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096B1 -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096B1
KR101343096B1 KR1020110000353A KR20110000353A KR101343096B1 KR 101343096 B1 KR101343096 B1 KR 101343096B1 KR 1020110000353 A KR1020110000353 A KR 1020110000353A KR 20110000353 A KR20110000353 A KR 20110000353A KR 101343096 B1 KR101343096 B1 KR 101343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conver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200A (ko
Inventor
김성한
Original Assignee
프리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닉스(주) filed Critical 프리닉스(주)
Priority to KR102011000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0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연동하여 픽트 브리지 표준을 지원하는 프린터를 통해 직접 사진인화가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데이터 변환 장치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된 커넥터;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된 리셉터클; 및 상기 커넥터와 리셉터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프로토콜을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리셉터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 픽트 브리지 표준을 지원하는 프린터를 통해 직접 사진인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APPARATUS FOR CONVERTING DATA USING PICTBRIDGE}
본 발명은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연동하여 픽트 브리지 표준을 지원하는 프린터를 통해 직접 사진인화가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또는 디지털 캠코더) 등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프린터로 출력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디지털 카메라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PC로 전송한 후 PC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여 여러 가지 기능들을 선택한 다음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PC를 거치지 않고도 디지털 카메라에서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프린터와 연결한 후 디지털 카메라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프린터로 직접 전송하여 인쇄하는 방법으로 픽트 브리지(PictBridge) 기술이 제안되었다.
상기 픽트 브리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의 제조회사에 상관없이 서로 호환이 가능하여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가 서로 연결되면 자동으로 인식되며, 디지털 카메라의 뷰파인더에서 사진 선택, 자르기, 프린터 매수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여 프린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게 되었고 촬영한 이미지를 PC로 전송하여 사진출력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회사들은 상기 픽트 브리지 표준 규격을 일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채택하여 USB 포트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프린터를 직접 연결시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고 인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픽트 브리지는 일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을 뿐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픽트 브리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프린터와의 직접 연결을 통한 사진출력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 이외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스마트폰에 픽트 브리지 기능을 이용한 응용 프로그램(앱)을 설치한 경우 이미 보급된 프린터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연동하여 픽트 브리지 표준을 지원하는 프린터를 통해 직접 사진인화가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진 인화 프로그램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픽트 브리지가 설치된 프린터 사이에 사진 인화가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데이터 변환 장치로서, 데이터 변환 장치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된 커넥터;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된 리셉터클; 상기 커넥터와 리셉터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프로토콜을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리셉터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데이터 변환부의 동작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동작 표시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용 전원을 미리 설정된 충전용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기 유도 방식 또는 전자파 유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류를 유도하여 충전용 전원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도 전류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부는 Wi-Fi(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파일을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분할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프린터와 USB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진 인화 프로그램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픽트 브리지가 설치된 프린터 사이에 사진 인화가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데이터 변환 장치로서, 데이터 변환 장치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된 커넥터;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프로토콜을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 변환부; 호스트 통신부와 USB 무선 통신용 데이터 패킷 신호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 통신부와, 프린터의 USB 포트에 설치되어 상기 디바이스 통신부와 USB 무선 통신용 데이터 패킷 신호를 송수신하는 호스트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 신호가 무선 USB 신호로 전송되도록 하는 WUSB 통신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전원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발생된 전원을 상기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용 전원과 데이터 변환부 및 WUSB 통신부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기 유도 방식 또는 전자파 유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류를 유도하여 충전용 전원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도 전류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서 픽트 브리지 표준을 지원하는 프린터를 통해 직접 사진인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제 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도 1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도 1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제 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 는 도 4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도 4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제 3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8 은 도 7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도 7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제 4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1 은 도 10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도 10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제 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본체부(101)와, 커넥터(110)와, 데이터 변환부(120)와 메모리(121)와, 리셉터클(130)과, 동작 표시부(140)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프린터 사이에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젠더이다.
