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321B1 - 이동통신시스템, 릴레이 노드, 무선기지국 및 게이트웨이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 릴레이 노드, 무선기지국 및 게이트웨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321B1
KR101345321B1 KR1020117029626A KR20117029626A KR101345321B1 KR 101345321 B1 KR101345321 B1 KR 101345321B1 KR 1020117029626 A KR1020117029626 A KR 1020117029626A KR 20117029626 A KR20117029626 A KR 20117029626A KR 101345321 B1 KR101345321 B1 KR 10134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qos
bearers
relay node
b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089A (ko
Inventor
히데아키 타카하시
유리 안다르마원티 햅사리
아닐 우메쉬
미키오 이와무라
미나미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2002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시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이동국 UE와 릴레이 노드 RN과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Uu 무선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 UE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Uu 무선 베어러의 각각을, 릴레이 노드 RN과 무선기지국 DenB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Un 무선 베어러로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 릴레이 노드, 무선기지국 및 게이트웨이 장치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LAY NODE, RADIO BASE STATION AND GATEWAY DEVICE }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 릴레이 노드, 무선기지국 및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 방식의 후계 통신방식인 LTE-Advanced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동국 UE와 무선기지국 DeNB와의 사이에, 무선기지국 DeNB와 동일한 기능을 구비하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 RN'을 접속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LTE-Advanced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U 플레인용 베어러로서, 이동국 UE와 게이트웨이 장치 S-GW(Serving-Gateway)와의 사이에서, E-RAB(E-UTRAN Radio Access Bearer, 이동국 UE용 베어러)가 설정되고, 이동국 UE와 릴레이 노드 RN과의 사이에서, Uu 무선 베어러(제1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고, 릴레이 노드 RN과 무선기지국 DeNB와의 사이에서, Un 무선 베어러(제2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고, 무선기지국 DeNB와 게이트웨이 장치 S-GW와의 사이에서, S1 베어러가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시점에서는, LTE-Advanced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E-RAB와 Uu 무선 베어러와 Un 무선 베어러와 S1 베어러를, 어떻게 맵핑해야 하는지에 대해 규정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에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E-RAB와 Uu 무선 베어러와 Un 무선 베어러와 S1 베어러를 적절히 맵핑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 릴레이 노드, 무선기지국 및 게이트웨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복수의 이동국과, 릴레이 노드와, 무선기지국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과 상기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제1 무선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제1 무선 베어러의 각각을,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상기 소정 QoS용 제2 무선 베어러로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릴레이 노드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국과 상기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제1 무선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제1 무선 베어러의 각각을,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상기 소정 QoS용 제2 무선 베어러로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맵핑 처리부와, 상기 소정 QoS용 제1 무선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QoS용 제1 무선 베어러의 각각을 통해 수신한 상향 유저 데이터의 상기 소정 QoS용 제2 무선 베어러로의 다중화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무선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과 게이트웨이 장치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을, 릴레이 노드와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상기 소정 QoS용 무선 베어러로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맵핑 처리부와, 상기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을 통해 수신한 하향 유저 데이터의 상기 소정 QoS용 무선 베어러로의 다중화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릴레이 노드용 게이트웨이 장치에 있어서, 무선기지국과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이,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상기 소정 QoS용 무선 베어러로 맵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을 통한 하향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E-RAB와 Uu 무선 베어러와 Un 무선 베어러와 S1 베어러를 적절히 맵핑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 릴레이 노드, 무선기지국 및 