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968B1 - 강관천공기 - Google Patents

강관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968B1
KR101343968B1 KR1020110137609A KR20110137609A KR101343968B1 KR 101343968 B1 KR101343968 B1 KR 101343968B1 KR 1020110137609 A KR1020110137609 A KR 1020110137609A KR 20110137609 A KR20110137609 A KR 20110137609A KR 101343968 B1 KR101343968 B1 KR 101343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erforator
punch
roll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339A (ko
Inventor
문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성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성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성개발
Priority to KR1020110137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9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7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015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erforat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26F1/34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power actua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천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관의 선단에 형성하는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철근끼움공을 매끄럽고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는 강관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강관천공기는 강관에 걸쳐져 장착되는 천공기몸체에는 강관의 선단이 인입되게 선단인입부가 형성되고, 그 선단인입부의 일측에는 유압실린더가 천공기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단부에는 강관을 천공하기 위한 펀치가 마련된 강관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펀치의 전방측에는 상기 강관에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철근끼움공을 천공하도록 단면이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타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펀치와 마주보는 상기 천공기몸체의 타측에는 상기 타격부와 동일한 형상의 타격부삽입공이 형성된 강관지지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관천공기{Punching Machine For Steel Pipe Pile}
본 발명은 강관천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에 매입된 강관의 선단에 보강철근의 끼움결합을 위한 철근끼움공 등의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강관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유압 펀치 가공기는 유압을 이용하여 강관 또는 강판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절단하는 공구로서 여러 종류가 있다.
그 대표적인 형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라운드 형의 바디(22) 하부 일측에 유압 실린더(23)가 연결 설치되고, 그 상, 하부에는 주 손잡이(24)와 보조 손잡이(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으로는 고리(25)가 설치되어 있고, 바디(22)의 내측 하단부에는 펀치 부싱(27)이 설치되고, 유압 실린더(23)의 선단에는 유압 작동에 따라 전,후진 작동으로 가공물을 천공하는 펀치(28)가 장착되어 구성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압 펀치 가공기는 펀칭 가공할 대상물을 바디(22) 하부 입구측의 펀치 부싱(27)과 펀치(28)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주 손잡이(24)에 설치된 유압 작동 스위치를 ON 시키게 되면 유압 실린더(23)에 유압이 인가되어 펀치(28)의 전진 작동으로 타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각종 비임 형강 등에 구멍을 천공하기 적당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압 펀치 가공기는 구멍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내구성이 낮은 바디(22)로 인해 천공작업이 원활하지 못함은 물론 천공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바디(22)가 손쉽게 휘어지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 유압 펀치 가공기를 강관에 장착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여 사용이 불편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00002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09860호가 개시되었으며, 위 기술은 강관의 상단에 장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강관의 둘레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높이를 조절하여 구멍을 천공하기에 적합하도록 고안되었다.
그러나 위 기술도 내구성이 낮은 바디로 인해 구멍의 천공작업이 원활하지 못함은 물론 천공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원형의 구멍을 천공하도록 이루어져 있을 뿐 타원형이나 장방형의 구멍은 천공 자체를 하지 못하였으며, 펀치를 타원형이나 장방형으로 교체한 경우에도 장착시 안정성, 지지력 및 내구성이 좋지 못하여 천공불량이 발생하였다. 또, 강관의 선단이 인입되는 공간의 거리간격을 강관의 두께에 적합하게 조절하는 수단이 없어 천공기를 강관의 내외표면에 밀착시키지 못함으로써 천공작업을 원활히 할 수 없음은 물론 구멍의 천공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 천공기의 유동을 방지하지 못함으로써 천공작업중 천공기가 강관으로부터 분리되는 등 자칫 안전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반에 매입된 강관의 두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철근의 원활한 끼움결합을 위해 강관의 선단에 형성하는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철근끼움공을 매끄럽고 정확하게 천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천공과정에서 천공기의 휨발생 등을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강관천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공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천공작업 중 유동을 방지함은 물론 그로 인해 