상기 본체부(101)는 데이터 변환 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110)는 본체부(101)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형성된 I/O 접속 포트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1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선로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10)는 30핀, 커넥터, 24핀 커넥터, 20핀 커넥터 USB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이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120)는 본체부(101)에 수납되고,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3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110)를 통해 전송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데이터 프로토콜을 미리 저장된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리셉터클(130)과 통신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된 프린터(400)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은 커넥터(110)를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리셉터클(130)을 통해 연결된 프린터(400) 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을 확인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프린터(400)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DPS(Digital Photo Solution) 계층과, 상기 DPS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데이터(이미지 파일) 전송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PTP(Picture Transfer Protocol) 계층과, USB를 통한 연결을 제어하는 USB 호스트/디바이스 계층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120)는 커넥터(110)를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USB 디바이스로, 리셉터클(130)을 통해 연결된 프린터(400)는 USB 호스트로써 기능하도록 연결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120)는 사진 출력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파일을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121)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121)는 미리 설정된 일정 크기의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12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사진 출력을 위해 전송되는 데이터 중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용량을 갖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그 전송되는 데이터(이미지 파일)를 미리 설정된 용량의 블럭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출력하고, 그에 따라 분할된 크기로 전송되는 데이터(이미지 파일)를 수신하여 메모리(121)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120)는 메모리(121)에 저장된 데이터를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프린터(400)로의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전송이 완료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나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변환 후 전송한다.
상기 분할 수신되는 데이터(이미지 파일)의 용량은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적어도 4Kbyte 이상 설정하면 메모리(121)의 저장 공간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120)는 프린터(400)로부터 공급되는 USB 전원의 일부를 이용하여 동작하고, 상기 전원의 나머지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충전용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리셉터클(130)은 본체부(101)에 설치되어 통신 케이블(300)의 커넥터가 삽입되고, 상기 통신 케이블(300)을 통해 픽트 브리지가 설치된 프린터(40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130)은 프린터(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선로와 상기 프린터(400)로부터 USB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130)은 30핀, 커넥터, 24핀 커넥터, 20핀 커넥터 USB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리셉터클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가 삽입되도록 마이크로 USB 리셉터클로 구성된다.
상기 동작 표시부(140)는 본체부(101)에 설치되어 데이터 변환부(120)의 동작 여부와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표시하고, 바람직하게는 LED로 구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미리 설정된 사진 인화 프로그램(앱)을 설치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이고, 프린터(400)는 픽트 브리지가 설치된 프린터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100)의 커넥터(11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I/O 포트에 접속되고, 데이터 변환 장치(100)의 리셉터클(130)에 통신 케이블(300)을 통해 프린터(400)의 USB 포트에 연결되면, 프린터(400)의 USB 전원이 통신 케이블(300)을 통해 데이터 변환 장치(100)의 구동 전원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충전용 전원으로 공급되고, 상기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 동작 표시부(140)의 점등과 함께 데이터 변환 장치(100)가 활성화되어 픽트 브리지 규격에 따라 프린터(400)와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프린터(400)가 픽트 브리지를 지원하면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설치된 사진 인화 프로그램이 구동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 사진 인화 프로그램이 구동중이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프린터(400) 간에 USB 디바이스와 호스트의 관계로서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구동중인 사진 인화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 명령이 수신되면, 전송 대상 이미지 파일의 용량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분할 여부와 분할된 파일의 개수 등을 확인한 후 분할된 파일을 수신하여 메모리(121)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분할 파일을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프린터(400)로 전송한다.
상기 메모리(121)에 저장된 분할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면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분할 파일 정보에 따라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고, 전송이 완료되면 인쇄가 종료되도록 한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제 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500)는 본체부(501)와, 커넥터(510)와, 데이터 변환부(520)와 메모리(521)와, 리셉터클(530)과, 전원 공급부(540)와, 동작 표시부(550)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크래들이다.