게이트웨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Uu 무선 베어러 및 Un 무선 베어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Uu 무선 베어러 및 Un 무선 베어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수행되는 UE마다의 우선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수행되는 UE마다의 우선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수행되는 UE마다의 우선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수행되는 UE마다의 우선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수행되는 UE마다의 우선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수행되는 UE마다의 우선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수행되는 UE마다의 우선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LTE-Advanced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 플레인용 베어러로서, 이동국 UE와 교환국 MME와의 사이에서, E-RAB가 설정되고, 이동국 UE와 릴레이 노드 RN과의 사이의 제1 무선구간에서, Uu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고, 릴레이 노드 RN과 무선기지국 DeNB와의 사이의 제2 무선구간에서, Un 무선 베어러가 설정되고, 무선기지국 DeNB와 게이트웨이 장치 S-GW와의 사이에서, S1 베어러가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E-RAB와 Uu 무선 베어러와 Un 무선 베어러와 S1 베어러가 맵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릴레이 노드 RN의 맵핑 처리부가, 복수의 이동국 UE#0∼UE#n과 릴레이 노드 RN과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Uu 무선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 UE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Uu 무선 베어러의 각각을, 릴레이 노드 RN과 무선기지국 DeNB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Un 무선 베어러 X∼Z로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 UE#0용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QoS#0용 Uu 무선 베어러 A0 및 이동국 UE#n용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QoS#0용 Uu 무선 베어러 B0이, QoS#0용 Un 무선 베어러 X로 맵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국 UE#0용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QoS#0용 Uu 무선 베어러 A0은, 이동국 UE#0의 식별정보(CRNTI(UE#0))와 제1 무선구간에 있어서의 이동국 UE#0의 E-RAB의 식별정보(E-RAB#0)와 Uu 무선 베어러의 식별정보(DRB#0)에 의해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국 UE#n용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QoS#0용 Uu 무선 베어러 B0는, 이동국 UE#n의 식별정보(CRNTI(UE#n))와 제1 무선구간에 있어서의 이동국 UE#n의 E-RAB의 식별정보(E-RAB#0)와 Uu 무선 베어러의 식별정보(DRB#0)에 의해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QoS#0용 Un 무선 베어러 X는, 릴레이 노드 RN의 식별정보(CRNTI(RN))와 제2 무선구간에 있어서의 E-RAB의 식별정보(E-RAB#0)와 Un 무선 베어러의 식별정보(DRB#0)에 의해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의 예에서는, 이동국 UE#0용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QoS#1용 Uu 무선 베어러 A1 및 이동국 UE#n용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QoS#1용 Uu 무선 베어러 B1이, QoS#1용 Un 무선 베어러 Y로 맵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국 UE#0용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QoS#1용 Uu 무선 베어러 A1은, 이동국 UE#0의 식별정보(CRNTI(UE#0))와 제1 무선구간에 있어서의 이동국 UE#0의 E-RAB의 식별정보(E-RAB#1)와 Uu 무선 베어러의 식별정보(DRB#1)에 의해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국 UE#n용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QoS#1용 Uu 무선 베어러 B1은, 이동국 UE#n의 식별정보(CRNTI(UE#n))와 제1 무선구간에 있어서의 이동국 UE#n의 E-RAB의 식별정보(E-RAB#1)와 Uu 무선 베어러의 식별정보(DRB#1)에 의해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QoS#1용 Un 무선 베어러 Y는, 릴레이 노드 RN의 식별정보(CRNTI(RN))와 제2 무선구간에 있어서의 E-RAB의 식별정보(E-RAB#1)와 Un 무선 베어러의 식별정보(DRB#1)에 의해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예에서는, 이동국 UE#0용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QoS#2용 Uu 무선 베어러 A2 및 이동국 UE#n용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QoS#2용 Uu 무선 베어러 B2가, QoS#2용 Un 무선 베어러 Z로 맵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국 UE#0용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QoS#2용 Uu 무선 베어러 A2는, 이동국 UE#0의 식별정보(CRNTI(UE#0))와 제1 무선구간에 있어서의 이동국 UE#0의 E-RAB의 식별정보(E-RAB#2)와 Uu 무선 베어러의 식별정보(DRB#2)에 의해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국 UE#n용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QoS#2용 Uu 무선 베어러 B2는, 이동국 UE#n의 식별정보(CRNTI(UE#n))와 제1 무선구간에 있어서의 이동국 UE#n의 E-RAB의 식별정보(E-RAB#2)와 Uu 무선 베어러의 식별정보(DRB#2)에 의해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QoS#2용 Un 무선 베어러 Z는, 릴레이 노드 RN의 식별정보(CRNTI(RN))와 제2 무선구간에 있어서의 E-RAB의 식별정보(E-RAB#2)와 Un 무선 베어러의 식별정보(DRB#2)에 의해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릴레이 노드 RN의 맵핑 처리부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UE 