(620)들에서 송신측 변/복조부(620)와 수신측 변/복조부(620)는 통신 프로토콜이 상호 일치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송신측 변/복조부(62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그램에 의하여 먼저 리더 코드부(L)가 검출되고 나서 다음에 오는 커스텀 코드부(C)가 수신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커스텀 코드부(C)는 수신측 변/복조부(620) 자체의 고유 ID이고 이는 송신측 변/복조부(620)에서 자동 생성하여 수신측 변/복조부(620)로 전송하면 수신측 변/복조부(620)는 전송된 고유 ID를 판별함으로써 데이터 코드부(D)를 수신하게 된다. 데이터 코드부(C)는 16진수 4비트 데이터로 변환된 제어 데이터가 배열되는 것으로 제어 명령어 열이 나열된다.
그리고 커스텀 코드부(C) 및 데이터 코드부(D)는 8비트 단위로 16비트로 구성된다.
도 7(b)에서, 리더 코드부(L)의 총 주기는 12T이고 이 중에서 8T 주기가 하이 레벨이며 4T 주기가 로우 레벨이다. 여기에서, T는 035ms 초과하거나 0.5ms미만이다.
도 7(c)에서, "0" 데이터의 총 주기는 2T이고 이 중에서 1T 주기가 하이 레벨이며 1T 주기가 로우레벨이다. 또한 "1" 데이터의 총 주기는 4T이고 이 중에서 1T 주기가 하이 레벨이며 3T 주기가 로우 레벨이다.
도 7(d)에서 트레일러의 총 주기는 1T + 8ms이상이고 이 중에서 1T 주기가 하이 레벨이고 8ms 이상의 주기가 로우 레벨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제 5 실시 예의 구성도이다.
도 8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는 적외선 통신부(660)를 제외하고는 도 3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구성과 동일하고 그의 기능도 동일하다.
도 8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에서 제 1 적외선 통신부(660)는 한쌍의 제 1 및 제 2 적외선 송수신부들(660') (660")를 포함하고 회로 결합부(610)와 변/복조부(620) 사이에 접속된다. 또한 제 1 적외선 송수신부(660')는 변/복조부(620)를 통하여 들어온 제 5 제어 데이터를 회로 결합부(610)로 전송하고 제 2 적외선 송수신부(660")는 회로 결합부(610)를 통하여 들어온 제 6 제어 데이터를 변/복조부(620)로 전송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 1 적외선 송수신부(660')는 제 1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와 제 1 적외선 통신 수신부(660'-2)로 구성되는 반면에, 제 2 적외선 송수신부(660")는 제 2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와 제 2 적외선 통신 수신부(660"-2)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와 제 2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 각각은 엔코딩부(661), 변조 및 드라이버부(662), 발광부(663)를 각각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적외선 통신 수신부(660'-2)와 제 2 적외선 통신 수신부(660"-2) 각각은 수광부(664), 검파 및 파형 정형부(665), 디코딩부(666)를 각각 포함한다.
더욱이 제 1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의 발광부(663)과 제 1 적외선 통신 수신부(660'-2)의 수광부(664) 간의 연결이나 혹은 제 2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의 발광부(663)와 제 2 적외선 통신 수신부(660"-2)의 수광부(664) 간의 연결은 광파이버(667)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회로 결합부(610)는 제 1 적외선 통신 수신부(660'-2)의 디코딩부(666), 및 제 2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의 엔코딩부(661)에 각각 접속되는 반면에 변/복조부(620)는 제 1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의 엔코딩부(661), 및 제 2 적외선 통신 수신부(660"-2)의 디코딩부(666)에 각각 접속된다.
도 3, 6, 7에서 전력선으로부터 전력과 함께 제 1 전력선 통신 신호가 들어오면 전력선 접속부(610)를 통하여 전력과 함께 제 1 전력선 통신 신호가 전력선 커플링부(630) 및 전원 변환 공급부(650)로 각각 전송된다. 그러면 전원 변환 공급부(650)는 전력을 공급받아 소정의 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 전원 전압을 각부에 공급한다.
한편 전력선 커플링부(630)는 전력과 함께 전송되는 제 1 전력선 통신 신호를 추출하여 변/복조부(620)에 제공한다. 변/복조부(620)는 제공받은 제 1 전력선 통신 신호로부터 제 1 제어 데이터를 추출하여 적외선 통신부(660)로 공급한다. 적외선 통신부(660)는 변/복조부(620)로부터 제 1 제어 데이터를 공급받아 제 1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의 엔코딩부(661)로 보낸다. 엔코딩부(661)는 공급받은 제 1 제어 데이터를 엔코딩하여 변조 및 드라이버부(662)에 전달한다. 변조 및 드라이버부(662)에서는 엔코딩된 제 1 제어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보다 더 낮은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제 1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조하여 발광부(663)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변조된 적외선 통신 신호를 발광부(663)에 전달한다. 이때, 제 1 적외선 통신 신호의 포맷 구조는 도 6과 같다. 다시 말하면 제 1 적외선 통신 신호의 포맷은 전력선 통신 신호의 포맷과 동일하다. 즉, 적외선 통신 신호의 포맷은 리더 코드부(L), 커스텀 코드부(C), 데이터 코드부(D), 및 트레일러(S)로 구성된다. 발광부(663)는 적외선 통신 신호의 구동에 따라서 제 1 적외선 통신 신호와 함께 적외선 광을 공간에 전파한다.
