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234B1 -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8234B1 KR101348234B1 KR20130063004A KR20130063004A KR101348234B1 KR 101348234 B1 KR101348234 B1 KR 101348234B1 KR 20130063004 A KR20130063004 A KR 20130063004A KR 20130063004 A KR20130063004 A KR 20130063004A KR 101348234 B1 KR101348234 B1 KR 1013482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ding materials
- cement
- weight
- concrete
- par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 B28B7/384—Treating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386—Carb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5—Ceramic was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4—Flow improv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4—Thickening, gelling or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포함하되,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내지 300 중량부의 고로슬래그 미분말, 0.3 내지 1 중량부의 증점제 및 0.3 내지 1 중량부의 유동화제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은 최적의 혼합비율로 고로슬래그, 시멘트,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포함함에 따라, 종래의 고로슬래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하여 보다 저렴하면서도 얇은 두께를 가지며 균열이 잘 가지 않는 건축자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적의 비율로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을 통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패널과 같은 건축자재는 분진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착력이 우수하고, 표면의 광택으로 인하여 고가의 건축자재를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최적의 혼합비율로 고로슬래그, 시멘트,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을 특정 양생조건 하에서 성형함으로써 고가의 건축자재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도 상용가능한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설구조물의 복잡화, 대형화, 초고층화, 고기능화의 요구에 따라 주상복합 및 건설 구조물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표적 구조재료인 콘크리트의 품질, 제조 및 시공 등에 관한 기술력 향상이 국가, 사회적으로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천연자원의 고갈 및 각종 환경 규제의 강화에 의해 시멘트 및 골재 등 콘크리트 주요 구성 재료의 원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콘크리트의 제조원가도 이에 따라 계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며, 건설 생산자 입장에서는 새로운 자재와 폐자원을 이용함으로써 건설 공사비의 저감을 도모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고자 다각적인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콘크리트의 품질 및 성능향상과 더불어 콘크리트 제조 시 단위 시멘트량의 저감을 통한 콘크리트 제조원가의 절감을 위한 방안으로서 실리카 퓸, 플라이애쉬(fly ash) 및 고로 슬래그 미분말 등의 활용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특히,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용광로의 선철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인 용융 고로슬래그를 급랭시켜 얻어진 입상의 고로 수쇄슬래그를 미분쇄한 것으로 그 자체가 정화하는 성질은 미약하지만, 시멘트 수화물 중 알칼리 자극에 의해 경화하는 잠재 수경성을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의 수화발열속도저감, 온도상승 억제, 장기강도 향상, 수밀성 증대에 의한 내구성 향상 및 염화물 이온 침투억제에 의한 철근의 발청 억제 등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함으로써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원료인 석회석을 약 40 % 절약할 수 있으며, 석회석 및 에너지의 소비가 적기 때문에 석회석의 열분해나 연료의 연소에 다른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저감과 산업폐기물의 재이용이 가능하여 환경오염물질의 저감 및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911-0053833호에서는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2차제품 및 그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업폐기물 고로슬래그를 물-결합재(W/B)의 비가 28%인 조건하에서 시멘트 대신 20 ~ 40% 대체하여 진동압축성형기로 진동시간 5 ~ 10초, 가압력 6 ~ 12kgf/cm2 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시멘트 제조방법에 따를 경우, 고로 슬래그가 부재료로서 적용되어 다른 물질의 성질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활용으로는 고로 슬래그의 가격 경쟁력과 자체의 특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시멘트가 물에 의해 굳으면서 발생되는 수화열에 의한 온도응력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면 균열발생 등 콘크리트의 품질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나아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8499호에서는 무시멘트 알카리 활성 보강 모르터(mortar)의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고로 슬래그, 나트륨계를 포함하는 알카리성 무기질 재료, 수산화칼슘, 멜라닌 감수제 및 붕산염을 포함하는 무시멘트 알카리 활성 결합제에 건조모래 및 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시멘트 알카리 활성 보강 모르터의 제조방법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따라 모르터를 제조할 경우에는, 시멘트를 사용할 때보다 빠르게 굳어서 작업성이 떨어지며, 골재와 결합재의 결합력이 떨어져서 강도가 오히려 약해진다. 또한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용도의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최적의 혼합비율로 고로슬래그, 시멘트,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포함하되,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내지 300 중량부의 고로슬래그 미분말,
0.3 내지 1 중량부의 증점제 및
0.3 내지 1 중량부의 유동화제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과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틀에 주입한 후, 15 내지 25 ℃ 의 온도로 1 내지 10 시간 동안 성형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성형이 수행된 성형체를 30 내지 40 ℃ 의 온도로 1 내지 10 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가열이 수행된 성형체를 성형틀로부터 탈형한 후 양생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은 최적의 혼합비율로 고로슬래그, 시멘트,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포함함에 따라, 종래의 고로슬래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과 비교하여 보다 저렴하면서도 얇은 두께를 가지며 균열이 잘 가지 않는 건축자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적의 비율로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을 통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패널과 같은 건축자재는 분진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착력이 우수하고, 표면의 광택으로 인하여 고가의 건축자재를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건축자재는 재생성이 뛰어나, 이를 파괴시킨 후 다시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나며, 특히 건축 내외장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콘크리트 패널의 일례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2는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시, 성형틀 내로 형상유지 구조물이 삽입된 것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내장재용 콘크리트 패널의 일례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외장재용 콘크리트 패널의 일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시, 성형틀 내로 형상유지 구조물이 삽입된 것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내장재용 콘크리트 패널의 일례를 나타낸 그림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외장재용 콘크리트 패널의 일례를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은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포함하되,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내지 300 중량부의 고로슬래그 미분말,
0.3 내지 1 중량부의 증점제 및
