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378B1 -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 Google Patents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378B1
KR101348378B1 KR1020110096697A KR20110096697A KR101348378B1 KR 101348378 B1 KR101348378 B1 KR 101348378B1 KR 1020110096697 A KR1020110096697 A KR 1020110096697A KR 20110096697 A KR20110096697 A KR 20110096697A KR 101348378 B1 KR101348378 B1 KR 101348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abricated house
hole
bar
plate
fla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954A (ko
Inventor
서자경
Original Assignee
서자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자경 filed Critical 서자경
Priority to KR1020110096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3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05Modulation co-ord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는, 일측으로 만곡된 판재형상으로 형성되어 둥근 지붕을 갖는 구조물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되는 복수 개의 조각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조립식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각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조각플레이트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과, 상기 돌출단에 장착되는 출입문과, 서로 다른 두 조립식 하우스의 돌출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를 이용하면, 둘 이상이 결합됨으로써 실내 공간 확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둘 이상의 실내 공간을 다양한 구조로 배치할 수 있으며, 결합 공정과 분리 공정이 간단하므로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Prefabricated extendable house}
본 발명은 현장에서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식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내 공간이 확장될 수 있도록 둘 이상이 결합될 수 있고,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기존의 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은 기둥과 골조를 토대로 벽체와 지붕 등을 설치하여 건축물을 축조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 건축물 축조방법은 필히 기둥과 골조가 갖추어져야 하므로 건축물을 축조하는데 따른 시간소모는 물론 비용이 고가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둥이나 골조 없이도 견고하게 축조될 수 있는 조립식 하우스가 제안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조립식 하우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하우스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하우스에 적용되는 조립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조립식 하우스에 적용되는 조립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하우스는 에스키모인들의 이글루와 유사한 반구 형태를 갖는 돔 형상의 조립식 하우스로서, 도 2와 같은 개략 삼각형, 또는 5각형, 6각형 등으로 구성되는 조립부재(2)가 이웃하는 조립부재(2)와 이음조립 됨으로써 축조된다.
상기 조립부재(2)는 금속프레임(3)상에 결합돌조(4)를 상하로 밴딩형성하고 각 변의 단부에는 장공 형태의 결합공(5)을 가진 연결편(6)을 각각 구비하여, 이웃하는 조립부재(2)의 대응하는 변에 형성된 연결편(6)에 체결볼트(7)와 너트(8)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의 금속프레임(3)은 발포사출금형에 인서팅하여 우레탄수지(9)를 발포성형하여 연결편(6)을 제외한 부분이 전체적으로 발포 우레탄수지(9)에 의하여 감싸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하우스(1)의 하단부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조립부재(2)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사각형의 조립부재(2)는 장공 형태의 결합공(5)을 가진 연결편(6)이 사방으로 각각 형성되어 체결볼트(7)와 너트(8)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조립식하우스는, 조립식 건축물을 돔형으로 축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조립부재(2)의 각변에 형성된 결합공(5)을 가진 연결편(6)을 이웃하는 조립부재(2)의 연결편(6) 상의 결합공(5)과 연접시킨 후 상기 결합공(5)을 관통하는 체결볼트(7) 및 너트(8)를 사용하여 나사조임하면 이웃하는 조립부재(2)와 연속이음이 가능하고, 상기 조립부재(2)를 각변마다 연속적으로 이음하면 전체적으로 돔형으로 조립식 건물이 간단히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조립식 하우스(1)에 포함되는 조립부재(2)는 내부에 금속프레임(3)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바, 구성 및 이에 따른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가 향상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조립식 하우스(1)는, 이웃하는 두 조립부재(2)을 연결시키고자 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부재(2)의 넓이 방향으로 체결볼트(7) 및 너트(8)를 체결해야 하는데, 상기 체결볼트(7) 및 너트(8)를 체결하기 위한 공구가 조립부재(2)에 간섭되어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조립식 하우스(1)는, 한 번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 실내공간을 더 넓히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해 및 재조립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시공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실내 공간이 확장될 수 있도록 둘 이상이 결합될 수 있고,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는,
일측으로 만곡된 판재형상으로 형성되어 둥근 지붕을 갖는 구조물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되는 복수 개의 조각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조립식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각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조각플레이트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과, 상기 돌출단에 장착되는 출입문과, 서로 다른 두 조립식 하우스의 돌출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돌출단의 끝단에는 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서로 다른 두 조립식 하우스의 플랜지를 상호 맞닿도록 결합시킨다.
