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818B1 -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818B1
KR101343818B1 KR1020120114475A KR20120114475A KR101343818B1 KR 101343818 B1 KR101343818 B1 KR 101343818B1 KR 1020120114475 A KR1020120114475 A KR 1020120114475A KR 20120114475 A KR20120114475 A KR 20120114475A KR 101343818 B1 KR101343818 B1 KR 101343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s
signal
transmitted
monitoring unit
central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봉
Original Assignee
우리로광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로광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로광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서로 다른 특정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고, RF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방향으로 촬영 방향을 조정하는 카메라들, 상기 카메라들 각각에 설치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RF 감지 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적어도 2개의 RF 센서들, 및 상기 카메라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RF 감지 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에 대한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 감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가 긴급 상황을 용이하게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고, 감시 카메라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거나, 중앙 감시부에 복수의 모니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관리자의 수를 증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MONITORING CAMERA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가령, RF(Radio Frequency) 송신 기능이 탑재된 휴대폰 단말기, 또는 RF 송신기 등을 소지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송신하고, 해당 감시용 카메라에서RF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감시용 카메라에서 자동적으로 감시 방향을 사용자가 있는 방향으로 조절하고, 긴급 신호, 가령, 시각 및/또는 청각 신호를 중앙 감시부로 전송하면, 중앙 감시부에서 해당 감시용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중앙 감시부에서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저장하고, 모니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여 모니터링하고, 복수의 카메라를 조정할 수 있다.
그래서, 만일 특정 위치에서 특별한 상황, 가령, 긴급 상황이 발생된다면, 중앙 감시부의 관리자가 해당 카메라의 조정과 줌(Zoom) 기능을 이용하여 긴급 상황을 녹화하거나 관측할 수 있으며, 중앙 감시부의 관리자가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긴급 상황을 인식하면 비상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중앙 감시부의 관리자가 모니터로 현지의 긴급 상황을 인식하기 전까지는 카메라가 현지의 상황과 관계없이 결정된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현지의 긴급 상황을 촬영하여 전송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의 수를 증가하게 되면, 중앙 감시부의 관리자가 관측해야 하는 영상의 개수도 증가하여 관리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고, 이는 또 다시 관리자의 관측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모니터에 복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관리자의 피로도가 증가되고, 관측 능력 또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를 막기 위해 중앙 감시부의 모니터의 대수를 증가하고, 관리자의 수를 늘리면 많은 비용이 소요될 수 있으며, 관리자가 부재 중이거나 인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긴급 상황이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더라도 비상 조치를 취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0769562호는 감시 지역 내 위급 상황이나 예비 안전 사고 발생시에 피해자의 조작에 의한 비상 경보 작동과 관리자에 의한 비상 경보 작동이 양방향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사고 발생시의 대처 방안을 확대하고, 사고 발생에 대한 대응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공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송신하고, 해당 감시용 카메라에서RF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감시용 카메라에서 자동적으로 감시 방향을 사용자가 있는 방향으로 조절하고, 긴급 신호, 가령, 시각 및/또는 청각 신호를 중앙 감시부로 전송하면, 중앙 감시부에서 해당 감시용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용이하게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서로 다른 특정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고, RF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방향으로 촬영 방향을 조정하는 카메라들, 상기 카메라들 각각에 설치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RF 감지 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적어도 2개의 RF 센서들, 및 상기 카메라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RF 감지 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에 대한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 감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a) 서로 다른 특정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들 각각의 서로 다른 방향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RF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RF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RF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b) 상기 RF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들 중 해당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조절하는 단계, 및 (c) 상기 카메라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RF 감지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해당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에 대한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감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RF 신호를 송신하고, RF 신호 감지 기능과 회전 및 각도 조절 기능을 구비한 해당 감시용 카메라에서RF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감시용 카메라에서 자동적으로 감시 방향을 사용자가 있는 방향으로 조절하고 긴급 신호, 가령, 시각 및/또는 청각 신호를 중앙 감시부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긴급 상황을 용이하게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 카메라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더라도, 중앙 감시부에 복수의 모니터를 설치하거나, 관리자의 수를 증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중앙 감시부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중앙 감시부(10), 카메라들(12-1 ~ 12-n), RF 센서부(SR: 14-1 ~ 14-n), 경보 신호 