자칫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강관천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근끼움공의 천공 후 그 인접부위의 천공을 위해 천공기를 이동시키는 경우, 강관의 선단에 걸쳐놓은 상태로 천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강관의 직경에 상관없이 강관의 선단에 안내롤러가 지지될 수 있게 한 강관천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롤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함으로써 강관의 선단에 천공되는 철근끼움공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지지부재의 설치로 인해 강관이 인입되는 선단인입부의 거리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강관의 두께에 따라 정확한 지지동작으로 천공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강관천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강관에 걸쳐져 장착되는 천공기몸체에는 강관의 선단이 인입되게 선단인입부가 형성되고, 그 선단인입부의 일측에는 유압실린더가 천공기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단부에는 강관을 천공하기 위한 펀치가 마련되고, 그 펀치의 전방측에는 타격부가 형성되며, 상기 펀치와 마주보는 상기 천공기몸체의 타측에는 상기 타격부와 동일한 형상의 타격부삽입공이 형성된 강관지지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강관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강관에 'U'자형이나 '
Figure 112013056299188-pat00014
'자형으로 절곡된 보강철근을 끼워 결합하기 위해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구멍을 천공하도록 단면이 타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천공기몸체의 일측에는 천공기몸체가 구비된 강관의 일측 선단과 대향되는 강관의 타측 선단에 이르도록 핸들이 설치되고, 그 핸들의 하단부에는 상기 강관의 선단에 지지되어 천공기몸체를 이동시킬 경우 이를 안내하도록 안내롤러를 구비한 안내롤러부가 설치되며, 상기 핸들과 마주보는 천공기몸체의 타측에는 보조핸들이 설치되고, 천공기몸체의 타측 하부에는 타격부에 의해 타격되어져 타격부삽입공으로 삽입된 강판조각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강판조각배출공이 타격부삽입공과 연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강관지지부는 일측이 개구된 통체로, 타측 폐쇄면에 상기 타격부삽입공이 형성되고, 외표면 일부는 평평한 평탄면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부위가 상기 천공기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천공기몸체에 삽입되고, 상기 천공기몸체의 외면에는 그 천공기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평탄면을 가압하도록 가압돌기를 갖는 지지부유동방지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부의 전면 중앙부에는 뾰족하게 천공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돌기가 형성된 중앙부를 제외한 상기 타격부의 전면 양측은 중앙부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펀치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단부에 후방측이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단부에 돌출된 고정돌기와, 그 고정돌기의 외측에 상기 유압실린더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고 외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선부와, 상기 펀치의 후면에 상기 고정돌기의 삽입 고정을 위해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타격부에 관통되고 상기 나선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펀치를 유압실린더에 고정하는 펀치고정캡으로 구성된다.
삭제
이때 상기 핸들은 상기 천공기몸체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과, 그 결합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결합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는 롤러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롤러부는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의 양면 중 어느 일면에 결합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롤러축과, 그 롤러축에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안내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프레임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에 롤러고정프레임이 위치이동가능하게 볼트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천공기몸체에는 롤러고정편이 설치되고, 그 롤러고정편에는 강관의 선단이 선단인입부에 인입된 경우 강관의 선단에 지지되도록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가 롤러축을 매개로 하여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롤러고정편에는 상기 지지롤러가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장방형 또는 등간격으로 고정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기몸체에는 전진이동된 펀치를 후진이동시켜 복귀시키는 경우 강관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지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강관천공기에 따르면,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철근끼움공을 매끄럽고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게 되고, 천공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천공기의 파손 및 강관 표면의 찌그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당한 중량을 갖는 천공기를 강관의 선단에서 원활히 이동시키면서 천공작업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 강관의 직경 등에 따라 철근끼움공을 변경하는 경우 지지롤러의 높이조절을 통해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강관천공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천공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천공기의 부분 단면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천공기의 펀치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천공기에서 펀치의 고정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천공기에서 강관지지부의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롤러와 지지롤러가 설치된 강관천공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고정편에 결합되는 지지롤러를 보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천공기의 사용상태도,
