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150B1 - Airborne particle separator - Google Patents

Airborne particle sepa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150B1
KR101342150B1 KR1020120001719A KR20120001719A KR101342150B1 KR 101342150 B1 KR101342150 B1 KR 101342150B1 KR 1020120001719 A KR1020120001719 A KR 1020120001719A KR 20120001719 A KR20120001719 A KR 20120001719A KR 101342150 B1 KR101342150 B1 KR 101342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particles
branch
particle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7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0735A (en
Inventor
장재성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150B1/en
Publication of KR2013008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7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1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6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the centrifugal forces being generated solely or partly by mechanical means, e.g. fixed swirl v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yclone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공기 자체의 유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별로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원형 형태의 공기 중의 입자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를 분리하는 공기 중의 입자 분리기에 있어서, 원형의 경로를 가지며, 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하는 유동관; 및 상기 유동관의 원형의 경로 상에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관을 포함하며, 상기 지관을 통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rticle separator in air of a circular shape which is easy to maintain and which can be quickly separated by particle size using the flow energy of the air itself.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icle separator in the air to separate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having a circular path, the air flows through the air flow through the inlet; And a branch pipe formed in a tangential direction on a circular path of the flow tube, wherein particles contained in air are separated through the branch pipe.

Description

공기 중의 입자 분리기{Airborne particle separator}Airborne particle separator

본 발명은 공기중의 입자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의 유동 특성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입자를 그 크기별로 분리하는 공기 중의 입자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icle separator in 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ticle separator in air that separates particles in air by their size using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air.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를 분리하는 기술은 많은 산업분야에 적용되는 기본적인 기술로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필터를 사용하여 공기 중의 입자를 분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필터는 공기가 관통되는 공극을 가지는 물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공극의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입자의 크기가 결정되며, 다수의 필터를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경우 필터의 공극 크기에 의하여 입자들이 분리되는 특징이 있다. 필터의 경우에는 필터의 공극 크기를 조절하여 입자를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다양한 크기의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수의 필터를 사용해야 하며, 필터를 정기적으로 교체 또는 청소해야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분리장치의 부피가 큰 단점이 있다.Separation of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is a basic technology applied to many industries, there are a variety of methods. Representatively, a method of separating particles in air using a filter is mentioned. The filter uses a material having air pores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particles to be separ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ir gap, and when the plurality of filters are disposed continuously, the particles are separated by the pore size of the filter. . Filters have the advantage of separating particles by adjusting the pore size of the filter, but a very large number of filters must be used to separate materials of various sizes, and the filter has to be replaced or cleaned regularly.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volume of the separator is large.

또한, 전기 대전 방식에 의한 분리 장치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 제490858호에는 조대입자와 미세입자가 혼합된 공기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입자를 대전시키고, 다수의 노즐을 이용하여 입자를 분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Moreover, the separation device by an electrical charging system is mentioned. For example, Patent No. 490858 discloses a method of charging particles by applying a high voltage to air in which coarse particles and fine particles are mixed, and separating particles using a plurality of nozzles.

상기의 방식은 입자의 관성과 정전기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으로 그 분리 특성이 우수하나, 전기적 에너지가 공급되어야 하고, 또한 노즐의 구성에 의하여 장치 자체가 매우 복잡한 단점이 있다.The above method is a method of separating particles using inertia and static electricity, and the separation characteristics are excellent, but electrical energy must be supplied, and the device itself is very complicat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nozzle.

또한, 다공성 플레이트를 이용한 분리 장치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770434호는 다층 다단 다공성 플레이트에 의한 입자 분리·포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플레이트를 다층(복층, 3층 등)으로 결합시켜 분진포집 내부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에 유입된 분진을 중력에 의해 하향 이동하여 분진퇴적함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대기 오염 방지시설, 가정·산업용 진공청소기, 공기 청정기 및 분급 장치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oreover, the separation apparatus using a porous plate is mentioned. For example, Korean Patent No. 770434 relates to a particle separation and collection system using a multilayer multi-stage porous plate, and combines the plates in multiple layers (multilayers, three layers, etc.) to form an internal space for dust collection. As the incoming dust is moved downward by gravity to be collected by dust deposition, i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household and industrial vacuum cleaners, air cleaners and classifiers.