제 1 적외선 통신 신호와 함께 공간에 전파된 적외선 광은 제 1 적외선 통신 수신부(660'-2)의 수광부(664)에 수신된다. 수광부(664)에 의하여 수신된 제 1 적외선 통신 신호는 검파 및 파형 정형부(665)에서 소정의 레벨로 증폭된다. 또한 검파 및 파형 정형부(665)는 제 1 제어 데이터를 검파 및 파형 정형하여 디코딩부(666)로 공급한다. 디코딩부(666)는 파형 정형된 제 1 제어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회로 결합부(610)로 제공한다.
반대로 제 2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가 회로 결합부(610)로부터 제 2 제어 데이터를 제공받는 경우에 제 2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의 엔코딩부(661)는 공급받은 제 2 제어 데이터를 엔코딩하여 변조 및 드라이버부(662)에 전달한다. 변조 및 드라이버부(662)는 엔코딩된 제 2 제어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보다 더 낮은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제 2 적외선 통신 신호로 변조하여 발광부(663)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변조된 제 2 적외선 통신 신호를 발광부(663)에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력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는 1 ~ 10 MHz가 좋고 적외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는 38 KHz가 좋다.
이때, 제 2 적외선 통신 신호의 포맷의 구조는 제 1 적외선 통신 신호의 포맷과 동일하다. 즉, 적외선 통신 신호의 포맷은 리더 코드부(L), 커스텀 코드부(C), 데이터 코드부(D), 및 트레일러(S)로 구성된다. 발광부(663)는 적외선 통신 신호의 구동에 따라서 제 1 적외선 통신 신호와 함께 적외선 광을 전파한다.
제 2 적외선 통신 신호와 함께 공간에 전파된 적외선 광은 제 2 적외선 통신 수신부(660'-2)의 수광부(664)에 수신된다. 수광부(664)에 의하여 수신된 제 2 적외선 통신 신호는 검파 및 파형 정형부(665)에서 소정의 레벨로 증폭된다. 또한 검파 및 파형 정형부(665)는 증폭된 제 2 적외선 통신 신호로부터 제 2 제어 데이터를 검파하고 파형 정형하여 제 2 제어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변/복조부(620)로 제공한다.
변/복조부(620)는 디코딩된 제 2 제어 데이터를 공급받아 제 2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조시키고 이를 전력선 커플링부(630)로 제공한다. 전력선 커플링부(630) 는 제공받은 제 2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원 선으로 로딩시킨다. 그러면 로딩된 제 2 전력선 통신 신호는 전력선 접속부(640)를 통하여 전력선으로 전송된다.
결과적으로 전력선을 통하여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60')로 혹은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60')로부터 전력선 통신 신호가 입력되거나 혹은 출력되므로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60')에 의하여 전력선 통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제 5 실시 예에서는 변/복조부(620)과 회로 결합부(610) 사이에 적외선 통신부(660)를 도 3(b)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60)에만 결합시키는 것을 보이고 설명하였지만 도 3(B) 및 도 4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60)에서도 적외선 통신부(660)를 변/복조부(620)과 회로 결합부(610)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그의 결합의 동작은 비슷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제 6 실시 예의 구성도이다.
도 9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는 제 2 적외선 통신부(660-1)가 전력선 커플링부(630)와 변/복조부(620) 사이에 접속되고 주파수 변환 회로부(670)를 더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8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구성과 동일하고 그의 기능도 동일하다. 여기에서, 적외선 통신부(660-1)는 제 3 및 제 4 적외선 통신 송수신부들(660'-1)(660"-1)을 포함하고 그들 각각은 제 3 및 제 4 송신부들(660'-1')(660"-1')와 제 3 및 제 4 수신부들(660'-2)(660"-2)로 구성된다. 또 한 제 3 및 제 4 송신부들(660'-1')(660"-1')은 각각 드라이버부(662'), 발광부(663)를 포함한다.
더욱이 제 1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의 발광부(663)과 제 1 적외선 통신 수신부(660'-2)의 수광부(664) 간의 연결이나 혹은 제 2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의 발광부(663)와 제 2 적외선 통신 수신부(660"-2)의 수광부(664) 간의 연결은 광파이버(667)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주파수 변환 회로부(670)는 전력선 커플링부(630)와 적외선 통신부(660-1) 사이에 접속된다. 또한 주파수 변환 회로부(670)는 전력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를 적외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로 또는 역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 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갖는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는 주파수만 상이할 뿐이지 신호 포맷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전력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는 1 ~ 10 MHz가 좋고 적외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는 38 KHz가 좋다.
