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803B1 - 제설차 - Google Patents

제설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803B1
KR101347803B1 KR1020110040343A KR20110040343A KR101347803B1 KR 101347803 B1 KR101347803 B1 KR 101347803B1 KR 1020110040343 A KR1020110040343 A KR 1020110040343A KR 20110040343 A KR20110040343 A KR 20110040343A KR 101347803 B1 KR101347803 B1 KR 101347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now
suction
vehic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281A (ko
Inventor
김계윤
Original Assignee
김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윤 filed Critical 김계윤
Priority to KR102011004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803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 E01H5/106Clearing snow or ice exclusively by means of rays or streams of gas or steam, or by suction with or without me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45Means per se for conveying or discharging the dislodged material, e.g. rotary impellers, discharge chu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7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ide-wing snow-plough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 E01H5/102Self-contained devices for melting dislodged snow or ice, e.g. built-in melting chambers, movable melting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에 적층되는 눈을 신속하고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제설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로 주행용 차량, 상기 차량에 탑재되고, 쌓인 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 장치, 상기 흡입 장치로 흡입된 눈이 상기 제1 탱크의 상측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낙하하도록 흡입 관, 상기 흡입 관으로부터 낙하된 눈이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이송 장치, 상기 이송 장치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2, 3 탱크, 상기 제3 탱크로부터 액체가 후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 관 및 상기 배출 관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열풍을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열풍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설차{SNOWPLOW}
본 발명은 제설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에 적층되는 눈을 신속하고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제설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등의 도로 또는 활주로 등의 노면에는 눈의 적층에 따른 통행의 어려움과 통행에 따른 각종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적층되는 눈을 신속하게 제거하도록 하는 제설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설 작업은 대부분 제설 장비를 구비하는 차량을 이용하는 것이 있다. 즉, 노면에 대응하는 버킷을 차량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비틀어 노면의 눈을 일측으로 유도하는 방법, 노면의 눈을 수집하여 일측 부위로 배출시키는 방법, 노면의 눈을 수집하여 물로 변환시키고 이것을 특정 장소에 대응하여 배출시키도록 하는 방법 및 차량의 운행 과정에서 노면에 대응하여 제설제를 공급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눈 제거를 위하여 계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제설차는 적은 인원으로 폭넓은 영역의 도로를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과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설차가 청소시 수집된 도로의 눈을 흡입함에 있어서 살수 방식의 경우에는 제설 작업 과정에서 동절기에는 재차 빙결이 되거나 잔존하는 눈이 발생하기 때문에 동절기에는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특히, 제설차의 적재부 내부에 잔존하는 눈 또는 물이 빙결되어 버리기 때문에 11월과 3월(4개월)의 경우 이러한 기간 동안 대기 온도가 0℃ 이하로 강하되면 완전히 결빙되어 정상 작동이 어렵고, 이로 인하여 물을 모두 제거한 상태로 운휴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제설차는 고가 장비의 기계 및 운전 경비가 사용됨이 없이 낭비되었고 유지비용이 필요 이상으로 지출되는 문제를 내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면에 쌓이는 눈을 제거하기 위하여 차량을 이용하여 눈을 물로 변환시켜 특정한 장소에 배출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눈을 녹이는 중에 잔존하는 눈을 재차 녹임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제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제설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휴 시에 제설차의 탱크 내부에 잔존하는 눈 및 얼음을 제거할 수 있는 제설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풍 발생 장치로부터 배출관 측으로 열풍을 분사킴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제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설차량의 구조를 단순화 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차는 도로 주행용 차량, 상기 차량에 탑재되고, 쌓인 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 장치, 상기 흡입 장치로 흡입된 눈이 상기 제1 탱크의 상측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낙하하도록 흡입 관, 상기 흡입 관으로부터 낙하된 눈이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이송 장치, 상기 이송 장치가 내부를 통과하도록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2, 3 탱크, 상기 제3 탱크로부터 액체가 후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 관 및 상기 배출 관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열풍을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열풍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탱크의 