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827B1 -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827B1
KR101343827B1 KR1020120012216A KR20120012216A KR101343827B1 KR 101343827 B1 KR101343827 B1 KR 101343827B1 KR 1020120012216 A KR1020120012216 A KR 1020120012216A KR 20120012216 A KR20120012216 A KR 20120012216A KR 101343827 B1 KR101343827 B1 KR 101343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ge
portable terminal
server
internet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023A (ko
Inventor
최치영
Original Assignee
최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치영 filed Critical 최치영
Priority to KR1020120012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82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단말기의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 혹은 웹 페이지 자체가 발생한 이벤트를 서버에 전송하고, 이벤트를 받은 서버가 다른 단말기의 웹 페이지에게 이벤트를 전송하며, 이벤트를 받은 웹 페이지는 이벤트에 맞게 반응하도록 하는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 METHOD FOR WEB PAGE ON HTML AND CONTROL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HTML기반의 웹 페이지들이 서버를 통해서 이벤트(사용자의 명령, 또는 자체 명령)를 주고 받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단말기의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 혹은 웹 페이지 자체가 발생한 이벤트를 서버를 통하여 다른 단말기의 웹 페이지에게 이벤트를 전송하여 이벤트에 맞게 반응하도록 하는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8396호(2008년02월28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PC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개시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10), PC(120),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30) 및 인터넷(14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모바일 콘텐츠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30)에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콘텐츠 개발 및 제작이 용이해지고, 모바일 콘텐츠의 효과적인 홍보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자신만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업체 또는 공공기관은 PC 및 스크린을 제공하는 비휴대용 단말기 그리고 입력장치를 사용자에게 노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마우스와 키보드를 사용하는 PC는 입력장치의 노출로 인한 오염, 분실, 고장 등이 발생하며, 터치 기능을 갖는 비휴대용 단말기는 오염 및 기타 입력에 대한 제한 등 불편한 사항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목적에 따라 입력의 제한을 위해 PC의 경우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며, 터치 외의 기능(기울기 및 가속도 등)을 구현하기 위해 고정된 화면에 터치기능을 갖고 있는 비휴대용 단말기는 추가 입력장치를 설치하여 제공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대형 스크린을 갖은 비휴대용 단말기는 입력장치 선택이 제한적이며,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한 입력에는 여럿이 참여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시키기가 불편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8396호(2008년02월28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단말기의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 혹은 웹 페이지 자체가 발생한 이벤트를 서버에 전송하고, 이벤트를 받은 서버가 다른 단말기의 웹 페이지에게 이벤트를 전송하며, 이벤트를 받은 웹 페이지는 이벤트에 맞게 반응하도록 하는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 혹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1에 접속하는 단계; 웹 페이지1에서 서버에 소켓을 생성하고 생성된 소켓에 연결하는 단계; 웹 페이지1에서 웹 페이지2의 주소를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1에서 생성된 코드를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기의 프로그램을 통해 웹 페이지2에 접속하는 단계; 웹 페이지1과 연결된 소켓에 웹 페이지2를 연결하는 단계; 소켓을 통해 웹 페이지1과 웹 페이지2가 통신을 시작하는 단계; 웹 페이지2에서 사용자 명령을 대기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2에 명령하는 단계; 웹 페이지1에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웹 페이지1에서 명령을 받아 반응을 보이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코드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웹 페이지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서버를 