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091B1 - 식탁이 구비된 홈바 - Google Patents

식탁이 구비된 홈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091B1
KR101347091B1 KR1020130032763A KR20130032763A KR101347091B1 KR 101347091 B1 KR101347091 B1 KR 101347091B1 KR 1020130032763 A KR1020130032763 A KR 1020130032763A KR 20130032763 A KR20130032763 A KR 20130032763A KR 101347091 B1 KR101347091 B1 KR 101347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bar
plate
tabletop
le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희
Original Assignee
이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희 filed Critical 이환희
Priority to KR1020130032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8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 A47B2001/085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with draw-leaf supported by additional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탁이 구비된 홈바, 구체적으로는 접이식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고 식탁지지장치 및 다리이동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식탁상판들을 홈바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에는 중간식탁상판 및 식탁다리부를 홈바본체 내에 수납하고 전방식탁상판 및 후방식탁상판을 홈바본체에 밀착시켜 후방식탁상판을 수납부 덮개로 활용함으로써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식탁이 구비된 홈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탁이 구비된 홈바{Home bar with kitchen table}
본 발명은 식탁이 구비된 홈바, 구체적으로는 접이식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고 식탁지지장치 및 다리이동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식탁상판들을 홈바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 시에는 중간식탁상판 및 식탁다리부를 홈바본체 내에 수납하고 전방식탁상판 및 후방식탁상판을 홈바본체에 밀착시켜 후방식탁상판을 수납부 덮개로 활용함으로써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식탁이 구비된 홈바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엌에는 기본적인 부엌가구로서 식탁과, 부엌에 필수적인 기기들인 전자렌지, 전기밥솥, 조리기기 등 각종 주방기기를 수납하는 부엌수납장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근래 주방공간에서는 편의성과 실용성 및 실내에서의 인테리어 기능이 겸해진 홈바의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주거면적의 소형화에 따른 주방공간의 축소에 따라 공간의 활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주방가구들이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홈바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홈바는 그 자체만으로도 소형 간이 식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주부 등이 취사를 준비하는 작업공간으로도 활용되어진다. 또한 홈바의 후면에는 수납공간이 있어서 종래 부엌수납장의 수납기능까지 모두 포함하므로 인테리어 미관상 뒤떨어지는 부엌수납장을 급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나아가 여기에 식탁을 추가로 구비하여 활용성을 더욱 높이는 추세로 보급되고 있다.
도 1에 첨부한 바와 같이 점유공간을 줄이기 위해 종래의 부엌수납장과 식탁상판이 결합된 형태의 가구가 홈바의 활발한 보급 이전에 이미 소개되고 있었으나, 그 사용용도와 공간에서의 활용구조상 부엌수납장은 홈바와는 전혀 성격이 다른 가구라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홈바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홈바는 간이식탁, 조리 등의 작업공간, 수납공간의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으나 부엌수납장은 단지 주방에 필요한 기기들을 수납하는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공간에서의 활용방식과 효율성 면에서도 부엌수납장은 홈바와 커다란 차이가 있다. 부엌수납장은 대부분 벽면에 접하도록 되어있는 구조이며, 최대한의 수납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높이가 대부분 키 높이 정도로 높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성을 갖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며, 또한 협소한 주방공간에 기성품으로 구매되므로 위치상 추가로 설치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홈바는 부엌수납장보다 높이도 낮으며 크기도 작아 이동이 수월하며 더욱이 바닥에 바퀴를 구비하여 더욱 편리한 이동성을 갖출 수 있다. 또한 사용시 벽면에 접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하는 곳에 더욱 쉽게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홈바는 기능과 효용성과 공간활용도 등 모든 면에서 부엌수납장보다 훨씬 뛰어난 전혀 다른 주방가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진일보한 홈바도 소비자의 편의를 위하여 식탁을 구비하게 되면 상기 설명한 종래의 부엌수납장에 식탁상판이 결합한 형태와 마찬가지의 문제점들을 갖게 된다.
첨부한 도 2는 종래의 식탁이 구비된 홈바의 개략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식탁이 구비된 홈바는 식탁이 홈바 내로 들어가더라도 상당 부분이 홈바를 벗어나 일정한 공간을 점유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곧 공간 활용이 극대화되지 못했음을 뜻한다.