도 10 도 9에서 강관의 선단에 장착된 강관천공기의 단면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천공기에서 결합프레임에 장공이 형성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천공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천공기는 강관(100)에 걸쳐져 장착된 채 강관에 철근끼움공 또는 볼트구멍 등을 천공하기 위한 것으로, 철근끼움공의 경우 그 천공된 철근끼움공을 통해 보강철근이 끼움결합되어 강관(100)의 두부를 보강하게 되고, 두부보강을 통해 건축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강관천공기는 통상 강관(100)의 선단이 인입되게 선단인입부(210)가 형성된 천공기몸체(200)와, 상기 선단인입부(210)의 일측에 마련되게 천공기몸체(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유압실린더(300)와, 그 유압실린더(300)의 단부에 마련되어 강관(100)을 천공하기 위한 펀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천공기몸체(200)는 측면형상이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 좌/우 어느 일측에 상기 유압실린더(300)가 설치되는 것이며, 천공작업시 강판조각이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압실린더(300)가 설치된 부위는 강관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강관천공기는 강관의 선단에 지지된 채 안정적으로 천공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천공부위 변경시 천공기를 이동시키는 경우 강관의 선단에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천공기몸체(200)의 일측에는 천공기몸체(200)가 구비된 강관의 일측 선단과 대향되는 강관의 타측 선단에 이르도록 핸들(230)이 길게 설치된다. 또 천공기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들 수 있도록 상기 핸들(230)과 마주보는 천공기몸체(200)의 타측에 보조핸들(24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230)이 설치됨으로 인해 천공기몸체와 핸들이 각각 강관의 선단에 지지됨으로써 천공기가 흔들리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천공작업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천공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핸들(230)은 상기 천공기몸체(200)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는 결합프레임(232)과, 그 결합프레임(232)의 상면 일측에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손잡이(234)와, 상기 결합프레임(232)의 단부에 형성되는 롤러고정프레임(236)으로 구성되어 지고, 상기 손잡이(234)는 작업자가 쥔 상태로 천공기를 편리하게 들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230)에는 천공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안내롤러(254)를 갖는 안내롤러부(250)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롤러부(250)는 강관의 선단에 지지되어 천공기몸체(2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롤러고정프레임(236)에 결합되는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안내롤러부(250)는 상기 롤러고정프레임(236)의 양면 중 어느 일면에 결합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롤러축(252)과, 그 롤러축(252)에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안내롤러(2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롤러(254)가 롤러고정프레임(236)의 양면 중 어느 일면에 마련되는 이유 즉, 외측면도 가능하고 내측면에도 설치가능한 이유는 강관의 직경에 따라 롤러고정프레임(236)의 내측면이나 외측면에 설치하여 강관의 선단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프레임(232)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장공(233)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233)에 롤러고정프레임(236)이 위치이동가능하게 볼트결합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고정프레임(236)을 장공(233) 상에서 이동시켜 강관의 직경에 따라 적합하게 안내롤러부(25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강관의 선단에 지지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안내롤러부(250)의 안내롤러가 강관의 선단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작업자 혼자서도 손잡이를 쥔 상태에서 천공기몸체를 원하는 위치로 보다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불필요하게 2~3명의 작업자가 상당한 중량을 갖는 천공기를 들었다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철근끼움공은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U'자형이나 '
Figure 112011100972342-pat00001
'자형으로 절곡된 보강철근의 용이한 끼움결합을 위해 타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펀치(400)의 전방측에는 상기 강관(100)에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구멍(110)을 천공하도록 단면이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타격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펀치의 후방측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고정수단으로 결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펀치(400)와 마주보는 상기 천공기몸체(200)의 타측에는 상기 타격부(410)와 동일한 형상의 타격부삽입공(222)이 형성된 강관지지부(220)가 결합되어 진다.
따라서, 선단인입부(210)로 인입된 강관의 선단은 유압실린더의 압력으로 타격부(410)가 전진이동되면서 강관의 선단을 타격하게 되고, 그 타격압력으로 강판을 천공한 후 타격부삽입공(222)으로 삽입되어 지게 되며, 강판조각은 타격부삽입공(222)과 연통되게 형성된 강판조각배출공(2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강판조각배출공(280)이 천공기몸체(200)의 타측 하부에 타격부삽입공(222)과 연통되어 외부로 통하도록 형성되어져 천공되어진 강판조각을 천공과 함께 강판조각배출공(28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강관지지부(220)는 일측이 개구된 통체로서, 개구된 부위가 상기 천공기몸체(2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천공기몸체에 형성된 지지부삽입공(205)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구성이고, 타측 폐쇄면에는 상기 타격부(410)가 삽입되어 통과하도록 타격부삽입공(222)이 형성되고, 외표면 일부는 평평한 평탄면(224)으로 형성된다.
