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611B1 -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611B1
KR101345611B1 KR1020130065938A KR20130065938A KR101345611B1 KR 101345611 B1 KR101345611 B1 KR 101345611B1 KR 1020130065938 A KR1020130065938 A KR 1020130065938A KR 20130065938 A KR20130065938 A KR 20130065938A KR 101345611 B1 KR101345611 B1 KR 101345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axial cable
cable assembly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환택
정용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명
정용택
정환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명, 정용택, 정환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명
Priority to KR102013006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1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4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clamping member, e.g. screw fasten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25Cable terminations for coaxial cables or hollow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바디와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커넥터 바디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부재로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를 관통시킨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Method for manufacturing connector integrated coaxial cable assembly and the connector integrated coaxial cable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손 가능성이 경감된 동축 케이블 결합체와 상기 케이블 결합체를 전자 장치의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 케이블은 소정의 유연성을 가지는 케이블이다. 상기 동축 케이블은, 최근 들어 고주파 대역의 신호 전송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동축 케이블이 건물이나 차량에 꺾여서 설치되면, 외부 충격에 의하여 꺾인 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설사, 상기 동축 케이블 이 완전히 잘려지지 않더라도, 상기 파손에 의하여 삽입 손실(insertion loss), 정재파비(VSWR), Return loss, Impedance 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 출원한 등록번호 제10-0865407호(세미-플렉서블 케이블 결합체의 제조방법)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동축 케이블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선 출원된 특허를 통해 제조되는 세미-플렉서블 케이블은 일반적인 원통형 동축 케이블과 다른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동축 케이블에 결합되는 커넥터와 결합시키기가 쉽지 않고, 종래의 동축 케이블과 결합되는 커넥터는 공개특허 제10-2007-0043624호(전처리가 필요 없는 동출 케이블 커넥터 및 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동축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와 같이 구조 및 결합 방법이 복잡해 제조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5407호
본 발명은 파손 가능성이 경감된 동축 케이블 결합체와 상기 케이블 결합체를 전자 장치의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제1 금속시트와 제2 금속시트가 밀착된 동축 케이블 결합체와 커넥터를 일체화시켜서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바디와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커넥터 바디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부재로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를 관통시킨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제1 금속시트와 제2 금속시트가 밀착된 동축 케이블 결합체와 커넥터를 일체화시켜서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측으로부터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결합부의 선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일측은 평면이 형성된 PCB 결합부로 이루어진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바디; 상기 PCB 결합부의 상기 평면에 배치되어 납땜으로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일부 겹치도록 배치되어, 내부도체들에 의해 상기 PCB 결합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가 상기 PCB 결합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위를 보호하도록 상기 커넥터 바디와 결합되는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납땜을 통해 커넥터 바디, 인쇄회로기판 및 동축 케이블 결합체를 연결시킬 수 있어, 제조과정이 복잡하지 않고 비용 절감 및 제조 시간을 단축하여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커넥터의 구조가 단순해지기 때문에 커넥터를 제조 및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비용 및 시간을 크게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둘째, 커넥터 하우징으로 이용하여 커넥터 바디를 감싸기 때문에 커넥터 바디, 인쇄회로기판 및 동축 케이블 결합체를 납땜으로 연결시킨 부위를 외부 요인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셋째, 고정용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와 결합시킴으로써 벽면 등과 같은 곳에 동축 케이블 케이블 일체형 커넥터를 고정시킬 수 있어 케이블 선 정리가 쉬워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커넥터 바디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 제조방법에 대해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는 동축 케이블 결합체와 커넥터를 연결하여 일체화된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로 제조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 제조방법은, 먼저 커넥터 바디(210)에 인쇄회로기판(240)을 고정시키는 단계(S105)를 포함한다.
상기 S105 단계를 설명하기 전, 상기 커넥터 바디(21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의 구조에 대해 각각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커넥터 바디(210)는 도 7을 참고하면 나사결합부(211), 몸체부(213) 및 PCB 결합부(215)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결합부(211)는 원 기둥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결합부(211)는 상기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가 다양한 전자 장치의 입력 단자(미도시)에 끼워질 때, 상기 입력 단자와 체결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상기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213)는 상기 나사결합부(211)의 선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13)는 상기 나사결합부(211)로부터 연장되므로 원 기둥으로 형성되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단면의 크기가 상기 나사결합부(211)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나사결합부(211)가 상기 입력단자에 체결될 때, 상기 나사결합부(211)의 길이만큼만 체결되고 그 이상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213)는 단차지게 형성되는데, 상기 나사결합부(211)의 선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길이만큼 제1 몸체부(213a)가 연장되고, 상기 제1 몸체부(213a)의 선단으로부터 다시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길이만큼 제2 몸체부(213b)가 연장 형성될 때, 상기 제2 몸체부(213b)의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단면의 크기는 상기 제1 몸체부(213a)의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단면의 크기보다 작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부(213)가 상기 제1 몸체부(213a)와 상기 제2 몸체부(213b)로 형성되는 것은, 후술될 커넥터 하우징(220)을 상기 커넥터 바디(210)와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PCB 결합부(215)는 상기 몸체부(213)의 선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기 PCB 결합부(215)는 상기 몸체부(213)의 선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기 나사결합부(211) 및 상기 몸체부(213)와 같이 원통형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단되어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이 반원 형상인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은 예시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에 회로가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의 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에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보다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S105 단계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을 상기 PCB 결합부(215)에 배치시킨 후, 상기 커넥터 바디(210)에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바디(210) 중 상기 PCB 결합부(215)s의 평면에 배치하고 납땜에 의해 상기 커넥터 바디(210)에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을 고정시킨다.