또한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에 따라 홈바는 모두 그 크기가 크지 않아 추가로 식탁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1인 내지 겨우 2인이 사용가능하며 이때 이동성은 부엌수납장에 식탁상판이 결합한 형태와 마찬가지로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특히 식탁을 4인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홈바와 식탁의 구조상 전체 크기가 훨씬 커져야 하기 때문에 공간활용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거의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4인이 사용하기에 충분한 식사 공간을 제공하며, 동시에 이동성도 갖추어 주거공간에서 위치선정의 자유로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식탁을 미사용시에는 홈바의 점유면적 내로 축소되어 주택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식탁이 구비된 홈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탁이 구비된 홈바는,
홈바상판, 홈바전면판넬, 홈바측면판넬 및 홈바후면판넬로 구성된 홈바본체, 홈바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수납부, 홈바상판과 수납부 사이로 이동 삽입될 수 있는 식탁상판, 및 식탁다리로 이뤄지는 식탁이 구비된 홈바에 있어서,
홈바전면판넬 및 홈바후면판넬의 상부에 수평 식탁상판출입구와 중앙에 수직 식탁다리출입구가 형성되고,
식탁다리가 홈바 내로 이동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도록, 수납부는 좌측수납부와 우측수납부로 분리 구성되고,
홈바상판과 수납부 사이로 이동 삽입된 식탁상판을 거치하도록, 식탁상판거치대가 좌측수납부 및 우측수납부의 상면에는 부착되고,
좌측수납부, 우측수납부 및 식탁상판거치대는 홈바측면판넬의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식탁상판의 두께 이상 홈바본체 내부에 안쪽으로 위치하고,
식탁상판은 전방식탁상판, 중간식탁상판, 후방식탁상판으로 구성되고,
전방식탁상판과 중간식탁상판 사이 또는 중간식탁상판과 후방식탁상판 사이에 접이식 결합부가 설치되고,
후면이 개방되고 중앙에 다리이동홈이 형성된 박스로서 전방식탁상판 하면에 부착된 전방다리이동박스, 전면이 개방되고 중앙에 다리이동홈이 형성되고 측면에 걸림돌기이동홈이 형성된 박스로서 중간식탁상판 하면에 부착된 중간다리이동박스, 및 측면에 이동판걸림돌기가 구비된 판으로서 식탁다리 위에 부착되고 전방다리이동박스 및 중간다리이동박스 내에 삽입되어 이동판걸림돌기가 걸림돌기이동홈 내에서 이동됨에 따라 식탁다리와 함께 전방다리이동박스와 중간다리이동박스 내에서 이동되는 다리이동판으로 구성된 다리이동장치가 설치되고,
후면이 개방된 박스로서 중간식탁상판 하면에 부착된 중간식탁지지박스, 전면이 개방된 박스로서 후방식탁상판 하면에 부착된 후방식탁지지박스, 및 측면에 지지판걸림돌기가 구비된 판으로서 중간식탁지지박스 및 후방식탁지지박스 내에 삽입되어 중간식탁지지박스 또는 후방식탁지지박스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이동홈 내에서 지지판걸림돌기가 이동됨에 따라 중간식탁지지박스와 후방식탁지지박스 내에서 이동되는 식탁지지판으로 구성된 식탁지지장치가 설치되어,
중간다리이동박스 내로 이동된 식탁다리가 홈바전면판넬의 식탁다리출입구를 통해 좌측수납부와 우측수납부 사이의 통로에 매립될 수 있고,
전방식탁상판이 홈바전면판넬 앞으로 접힐 수 있고,
후방식탁상판이 홈바후면판넬 뒤로 접혀서 수납부 덮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탁이 구비된 홈바는,
홈바상판, 홈바전면판넬, 홈바측면판넬 및 홈바후면판넬로 구성된 홈바본체, 홈바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수납부, 홈바상판과 수납부 사이로 이동 삽입될 수 있는 식탁상판, 및 식탁다리로 이뤄지는 식탁이 구비된 홈바에 있어서,
홈바전면판넬 및 홈바후면판넬의 상부에 수평 식탁상판출입구와 중앙에 수직 식탁다리출입구가 형성되고,
식탁다리가 홈바 내로 이동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도록, 수납부는 좌측수납부와 우측수납부로 분리 구성되고,
홈바상판과 수납부 사이로 이동 삽입된 식탁상판을 거치하도록, 식탁상판거치대가 좌측수납부 및 우측수납부의 상면에는 부착되고,
좌측수납부, 우측수납부 및 식탁상판거치대는 홈바측면판넬의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식탁상판의 두께 이상 홈바본체 내부에 안쪽으로 위치하고,
식탁상판은 전방식탁상판, 중간식탁상판, 후방식탁상판으로 구성되고,
전방식탁상판과 중간식탁상판 사이 또는 중간식탁상판과 후방식탁상판 사이에 접이식 결합부가 설치되고,
후면이 개방되고 중앙에 다리이동홈이 형성된 박스로서 전방식탁상판 하면에 부착된 전방다리이동박스, 전면이 개방되고 중앙에 다리이동홈이 형성되고 측면에 걸림돌기이동홈이 형성된 박스로서 중간식탁상판 하면에 부착된 제1 중간다리이동박스, 및 측면에 이동판걸림돌기가 구비된 판으로서 제1 식탁다리 위에 부착되고 전방다리이동박스 및 제1 중간다리이동박스 내에 삽입되어 이동판걸림돌기가 걸림돌기이동홈 내에서 이동됨에 따라 제1 식탁다리와 함께 전방다리이동박스와 제1 중간다리이동박스 내에서 이동되는 제1 다리이동판으로 구성된 제1 다리이동장치가 설치되고,
후면이 개방되고 중앙에 다리이동홈이 형성되고 측면에 걸림돌기이동홈이 형성된 박스로서 중간식탁상판 하면에 부착된 제2 중간다리이동박스, 전면이 개방되고 중앙에 다리이동홈이 형성된 박스로서 후방식탁상판 하면에 부착된 후방다리이동박스, 및 측면에 이동판걸림돌기가 구비된 판으로서 제2 식탁다리 위에 부착되고 제2 중간다리이동박스 및 후방다리이동박스 내에 삽입되어 이동판걸림돌기가 걸림돌기이동홈 내에서 이동됨에 따라 제2 식탁다리와 함께 제2 중간다리이동박스와 후방다리이동박스 내에서 이동되는 제2 다리이동판으로 구성된 제2 다리이동장치가 설치되어,
제1 중간다리이동박스 내로 이동된 제1 식탁다리는 홈바전면판넬의 식탁다리출입구를 통해 그리고 제2 중간다리이동박스 내로 이동된 제2 식탁다리는 홈바후면판넬의 식탁다리출입구를 통해 모두 좌측수납부와 우측수납부 사이의 통로에 매립될 수 있고,
전방식탁상판이 홈바전면판넬 앞으로 접힐 수 있고,
