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199B1 - 터보압축기 - Google Patents

터보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199B1
KR101347199B1 KR1020110135091A KR20110135091A KR101347199B1 KR 101347199 B1 KR101347199 B1 KR 101347199B1 KR 1020110135091 A KR1020110135091 A KR 1020110135091A KR 20110135091 A KR20110135091 A KR 20110135091A KR 101347199 B1 KR101347199 B1 KR 101347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mpression body
housing
flui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7991A (ko
Inventor
정예슬
정방균
Original Assignee
정방균
정예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방균, 정예슬 filed Critical 정방균
Priority to KR1020110135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1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6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06Cooling the driv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 F04D17/12Multi-stag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053Shafts
    • F04D29/054Arrangements for joining or assembling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10Shaft sealings
    • F04D29/102Shaft 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냉각구조에 의해 모터의 과열을 방지함과 동시에 대칭구성에 의한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대시켜 장치의 수명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터보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10)와, 이 모터(10)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연결되는 임펠러(33,34,43,44)에 의해 유체를 압축하도록 된 압축본체(30,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터보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10)는 내부에 형성된 챔버(12)에 리테이너(13)와 로터(14)가 내장되는 하우징(11)과; 상기 로터(14)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의 양측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15)과;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12) 내로 냉각유체가 유입되도록 된 유입구(16) 및 이 유입구(16)에 의해 유입된 냉각유체가 상기 리테이너(13)와 로터(14)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17)와; 상기 챔버(12)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축(15) 상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16)를 통해 유입된 냉각유체를 상기 배출구(17) 측으로 송풍하거나 흡출하도록 된 냉각팬(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터보압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터보압축기{Turbo compressor}
본 발명은 터보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냉각구조에 의해 모터의 과열을 방지함과 동시에 대칭구성에 의한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대시켜 장치의 수명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터보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보압축기는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유체를 임펠러의 원심력으로 압축하도록 된 원심압축기의 일종으로, 통상적인 터보압축기는 대개 임펠러가 내장되는 하우징이 구비되어 에어나 증기 또는 냉매와 같은 유체가 유출입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임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터보압축기에 있어서, 통상의 모터는 임펠러를 축결하도록 된 모터축이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고, 이 모터축의 타단은 하우징에 결합되는 팬커버에 의해 내장되는 냉각팬이 결합된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모터는 냉각팬이 하우징의 일단측에 위치되고, 상기 팬커버의 단부측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하우징 내부공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외기로 공급되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의 냉각구조는 팬커버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하우징의 내부를 순환하지 못한 상태로 상기 냉각팬에 의해 배출됨으로 인해 모터의 냉각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터는 임펠러가 내장되는 하우징과는 별도로 구비될 뿐만 아니라 일측이 상기 팬커버에 의해 막힌 상태로 구비된 것으로, 이러한 모터는 압축기의 임펠러가 내장되는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하나의 모터에 의해 다수의 압축기를 좌우 대칭형태로 결합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장치를 구현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제10-0273433호) 2000. 09. 02.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따른 냉각구조에 의해 모터의 과열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장치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 또한 대칭구조로 구성된 장치에 의해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압축에 따른 부하를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된 구조에 의해 수명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터보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모터(10)와, 이 모터(10)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연결되는 임펠러(33,34,43,44)에 의해 유체를 압축하도록 된 압축본체(30,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터보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10)는 내부에 형성된 챔버(12)에 리테이너(13)와 로터(14)가 내장되는 하우징(11)과;