그러나 상기 방식 역시 다공성 플레이트에 의하여 부피가 큰 단점이 있으며, 포집 과정도 복잡한 특성을 나타낸다.However, the method also has a disadvantage that the bulky volume by the porous plate, the collection process also exhibits complex characteristics.

또한, 별도의 필터가 필요없이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분리하는 사이클론 방식에 분리 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방식의 경우에는 별도의 필터가 필요 없으며, 공기를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하여 입자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필터가 필요없는 장점은 있으나, 원심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공기의 유속이 일정이상 되어야 하며, 또한 입자의 크기별로 구분하여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분리기를 연속해서 부착해야 되므로 장치의 부피가 크지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a separation device may be cited in the cyclone method of separating by a flow of air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filter. In the case of the above method,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ilter,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not needing a separate filter by separating the particles by centrifugal force by rotating the air. In order to separate by size of particles, a plurality of separators must be attached in series so that the volume of the device is disadvantageous.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분리기들의 경우에는 비교적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한 특성이 있으며, 또한 별도의 필터 또는 다공성 플레이트가 필요하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입자들의 크기별로 분리가 가능하고 비교적 낮은 용량의 공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분리기가 필요한 경우 상기와 같은 종래 방식들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separators are relatively bulky, have complex structures, and require a separate filter or porous plate. If a separator that can be processed quickly is required, it is difficult to apply such conventional method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입자 분리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공기 자체의 유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별로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원형 형태의 공기 중의 입자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particle separator as described above is easy to maintain and provides a particle separator in the air of the circular form that can be quickly separat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using the flow energy of the air itself The purpose is to do tha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를 분리하는 공기 중의 입자 분리기에 있어서, 원형의 경로를 가지며, 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하는 유동관; 및 상기 유동관의 원형의 경로 상에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관을 포함하며, 상기 지관을 통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icle separator in the air to separate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having a circular path, the air flows through the air flow through the inlet; And a branch pipe formed in a tangential direction on a circular path of the flow tube, wherein particles contained in air are separated through the branch pipe.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관은 상기 유동관의 원형의 경로 상에 겹치지 않게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지관들에서 배출되는 입자의 크기는 유동 중인 공기와 만나는 지관 순서의 역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ranch pipes are formed in plural numbers so as not to overlap on the circular path of the flow pipe, and the size of the particles discharged from the branch pipe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verse order of the branch pipe meeting with the flowing air.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관은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단면이 감소하여 공기가 끝단으로 이동할수록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flow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reduced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so that the air flow rate increases as the air moves to the end.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관의 경로를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low path of the flow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 spir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관은 끝단의 마개에 의하여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ranch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ure by the end cap.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중의 입자 분리기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져 유지 보수에 유리한 효과가 있으며, 분기점을 연속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입자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공기의 유동 에너지만으로도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일반적인 분리기뿐만 아니라 MEMS 레벨에서도 분리기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Particle separator in the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has an advantageous effect on maintenance, and when forming the branching point in succession has the effect that can be classified by particle size, the flow of air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pow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eparated by energy alone, and also can be applied as a separator at the MEMS level as well as a general sepa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중의 입자 분리기 중 하나의 지관이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 중 2개의 지관이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 중 다수개의 지관을 갖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one branch pipe of the particle separator in the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wo branch pipes are formed in FIG. 1;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having a plurality of branch pipes in FIG. 1.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중의 입자 분리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중의 공기에 포함된 입자를 그 크기별로 분리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공기 유동관(1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particle separator 100 in the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separates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in the flow by their size and basically includes an air flow tube 10.

상기 유동관(10)을 통하여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하며, 상기 유동관(10)은 원호 또는 원형의 경로를 갖는다.Air containing particles flows through the flow tube 10, and the flow tube 10 has a circular or circular path.

상기 유동관(10)의 단면은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으나, 공기 유동 특성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원형이 바람직하다.The cross section of the flow tube 10 may be implemented in any form, but when considering the air flow characteristics, a circular shape is preferable.