후방식탁상판이 홈바후면판넬 뒤로 접혀서 수납부 덮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홈바의 바닥면적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여 홈바 본연의 콤팩트함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4인이 사용하기에 충분한 식탁을 홈바에 구비할 수 있게 되며,
홈바의 양측으로 모두 식탁상판을 전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실내공간에서 공간이 넓은 쪽 혹은 사용자가 원하는 쪽으로 식탁을 자유롭게 전개할 수 있어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되며,
전개된 4인용 식탁에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홈바와 별도로 식탁을 구매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절약이 되며,
생산 측면에서는 자원의 절약도 함께 이루어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식탁이 결합된 형태의 종래 부억수납장에 대한 사진이고
도 2는 식탁이 구비된 종래 홈바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바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바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바의 식탁상판이 전방으로 전개된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바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바본체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바의 식탁상판 및 식탁다리부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바의 식탁상판들의 하면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바의 2 개의 식탁다리를 가진 식탁상판 및 식탁다리부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탁다리부와 다리이동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탁지지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탁상판걸림장치에 관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종래 홈바와 식탁의 규격 수치를 곁들여 본 발명에 따른 식탁이 구비된 홈바(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종래 홈바의 평균적인 규격은,
가로(W) 100~120cm, 세로 50~70cm, 높이(H)가 70~80cm 정도로 상당히 콤팩트 하여 부엌 및 실내공간에서 비교적 이동이 자유롭고 위치선정 또한 상당히 자유롭다.
반면 4인용 식탁은 가로(W)가 130~140cm, 세로(D)가 80~90cm, 높이(H)가 70~80cm정도이며, 특히 식탁에서의 최소 가로(W)의 수치는 양 옆으로 2인이 식탁의 자를 놓고 앉았을 때를 고려하여 최소 120cm 이상이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평균적 규격의 4인용 식탁을 상기 평균적 규격의 홈바에 구비하되 홈바 본래의 규격을 그대로 유지하여 실내점유공간의 크기에 변화가 전혀 없도록 하여 홈바 본연의 콤팩트함과 실내위치선정의 자유로움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수치상으로 보자면 가로(W), 세로(D)가 더 큰 4인용 식탁을 높이(H)는 비슷하되 가로(W), 세로(D)가 더 작은 홈바에 구비하면서 동시에 식탁상판(20)의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탁이 구비된 홈바(1)의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탁이 구비된 홈바(1)가 전방으로 전개된 사용상태도로서 홈바(1)의 각 구성부분에 대한 예시적인 수치가 표시되어 있다.
홈바상판(11)은 가로 120cm, 세로 70cm이고, 홈바본체(10)는 가로 110cm, 세로 60cm, 높이 80cm이다. 홈바상판(11)을 홈바본체(10)보다 조금 크게 구성한 것은 식탁상판(20)을 전개하지 않고 그 자체로 1인 혹은 2인용 식탁용도로 사용하거나 조리 등의 작업공간으로 사용할 때 약간의 넉넉함과 아울러 홈바본체(10)로부터 이격된 약간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홈바(1)가 놓이는 바닥 공간은 가로 110cm x 세로 60cm x 높이 80cm로서 상당히 콤팩트하여 좁은 실내공간이나 주방에서 위치와 방향의 구별 없이 어디든지 쉽게 놓여 질 수 있으며 작은 크기와 부피로 인해 이동에도 불편함이 없으며 또한 홈바본체(10) 하부 네 귀퉁이에 바퀴(32)를 설치한다면 이동성이 더욱 증대되어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콤팩트한 홈바(1)에서 식탁을 전개하면 도면의 수치와 같이, 가로 130cm x 세로 80cm x 높이 70cm의 식탁을 사용자가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식탁은 후술하는 식탁지지장치(26)와 다리이동장치(27)에 의해서 안정되고 충분한 지지력이 제공되며 4인이 사용하기에 충분한 식탁상판(20) 면적이 제공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바(1)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바본체(10)의 외부는 좌 우 2개의 홈바측면판넬(13), 홈바측면판넬(13)의 앞과 뒤에서 각기 결합되는 홈바전면판넬(12)과 홈바후면판넬(14), 홈바측면판넬(13), 홈바전면판넬(12), 홈바후면판넬(14) 모두 위에 얹혀지는 홈바상판(11), 즉 총 5개의 판넬로써 이루어지며, 그 내측에는 홈바본체(1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개방된 공간인 식탁다리통로(151)가 구비되며 상기 식탁다리통로(151) 좌우로 2개의 수납부(15), 즉 좌측수납부(15A) 및 우측수납부(15B)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부(15)의 높이는 외측의 홈바측면판넬(13)의 높이보다 낮으며 각각의 수납부(15) 상부에는 홈바측면판넬(13)과 접하여 식탁상판거치대(16)가 구비되어 지는데 그 높이도 홈바측면판넬(13)보다 낮게 구비된다.