상기 강관지지부(220)는 첨부된 도면에서는 원통형의 통체로 도시하였으나, 원통형 외에도 다각형상의 통체로 구비할 수 있는 것이며, 강관지지부(220)가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에 형성된 강판조각배출공(280)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지지부삽입공(205)과 강판조각배출공(280)의 인접부위는 밀림방지턱(207)이 형성되어 진다.
이때, 상기 강관지지부(220)는 천공기몸체의 내측에 끼워져 있으므로, 강관지지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이를 고정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지지부유동방지구(226)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유동방지구(226)는 상기 천공기몸체(200)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결합면에는 천공기몸체(200)를 관통하여 상기 강관지지부(220)의 평탄면(224)을 가압하도록 가압돌기(2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펀치(400)는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고정수단을 매개로 하여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에는 장방형의 타격부(410)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측에는 걸림단턱(420)이 형성되어 원형의 결합부(4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격부(410)의 전면 중앙부에는 강관 타격시 강관의 표면에 박히면서 미끌리지 않은 채 정확하게 천공하도록 뾰족하게 천공돌기(4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천공돌기(412)는 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다각뿔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공돌기(412)가 형성된 중앙부를 제외한 상기 타격부(410)의 전면 양측에는 테이퍼부(414)가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중앙부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함으로써 천공시 강관 표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강관을 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펀치(400)는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단부에 후방측이 고정수단(350)에 의해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수단은 유압실린더와 펀치를 서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수단(350)은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단부에 돌출된 고정돌기(352)와, 그 고정돌기(352)의 외측에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고 외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선부(354)와, 상기 펀치(400)의 후면 정확하게는 결합부(430)의 후면에 상기 고정돌기(352)의 삽입 고정을 위해 형성된 결합홈(356)과, 상기 타격부(410)에 관통되고 상기 나선부(354)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펀치(400)를 유압실린더(300)에 고정하는 펀치고정캡(358)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52)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된 돌기로서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되어 지고, 상기 결합홈(356)은 고정돌기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져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펀치고정캡(358)으로 나선부(354)에 나사결합하여 펀치를 유압실린더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펀치고정캡(358)은 상기 타격부(410)에 관통되어져야 함에 따라 중앙이 개구되고,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부의 걸림단턱에 걸려지도록 걸림턱(359)이 형성된 링형태로 형성되며, 내주면으로 상기 나선부에 나선결합되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펀치고정캡(358)의 걸림턱(359)에 걸림단턱이 걸려져 고정돌기(352)가 결합홈(356)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로 나선부(354)에 나사결합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기 천공기몸체(200)에는 롤러고정편(260)이 설치되고, 그 롤러고정편(260)에는 강관의 선단이 선단인입부(210)에 인입된 경우 강관(100)의 선단에 지지되도록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265)가 롤러축(270)을 매개로 하여 축결합되어 있다.