상호 맞닿도록 결합되는 두 개의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돌출단의 끝단에는 상기 돌출단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관통로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주름관통로의 끝단에는 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서로 다른 두 조립식 하우스의 플랜지를 상호 맞닿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주름관통로는, 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된다.
중단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지면에 고정되고, 지면에 세워지는 조각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타측이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을 상기 조각플레이트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한다.
만곡된 빔 형상으로 형성되어, 둥근 지붕을 갖는 구조물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되는 복수 개의 조각플레이트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조각플레이트가 이루는 구조물은 평면 형상이 트랙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돌출단은 상기 구조물의 길이방향 양단과 폭방향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수나사를 구비하는 제1 체결나사와, 암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바를 구비하는 제2 체결나사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바는 상호 맞닿은 한 쌍의 플랜지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를 관통하도록 인입되고, 상기 수나사는 상호 맞닿은 한 쌍의 플랜지 중 다른 하나의 플랜지를 관통한 후 상기 돌출바의 암나사산에 체결된다.
상기 플랜지에는 횡단면이 비원형인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측면 일부에는 상기 관통공의 종방향을 따라 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사전에 설정된 각도로 배치되었을 때에만 상기 관통공을 관통할 수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지 못하는 각도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탄성편을 구비하는 관통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통바는, 길이가 겹쳐진 한 쌍의 플랜지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의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늘어났다가 상기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된다.
상기 관통공은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관통공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삽입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관통공 내측면 중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관통바가 전진할 때에는 상기 탄성편이 상기 걸림턱을 타고 넘어갈 수 있고 상기 관통바가 후진할 때에는 상기 탄성편이 상기 걸림턱을 타고 넘어가지 못하도록, 상기 탄성편은 끝단이 후방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걸림턱은 끝단이 전방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은 휘어질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를 이용하면, 둘 이상이 결합됨으로써 실내 공간 확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둘 이상의 실내 공간을 다양한 구조로 배치할 수 있으며, 결합 공정과 분리 공정이 간단하므로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하우스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하우스에 적용되는 조립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조립식 하우스에 적용되는 조립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출입문이 장착된 조각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돌출단이 형성된 두 개의 조각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에 포함되는 결합수단의 사시도 및 결합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에 포함되는 결합수단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결합수단 제2 실시예의 결합과정을 도시하는 수평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결합수단 제2 실시예의 분리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수평단면도이다.
도 17은 조각플레이트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조각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제2 실시예의 결합구조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의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는 일측으로 만곡된 판재형상의 조각플레이트(100)가 다수 개 연결되어 둥근 지붕을 갖는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조각플레이트(100)는 이웃하는 다른 조각플레이트(100)와 가장자리 부위가 겹쳐지도록 결합된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조립식 하우스는 이웃하는 두 개의 조립부재가 외측단이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므로 두 개의 조립부재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는 이웃하는 두 개의 조각플레이트(100)가 일부 겹쳐지도록 결합되므로 두 개의 조각플레이트(100) 간의 접촉면적은 현저히 증가되고 이에 따라 두 개의 조각플레이트(100) 간의 기밀성은 매우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는, 조각플레이트(100) 간의 기밀성이 향상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빗물, 바람, 먼지 등의 유입 우려가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하로 이웃하는 조각플레이트(100) 중 하측에 위치하는 조각플레이트(100)가 상측에 위치하는 조각플레이트(100)보다 더 외측으로 배치되는 경우 즉, 하측에 위치하는 조각플레이트(100)의 내측면이 상측에 위치하는 조각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조각플레이트(100)에 떨어지는 빗물이나 먼지 등이 상측에 위치하는 조각플레이트(100)의 외측면을 타고 두 개의 조각플레이트(100) 사이로 흘러들어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의 실내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하로 이웃하는 조각플레이트(100) 중 하측에 위치하는 조각플레이트(100)의 외측면은 상측에 위치하는 조각플레이트(10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조각플레이트(100)는, 최상측에 위치하는 