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559B1 - 사용자 그룹 지원을 가지는 플렉서블 네트워크 구조 - Google Patents

사용자 그룹 지원을 가지는 플렉서블 네트워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559B1
KR101341559B1 KR1020070105340A KR20070105340A KR101341559B1 KR 101341559 B1 KR101341559 B1 KR 101341559B1 KR 1020070105340 A KR1020070105340 A KR 1020070105340A KR 20070105340 A KR20070105340 A KR 20070105340A KR 101341559 B1 KR101341559 B1 KR 101341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user terminal
network
user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8016A (ko
Inventor
크리스티나 게스너
알렉산더 팝스트
게랄트 티쳐
카르스텐 모어
Original Assignee
로오데운트쉬바르츠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오데운트쉬바르츠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filed Critical 로오데운트쉬바르츠게엠베하운트콤파니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3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정상 모드와 직접 모드로 동작가능한 기지국(Node B)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제 2 사용자 단말기(UE2)와 통신하기 위해, 기지국(NodeB)의 직접적인 범위 내에 있는, 제 1 사용자 단말기(UE1)에서 발생한 요청을 검출하는 단계, 제 1 사용자 단말기(UE1)와 제 2 사용자 단말기(UE2) 사이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제 2 사용자 단말기(UE2)가 또한 기지국(Node B)의 직접적인 범위 내에 있는지를 조사하는 단계,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직접 모드로 통신 링크를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정상 모드로 통신 링크를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 사용자 단말기, 기지국, 통신 링크

Description

사용자 그룹 지원을 가지는 플렉서블 네트워크 구조{Flexible Network Architecture with User Group Support}
본 발명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그룹 지원을 가지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플렉서블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미래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 대한 진행중인 개념 설계는 모바일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중요한 변화들을 나타낸다. 더욱 효율적인 네트워크을 만들고,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처리율을 제공하고, 네트워크에서의 대기 시간(latency)을 감소하기 위해, 새로운 무선 접근 기술과 네트워크 구조는, 예를 들어 UMTS LTE((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ong Term Evolution))의 관계에서와 같이, 연구되고 있다.
현재, UMTS 네트워크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3개의 상호작용하는 도메인, 즉 코어 네트워크(CN : Core Network), UMTS 지상 무선 접근 네트워크(UTRAN :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및 사용자 단말기(UE : User Equipment)로 구성된다.
코어 네트워크의 주된 기능은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스위칭, 라우팅, 및 송 신하는 것이다. 코어 네트워크는 또한 데이터베이스와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포함한다. 현재, UMTS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는 GPRS를 가진 GSM 네트워크에 기반을 두고 있다.
UTRAN은 사용자 단말기를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 접근(air interface access) 방법을 제공한다. 이것은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RNS)으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RNS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로 제어된다. RNC는 기지국(Node-B)의 세트에 연결되고, 이들 각각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셀에 서비스할 수 있다. RNC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즉,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수락 제어(admission control), 채널 할당(channel allocation), 전력 제어 설정(power control setting), 핸드오버 제어(handover control),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암호화(ciphering), 단편화/재조립(segmentation/reassembly), 방송 신호(broadcast signalling) 및 개루프 전력 제어(open loop power control)이다.
기지국(Node-B)의 기능은 무선 인터페이스 송신/수신, 변조/복조, CDMA 물리 채널 코딩, 마이크로 다이버시티(Micro Diversity), 에러 처리(Error Handling), 및 폐루프 전력제어이다.
UMTS LTE(Long Term Evolution)에서의 진화된 구조(architecture)에 관해서, 도 2는 UMTS LTE에서의 작업(task) 분배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eNode B는 무선 자원 관리를 다룬다: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무선 수락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연결 이동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scheduling)). 이동성 관리 엔터 티(mobility Management entity(MME))가 eNBs로 페이징(paging) 메세지들의 분배를 다루는 반면, 사용자 플레인 엔터티(User Plane Entity(UPE))가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IP 헤더 압축과 암호화, UE 이동성의 지원을 위한 U-플레인의 페이징 원인과 스위칭에 대한 U-플레인 패킷의 종료를 처리한다.
