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502B1 - 그리드 방식 기반 제어 정보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그리드 방식 기반 제어 정보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502B1
KR101341502B1 KR1020070051989A KR20070051989A KR101341502B1 KR 101341502 B1 KR101341502 B1 KR 101341502B1 KR 1020070051989 A KR1020070051989 A KR 1020070051989A KR 20070051989 A KR20070051989 A KR 20070051989A KR 101341502 B1 KR101341502 B1 KR 101341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information
type control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4755A (ko
Inventor
이대원
김봉회
윤영우
김기준
노동욱
윤석현
안준기
김학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1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502B1/ko
Publication of KR20080104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4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to the transmi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그리드 방식 기반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이 개시된다. 즉, 제 1 주기마다 채널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중심으로 주파수 방향 및 채널 품질 값 방향에서 형성되는 그리드(grid)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선택적으로 송신함으로써 적은 제어 정보를 통해 효율적으로 채널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채널품질정보, 그리드

Description

그리드 방식 기반 제어 정보 송신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Based On Grid Scheme}
도 1 내지 도 3은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Best-M 방식에 따라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Best-M 방식에서 제 1 타입 제어 정보와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라 그리드 방식 기반으로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의 설명에서는 그리드 방식 기반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먼저, 일반적인 채널 품질 정보(CQI)를 보고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다중반송파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링크 적응(Link Adaptation)을 사용한다. 즉, 링크의 전송 가능한 용량을 측정하여, 링크에서 전송 가능한 최대한의 정보를 보내는 것이다. 이러한 링크 적응을 하기 위해서는 링크의 채널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가 필요하다. 이러한 채널품질정보는 링크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해주는 쪽에서 필요하다. 그러므로, 기지국과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이하 "UE")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기지국이 모든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며 스케줄링한다면, 하향링크에 해당하는 채널품질정보는 UE가 상향링크로 피드백해야한다.
한편, 다중반송파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정보의 정보량이 커짐에 따라, 하향링크의 전송효율은 극대화되지만, 상향링크로 전송되어야 하는 정보량이 커지게 되어 상향링크의 효율은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채널품질정보를 최대한 작게 보내 상향링크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면서도, 하향링크의 전송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채널품질정보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하향링크의 채널 상황을 효율적으로 나타내어 하향링크 채널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은, 제 1 주기마다 채널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중심으로 주파수 방향 및 채널 품질 값 방향에서 형성되는 그리드(grid)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그리드 인덱스 정보는 상기 제 1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과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에서의 채널 품질 정보 값의 변화 및 보고 대상 주파수 대역 정보 값의 변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은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 상기 제 1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과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에서의 채널 품질 정보 값의 변화 및 보고 대상 주파수 대역 정보 값의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에서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드 인덱스의 수는 2의 거듭제곱의 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타입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그리드를 제외한 상기 그리드 인덱스의 수가 2의 거듭제곱의 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드 인덱스의 수가 2의 거듭제곱의 수가 아닌 경우, 2의 거듭제곱의 수들 중 상기 그리드 인덱스의 수 이상의 최소의 수와 상기 그리드 인덱스의 수와의 차이에 해당하는 수의 추가적인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2 이상의 송신 시점에서의 그리드 인덱스 정보들의 조합을 새로이 인덱싱하여, 상기 새로이 인덱싱된 인덱스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그리드의 크기는 채널의 변화 속도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타입 제어 정보는 제 1 계층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는 제 2 계층 이상의 상위 계층 제어 신호를 통해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작은 제 2 주기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가 상기 제 1 주기 시간 사이에,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또는 사용자 기기의 판정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송신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은 제 1 주기마다 채널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주기 시간 사이에,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또는 사용자 기기의 판정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상기 제 1 타입 제어 정보의 변화 값을 포함하는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 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한편,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품질정보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하향링크의 채널 상황을 효율적으로 나타내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하향링크 채널품질정보를 상향링크로 피드백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서술하겠지만, 반대로 상향링크에 대한 채널품질정보를 하향링크로 피드백하는 방식 역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피드백되는 채널품질정보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피드백 정보를 제 1 타입 제어 정보와 제 2 타입 제어 정보로 나누어 송신하는 것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타입 제어 정보는 기지국이 그 정보만 수신하는 경우에도 UE의 채널품질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정보로서 일반적인 채널품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2 타입 제어 정보는 상술한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보충하는 정보로서, 그 자체만으로 기지국에서 UE의 채널품질정보를 추정할 수 없으나, 제 1 타입 제어 정보와 함께 사용하여 UE의 채널품질정보를 추정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타입 제어 정보는 일반적인 채널품질정보를 나타내며, 제 2 타입 제어 정보는 이를 송신하는 시점에서 제 1 타입 제어 정보에 포함된 채널품질 정보와의 차이값(Differential Value) 정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2 타입 제어 정보는 제 1 타입 제어 정보에 비해 적은 수의 비트수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적은 피드백 정보를 통해서도 하향링크 채널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게 한다.