0.3 내지 1 중량부의 유동화제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건축자재용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는 경우, 대부분 고로슬래그의 함량이 너무 적거나, 또는 과량의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고로슬래그를 포함함에 따른 경제적인 장점을 제대로 살릴 수 없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기한 바와 같은 혼합비율로 고로슬래그 미분말, 시멘트,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를 건축자재 제조를 위해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제품과 비교하여 더욱 저렴하면서도 얇은 두께를 가지며 균열이 잘 가지 않는 건축자재를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포함함에 따라 분진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착력이 우수하고, 나아가 표면광택을 나타내는 건축자재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마그네시아 시멘트, 고황산염 슬래그 시멘트, 오일웰 시멘트, 철 시멘트, 메이슨리 시멘트, 퀄 시멘트, 페라리 시멘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시멘트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건축자재 제조시 사용될 수 있는 시멘트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내지 3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용광로의 선철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인 용융 고로슬래그를 급랭시켜 얻어진 입상의 고로 수쇄슬래그를 미분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산업폐기물로서 폐기되나, 이를 건축자재로 활용할 경우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최근 시멘트를 대체 또는 시멘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이,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시멘트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에 6가 크롬(Cr6 +)이 들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즉, 자극성이 심하며 호흡기의 점막에 심한 장애를 주고 피부를 통해 접촉하면 피부점막을 자극하여 부종 및 궤양 등 피부염을 일으키는 물질인 6가 크롬을 포함하지 않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건축자재로 활용하는 것은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건축 자재의 용도로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이때,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시멘트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이를 건축자재로서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콘크리트 재질 건축자재와 비교하여 더욱 얇은 두께의 건축자재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에서는 상기와 같이 건축자재로서 다양한 장점을 갖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되, 특히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내지 300 중량부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종래기술에서의 균열 발생, 또는 작업성 저하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중량부 미만의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광택과 강도가 낮고, 분진이 발생하기 때문에 내장재로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0 중량부를 초과하는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기포가 발생하여 제대로 성형이 되지 않으며, 성형체가 되더라도 강도가 낮고, 기포의 모양이 표면에 남아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1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통상적인 콘크리트 재질의 건축자재는 분진의 발생으로 인하여 통상적인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접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은 이러한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고자, 증점제를 더욱 포함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건축자재에서 분진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분진 발생의 최소화로 인하여, 제조된 건축자재를 통상적인 접착제를 이용하여서도 쉽게 접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증점제로 건축자재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는바, 제조된 건축자재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물질들을 뭉쳐주는 역할을 하여 시공이 용이하도록 점성을 유지하도록 하며 결합력을 부여하여 강도 또한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증점제를 특히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1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한다. 만약, 상기 증점제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중량부 미만의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분진이 발생하고, 강도와 광택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증점제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를 초과하는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양생시간이 길게 소요되고, 양생하는 동안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오랜 양생시간 때문에 색이 변하는 문제점과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점제는 폴리아크릴계, 셀룰로오스계, 폴리사카라이드계, 폴리알킬렌옥사이드, 폴리알킬렌글리콜알킬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증점제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증점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아크릴계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아크릴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에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사카라이드계는 웰란검, 커들란, 아밀로오스, 한천,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풀루란, 구아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부틸렌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글리콜알킬에테르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닐알코올, 에틸렌옥사이드, 아크릴산, 아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산염, 아세트산비닐 등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증점제는 청도화학사의 FW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동화제는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1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유동화제는 시멘트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슬럼프 유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만약, 상기 유동화제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중량부 미만의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시멘트의 분산성 및 슬럼프 유지 성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유동화제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를 초과하는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구성 재료들이 혼화되지 않고 분리되며 강도 또한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화제는 리그닌계, 멜라민계, 나프탈린계, 폴리카본산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동화제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유동화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그닌계로는 리그닌술폰산염, 리그닌술폰산칼슘, 리그닌술폰산소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멜라민계로는 멜라민술폰산소다포르말린축합물, 멜라민술폰산염포르말린축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나프탈렌계로는 나프탈렌술폰산소다포르말린축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본산계로는 폴리카본산염, 폴리카본산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동화제로는 세일콘(SEILCON)사의 리가스-F(LIGACE-F)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강화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이 강화섬유를 더 포함하는 경우,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건축자재를 제조시, 제조되는 건축자재 패널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강화섬유로 탄소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건축자재에 발생할 수 있는 미세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이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으로 강화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압축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성형체의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강화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분산성이 떨어져 강도가 한쪽으로 치중되어 강도의 형평성을 저해하며 탄소섬유의 경우 원가 상승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화섬유로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나일론 섬유보강재, 폴리프로필렌(PP) 섬유보강재, 폴리비닐알콜(PVA) 섬유보강재, 셀룰로오스 섬유보강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보강재, 유리 섬유보강재, 강(steel) 섬유보강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폴리프로필렌 