상기 로터(14)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의 양측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15)과;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12) 내로 냉각유체가 유입되도록 된 유입구(16) 및 이 유입구(16)에 의해 유입된 냉각유체가 상기 리테이너(13)와 로터(14)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17)와;
상기 챔버(12)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축(15) 상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16)를 통해 유입된 냉각유체를 상기 배출구(17) 측으로 송풍하거나 흡출하도록 된 냉각팬(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본체(30,40)는 상기 모터(10)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결합되는 제1 압축본체(30)와 제2 압축본체(40)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압축본체(30,40)에는 유체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흡입구(31,41)와 토출구(32,4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15)에 결합되어 유체를 회전력에 의해 압축하도록 된 다수의 임펠러(33,34,43,44)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압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압축본체(30)와 제2 압축본체(40)는 상기 흡입구(31,41)와 토출구(32,42) 및 임펠러(33,34,43,44)의 위치 및 형상이 상기 모터(10)를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되도록 구비되고;
이 제1 압축본체(30)와 제2 압축본체(40)는 각각의 흡입구(31,41)와 토출구(32,42)를 통해 유체가 유출입되면서 개별적으로 압축을 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압축본체(30)의 토출구(32)가 상기 제2 압축본체(40)의 흡입구(41)에 연결되어 일체로 압축을 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압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터(10)와 각 압축본체(30,40)는 상기 회전축(15)이 관통 설치되도록 축공(22)이 각각 형성된 제1 연결프레임(20)과 제2 연결프레임(21)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제1 연결프레임(20)은 상기 모터(10)의 하우징(11) 일단과 제1 압축본체(30)의 일측벽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프레임(21)은 상기 모터(10)의 하우징(11) 타단과 제2 압축본체(40)의 일측벽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압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터(10)의 하우징(11)에는 상기 유입구(16)와 배출구(17) 측에 위치되어 내측벽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판(19)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터보압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연결프레임(20,21)의 축공(22)에는 상기 회전축(15)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되되, 이 베어링은 상기 회전축(15) 상으로 유체가 유입 가능하도록 된 유체베어링(50)으로 구비되고, 상기 각 연결프레임(20,21)에는 상기 축공(22)에 연통되는 유체유입공(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압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연결프레임(20,21)에는 상기 회전축(15)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된 실링부재(60)가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15)과 실링부재(60)에는 상호 대응된 치형돌기(25)와 요홈(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압축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10)의 하우징(11) 양측에 유입구(16)와 배출구(17)가 형성되고, 하우징(1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냉각팬(18)에 의해 냉각유체를 송풍 또는 흡출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유입구(16)에 의해 유입된 냉각유체가 하우징(11)에 내장된 리테이너(13)와 로터(14)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모터(10)의 냉각효과를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모터(10)의 과열을 방지하여 장치가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10)에 의해 다수의 압축본체(30,40)가 결합됨과 동시에 각 압축본체(30,40)는 모터(10)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압축본체(30,40)에 내장된 임펠러(33,34,43,44)에 의해 생성되는 유체의 압력이 상기 회전축(15)의 양측에서 균일하게 전달됨으로 인해 축쏠림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작동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10)와 압축본체(30,40)를 일체로 결합하도록 된 연결프레임(20,21)이 구비됨으로써, 장치의 구성과 크기를 컴팩트하게 제작하여 제작 및 설치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10)의 하우징(11) 내부에 가이드판(19)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챔버(12) 내외로 유출입되는 냉각유체의 흐름을 적절하게 안내하여 냉각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10)의 회전축(15) 상에 유체가 유입 가능하도록 된 유체베어링(50)을 설치함으로써, 회전축(15)과 베어링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베어링 자체의 손상이나 회전축(15)의 마모 등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수명을 연장함과 동시에 유지보수 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프레임(20,21)에 회전축(15)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된 실링부재(60)가 구비되고, 이 실링부재(60)와 회전축(15)에는 상호 대응된 치형돌기(25)와 요홈(26)이 형성됨으로써, 치형돌기(25)와 요홈(26)의 형상에 따른 우수한 차단효과에 의해 상기 압축본체(30,40) 내의 기밀성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와 정단면도 및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부에 모터(10)가 구비되고, 이 모터(10)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에어나 증기 또는 냉매와 같은 유체를 압축하도록 된 압축본체(30,40)가 구비되는데, 이 압축본체(30,40)는 상기 