UMTS 표준과 이것의 진화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3GPP의 표준화 문서, 특히, 기술 보고서 3GPP TS 23.002 V7.1.0(2006-03), 3GPP TSTS 25.401 V3.0.0(1999-10) 및 3GPP TR 25.912 V7.0.0(2006-06)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들은 여기서, 온전히 그대로, 참조로서 통합된다.
UMTS 네트워크의 미래 장기 진화의 하나의 방향은 무선 자원의 스케줄링, 사용자 단말기(UEs)의 할당, 측정의 평가, 무선 베어러 제어, 수락 제어, 및 연결 이동성 제어와 같은, 기지국(Node-B)에 대한 부가적인 프로토콜 기능성의 증가 할당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네트워크의 운영비는 여전히 네트워크 내부의, 예를 들어, 기지국과 다른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수송 비용에 의해 매우 많이 결정된다. 따라서 병목 현상(bottleneck)이 기지국 다음에 존재하기 때문에, 소정의 무선 인터페이스 설계로 가능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속도에 도달될 수 없다.
이 점에 있어, GSM, UMTS 및 또한 UMTS의 계획된 확장에 대한 현존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포함하는 하나의 동작 모드만을 현재 예견한다.
현재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는 네트워크 내의 높은 백홀(backhaul)/전송 비용 때문에 운용자에게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운용자가 무선 인터페이스(LTE에서의 계획된 100 Mbps, 4G 시스템에서의 ore)에서 이용가능한 용량을 사용하기를 원한다면, 운용자는 자신의 네트워크 내의 용량에 따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다른 불이익으로, 몇 개의 네트워크 소자를 통해 통신 경로 설정을 하는 것(라우팅(routing))은 사용자에 의해 경험된 증가하는 대기 시간(latency)을 증가시키는 지연(delay)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낮은 대시 시간은 미래 데이터 서비스(예를 들어, 도박(gaming), 인터넷 전화(VoIP))에 대한 가장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 운용자가 더욱 유연한 방법으로 자신의 현존하는 네트워크 구조를 사용하기 위한 수단은 현재 거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네트워크 로드(load)로 인한 대기 시간을 감소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과 상응하는 네트워크 소자를 동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 제 1항에 따른 방법과 독립항 제 10 항에 따른 기지국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 단말기들 사이의 직접적인 통신을 허용하는 "직접 통신" 모드를 도입하는 것이 제안된다.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트래픽 경로를 설정(route)할 필요가 없다.
독립항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직접 통신 모드를 도입하는 경우, 매우 낮은 대기 시간을 얻을 수 있다. 사용자는 직접적으로 운용자가 사용자를 위해 백홀 용량을 제공할 어떤 필요도 없이 풀 무선 인터페이스(full air interface) 용량을 이용할 수 있다. 동시에, 기지국의 존재하는 기능성이, 예를 들어 스케줄링과 무선 접근 제어를 위해, 재사용되며, 따라서 이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에 요구된 몇 가지의 새로운 기능이 있다. 또한, 동작의 정상 모드를 다시 사용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고 로밍(roaming)과 풀 이동성(full mobility) 등을 포함하는, 풀 네트워크를 다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정상 모드(normal Mode)와 직접 모드(direct mode)로 동작가능한, 기지국(Node B)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방법은 제 2 사용자 단말기(UE2)와 통신하기 위해 기지국(Node B)의 직접적인 범위(direct reach) 내에 있는 제 1 사용자 단말기(UE1)에서 발생한 요청을 검출하는 단계(510), 제 1 사용자 단말기(UE1)와 제 2 사용자 단말기(UE2) 사이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520), 제 2 사용자 단말기(UE2)가 또한 기지국(Node B)의 직접적인 범위(direct reach)에 있는지를 조사하는 단계(530),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직접 모드로 통신 링크를 동작하는 단계(550), 상기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정상 모드로 통신 링크를 동작하는 단 계(540)를 포함할 수 있다. 