섬유보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나일론 섬유보강재로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나이콘 화이버(Nycon Fiber), 폴리프로필렌 섬유보강재로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파워메쉬 화이버(Power Mesh Fiber) 또는 파워메쉬-SF(Power Mesh-SF)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소섬유로는 레이온(rayon)계, 피치(pitch)계 또는 팬(pan)계 탄소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팬계 탄소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탄소섬유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콘크리트 강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이 콘크리트 강화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건축자재를 제조시, 제조되는 건축자재 패널의 압축강도 및 내구성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상기 콘크리트 강화제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압축강도 및 내구성 향상의 효과가 미미하고,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점성이 증가하여 슬럼프가 저하하기 때문에 고성능 감수재의 병용이 불가피한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강화제로는 실리카 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리카 퓸으로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캐미콘 사의 덴시파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0 내지 800 중량부의 비율로 폐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는 사회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는 흔한 건축자재이지만, 쉽게 파괴되기 때문에 심각한 양의 폐기물이 발생한다. 현재 폐유리의 70 % 정도만이 재활용되고 나머지 30 % 정도는 땅에 매립하여 처리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폐유리를 활용함에 따라 폐기물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은 폐유리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폐유리를 포함하는 경우 균열이 잘 가지 않고 강도가 강하며, 표면 미적감각이 극대화되어 고급 건축자재를 대체할 수 있는 저렴한 건축자재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폐유리는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0 내지 80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폐유리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0 중량부 미만의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폐유리 첨가에 따른 건축자재 외관의 미적 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고, 양생과정에서 휨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폐유리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0 중량부를 초과하는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더 안료(pigm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건축자재에 다양한 색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자재 외관의 미적인 면을 고려하여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안료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특히 건축내외장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건축자재에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콘크리트 조성물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안료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의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안료 첨가에 따른 건축자재 외관의 미적 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안료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재료들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료는 염료 및 무기유기 안료 등을 포함하는 색상을 띄게 할 수 있는 착색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조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카본블랙, 산화철, 피그먼트 옐로우(pigment yellow) 등을 단독, 또는 건축자재에 발현시키고자 하는 색상을 고려하여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료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우신 피그먼트 사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이 안료를 포함하는 경우, 안료가 포함되는 함량에 비례하여 증점제 및 유동화제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에 비례하여 증점제 및 유동화제의 함량을 감소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성형체에 균열이 생기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과 물을 함께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틀에 주입한 후, 15 내지 25 ℃ 의 온도로 1 내지 10 시간 동안 성형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성형이 수행된 성형체를 30 내지 40 ℃ 의 온도로 1 내지 10 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가열이 수행된 성형체를 성형틀로부터 탈형한 후 양생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은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과 물을 함께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틀에 주입한 후, 15 내지 25 ℃ 의 온도로 1 내지 10 시간 동안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1은 상술한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건축자재,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여 성형틀에 주입하고 성형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의 콘크리트 조성물을 물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고자 하는 건축자재 형태의 성형틀에 주입하고, 이를 15 내지 25 ℃ 의 온도로 1 내지 10 시간 동안 성형한다.
상기 단계 1의 혼합은 통상적인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물과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의 혼합비율은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나, 교반작업을 수행하는 계절, 즉 하절기 또는 동절기의 기후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절기의 경우에는 과도한 물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양생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질 수 있으며, 하절기의 경우에는 오히려 동절기와 비교하여 더욱 많은 량이 물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물의 량이 과도하거나, 또는 부족하다고 하여 이미 첨가된 물을 제거하거나, 물을 더욱 첨가하는 것은 오히려 제품의 품질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계 1에서는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과 물을 혼합함에 있어서, 기후적인 상황 및 제조하고자 하는 건축자재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그 혼합비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 혼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 1의 성형은 15 내지 25 ℃ 의 온도로 1 내지 10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일례로서 9 내지 15 mm의 얇은 두께인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는 경우 20 ℃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상기 성형이 수행될 수 있고, 20 내지 50 ㎜ 의 두꺼운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는 경우 20 ℃의 온도로 4시간 동안 상기 성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1의 성형이 10 시간을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 제조되는 제품에 균열이 생기거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1의 성형이 1시간 미만 동안 수행되는 경우에는 성형이 완전히 수행되지 않아 제품이 휘는 등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1의 성형온도는 제조하고자 건축자재의 크기 및 두께 등을 고려하여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나, 만약 상기 성형이 15 ℃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성형을 완전히 수행하는데 과도한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성형이 2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에 균열이 생기거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콘크리트 조성물과 물을 함께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틀에 주입하기 전, 상기 성형틀 내로 박리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에서 성형틀 내로 주입되는 혼합물은 최종적으로 상기 성형틀로부터 탈형시켜야만 한다. 