컨텍스트를 관리함으로써, 상술한 맵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무선기지국 DeNB의 맵핑 처리부는, 무선기지국 DeNB와 게이트웨이 장치 S-GW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S1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 UE#0∼UE#n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S1 베어러의 각각을, 소정 QoS용 Un 무선 베어러 X∼Z로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 UE#0용으로서 설정되는 QoS#0용 S1 베어러 및 이동국 UE#n용으로서 설정되는 QoS#0용 S1 베어러는, Un 무선 베어러 X로 맵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국 UE#0용으로서 설정되는 QoS#0용 S1 베어러는, TEID#0에 의해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국 UE#n용으로서 설정되는 QoS#0용 S1 베어러는, TEID#3에 의해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국 UE#0용으로서 설정되는 QoS#1용 S1 베어러 및 이동국 UE#n용으로서 설정되는 QoS#1용 S1 베어러는, Un 무선 베어러 Y로 맵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국 UE#0용으로서 설정되는 QoS#1용 S1 베어러는, TEID#1에 의해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국 UE#n용으로서 설정되는 QoS#1용 S1 베어러는, TEID#4에 의해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국 UE#0용으로서 설정되는 QoS#2용 S1 베어러 및 이동국 UE#n용으로서 설정되는 QoS#2용 S1 베어러는, Un 무선 베어러 Z로 맵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국 UE#0용으로서 설정되는 QoS#2용 S1 베어러는, TEID#2에 의해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국 UE#n용으로서 설정되는 QoS#2용 S1 베어러는, TEID#5에 의해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 DeNB의 맵핑 처리부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UE 컨텍스트를 관리함으로써, 상술한 맵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 DeNB는, MAC(Media Access Control) 레이어 기능과, MA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인 RLC(Radio Link Control) 레이어 기능과, RLC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인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PDCP 레이어 기능은, Un 무선 베어러에 대해 송신하는 하향 유저 데이터에 대해,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처리나 시큐리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PDCP 레이어 기능은, 무선기지국 DeNB에 대해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용 무선 베어러에 대해 송신하는 하향 유저 데이터에 대해,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처리나 시큐리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RLC 레이어 기능은, Un 무선 베어러에 대해 송신하는 하향 유저 데이터에 대해, 세그먼트화 처리나 ARQ(Automatic Repeat Request)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RLC 레이어 기능은, 무선기지국 DeNB에 대해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용 무선 베어러에 대해 송신하는 하향 유저 데이터에 대해, 세그먼트화 처리나 ARQ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 레이어 기능은, Un 무선 베어러에 대해 송신하는 하향 유저 데이터에 대해, 스케줄링 처리나 우선 제어 처리나 HARQ(Hybrid-ARQ)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MAC 레이어 기능은, 무선기지국 DeNB에 대해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용 무선 베어러에 대해 송신하는 하향 유저 데이터에 대해, 스케줄링 처리나 우선 제어 처리나 HARQ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MAC 레이어 기능에 마련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가, 소정 QoS용 S1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소정 QoS용 S1 베어러의 각각을 통해 수신한 하향 유저 데이터의 소정 QoS용 Un 무선 베어러로의 다중화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UE마다의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우선 제어 처리(UE마다의 우선 제어 처리)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 DeNB의 PDC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에 마련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에 있어서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우선 제어 처리부는, 각 이동국 UE의 계약정보 등에 기초하여, 각 S1 베어러에 대해 'ARP(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우선도'를 설정하고, 동일한 Un 무선 베어러에 대해, 'ARP 우선도'가 높은 S1 베어러를 통해 수신한 하향 유저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다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상기 우선 제어 처리부는, 'ARP 우선도:1'이 설정되어 있는 S1 베어러(TEID#0)를 통해 수신한 이동국 UE#0용 하향 유저 데이터를, 'ARP 우선도:10'이 설정되어 있는 S1 베어러(TEID#3)를 통해 수신한 이동국 UE#n용 하향 유저 데이터보다도 우선적으로, Un 무선 베어러 X에 다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 UE#1 및 UE#2에 대해, 동일 네트워크 Prefix의 IP 어드레스가 할당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 UE#1 및 UE#2에 대해, 상위 비트 또는 하위 비트의 소정 수가 동일한 SPID(Subscriber Profile ID for RAT/Frequency Priority)가 할당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 UE#1 및 UE#2용으로서 설정되는 S1 베어러를 특정 가능한 TEID의 상위 비트 또는 하위 비트의 소정 수가 동일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7의 