상기 본체부(501)는 데이터 변환 장치의 베이스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데이터 변환 장치(500)와 결합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502)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510)는 본체부(501)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형성된 I/O 접속 포트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51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선로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선로가 형성되며, 30핀, 커넥터, 24핀 커넥터, 20핀 커넥터 USB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이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520)는 본체부(501)에 수납되고, 커넥터(510)와 리셉터클(53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510)를 통해 전송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데이터 프로토콜을 미리 저장된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리셉터클(530)과 통신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된 프린터(400)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520)는 커넥터(510)를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USB 디바이스로, 리셉터클(530)을 통해 연결된 프린터(400)는 USB 호스트로써 기능하도록 연결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520)는 사진 출력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파일을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521)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521)는 미리 설정된 일정 크기의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52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사진 출력을 위해 전송되는 데이터 중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용량을 갖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그 전송되는 데이터(이미지 파일)를 미리 설정된 용량의 블럭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출력하고, 그에 따라 분할된 크기로 전송되는 데이터(이미지 파일)를 수신하여 메모리(521)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520)는 메모리(521)에 저장된 데이터를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프린터(400)로의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전송이 완료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나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변환 후 전송한다.
상기 분할 수신되는 데이터(이미지 파일)의 용량은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적어도 4Kbyte 이상 설정하면 메모리(521)의 저장 공간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520)는 프린터(400)로부터 공급되는 USB 전원의 일부를 이용하여 동작하고, 상기 USB 전원의 나머지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충전용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전원 공급부(540)로부터 공급되는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리셉터클(530)은 본체부(501)의 일측에 설치되어 통신 케이블(300)의 커넥터가 삽입되고, 상기 통신 케이블(300)을 통해 픽트 브리지가 설치된 프린터(400)와 연결되며, 프린터(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선로와 상기 프린터(400)로부터 USB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530)은 30핀, 커넥터, 24핀 커넥터, 20핀 커넥터 USB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리셉터클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가 삽입되도록 마이크로 USB 리셉터클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540)는 본체부(501)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미리 설정된 충전용 전원으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공급되도록 변압회로 및 충전 회로를 포함하고, 전원 케이블(300')과 연결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541)가 본체부(501)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540)는 커넥터(510)의 전원 선로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USB 호스트인 프린터(400)로부터 공급되는 표준 전원보다 큰 전력량을 공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고속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540)는 전자기 유도 회로와 전자파 유도 회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로가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유선을 이용한 충전 전원의 공급뿐만 아니라 무선 방식의 전원 공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원 입력 수단이나 전자파 유도에 의한 전원 입력 수단이 설치된 경우 충전용 전압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유도될 수 있도록 전자기 유도 신호 또는 전자파 유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동작 표시부(550)는 본체부(501)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데이터 변환부(520)의 동작 여부와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표시하고, 바람직하게는 LED로 구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500)의 커넥터(510)에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I/O 포트가 접속되고, 데이터 변환 장치(500)의 리셉터클(530)에 통신 케이블(300)을 통해 프린터(400)의 USB 포트에 연결되면, 프린터(400)의 USB 전원이 통신 케이블(300)을 통해 데이터 변환 장치(500)의 구동 전원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충전용 전원으로 공급되고, 상기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 동작 표시부(550)의 점등과 함께 데이터 변환 장치(500)가 활성화되어 픽트 브리지 규격에 따라 프린터(400)와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전원 공급부(540)를 통해 충전용 전원이 공급되면 커넥터(5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프린터(400)가 픽트 브리지를 지원하면 데이터 변환 장치(5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설치된 사진 인화 프로그램이 구동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 사진 인화 프로그램이 구동중이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프린터(400) 간에 USB 디바이스와 호스트의 관계로서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 데이터 변환 장치(5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구동중인 사진 인화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 명령이 수신되면, 전송 대상 이미지 파일의 용량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분할 여부와 분할된 파일의 개수 등을 확인한 후 분할된 파일을 수신하여 메모리(521)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분할 파일을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프린터(400)로 전송한다.
상기 메모리(521)에 저장된 분할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면 데이터 변환 장치(500)는 분할 파일 정보에 따라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고, 전송이 완료되면 인쇄가 종료되도록 한다.