이때, 상기 탈형이 원활히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품이 파손되거나, 제품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성형틀 내로 박리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 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박리제를 도포하는 것은, 박리제를 성형틀 내로 살포한 후, 마른 수건으로 닦아냄으로서 수행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조성물이 폐유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롤러를 이용하여 박리제를 닦아냄으로서 상기 도포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박리제를 살포 및 닦아내어 성형틀 내로 도포함에 따라 제품에 기포 또는 얼룩 등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박리제로는 등유, 경유 등의 유성박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성박리제가 아닌 수성박리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성형틀 내의 성형체가 성형틀에 달라붙어 탈형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유성박리제는 성형틀로부터 성형체를 용이하게 탈형시킬 수 있는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1에서는 콘크리트 조성물과 물을 함께 혼합한 혼합물과 함께 형상유지구조물이 성형틀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이는 제조하고자 하는 건축자재의 크기가 크고, 그 두께가 얇은 경우 제조되는 건축자재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휨이나 균열 등의 변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형상유지구조물을 상기 혼합물과 함께 성형틀 내로 주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되는 건축자재의 기계적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건축자재는 이송과정 중에서도 휨이나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바 이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현장에서의 조립 시에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형상유지구조물은 I-형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질의 I-형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재질의 I-형재는 철로 제작된 형재와 비교하여 누수현상, 습기가 많은 경우, 결로 현상 등이 발생하는 조건에서 녹물이 배어나오지 않아 영구적인 제품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형상유지구조물이 상기 형태 및 재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단계 1에 있어서, 콘크리트 조성물과 물의 혼합은 하기와 같이 물과 증점제와 유동화제를 먼저 혼합한 후, 나머지 고로슬래그 미분말 등을 혼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물과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개별적으로 혼합하는 경우에는 증점제 및 유동화제와 나머지 물질들(고로슬래그 미분말, 시멘트 등)이 잘 섞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며,
또한, 물과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별도로 섞지 않고 모든 조성물과 물을 함께 섞는다면, 가늘고 무거운 입자를 가진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물과 결합하여 먼저 가라앉고, 증점제 및 유동화제는 증점제 및 유동화제끼리 뭉치게 되어 각각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바, 바람직하게는 물과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먼저 혼합하여 상기 단계 1의 혼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계 1의 혼합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콘크리트 조성물과 물의 균질하게 혼합시킬 수 있는 적절한 순서 및 수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성형틀에 주입할 시에는 혼합물의 성형틀의 일면을 시작으로 하여 다른면이 채워질 때까지 혼합물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조되는 건축자재에 흰 반점, 검은 얼룩, 기포 등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조되는 건축자재의 표면에 폐유리의 형상이 나타날 수 있도록 폐유리를 먼저 성형틀 내에 배치한 뒤 상기 혼합물을 주입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혼합물의 주입이 일면에서부터 시작되는 경우 배치된 폐유리가 한쪽으로 몰릴 위험이 있기 때문에 사방으로 골고루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혼합물의 주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하고자 하는 건축자재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는 상기 단계 1의 성형이 수행된 성형체를 30 내지 40 ℃ 의 온도로 1 내지 10 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에서는 단계 1에서 일차적으로 성형된 제품을 더욱 가열하여 건축자재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만약, 상기 단계 2의 가열이 10 시간을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 제조되는 제품에 균열이 생기거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2의 가열이 1시간 미만 동안 수행되는 경우에는 제품이 휘는 등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2의 가열온도는 제조하고자 건축자재의 크기 및 두께 등을 고려하여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나, 만약 상기 가열이 30 ℃ 미만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최종 제품을 제조하는 데 과도한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가열이 4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에 균열이 생기거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은 상기 단계 2의 가열이 수행된 성형체를 성형틀로부터 탈형한 후 양생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3의 탈형 및 양생을 통해 최종적으로 건축자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양생은 일례로서 탈형한 성형체를 5일 동안 응달에 방치하여 자연양생하거나, 또는 60 내지 70 ℃ 의 온도에서 5 내지 20시간 동안 간접열을 공급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계 3의 양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된 성형체, 즉 건축자재에 휨 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전히 양생시킬 수 있는 방법 또는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양생이 수중양생을 통해 수행되는 경우에는 완성된 제품 뒷면에 콘크리트가 올라와 오히려 양생이 되지 않고 콘크리트가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콘크리트의 분진을 동반함에 따라, 제조된 건축자재를 접착제를 통해 부착시키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바, 수중양생은 상기 단계 3의 양생 공정에서 배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3까지 수행되어 제조된 제품, 즉 건축자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란, 표면의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연마재 등의 통해 표면을 가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마 단계를 수행함에 따라 표면에 일부 존재할 수 있는 흠집을 제거하여 매끈하고 광택이 나는 표면을 구현할 수 있어, 건축자재의 미관을 더욱 수려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마는 연마하고자 하는 건축자재의 표면을 사포 등의 연마재로 문지르는 방법이나, 연마기기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상기 연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3까지 수행되어 제조된 제품, 즉 건축자재의 표면에 부가적인 효과를 부여하고자, 발수제, 방오제와 같은 제품을 살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건축자재에 발수, 방오 등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건축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축자재는 내장재, 외장재, 바닥재, 가구재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의 내장재,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의 콘크리트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축자재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콘크리트 조성물을 통해 제조된 다양한 분야의 건축자재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는 상기의 콘크리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됨에 따라 종래의 건축자재와 비교하여 광택이 좋고, 더욱 얇은 두께의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분진이 발생하지 않아 내장재로서 사용되는 경우 통상적인 접착제를 이용하여 벽에 쉽게 부착시킬 수 있다. 나아가,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미적 외관이 뛰어나기 때문에 특히, 건축물의 내장재나 외장재 또는 가구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한편, 상기 건축자재가 내장재로서 사용되는 패널의 형태인 경우에는 패널의 뒷면에 강화섬유 망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압축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건축자재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계 1: 성형틀에 등유를 살포한 후 마른 수건으로 닦는다.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증점제(청도화학사 FW), 유동화제(세일콘사 리카스-F), 및 탄소섬유를 배합비 100 : 220 : 0.5 : 0.5 : 5 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다. 이때, 물과 증점제 및 유동화제는 먼저 골고루 섞는다. 이렇게 교반된 혼합물을 준비한 성형틀에 주입하고 24 ℃ 의 온도로 7시간 동안 성형하였다.