이는 홈바상판(11)과 식탁상판거치대(16) 사이의 공간에 식탁상판(20)이 접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식탁상판(20)과 수납부(15) 사이의 공간에는 식탁상판걸림장치(25), 다리이동장치(27), 식탁지지장치(26)와 같은 장치들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홈바전면판넬(12)은 식탁다리통로(151)의 연장선상에서 식탁다리(31)가 이동될 수 있도록 중앙 부분에 식탁다리출입구(122)를 가지며 그 상부에는 식탁상판(20)이 출입하여 이동될 수 있는 식탁상판출입구(121)가 구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바본체(10)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홈바본체(10)에 있어서 좌우측의 홈바측면판넬(13)과 접하여 결합되는 홈바후면판넬(14)에 식탁상판출입구(141)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바후면판넬(14) 아래로 식탁다리통로(151)를 중심으로 좌우로 구분된 2개의 수납부(15) 즉, 좌측수납부(15A)와 우측수납부(15B)가 구비되어 있으며, 더 나아가 각기 상하로 2개씩의 수납공간을 구비하여 총 4개의 수납공간도 오픈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바(1)의 식탁상판(20) 및 식탁다리부(30)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탁상판(20)은 전방식탁상판(21), 중간식탁상판(22), 후방식탁상판(23)의 3개 부분으로 나뉘어지며 하나의 식탁다리(31)를 구비한다.
후방식탁상판(23)은 힌지 혹은 회동관절과 같은 접이식 결합부(24)에 의하여 수납부(15) 쪽으로 접히며 수납장의 개폐 도어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중간식탁상판(22)은 홈바본체(10) 내부에 수납되는 식탁상판(20)의 일 부분이다.
전방식탁상판(21)은 힌지 혹은 회동관절과 같은 접이식 결합부(24)에 의하여 홈바전면판넬(12) 쪽에 접하여 덮히는 식탁상판(20)의 일 부분이다.
식탁다리부(30)에 대해서는 도 11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바(1)의 식탁상판(20)들의 하면에 대한 개략도이다.
후방식탁상판(23)과 중간식탁상판(22)은 힌지 또는 회동관절과 같은 접이식 결합부(24)에 의해 결합되며 후방식탁상판(23)의 후단 양측에는 식탁상판걸림장치(25)가 구비된다. 식탁상판걸림장치(25)는 홈바전면패널의 식탁상판출입구(121)에 걸려 더 이상 후방식탁상판(23)이 앞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식탁상판걸림장치(25)는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 질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탁상판걸림장치(25) 자체 또는 적어도 그 말단은 수납부(15)의 덮개 역할을 할 때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식탁지지장치(26)가 후방식탁상판(23)과 중간식탁상판(22)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후방식탁상판(23)의 하면에는 후방식탁지지박스(262)가 구비되며, 이에 대응하여 마주보는 위치에서 중간식탁상판(22)의 하면에는 중간식탁지지박스(261)가 구비되며, 식탁상판에 충분하고 균일한 지지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2개의 후방식탁지지박스(262) 및 2개의 중간식탁지지박스(261)가 식탁상판(20) 하면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식탁상판(22)과 전방식탁상판(21)도 힌지 또는 회동관절과 같은 접이식 결합부(24)에 의하여 결합되며, 또한 다리이동장치(27)가 중간식탁상판(22)과 전방식탁상판(21) 사이에 설치되는데, 중간식탁상판(22)의 전단 중앙에 중간다리이동박스(272)가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여 마주보는 위치에서 전방식탁상판(21)의 후단 중앙에 전방다리이동박스(271)가 설치된다.
*식탁지지장치(26)는 식탁상판(20)의 재질과 크기에 따라 더욱 지지력이 보강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중간식탁상판(22)과 전방식탁상판(21) 사이에도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탁이 구비된 홈바(1)에 있어서, 홈바(1)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방향으로도 식탁상판(20)을 전개시킬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탁다리(31)를 중간식탁상판(22)의 전단 및 후단에 2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다리이동장치(27)가 중간식탁상판(22)의 후단과 후방식탁상판(23)의 전단 사이에도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식탁지지장치(26)와 다리이동장치(27)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다음 도 12와 도 11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9에서 ①로 표시된 부분은 후방식탁상판(23), 중간식탁상판(22), 전방식탁상판(21)의 하면 모두에 있어서 여하한 장치도 설치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도 6에서 ①'로 표시된 식탁상판거치대(16)에 직접 얹히는 부분이다.
도 9에서 ②로 표시된 식탁지지장치(26)의 두께는 도 6에서 ②'로 표시된 식탁상판거치대(16)의 두께보다 얇아 식탁상판(20)이 홈바본체(10) 내부를 이동할 때 수납부(15)의 상면에 직접 닿지 않게 된다.
식탁상판걸림장치(25)의 두께도 식탁상판거치대(16)의 두께보다 얇아 식탁상판(20)이 홈바본체(10) 내부를 이동할 때 수납부(15)의 상면에 직접 닿지 않지만, 홈바전면판넬(12)과 홈바후면판넬(14)의 식탁상판출입구(141)에는 걸리게 된다.
식탁상판(20)의 중앙에 설치되는 다리이동장치(27)는 좌측수납부(15A)와 우측수납부(15B) 사이의 식탁다리통로(151) 위에 위치하므로 다리이동장치(27)의 두께는 식탁상판거치대(16)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도 9에서 ③으로 표시된 식탁상판(20)의 두께는 도 6에서 ③'으로 표시된 홈바측면판넬(13)의 상단과 식탁상판거치대(16) 상면 사이의 높이보다 얇아 식탁상판(20)이 홈바상판(11)과 식탁상판거치대(16) 사이에 삽입 이동될 수 있다.