통해 다른 웹 페이지에 전달함을 응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크린만 있는 단말기의 화면을 제어하여 입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웹 페이지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또는 공공기관은 또 다른 웹 페이지 접속을 휴대용 단말기로 유도하여 입력장치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입력 장치가 가지고 있는 단점( 오염, 분실, 고장, 구조적 기능 제한 등)을 해결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휴대용 단말기는 자신의 신분을 대변할 수 있으므로 로그인 및 결제 등에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 원격 제어 과정의 단계별 화면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요즘은 자신만의 서비스를 웹 페이지 내에서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HTML5 + JavaScript + CSS3 를 이용하면 더욱 멋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웹 페이지로만 이루어지게 되면 업데이트 시 PC 및 기타 비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인터넷만 된다면 외부적 조작 없이 스스로 업데이트가 가능하여 유지보수에 용이하다. 이렇게 웹 페이지를 통해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해 다른 웹 페이지가 이벤트를 전달 할 수 있다면 스마트폰, 태블릿 등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입력장치 대행은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웹 페이지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또는 공공기관은 또 다른 웹 페이지 접속을 휴대용 단말기로 유도하여 입력장치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입력 장치가 가지고 있는 단점( 오염, 분실, 고장, 구조적 기능 제한 등)을 해결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휴대용 단말기는 자신의 신분을 대변할 수 있으므로 로그인 및 결제 등에 매우 용이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 원격 제어 과정의 단계별 화면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 방법은, 단말기 혹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1에 접속하는 단계(S01); 웹 페이지1에서 서버에 소켓을 생성하고 생성된 소켓에 연결하는 단계(S02); 웹 페이지1에서 웹 페이지2의 주소를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S03);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1에서 생성된 코드를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하는 단계(S04); 휴대용 단말기의 프로그램을 통해 웹 페이지2에 접속하는 단계(S05); 웹 페이지1과 연결된 소켓에 웹 페이지2를 연결하는 단계(S06); 소켓을 통해 웹 페이지1과 웹 페이지2가 통신을 시작하는 단계(S07); 웹 페이지2에서 사용자 명령을 대기하는 단계(S08);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2에 명령하는 것을 판단하는 단계(S09); 명령이 있을 경우 웹 페이지1에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S10); 웹 페이지1에서 명령을 받아 반응(action)을 보이는 단계(S1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 방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제 1 웹 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가 쉽게 도 6에 도시된 제 2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게 접속 경로를 포함한 코드를 생성한다.
상기 코드에는 상황에 따라 1 : 1 연결, 1 : n 연결을 구분할 수 있는 키값을 포함시킬 수 있다. 코드는 문자 코드, QR코드 등과 같이 정보를 포함하며 누구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선택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 키보드 등 내장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비휴대용 단말기의 제 1 웹 페이지(도 3)에 생성된 코드를 입력하고 제 2 웹 페이지(도 6)에 접속한다.
휴대용 단말기가 제 2 웹 페이지(도 6)에 접속이 되면, 제 1 웹 페이지(도 3)과 제 2 웹 페이지(도 6)가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을 통해 소켓 서버를 거쳐 연결이 된다.
연결된 두 웹 페이지는 실시간 통신(채팅과 비슷하다)이 가능하게 되며 이벤트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주로 휴대용 단말기의 제 2 웹 페이지(도 6)에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비휴대용 단말기의 제 1 웹 페이지(도 3)이 반응(작동)하며, 상황에 따라서 다수의 제 2 웹 페이지(도 6, 7, 8)가 하나 하나의 제 1 웹 페이지(도 3 또는 도 4, 도 5)를 각각 조종하거나, 혹은 반대로 제 1 웹 페이지(도 3)에서 제 2 웹 페이지(도 6)로 이벤트 전송이 가능하다.
< 사용 예시1 > : 사진 전시에 대한 응용
사진 전시에서 인터넷이 가능한 대형 스크린(비휴대용 단말기)에 제 1 웹 페이지(도 3)을 띄워 놓는다. 제 1 웹 페이지(도 3)에는 사진과 웹 페이지(도 4 및 도 5)의 주소 정보를 담고 있는 QR코드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웹 페이지(도 3)의 화면에 표시된 QR코드를 스마트폰 등 카메라 기능이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식시킨 후 제 2 웹 페이지(도 6)에 접속한다.