직접 모드로 통신 링크를 동작하는 단계는 코어 네트워크에 억세스하지 않고서 수행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 1 사용자 단말기(UE1)와 제 2 사용자 단말기(UE2) 사이의 연결 링크가 직접 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가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능하게 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운용자(operator)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능하게 하는 단계는 또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능하게 하는 단계는 또한 코어 네트워크에서 로드 상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의 로드 상태는 다음의 하나 또는 몇 가지 매개변수 즉, 무선 인터페이스 로드(air interface load), 인터페이스 로드 내의 전송, 다른 사용자의 이동성 및 무선 링크 품질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사용자 단말기(UE1,UE2)에 의해 수신가능한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기지국(Node B)이 직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지를 나타내는 단계가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사용자 단말기(UE1,UE2)로 기지국(Node B)의 범위 내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존재를 시그널링(signalling)하는 단계가 먼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기지국(Node B)은 제 2 사용자 단말기(UE2)와 통신하기 위해 기지국(Node B)의 직접적인 범위 내에 있는 제 1 사용자 단말기(UE1)에서 발생한 요청을 검출하는 수단(510); 제 1 사용자 단 말기(UE1)과 제 2 사용자 단말기(UE2) 사이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수단(520); 제 2 사용자 장비(UE2)가 또한 기지국(Node B)의 직접적인 범위에 있는지를 조사하는 수단(530);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직접 모드로 통신 링크를 동작하는 수단(550), 및 상기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정상 모드로 통신 링크를 동작하는 수단(5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UE)는 기지국이 직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 수단과 사용자에게 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독립항 제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직접 통신 모드를 도입하는 경우, 매우 낮은 대기 시간을 얻을 수 있다. 사용자는 직접적으로 운용자가 사용자를 위해 백홀 용량을 제공할 어떤 필요도 없이 풀 무선 인터페이스(full air interface) 용량을 이용할 수 있다. 동시에, 기지국의 존재하는 기능성이, 예를 들어 스케줄링과 무선 접근 제어를 위해, 재사용되며, 따라서 이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에 요구된 몇 가지의 새로운 기능이 있다. 또한, 동작의 정상 모드를 다시 사용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고 로밍(roaming)과 풀 이동성(full mobility) 등을 포함하는, 풀 네트워크를 다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법과 네트워크 소자는 2 가지의 다른 모드, 정상 모드와 직접모드로 동작한다.
도 3은 기술의 상태에 따라 정상 모드로 처리하는 호/연결(call/connection)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제 1 사용자 단말기(UE1)에서 발생한 호는 기지국(Node B)과 무선 네트워트 제어(RNC)를 거쳐 코어 네트워크로 경로가 설정되고(route) 그곳에서부터 반대로 동일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RNC)와 기지국(Node B)을 거쳐 제 2 사용자 단말기(UE2)로 경로가 설정된다.
기지국(Node B)은, 호가 동일한 셀 내에 있거나 또는 2개의 논리적으로 분리된 셀 내에 있는 경우, 호가 경로로 설정될 제 2 사용자 단말기(UE2)가 기지국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알고 있거나 또는 자동적으로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사실에 상관없이, 정상 모드에서 기지국은 호를 코어 네트워크로 경로 설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접 모드로, 네트워크 구조의 동작을 원칙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과는 달리, 제 1 사용자 단말기(UE1)에서 발생한 호는 기지국으로부터 제 2 사용자 단말기(UE2)로 즉시 직접적으로 경로를 설정한다.
사용자 단말기(UE1,UE2) 둘다 동일한 기지국(Node B)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 이 모드에 대한 전제 조건이다.