(제 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제 3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600)는 본체부(601)와, 커넥터(610)와, 데이터 변환부(620)와 메모리(621)와, 리셉터클(630)과, 무선 통신부(640)와, 전원 공급부(650)와, 동작 표시부(660)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601)는 데이터 변환 장치의 베이스를 형성하고, 본체부(601)의 상부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 200')가 거치되는 패널(602)이 형성되며, 패널(602)의 일측에는 커넥터(610)를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부(603)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610)는 패널(602)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무선 데이터 통신이 어렵거나 또는 무선 전원 공급이 어려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형성된 I/O 접속 포트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61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선로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선로가 형성되며, 30핀, 커넥터, 24핀 커넥터, 20핀 커넥터 USB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이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620)는 본체부(601)에 수납되고, 커넥터(610)와 리셉터클(630) 사이에 유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610)를 통해 전송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데이터 프로토콜을 미리 저장된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리셉터클(630)과 통신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된 프린터(400)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620)는 무선 통신부(640)를 통해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무선 접속되어 상기 무선 통신부(640)를 통해 전송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프린터(400)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620)는 커넥터(610)를 통해 유선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부(640)를 통해 무선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USB 디바이스로, 리셉터클(630)을 통해 연결된 프린터(400)는 USB 호스트로써 기능하도록 연결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620)는 사진 출력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200, 200')로부터 전송되는 파일을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621)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621)는 미리 설정된 일정 크기의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62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 200')로부터 사진 출력을 위해 전송되는 데이터 중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용량을 갖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그 전송되는 데이터(이미지 파일)를 미리 설정된 용량의 블럭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 200')로 출력하고, 그에 따라 분할된 크기로 전송되는 데이터(이미지 파일)를 수신하여 메모리(621)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620)는 메모리(621)에 저장된 데이터를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프린터(400)로의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전송이 완료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 200')에서 나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변환 후 전송한다.
상기 분할 수신되는 데이터(이미지 파일)의 용량은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적어도 4Kbyte 이상 설정하면 메모리(621)의 저장 공간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620)는 프린터(400)로부터 공급되는 USB 전원의 일부를 이용하여 동작하고, 상기 USB 전원의 나머지는 이동통신 단말기(200, 200')의 충전용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전원 공급부(650)로부터 공급되는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리셉터클(630)은 본체부(601)의 일측에 설치되어 통신 케이블(300)의 커넥터가 삽입되고, 상기 통신 케이블(300)을 통해 픽트 브리지가 설치된 프린터(400)와 연결되며, 상기 프린터(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선로와 상기 프린터(400)로부터 USB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630)은 30핀, 커넥터, 24핀 커넥터, 20핀 커넥터 USB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리셉터클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가 삽입되도록 마이크로 USB 리셉터클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 통신부(640)는 본체부(601)에 설치되어 커넥터(610)를 통해 연결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여 사진 인화를 위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640)는 Wi-Fi(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650)는 본체부(501)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미리 설정된 충전용 전원으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 200')에 공급되도록 변압회로 및 충전 회로를 포함하고, 전원 케이블(300')과 연결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651)가 본체부(601)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650)는 커넥터(610)의 전원 선로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USB 호스트인 프린터(400)로부터 공급되는 표준 전원보다 큰 전력량을 공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고속으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650)는 전자기 유도 회로와 전자파 유도 회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로가 구성되어 패널(602) 상에 거치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무선 방식의 전원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에는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원 입력 수단(미도시)이나 전자파 유도에 의한 전원 입력 수단(미도시)이 설치되어 전원 공급부(65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신호 또는 전자파 유도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 입력 수단에 충전용 전압이 유도되어 패널(602) 상에 거치된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동작 표시부(660)는 LED로 구성되고, 본체부(601)의 패널(602) 일측에 설치되어 데이터 변환부(620)의 동작 여부와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600)의 커넥터(610)에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I/O 포트가 접속되고, 데이터 변환 장치(600)의 리셉터클(630)에 통신 케이블(300)을 통해 프린터(400)의 USB 포트에 연결되면, 프린터(400)의 USB 전원이 통신 케이블(300)을 통해 데이터 변환 장치(600)의 구동 전원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충전용 전원으로 공급되고, 상기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 동작 표시부(660)의 점등과 함께 데이터 변환 장치(600)가 활성화되어 픽트 브리지 규격에 따라 프린터(400)와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전원 공급부(650)를 통해 충전용 전원이 공급되면 커넥터(6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충전 전원이 공급되고, 또한 데이터 변환 장치(600)의 동작을 위한 전원도 함께 공급되도록 한다.