상기 유동관(10)의 일부에는 지관(20)이 형성된다. 상기 지관(20)은 상기 유동관(10)의 원형의 경로에서 분지점(30)에서 분지된다.A branch pipe 20 is formed in a part of the flow pipe 10. The branch pipe 20 is branched at the branch point 30 in a circular path of the flow pipe 10.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유동관(10) 내에 입자가 포함된 공기가 유동하는 경우, 원형의 경로에 의하여 원호 바깥으로 구심력이 작용하여 공기 중에 크기가 비교적 큰 입자는 원호 바깥으로 이동되고, 크기가 작은 입자는 공기 내부의 점성에 의한 저항보다 구심력이 영향이 적어 별도로 이동되지 않는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air containing particles in the flow tube 10 flows, a centripetal force acts out of the arc by a circular path, so that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in the air are moved out of the arc, and have a small size. The particles are less affected by the centripetal force than the resistance due to the viscosity inside the air and do not move separately.

이때, 상기 공기가 상기 지관(20)이 형성된 분지점에서는 크기가 큰 입자는 입자의 이동 관성에 의하여 직선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지관(20)으로 배출되고, 반대로 작은 입자는 공기의 유동에 휩쓸려 유동관(10)으로 이동한다.At this point,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branch pipe 20 because the large particles move in a straight line by the moving inertia of the branch at the branch point where the branch pipe 20 is formed, and on the contrary, the small particles are swept away by the flow of air. Go to 10).

상기와 같이 하나의 분지점(30)을 통하여 공기 내에 포함된 입자 중 가장 큰 입자를 분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argest particle among the particles included in the air may be separated through one branch point 30.

한편 상기 지관(20)은 마개(21)에 의하여 밀폐되고, 입자 분리가 완료된 경우 상기 마개(21)를 분리하여 지관(20)에 내부에 분리된 입자를 배출한다.On the other hand, the branch pipe 20 is sealed by a stopper 21, and when the particle separation is completed, the stopper 21 is separated to discharge the particles separated therein into the branch pipe (20).

필요한 경우 상기 분지점(30)을 다수개 형성하여 개별 분지점(30)에서 각각 크기가 다른 입자를 분리할 수 있다.If necessary, a plurality of branch points 30 may be formed to separate particles having different sizes from each branch point 3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분지점(30)을 갖는 분리기(100)를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separator 100 having two branch points 30 can be constructed.

여기서 유동관(10)은 입구에서 제1분지점(20a)까지를 제1유동관(10a)이라 칭하고, 제1분지점(30a)에서 제2분지점(30b)까지를 제2유동관(10b)라 칭할 경우, 초기 제1유동관(10a)은 상기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고, 제1지관(20a) 역시 동일한 구성이다.Here, the flow pipe 10 is referred to as a first flow pipe (10a) from the inlet to the first branch point (20a), and from the first branch point (30a) to the second branch point (30b) is called a second flow pipe (10b). When referred to, the initial first flow pipe (10a) i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mbodiment of Figure 1, the first branch pipe (20a) is also the same configuration.

즉, 제1유동관(10a)에서 가장 큰 입자가 제1지관(20a)으로 분리된다.That is, the largest particles in the first flow tube 10a are separated into the first branch tube 20a.

상기 제1유동관(10a)을 통과한 공기는 제2유동관(10b)의 입구로 유입되고, 원호로 형성된 제2유동관(10b)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제2분지점(30b)에서 그 다음으로 큰 입자가 제2지관(20b)로 배출되고, 나머지 공기는 제2유동관(10b)으로 계속 이동한다.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tube (10a)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of the second flow tube (10b), and moves along the path of the second flow tube (10b) formed in an arc and then from the second branch point (30b) Large particles are discharged to the second branch tube 20b, and the remaining air continues to move to the second flow tube 10b.

이때, 제2유동관(10b)은 경로 방향으로 직경을 서서히 감소시켜 공기의 이동에 따라 유속이 증가하도록 해야 제2지관(20b)에서는 상기 제1지관(20a)에서 분리되 입자보다 작은 입자가 분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flow tube (10b) should gradually reduce the diameter in the path direction to increase the flow rate as the air moves in the second branch pipe (20b) is separated from the first branch pipe (20a) particles smaller than the particles are separated Can be.