이 모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구체적인 시그널링 요소는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통신과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제안되며, 이는 또한 기지국에 이미 알려진 현존의 식별자(identifier)들에서 얻을 수 있고, 식별자들 중 대부분은 다음의 GSM(Group Special Mobile) 사양으로부터 직접적으로 획득한다:
- 국제 이동 가입자 식별정보(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y :IMSI)
- 임시 이동 가입자 식별정보(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fy :TMSI)
- 패킷 임시 이동 가입자 식별정보(Packet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fy :P-TMSI)
- 임시 로직 링크 식별정보(Temporary Logical Link Identity :TLLI)
- 이동국 ISDN(MSISDN)
- 국제 이동국 장비 식별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IMEI)
- 국제 이동국 장비 식별정보 및 소프트웨어 번호(IMEISV)
대안으로, IP-주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에게 스케줄링 결정을 전달하기 위한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식별자들이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모드가 사용되는지 아닌지, 또는 이것이 이용 가능한지 아닌지를, 사용자 단말기(UE)로 시그널링(signalling)하는 수단이 있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기(UE)가 기지국에 사용자들이 이 모드를 사용하기 원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UE)는 기지국에 사용자들이 이런 방법으로 통신하고 싶은 사용자의 리스트를 나타낼 수 있다. 대안으로, 네트워크는 이 모드가 현재 사용자들에게 이용가능한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UE)에 사용자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직접 모드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을 동작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된다.
단계 510에서, 기지국은 제 2 사용자 단말기(UE2)와 통신하기 위해 제 1 사 용자 단말기(UE1)에서 발생한 요청을 검출하며, 제 1 사용자 단말기(UE1)는 기지국(NODE B)의 범위 내에 있다.
단계 520에서, 기지국은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UE1, UE2) 사이의 통신 링크를 설정한다. 여기서, 코어 네트워크는 상황(context)을 설정할 필요가 있고 직접 모드의 시작은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교섭(negotiation)에서 행해져야 한다. 다시 말해서, 코어 네트워크는 호(call)의 규칙적인 연결 절차(attach procedure)와 설정(establishment) 동안 포함되나, 데이터 전송 이후 에는 포함되지 않을 것이다.
단계 530에서, 기지국은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또한 기지국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이는 코어 네트워크와의 교섭에서 행해질 수 있다. 아직 또다른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는 한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이 기지국의 책임(responsibility) 내에 있는지 여부를 이 사용자에 대한 베어러의 설정으로 기지국에 나타낼 수 있다. 여전히 또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코어 네트워크로 직접 모드의 사용을 제안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기지국의 범위 내라면, 기지국은 단계 550에서 직접모드로 통신 링크를 동작한다. 그렇지 않다면, 기지국은 단계 540에서 정상 모드로 통신 링크를 동작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운용자가, 직접 모드가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들 중 몇 명에 사용되어 져야하는지 여부를, 네크워크에서의 로드(load)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이 결정은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에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정적 또는 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결정을 실행하기 위해, 전송 및 무선 인터페이스에서의 로드 측정, 또는 다른 사용자들의 이동성 및 무선 링크 품질 평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로드를 가져가기 위해, 심각한 트래픽(heavy traffic) 상태에서, 예를 들어, 경기장에서 유익할 수 있다.
이 모드가 사용될 것인지 아닌지는 사용자에게 명백할 수 있다. 사용자들이 어디에서 이것의 이용가능 여부를 알고 싶어하는지 , 사용자들 사이에 공평한 조건으로 양호한 대기시간 상태를 필요로 하는, 예를 들어 게임하는 플레이어의 그룹,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들은 이들이 이 모드를 이용하기를 원하는 네트워크에 직접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이 모드(오직 "외부" 통신)를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아는 사용자들이 있을 수 있으며, 이들 사용자들은 이것을 네트워크에 나타낼 수 있다.
