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577B1 - 화상처리장치,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7577B1 KR101347577B1 KR1020080121307A KR20080121307A KR101347577B1 KR 101347577 B1 KR101347577 B1 KR 101347577B1 KR 1020080121307 A KR1020080121307 A KR 1020080121307A KR 20080121307 A KR20080121307 A KR 20080121307A KR 101347577 B1 KR101347577 B1 KR 1013475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area
- pixel
- incident light
- sca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42—Detection methods
- H04N1/0075—Detecting a change in reflectiv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23—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decimating pixels or lines of pixels; based on inserting pixels or lines of pix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40—Analysis of tex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29—Detection means
- H04N1/00734—Optical detectors
- H04N1/00737—Optical detectors using the scanning elements as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4)
- 화상처리장치의 화상처리방법에 있어서,대상체를 스캔하여 스캔 화상을 출력하는 단계와;상기 출력된 스캔 화상이 포함하는 픽셀의 그레이 레벨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스캔 화상의 에지 픽셀을 검출하는 단계와;상기 대상체의 스캔 시 외부로부터 광이 입사하면 상기 외부 입사광의 입사 각도 변화에 따라서 상이하게 형성되는 픽셀값 분포 패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스캔 화상에서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비화상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상기 스캔 화상으로부터 상기 비화상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대상체에 의한 화상 영역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대상체에 의한 화상 영역을 도출하는 단계는,상기 검출된 에지 픽셀의 분포에 따라서 상기 스캔 화상을 복수 영역으로 구획하여 상기 비화상 영역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비화상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상기 외부 입사광의 입사 각도가 90도인 경우와 90도 미만인 경우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픽셀값 분포 패턴을 기준으로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비화상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비화상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스캔 화상의 로우(row) 구간을 따른 복수 픽셀의 픽셀값이 흑색에서 백색으로 증가하여 상기 백색 구간이 연속하다가 소정 픽셀값으로 감소하는 패턴이 칼럼(column)을 따라서 반복되면, 입사 각도가 90도인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비화상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스캔 화상의 일 스캔 영역에 대하여 색상의 산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검출된 에지 픽셀이 없거나 기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스캔 영역은 입사 각도가 90도 미만인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제1항과,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대상체에 의한 화상 영역을 도출하는 단계는,상기 에지 픽셀의 분포 패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에지 픽셀에 의한 예비 바운더리를 지정하는 단계와;상기 예비 바운더리에 의한 상기 스캔 화상의 구획 영역 중에서 상기 비화상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화상 영역의 바운더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비화상 영역은 상기 외부 입사광 및 상기 대상체에 의해 형성되지 않은 제1비화상 영역과,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해 형성된 제2비화상 영역을 포함하며,상기 화상 영역의 바운더리를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구획 영역이 상기 제1비화상 영역 또는 상기 제2비화상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구획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 또는 보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제7항에 있어서,상기 구획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 또는 보존하는 단계는,상기 구획 영역이 포함하는 흑색 픽셀의 점유율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와;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획 영역에 90도 또는 90도 미만으로 입사된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픽셀값 분포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 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제8항에 있어서,상기 구획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 또는 보존하는 단계는,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픽셀값 분포 패턴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에지 픽셀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상기 에지 픽셀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구획 영역을 보존하고, 상기 에지 픽셀이 기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구획 영역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픽셀값 분포 패턴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흑색 픽셀의 점유율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90도로 입사된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픽셀값 분포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상기 흑색 픽셀의 점유율이 기 설정값 미만이면, 90도 미만으로 입사된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픽셀값 분포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제1항과,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스캔 화상의 에지 픽셀을 검출하는 단계는,상기 스캔 화상이 포함하는 복수 픽셀 중 어느 하나의 픽셀이 인접하는 픽셀과의 그레이 레벨 변화량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어느 하나의 픽셀을 상기 에지 픽셀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대상체를 스캔하여 스캔 화상을 출력하는 스캐닝유닛과;상기 스캐닝유닛에 의한 스캔 시 외부로부터 광이 입사하면 상기 외부 입사광의 입사 각도 변화에 따라서 상이하게 형성되는 픽셀값 분포 패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스캔 화상에서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비화상 영역을 검출하며, 상기 스캔 화상으로부터 상기 비화상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대상체에 의한 화상 영역을 도출하는 화상처리부를 포함하고,상기 화상처리부는, 상기 출력된 스캔 화상이 포함하는 픽셀의 그레이 레벨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스캔 화상의 에지 픽셀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에지 픽셀의 분포에 따라서 상기 스캔 화상을 복수 영역으로 구획하여 상기 비화상 영역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 삭제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화상처리부는,상기 외부 입사광의 입사 각도가 90도인 경우와 90도 미만인 경우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픽셀값 분포 패턴을 기준으로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비화상 영역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화상처리부는,상기 스캔 화상의 로우(row) 구간을 따른 복수 픽셀의 픽셀값이 흑색에서 백색으로 증가하여 상기 백색 구간이 연속하다가 소정 픽셀값으로 감소하는 패턴이 칼럼(column)을 따라서 반복되면, 입사 각도가 90도인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화상처리부는,상기 스캔 화상의 일 스캔 영역에 대하여 색상의 산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검출된 에지 픽셀이 없거나 기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스캔 영역은 입사 각도가 90도 미만인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화상처리부는,상기 에지 픽셀의 분포 패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에지 픽셀에 의한 예비 바운더리를 지정하며, 상기 예비 바운더리에 의한 상기 스캔 화상의 구획 영역 중에서 상기 비화상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화상 영역의 바운더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비화상 영역은 상기 외부 입사광 및 상기 대상체에 의해 형성되지 않은 제1비화상 영역과,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해 형성된 제2비화상 영역을 포함하며,상기 화상처리부는,상기 구획 영역이 상기 제1비화상 영역 또는 상기 제2비화상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구획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 또는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화상처리부는,상기 구획 영역이 포함하는 흑색 픽셀의 점유율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획 영역에 90도 또는 90도 미만으로 입사된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픽셀값 분포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화상처리부는,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픽셀값 분포 패턴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에지 픽셀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며,상기 에지 픽셀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구획 영역을 보존하고, 상기 에지 픽셀이 기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구획 영역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화상처리부는,상기 흑색 픽셀의 점유율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90도로 