프린터(400)가 픽트 브리지를 지원하면 데이터 변환 장치(6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설치된 사진 인화 프로그램이 구동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 사진 인화 프로그램이 구동중이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프린터(400) 간에 USB 디바이스와 호스트의 관계로서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데이터 변환 장치(600)는 커넥터(610)와 연결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무선 통신부(640)를 통해 사진 인화를 위한 이미지 파일의 무선 데이터 전송이 요청되면 무선 통신을 위한 소정의 인증 또는 접속 과정을 수행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설치된 사진 인화 프로그램이 구동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 사진 인화 프로그램이 구동중이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프린터(400) 간에 USB 디바이스와 호스트의 관계로서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 데이터 변환 장치(6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 200')에서 구동중인 사진 인화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 명령이 수신되면, 전송 대상 이미지 파일의 용량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분할 여부와 분할된 파일의 개수 등을 확인한 후 분할된 파일을 수신하여 메모리(621)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분할 파일을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프린터(400)로 전송한다.
상기 메모리(621)에 저장된 분할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면 데이터 변환 장치(600)는 분할 파일 정보에 따라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고, 전송이 완료되면 인쇄가 종료되도록 한다.
(제 4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제 4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700)는 본체부(701)와, 커넥터(710)와, 데이터 변환부(720)와 메모리(721)와, 유도 전류 발생부(730)와, WUSB 통신부(740)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프린터(400) 사이에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젠더이다.
상기 본체부(701)는 데이터 변환 장치의 하우징을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710)는 본체부(701)의 일측면 중앙에 설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형성된 I/O 접속 포트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71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선로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선로가 형성되며, 30핀, 커넥터, 24핀 커넥터, 20핀 커넥터 USB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이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720)는 본체부(701)에 수납되고, 커넥터(7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710)를 통해 전송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데이터 프로토콜을 미리 저장된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WUSB 통신부(740)의 무선 USB 데이터 패킷 신호를 통해 프린터(400)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720)는 커넥터(710)를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USB 디바이스로, WUSB 통신부(740)을 통해 연결된 프린터(400)는 USB 호스트로써 기능하도록 연결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720)는 사진 출력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파일을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721)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721)는 미리 설정된 일정 크기의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72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사진 출력을 위해 전송되는 데이터 중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용량을 갖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그 전송되는 데이터(이미지 파일)를 미리 설정된 용량의 블럭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출력하고, 그에 따라 분할된 크기로 전송되는 데이터(이미지 파일)를 수신하여 메모리(721)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부(720)는 메모리(721)에 저장된 데이터를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프린터(400)로의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전송이 완료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나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변환 후 전송한다.
상기 분할 수신되는 데이터(이미지 파일)의 용량은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적어도 4Kbyte 이상 설정하면 메모리(721)의 저장 공간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유도 전류 발생부(730)는 본체부(701)의 저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가 적절한 전압을 갖는 직류 전원이 되도록 전원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유도 전류 발생부(730)는 전류를 유도하는 코일(점선)과 상기 코일에서 유도도니 전류의 전압을 제한하는 정류제한회로와, 상기 유도된 전류의 전압을 변환하여 구동 전원 및 충전 전원이 생성되도록 하는 정류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도 전류 발생부(730)는 상기 발생된 전원을 커넥터(710)를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충전용 전원과 데이터 변환부(720) 및 WUSB 통신부(740)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유도 전류 발생부(7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데이터 변환 장치(700)가 동작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유도 전류 발생부(730)를 통해 구동 전원과 충전용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 변환부(720)와 WUSB 통신부(740)의 동작 전원이 커넥터(710)를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아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데이터 변환부(72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미리 설치된 사진 인화 프로그램으로부터 동작 시작 신호를 입력받으면 활성될 수도 있다.
상기 WUSB 통신부(740)는 데이터 변환부(720)와 프린터(400) 사이에 USB 데이터 패킷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변환부(720)로부터 출력되는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 신호가 무선 USB 신호로 전송되도록 하고, 디바이스 통신부(741)와 호스트 통신부(742)를 포함한다.