통신의 직접 모드를 지원하는 기지국은 사용자 그룹, 예를 들어 사무실에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직접모드로 서로 통신할 수 있고, 정상 모드로 외부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특징은 특별한 그룹 요금과 결합될 수 있어, 그룹 내의 모든 사용자는 그룹으로서 요금이 청구될 수 있다. 이는 직접 모드로 기지국 상의 트래픽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는 -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상기 특징은 위치/프라젠스 서비스(location/presence service)와 결합될 수 있어, 사용자가 그 밖의 누가 가까이에 있는지 및 그 밖의 누가 이 특징을 사용중 인지/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NODE B)의 블록도이다.
직접 모드에서의 기지국의 동작인, 제 1 사용자 단말기(UE1)로부터 제 2 사용자 단말기(UE2)로 데이터 전송을 다루는데 필요한 모든 기능이 기지국(NODE B)에 위치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전제조건이다.
따라서, 기지국은 제 2 사용자 단말기(UE2)와 통신하기 위해 제 1 사용자 단말기(UE1)에서 발생한 요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610)을 갖추고 있으며, 제 1 사용자 단말기(UE1)는 기지국(NodeB)의 직접적인 범위 내에 있다.
기지국은 또한 제 1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UE1, UE2) 사이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620)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제 2 사용자 단말기(UE2)가 기지국(NodeB)의 직접적인 범위 내에 있는 지를 조사하기 위한 수단(630) 뿐 아니라 범위 내에 있다면, 직접모드로 통신 링크를 동작하기 위한 수단(650)을 포함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정상모드로 통신 링크를 동작하기 위한 수단(6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직접 모드의 설정을 코어 네트워크와 교섭하기 위한 수단, 직접 모드에 있는 사용자와 이들의 상황(context)에 대한 리스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 특별한 식별자들에 기초한 이들 사용자 사이의 사용자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코어 네트워크와의 교섭에 기초한 직접 모드와 정상 모드 사이의 사용자를 스위칭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지국은 프로토콜 요소를 시그널링 하는 것을, 예를 들어 직접모드가 하나 의 셀 안에서 이용가능 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이점 및 그 밖의 이점, 특징, 기술 사상은 다음의 도면과 관련하여, 앞에서 상술된 설명을 참작하는 경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UMTS 네트워크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UMTS LTE에서의 태스크 분매의 개략도이고;
도 3은 정상 모드로 처리하는 호/연결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4는 직접 모드로 처리하는 호/연결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Claims (11)

  1.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정상 모드와 직접 모드로 동작가능한 기지국(Node B)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 제 2 사용자 단말기(UE2)와 통신하기 위해, 기지국(Node B)의 직접적인 범위 내에 있는 제 1 사용자 단말기(UE1)에서 발생한 요청을 검출하는 단계(510),
    - 제 1 사용자 단말기(UE1)와 기지국 사이의 통신 링크 및 기지국과 제 2 사용자 단말기(UE2) 사이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520),
    - 제 2 사용자 단말기(UE2)가 또한 기지국(Node B)의 직접적인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530),
    -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에 엑세스하지 않고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발생한 호(call)를 기지국에서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직접 라우팅하는, 직접 모드로 통신 링크를 동작하는 단계(550), 및
    - 상기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기(UE1)로부터 발생한 호를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로 그리고 기지국을 통해 다시 제 2 사용자 단말기(UE2)로 라우팅하는, 정상 모드로 통신 링크를 동작하는 단계(540)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UE1)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UE2) 사이의 통신 링크가 직접 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가 먼저 수행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하게 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운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하게 하는 단계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수행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능하게 하는 단계는 코어 네트워크에서의 로드 상태에 따라 수행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로드 상태는 매개변수, 즉 무선 인터페이스 로드, 전송 인터페이스 로드, 다른 사용자의 이동성, 및 무선 링크 품질 중 하나 또는 몇 가지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UE1, UE2)에 의해 수신가능한 신호를 제공하고 기지국(Node B)이 직접 모드로 동작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단계가 먼저 수행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UE1,UE2)로 기지국(Node B)의 범위 내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존재를 시그널링하는 단계가 먼저 수행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9. - 제 2 사용자 단말기(UE2)와 통신하기 위해, 기지국(Node B)의 직접적인 범위 내에 있는 제 1 사용자 단말기(UE1)에서 발생한 요청을 검출하는 수단(610),
    - 제 1 사용자 단말기(UE1)와 기지국 사이의 통신 링크 및 기지국과 제 2 사용자 단말기(UE2) 사이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수단(620),
    - 제 2 사용자 장비(UE2)가 또한 기지국(Node B)의 직접적인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수단(630),
    -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에 엑세스하지 않고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발생한 호를 기지국에서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직접 라우팅하는, 직접 모드로 통신 링크를 동작하는 수단(650), 및
    - 상기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기(UE1)로부터 발생한 호를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로 그리고 기지국을 통해 다시 제 2 사용자 단말기(UE2)로 라우팅하는, 정상 모드로 통신 링크를 동작하는 수단(640)을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용 기지국(Node B).