상술한 제 1 타입 제어 정보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기지국으로 피드백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상위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L1/L2 시그널링을 통하여 피드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 1 타입 제어 정보가 피드백되는 주기는 기지국이 결정하여 UE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또는 미리 사업자가 결정하여 특정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상술한 제 1 타입 제어 정보가 특정 주기를 가지고 피드백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제 1 타입 제어 정보는 도 1과 달리 여러 개의 주기를 가지고 피드백될 수 있으며, 도 2는 이와 같이 복수의 주기를 가지고 피드백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아울러, 제 1 타입 제어 정보는 UE의 요청 또는 기지국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상황에 따라 추가적으로 채널품질 정보를 비주기적인 피드백될 수 있으며, 도 3은 이와 같은 채널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비주기적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추가적으로 송신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타입 제어 정보는 상술한 제 1 타입 제어 정보가 피드백된 후, 채널품질정보에 대한 보완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 2 타 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은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타입 제어 정보 역시 제 1 타입 제어 정보와 같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기지국으로 피드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주기는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주기에 비해 짧은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타입 제어 정보의 송신 주기 사이에 복수의 제 2 타입 제어 정보가 송신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타입 제어 정보는 복수의 주기를 가지고 제 1 타입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주기 사이에 송신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타입 제어 정보의 송신 주기 사이에 UE의 필요에 따라 또는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E가 갑작스러운 채널 변화를 겪거나, 특정한 사정이 발생한 경우, 보다 적은 정보량을 가지는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해당 시점에서 주기에 관계없이 피드백함으로써 채널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 1 타입 제어 정보 및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통해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채널 품질 정보를 송신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품질정보를 전체 주파수 대역에 걸쳐 채널품질 단위 주파수마다 측정하는 방법이다. 다 만, 이와 같은 방식에 따를 경우 채널품질 정보를 보고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 양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향링크로 전송되는 채널품질정보를 줄이는 한가지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Best-M 방법"을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Best-M 방법은 UE에서 측정된 전체 채널품질정보들 중 가장 좋은 M 개의 채널품질정보 값과 전체 대역폭 중 상기 M개의 채널품질정보 값이 위치하는 대역의 위치 값을 피드백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 1 타입 제어 정보와 제 2 타입 제어 정보 중 특히 제 1 타입 제어 정보에 따른 채널품질 정보를 Best-M 형태로 송신할 것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제 1 타입 제어 정보에는 (1) 가장 좋은 M개의 대역에서의 채널품질정보, (2) (1)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위치 정보, 및 (3) 가장 좋은 M개 이외의 대역에 대한 채널품질정보의 평균값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 타입 제어 정보에는 상술한 세 가지 정보((1), (2), (3))이외에도 다른 변형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면에 세 가지 중 일부분의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은 Best-M 방식에 따라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는 상술한 Best-M 방식에서 M이 3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3개의 가장 높은 채널품질정보와 그 주파수 대역의 위치 정보(즉, 1, 2, 3으로 지칭된 대역 1, 3, 6의 위치 정보와 각 대역에서의 채널품질 정보), 및 나머지 주파수 대역의 채널품질 정보(즉, 4로 지칭된 대역들의 채널품질 정보) 의 평균값을 피드백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는 제 1 타입 제어 정보의 일부 또는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보완하는 정보로서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는 Best-M 방식에서 제 1 타입 제어 정보와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시점 0(t=0)에서 전체 주파수 대역 중 채널품질값이 가장 높은 3개의 대역(즉, 대역 1, 3, 6)의 위치 정보 및 채널 품질 정보 등을 제 1 타입 제어 정보로서 송신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9는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한 