①, ②, ③과 같은 규격에 따라 식탁상판(20)은 홈바상판(11)과 식탁상판거치대(16) 사이의 공간에서 수납 및 이동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수치상으로 가로(W), 세로(D)가 더 큰 4인용 식탁을 높이(H)는 비슷하되 가로(W), 세로(D)가 더 작은 홈바에 구비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식탁상판(20)에 대해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식탁이 3부분으로 구분되므로 힌지 또는 회동관절과 같은 접이식 결합부(24)에 의해 접히는 부분에는 더욱 지지력이 보강될 필요가 있다.
즉, 후방식탁상판(23)과 중간식탁상판(22)이 접히는 양쪽에 마주보도록 구비된 1쌍 이상의 식탁지지장치(26)와, 중간식탁상판(22)과 전방식탁상판(21)이 접히는 양쪽 중앙에 마주보도록 구비된 1쌍의 다리이동장치(27)가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여 주는 것이다.
식탁지지장치(26)와 다리이동장치(27)는 각각 식탁지지박스 또는 다리이동박스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식탁지지판(263)과 다리이동판(273)을 구비하며 접히는 부분의 중앙부에 식탁지지판(263) 또는 다리이동판(273)이 위치하게 되어 식탁상판(20)의 상부로부터 가중되는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식탁상판(20)의 재질 및 두께에 따라 가중되는 무게에 대해 지지력이 더 보강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식탁지지장치(26)를 중간식탁상판(22)과 전방식탁상판(21)에 추가적으로 설치하거나, 식탁지지장치(26) 믹 식탁지지판(263)의 크기 및 두께를 더욱 크게 설계하는 등으로 변형하여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식탁상판(20)을 홈바(1)의 전방과 후방의 양방향으로 식탁을 전개시킬 때에는 후방식탁상판(23)에 식탁다리부(30)를 하나 더 추가하여 총 2개의 식탁다리부(30)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식탁상판(20)에 대한 지지력은 보강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탁다리부(30)와 다리이동장치(27)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식탁다리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식탁다리(31)의 하부에 바퀴정치장치(33)가 달린 바퀴(3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식탁다리(31)의 상부에는 금속과 같이 튼튼한 재질로 된 4각형의 다리지지판(263)이 결합되어 구비되고, 다리지지판(263)의 측면에는 손잡이 역할과 걸림장치 역할을 수행하는 이동판걸림돌기(2731)가 구비된다.
위와 같은 식탁다리부(30)는 식탁상판(20)의 하면에 부착된 다리이동장치(27)에 구속되어 결합된다.
다리이동장치(27)는 도 11에서와 같이 좌측의 전방다리이동박스(271)와 우측의 중간다리이동박스(272)라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짝을 이루게 되는데 전방다리이동박스(271)와 중간다리이동박스(272)는 각각 전방식탁상판(21)과 중간식탁상판(22)이 접힐 때 마주보는 위치에서 동일 선상에 마주보도록 전방식탁상판(21)과 중간식탁상판(22)의 하면 중앙에 설치된다.
전방다리이동박스(271)와 중간다리이동박스(272)는 내부가 빈 박스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도록 부착되며 내부의 빈 공간에 식탁다리(31) 상부에 부착된 다리이동판(273)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전방다리이동박스(271)의 후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중앙에 ㄷ자 형태의 다리이동홈(2711)이 절개되어 있고 이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하는 중간다리이동박스(272)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중앙에 역 ㄷ자 형태의 다리이동홈(2721)이 절개되어 있어, 전방다리이동박스(271)와 중간다리이동박스(272)의 다리이동홈(2711, 2721) 내에서 식탁다리(31)가 전후로 이동하게 되는데 전방식탁상판(21)에 부착되는 전방다리이동박스(271)의 다리이동홈(2711)보다 중간식탁상판(22)에 부착되는 중간다리이동박스(272)의 다리이동홈(2721)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이는 접힌 전방식탁상판(21)이 회동되어 수평하게 전개하고, 다리이동판(273)에 구비된 이동판걸림돌기(2731)를 이용하여 식탁다리(31)를 중간다리이동박스(272)의 다리이동홈(2721)을 거쳐 전방다리이동박스(271)의 다리이동홈(2711)으로 이동시켜 홈의 끝부분에 다다르게 함으로써 식탁다리(31)와 다리이동판(273)이 전방식탁상판(21)과 중간식탁상판(22)의 하중을 지지하게 할 수 있으며, 중간다리이동박스(272)의 다리이동홈(2721)의 길이가 전방다리이동박스(271)의 다리이동홈(2711)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은 중간식탁상판(22)이 홈바본체(10) 내로 이동 삽입될 때 다리이동판(273)이 