예에서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 UE#1 및 UE#2 및 어느 그룹에도 속해 있지 않는 이동국 UE#0 에 대해, 동일한 'ARP 우선도:1'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우선 제어 처리부는, 'SPID:5'가 설정되어 있는 이동국 UE#1 및 UE#2 앞으로의 하향 유저 데이터를, 'SPID:10'이 설정되어 있는 이동국 UE#2 앞으로의 하향 유저 데이터보다도 우선적으로, Un 무선 베어러 Z에 다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장치 S-GW는, 각 이동국 UE용 게이트웨이 장치(UE용 S-GW)와, 릴레이 노드 RN용 게이트웨이 장치(RN용 P/S-GW)를 구비하고 있으며, 소정 QoS용 S1 베어러는, 릴레이 노드 RN과 RN용 P/S-GW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경우, 상술한 우선 제어 처리(UE마다의 우선 제어 처리)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N용 P/S-GW의 PDC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에 마련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에 있어서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상기 우선 제어 처리부는, 동일한 Un 무선 베어러에 대해, 'ARP 우선도'가 높은 S1 베어러에 대해 하향 유저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터널링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술한 우선 제어 처리(UE마다의 우선 제어 처리)는, RN용 P/S-GW의 PDC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에 마련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 및 무선기지국 DeNB의 PDCP 레이어 기능의 상위 레이어 기능에 마련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의 쌍방에 있어서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노드 RN의 우선 제어 처리부는, 소정 QoS용 Uu 무선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소정 QoS용 Uu 무선 베어러의 각각을 통해 수신한 상향 유저 데이터의 소정 QoS용 Un 무선 베어러로의 다중화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의 타입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우선 제어 처리부는, Uu 무선 베어러#A0(C-RNTI(UE#0), DRB#0, E-RAB#0)을 통해 수신한 이동국 UE#0용 상향 유저 데이터를, Uu 무선 베어러#B0(C-RNTI(UE#n), DRB#0, E-RAB#0)을 통해 수신한 이동국 UE#n용 상향 유저 데이터보다도 우선적으로, Un 무선 베어러 X에 다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도 10의 타입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우선 제어 처리부는, Uu 무선 베어러#B2(C-RNTI(UE#1), DRB#2, E-RAB#2)을 통해 수신한 이동국 UE#1용 상향 유저 데이터 및 Uu 무선 베어러#C2(C-RNTI(UE#2), DRB#2, E-RAB#2)를 통해 수신한 이동국 UE#2용 상향 유저 데이터를, Uu 무선 베어러#A2(C-RNTI(UE#0), DRB#2, E-RAB#2)를 통해 수신한 이동국 UE#0용 상향 유저 데이터보다도 우선적으로, Un 무선 베어러 Z에 다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이동국 UE#1 및 이동국 UE#2는, 동일한 그룹에 속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도 10의 타입 2에서는, 상기 우선 제어 처리부는, 각 이동국 UE가 속하는 그룹 단위로, 상술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따르면, 릴레이 노드 RN이, 동일한 QoS의 Uu 무선 베어러를 통해 수신한 각 이동국 UE용 상향 유저 데이터를, 동일한 Un 무선 베어러에 다중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Un 무선 베어러용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따르면, 무선기지국 DeNB가, 동일한 QoS의 S1 베어러를 통해 수신한 각 이동국 UE용 하향 유저 데이터를, 동일한 Un 무선 베어러에 다중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Un 무선 베어러용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RN용 P/S-GW에 있어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무선기지국 DeNB에 있어서의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영향을 끼치는 일이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RN용 P/S-GW 및 무선기지국 DeNB에 있어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S1 베어러 및 Un 무선 베어러의 쌍방에 있어서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이하와 같이 표현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은, 복수의 이동국 UE#0∼UE#n과, 릴레이 노드 RN과, 무선기지국 DeNB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국 UE#0∼UE#n과 릴레이 노드 RN과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Uu 무선 베어러(제1 무선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 UE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Uu 무선 베어러의 각각을, 릴레이 노드 RN과 무선기지국 DenB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Un 무선 베어러(제2 무선 베어러)로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릴레이 노드 RN은, 소정 QoS용 Uu 무선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소정 QoS용 Uu 무선 베어러의 각각을 통해 수신한 상향 유저 데이터의 소정 QoS용 Un 무선 베어러로의 다중화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DeNB와 게이트웨이 장치 S-GW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S1 베어러(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 UE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S1 베어러의 각각을, 소정 QoS용 Un 무선 베어러로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DeNB는, 소정 QoS용 S1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소정 QoS용 S1 베어러의 각각을 통해 수신한 하향 