조각플레이트(100)를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조각플레이트(100)가 배열되면 조립식 하우스의 상측으로 외력이 인가될 때 인가된 외력이 사방으로 고르게 분배되어 전달되므로, 조립식 하우스가 자중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무너지는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의 우려가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조각플레이트(100) 중 일부에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140)이 장착되고, 또 다른 일부에는 환기 및 채광, 시야 확보 등을 위한 창문(15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출입문(140)과 창문(150)은 수직으로 세워져야 하는바, 출입문(140)과 창문(150)이 장착되는 조각플레이트(100)에는 개구부(110)와, 상기 개구부(1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120)이 추가로 구비되며, 출입문(140)과 창문(150)은 상기와 같은 돌출단(120)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를 제작할 때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출입문(140)이나 창문(150)이 장착되지 아니하는 민패형 조각플레이트(100)와 출입문(140)이 장착되는 조각플레이트(100)를 지면에 세워 설치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150)이 장착되는 조각플레이트(100)를 그 위에 연결한 후, 민패형 조각플레이트(100)를 추가로 연결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지붕을 갖는 조립식 하우스를 완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는 보다 넓은 실내공간이 필요한 경우, 일체로 결합된 조각플레이트(100)들을 해체시킨 후 더 큰 규모의 구조물을 이루도록 다시 조립을 할 필요 없이, 또 다른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두 개의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의 실내공간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때, 상호 연결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들은 실내공간이 연통될 수 있도록, 개구부(110)가 형성된 조립플레이트(100)(더 명확하게는 개구부(1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돌출단(120))가 상호 결합되는데, 이와 같이 개구부(110)를 갖는 두 개의 조각플레이트(100)가 상호 연결되는 구조는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출입문(140)이 장착된 조각플레이트(10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돌출단(120)이 형성된 두 개의 조각플레이트(1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두 개의 돌출단(120)을 상호 연결시킬 때에는 각 돌출단(120)의 끝단이 맞닿도록 결합시켜야 하는데, 상기 돌출단(120)은 조각플레이트(100)와 마찬가지로 판재로 제작되어 끝단 면적이 좁으므로, 두 개의 돌출단(120) 끝단이 맞닿는 접촉면적이 좁아지고, 이에 따라 두 돌출단(120) 간의 결합력이 약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단(120)의 끝단에 플랜지(130)가 형성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돌출단(120)의 플랜지(130)들이 상호 맞닿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플랜지(130)는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데, 금속이나 합성수지는 경도가 매우 높으므로 두 개의 플랜지(130)가 상호 압착되더라도 상기 두 개의 플랜지(130) 사이에는 공극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공극을 통해 빗물이나 외부 이물질이 실내공간으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호 맞닿도록 결합되는 두 개의 플랜지(130) 사이에는 실링부재(160)가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재(160)는 돌출부의 끝단을 둘러싸도록 오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며, 플랜지(130)보다 연성이 큰 재료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실링부재(160)가 두 개의 플랜지(130) 사이에 압입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아니하고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의 플랜지(130)에는 상기 실링부재(160)가 접촉되는 부위에 실링부재(160) 일부가 묻힐 수 있는 요입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요입홈의 깊이가 너무 깊어 실링부재(160)가 완전히 묻히게 되면, 상기 실링부재(160)가 실링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요입홈의 깊이는 실링부재(160) 두께의 1/2 미만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에 포함되는 결합수단의 사시도 및 결합단면도이다.
상호 맞닿는 두 개의 플랜지(13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은, 두 개의 플랜지(130)를 상호 압착시킬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수단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212)를 구비하는 제1 체결나사(211)와, 암나사산(217)이 형성된 돌출바(216)를 구비하는 제2 체결나사(21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130)에는 수나사(212)와 돌출바(216)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바, 상기 돌출바(216)는 상호 맞닿은 한 쌍의 플랜지(130)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130)(도 11에서는 좌측 플랜지(130))를 관통하도록 인입되고, 상기 수나사(212)는 상호 맞닿은 한 쌍의 플랜지(130) 중 다른 하나의 플랜지(130)(도 11에서는 우측 플랜지(130))를 관통한 후 상기 돌출바(216)의 암나사산(217)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플랜지(130)를 압착시키게 된다.
한편, 제1 체결나사(211)의 수나사(212)를 제2 체결나사(215)의 돌출바(216)에 체결시킬 때에는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1 체결나사(211)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2 체결나사(215)가 제1 체결나사(211)와 함께 회전하게 되면 상기 수나사(212)가 돌출바(216)에 결합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체결나사(215)의 헤드부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되고, 돌출바(216)가 관통하는 플랜지(130)에는 제2 체결나사(215)의 헤드부가 묻혔을 때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제2 체결나사(215)의 헤드부와 동일한 형상의 다각형 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에 포함되는 결합수단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결합수단 제2 실시예의 결합과정을 도시하는 수평단면도이다.