중간다리이동박스(272)의 다리이동홈(2721)의 끝부분까지 충분하게 이동되어 식탁다리(31)도 홈바본체(10) 내에 전부 수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중간다리이동박스(272)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이동홈(2722)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다리이동판(273) 측면에 착탈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이동판걸림돌기(2731)는 걸림돌기이동홈(2722) 내에 구속되어 전후로 이동되므로 다리이동판(273) 및 식탁다리(31)는 걸림돌기이동홈(2722)이 형성된 구간 내에서만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전방식탁상판(21)을 접고 중간식탁상판(22)을 홈바본체(10) 내로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식탁다리(31)가 홈바본체(10)의 좌측수납부(15A)와 우측수납부(15B) 사이의 식탁다리통로(151) 내부로 이동하여 안전하게 수납되어지며, 전방식탁상판(21)과 중간식탁상판(22)을 전개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다리이동판(273)과 그 중심에 부착된 식탁다리(31)가 전방식탁상판(21)과 중간식탁상판(22)이 접이식 결합된 부분에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바퀴정치장치(33)가 작동되면 식탁다리(31)의 이동이 제한되어 식탁상판(20)이 더욱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탁지지장치(26)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식탁지지장치(26)는 식탁상판(20)의 하면에 부착되어 지지력을 보강해 주는 장치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 같이, 중간식탁상판(22)의 하면 적어도 일측,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중간식탁지지박스(261)와, 후방식탁상판(23)의 하면 적어도 일측, 바람직하게는 양측에 중간식탁지지박스(261)와 마주보도록 동일선상에 부착되어지는 후방식탁지지박스(262)로 구성되며, 이들 식탁지지박스는 내부가 빈 박스로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식탁지지박스(262)의 내부에는 금속과 같이 튼튼한 재질로 된 사각판의 식탁지지판(263)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식탁지지판(263)은 일측면에 탈착이 가능한 지지판걸림돌기(2631)가 구비되어, 손잡이 역할과 동시에 후방식탁지지박스(262)의 일측부에 절개되어 구비된 걸림돌기이동홈(2611)을 따라 전후로 제한적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후방식탁상판(23)을 회동시켜 중간식탁상판(22)과 수평을 이루게 한 후, 후방식탁지지박스(262) 내의 지지판걸림돌기(2631)를 잡고 중간식탁지지박스(261)쪽으로 약간의 힘을 가하여 걸림돌기이동홈(2611)의 끝까지 이동시키면 식탁지지판(263)의 전단은 중간식탁지지박스(261)의 내부 끝에 맞닿으며 식탁지지판(263)의 중심은 접이식 결합부(24)에 이르게 되므로 이 부분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사용자가 편리하게 식탁상판(20)을 전개하고 지지판걸림돌기(2631)를 이용하여 이들을 쉽게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될 수만 있다면, 위와 달리 후방식탁지지박스(262)와 중간식탁지지박스(261)는 후방식탁상판(23)과 중간식탁상판(22)의 하면에 대해 서로 바뀌어 부착되어도 무방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탁상판걸림장치(25)에 관한 개략도이다.
식탁상판걸림장치(25)는 후방식탁상판(23)의 하면 후단 또는 전방식탁상판(21)의 하면 전단에 설치되는데 식탁상판(20)의 재질 및 크기, 식탁상판(20)의 전개 방향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만큼 예컨대, 중앙에 1개가 설치되거나 또는 양측에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탁상판걸림장치(25)는 식탁상판걸림돌기(251)와 식탁상판걸림돌기(251)를 내재하여 수납할 수 있는 매립박스(252)로 구성된다.
후방식탁상판(23)의 하면에 설치된 식탁상판걸림돌기(251)의 하부에는 스프링(2512)이 장착된 회전축(2511)이 끼워질 수 있으며 회전축(2511)의 양단은 매립박스(252)의 고정홈(2521)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자유로운 상태에서 식탁상판걸림돌기(251)는 스프링(253)의 양발에 의해 항상 직립된 상태로 지지되며, 직립된 상태의 식탁상판걸림돌기(251)가 홈바전면판넬(12)의 식탁상판출입구(121)에 걸리게 되면 후방식탁상판(23)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막지만, 직립된 상태의 식탁상판걸림돌기(251)가 홈바후면판넬(14)의 식탁상판출입구(141)에 걸리면 수평으로 눕게 되므로 후방식탁상판(23)이 후진할 수 있다. 눕혀진 식탁상판걸림돌기(251)이 홈바후면판넬(14)의 식탁상판출입구(141)를 지나 더 후진하면 스프링(2512)의 반탄력에 의해 직립된 상태로 복귀된다.