  10. - 기지국이 직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 수단, 및
    - 사용자에게 그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직접 모드를 이용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기지국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UE).
  11. 삭제
KR1020070105340A 2006-10-27 2007-10-19 사용자 그룹 지원을 가지는 플렉서블 네트워크 구조 KR101341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022503A EP1921873B1 (en) 2006-10-27 2006-10-27 Method for direct communication via a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therefor
EP06022503.4 2006-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016A KR20080038016A (ko) 2008-05-02
KR101341559B1 true KR101341559B1 (ko) 2013-12-16

Family

ID=3790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340A KR101341559B1 (ko) 2006-10-27 2007-10-19 사용자 그룹 지원을 가지는 플렉서블 네트워크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17151B2 (ko)
EP (1) EP1921873B1 (ko)
JP (1) JP5383025B2 (ko)
KR (1) KR101341559B1 (ko)
CN (1) CN1011708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4913A1 (de) 2007-05-29 2008-12-11 Vodafone Holding Gmbh Verfahren zur Verringerung der Latenzzeit bei der Datenübertragung innerhalb eines Kommunikationsnetzes, Verfahren zur Kommunikation zwischen Nutzer-Endeinrichtungen in einem zellularen Kommunikationsnetz und zellulares Kommunikationsnetz
JP5112820B2 (ja) * 2007-11-02 2013-01-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9351340B2 (en) 2009-04-08 2016-05-24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mode selec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CN101835098B (zh) * 2010-03-26 2012-09-05 清华大学 一种面向密集用户区域的无线网络重构式通信方法
WO2011147462A1 (en) * 2010-05-28 2011-12-01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PL2493259T3 (pl) * 2011-02-21 2014-03-31 Ntt Docomo Inc Sposób transmisji danych pomiędzy terminalami systemu komunikacji bezprzewodowej, węzeł i system komunikacji bezprzewodowej
US20140122607A1 (en) * 2011-06-17 2014-05-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WO2014031689A1 (en) * 2012-08-24 2014-02-27 Oceus Networks Inc. Mobile cellular networks
WO2014031597A1 (en) 2012-08-24 2014-02-27 Oceus Networks Inc. Mobile cellular networks
GB2506610B (en) 2012-10-02 2015-07-01 Broadcom Corp Direct communication among devices
GB2506611B (en) * 2012-10-02 2015-07-22 Broadcom Corp Direct communication among devices
US9538453B1 (en) * 2013-03-08 2017-01-03 Sprint Spectrum L.P. Determining a serving system for a mobile station in an area served by multiple serving systems
US9826427B2 (en) * 2013-04-23 2017-11-21 Avgar NOKE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operational decision making in multi types/layers wireless radio access networks based on progressive data flow detection
WO2014179235A1 (en) 2013-04-29 2014-11-06 Oceus Networks Inc. Mobile cellular network backhaul
US9686819B2 (en) * 2013-09-24 2017-06-20 Xiaomi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router access control
US10873891B2 (en) 2016-07-06 2020-12-22 Oceus Networks, Llc Secure network rollover
US9924427B2 (en) 2016-07-07 2018-03-20 Oceus Networks Inc. Network backhaul access
US9686238B1 (en) 2016-07-07 2017-06-20 Oceus Networks Inc. Secure network enrollment
US10172078B2 (en) 2017-03-31 2019-01-01 Oceus Networks Inc. Targeted user equipment-base station communication link
US11246031B2 (en) 2018-08-15 2022-02-08 Oceus Networks, Llc Disguising UE communications in a cellular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1766A1 (en) * 2002-12-23 2004-06-24 Maya Benso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irect communication for mobile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6661A (en) * 1994-03-10 1997-09-09 Motorola, Inc. Method for automatically bypassing the use of a communication system infrastructure