단계 2: 단계 1의 성형이 수행된 성형체를 35 ℃ 의 온도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단계 3: 단계 2의 가열이 수행된 성형체를 성형틀로부터 탈형한 후 65 ℃ 의 온도로 10시간 동안 양생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280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단계 1 : 성형틀에 등유를 살포한 후 마른 수건으로 닦거나 롤러로 닦는다.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증점제(청도화학사 FW), 유동화제(세일콘사 리가스-F), 탄소섬유 및 폐유리를 배합비 100 : 220 : 0.5 : 0.5 : 5 : 700 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다. 이때, 물과 증점제 및 유동화제는 먼저 골고루 섞는다. 이렇게 교반된 혼합물을 준비한 성형틀에 주입하고 24 ℃ 의 온도로 7시간 동안 성형하였다.
단계 2 : 단계 1의 성형이 수행된 성형체를 35 ℃ 의 온도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단계 3 : 단계 2의 가열이 수행된 성형체를 성형틀로부터 탈형한 후 65 ℃ 의 온도로 10시간 동안 양생하여 폐유리가 포함된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280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150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400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증점제를 0.1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증점제를 1.5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유동화제를 0.1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유동화제를 1.5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성형틀에 주입된 혼합물을 10 ℃의 온도로 성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성형틀에 주입된 혼합물을 30 ℃의 온도로 성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성형틀에 주입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성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성형틀에 주입된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성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폐유리를 400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폐유리가 포함된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폐유리를 1000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폐유리가 포함된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150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400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5>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증점제를 0.1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6>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증점제를 1.5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7>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유동화제를 0.1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8>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유동화제를 1.5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9>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성형틀에 주입된 혼합물을 10 ℃의 온도로 성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0>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성형틀에 주입된 혼합물을 30 ℃의 온도로 성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1>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성형틀에 주입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성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2>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1에서 성형틀에 주입된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성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였다.
시멘트 |
고로슬래그 미분말 | 증점제 | 유동화제 | 탄소섬유 | 폐유리 | 성형온도(℃) | 성형시간 (시간) |
|
실시예 1 | 100 | 220 | 0.5 | 0.5 | 5 | 0 | 24 | 7 |
실시예 2 | 100 | 280 | 0.5 | 0.5 | 5 | 0 | 24 | 7 |
실시예 3 | 100 | 220 | 0.5 | 0.5 | 5 | 700 | 24 | 7 |
실시예 4 | 100 | 280 | 0.5 | 0.5 | 5 | 700 | 24 | 7 |
비교예 1 | 100 | 150 | 0.5 | 0.5 | 5 | 0 | 24 | 7 |
비교예 2 | 100 | 400 | 0.5 | 0.5 | 5 | 0 | 24 | 7 |
비교예 3 | 100 | 220 | 0.1 | 0.5 | 5 | 0 | 24 | 7 |
비교예 4 | 100 | 220 | 1.5 | 0.5 | 5 | 0 | 24 | 7 |
비교예 5 | 100 | 220 | 0.5 | 0.1 | 5 | 0 | 24 | 7 |
비교예 6 | 100 | 220 | 0.5 | 1.5 | 5 | 0 | 24 | 7 |
비교예 7 | 100 | 220 | 0.5 | 0.5 | 5 | 0 | 10 | 7 |
비교예 8 | 100 | 220 | 0.5 | 0.5 | 5 | 0 | 30 | 7 |
비교예 9 | 100 | 220 | 0.5 | 0.5 | 5 | 0 | 24 | 0.5 |
비교예 10 | 100 | 220 | 0.5 | 0.5 | 5 | 0 | 24 | 15 |
비교예 11 | 100 | 220 | 0.5 | 0.5 | 5 | 400 | 24 | 7 |
비교예 12 | 100 | 220 | 0.5 | 0.5 | 5 | 1000 | 24 | 7 |
비교예 13 | 100 | 150 | 0.5 | 0.5 | 5 | 700 | 24 | 7 |
비교예 14 | 100 | 400 | 0.5 | 0.5 | 5 | 700 | 24 | 7 |
비교예 15 | 100 | 220 | 0.1 | 0.5 | 5 | 700 | 24 | 7 |
비교예 16 | 100 | 220 | 1.5 | 0.5 | 5 | 700 | 24 | 7 |
비교예 17 | 100 | 220 | 0.5 | 0.1 | 5 | 700 | 24 | 7 |
비교예 18 | 100 | 220 | 0.5 | 1.5 | 5 | 700 | 24 | 7 |
비교예 19 | 100 | 220 | 0.5 | 0.5 | 5 | 700 | 10 | 7 |
비교예 20 | 100 | 220 | 0.5 | 0.5 | 5 | 700 | 30 | 7 |
비교예 21 | 100 | 220 | 0.5 | 0.5 | 5 | 700 | 24 | 0.5 |
비교예 22 | 100 | 220 | 0.5 | 0.5 | 5 | 700 | 24 | 15 |
<실험예 1> 기계적 강도 및 광택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2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 패널의 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각각 시편들의 압축강도와 휨강도 및 광택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도시하였다.