발생부(EM: 16-1 ~ 16-n) 및 RF 송신기(SS: 18)를 포함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통신망(20) 및 구조대(22)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 감시부(10)는 카메라(12-1 ~ 12-n)에 의해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하고,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긴급 신호, 가령, 시각 및/또는 청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니터의 n개의 분할된 영역에 카메라(12-1 ~ 12-n)에 의해서 촬영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해당 카메라로부터 FR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모니터의 해당 카메라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영상에 긴급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가령, 모니터의 해당 카메라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영상을 깜빡거리도록 하거나, 깜빡거리면서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감시부(10)는 카메라(12-1 ~ 12-n)의 회전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감시부(10)는 카메라(12-1 ~ 12-n)으로부터 RF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카메라로 경보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망(20)을 통하여 구조대(22), 가령, 경찰이나 119로 구조 요청 신호 또는 촬영되는 영상을 전송하여 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통신망(20)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카메라들(12-1 ~ 12-n) 각각은 서로 다른 특정 지점에 설치되고, RF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RF 신호가 수신된 방향으로 회전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RF 감지 신호를 중앙 감시부(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감시부(10)의 제어에 따라 회전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줌(Zoom)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카메라(12-1 ~ 12-n) 각각은 예를 들면, 아파트 단지, 호텔, 및 놀이 공원 등과 같은 시설의 서로 다른 소정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RF 센서부(14-1 ~ 14-n) 각각은 카메라들(12-1 ~ 12-n) 각각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2개의 RF 센서들(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RF 신호를 수신하여 RF 감지 신호를 발생한 RF 센서가 설치된 방향으로 회전 및 각도 조절될 수 있다.
경보 신호 발생부(16-1 ~ 16-n) 각각은 RF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경보 신호, 가령,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감지 신호를 수신한 해당 카메라에 연결된 해당 경보 신호 발생부가 경보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해당 카메라가 설치된 영역에 있는 사람들에게 긴급 상황을 인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경보 신호 발생부(16-1 ~ 16-n) 각각은 중앙 감시부(10)의 제어 하에 경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즉, 중앙 감시부(10)로 RF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모든 경보 신호 발생부(16-1 ~ 16-n)가 경보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RF 송신기(18)는 위험 또는 긴급 상황 발생시에 RF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RF 송신기(18)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것으로, RF 신호 발생 기능을 가진 휴대폰 또는 RF 신호 발생 기능을 가진 전용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RF 신호는 무선 주파수의 신호로서, 특정 주파수의 신호일 수 있다.
중앙 감시부(10)와 카메라들(12-1 ~ 12-n)은 도시된 것처럼, 유선, 가령, 통신 케이블에 의해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무선 통신망에 의해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중앙 감시부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1번부터 9번까지의 9대의 카메라들을 통하여 1에서 9까지의 숫자가 촬영되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만일, 5번 카메라를 통하여 RF 감지 신호가 전송되면, 5번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숫자 5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영상(빗금친 부분의 영상)이 깜빡거리거나, 깜빡거리면서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는 숫자 5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아니라, 위험 상황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위험 상황의 영상이 깜빡거리면서 경보음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 감시부(10)의 관리자가 모니터를 항상 지켜보면서 모니터하지 않더라도 위기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RF 센서부는 카메라와 별도로 구성되어 RF 감지 신호를 중앙 감시부(10)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카메라와 일체로 구성되어 촬영된 영상과 RF 감지 신호를 함께 중앙 감시부(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경보 신호 발생부도 카메라와 별도로 구성되어 RF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경보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으나, 카메라와 일체로 구성되어 중앙 감시부(10)에서 카메라를 통하여 경보 신호 발생부가 경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카메라(12)는 고정 장치(13), 회전 및 각도 조절부(11), 촬영부(15), 센서부(14-11, 14-12) 및 경보 신호 발생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RF 센서부(14-11, 14-12)는 촬영부(15)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설치될 수 있고, 경보 신호 발생부(16)는 촬영부(15)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촬영부(15)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및 RF 센서부(14-11, 14-12)에 의해서 발생되는 RF 감지 신호는 카메라(12)에 연결된 케이블(미도시)을 통하여 중앙 감시부(1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2개의 RF 센서부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카메라(12)에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3개 이상의 RF 센서들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경보 신호 발생부가 카메라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굳이 카메라 각각에 부착되어 설치될 필요는 없다. 즉, 카메라가 설치된 지점 또는 위치와 다른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감시 카메라 시스템
10: 중앙 감시부
12-1 ~ 12-n, 12: 카메라
14-1 ~ 14-n, 14-11, 14-12: RF 센서부(SR)
16-1 ~ 16-n, 16: 경보 신호 발생부(EM)
18: RF 송신기(SS)
20: 통신망
22: 구조대
13: 고정 장치
11: 회전 및 각도 조절부
15: 촬영부

Claims (10)

  1. 서로 다른 특정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고, RF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방향으로 촬영 방향을 조정하는 카메라들;
    상기 카메라들 각각에 설치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RF 감지 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적어도 2개의 RF 센서들; 및