WUSB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의 무선 형식으로서, 초광대역 무선(UWB) 기술을 이용하여 유선 USB와 같이 2m 내에서 480Mpbs, 10m 내에서 110Mbps 전송 속도로 전송되며, 허브가 중앙에 있고 무선 USB(WUSB) 장치가 127개까지 점대점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디바이스 통신부(741)는 본체부(701)에 설치되어 호스트 통신부(742)와 USB 무선 통신용 데이터 패킷 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서, 데이터 변환부(7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USB 무선 통신용 데이터 패킷으로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 통신부(742)로 전송한다.
상기 호스트 통신부(742)는 프린터(400)의 USB 포트(미도시)에 설치되어 디바이스 통신부(741)와 USB 무선 통신용 데이터 패킷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 통신부(741)로부터 수신된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상기 프린터(400)로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700)는 유도 전류 발생부(730)로 전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한 전원 발생 신호를 출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제공할 충전 전원과 데이터 변환 장치(700)로 제공할 구동 전원이 발생되도록 매트 형태의 전원 공급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8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10 ~ 100MHz 대역의 주파수 신호인 전원 발생 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회로와, 상기 발생된 전원 신호를 출력하는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데이터 변환장치(700)의 커넥터(710)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I/O 포트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외부에 장착하고, WUSB 통신부의 호스트 통신부(742)를 픽트 브리지가 설치된 프린터(400)의 USB 포트에 설치한다.
이후 전원 공급부(800)의 상면에 데이터 변환장치(700)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거치시키고, 상기 전원 공급부(800)에서 출력되는 전원 발생 신호에 의해 데이터 변환 장치의 유도 전류 발생부(730)에 전원이 발생하면, 데이터 변환 장치(700)가 활성화되어 WUSB 통신부(740)를 이용하여 픽트 브리지 규격에 따라 프린터(400)와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유도 전류 발생부(730)를 통해 발생된 전원 중 일부가 충전용 전원으로써 커넥터(7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공급된다.
프린터(400)가 픽트 브리지를 지원하면 데이터 변환 장치(7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설치된 사진 인화 프로그램이 구동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 사진 인화 프로그램이 구동중이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프린터(400) 간에 USB 디바이스와 호스트의 관계로서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 데이터 변환 장치(70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구동중인 사진 인화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 명령이 수신되면, 전송 대상 이미지 파일의 용량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분할 여부와 분할된 파일의 개수 등을 확인한 후 분할된 파일을 수신하여 메모리(721)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분할 파일을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WUSB 통신부(740)를 통해 프린터(400)로 전송한다.
상기 메모리(721)에 저장된 분할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면 데이터 변환 장치(700)는 분할 파일 정보에 따라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하고, 전송이 완료되면 인쇄가 종료되도록 한다.