한 쌍의 플랜지(13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 구조로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한 손으로는 제1 체결나사(211)를 일측 플랜지(130)에 삽입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는 제2 체결나사(215)를 타측 플랜지(130)에 삽입시킨 후,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제1 체결나사(211)를 회전시켜야 하는바, 조립공정이 다소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플랜지(130)에 체결된 제1 체결나사(211)와 제2 체결나사(215)를 탈거시킬 때에도,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공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제1 체결나사(211)를 어느 정도 회전 시킨 이후 한 손으로는 제1 체결나사(211)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제2 체결나사(215)를 잡아 당겨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결합수단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한 쌍의 플랜지(130)를 결합시킬 수 있고, 체결 및 탈거가 매우 용이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플랜지(130)에는 횡단면이 비원형인 관통공(132)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32)의 내측면 일부에는 상기 관통공(132)의 종방향을 따라 둘 이상의 걸림턱(13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사전에 설정된 각도로 배치되었을 때에만 상기 관통공(132)을 관통할 수 있는 몸체(222)와, 상기 몸체(222)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몸체(222)가 관통공(132)을 관통하지 못하는 각도로 배치되었을 때 걸림턱(134)에 걸리는 탄성편(226)을 구비하는 관통바(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공(132)이 일방향(도 12에서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몸체(222)는 관통공(132)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삽입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걸림턱(134)은 관통공(132) 내측면 중 폭방향 양측(도 12에서는 좌우측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222)의 너비방향이 좌우를 향하도록 즉,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22)를 수평방향으로 눕힌 상태로 관통바(224)를 관통공(132)에 삽입시키면, 관통바(224)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22)가 플랜지(130)의 외측면(도 14에서는 좌측 플랜지(130)의 좌측면)에 간섭될 때까지 관통공(132) 내측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226)은 어느 정도 압축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바, 관통바(224)가 관통공(132)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안 걸림턱(134)을 타고 넘어가 걸림턱(134)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편(226)이 걸림턱(134)에 걸린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강압적으로 체결핀(220)을 뽑지 아니하는 한, 상기 한 쌍의 플랜지(130)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결합수단이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구조로 구성되면, 작업자는 체결바를 관통공(132)에 밀어 넣는 조작만으로 한 쌍의 플랜지(130)를 결합시킬 수 있는바, 두 개의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를 연결시키는 작업을 보다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핀(220)이 한 쌍의 플랜지(130)를 보다 큰 힘으로 압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관통바(224)는 겹쳐진 한 쌍의 플랜지(130)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의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늘어났다가 상기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바(224)가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면, 도 14에 도시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관통바(224)의 끝단을 잡고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겼을 때 상기 관통바(224)가 늘어나면서 상기 탄성편(226)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134)을 더 타고 넘어가게 되고, 관통바(224)를 잡아당기던 힘을 해제하면 관통바(224)는 원래의 길이로 수축되고자 하는바, 상기 한 쌍의 플랜지(130)는 관통바(224)의 수축력에 의해 상호 압착된다.
한편, 관통바(224)가 전진할 때(관통공(132) 내측으로 삽입될 때)에는 탄성편(226)이 걸림턱(134)을 보다 원활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고 관통바(224)가 후진할 때(관통공(132)에서 뒤로 빠질 때)에는 탄성편(226)이 걸림턱(134)을 타고 넘어가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탄성편(226)은 끝단이 후방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걸림턱(134)은 끝단이 전방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편(226)이 걸림턱(134)을 일방향(관통공(132)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탄성편(226)과 걸림턱(134)이 경사지게 형성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32)에 삽입된 관통바(224)는 몸체(222)가 플랜지(130)에 간섭되므로 더 이상 전진하지도 못하고 탄성편(226)이 걸림턱(134)에 걸리므로 후진하지도 못하게 되는바, 탄성편(226)이나 걸림턱(134)이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상기 한 쌍의 플랜지(130)는 상호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226)은 보다 확실하게 걸림턱(134)에 걸릴 수 있도록 기준치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탄성편(226)이 길게 형성되는 경우 걸림턱(134)을 보다 원활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휘어질 수 있는 연성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15 및 도 16은 결합수단 제2 실시예의 분리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수평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된 한 쌍의 플랜지(13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22)를 90도 회전시켜 관통공(132)의 길이방향과 몸체(222)의 폭방향을 일치시킨다. 