이때, 강관에 천공되는 구멍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롤러(265)가 롤러고정편(260)에 위치조절되게 결합되거나 또는 롤러고정편(260)이 천공기몸체(200)에 위치조절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롤러(265)가 롤러고정편에 위치조절되는 경우에는 롤러고정편에 상하방향으로 장방형 또는 등간격으로 고정공(275)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고, 또, 상기 지지롤러(265)가 롤러고정편에 위치조절되는 경우에는 천공기몸체(200)에 상하방향으로 고정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고정부재로 롤러고정편이 위치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기몸체(200)에는 전진이동된 펀치(400)를 후진이동시켜 복귀시키는 경우 강관(100)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지지부재(29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90)는 선단인입부의 거리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기 등을 설치하여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290)를 설치하는 이유는 타격부삽입공(222)에 삽입되어 있는 타격부를 원활히 복원동작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선단인입부의 거리간격을 좁혀줌으로써 펀치(400)를 이용한 강관의 천공 후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타격부(410)를 다시 원위치로 복원시키게 되는데, 만약 강관의 내면을 지지하고 있지 않게 되면 타격부의 복원과정에서 타격부가 타격부삽입공(222)에 걸쳐져 있는 경우에 원활히 복원되지 않은 채 천공기 자체가 움직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강관천공기는 강관의 천공을 위해 구비됨에 따라 상당한 중량을 갖게 되는데, 이렇게 상당한 중량을 갖는 천공기를 핸들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하고 정확한 천공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U'자형이나 '
Figure 112011100972342-pat00002
'자형의 보강철근의 끼움결합을 위한 구멍을 강관의 찌그러짐 등의 손상 없이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천공기몸체의 파손 없이 천공작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펀치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킴에 따라 타격부의 마모시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마모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천공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강관 110: 구멍 200: 천공기몸체
205: 지지부삽입공 207: 밀림방지턱 210: 선단인입부
220: 강관지지부 222: 타격부삽입공 224: 평탄면
226: 지지부유동방지구 227: 가압돌기 230: 핸들
232: 결합프레임 233: 장공 234: 손잡이
236: 롤러고정프레임 240: 보조핸들 250: 안내롤러부
252: 롤러축 254: 안내롤러 260: 롤러고정편
265: 지지롤러 270: 롤러축 275: 고정공
280: 강판조각배출공 290: 지지부재 300: 유압실린더
350: 고정수단 352: 고정돌기 354: 나선부
356: 결합홈 358: 펀치고정캡 359: 걸림턱
400: 펀치 410: 타격부 412: 천공돌기
414: 테이퍼부 420: 걸림단턱 430: 결합부

Claims (14)

  1. 강관(100)에 걸쳐져 장착되는 천공기몸체(200)에는 강관(100)의 선단이 인입되게 선단인입부(210)가 형성되고, 그 선단인입부(210)의 일측에는 유압실린더(300)가 천공기몸체(2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단부에는 강관(100)을 천공하기 위한 펀치(400)가 마련되고, 그 펀치(400)의 전방측에는 타격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펀치(400)와 마주보는 상기 천공기몸체(200)의 타측에는 상기 타격부(410)와 동일한 형상의 타격부삽입공(222)이 형성된 강관지지부(2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강관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410)는 상기 강관(100)에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구멍(110)을 천공하도록 단면이 타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천공기몸체(200)의 일측에는 천공기몸체(200)가 구비된 강관의 일측 선단과 대향되는 강관의 타측 선단에 이르도록 핸들(230)이 설치되고, 그 핸들(230)의 하단부에는 상기 강관(100)의 선단에 지지되어 천공기몸체(200)를 이동시킬 경우 이를 안내하도록 안내롤러(254)를 구비한 안내롤러부(250)가 설치되며,
    상기 핸들(230)과 마주보는 천공기몸체(200)의 타측에는 보조핸들(240)이 설치되고, 천공기몸체(200)의 타측 하부에는 타격부(410)에 의해 타격되어져 타격부삽입공(222)으로 삽입된 강판조각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강판조각배출공(280)이 타격부삽입공(222)과 연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강관지지부(220)는 일측이 개구된 통체로, 타측 폐쇄면에 상기 타격부삽입공(222)이 형성되고, 외표면 일부는 평평한 평탄면(224)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부위가 상기 천공기몸체(2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천공기몸체에 삽입되고, 상기 천공기몸체(200)의 외면에는 그 천공기몸체(200)를 관통하여 상기 평탄면(224)을 가압하도록 가압돌기(227)를 갖는 지지부유동방지구(226)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천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410)의 전면 중앙부에는 뾰족하게 천공돌기(4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천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돌기(412)가 형성된 중앙부를 제외한 상기 타격부(410)의 전면 양측은 중앙부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테이퍼부(4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천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400)는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단부에 후방측이 고정수단(35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천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50)은,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단부에 돌출된 고정돌기(352)와, 그 고정돌기(352)의 외측에 상기 유압실린더(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고 외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선부(354)와, 상기 펀치(400)의 후면에 상기 고정돌기(352)의 삽입 고정을 위해 형성된 결합홈(356)과, 상기 타격부(410)에 관통되고 상기 나선부(354)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펀치(400)를 유압실린더(300)에 고정하는 펀치고정캡(35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천공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230)은 상기 천공기몸체(200)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232)과, 그 결합프레임(232)의 상면 일측에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손잡이(234)와, 상기 결합프레임(232)의 단부에 형성되는 롤러고정프레임(236)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롤러부(250)는 상기 롤러고정프레임(236)의 양면 중 어느 일면에 결합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롤러축(252)과, 그 롤러축(252)에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안내롤러(2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천공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232)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장공(233)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233)에 롤러고정프레임(236)이 위치이동가능하게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천공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기몸체(200)에는 롤러고정편(260)이 설치되고, 그 롤러고정편(260)에는 강관의 선단이 선단인입부(210)에 인입된 경우 강관(100)의 선단에 지지되도록 하나 이상의 지지롤러(265)가 롤러축(270)을 매개로 하여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천공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고정편(260)에는 상기 지지롤러(265)가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장방형 또는 등간격으로 고정공(27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천공기.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기몸체(200)에는 전진이동된 펀치(400)를 후진이동시켜 복귀시키는 경우, 강관(100)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지지부재(29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천공기.