압축강도 | 휨강도 | 광택 | |
실시예 1 | 641 kgf/cm2 | 48 kgf/cm2 | 66 μW |
실시예 2 | 659 kgf/cm2 | 50 kgf/cm2 | 68 μW |
실시예 3 | 725 kgf/cm2 | 55 kgf/cm2 | 75 μW |
실시예 4 | 731 kgf/cm2 | 57 kgf/cm2 | 79 μW |
비교예 1 | 321 kgf/cm2 | 23 kgf/cm2 | 48 μW |
비교예 2 | 220 kgf/cm2 | 11 kgf/cm2 | 30 μW |
비교예 3 | 110 kgf/cm2 | 20 kgf/cm2 | 22 μW |
비교예 4 | 130 kgf/cm2 | 9 kgf/cm2 | 46 μW |
비교예 5 | 126 kgf/cm2 | 11kgf/cm2 | 42 μW |
비교예 6 | 111 kgf/cm2 | 8 kgf/cm2 | 45 μW |
비교예 7 | 100 kgf/cm2 | 10 kgf/cm2 | 45 μW |
비교예 8 | 124 kgf/cm2 | 9 kgf/cm2 | 44 μW |
비교예 9 | 131 kgf/cm2 | 5 kgf/cm2 | 47 μW |
비교예 10 | 146 kgf/cm2 | 5 kgf/cm2 | 43 μW |
비교예 11 | 327 kgf/cm2 | 9 kgf/cm2 | 49 μW |
비교예 12 | 284 kgf/cm2 | 8 kgf/cm2 | 35 μW |
비교예 13 | 164 kgf/cm2 | 25 kgf/cm2 | 50 μW |
비교예 14 | 156 kgf/cm2 | 15 kgf/cm2 | 35 μW |
비교예 15 | 198 kgf/cm2 | 24 kgf/cm2 | 49 μW |
비교예 16 | 264 kgf/cm2 | 17 kgf/cm2 | 50 μW |
비교예 17 | 233 kgf/cm2 | 18 kgf/cm2 | 47 μW |
비교예 18 | 274 kgf/cm2 | 17 kgf/cm2 | 49 μW |
비교예 19 | 245 kgf/cm2 | 15 kgf/cm2 | 51 μW |
비교예 20 | 224 kgf/cm2 | 13 kgf/cm2 | 49 μW |
비교예 21 | 284 kgf/cm2 | 9 kgf/cm2 | 48 μW |
비교예 22 | 234 kgf/cm2 | 9 kgf/cm2 | 50 μW |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압축강도 641 kgf/cm2, 휨 강도 48 kgf/cm2 로 높게 나타났으며, 폐유리를 포함한 실시예 3의 경우는 이보다 더 높은 압축강도 725 kgf/cm2 , 휨강도 55 kgf/cm2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3보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4의 경우, 각각의 경우보다 더 높은 압축강도 659 kgf/cm2, 휨강도 50 kgf/cm2, 압축강도 731 kgf/cm2, 휨강도 57 kgf/cm2 로 나타났다. 증점제 및 유동화제, 폐유리의 양을 각각 본 발명에서 규정하고 있는 함량 범위 미만과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모두 실시예의 경우보다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형온도와 시간을 달리한 경우에도 같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 규정하고 있는 함량 범위 내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더 포함하는 경우와 폐유리를 포함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더 우수해짐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고로슬래그 미분말, 증점제 및 유동화제, 폐유리, 성형온도 및 시간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치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인 경우에는 압축강도와 휨강도가 저하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광택 66 μW, 실시예 2는 68μW, 폐유리는 포함한 실시예 3은 75μW, 실시예 4는 79μW로 나타났다.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증점제 및 유동화제, 폐유리의 양을 각각 본 발명에서 규정한 함량 범위 미만과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광택이 실시예보다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형온도와 시간을 달리한 경우에도 같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정한 함량 범위 내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더 포함되거나 폐유리를 포함하는 경우 더 광택이 좋아짐을 알 수 있고, 고로슬래그 미분말, 증점제 및 유동화제, 폐유리, 성형온도와 시간이 규정한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인 경우에는 광택이 저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콘크리트 패널의 공정조건에 따른 파손, 휨 현상, 변색, 분진 발생 여부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실시예 4,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2에 따라 제조된 콘크리트 패널의 파손, 휨 현상, 변색, 분진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도시하였다.