유저 데이터의 소정 QoS용 Un 무선 베어러로의 다중화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장치 S-GW는, 각 이동국 UE용 게이트웨이 장치(UE용 S-GW)와, 릴레이 노드 RN용 게이트웨이 장치(RN용 P/S-GW)를 구비하고, 소정 QoS용 S1 베어러는, 릴레이 노드 RN과 RN용 P/S-GW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RN용 P/S-GW는, 소정 QoS용 S1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소정 QoS용 S1 베어러의 각각을 통한 하향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은, 릴레이 노드 RN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국 UE#0∼UE#n과 릴레이 노드 RN과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Uu 무선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 UE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Uu 무선 베어러의 각각을, 릴레이 노드 RN과 무선기지국 DenB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Un 무선 베어러로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맵핑 처리부와, 소정 QoS용 Uu 무선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소정 QoS용 Uu 무선 베어러의 각각을 통해 수신한 상향 유저 데이터의 소정 QoS용 Un 무선 베어러로의 다중화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3 특징은, 무선기지국 DeNB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DeNB와 게이트웨이 장치 S-GW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S1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 UE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S1 베어러의 각각을, 릴레이 노드 RN과 무선기지국 DenB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Un 무선 베어러로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맵핑 처리부와, 소정 QoS용 S1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소정 QoS용 S1 베어러의 각각을 통해 수신한 하향 유저 데이터의 소정 QoS용 Un 무선 베어러로의 다중화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4 특징은, 릴레이 노드 RN용 게이트웨이 장치(RN용 P/S-GW)에 있어서, 무선기지국 DeNB와 RN용 P/S-GW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S1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 UE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S1 베어러의 각각을, 릴레이 노드 RN과 무선기지국 DenB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Un 무선 베어러로 맵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소정 QoS용 S1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소정 QoS용 S1 베어러의 각각을 통한 하향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또한, 상술한 이동국 UE나 릴레이 노드 RN이나 무선기지국 DeNB나 교환국 MME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버블 디스크나, CD-ROM 등의 임의 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매체에 정보를 읽고 쓰고 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SIC은, 이동국 UE나 릴레이 노드 RN이나 무선기지국 DeNB나 교환국 MME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서 이동국 UE나 릴레이 노드 RN이나 무선기지국 DeNB나 교환국 MME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Claims (8)

  1. 복수의 이동국과, 릴레이 노드와, 무선기지국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국과 상기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제1 무선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제1 무선 베어러의 각각을,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상기 소정 QoS용 제2 무선 베어러로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릴레이 노드는, 상기 소정 QoS용 제1 무선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QoS용 제1 무선 베어러의 각각을 통해 수신한 상향 유저 데이터의 상기 소정 QoS용 제2 무선 베어러로의 다중화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과 게이트웨이 장치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을, 상기 소정 QoS용 제2 무선 베어러로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을 통해 수신한 하향 유저 데이터의 상기 소정 QoS용 제2 무선 베어러로의 다중화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각 이동국용 게이트웨이 장치와, 상기 릴레이 노드용 게이트웨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소정 QoS용 베어러는,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릴레이 노드용 게이트웨이 장치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릴레이 노드용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을 통한 하향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5. 릴레이 노드에 있어서,
    복수의 이동국과 상기 릴레이 노드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제1 무선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제1 무선 베어러의 각각을, 상기 릴레이 노드와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상기 소정 QoS용 제2 무선 베어러로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맵핑 처리부;
    상기 소정 QoS용 제1 무선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QoS용 제1 무선 베어러의 각각을 통해 수신한 상향 유저 데이터의 상기 소정 QoS용 제2 무선 베어러로의 다중화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노드.