상기와 같이 유동관(10)을 원형의 경로로 형성하고, 다수의 분지점(30)을 형성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기(100)를 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low pipe 10 is formed in a circular path and a plurality of branch points 30 are formed, the separator 100 as illustrated in FIG. 3 may be configured.

여기서 유동관(10)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단면적이 줄어들게 형성하여 공기의 유속을 서서히 증가시키고, 각 분지점(30)에서 상기 유동관(10)의 접선 방향으로 지관(20)을 형성하는 경우 초기 지관(20)에서 가장 큰 입자가 배출되고, 다음 지관(20)에서는 이전 지관(20)에 비하여 크기가 작은 입자가 배출되고, 다음 지관(20)에서 역시 이전보다 작은 입자가 배출되고, 마지막 유동관(10)의 출구에서는 가장 작은 입자가 배출되므로 결국, 크기별로 다른 입자를 지관(20)을 통하여 분리할 수 있다.Here, the flow pipe 10 is formed to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air flow direction to gradually increase the flow rate of air, when forming the branch pipe 20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flow pipe 10 at each branch point (30) the initial branch pipe ( 20, the largest particles are discharged, the next branch pipe 20 discharges smaller particles than the previous branch pipe 20, and the next branch pipe 20 also discharges smaller particles than the previous one, and the last flow pipe 10 Since the smallest particles are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particles different in size can be separated through the branch pipe 20.

또한, 상기 분리기(100)는 공기의 유동만을 이용하여 내부의 입자를 분리하고 평면 구조를 가지므로, 어떠한 크기로 제작되더라도 그 기능이 유지된다. 예를 들면 대용량의 구조물 형태도 가능하고 상기와 같은 평면 구조의 특징에 의하여 MEMS단위의 미세 구조로도 가능하다. 미세구조에서는 바이러스나 세균류 등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바이오 칩 등에 적용 가능한 특성이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or 100 separates the particles inside by using only the flow of air and has a planar structure, so that the function is maintained even when manufactured to any size. For example, a large-capacity structure may be possible, and the microstructure of the MEMS unit may be possible due to the planar structure described above. In the microstructure, since viruses and bacteria can be separated,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applied to a biochip.

또한, 상기 유동관(10)은 원형의 경로를 가지면 되므로,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아주 많은 수의 지관(20)을 형성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입자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지관(20)과 지관(20) 사이의 유동관(10)은 분리될 입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단면적 변화를 다르게 형성한다.In addition, since the flow pipe 10 has a circular path, when forming a spiral, a large number of branch pipes 20 can be formed, so that particles of various sizes can be separated. At this time, the flow pipe 10 between the branch pipe 20 and the branch pipe 20 forms a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les to be separa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리기(100)는 공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일반적인 유체(액체 포함)들에 포함된 입자들도 분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공기는 통상의 공기로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유체 모두를 포함하며, 특히 액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eanwhile, the sepa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air as an example. However, the separator 100 may also separate particles included in general fluids (including liquids). Thus, the air herein is not limited to ordinary air,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ommon fluids and in particular to include liquid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all of the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that can be practi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10: 유동관 10a: 제1유동관
10b: 제2유동관 20: 지관
20a: 제1지관 20b: 제2지관
21: 마개 30: 분지점
30a: 제1분지점 30b: 제2분지점
100: 분리기
10: flow tube 10a: first flow tube
10b: 2nd flow pipe 20: branch pipe
20a: First Branch 20b: Second Branch
21: Spigot 30: Branch Point
30a: first branch point 30b: second branch point
100: separator