다시 말하면 전력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를 적외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로 즉 1 ~ 10 MHz으로부터 38 KHz로 변환하거나 혹은 적외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를 전력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로 즉 38 KHz으로부터 1 ~ 10 MHz로 변환시킨다.
도 9에서 전력선을 통하여 전력과 함께 제 3 전력선 통신 신호가 들어오면 전력선 접속부(610)를 통하여 전력과 함께 제 3 전력선 통신 신호가 전력선 커플링부(630) 및 전원 변환 공급부(650)로 각각 전송된다. 그러면 전원 변환 공급부(650)는 전력을 공급받아 전력 전압보다 더 낮은 교류 전원 전압으로 다운시키고 다운된 교류 전원 전압을 소정의 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직류 전원 전압을 각 부에 공급한다. 전력선 커플링부(630)는 전원과 함께 전송되는 제 3 전력선 통신 신호를 추출하여 주파수 변환 회로부(670)에 제공한다. 주파수 변환 회로부(670)는 제 3 전력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제 3 전력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와 다른 제 3 적외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 3 적외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는 제 3 전력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보다 더 낮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력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는 1 ~ 10 MHz가 좋고 적외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는 38 KHz가 좋다. 더욱이 제 3 전력선 통신 신호의 포맷과 제 3 적외선 통신 신호의 포맷은 동일하고 그들의 포맷 구조는 도 7의 구조와 동일하다.
주파수 변환 회로부(670)로부터 제 3 적외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통신부(660-1)는 제 3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의 드라이버부(662') 및 발광부(663)를 통하여 제 3 적외선 통신 신호와 함께 공간에 적외선 광을 전파한다.
적외선 통신부(660-1)에서 제 3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로부터 제 3 적외선 통신과 함께 공간에 전파된 광을 제 1 적외선 통신 수신부(660'-2)를 통하여 수신하게 된다. 또한 제1 적외선 통신 수신부(660'-2)에 의하여 검파된 제 3 적외선 통신 신호를 출력한다.
변/복조부(620)는 전달된 제 3 적외선 통신 신호를 제 3 제어 데이터로 복조하여 제 3 제어 데이터를 회로 결합부(610)로 공급한다. 이때, 변/복조부(620)의 복조 주파수는 제 3 적외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다.
반대로 변/복조부(620)는 회로 결합부(610)로부터 제 4 제어 데이터를 공급 받아 제 4 적외선 통신 신호로 변조시킨다. 이때, 변/복조부(620)의 변조 주파수는 복조 주파수와 동일하고 제 4 적외선 통신 신호의 포맷은 제 3 적외선 통신 신호의 포맷과 동일하다.
제 4 적외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적외선 통신부(660-1)는 제 2 적외선 통신 송신부(660"-1')의 드라이버부(662') 및 발광부(663)를 통하여 제 4 적외선 통신 신호와 함께 공간에 광을 전파한다.
제 2 적외선 통신부(660-1)는 제 2 적외선 통신 수신부(660"-2)를 통하여 제 4 적외선 통신 신호와 함께 공간에 전파된 적외선 광을 수신하여 검파된 제 4 적외선 통신 신호를 주파수 변환 회로부(670)로 출력한다. 주파수 변환 회로부(670)는 제 4 적외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선 커플링부(630)로 제 4 통신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 4 적외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를 제 4 전력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 4 전력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는 제 4 적외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보다 더 높다. 더욱이 제 4 전력선 통신 신호의 포맷은 제 4 적외선 신호의 포맷과 동일하다.
전력선 커플링부(630)는 주파수 변환 회로부(670)로부터 제공받은 제 4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원 선으로 로딩시킨다. 그러면 로딩된 제 4 전력선 통신 신호는 전력선 접속부(640)를 통하여 전력선으로 전송된다.