  6. 무선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과 게이트웨이 장치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을, 릴레이 노드와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상기 소정 QoS용 무선 베어러로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맵핑 처리부;
    상기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을 통해 수신한 하향 유저 데이터의 상기 소정 QoS용 무선 베어러로의 다중화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7. 릴레이 노드용 게이트웨이 장치에 있어서,
    무선기지국과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복수의 베어러 중, 다른 이동국용으로서 설정되는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이,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상기 소정 QoS용 무선 베어러로 맵핑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QoS용 베어러의 각각을 통한 하향 유저 데이터의 송신 처리에 대한 우선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우선 제어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8. 삭제
KR1020117029626A 2009-06-08 2010-06-08 이동통신시스템, 릴레이 노드, 무선기지국 및 게이트웨이 장치 KR101345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37756A JP4704482B2 (ja) 2009-06-08 2009-06-08 移動通信システム、リレーノード、無線基地局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JPJP-P-2009-137756 2009-06-08
PCT/JP2010/059690 WO2010143626A1 (ja) 2009-06-08 2010-06-08 移動通信システム、リレーノード、無線基地局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089A KR20120026089A (ko) 2012-03-16
KR101345321B1 true KR101345321B1 (ko) 2013-12-27

Family

ID=4330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626A KR101345321B1 (ko) 2009-06-08 2010-06-08 이동통신시스템, 릴레이 노드, 무선기지국 및 게이트웨이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837495B2 (ko)
EP (1) EP2442605A4 (ko)
JP (1) JP4704482B2 (ko)
KR (1) KR101345321B1 (ko)
CN (1) CN102461246B (ko)
AU (1) AU2010259637B2 (ko)
CA (1) CA2764778A1 (ko)
MX (1) MX2011013204A (ko)
NZ (1) NZ597409A (ko)
WO (1) WO20101436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869A (ko) * 2016-11-07 2019-07-10 코닌클리즈케 케이피엔 엔.브이. 릴레이 가능 사용자 장비(ue)를 통하여 원격 ue 및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2805B2 (en) * 2008-10-24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Cell relay packet routing
EP2687025A4 (en) * 2011-03-14 2015-07-29 Optis Cellular Technology Llc METHOD AND DEVICE RELATED TO FORWARDING METHOD
US20120252355A1 (en) * 2011-04-04 2012-10-0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ing over relays
CN103517325B (zh) * 2012-06-29 2018-05-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选择网络优先级的方法和系统
WO2014025208A1 (en) * 2012-08-08 201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and apparatus of bearer grouping for data transmission in a broadband wireless network
CN103716885B (zh) * 2012-09-28 2017-09-2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本地承载管理方法及设备
JP6227881B2 (ja) 2013-04-05 2017-11-08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
JP2015139178A (ja) * 2014-01-24 2015-07-30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中継局、及び、無線基地局
EP3010271A1 (en) 2014-10-13 2016-04-20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160021626A (ko) * 2014-08-18 2016-0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몰 셀 환경에서의 자원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WO2016059063A1 (en) * 2014-10-13 2016-04-21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Selecting the qci of a connection of an aggregator device
WO2016059064A1 (en) 2014-10-13 2016-04-21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relaying cellular coverage
DE102014221956A1 (de) 2014-10-28 2016-05-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Fahrzeug,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für einen Relay-Sendeempfänger und eine Netzwerkkomponente
EP3148285B1 (en) * 2015-09-25 2019-04-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mproved radio bearer mapping for proximity services ue to network relay with associated priority signalling
CN108366355B (zh) * 2017-01-26 2023-05-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发送方法、数据发送终端以及基站