한편,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도 전류 발생부(73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젠더 형태의 데이터 변환장치(100)와 제 2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형태의 데이터 변환장치(500)에 추가 설치하여 비접촉 방식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데이터 변환 장치 101 : 본체부
110 : 커넥터 120 : 데이터 변환부
121 : 메모리 130 : 리셉터클
140 : 동작 표시부 200, 200' : 스마트폰
300 : 통신 케이블 300' : 전원 케이블
400 : 프린터 500 : 데이터 변환 장치
501 : 본체부 502 : 지지부
510 : 커넥터 520 : 데이터 변환부
521 : 메모리 530 : 리셉터클
540 : 전원 공급부 541 : 전원 연결부
550 : 동작 표시부 600 : 데이터 변환 장치
601 : 본체부 602 : 패널
603 : 지지부 610 : 커넥터
620 : 데이터 변환부 621 : 메모리
630 : 리셉터클 640 : 무선 통신부
650 : 전원 공급부 651 : 전원 연결부
660 : 동작 표시부 700 : 데이터 변환 장치
701 : 본체부 710 : 커넥터
720 : 데이터 변환부 721 : 메모리
730 : 유도 전류 발생부 740 : WUSB 통신부
741 : 디바이스 통신부 742 : 호스트 통신부
800 : 전원 공급부

Claims (13)

  1. 사진 인화 프로그램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픽트 브리지가 설치된 프린터 사이에 사진 인화가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데이터 변환 장치로서,
    데이터 변환 장치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I/O 포트에 삽입되는 커넥터;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된 리셉터클;
    상기 커넥터와 리셉터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프로토콜을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상기 리셉터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파일을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분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데이터 변환부의 동작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동작 표시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용 전원을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용 전원과, 상기 데이터 변환부와 무선 통신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충전용 전원과 동작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데이터 변환부와 무선 통신부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기 유도 방식 또는 전자파 유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류를 유도하여 충전용 전원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도 전류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Wi-Fi(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프린터와 USB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11. 사진 인화 프로그램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픽트 브리지가 설치된 프린터 사이에 사진 인화가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데이터 변환 장치로서,
    데이터 변환 장치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I/O 포트에 삽입되는 커넥터;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프로토콜을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파일을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분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변환부;
    호스트 통신부와 USB 무선 통신용 데이터 패킷 신호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 통신부와, 프린터의 USB 포트에 설치되어 상기 디바이스 통신부와 USB 무선 통신용 데이터 패킷 신호를 송수신하는 호스트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픽트 브리지 프로토콜 신호가 무선 USB 신호로 전송되도록 하는 WUSB 통신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전원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발생된 전원을 상기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용 전원과 데이터 변환부 및 WUSB 통신부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고, 상기 충전용 전원과 동작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데이터 변환부와 WUSB 통신부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기 유도 방식 또는 전자파 유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류를 유도하여 충전용 전원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유도 전류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10000353A 2011-01-04 2011-01-04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KR101343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353A KR101343096B1 (ko) 2011-01-04 2011-01-04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353A KR101343096B1 (ko) 2011-01-04 2011-01-04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200A KR20120079200A (ko) 2012-07-12
KR101343096B1 true KR101343096B1 (ko) 2014-01-15

Family

ID=4671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353A KR101343096B1 (ko) 2011-01-04 2011-01-04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0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804A (ko) * 2005-08-08 2007-02-13 (주)제이씨 프로텍 소형ㆍ경량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JP2008299482A (ja) * 2007-05-30 2008-12-11 Seiko Epson Corp 変換装置、変換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変換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804A (ko) * 2005-08-08 2007-02-13 (주)제이씨 프로텍 소형ㆍ경량의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JP2008299482A (ja) * 2007-05-30 2008-12-11 Seiko Epson Corp 変換装置、変換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変換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200A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7169B2 (e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power receiving apparatus
CN101796703B (zh) 智能设备和功率源交互
CN109463026B (zh) 无线电力传输方法及其设备
JP6626384B2 (ja) 給電装置および給電方法、制御回路、acアダプタ、電子機器
KR102000561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JP5124991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632126B2 (ja) ワイヤレス誘導電力伝送
US8463183B2 (en) Headset charge via short-range RF communication
US8212518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transfer system and power transfer system
JP2008118575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並びに通信装置のための充電器
US20060184705A1 (en) Communication system, digital camera and docking apparatus
JP2010028935A (ja)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受電制御装置、受電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3187566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スキャナ装置、及び通信方法
TWI509937B (zh) 用於一第一裝置對一第二裝置進行無線充電的方法,充電裝置,及充電系統
KR101725905B1 (ko)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유무선충전기
TWI609271B (zh) 具識別碼更新功能之供電系統
JP2011090396A (ja) Usbデバイス装置
KR101343096B1 (ko) 픽트 브리지를 이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EP3457022B1 (en)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tail cover component and flashlight
CN103070662A (zh) 一种便携式口腔内窥装置
JP2009065749A (ja) 携帯型電子機器、携帯型電子機器の充電方法、及び携帯型電子機器の充電プログラム
CN113328478A (zh) 一种无线充电方法、电子设备及充电系统
WO2023085048A1 (ja) 送電装置、受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11858A (ja) 充電装置
CN205795220U (zh) 背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