결과적으로 전력선을 통하여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로 혹은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로부터 전력선 통신 신호가 입력되고 출력되므로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에 의하여 전력선 통신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00')의 제 6 실시 예에서는 전력선 커플링부(630)과 변/복조부(620) 사이에 주파수 변환부(670) 및 적외선 통신부(660)를 도 3(b)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60)에만 결합시키는 것을 보이고 설명하였지만 도 3(B) 및 도 4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60)에서도 주파수 변환부(670) 및 적외선 통신부(660)를 전력선 커플링부(630)과 변/복조부(620)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그의 결합의 동작은 비슷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10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외부 통신 장치(30), 외부 통신 장치(30)로부터 공중전화회선망(PSTN)을 통하여 혹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통신 장치(30)로부터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받는 네트워크 제어 본체(이하, 간단히 "NCB(Network Control Box)"라 함.)(500), 전력선을 통하여 NCB(500)로부터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수신받아 각 단말기들(3001 . . . . 300n)을 제어하는 복수의 단말기 제어 본체(이하, 간단히 "TCB(Terminal Control Box)라 함.)들(6001 . . . . 600n)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단말기들(3001 . . . . 300n)은 각 TCB들(6001 . . . . 600n)과 일체화되어 있거나 혹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호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 각 TCB들(6001 . . . . 600n)은 각 해당 단말기(3001 . . . . 300n)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한다.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각 단말기(3001 . . . . 300n)를 제어하기 위하여 NCB(500)에 접속되거나 내장되는 내부 통신 장치(100)의 수신기 식별 번호(이하, 간단히 "통신ID(identification)"라 함.)를 외부 통신 장치(30)에 입력하면 외부 통신 장치(30)와 NCB(500) 간에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NCB(500)는 외부 통신 장치(30)로부터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발생한다. 소정의 제어 데이터는 전력선을 통하여 각 TCB(6001 . . . . 600n)에 전달한다. 전력선을 통하여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전달받은 각 TCB(6001 . . . . 600n)는 각 해당 단말기(3001 . . . . 300n)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NCB(500)를 공중전화회선망(PSTN)을 통하여 혹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들어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의 실시 예만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인터넷망이나 전력선 망을 통하여 들어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도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1 및 제 2 실시 예들의 구성도이다.
도 11(b)에서 NCB(500)는 도 1의 구성 이외에, 도 3(b)과 비슷한 제 1 전력 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280)를 포함한다. 말하자면 NCB(500)는 도 1의 외부 통신 장치(3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내부 통신 장치(100), 메인 제어부(210)들을 구비하고 있는 제어 본체(200) 이외에, 도 3(b)과 비슷한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280)를 포함한다.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280)는 전력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선 접속부(640), 전력선 접속부(6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부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 전압보다 더 낮은 소정의 교류 전원 전압으로 다운시키고 다운된 교류 전원 전압을 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 변환 공급부(650), 전력선 접속부(640)를 통하여 들어오는 전력선 통신 신호를 추출하거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원 선으로 로딩시키기 위한 전력선 커플링부(630),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조시키거나 소정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소정의 제어 데이터로 복조시키기 위한 변/복조부(620), 및 변/복조부(620)로부터 들어오는 제어 데이터를 메인 제어부(210)로 전송하고 메인 제어부(200)로부터 발생되는 제어 데이터를 변/복조부(620)로 전송하기 위한 회로 결합부(610)를 포함한다.
각 TCB(6001 . . . . 600n)는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 단말기 제어부(680), 주변 입력 장치(690)를 각각 포함한다.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는 전력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선 접속부(640), 전력선 접속부(6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부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 전압보다 더 낮은 소 정의 교류 전원 전압으로 다운시키고 다운된 교류 전원 전압을 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 변환 공급부(650), 전력선 접속부(640)를 통하여 들어오는 전력선 통신 신호를 추출하거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원 선으로 로딩시키기 위한 전력선 커플링부(630),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조시키거나 전력선 커플링부(630)에 의하여 추출되는 소정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소정의 제어 데이터로 복조시키기 위한 변/복조부(620)로부터 들어오는 제어 데이터를 단말기 제어부(680)로 전송하고 단말기 제어부(680) 또는 주변 입력 장치(690)로부터 발생되는 제어 데이터를 변/복조부(620)로 전송하기 위한 회로 결합부(610), 회로 결합부(610)의 출력 단자(OUT)에 접속되는 입력 접속 장치(681), 및 회로 결합부(610)의 입력 단자(IN)에 접속되는 출력 접속 장치(68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입력 접속 장치(681) 및 출력 접속 장치(682)는 단말기 제어부(680)에 접속된다.
이제, 도 11(b)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1 실시 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b)에서 NCB(500)는 내부 통신 장치(100)를 통하여 외부 통신 장치(30)로부터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인 제어부(210)를 통하여 제 9 제어 데이터를 발생한다. 발생된 제 9 제어 데이터는 제 9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되어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280)를 통하여 전력선으로 전송된다.
이렇게 전력선으로 전송된 제 9 전력선 통신 신호는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각 TCB(6001 . . . . 600n)의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로 공급된다.
각 TCB(6001 . . . . 600n)는 그의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를 통하여 전력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제 9 전력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제 9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의 단말기 제어부(680)를 통하여 각 해당 단말기(3001 . . . . 300n)를 제어한다.
반대로 각 TCB(6001 . . . . 600n)의 단말기 제어부(680)로부터 제 10 제어 데이터가 발생되면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는 제 10 제어 데이터를 제 10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NCB(500)는 전력선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제 10 통신 신호를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280)로 수신한다. NCB(500)의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280)는 수신된 제 10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제 10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인 제어부(210)에 공급한다. 메인 제어부(210)는 공급받은 제 10 제어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동작 모드를 수행한다.