이와 같이 몸체(222)가 90도 회전되면 관통바(224) 역시 90도 회전되므로, 탄성편(226)은 걸림턱(134)으로부터 이탈되므로, 몸체(222)를 뒤로 잡아 당겼을 때 관통바(224)는 관통공(132)으로부터 빠지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플랜지(130)는 결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플랜지(13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본 실시예에 도시된 체결핀(220)으로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한 쌍의 플랜지(130)를 결합시키는 작업뿐만 아니라 결합된 한 쌍의 플랜지(130)를 분리시키는 작업까지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7은 조각플레이트(10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를 제작할 때에는,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 개의 조각플레이트(100)를 지면에 세워 고정시켜야 하는데, 상기 조각플레이트(100)는 두께가 얇아 자체적으로 지면에 세워지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각플레이트(100)가 지면에 세워 고정되더라도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측방향으로 밀려 이동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는, 중단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앵커(320)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조각플레이트(100)의 수직부(102) 측면에 접촉되는 고정부재(300)와, 상기 고정부재(300)의 타측을 상기 조각플레이트(100)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31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30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으로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300)가 조각플레이트(100)의 내측면에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부재(300)가 조각플레이트(100)의 외측면에 체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면에 세워지는 조각플레이트(100)가 한 쌍의 고정부재(300)에 의해 고정되면, 측방향으로의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고정부재(300)나 앵커(320)가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지면에 세워진 조각플레이트(100)가 움직이지 아니하게 된다.
도 18 및 도 19는 조각플레이트(1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400)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최상측에 위치하는 조각플레이트(100)를 중심으로 복수 개의 조각플레이트(100)가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되면, 조립식 하우스의 상측으로 외력이 인가될 때 인가된 외력이 사방으로 고르게 분배되어 전달되므로, 조립식 하우스가 자중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무너지는 현상이 어느 정도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산사태 등과 같은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조립식 하우스가 무너지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는, 만곡된 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복수 개의 조각플레이트(100)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400)이 추가로 구비되면, 외력에 의해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가 무너지는 현상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현상까지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H빔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조각플레이트(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기준치 이상의 강성을 가질 수만 있다면, 금속뿐만 아니라 강화플라스틱, 목재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상 즉, 돔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평면 형상이 트랙 형상을 이루도록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가 평면 형상이 트랙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개구부(110)와 돌출단(120)이 길이방향 양단뿐만 아니라 폭방향 양측에도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에 전후, 좌우 방향으로 다수 개의 또 다른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가 하나로 연결되면, 실내공간이 보다 넓어질 뿐만 아니라, 바람이나 태풍 등에 의해 날아가거나 움직이게 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제2 실시예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며,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플랜지(130)가 돌출단(120)의 끝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두 개의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를 연결할 때 두 개의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의 배열구조가 일정하게 한정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는 자체 중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를 정확한 지점에 위치시켜 두 개의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를 상호 연결시키는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는, 돌출단(120)의 끝단에 주름관통로(170)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주름관통로(170)의 끝단에 플랜지(130)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관통로(170)는 길이방향이 좌우로 자유롭게 굽혀질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돌출단(120)과 플랜지(130) 사이에 주름관통로(170)가 구비되면 상호 연결되는 두 개의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간의 배열 방향이 보다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22 참조).