시점(즉, t=0)과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시점(즉, t=1) 사이에 발생한 채널품질 정보의 변화를 계산하여 이를 적절한 형태의 제 2 타입 제어 정보로 표현하여 송신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도 8에서 보고된 대역 1, 3, 6에서의 채널품질변화량을 피드백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변화량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품질값의 변화량뿐만 아니라 가장 우수한 채널 대역의 위치 정보의 변화량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품질정보 값과 대역위치 정보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이들 변화 값 정보를 각각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타입 제어 정보 송신시 선택된 채널의 품질은 일정 시간이 흐르게 되면 증가, 감소, 또는 그대로 유지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이를 정해진 비트로 표현할 수 있다. 즉, 변화 량을 1 비트로 표현할 경우 경우는 증가 폭과 감소 폭을 사전에 지정하여 증가/감소를 알려줄 수 있으며, 증감이 없을 경우 변화량을 송신해야할 타이밍에서 아무것도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채널품질정보를 유지하라는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채널특성에 따라서 증감폭(step size)을 최적으로 설계하여 운용할 수 있다. 변화량은 1 비트 이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전체 증감범위(range)와 증감폭을 시스템에 맞게 설정하여 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화량에 포함되는 여러 요소들은 제 각각 정보량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정확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채널품질 정보 값 및 대역위치 정보값의 변화를 적은 정보량을 가지면서도 효율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상술한 실시형태와 달리 채널품질값 방향과 주파수 방향으로의 가상의 그리드(grid)를 설정하고, 이 그리드 인덱스 정보를 제 2 타입 제어 정보로서 피드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라 그리드 방식 기반으로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Best-M 방식에 있어서 가장 좋은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대역의 위치 변화는 없이 채널품질정보의 값만 변화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은 가장 좋은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대역 및 채널품질정보 값의 변화를 모두 나타내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0에서 t=0에서 제 1 타입 제어 정보가 송신되며, 이때 보고된 주파수 대역 및 채널품질 정보값은 영역 3에 대응한다. 그 후, 제 2 타입 제어 정보 송 신 시점(t=1)에서 가장 좋은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대역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았으나, 채널품질값이 변화하여 이에 대응하는 영역이 그리드 상에서 영역 2에 대응하는 경우, 영역 2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제 2 타입 제어 정보로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 역시 t=0에서 제 1 타입 제어 정보가 송신되며, 이때 보고된 주파수 대역 및 채널품질 정보 값은 영역 5에 대응한다. 그 후, 제 2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t=1)에서 가장 좋은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대역 위치 및 채널품질정보 값이 변경되어 그리드 상에서 영역 3에 대응하는 경우, 영역 3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제 2 타입 제어 정보로서 송신할 수 있다.
도 11은 기준위치(영역 5)를 중심으로 총 9종류의 변화량(기준포함)을 표현할 수 있도록 그리드를 형성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그리드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의 이동속도가 빠른 경우, 이에 따라 채널품질의 변화가 클 수 있으므로, 그리드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그리드의 인덱스의 수(바람직하게는, 기준 영역을 제외한 그리드 인덱스의 수)는 2의 거듭제곱 수에 해당하는 것이 이를 비트 단위로 표현하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예에서와 같이 제 1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에서 계산된 채널품질 정보 값 및 위치에 따른 영역의 위치(도 11의 경우, 영역 5)를 기준으로 일정 시간이 지난 시점, 즉 제 2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에서 채널품질정보 및 위치 정보에 변화가 생길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1 내지 영역 9(영역 5의 경우 변화가 없는 경우)의 정보를 변화를 나 타내는 제 2 타입 제어 정보로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매 시점에서 송신되는 제 2 타입 제어 정보로서의 비트값(예를 들어, 000 내지 111)이 가장 최근에 피드백된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즉, 영역 5로 하여) 상대적인 변화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의 예에서와 같이 영역 5를 중심으로 9 개의 그리드가 형성되는 경우, 제 2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에서 송신하는 각 그리드 인덱스 정보가 나타내는 변화량 정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각 그리드 영역을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는 괄호 안의 비트 정보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영역 1(000): 채널품질정보 측정 대역 위치 값 1 스텝 감소, 채널품질정보 값 1 스텝 증가.