상기 커넥터 바디(21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의 납땜 작업은 별도로 구비되는 납땜 작업 장치(미도시)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납땜 작업 장치에 구비된 작업대에 상기 커넥터 바디(210)를 먼저 고정시킨 후,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을 상기 PCB 결합부(215)에 배치시키고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솔더와이어를 이용하여 납땜을 하는 것이다. 납땜을 할 때에는 납이 완전히 용융되지 않고 굳는 상태인 냉납이 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S105 단계가 끝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바디(21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에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가 이루어진다.(S110 단계)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는 동축 케이블(251)을 사이에 두고, 제1 금속시트(252a)와 제2 금속시트(252b)가 열융착되어 밀착 형성된다. 상기 동축 케이블(25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부도체(251a)와, 상기 내부도체(251a)와 동축이며 상기 내부도체(251a)를 감싸는 외부도체(251c)와, 상기 내부도체(251a)와 상기 외부도체(251c)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도체(251a)와 상기 외부도체(251c)의 합선을 방지하는 절연체(251b) 및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재(251d)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에 대해서는 기 출원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6540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여 상기 S110 단계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커넥터 바디(210)에 납땜으로 고정된 상기 인쇄회로기판(240) 상에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의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를 상기 커넥터 바디(21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에는 구비된 동축 케이블(251)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데, 상기 내부도체(251a)는 상기 커넥터 바디(210)의 상기 PCB 결합부(2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도체(251c) 및 상기 보강재(251d)는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240)의 그라운드(2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모두 납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보강재(251d)는 하이렛선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이렛선은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의 절곡 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S110 단계가 이루어진 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240)과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부재(260)로 고정시키는 단계가 이루어진다.(S115 단계)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는 내부에 구비된 상기 내부도체(251a), 상기 외부도체(251c) 및 상기 보강재(251d)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상기 인쇄회로기판(240)과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가 분리되지 않게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납땜 부위가 떨어지면서 분리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60)를 사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240)과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예시적으로 상기 고정부재(260)로 리벳 또는 유사 가공품이 이용되며, 핸드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재(260)로 상기 인쇄회로기판(240)과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40)과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에는 각각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관통홀들(241)과 제2 관통홀들(25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관통홀들(241)과 상기 제2 관통홀들(250a)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정렬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260)를 끼워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재(260)인 상기 리벳은 리벳 몸체(261) 및 고정 링(262)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리벳 몸체(261)가 상기 제1 관통홀들(241) 및 상기 제2 관통홀들(250a)에 끼워지면 상기 고정 링(262)이 상기 리벳 몸체(261)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리벳(260)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니 않고 다양한 형태의 리벳이 상기 고정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S115 단계가 이루어진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에서 언급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을 상기 커넥터 바디(210)와 결합시키는 단계가 이루어진다.(S120 단계)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은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커넥터 바디(2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원 기둥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커넥터 바디(210)의 형태와 대응되기만 하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넥터 바디(210)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을 포함하여 커넥터 유닛(230)으로 통칭하고, 이를 병기하기로 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의 내부로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를 관통시킨 후, 상기 몸체부(213)에 끼워 결합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13) 중 상기 제2 몸체부(213b)에 끼우되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의 선단이 상기 제1 몸체부(213a)와 접할 때까지 끼워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바디(210)의 상기 PCB 결합부(215)가 감싸지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이 상기 PCB 결합부(215)를 감싸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바디(210)의 상기 PCB 결합부(215)에 결합된 상기 인쇄회로기판(240)과,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250)의 상기 동축 케이블(251)이 상기 인쇄회로기판(240) 및 상기 PCB 결합부(2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를 벽면 등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고정용 케이스(27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커넥터 유닛(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용 케이스(27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 케이스 몸체(271)와, 상기 케이스 몸체(271)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케이스 몸체(27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273)를 포함하여, 상기 플랜지(273)의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이 `T`자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몸체(271)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미도시)로 상기 커넥터 유닛(230)이 삽입되므로, 상기 관통홀(미도시)은 상기 커넥터 유닛(2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유닛(230)과 결합된 상기 고정용 케이스(270)가 자유롭게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 유닛(230)과 상기 고정용 케이스(270)를 체결부재(B)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체결부재(B)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홀(미도시)은 상기 플랜지(273)에서 상기 케이스 몸체(271)를 향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체결홀(미도시)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에도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210)에도 홀(215a)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273)에는 상기 체결부재(B)를 가리도록 접착부재(275)가 부착된다. 상기 접착부재(275)는 상기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를 벽면 등에 고정시킬 때 임시로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접착부재(275)에 의해 상기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가 임시로 고정되면 상기 플랜지(273)에 형성된 고정체결홀(273a)들을 통해 체결부재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0: 커넥터 바디 220: 커넥터 하우징