만약에 상기 동작 모드가 외부 통신장치(30)로 소정의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 이면 NCB(500)의 메인 제어부(210)은 설정된 외부 통신 장치(30)의 통신 ID를 내부 통신 장치(100)로부터 페이징하도록 제어하여 외부 통신 장치(30)와 내부 통신 장치(100)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에 내부 통신 장치(100)를 통하여 소정의 출력 데이터를 외부 통신 장치(30)로 전송한다. 이는 종래의 기술이므로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더욱이 각 각 TCB(6001 . . . . 600n) 중에서 어느 하나의 TCB로부터 다른 하나의 TCB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각 TCB(6001 . . . . 600n) 중에서 제 1 TCB(6001)로부터 제 N TCB(600n)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TCB(6001)의 단말기 제어부(680)로부터 제 11 제어 데이터가 발생되는 경우에 제 11 제어 데이터는 제 1 TCB(6001)의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를 통하여 전력선으로 전송된다. 전력선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제 11 제어 데이터는 제 N TCB(600n)의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에 의하여 수신된다. 그러므로 제 N TCB(600n)는 그의 단말기 제어부(620)를 통하여 제 1 TCB(6001)로부터 발생되는 제 11 제어 데이터로 제 N 단말기(300n)를 제어한다.
NCB(500)로부터 각 TCB(6001 . . . . 600n)를 혹은 역으로 또는 어느 하나의 TCB로부터 다른 하나의 TCB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은 변/복조부(620)가 그의 내장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그램에 의하여 커스텀 코드부(C)를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 커스텀 코드부(C)는 NCB(500) 또는 각 TCB(6001 . . . . 600n)의 고유 ID가 들어 있다. 송신 측에서 전력선을 통신 신호를 전송할 때에 그의 내장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 측 고유 ID를 커스텀 코드부(C)에 넣어 전송하면 그의 내장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신 측에서는 전송되어 온 전력선 통신 신호의 커스텀 코드부(C)의 데이터를 읽어 자신의 고유 ID와 비교한다.
도 11(B)은 도 3(B)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2 실시 예의 구성도이다.
도 11(B)의 단말기 제어시스템에서 각 TCB들(6001 . . . . 600n)은 D/A변환기(683) 및 A/D변환기(684)를 더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1(b)의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구성과 비슷하다. 각 TCB들(6001 . . . . 600n)의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에서, D/A변환기(683)는 회로 결합부(610)의 출력 단자(OUT)에 접속되고 A/D변환기(684)는 회로 결합부(610)의 입력 단자(IN)에 접속된다.
이제,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2 실시 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B)에서 NCB(500)으로부터 각 TCB들(6001 . . . . 600n)의 회로 결합부(610)까지의 신호 전달 과정은 도 11(b)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회로 결합부(6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2 제어 데이터는 D/A변환기(683)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입력 접속 단자(681)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가 주변 회로 장치를 통하여 단말기 제어부(683)에 제공된다. 그러면 단말기 제어부(683)는 각 해당 단말기(3001 . . . . 300n)를 제어하게 된다.
반대로 각 TCB들(6001 . . . . 600n)의 단말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인 제 13 제어 데이터가 주변 회로 장치 및 출력 접속 장치(682)를 통하여 A/D변환기(684)로 공급된다. 그러면 A/D변환기(684)는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 켜 회로 결합부(610)에 제공된다. 각 TCB들(6001 . . . . 600n)의 회로 결합부(610)으로부터 NCB(500)까지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제 13 제어 데이터의 신호 전달 과정은 도 11(b)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3 및 제 4 실시 예들의 구성도이다.
도 12(b)의 단말기 제어시스템은 각 TCB들(6001 . . . . 600n)의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가 회로 결합부(610)과 입력 접속 장치(681) 및 출력 접속 장치(682)의 사이에 접속되는 입출력인터페이스부(686)를 더 포함하는 것 이외에, 도 11(b)의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구성과 비슷하며 그의 기능도 동일하다.
이제,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3 실시 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b)에서 NCB(500)으로부터 각 TCB들(6001 . . . . 600n)의 회로 결합부(610)까지의 신호 전달 과정은 도 11(b)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입출력인터페이스(686)는 회로 결합부(610)의 출력 단자(OUT)로부터 제 14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의 전기적 특성, 상호 접속 특성, 논리적 특성을 변환시켜 입력 접속 장치(681)에 제공할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단말기 제어부(680)는 입력 접속 단자(681) 및 주변 회로 장치를 통하여 변환된 제 14 제어 데이터를 받아 각 해당 단말기(3001 . . . . 300n)를 제어하게 된다.