JPH0837685A (ja) * 1994-07-22 1996-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電話装置
EP0849891A3 (de) 1996-12-20 2000-01-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ordnung zum Aufbau einer Nutzkanalverbindung in einem Mobilfunknetz
JP2000333236A (ja) * 1999-05-21 2000-11-30 Nec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体端末の位置情報管理方法
US6580704B1 (en) * 1999-08-26 2003-06-17 Nokia Corporation Direct mod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wo mobile terminals in access point controlled wireless LAN systems
US6744750B1 (en) 1999-09-28 2004-06-01 Siemens Information & Communication Mobile, Llc Replicating and recombinant networking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networks
GB2375460B (en) * 2001-05-09 2004-09-29 Motorola Inc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and equipment for use therein
EP1304893A1 (de) * 2001-10-22 2003-04-23 Alcatel Verfahren zum Betrieb eines Mobilfunkendgerätes, Mobilfunksystem, Funkfeststation, Rechner und Mobilfunkendgerät dafür
JP3923853B2 (ja) * 2002-05-31 2007-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基地局及び中継方法
CN1527621A (zh) * 2003-03-07 2004-09-0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网络中建立点到点对等通信的方法和装置
JP2006211614A (ja) * 2005-01-31 2006-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1766A1 (en) * 2002-12-23 2004-06-24 Maya Benso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irect communication for mobile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1873B1 (en) 2012-09-26
EP1921873A1 (en) 2008-05-14
JP2008113437A (ja) 2008-05-15
KR20080038016A (ko) 2008-05-02
US7917151B2 (en) 2011-03-29
JP5383025B2 (ja) 2014-01-08
CN101170819A (zh) 2008-04-30
US20080108378A1 (en)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559B1 (ko) 사용자 그룹 지원을 가지는 플렉서블 네트워크 구조
EP1834499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access control in shared networks
EP1219122B1 (en) Domain selecting system and method
US9185545B2 (en) Local breakout session establishment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471957B2 (en) Paging method and system for a radio access network
FI105137B (fi) Parannettu ryhmälähetys pakettiverkossa
US20110235605A1 (en)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of henb in evolved packet system
US8837395B2 (en) Method and entity for conveying data units
US200700814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ing IP flows for efficient quality of service realization
EP2187674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ore network,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program
US7457275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Iu-Flex based MBMS
KR20090045200A (ko) 네트워크 선택
JP2007520901A (ja) パケットデータ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データ伝送の最適化
EP2175594B1 (en) Extension connection method and route selection device
US20070249357A1 (en)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Two Telephone Services
EP1763265A2 (en) Improved OpenRAN architecture for Radio Network Controlle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Radio Base Station device
KR100414918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품질 우선순위에 따른 호처리시스템 및 방법
EP3110076A1 (en) Multi-path telecommunications networks
CN101651592A (zh) 家用基站网关消息处理的方法
CN113873454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16167592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n a mobile commun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