파손 여부 | 휨현상 여부 | 변색 여부 | 분진발생 여부 | |
실시예 1 | X | X | X | X |
실시예 2 | X | X | X | X |
실시예 3 | X | X | X | X |
실시예 4 | X | X | X | X |
비교예 1 | X | ○ | X | ○ |
비교예 2 | ○ | ○ | X | X |
비교예 3 | X | ○ | X | ○ |
비교예 4 | ○ | ○ | ○ | X |
비교예 5 | ○ | ○ | X | △ |
비교예 6 | △ | ○ | △ | X |
비교예 7 | ○ | ○ | X | X |
비교예 8 | ○ | ○ | X | X |
비교예 9 | ○ | ○ | X | X |
비교예 10 | ○ | ○ | X | X |
비교예 11 | ○ | ○ | X | X |
비교예 12 | ○ | ○ | X | X |
비교예 13 | ○ | ○ | X | ○ |
비교예 14 | X | ○ | X | X |
비교예 15 | ○ | ○ | X | ○ |
비교예 16 | ○ | ○ | ○ | X |
비교예 17 | ○ | ○ | X | △ |
비교예 18 | △ | ○ | △ | X |
비교예 19 | ○ | ○ | X | X |
비교예 20 | ○ | ○ | X | X |
비교예 21 | ○ | ○ | X | X |
비교예 22 | ○ | ○ | X | X |
(상기 파손은 균열, 변형 등을 포함한다.)
(상기 X는 전혀 발생하지 않음, △는 다소 발생함, ○는 현저히 발생함을 의미한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150 중량부로 첨가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13의 경우와 증점제를 0.1 중량부로 첨가한 비교예 3 및 비교예 15의 경우, 균열 또는 변형과 같은 콘크리트 패널의 파손이 없었으나, 나머지의 경우는 콘크리트 패널이 파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본 발명에서 규정한 범위에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폐유리의 함량, 성형온도와 시간이 규정범위 미만이거나 초과인 경우에는 성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패널이 파손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를 제외한 모든 비교예에서는 휨현상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고로슬래그 미분말, 증점제 및 유동화제, 폐유리, 성형온도와 시간이 본 발명에서 규정한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인 경우에는 휨강도가 저하되어 외부의 빛이 조사되었을 때 콘크리트 패널의 휨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나아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점제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해 1.5중량부로 첨가된 비교예 4 및 비교예 16의 경우, 유동화제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로 첨가된 비교예 6 및 비교예 18의 경우 변색 현상이 다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증점제를 과량으로 첨가하는 경우, 증점제의 양이 많아져 작업성이 좋지 않으며, 이를 성형될 때까지 양생하는 경우 길어지는 양생시간 때문에 패널이 변색함을 알 수 있다. 유동화제도 본 발명에서 정하는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 양생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패널이 다소 변색함을 알 수 있다.
더욱 나아가,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150 중량부로 첨가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13의 경우와 증점제를 0.1 중량부로 첨가한 비교예 3 및 비교예 15의 경우, 유동화제를 0.1 중량부로 첨가한 비교예 5 및 비교예 17의 경우 분진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본 발명에서 규정한 범위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시멘트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분진이 발생하고, 증점제와 유동화제가 규정범위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증점제와 유동화제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기 때문에 분진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9)
-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증점제 및 유동화제를 포함하되,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내지 300 중량부의 고로슬래그 미분말,
0.3 내지 1 중량부의 증점제 및
0.3 내지 1 중량부의 유동화제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는 포틀랜드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마그네시아 시멘트, 고황산염 슬래그 시멘트, 오일웰 시멘트, 철 시멘트, 메이슨리 시멘트, 퀄 시멘트 및 페라리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폴리아크릴계, 셀룰로오스계, 폴리사카라이드계,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및 폴리알킬렌글리콜알킬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화제는 리그닌계, 멜라민계, 나프탈린계 및 폴리카본산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강화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섬유는 탄소섬유, 나일론 섬유보강재, 폴리프로필렌(PP) 섬유보강재, 폴리비닐알콜(PVA) 섬유보강재, 셀룰로오스 섬유보강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보강재, 유리 섬유보강재 및 강(steel) 섬유보강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콘크리트 강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0 내지 800 중량부의 폐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안료(pigmen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과 물을 함께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틀에 주입한 후, 15 내지 25 ℃ 의 온도로 1 내지 10 시간 동안 성형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성형이 수행된 성형체를 30 내지 40 ℃ 의 온도로 1 내지 10 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가열이 수행된 성형체를 성형틀로부터 탈형한 후 양생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패널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조성물을 주입하기 전 성형틀 내로 박리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제는 유성박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조성물을 주입하기 전 성형틀 내로 형상유지구조물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구조물은 알루미늄 I-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3의 양생은 자연양생 또는 60 내지 70 ℃ 의 온도로 5 내지 20시간 동안 양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 제10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패널.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건축 내장재 및 외장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패널.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두께는 9 내지 5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패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63004A KR101348234B1 (ko) | 2013-05-31 | 2013-05-31 |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63004A KR101348234B1 (ko) | 2013-05-31 | 2013-05-31 |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8234B1 true KR101348234B1 (ko) | 2014-01-07 |
Family
ID=5014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63004A KR101348234B1 (ko) | 2013-05-31 | 2013-05-31 |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8234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5527B1 (ko) * | 2015-05-21 | 2016-04-27 |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 내충격 및 방폭 성능이 강화된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KR101635969B1 (ko) * | 2015-01-09 | 2016-07-04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컬러 몰탈 조성물 |