전방식탁상판(23)의 하면에 설치된 식탁상판걸림돌기(251)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예컨대, 자유로운 상태에서 식탁상판걸림돌기(251)는 스프링(253)의 양발에 의해 항상 직립된 상태로 지지되며, 직립된 상태의 식탁상판걸림돌기(251)가 홈바후면판넬(14)의 식탁상판출입구(141)에 걸리게 되면 전방식탁상판(21)이 더 이상 후진하지 못하도록 막지만, 직립된 상태의 식탁상판걸림돌기(251)가 홈바전면판넬(12)의 식탁상판출입구(121)에 걸리면 수평으로 눕게 되므로 전방식탁상판(21)이 전진할 수 있다. 눕혀진 식탁상판걸림돌기(251)이 홈바전면판넬(12)의 식탁상판출입구(121)를 지나 더 전진하면 스프링(2512)의 반탄력에 의해 직립된 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매립박스(252) 상면에는 스프링억제장치(2522)가 수평 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어 식탁상판걸림돌기(251)를 매립박스(252) 내부로 접어둔 상태에서 스프링억제장치(2522)를 수평회동시켜 매립박스(252) 내부에 구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식탁다리(31)를 2개 구비하고 식탁상판(20)이 홈바(1)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쪽으로도 전개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을 때에는 식탁상판걸림돌기(251)를 매립박스(252) 안쪽으로 접어넣고 매립박스(252) 상부에 있는 스프링억제장치(2522)를 돌려 식탁상판걸림돌기(251)를 매립박스(252) 내부로 완전히 수납하여 고정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홈바본체(10)의 좌측수납부(15A)와 우측수납부(15B)의 사이를 통과하는 빈 공간인 식탁다리통로(151)가 구비되고, 홈바전면판넬(12)과 홈바후면판넬(14) 양측에 모두 식탁상판출입구(121, 141)가 구비되며, 후방식탁상판(23)과 전방식탁상판(21)이 홈바본체(10)에 접혀 밀착되고, 식탁상판(20) 양쪽 끝단부에 부착되는 개폐식의 식탁상판걸림장치(25)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식탁을 구비하는 부엌수납장이나 홈바와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한 홈바(1)는 홈바(1)의 전방 또는 후방 어느 쪽으로도 식탁을 전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개되는 방향으로 위치하는 식탁상판걸림장치(25)의 식탁상판걸림돌기(251)는 직립하도록 하며 반대쪽 식탁상판걸림장치(25)의 식탁상판걸림돌기(251)는 스프링억제장치(254)를 이용하여 매립박스(252)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하면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식탁다리(31)를 2개 구비하면 식탁다리통로(151)를 통해 이동과 수납이 자유로우면서도 더욱 충분한 지지력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홈바(1) 전방이나 홈바(1) 후방 어느 쪽으로도 자유롭게 4인용 식탁을 전개할 수 있게 되어 홈바(1) 본연의 콤팩트함을 유지하면서도 특히 협소한 실내공간에서 공간이 넓은 쪽으로 식탁을 전개할 수 있어 비좁은 실내공간에 위치선정의 자유로움을 최대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식탁상판걸림돌기(251)는 식탁상판(20)의 가장 끝부분에서 홈바본체(10)의 판넬과 접하게 되므로 식탁상판걸림돌기(251)의 하단에는 탄력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팁(tip)(2513)이 구비되어 접힌 전방식탁상판(21)이 홈바전면판넬(12)에 부딪힐 때의 충격 또는 접힌 후방식탁상판(23)이 수납장의 뚜껑으로서 기능하면서 홈바후면판넬(14)에 부딪힐 때의 충격이 완화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홈바(1)의 모양이나 규격 또는 식탁상판(20)의 사이즈와 접이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식탁상판(20)의 부분이 2개로 구성하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식탁이 구비된 홈바
10: 홈바본체
11: 홈바상판
12: 홈바전면판넬, 121: 식탁상판출입구, 122: 식탁다리출입구
13: 홈바측면판넬
14: 홈바후면판넬, 141: 식탁상판출입구
15: 수납부, 15A: 좌측수납부, 15B: 우측수납부, 151: 식탁다리통로,
16: 식탁상판거치대
20: 식탁상판
21: 전방식탁상판, 22: 중간식탁상판, 23: 후방식탁상판, 24: 접이식 결합부
25: 식탁상판걸림장치
251: 식탁상판걸림돌기, 2511: 회전축, 2512: 스프링, 2513: 팁
252: 매립박스, 2521: 고정홈, 2522: 스프링억제장치
26: 식탁지지장치
261: 중간식탁지지박스, 2611: 걸림돌기이동홈,
262: 후방식탁지지박스
263: 식탁지지판, 2631: 지지판걸림돌기,
27: 다리이동장치
271: 전방다리이동박스, 2711: 다리이동홈
272: 중간다리이동박스, 2721: 다리이동홈, 2722: 걸림돌기이동홈
273: 다리이동판, 2731: 이동판걸림돌기
30: 식탁다리부, 31: 식탁다리, 32: 바퀴, 33: 바퀴정치장치

Claims (9)

  1. 홈바상판, 홈바전면판넬, 홈바측면판넬 및 홈바후면판넬로 구성된 홈바본체, 홈바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수납부, 홈바상판과 수납부 사이로 이동 삽입될 수 있는 식탁상판, 및 식탁다리로 이뤄지는 식탁이 구비된 홈바에 있어서,
    홈바전면판넬 및 홈바후면판넬의 상부에 수평 식탁상판출입구와 중앙에 수직 식탁다리출입구가 형성되고,
    식탁다리가 홈바본체 내로 이동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도록, 수납부는 좌측수납부와 우측수납부로 분리 구성되고,
    홈바상판과 좌측수납부 및 우측수납부 사이로 이동 삽입된 식탁상판을 거치하도록, 좌측수납부 및 우측수납부의 상면에 식탁상판거치대가 설치되고,
    식탁상판은 전방식탁상판, 중간식탁상판 및 후방식탁상판으로 구성되고,
    전방식탁상판과 중간식탁상판 사이 또는 중간식탁상판과 후방식탁상판 사이에 접이식 결합부가 설치되고,
    일측면이 개방되고 하면 중앙에 다리이동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걸림돌기이동홈이 형성된 중간다리이동박스, 일측면이 개방되고 하면 중앙에 다리이동홈이 형성된 전방다리이동박스 또는 후방다리이동박스, 및 측면에 이동판걸림돌기가 구비된 판으로서 식탁다리 위에 부착되어 중간다리이동박스와 전방다리이동박스 또는 후방다리이동박스 내에서 이동되도록 삽입되는 다리이동판으로 구성되며,
    중간다리이동박스와 전방다리이동박스는 각각 중간식탁상판과 전방식탁상판의 하면 그리고
    중간다리이동박스와 후방다리이동박스는 각각 중간식탁상판과 후방식탁상판의 하면에 일직선상으로 대칭되게 부착되는
    다리이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탁이 구비된 홈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측수납부, 우측수납부 및 식탁상판거치대는 홈바측면판넬의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식탁상판의 두께 이상 홈바본체 내부에 안쪽으로 위치하는, 식탁이 구비된 홈바.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방다리이동박스의 다리이동홈 내로 이동된 식탁다리가 전방식탁상판과 중간식탁상판 사이 그리고
    후방다리이동박스의 다리이동홈 내로 이동된 식탁다리가 후방식탁상판과 중간식탁상판 사이에서 멈추도록
    전방다리이동박스 또는 후방다리이동박스의 다리이동홈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이 구비된 홈바.