휴대용 단말기의 제 2 웹 페이지(도 6)는 터치를 이용한 이벤트(왼쪽 슬라이드, 오른쪽 슬라이드, 지속적으로 누르기)(도 7 및 도 8)를 서버를 이용하여 비휴대용 단말기의 제 1 웹 페이지(도 3)에 이벤트를 전달한다.
이벤트를 받은 비휴대용 단말기의 제 1 웹 페이지(도 3)는 해당 이벤트에 대한 반응(왼쪽 슬라이드는 다음 사진 보여주기, 오른쪽 슬라이드는 이전 사진 보여주기, 지속적으로 누르기는 사진에 대한 설명 띄워 주기)(도 4 및 도 5)을 수행한다.
< 사용 예시2 > : 로그인에 대한 응용(미도시)
비휴대용 단말기의 제 1 웹 페이지에 로그인 웹 페이지들의 주소 정보를 담고 있는 QR코드를 표시한다.
카메라 기능을 가지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 2 웹 페이지에 접속하면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 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 ID값과 제 2 웹 페이지에서 비밀번호 및 사용가능 한 패턴을 입력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식별된 사용자는 비휴대용 단말기의 로그인 웹 페이지에서 로그인이 완료된다.
< 사용 예시3 > : 결제에 대한 응용
비휴대용 단말기의 제 1 웹 페이지와 휴대용 단말기의 제 2 웹 페이지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웹 페이지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서버를 통해 다른 웹 페이지에 전달 함을 응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크린만 있는 단말기의 화면을 제어하여 입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휴대용 단말기(10), 휴대용 단말기(20), 인터넷(30) 및 서버(40)로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단계로 비휴대용 단말기(10)와 인터넷(30)을 연결하고, ②단계로 인터넷(30)을 통해 서버(40)와 연결한다. 이후, ③단계로 비휴대용 단말기(10)에서 휴대용 단말기(20)로 정보 전송을 수행한다(예로서, QR코드 표시후 휴대용 단말기로 입력) ④단계로 휴대용 단말기(20)와 인터넷(30)을 연결한다. 마지막 ⑤단계로 인터넷(30)을 통해 서버(40)와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이 각각의 비휴대용 단말기(10) 및 휴대용 단말기(20)가 인터넷(30)을 통해 서버(40)에 연결된 상태에서의 상세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1. 비휴대용 단말기(10)에서 인터넷(30)을 거쳐 서버(40)에 제 1 웹 페이지를 요청한다.
2. 서버(40)에서 인터넷(30)을 거쳐 비휴대용 단말기(10)에 제 1 웹 페이지를 전송한다.
3. 비휴대용 단말기(10)에서 인터넷(30)을 거쳐 서버(40)에 소켓을 생성하고 그 소켓과 제 1 웹 페이지를 연결한다.
4. 비휴대용 단말기(10)의 제 1 웹 페이지에 나타난 코드를 휴대용 단말기(20)에 입력한다.
5. 휴대용 단말기(20)에서 인터넷(30)을 거쳐 서버(40)에 제 2 웹 페이지를 요청한다.
6. 서버(40)에서 인터넷(30)을 거쳐 휴대용 단말기(20)에 제 2 웹 페이지를 전송한다.
7. 휴대용 단말기(20)에서 인터넷(30)을 거쳐 서버(40)에 제 1 웹 페이지와 연결된 소켓에 제 2 웹 페이지를 연결한다.
8. 비휴대용 단말기(10)에서 인터넷(30)과 서버(40)를 거쳐 휴대용 단말기(20)연결되어 제 1 웹 페이지와 제 2 웹 페이지가 소켓으로 연결되어 제 2 웹 페이지의 명령을 제 1 웹 페이지에서 받은 후 반응(action)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비휴대용 단말기
20 : 휴대용 단말기
30 : 인터넷
40 : 서버

Claims (4)

  1. 단말기 혹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웹 페이지1에 접속하는 단계;
    웹 페이지1에서 서버에 소켓을 생성하고 생성된 소켓에 연결하는 단계;
    웹 페이지1에서 웹 페이지2의 주소를 코드로 생성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1에서 생성된 코드를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기의 프로그램을 통해 웹 페이지2에 접속하는 단계;
    웹 페이지1과 연결된 소켓에 웹 페이지2를 연결하는 단계;
    소켓을 통해 웹 페이지1과 웹 페이지2가 통신을 시작하는 단계;
    웹 페이지2에서 사용자 명령을 대기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2에 명령하는 단계;
    웹 페이지1에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웹 페이지1에서 명령을 받아 반응(action, 작동)이 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방법.