전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물이 수용되어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발열 부재를 구비하는 발열 탱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 탱크의 내부 열을 전도할 수 있도록 열 전도 부재가 접속되고 이러한 열 전도 부재가 상기 제1, 2, 3 탱크의 내부를 지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설차에 의하면, 제설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재차 발생할 수 있는 잔존하는 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운휴 시에 발생된 눈 또는 얼음이 발열 부재에 의하여 녹기 때문에 저온 환경에서도 재차 정상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열풍 발생 장치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잔존하는 눈까지 녹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설차량의 구조가 단순하므로 제작 및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설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설차에 적용되는 흡입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설차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설차에 적용되는 흡입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설차는 차량(V), 포집 장치(10), 흡입 장치(20), 흡입 관(20a), 발열 탱크(21), 제1 탱크 내지 제3 탱크(22, 23, 24), 이송 장치(40), 배출 관(50) 및 열풍 발생 장치(60)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 장치(20)는 지면 상에 쌓여있는 눈을 진공 흡입 등의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흡입 장치(20)의 주변에 별도로 구비되어 눈을 내측으로 모아줄 수 있도록 포집 장치(10), 예를 들면 복수개의 블레이드 또는 브러시(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 우측 블레이드(12a, 12b)에 의하여 넓은 범위의 쌓인 눈을 내측으로 모아지도록 가이드를 한 후 상기 좌, 우측 블레이드(12a, 12b)의 사이에 개재되는 중앙 블레이드(11)에 의하여 상기 흡입 장치(20)로 집중되어 흡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흡입 관(20a)은 상기 흡입 장치(20)로부터 흡입된 눈을 후술하는 제1 탱크(22)로 이송시키기 위해서 연결되는 관로이다. 이러한 흡입 관(20a)은 제1 탱크(22)의 상측에 연결됨으로써 흡입된 눈이 자중에 의해 낙하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관(20a)으로부터 낙하되는 눈은 상기 제1 탱크(22)의 내부로 낙하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탱크(22)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이송 장치(40)에 놓여지게 된다. 여기서, 이송 장치(40)는 복수개의 롤러(미도시)에 의하여 눈이 운반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미도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장치(40)는 제1 탱크(22), 제2 탱크(23) 및 제3 탱크(24)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탱크(22)의 전측에 위치하고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 부재(21a)를 구비하는 발열 탱크(21)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발열 탱크(21)의 상기 발열 부재(21a)에 의하여 상기 발열 탱크(21)의 내부의 물이 고온으로 가열되면 그 열에너지가 상기 제1 탱크(22) 내지 제3 탱크(24)로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발열 탱크(21)의 내부와 접속되고 상기 제1 탱크(22)로부터 제3 탱크(24)의 내부를 통과하는 열 전도 부재(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발열 탱크(21)로부터 가열된 물에 존재하는 열 에너지는 상기 열 전도 부재(30)를 따라 상기 제1 탱크(22) 내지 제3 탱크(24)의 내부로 열 전도되어 각 탱크(22, 23, 24)의 내부를 가열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1 탱크(22), 제2 탱크(23) 및 제3 탱크(24)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송 장치(40)의 눈이 가열되어 녹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탱크(24)의 후측에는 배출 관(50)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 관(50)은 상기 제1 탱크(22)로부터 제3 탱크(24)의 내부를 경유함으로써 액화된 액체가 배출되는 관으로서 차량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 관(50)의 내부를 지나는 물질 중 저온의 주변 환경에 의하여 재차 얼거나 완전히 녹지 않은 눈 등의 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 관(50)의 일측 외주면에 대하여 열풍을 가할 수 있는 열풍 발생 장치(6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풍 발생 장치(60)는 상기 배출 관(50)의 외주면을 향하여 배치하고, 고온의 바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배출 관(50)의 내부를 통과하는 눈을 완벽하게 녹일 수 있으므로 잔류하는 눈을 완벽하게 액화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설차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차량(V)의 포집 장치(10)를 통하여 포집되는 눈이 흡입 장치(20)에 의하여 흡입된다. 상기 흡입 장치(20)로부터 흡입된 눈은 흡입 관(20a)을 통하여 유동하고 제1 탱크(22)의 상측으로부터 자중에 의하여 낙하한다.
이후, 발열 탱크(21)로부터 전도되는 열로 인하여 상기 제1 탱크(22)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송 장치(40)의 눈이 점차 녹게 되고 이러한 이송 장치(40)를 따라 제2 탱크(23) 및 제3 탱크(24)의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1 탱크(22) 내지 제3 탱크(24)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 교환이 완전히 되지 않아 녹지 않은 눈은 배출 관(50)의 외주면이 열풍 발생 장치(60)에 의하여 고온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배출 관(50)을 지나게 되면 완전히 녹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차량(V)을 보관하게 되는데 보관 중에 상기 발열 탱크(21) 및 제1, 2, 3 탱크(22, 23, 24) 내부에 잔여하는 눈 또는 물이 빙결되나 재차 운전하고자 할 때 상기 발열 탱크(21)에 물을 충전시키고 발열 부재(21)를 가열하게 되면 발열 부재(21)에 의해 발열 탱크(21) 내부의 빙결된 눈 또는 얼음이 액화됨과 동시에 열 전도 부재(30)를 통하여 제1, 2, 3 탱크(22, 23, 24)의 내부를 가열하게 되므로 즉시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포집 장치
11: 중앙 블레이드
12a: 좌측 블레이드
12b: 우측 블레이드
20: 흡입 장치
20a: 흡입 관
21: 발열 탱크
21a: 발열 부재
22: 제1 탱크
23: 제2 탱크
24: 제3 탱크
30: 열 전도 부재
40: 이송 장치
50: 배출 관
60: 열풍 발생 장치