입사된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픽셀값 분포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흑색 픽셀의 점유율이 기 설정값 미만이면 90도 미만으로 입사된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픽셀값 분포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화상처리부는,상기 스캔 화상이 포함하는 복수 픽셀 중 어느 하나의 픽셀이 인접하는 픽셀과의 그레이 레벨 변화량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어느 하나의 픽셀을 상기 에지 픽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제12항과, 제14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와;상기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대상체에 의한 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인쇄하는 인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화상처리장치의 화상처리방법에 있어서,대상체를 스캔하여 스캔 화상을 출력하는 단계와;상기 출력된 스캔 화상이 포함하는 픽셀의 그레이 레벨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스캔 화상의 에지 픽셀을 검출하는 단계와;상기 스캔 화상에서, 상기 대상체의 스캔 시 외부로부터 입사하는 광의 입사 각도에 따라서 상이하게 형성되는 스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상기 스캔 영역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캔 화상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스캔 화상을 처리하는 단계는,상기 검출된 에지 픽셀의 분포에 따라서 상기 스캔 화상을 복수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와;상기 구획된 영역 중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스캔 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대상체에 의한 스캔 영역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스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상기 외부 입사광의 입사 각도가 90도인 경우와 90도 미만인 경우에 각각 형성되는 픽셀값 분포 패턴을 기준으로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스캔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스캔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스캔 화상의 로우 구간을 따른 복수 픽셀의 픽셀값이 흑색에서 백색으로 증가하여 상기 백색 구간이 연속하다가 소정 픽셀값으로 감소하는 패턴이 칼럼을 따라서 반복되면, 입사 각도가 90도인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삭제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스캔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스캔 화상의 일 영역에 대하여, 색상의 산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에지 픽셀이 없거나 기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영역은 입사 각도가 90도 미만인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스캔 화상의 에지 픽셀을 검출하는 단계는,상기 스캔 화상이 포함하는 복수 픽셀 중 어느 하나의 픽셀이 인접하는 픽셀과의 그레이 레벨 변화량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어느 하나의 픽셀을 상기 에지 픽셀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삭제
-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상기 비화상 영역은 상기 외부 입사광 및 상기 대상체에 의해 형성되지 않은 제1비화상 영역과,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해 형성된 제2비화상 영역을 포함하며,상기 스캔 화상을 처리하는 단계는,상기 구획 영역이 상기 제1비화상 영역 또는 상기 제2비화상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구획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 또는 보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제31항에 있어서,상기 구획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 또는 보존하는 단계는,상기 구획 영역이 포함하는 흑색 픽셀의 점유율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와;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구획 영역에 90도 또는 90도 미만으로 입사된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픽셀값 분포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제32항에 있어서,상기 구획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 또는 보존하는 단계는,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픽셀값 분포 패턴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에지 픽셀이 기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상기 에지 픽셀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구획 영역을 보존하고, 상기 에지 픽셀이 기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구획 영역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 제32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픽셀값 분포 패턴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상기 흑색 픽셀의 점유율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90도로 입사된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픽셀값 분포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상기 흑색 픽셀의 점유율이 기 설정값 미만이면, 90도 미만으로 입사된 상기 외부 입사광에 의한 픽셀값 분포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2/512,170 US8330997B2 (en) | 2008-10-02 | 2009-07-30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7112 | 2008-10-02 | ||
KR20080097112 | 2008-10-0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8025A KR20100038025A (ko) | 2010-04-12 |
KR101347577B1 true KR101347577B1 (ko) | 2014-01-03 |
Family
ID=4221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1307A KR101347577B1 (ko) | 2008-10-02 | 2008-12-02 | 화상처리장치,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757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24604A (ja) * | 2006-11-09 | 2008-05-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画像読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2008
- 2008-12-02 KR KR1020080121307A patent/KR1013475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24604A (ja) * | 2006-11-09 | 2008-05-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画像読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8025A (ko) | 2010-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73776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reading process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US8345310B2 (en) | Halftone frequency determination method and printing apparatus | |
JP3576810B2 (ja) | 画像処理装置 | |
EP0500174B1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can/print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 |
JP4405663B2 (ja) |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 |
US20060152765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reading process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KR20080006112A (ko) | 경계 영역의 선명도를 개선하는 하프토닝 방법 및 장치 | |
US7515298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determining noise in image data | |
KR101249839B1 (ko) | 화상처리장치 및 그 화상처리방법 | |
US8330997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JP2022145776A (ja) |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 |
JP4502001B2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 |
KR101347577B1 (ko) | 화상처리장치,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처리방법 | |
JP6001010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8547590B2 (en) | Determining a resolution of a device based on a calculated principal spatial frequency response (SFR) selected from a calculated SFR | |
JP3334047B2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読取装置と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手順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 |
JP2003244469A (ja) | 画像判定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画像判定方法、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 |
JP6611887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6794901B2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4740913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 |
JP2003230009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5191890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画像処理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3792402B2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2値化方法,並びに2値化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
KR100537829B1 (ko) | 스캔 영상의 상역 분리 방법 | |
JPH0662230A (ja) | 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2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2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