KR101645499B1 (ko) * | 2015-03-24 | 2016-08-04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수축보상형 슬래그 기반 비소성 결합재를 활용한 모르타르 조성물 |
KR101732127B1 (ko) * | 2015-10-01 | 2017-05-02 | (주)제이원산업 | 폐유리칩이 혼합된 콘크리트 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폐유리칩이 혼합된 콘크리트 보드 |
KR101923383B1 (ko) * | 2018-07-26 | 2019-02-22 | (주)코리아에스이 | 탄소섬유와 고황산염시멘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인공암 조형물과 이를 시공하는 방법 |
KR102117863B1 (ko) * | 2019-11-29 | 2020-06-03 | 해원엠에스씨(주) | 슬래그 및 석분을 함유하는 고강도 대리석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578767B1 (ko) * | 2022-09-06 | 2023-09-13 | 한라시멘트주식회사 | 조강형 슬래그 시멘트를 활용한 친환경 저탄소 콘크리트 조성물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69969A (ko) * | 1998-02-16 | 1999-09-06 | 김헌출 | 중점제를 이용한 수중불분리성 보통강도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트 및 그 제조방법 |
JP2006095723A (ja) * | 2004-09-28 | 2006-04-13 | Kansai Concrete Kogyo Kk | カラー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製造方法 |
KR20080017966A (ko) * | 2006-08-23 | 2008-02-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폐유리를 활용한 세라믹 타일 조성물 및 그 타일의제조방법 |
KR101187320B1 (ko) * | 2012-06-19 | 2012-10-02 | 한대근 | 탄소원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축외장재용 노출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3
- 2013-05-31 KR KR20130063004A patent/KR1013482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69969A (ko) * | 1998-02-16 | 1999-09-06 | 김헌출 | 중점제를 이용한 수중불분리성 보통강도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트 및 그 제조방법 |
JP2006095723A (ja) * | 2004-09-28 | 2006-04-13 | Kansai Concrete Kogyo Kk | カラー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製造方法 |
KR20080017966A (ko) * | 2006-08-23 | 2008-02-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폐유리를 활용한 세라믹 타일 조성물 및 그 타일의제조방법 |
KR101187320B1 (ko) * | 2012-06-19 | 2012-10-02 | 한대근 | 탄소원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축외장재용 노출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5969B1 (ko) * | 2015-01-09 | 2016-07-04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컬러 몰탈 조성물 |
KR101645499B1 (ko) * | 2015-03-24 | 2016-08-04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수축보상형 슬래그 기반 비소성 결합재를 활용한 모르타르 조성물 |
KR101615527B1 (ko) * | 2015-05-21 | 2016-04-27 |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 내충격 및 방폭 성능이 강화된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KR101732127B1 (ko) * | 2015-10-01 | 2017-05-02 | (주)제이원산업 | 폐유리칩이 혼합된 콘크리트 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폐유리칩이 혼합된 콘크리트 보드 |
KR101923383B1 (ko) * | 2018-07-26 | 2019-02-22 | (주)코리아에스이 | 탄소섬유와 고황산염시멘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인공암 조형물과 이를 시공하는 방법 |
KR102117863B1 (ko) * | 2019-11-29 | 2020-06-03 | 해원엠에스씨(주) | 슬래그 및 석분을 함유하는 고강도 대리석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578767B1 (ko) * | 2022-09-06 | 2023-09-13 | 한라시멘트주식회사 | 조강형 슬래그 시멘트를 활용한 친환경 저탄소 콘크리트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8234B1 (ko) |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 |
KR101364077B1 (ko) | 친환경 단면 복구 모르타르 및 표면 보호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의 보수 보호 공법 | |
KR101498196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호용 경량 하이브리드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 |
KR101608018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보수 보호 공법 | |
KR101608015B1 (ko) | 속경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의 보수 보강 공법 | |
CN108658542A (zh) | 一种无机环保的人造艺术石及其制备方法 | |
KR102144656B1 (ko) | 입체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공법 | |
KR101567851B1 (ko) | Kr파우더가 혼입된 친환경 폴리머 모르터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 보강방법 | |
KR102442603B1 (ko) | 내구성 및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 |
KR101914474B1 (ko) | 조기 강도 발현형 긴급 보수용 상온 속경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 |
KR102021817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보수 방법 | |
KR102153401B1 (ko) | 차열성 라텍스 개질 초속경 콘크리트 및 이를 이용한 교면 콘크리트 포장공법 | |
KR101789052B1 (ko) | 맥반석을 함유하는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축자재 및 상기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보수보강 방법 | |
KR101598073B1 (ko) |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친환경 경관석 패널 | |
KR101747319B1 (ko) | 점자블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자블록 제조방법 | |
KR101790732B1 (ko) | 기능성이 개선된 바닥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 |
CN101269936A (zh) | 一种界面砂浆 | |
CN109320136B (zh) | 一种聚氨酯水磨石 | |
KR101347790B1 (ko) | 폐유리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 |
KR100833871B1 (ko) | 콘크리트 단면보수용 무기폴리머계 내산모르타르 조성물 | |
WO2021012308A1 (zh) | 一种有机纤维增韧无机复合人造石材面板及其制备方法 | |
EP2847289A1 (en) | A surface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ication thereof | |
US20190077709A1 (en) | Composite Blast Furnace Mineral Powder and Synthetic Material Made from Same | |
KR102219375B1 (ko) | 수중 불분리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중구조물 보수보강공법 | |
KR102218193B1 (ko) | 개질 세라믹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표면보호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 보강 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