  5. 청구항 1에 있어서,
    매립박스 저면에 안착되도록 발이 펼쳐진 스프링이 회전축에 끼워진 채, 회전축이 하부에 체결된 식탁상판걸림돌기, 및 식탁상판걸림돌기를 눕혀 내부에 매립하기 위한 박스로서 상면이 개방되고 회전축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이 내측면에 형성된 매립박스로 구성되며
    전방식탁상판의 하면 전단 또는 후방식탁상판의 하면 후단에 매립박스가 부착되는
    식탁상판걸림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탁이 구비된 홈바.
  6. 청구항 5에 있어서,
    매립박스의 내부에 매립된 식탁상판걸림돌기가 스프링의 반탄력에 의해 직립하려는 반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매립박스의 일측에 수평 회동가능하도록 부착된
    스프링억제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탁이 구비된 홈바.
  7. 청구항 5에 있어서,
    식탁상판걸림돌기의 팁(tip)이 탄성체로 된, 식탁이 구비된 홈바.
  8. 청구항 5에 있어서,
    전방식탁상판의 전단 하면 양측과 후방식탁상판의 후단 하면 양측에 각각 식탁상판걸림장치가 부착되고
    중간식탁상판의 전단 및 후단 하면에 각각 식탁다리가 부착되어
    전방식탁상판, 중간식탁상판 및 후방식탁상판 모두를 홈바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방향으로도 전개시킬 수 있는, 식탁이 구비된 홈바.
  9. 청구항 1에 있어서,
    식탁다리의 하단에 바퀴 및 바퀴정치장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이 구비된 홈바.
KR1020130032763A 2013-03-27 2013-03-27 식탁이 구비된 홈바 KR101347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63A KR101347091B1 (ko) 2013-03-27 2013-03-27 식탁이 구비된 홈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63A KR101347091B1 (ko) 2013-03-27 2013-03-27 식탁이 구비된 홈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504 Division 2012-09-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350A Division KR20140042762A (ko) 2013-11-19 2013-11-19 식탁이 구비된 홈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091B1 true KR101347091B1 (ko) 2014-01-07

Family

ID=5014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763A KR101347091B1 (ko) 2013-03-27 2013-03-27 식탁이 구비된 홈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0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1528A1 (fr) * 2020-06-19 2021-12-24 Delphine VANIER Table modulab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189U (ko) * 1997-06-17 1999-01-15 이삼숙 싱크대 수납 이동식탁
KR200148789Y1 (ko) * 1996-12-11 1999-06-15 박유재 보조조리대장치
KR20060120888A (ko) * 2005-05-23 2006-11-28 주식회사 한샘 식탁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789Y1 (ko) * 1996-12-11 1999-06-15 박유재 보조조리대장치
KR19990001189U (ko) * 1997-06-17 1999-01-15 이삼숙 싱크대 수납 이동식탁
KR20060120888A (ko) * 2005-05-23 2006-11-28 주식회사 한샘 식탁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1528A1 (fr) * 2020-06-19 2021-12-24 Delphine VANIER Table modul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3038B2 (en) Ironing station
US8286452B2 (en) Modular laundry system with segmented work surface
US20070151303A1 (en) Modular laundry system with work surface having a functional element
US7555856B2 (en) Ironing station
US20130000525A1 (en) Wall-mounted folding table
US3170417A (en) Combination door and ironing board
KR20140042762A (ko) 식탁이 구비된 홈바
KR101347091B1 (ko) 식탁이 구비된 홈바
AU716512B2 (en)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US8479542B2 (en) Modular laundry system with work surface having a functional insert
JP2004049565A (ja) アイランド型キッチン
US5282679A (en) Article of furniture
KR200483550Y1 (ko) 다림판책상
CN209950751U (zh) 多功能家居柜
CN215382673U (zh) 一种便于办公休息一体的公寓床
US6126252A (en) Workstation incorporating Pivoting and Sliding Drawer
CN217592334U (zh) 一种折叠式床头柜
CN219846267U (zh) 门板与坐凳通用的柜体
KR200438650Y1 (ko) 식탁장
CN209252071U (zh) 一体化桌凳
CN210696791U (zh) 一种榻榻米
CN113796667A (zh) 一种精简户型用多功能衣柜
JP2003000363A (ja) 書棚付き机
RU2253339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шкаф (варианты)
US20200187640A1 (en) Work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