Claims (5)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를 분리하는 공기 중의 입자 분리기에 있어서,
원형의 경로를 가지며, 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하는 유동관; 및
상기 유동관의 원형의 경로 상에 접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관을 포함하며, 상기 지관을 통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입자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중의 입자 분리기.
In the particle separator in the air to separate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 flow pipe having a circular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through the inlet; And
And a branch pipe formed in a tangential direction on a circular path of the flow pipe, wherein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re separated through the branch pi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관은 상기 유동관의 원형의 경로 상에 겹치지 않게 다수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중의 입자 분리기.
The particle separator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branch pipes are formed so as not to overlap on a circular path of the flow pip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은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단면이 감소하여 공기가 끝단으로 이동할수록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중의 입자 분리기.
The particle separator of claim 2, wherein the flow pipe has a reduced cross section in the flow direction of air, so that the air flow rate increases as the air moves to the e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의 경로를 나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중의 입자 분리기.
The particle separator of claim 1, wherein the path of the flow tube is formed in a spiral shap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은 끝단의 마개에 의하여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중의 입자 분리기.
The particle separator in ai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branch pipe is closed by a stopper at an end.
KR1020120001719A 2012-01-05 2012-01-05 Airborne particle separator KR1013421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719A KR101342150B1 (en) 2012-01-05 2012-01-05 Airborne particle sepa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719A KR101342150B1 (en) 2012-01-05 2012-01-05 Airborne particle sepa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735A KR20130080735A (en) 2013-07-15
KR101342150B1 true KR101342150B1 (en) 2013-12-13

Family

ID=48992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719A KR101342150B1 (en) 2012-01-05 2012-01-05 Airborne particle sepa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15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579A1 (en) * 2015-10-23 2017-04-2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T-shaped channel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les and separating method using same
CN108379995B (en) * 2018-03-29 2023-09-26 王万华 Gas purification plate and air purifi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0544B1 (en) 1997-05-25 2001-08-07 Vortex Ecological Technologies Ltd. Cyclone separator having a tubular member with slit-like openings surrounding a central outlet pipe
JP2003528704A (en) 2000-03-31 2003-09-30 ダイソン・リミテッド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 fluid stream
US20040079057A1 (en) 2000-06-02 2004-04-29 Sechrist Paul A. Apparatus and process for separating fine solid particulates from a gas stream
US20090014365A1 (en) 2005-09-27 2009-01-15 Genimin Sprl Method and device for concentrating substances in solid particle st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0544B1 (en) 1997-05-25 2001-08-07 Vortex Ecological Technologies Ltd. Cyclone separator having a tubular member with slit-like openings surrounding a central outlet pipe
JP2003528704A (en) 2000-03-31 2003-09-30 ダイソン・リミテッド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 fluid stream
US20040079057A1 (en) 2000-06-02 2004-04-29 Sechrist Paul A. Apparatus and process for separating fine solid particulates from a gas stream
US20090014365A1 (en) 2005-09-27 2009-01-15 Genimin Sprl Method and device for concentrating substances in solid particle st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735A (en) 201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8485B2 (en) Separation device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 fluid flow
WO2014086108A1 (en) Filter tube for high-temperature gas-solid separation and filter with same
CN109758850B (en) Gas-liquid coalescent filter element with preseparation function
JP4861529B1 (en) Secondary vortex separator
EP2943264B1 (en) Gas desander
CN202237687U (en) Single tornadotron and filter element combined detachable separator
KR101342150B1 (en) Airborne particle separator
KR101635002B1 (en) Apparatur for classifying particle
US7022166B2 (en) Electrostatic dust separator
JP20155111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fluid media by removing contaminating multi-component elements
RU2706305C2 (en) Filtering device for dust and other contaminants
CN106178612A (en) The polymerization of fine particle that a kind of is carried by medium fluid the device separated with former medium fluid, system and method
EP4271501A1 (en) Compact disc stack cyclone separator
US20160375389A1 (en) Bulk Deliquidizer/Desander Coalescer
CN203816364U (en) Rotational flow plate filter
CN102872668B (en) Agglomerate cyclone separator
CN203281188U (en) High-efficiency low-resistance dust remover for separating and purifying gas
CN103285701B (en) A kind of efficient low-resistance deduster for gas separaion purification
CN102172459A (en) Rotary cyclone separator
EP1820558A1 (en) A cyclone separator with internal filter
KR20190040954A (en) Filtration system with selective dust collection
CN204220316U (en) A kind of temperature control cyclone separator
KR20180131774A (en) Air cleaner using electric field
CN103143443A (en) Spiral-flow type electric trap having excellent gas uniform distribution effect
KR20180131773A (en) Air cleaner using electric f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