  14. 삭제
KR1020110137609A 2011-12-19 2011-12-19 강관천공기 KR101343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609A KR101343968B1 (ko) 2011-12-19 2011-12-19 강관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609A KR101343968B1 (ko) 2011-12-19 2011-12-19 강관천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339A KR20130070339A (ko) 2013-06-27
KR101343968B1 true KR101343968B1 (ko) 2013-12-20

Family

ID=4886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609A KR101343968B1 (ko) 2011-12-19 2011-12-19 강관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9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824Y2 (ja) * 1991-04-22 1997-07-30 日東工器株式会社 油圧作動機
KR200209860Y1 (ko) * 2000-05-31 2001-01-15 김종만 고정 상태에서의 천공위치 조절 및 가이드 롤러의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유압펀치 가공기
KR200243825Y1 (ko) * 2001-05-03 2001-10-12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강관말뚝 천공장치
JP2007007703A (ja) * 2005-07-01 2007-01-18 Punch Industry Co Ltd プレス金型のダイブッシュ及びプレス金型のダイブッシュのダイプレートにおける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824Y2 (ja) * 1991-04-22 1997-07-30 日東工器株式会社 油圧作動機
KR200209860Y1 (ko) * 2000-05-31 2001-01-15 김종만 고정 상태에서의 천공위치 조절 및 가이드 롤러의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유압펀치 가공기
KR200243825Y1 (ko) * 2001-05-03 2001-10-12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강관말뚝 천공장치
JP2007007703A (ja) * 2005-07-01 2007-01-18 Punch Industry Co Ltd プレス金型のダイブッシュ及びプレス金型のダイブッシュのダイプレートにおける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339A (ko)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8499B2 (ja) 交換可能なせん断穿孔チップ
CN205497653U (zh) 一种改进的球拍打孔机
KR101757353B1 (ko) C-형강 펀칭장치
KR20080072128A (ko) 중장비용 암반파쇄기
KR101580280B1 (ko) 복합 가공장치
KR101343968B1 (ko) 강관천공기
CN205437265U (zh) 一种新型钢圆管柱构件钻孔定位装置
CN104511519A (zh) 摆动式管件内冲孔模
JP2016000892A (ja) ビット抜き機
KR20190081743A (ko) C-형강 가공장치
AU2006219107A1 (en) Drill rod support, and drill rod support half
US20050274249A1 (en) Apparatus for truncating metal structural members
CN209793988U (zh) 一种用于建筑模板加工的开孔器
JP439078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への連続溝の穿設方法
CN109227972B (zh) 一种石材自然面加工工具
KR101804541B1 (ko) 콘크리트파일 몰드용 지지플랜지 펀칭장치
KR101664946B1 (ko) 송전탑 기초공사용 다천공장치
CN209855713U (zh) 用于旋挖钻机的专业凿岩、取石器
CN210396140U (zh) 一种建筑铝模板用卡扣
CN215618651U (zh) 一种便捷式打孔机
CN219685958U (zh) 一种钻头拆卸装置
KR101199943B1 (ko) 펀칭장치
CN219910768U (zh) 破碎刀盘改进
KR102405916B1 (ko) 충전식 유압펀칭기
CN203515324U (zh) 一种处理不均匀地质的回旋钻钻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