Claims (3)

  1. 도로 주행용 차량;
    상기 차량의 전방에 넓은 범위의 쌓인 눈을 내측으로 모아지도록 가이드하는 좌, 우측 블레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좌, 우측 블레이드의 사이에 모이진 눈을 흡입하기 위하여 차량에 탑재된 흡입 장치로 눈이 집중되어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중앙 블레이드가 구비된 포집장치와;
    상기 흡입 장치로부터 흡입된 눈을 이송시키기 위해서 연결되는 관로인 흡입 관과;
    상기 흡입관으로 이송되는 눈이 자중에 의해 낙하할 수 있도록 상측에 흡입관이 연결된 제 1탱크와;
    상기 제 1탱크의 후방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 2, 3탱크와;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낙하된 눈이 이송되도록 제 1, 2, 3탱크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이송장치와;
    상기 제3 탱크로부터 액체가 후측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열풍을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열풍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탱크의 전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물이 수용되어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발열 부재를 구비하는 발열 탱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탱크의 내부 열을 전도할 수 있도록 열 전도 부재가 접속되고 이러한 열 전도 부재가 상기 제1, 2, 3 탱크의 내부를 지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차.
KR1020110040343A 2011-04-28 2011-04-28 제설차 KR101347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343A KR101347803B1 (ko) 2011-04-28 2011-04-28 제설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343A KR101347803B1 (ko) 2011-04-28 2011-04-28 제설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281A KR20120122281A (ko) 2012-11-07
KR101347803B1 true KR101347803B1 (ko) 2014-01-03

Family

ID=4750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0343A KR101347803B1 (ko) 2011-04-28 2011-04-28 제설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8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017A (ja) * 1996-08-12 1998-02-24 Yasushi Ueda エンジン廃熱を利用した車両の融雪装置
JP2002013115A (ja) 2000-06-30 2002-01-18 Sekisui Kagaku Hokkaido Kk 融雪装置
KR200294117Y1 (ko) * 2002-07-30 2002-11-04 두병록 난방장치를 포함하는 흡입식 제설차
JP2003268739A (ja) * 2002-03-19 2003-09-25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融雪車の融雪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017A (ja) * 1996-08-12 1998-02-24 Yasushi Ueda エンジン廃熱を利用した車両の融雪装置
JP2002013115A (ja) 2000-06-30 2002-01-18 Sekisui Kagaku Hokkaido Kk 融雪装置
JP2003268739A (ja) * 2002-03-19 2003-09-25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融雪車の融雪装置
KR200294117Y1 (ko) * 2002-07-30 2002-11-04 두병록 난방장치를 포함하는 흡입식 제설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281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187B1 (ko) 열풍분사를 통해 투설관의 결빙을 방지하는 적설용해장치
CN108867532B (zh) 一种具有清理道路积雪功能的车载扫雪刷
RU26711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снега посредством плавления
CN107642063A (zh) 一种道路除冰装置
CN104480891B (zh) 一种多功能除雪车
KR20130055854A (ko) 통합제설차
US20150315758A1 (en) Snow removal apparatus
CN201908275U (zh) 融冰除雪装置
CN201635045U (zh) 一种道路冰雪清除装置
KR101347803B1 (ko) 제설차
CN204266160U (zh) 一种多功能除雪车
CN207646677U (zh) 一种道路除冰装置
CN211990070U (zh) 一种铁轨除冰装置
CN211571582U (zh) 一种市政工程道路用高效融雪除雪装置
KR20160073662A (ko) 압축공기 분사식 제설 차량
CN209555857U (zh) 一种清除冻结积雪的除雪车
KR101069138B1 (ko) 복합형 제설 차량
CN108716208B (zh) 等离子融雪车
CN107806058B (zh) 一种高效融雪化冰的除雪机
CN206986822U (zh) 一种道路清雪车
CN203129077U (zh) 移动式电热高温中扫融雪车
CN213625420U (zh) 一种用于机场跑道的除冰雪装置
CN113047210A (zh) 一种节能环保型轨道交通快速清洗装置
CN208884454U (zh) 一种多功能清雪车
CN214783589U (zh) 一种沥青路面冻融检测用除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