JP7149258B2 (ja) * 2017-03-14 2022-10-06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11778515B2 (en) * 2021-04-26 2023-10-03 T-Mobile Innovations Llc Internet protocol (IP) communication service over wireless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 link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9157B2 (en) * 2004-01-28 2013-08-13 France Telecom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in an utran radio access network
ATE494691T1 (de) * 2004-06-15 2011-01-15 Panasonic Corp Prioritätsbehandlung für datenübertragungen
WO2006071155A1 (en) * 2004-12-29 2006-07-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iority bearer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0433705C (zh) * 2005-03-17 2008-1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高速下行分组接入系统中映射调度优先级标志的方法
CN101326845B (zh) * 2005-12-12 2012-06-27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规定数据分组的传输中的服务质量的方法和装置
US8005041B2 (en) * 2006-05-08 2011-08-23 Ipwireles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for supporting data flow and method therefor
KR100911304B1 (ko) * 2007-06-18 2009-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우선순위를 갖는 무선베어러의 데이터전송 방법
US9160566B2 (en) * 2009-04-10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QOS mapping for relay nodes
KR101674947B1 (ko) * 2009-04-21 201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효율적인 보안 관련 처리
KR100968037B1 (ko) * 2009-04-21 2010-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베어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G Electronics Inc. , Bearer Mapping in Relay Node, 3GPP TSG-RAN, WG2 66, R2-092845, 2009.05.08, p . 1-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869A (ko) * 2016-11-07 2019-07-10 코닌클리즈케 케이피엔 엔.브이. 릴레이 가능 사용자 장비(ue)를 통하여 원격 ue 및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93786B1 (ko) 2016-11-07 2021-08-25 코닌클리즈케 케이피엔 엔.브이. 릴레이 가능 사용자 장비(ue)를 통하여 원격 ue 및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83792A (ja) 2010-12-16
US20120140666A1 (en) 2012-06-07
AU2010259637A1 (en) 2012-01-19
EP2442605A4 (en) 2015-12-09
CN102461246A (zh) 2012-05-16
KR20120026089A (ko) 2012-03-16
US8837495B2 (en) 2014-09-16
NZ597409A (en) 2013-04-26
MX2011013204A (es) 2012-01-12
CA2764778A1 (en) 2010-12-16
JP4704482B2 (ja) 2011-06-15
WO2010143626A1 (ja) 2010-12-16
EP2442605A1 (en) 2012-04-18
AU2010259637B2 (en) 2013-09-19
CN102461246B (zh)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321B1 (ko) 이동통신시스템, 릴레이 노드, 무선기지국 및 게이트웨이 장치
US8243615B2 (en) Allocation of user equipment identifier
EP3706328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node, and system
US8401068B2 (en) Device attachment and bearer activation using cell relays
KR101406058B1 (ko) 릴레이 노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849279B2 (en) Basestation for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108692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base station and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20250601A1 (en)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exchanging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JP2013515420A (ja) リレーにおけるサービス品質の制御
EP2443860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load information among nodes in a radio system
CN111865802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02724666B (zh) 一种终端数据中继方法、装置和系统
CN102124777B (zh) 切换方法和无线接入网络装置
CN105359573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卸载数据业务的方法和装置
EP2490399B1 (en)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based on rela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equipment thereof
KR101242501B1 (ko) 이동통신시스템
CN105722115A (zh) 终端化小区之间的协作方法和系统、终端
CN107231669B (zh) 一种数据传输装置方法和装置
WO2010121664A1 (en) Partitioning resources on a target side of a handover of a user equipment based on data traffic indication
KR101298729B1 (ko) 이동통신시스템
US2017016425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21005456A1 (en) Remapping of bearers in iab networks
JP201113951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リレーノード、無線基地局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KR101665934B1 (ko) 다중 무선전송기술이 적용된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라우팅 방법
WO2017162191A1 (zh) 一种无线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