  3. 각각의 비휴대용 단말기(10) 및 휴대용 단말기(20)가 인터넷(30)을 통해 서버(4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비휴대용 단말기(10)에서 인터넷(30)을 거쳐 상기 서버(40)에 제 1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40)에서 인터넷(30)을 거쳐 상기 비휴대용 단말기(10)에 제 2 웹 페이지를 전송하고,
    상기 비휴대용 단말기(10)에서 인터넷(30)을 거쳐 상기 서버(40)에 소켓을 생성하고 그 소켓과 제 1 웹 페이지를 연결하고,
    상기 비휴대용 단말기(10)의 제 1 웹 페이지에 나타난 QR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입력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서 인터넷(30)을 거쳐 상기 서버(40)에 제 2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40)에서 인터넷(30)을 거쳐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제 2 웹 페이지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서 인터넷(30)을 거쳐 상기 서버(40)에 제 1 웹 페이지와 연결된 소켓에 제 2 웹 페이지를 연결하고,
    상기 비휴대용 단말기(10)에서 인터넷(30)과 상기 서버(40)를 거쳐 휴대용 단말기(20)연결되어 제 1 웹 페이지와 제 2 웹 페이지가 소켓으로 연결되어 제 2 웹 페이지의 명령을 제 1 웹 페이지에서 받은 후 반응(action,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 시스템.
  4. 삭제
KR1020120012216A 2012-02-07 2012-02-07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KR101343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216A KR101343827B1 (ko) 2012-02-07 2012-02-07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216A KR101343827B1 (ko) 2012-02-07 2012-02-07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023A KR20130091023A (ko) 2013-08-16
KR101343827B1 true KR101343827B1 (ko) 2013-12-20

Family

ID=4921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216A KR101343827B1 (ko) 2012-02-07 2012-02-07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8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9127A (ja) 2009-12-17 2011-06-30 Ntt Docomo Inc 携帯機器とスクリーンとの間でインタラクションをする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9127A (ja) 2009-12-17 2011-06-30 Ntt Docomo Inc 携帯機器とスクリーンとの間でインタラクションをする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023A (ko) 201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645B1 (ko)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JP6385572B2 (ja) 設備管理装置、設備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930705B2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6405071B1 (ja) 認証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6595525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523102B (zh) 小程序登录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7049773A (ja) キッティングシステム、キッティングプログラム、及びキッティング方法
US20150187186A1 (en) Wifi Landing Page for Remote Control of Digital Signs
TW201616846A (zh) 一種引導裝置之執行方法
US20170272439A1 (en) Remote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and terminal coordination method
US10778434B2 (en) Smart login method using messenger service and apparatus thereof
JP2015130028A (ja) 代行ログイン装置、端末、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43827B1 (ko) Html기반의 웹페이지 원격 제어방법 및 그 제어 시스템
JP2018018170A (ja) 認証システム
JP2020191573A (ja) 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86921A1 (en) Wifi Landing Page for Remote Control of Digital Signs
KR102244523B1 (ko) 웹 서비스 이용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170322B1 (ko) 웹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 컴퓨터를 이용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2163204A (zh) 一种管理应用程序账号的方法、存储介质及终端设备
JP721098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53752A (ko) 자동 완성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724330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107467B (zh) 自动触发快捷指令的方法和装置
CN111656376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系统以及程序
KR20190008503A (ko) 자동 로그인 인증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