반대로 각 TCB들(6001 . . . . 600n)의 단말기 제어부(68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인 제 15 제어 데이터가 주변 회로 장치 및 출력 접속 장치(682)를 통하여 입출력인터페이스(686)에 공급한다. 그러면 입출력인터페이스(686)는 제 15 제어 데이터를 받아 그의 전기적 특성, 상호 접속 특성, 논리적 특성을 변환시켜 회로 결합부(610)에 제공할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하, 각 TCB들(6001 . . . . 600n)의 회로 결합부(610)으로부터 NCB(500)까지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제 15 제어 데이터의 신호 전달 과정은 도 11(b)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도 12(B)는 도 4(B)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4 실시 예의 구성도이다.
도 12(B)의 단말기 제어시스템에서 각 TCB들(6001 . . . . 600n)은 D/A변환기(683) 및 A/D변환기(684)를 더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2(b)의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구성과 비슷하고 그의 기능도 동일하다.
각 TCB들(6001 . . . . 600n)의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에서, D/A변환기(683)는 입출력인터페이스(686)와 입력 접속 장치(681) 사이에 접속되고 A/D변환기(684)는 입출력인터페이스(686)와 출력 접속 장치(682)에 접속된다.
이제,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4 실시 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B)에서 NCB(500)으로부터 각 TCB들(6001 . . . . 600n)의 입출력인터 페이스(686)까지의 신호 전달 과정은 도 12(b)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입출력인터페이스(686)로부터 출력되는 제 16 제어 데이터는 D/A변환기(683)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입력 접속 단자(681)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가 주변 회로 장치를 통하여 단말기 제어부(683)에 제공된다. 그러면 단말기 제어부(683)는 각 해당 단말기(3001 . . . . 300n)를 제어하게 된다.
반대로 각 TCB들(6001 . . . . 600n)의 단말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인 제 17 제어 데이터가 주변 회로 장치 및 출력 접속 장치(682)를 통하여 A/D변환기(684)로 공급된다. 그러면 A/D변환기(684)는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입출력인터페이스(686)에 제공된다. 각 TCB들(6001 . . . . 600n)의 입출력인터페이스(686)로부터 NCB(500)까지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제 17 제어 데이터의 신호 전달 과정은 도 12(b)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8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5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13의 단말기 제어시스템은 적외선 통신부(660)를 포함하고 있는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를 제외하고는 도 11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하고 그의 기능들도 동일하다.
도 13의 단말기 제어시스템에서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들(360')의 각각은 전력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선 접속부(640), 전력선 접속부(640)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각 부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 전압보다 더 낮은 소정의 교류 전원 전압으로 다운시키고 다운된 교류 전원 전압을 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 변환 공급부(650), 전력선 접속부(640)를 통하여 들어오는 전력선 커플링부(630),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소정의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조시키거나 소정의 전럭션 통신 신호를 소정의 제어 데이터로 복조시키기 위한 변/복조부(620), 적외선 통신을 하기 위하여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적외선 통신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다시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외선 통신부(660), 및 적외선 통신부(660)로부터 들어오는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그의 출력 단자(OUT)로 전송하고 그의 입력 단자(IN)로부터 들어오는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적외선 통신부(660)로 전송하기 위한 회로 결합부(610)를 포함한다. 또한 각 TCB들(6001 . . . . 600n)에서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의 적외선 통신부(660)의 구성은 도 8의 적외선 통신부(660)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13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에서 NCB(500)는 내부 통신 장치(100)를 통하여 외부 통신 장치(30)로부터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인 제어부(210)를 통하여 제 19 제어 데이터를 발생한다. 발생되는 제 19 제어 데이터는 제 19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되어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280)를 통하여 적외선 통신을 한 후에 전력선으로 전송된다.
이렇게 전력선으로 전송된 제 19 전력선 통신 신호는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각 TCB(6001 . . . . 600n)의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로 공 급된다.
각 TCB(6001 . . . . 600n)는 그의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를 통하여 전력선으로부터 공급받은 제 19 전력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제 19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고 적외선 통신을 한 후에 제 19 제어 데이터로 그의 단말기 제어부(680)를 통하여 각 단말기(3001 . . . . 300n)를 제어한다.