또한, 두 개의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를 연결시킬 때에도,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전체를 이동시키지 아니하고 플랜지(130)만을 이동시켜 서로 다른 두 조립식 하우스의 플랜지(130)들을 상호 맞닿게 할 수 있는바, 두 개의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연결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주름관통로(170)는 연성이 없는 재료로 제작되어 좌우로 휘어지지 아니하고 길이만이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상호 연결되는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간의 배열방향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조각플레이트 110 : 개구부
120 : 돌출단 130 : 플랜지
132 : 관통공 134 : 걸림턱
140 : 출입문 150 : 창문
160 : 실링부재 211 : 제1 체결나사
212 : 수나사 215 : 제2 체결나사
216 : 돌출바 217 : 암나사산
220 : 체결핀 222 : 몸체
224 : 관통바 226 : 연장편
300 : 고정부재 310 : 체결수단
320 : 앵커 400 : 지지프레임

Claims (14)

  1. 일측으로 만곡된 판재형상으로 형성되어 둥근 지붕을 갖는 구조물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되는 복수 개의 조각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조립식 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각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조각플레이트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과, 상기 돌출단에 장착되는 출입문과, 서로 다른 두 조립식 하우스의 돌출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단의 끝단에는 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서로 다른 두 조립식 하우스의 플랜지를 상호 맞닿도록 결합시키며,
    상기 플랜지에는 횡단면이 비원형인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내측면 일부에는 상기 관통공의 종방향을 따라 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사전에 설정된 각도로 배치되었을 때에만 상기 관통공을 관통할 수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지 못하는 각도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탄성편을 구비하는 관통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호 맞닿도록 결합되는 두 개의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의 끝단에는 상기 돌출단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관통로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주름관통로의 끝단에는 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서로 다른 두 조립식 하우스의 플랜지를 상호 맞닿도록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통로는, 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6.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단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지면에 고정되고, 지면에 세워지는 조각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타측이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을 상기 조각플레이트에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7.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곡된 빔 형상으로 형성되어, 둥근 지붕을 갖는 구조물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되는 복수 개의 조각플레이트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8.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각플레이트가 이루는 구조물은 평면 형상이 트랙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돌출단은 상기 구조물의 길이방향 양단과 폭방향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9.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수나사를 구비하는 제1 체결나사와, 암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바를 구비하는 제2 체결나사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바는 상호 맞닿은 한 쌍의 플랜지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를 관통하도록 인입되고, 상기 수나사는 상호 맞닿은 한 쌍의 플랜지 중 다른 하나의 플랜지를 관통한 후 상기 돌출바의 암나사산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바는, 길이가 겹쳐진 한 쌍의 플랜지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의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늘어났다가 상기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관통공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삽입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관통공 내측면 중 폭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바가 전진할 때에는 상기 탄성편이 상기 걸림턱을 타고 넘어갈 수 있고 상기 관통바가 후진할 때에는 상기 탄성편이 상기 걸림턱을 타고 넘어가지 못하도록, 상기 탄성편은 끝단이 후방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걸림턱은 끝단이 전방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휘어질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KR1020110096697A 2011-09-26 2011-09-26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KR101348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697A KR101348378B1 (ko) 2011-09-26 2011-09-26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697A KR101348378B1 (ko) 2011-09-26 2011-09-26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954A KR20130032954A (ko) 2013-04-03
KR101348378B1 true KR101348378B1 (ko) 2014-01-07

Family

ID=4843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697A KR101348378B1 (ko) 2011-09-26 2011-09-26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3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7417U (ko) * 1983-04-04 1984-12-22 김기주 조립식 주택의 조립 세트(Set)
KR20070011210A (ko) * 2006-12-26 2007-01-24 박현주 확장이 용이한 돔형 구조물을 만드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7417U (ko) * 1983-04-04 1984-12-22 김기주 조립식 주택의 조립 세트(Set)
KR20070011210A (ko) * 2006-12-26 2007-01-24 박현주 확장이 용이한 돔형 구조물을 만드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954A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0005A (en) High strength, light weight, portable building
US7814727B2 (en) Wall structure assembly
US6923195B2 (en) Skeleton frame assembly for a tent
KR101345989B1 (ko) 합성목재 난간 결합구조
KR20090001153A (ko)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KR100968216B1 (ko) 조립식 지붕구조물
JP2006207363A (ja) ウッドデッキの施工方法
KR101499040B1 (ko)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JP4202892B2 (ja) 間仕切部分における柱撤去梁補強方法及び梁補強構造
KR101533294B1 (ko) 조립식 파고라 기둥 구조체
KR101348378B1 (ko)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
WO2007129320A2 (en) Snapped flexible panels
KR101702221B1 (ko)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KR200462075Y1 (ko) 목재와 금속재를 병용한 조립식 기둥
KR101715681B1 (ko) 센터프레임에 대한 다방향 지지프레임의 조립식 연결구조를 갖는 보강형 막 구조물
KR101006388B1 (ko) 펜스고정장치
KR101247679B1 (ko) 패널 체결유닛
CN113047661A (zh) 一种木结构传统民居梁柱榫卯节点加固纠偏装置
KR200350314Y1 (ko) 펜스 조립체
KR100642327B1 (ko) 조립식 인공암벽
KR200372703Y1 (ko) 개량형 하우스 골조구조
KR200464742Y1 (ko) 합성목재 울타리 결합구조
JP2001303711A (ja) 上屋の構造
JP2012225029A (ja) プレハブハウス及びその組立てキット
AU2015100963A4 (en) A Garden Ed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