모터(10)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결합되는 제1 압축본체(30)와 제2 압축본체(4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압축본체(30,40)에는 유체가 유출입되도록 된 흡입구(31,41)와 토출구(32,4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회전력에 의해 유체를 압축하도록 된 다수의 임펠러(33,34,43,44)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모터(10)는 하우징(11)의 내부에 형성된 챔버(12)에 리테이너(13)와 로터(14)가 내장되고, 상기 로터(14)에는 상기 하우징(11)의 양측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15)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모터(10)는 상기 리테이너(13)와 로터(14)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1)의 양측에는 챔버(12) 내외로 냉각유체가 유출입되도록 유입구(16)와 배출구(17)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12) 내에는 상기 유입구(16) 또는 배출구(17) 측에 위치되어 냉각유체를 송풍하거나 흡출하도록 된 냉각팬(18)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입구(16)와 배출구(17)는 상기 리테이너(13)와 로터(14)를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11)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냉각팬(18)은 상기 배출구(17) 측에 근접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유입구(16)를 통해 챔버(12) 내로 유입된 냉각유체를 상기 리테이너(13)와 로터(14)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구(17)로 흡출하도록 구비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12) 내에는 상기 하우징(11)의 내측벽에 결합되어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판(19)이 구비되는데, 이 가이드판(19)은 상기 유입구(16)와 배출구(17) 측에 위치되어 상기 챔버(12) 내외로 유출입되는 냉각유체의 체류시간을 연장하면서도 냉각유체의 흐름방향을 적절하게 유도하여 상기 리테이너(13)와 로터(14)의 냉각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모터(10)의 양측에 좌우로 대칭 배치되는 압축본체(30,4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터(10)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압축본체(30)에는 상기 모터(10)의 회전축(15)에 결합되는 다수의 임펠러(33,34)가 내장되는데, 이 임펠러(33,34)는 상기 흡입구(31)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연속적으로 진행되도록 상호 인접되고, 이 임펠러(33,34)에는 가이드베인(35)과 디퓨저(36)가 일체로 결합되어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10)의 타측에는 상기 제1 압축본체(30)에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 압축본체(40)가 결합되는데, 이 제2 압축본체(40)의 흡입구(41)와 토출구(42)의 위치 및 임펠러(43,44)의 형상과 배치 및 그에 따른 내부구성은 상기 모터(10)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압축본체(30)에 대해 좌우로 대칭을 이루는 것으로, 이는 상기 각 압축본체(30,40)에 의한 유체의 압력이 상기 모터(10)의 양측에서 상기 회전축(15) 상에 거의 균일하게 전달됨으로 인해 축쏠림을 방지하여 장치의 작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압축본체(30,40)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상기 제1 압축본체(30)와 제2 압축본체(40)는 각각에 구비된 2개의 임펠러(33,34,43,44)에 의해 개별적으로 유체를 2단 압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압축본체(30)의 토출구(32)를 제2 압축본체(40)의 흡입구(41)에 덕트 등에 의해 연결하여 상기 제1 압축본체(30)로부터 2단 압축된 유체가 상기 제2 압축본체(40)로 유입되어 재차 2단 압축을 더 행함으로 인해 4단 압축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10)와 각 압축본체(30,40)는 연결프레임(20,21)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장치의 크기와 구성을 컴팩트하게 형성한 것으로, 상기 연결프레임(20,21)은 상기 모터(10)의 하우징(11) 일단과 상기 제1 압축본체(30)의 일측벽을 동시에 형성하는 제1 연결프레임(20)과, 상기 모터(10)의 하우징(11) 타단과 상기 제2 압축본체(40)의 일측벽을 동시에 형성하는 제2 연결프레임(21)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각 연결프레임(20,21)의 세부구성을 도 3을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각 연결프레임(20,21)에는 상기 모터(10)의 회전축(15)이 관통 설치되도록 축공(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축공(22)에는 상기 회전축(15)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되게 된다. 상기 베어링은 상기 축공(22)에 결합되는 외측바디(51a)와 상기 회전축(15) 상에 위치되는 다공성 세라믹 재질의 내측바디(51b)로 이루어진 베어링바디 사이에 유체충전을 위한 충전홈(52)이 형성된 유체베어링(50)으로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유체베어링(50)은 상기 회전축(15)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최소화하여 베어링과 회전축(15)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각 연결프레임(20,21)에는 상기 축공(22)에 연통되는 유체유입공(23)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유입공(23)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 재질의 내측바디(51b)를 통해 상기 회전축(15) 상으로 유입된 후에, 상기 내측바디(51b)와 회전축(15) 사이의 미세한 간극을 통해 상기 모터(10)의 하우징(11) 측으로 배출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각 연결프레임(20,21)에는 상기 압축본체(30,40)에 위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된 실링부재(6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15)과 실링부재(60)에는 상호 대응된 치형돌기(25)와 요홈(26)이 형성되어 기밀효과를 극대화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6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모터(10)와 압축본체(30,40)의 내부가 완전하게 상호 분리됨에 따라 상기 모터(1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체와 상기 압축본체(30,40)로 유입되는 유체가 상호 다른 것을 사용할 때에 더욱 유용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모터(10) 측으로 유입되는 냉각유체를 에어로 하는 경우에 상기 압축본체(30,40)에 