반대로 각 TCB(6001 . . . . 600n)는 각 TCB(6001 . . . . 600n)의 단말기 제어부(680)로부터 제 20 제어 데이터가 발생되면 각 TCB(6001 . . . . 600n)의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는 제 20 제어 데이터를 받아 적외선 통신부(660)에 의하여 적외선 통신을 한 후에 제 20 제어 데이터를 제 20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NCB(500)는 전력선로부터 전송되어 온 제 20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280)로 수신한다. NCB(500)의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280)는 수신된 제 20 전력선 통신 신호를 원래의 제 20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고 적외선 통신을 한 후에 제 20 제어 데이터를 메인 제어부(210)에 공급한다. 메인 제어부(210)는 공급받은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동작 모드를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NCB(500)로부터 각 TCB(6001 . . . . 600n)를 혹은 역으로 또는 어느 하나의 TCB로부터 다른 하나의 TCB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적외선 통신부(660)를 통하여 외부 리모콘(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서도 NCB(500) 또는 각 TCB(6001 . . . . 600n)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적외선 통신부(660)의 제 1 및 제 2 적외선 통신 수신부들(660'-2)(660"-2)의 수광부(664)은 외부 리모콘으로부터 공간으로 전파된 적외선 광을 적외선 통신 신호와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5 실시 예에서는 각 TCB(6001 . . . . 600n)의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의 변/복조부(620)와 회로 결합부(610) 사이에 적외선 통신부(660)를 도 11(b)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에만 결합시키는 것을 보이고 설명하였지만 도 11(B) 및 도 12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에서도 적외선 통신부(660)를 변/복조부(620)과 회로 결합부(610)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그의 결합의 동작은 비슷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9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6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14의 단말기 제어시스템에서는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가 전력선 커플링부(630)와 변/복조부(620) 사이에 접속되는 적외선 통신부(660-1), 및 주파수 변환 회로부(670)를 더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3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하고 그의 기능들도 동일하다. 여기에서, 주파수 변환 회로부(670)은 전력선 커플링부(630)와 적외선 통신부(660-1) 사이에 접속되고 도 9의 주파수 변환 회로부(670)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하다. 또한 적외선 통신부(660-1)의 제 3 및 제 4 적외선 통신 송신부들(660'-1')(660"-1') 각각은 드라이버부(662'), 발광부(663)를 포함한다.
도 14의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에서 NCB(500)는 내부 통신 장치(100)를 통하여 외부 통신 장치(30)로부터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인 제어부(210)을 통하여 제 21 제어 데이터를 발생한다.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280)는 발생된 제 21 제어 데이터를 적외선 통신 및 주파수 변환을 한 후에 제 21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환되고 제 21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력선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전력선으로 전송된 제 21 통신 신호는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각 TCB(6001 . . . . 600n)의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로 공급된다.
각 TCB(6001 . . . . 600n)는 그의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를 통하여 전력선으로부터 공급받은 제 21 전력선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변환 및 적외선 통신을 한 후에 제 21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고 제 21 제어 데이터로 그의 단말기 제어부(680)를 통하여 각 단말기(3001 . . . . 300n)를 제어한다.
반대로 각 TCB(6001 . . . . 600n)는 각 TCB(6001 . . . . 600n)의 단말기 제 어부(680)로부터 제 22 제어 데이터가 발생된 경우에 각 TCB(6001 . . . . 600n)의 제 2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360")는 발생된 소정의 21 제어 데이터를 적외선 통신 및 주파수 변환을 행한 후에 제 22 제어 데이터를 제 22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선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NCB(500)는 전력선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제 22 통신 신호를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280)로 수신한다. NCB(500)의 제 1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280)는 수신된 제 13 통신 신호를 주파수 변환 및 적외선 통신을 행한 후에 제 22 통신 신호를 소정의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여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메인 제어부(210)에 공급한다. 메인 제어부(210)는 공급받은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인식하고 그에 따른 동작 모드를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NCB(500)으로부터 각 TCB(6001 . . . . 600n)를 혹은 역으로 또는 어느 하나의 TCB로부터 다른 한의 TCB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적외선 통신부(660-1)를 통하여 외부 리모콘(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서도 NCB(500) 또는 각 TCB(6001 . . . . 600n)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적외선 통신부(660-1)의 제 1 및 제 2 적외선 통신 수신부들(660'-2)(660"-2)의 수광부(664)은 외부 리모콘으로부터 공간으로 전파된 적외선 광을 적외선 통신 신호와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의 제 6 실시 예에서는 전력선 커플링부(630)과 변/복조부(620) 사이 에 주파수 변환부(670) 및 적외선 통신부(660)를 도 11(b)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660)에만 결합시키는 것을 보이고 설명하였지만 도 11(B) 및 도 12의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단말기 제어시스템에서도 주파수 변환부(670) 및 적외선 통신부(660)를 전력선 커플링부(630)과 변/복조부(620)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그의 결합의 동작은 비슷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NCB(500)와 각 TCB(6001 . . . . 600n) 간의 연결 배선이나 혹은 각 TCB(6001 . . . . 600n)들 간의 연결 배선이 간단하고 그에 따라 설치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9)

  1. 전력선을 통하여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전력선 접속부;
    전력선 접속부에 접속되고 각 부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력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 전압보다 더 낮은 소정의 교류 전원 전압으로 다운시키고 다운된 교류 전원 전압을 직류 전원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 변환 공급부;
    전력선 접속부를 통하여 들어오는 전력으로부터 전력선 통신 신호만을 추출하거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전원 선으로 로딩시키기 위한 전력선 커플링부;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 신호로 변조시키거나 전력선 커플링부로부터 추출된 전력선 통신 신호를 소정의 제어 데이터로 복조시키기 위한 변/복조부; 및