230: 커넥터 유닛 240: 인쇄회로기판
250: 동축 케이블 결합체
260: 고정부재 270: 고정용 케이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부도체와, 상기 내부도체를 동축으로 상기 내부도체를 감싸는 외부도체와, 상기 내부도체와 상기 외부도체의 합선을 방지토록 상기 내부도체와 상기 외부도체 사이에 구비되는 절연체 및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제1 금속시트와 제2 금속시트가 밀착된 동축 케이블 결합체와 커넥터를 일체화시켜서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결합부의 선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선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일측은 평면이 형성된 PCB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바디와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커넥터 바디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부재로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를 관통시킨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PCB 결합부의 평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배치한 후, 납땜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의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하고, 상기 PCB 결합부와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의 내부도체를 납땜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의 외부도체 및 보강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에 납땜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보강재는 하이렛선인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는 상호 이격된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겹치는 일측에 상호 이격된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되는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리벳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로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관통홀들과 상기 제2 관통홀들의 중심을 일치시킨 후, 상기 제1 관통홀들과 상기 제2 관통홀들에 각각 상기 리벳을 끼워 고정시키는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
  7. 동축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제1 금속시트와 제2 금속시트가 밀착된 동축 케이블 결합체와 커넥터를 일체화시켜서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바디와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커넥터 바디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부재로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를 관통시킨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바디를 감싸도록 결합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커넥터 바디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관통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결합되는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
  8. 동축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제1 금속시트와 제2 금속시트가 밀착된 동축 케이블 결합체와 커넥터를 일체화시켜서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바디와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커넥터 바디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부재로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를 관통시킨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바디를 결합시킨 후,
    상기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를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용 케이스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케이스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스 몸체;
    상기 케이스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케이스 몸체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케이스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용 케이스가 상기 관통홀로 삽입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4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
  12. 동축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제1 금속시트와 제2 금속시트가 밀착된 동축 케이블 결합체와 커넥터를 일체화시킨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일측으로부터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결합부의 선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일측은 평면이 형성된 PCB 결합부로 이루어진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바디;
    상기 PCB 결합부의 상기 평면에 배치되어 납땜으로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일부 겹치도록 배치되어, 내부도체들에 의해 상기 PCB 결합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동축 케이블 결합체가 상기 PCB 결합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위를 보호하도록 상기 커넥터 바디와 결합되는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를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용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
KR1020130065938A 2013-06-10 2013-06-10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 KR101345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938A KR101345611B1 (ko) 2013-06-10 2013-06-10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938A KR101345611B1 (ko) 2013-06-10 2013-06-10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5611B1 true KR101345611B1 (ko) 2013-12-27

Family

ID=4998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938A KR101345611B1 (ko) 2013-06-10 2013-06-10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6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07B1 (ko) * 2008-04-23 2008-10-24 (주)세명 세미-플렉서블 케이블 결합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07B1 (ko) * 2008-04-23 2008-10-24 (주)세명 세미-플렉서블 케이블 결합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3752B (zh) Coaxial connector device
US7695289B1 (en) Connector
JP2009032517A (ja) 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CN108092037B (zh) 能兼顾夹持力及降低阻抗不连续影响的电缆连接器
US20130316600A1 (en) Electrical-conductive assembly for signal cable
US20170054225A1 (en) Joint connector and wire harness
JP2008123913A (ja) 内導体端子及び同軸コネクタ
US1124521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45611B1 (ko)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커넥터 일체형 동축 케이블 조립체
US20120208379A1 (en) Ac inlet
US11978984B2 (en) Signal cable connection device having a folded wire
EP3232447B1 (en) Cable assembly and cabl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JP2017098081A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シールドケーブル
CN107732480B (zh) 线缆连接器组件
US11006540B2 (en) Circuit board for mechanically fastening a housing
WO2013153788A1 (ja) コネクタ、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リード線付ハウジング、ハウジングおよびコンタクト
JP2014158563A (ja) 内視鏡、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US20160285179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tubular casing system
JP2010238638A (ja) 同軸ケーブル接続端子
KR101295518B1 (ko) 전자파 차폐용 필터부재
JP5132505B2 (ja) 同軸ケーブル固定機構
TWM492554U (zh) 連接器之纜線內屏蔽層的接地結構
US8297985B1 (en) Connector with surface mount signal pin
JP3760061B2 (ja) 同軸ケーブルの取付構造
US20070152907A1 (en) Structure of metal housing for antenna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