    상기 카메라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RF 감지 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에 대한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 감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감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들을 상기 모니터의 화면 상의 분리된 영역들 각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신호는
    해당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깜빡이도록 하거나, 깜빡거리면서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감시부가 상기 RF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중앙 감시부의 제어 하에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 신호 발생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들 각각은
    회전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중앙 감시부는
    상기 카메라들 각각의 회전 및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감시부는
    상기 RF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구조대로 연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7. (a) 서로 다른 특정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들 각각의 서로 다른 방향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RF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RF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RF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b) 상기 RF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들 중 해당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조절하는 단계; 및
    (c) 상기 카메라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RF 감지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해당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에 대한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감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카메라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들을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의 화면 상의 분리된 영역들 각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감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긴급 신호를 상기 해당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깜빡이도록 하거나, 깜빡거리면서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감시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d) 상기 RF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구조대로 연락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감시 방법.
KR1020120114475A 2012-10-15 2012-10-15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 KR101343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475A KR101343818B1 (ko) 2012-10-15 2012-10-15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475A KR101343818B1 (ko) 2012-10-15 2012-10-15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818B1 true KR101343818B1 (ko) 2013-12-20

Family

ID=4998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475A KR101343818B1 (ko) 2012-10-15 2012-10-15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5193A (zh) * 2017-04-18 2017-08-04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双目ccd视觉矿井移动目标定位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560B1 (ko) 2004-09-22 2006-09-12 오규태 범죄 예방 및 감시 방법과 그 시스템
KR100929921B1 (ko) 2007-11-05 2009-12-04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KR100983649B1 (ko) 2005-02-04 2010-09-24 주식회사 케이티 원격 감시를 위한 동영상 전송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원격보안 감시 장치
KR101091902B1 (ko) 2005-06-17 2011-12-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원격지 실시간 감시 및 도난방지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560B1 (ko) 2004-09-22 2006-09-12 오규태 범죄 예방 및 감시 방법과 그 시스템
KR100983649B1 (ko) 2005-02-04 2010-09-24 주식회사 케이티 원격 감시를 위한 동영상 전송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원격보안 감시 장치
KR101091902B1 (ko) 2005-06-17 2011-12-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원격지 실시간 감시 및 도난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929921B1 (ko) 2007-11-05 2009-12-04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5193A (zh) * 2017-04-18 2017-08-04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双目ccd视觉矿井移动目标定位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306B1 (ko) 산불감시시스템
KR100995569B1 (ko)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WO2006062213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6358022A (zh) 一种基于视频的安防监控方法
CN106448036A (zh) 一种楼宇智能安防监控系统
KR101111493B1 (ko) 지능형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화재 인식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170141A (ja) 指定範囲監視システム
JP2009015536A (ja) 不審者通報装置、不審者監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遠隔監視システム
KR101343818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
KR101852056B1 (ko) 비콘 일체형 영상촬영장치를 이용한 위치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1547835B1 (ko) 양방향 다중 비상 호출 시스템
KR20150001305A (ko) 전방위 영상 모니터링 및 범죄예방 경고가 가능한 범죄 예방시스템
JP2008146401A (ja) 常時防犯システム
JP5037279B2 (ja) 監視装置
KR101061868B1 (ko) 듀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EP3640903B1 (en) Signal dependent video surveillance
KR100930999B1 (ko) 이동형 영상감시시스템
KR20150126186A (ko) 비상벨 인터폰 연동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00009544U (ko) 무선 비상 호출 음성통화 시스템
JP2017049793A (ja) 指定範囲監視システム
KR101638855B1 (ko) 브이오아이피 기반의 개선된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
KR102671093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6115080A (ja) 監視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1796759B1 (ko) 영상 감시 및 침입 경고 시스템
KR100904928B1 (ko) 유무선을 통한 감시와 원격 장치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