    변/복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데이터를 그의 입출력 단자로 받아 입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그의 출력 단자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출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그의 입력 단자를 통하여 출력 신호인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의 입출력 단자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변/복조부에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회로 결합부;
    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입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회로 결합부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입력 접속 장치; 및
    출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회로 결합부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는 출력 접속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회로 결합부의 출력 단자와 입력 접속 장치의 사이에 접속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회로 결합부의 입력 단자와 출력 접속 장치의 사이에 접속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신호의 전기적 특성, 상호 접속 특성, 논리적 특성을 변환시키기 위하여 회로 결합부와 입력 접속 장치 및 출력 접속 장치의 사이에 접속되는 입출력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입출력인터페이스와 입력 접속 장치의 사이에 접속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입출력인터페이스와 출력 접속 장치의 사이에 접속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복조부는
    자체 내장된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그램의 작동에 의하여 회로 결합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데이터를 소정의 펄스 위치 변조방식으로 펄스 열의 전력선 통신 신호로 만들거나 혹은 전력선 커플링부로부터 추출된 펄스 열의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제어 데이터로 만드는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세서;
    상기 데이터 포맷 변환 프로세서에 클록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클록 신호를 발생하는 클록 발생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적외선 통신을 하기 위하여 변/복조부와 회로 결합부의 사이에 제 1 적외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적외선 통신을 하기 위하여 전력선 커플링부와 변/복조부의 사이에 제 2 적외선 통신부; 및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기 위하여 전력선 커플링부와 제 2 적외선 통신부의 사이에 주파수 변환 회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청구항 7 에 있어서,
    외부 리모콘과 적외선 통신이 가능한 제 1 적외선 통신부의 수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
  29. 청구항 8 에 있어서,
    외부 리모콘과 적외선 통신이 가능한 제 2 적외선 통신부의 수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시스템.
KR1020050128425A 2005-12-23 2005-12-23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제어시스템 KR101348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425A KR101348506B1 (ko) 2005-12-23 2005-12-23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425A KR101348506B1 (ko) 2005-12-23 2005-12-23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제어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125U Division KR200411201Y1 (ko) 2005-12-23 2005-12-23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991A KR20060001991A (ko) 2006-01-06
KR101348506B1 true KR101348506B1 (ko) 2014-01-07

Family

ID=3710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425A KR101348506B1 (ko) 2005-12-23 2005-12-23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731A (ko) * 2018-04-11 2019-10-21 울산과학기술원 전력선 통신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494B1 (ko) 2006-01-11 2007-06-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맨홀 내부 감시 장치
KR100900271B1 (ko) * 2007-07-26 2009-05-29 (주)내일커뮤니티 다중기능을 갖는 전력선 모뎀 및 그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시스템
EP3636009B1 (en) * 2017-06-26 2023-06-07 Tridonic GmbH & Co KG Adap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036081B1 (ko) * 2019-03-14 2019-10-25 박진형 펄스 위치변조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688A (ko) * 2001-07-06 2003-01-15 주식회사 젤라인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688A (ko) * 2001-07-06 2003-01-15 주식회사 젤라인 옥내 전력선을 이용한 정보통신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731A (ko) * 2018-04-11 2019-10-21 울산과학기술원 전력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064066B1 (ko) * 2018-04-11 2020-01-08 울산과학기술원 전력선 통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991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506B1 (ko)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제어시스템
US20170024354A1 (en) Single-wire interface bus transciver system based on i2c-bus, and associate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single-wire interface bus
JPH08314831A (ja) 赤外線通信装置及び方法
CN101697248B (zh) 可学习型红外遥控装置和方法
KR960016299A (ko) 제어 시스템, 신호 변조 및 복조 방법
EP1250026A1 (en) Short range data transfer for communication devices
WO2003096139A3 (de) Verbindungskabel zur kontaktlosen daten und energieübertragung
US69013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and channeling analog measurement and communication signals over single pair of wires
JP2003506949A (ja) シリアルバス通信システム
US4443786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employing wire and wireless transmission paths
KR200411201Y1 (ko) 전력선 통신용 입출력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제어시스템
JPWO2007049455A1 (ja) 半導体メモリカード
CN114531178B (zh) 一种充电及双向通讯系统与方法
JPH0823310A (ja) 光信号伝送装置
CN108765918A (zh) 一种红外装置及其运行方法
ATE375557T1 (de) Usb-verbindungsvorrichtung
US11683877B2 (en) Communication adaptor for converter for driving lighting means
CN101661548B (zh) 一种clf与sim卡的通信方法
CN207382324U (zh) 一种光端机系统
CN208141588U (zh) 一种闪电接口的遥控装置
KR100186316B1 (ko)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데이타 송수신 장치
KR100430483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리모콘의 적외선 신호 전송장치
KR900003639Y1 (ko) 더미 모뎀의 익스텐더회로
TW202007047A (zh) 無線供電裝置
RU2002125391A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искретных электических сигн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