의해서는 증기나 냉매를 압축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에 상기 유입구(16)와 배출구(17)는 외기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1) 상에 외부에 연통되는 홀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체와 상기 압축본체(30,40)로 유입되는 유체를 에어나 증기 또는 냉매와 같은 동일한 유체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각 압축본체(30,40)의 흡입구(31,41)에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하도록 된 공급관(7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모터(10)의 하우징(11)에 구비된 유입구(16)에 공급분기관(72)이 연결되고, 이 공급분기관(72)을 통해 상기 모터(10)의 하우징(11) 내로 냉각유체를 공급하게 되며, 상기 하우징(11)의 배출구(17)와 상기 공급관(70)에는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유체를 상기 압축본체(30,40)의 흡입구(31,41)로 재공급하도록 순환공급관(73)이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압축본체(30,40)의 토출구(32,42)에는 유체를 배출하도록 된 배출관(71)이 연결되는데, 이 배출관(71)에는 상기 유체베어링(50) 측으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배출분기관(74)이 형성되고, 이 배출분기관(74)은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을 관통하거나 또는 상기 유입구(16)나 배출구(17)를 통하여 상기 유체유입공(23)에 연결되는 배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상기 공급분기관(72)이나 순환공급관(73)과는 별도의 관체로 구비되는 것이다.
특히 냉매의 경우에는 상기 유입구(16)와 배출구(17)에 기밀을 유지하여 상기 공급분기관(72)과 순환공급관(73) 및 배출분기관(74)을 연결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이외에도 상기 배출분기관(74)은 상기 공급분기관(72)과 순환공급관(73) 및 배출분기관(74)을 배제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10)를 냉각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체의 종류에 무관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71)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압의 유체를 상기 유체베어링(50) 측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모터(10)와, 이 모터(10)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연결되는 임펠러(33,34,43,44)에 의해 유체를 압축하도록 된 압축본체(30,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터보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10)는 내부에 형성된 챔버(12)에 리테이너(13)와 로터(14)가 내장되는 하우징(11)과;
    상기 로터(14)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의 양측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15)과;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12) 내로 냉각유체가 유입되도록 된 유입구(16) 및 이 유입구(16)에 의해 유입된 냉각유체가 상기 리테이너(13)와 로터(14)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11)의 타측에 형성된 배출구(17)와;
    상기 챔버(12)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축(15) 상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16)를 통해 유입된 냉각유체를 상기 배출구(17) 측으로 송풍하거나 흡출하도록 된 냉각팬(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본체(30,40)는 상기 모터(10)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결합되는 제1 압축본체(30)와 제2 압축본체(40)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압축본체(30,40)에는 유체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흡입구(31,41)와 토출구(32,4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15)에 결합되어 유체를 회전력에 의해 압축하도록 된 다수의 임펠러(33,34,43,44)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본체(30)와 제2 압축본체(40)는 상기 흡입구(31,41)와 토출구(32,42) 및 임펠러(33,34,43,44)의 위치 및 형상이 상기 모터(10)를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되도록 구비되고;
    이 제1 압축본체(30)와 제2 압축본체(40)는 각각의 흡입구(31,41)와 토출구(32,42)를 통해 유체가 유출입되면서 개별적으로 압축을 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압축본체(30)의 토출구(32)가 상기 제2 압축본체(40)의 흡입구(41)에 연결되어 일체로 압축을 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압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0)와 각 압축본체(30,40)는 상기 회전축(15)이 관통 설치되도록 축공(22)이 각각 형성된 제1 연결프레임(20)과 제2 연결프레임(21)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제1 연결프레임(20)은 상기 모터(10)의 하우징(11) 일단과 제1 압축본체(30)의 일측벽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프레임(21)은 상기 모터(10)의 하우징(11) 타단과 제2 압축본체(40)의 일측벽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압축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0)의 하우징(11)에는 상기 유입구(16)와 배출구(17) 측에 위치되어 내측벽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판(19)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터보압축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프레임(20,21)의 축공(22)에는 상기 회전축(15)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되되, 이 베어링은 상기 회전축(15) 상으로 유체가 유입 가능하도록 된 유체베어링(50)으로 구비되고, 상기 각 연결프레임(20,21)에는 상기 축공(22)에 연통되는 유체유입공(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압축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프레임(20,21)에는 상기 회전축(15)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된 실링부재(60)가 결합되되, 상기 회전축(15)과 실링부재(60)에는 상호 대응된 치형돌기(25)와 요홈(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압축기.
KR1020110135091A 2011-12-15 2011-12-15 터보압축기 KR101347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091A KR101347199B1 (ko) 2011-12-15 2011-12-15 터보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091A KR101347199B1 (ko) 2011-12-15 2011-12-15 터보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991A KR20130067991A (ko) 2013-06-25
KR101347199B1 true KR101347199B1 (ko) 2014-01-06

Family

ID=48863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091A KR101347199B1 (ko) 2011-12-15 2011-12-15 터보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2507B2 (en) 2021-12-06 2023-10-31 Yunfeng Li Dual-pressure jet engine and device for work done by compressed air thereof
CN216429936U (zh) * 2021-12-06 2022-05-03 李云峰 一种压气做功装置及其双压式喷气发动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686A (ja) * 1997-06-26 1999-01-19 Daikin Ind Ltd ターボ機械
JP2001271797A (ja) 2000-03-28 2001-10-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高速モータ駆動圧縮機とその冷却方法
KR100481600B1 (ko) 2002-07-24 2005-04-08 (주)앤틀 터보 기계
KR100798084B1 (ko) 2006-04-03 2008-01-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형 공기 블로워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686A (ja) * 1997-06-26 1999-01-19 Daikin Ind Ltd ターボ機械
JP2001271797A (ja) 2000-03-28 2001-10-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高速モータ駆動圧縮機とその冷却方法
KR100481600B1 (ko) 2002-07-24 2005-04-08 (주)앤틀 터보 기계
KR100798084B1 (ko) 2006-04-03 2008-01-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형 공기 블로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991A (ko)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460B1 (ko) 스크롤 유체기계
EP3401549A1 (en) Turbo compressor
US7497673B2 (en) Scroll fluid machine having forced convection generating portion
KR101347199B1 (ko) 터보압축기
KR102239812B1 (ko) 터보 압축기
CN112400064B (zh) 具有轴旁通流体循流口的再生式鼓风机-压缩机
KR20170047450A (ko) 터보 압축기
KR102050810B1 (ko) 냉각 열평형이 가능한 고속 터보기계
EP1234982B1 (en) Vacuum pump
KR101677072B1 (ko) 웨어링을 갖는 케이싱링 및 이를 포함하는 양흡입 펌프
TWI770196B (zh) 多級式魯氏泵
US11339791B2 (en) High-speed dual turbo machine enabling cooling thermal equilibrium
KR20200013027A (ko) 터보 압축기
RU2518785C2 (ru) Двухсекционный центробежный компрессор
KR102653189B1 (ko) 반경류 터보기계
US6672828B2 (en) Vacuum pump
KR20010010869A (ko) 터보 압축기의 실링장치
KR102033355B1 (ko) 소형 터보 압축기
JPH0311193A (ja) 真空ポンプ
KR101333056B1 (ko) 냉각 기능을 갖는 모터 내장형 스크루 로터 타입 진공펌프
KR100296306B1 (ko) 터보 압축기의 가스베어링 구조
KR20010017179A (ko) 터보 압축기의 축방향 실링구조
KR102386646B1 (ko) 터보 압축기
KR100320192B1 (ko) 터보 압축기의 가스베어링 구조
KR20240067394A (ko) 공기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