영역 2(001): 채널품질정보 측정 대역 위치 값 유지, 채널품질정보 값 1 스텝 증가.
영역 3(010): 채널품질정보 측정 대역 위치 값 1 스텝 증가, 채널품질정보 값 1 스텝 증가.
영역 4(011): 채널품질정보 측정 대역 위치 값 1 스텝 감소, 채널품질정보 값 유지.
영역 5(미송신): 채널품질정보 측정 대역 위치 값 유지, 채널품질정보 값 유지.
영역 6(100): 채널품질정보 측정 대역 위치 값 1 스텝 증가, 채널품질정보 값 유지.
영역 7(101): 채널품질정보 측정 대역 위치 값 1 스텝 감소, 채널품질정보 값 1 스텝 감소.
영역 8(110): 채널품질정보 측정 대역 위치 값 유지, 채널품질정보 값 1 스텝 감소.
영역 9(111): 채널품질정보 측정 대역 위치 값 1 스텝 증가, 채널품질정보 값 1 스텝 감소.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3비트의 제 2 타입 제어 정보로서 8개의 각 상태 정보를 표현할 수 있으며(즉, 영역 5를 제외한 8 종류), 영역 5는 현재 위치와 채널품질정보를 유지시키는 상태 정보이므로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해야하는 타이밍(미리 결정된 소정 타이밍)에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해당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달리 채널품질정보 측정 대역 위치 값 및 채널품질정보 값이 변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여 소정 비트의 인덱스 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그리드 인덱스의 수가 2의 거듭제곱에 해당하지 않으며, 2의 거듭 제곱에 해당하는 수와 채널 품질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그리드의 수의 차이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 정보 이외의 다른 제어 정보(예를 들어, ACK/NACK 등)를 송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기지국과 UE사이에 필요에 의해 특정 그리드 영역을 미리 사용하지 않기로 설정할 수 있으며, 도 12의 X로 표시된 그리드 영역은 기지국과 UE사이에 사용하지 않기로 설정한 영역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특정 그리드 영역을 제외하고 남은 5개의 그리드 영역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3비트의 제어 정보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3비트의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는 8가지 경우 중 채널품질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5가지 경우를 제외한 3가지 경우는 ACK/NACK 등 임의의 다른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데 이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예를 들어 도 12에 X로 표시된 그리드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은 ACK을 나타내고, 다른 한 영역은 NACK을 나타내는 방식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매 송신 시점에서 별도로 설정된 그리드 인덱스를 이용하는 나타내는 방식이 아닌 2 이상의 송신 시점에서 송신될 그리드 인덱스 정보의 조합을 통해 송신될 제어 정보의 비트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품질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1 내지 5의 5개의 그리드 인덱스가 설정되는 경우,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각 타이밍에서 3비트의 제어 정보를 송신하며, 2회 송신의 경우 총 6비트의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5가지 경우에 따라 2회의 타이밍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그리드 인덱스의 조합을 새로이 인덱싱하여, 이를 총 5비트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방식을 제안한다. 즉, 각 타이밍에서의 인덱스 1 내지 5에 대해, 1-1, 1-2, 1-3, 1-4, 1-5, 2-1, 2-2, ..., 5-5와 같이 총 25개의 조합을 5비트를 이용하여 새로이 인덱싱하고, 이를 통해 송신할 정보의 양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역시 5비트를 통해 나타낼 수 있는 32가지 경우 중 채널품질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25가지 경우를 제외한 경우를 채널품질 정보 이외의 임의의 다른 제어 정보 송신을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에서는 수신되는 채널품질정보와 변화량정보를 바탕으로 전체 채널품질정보를 재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제 1 타입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채널품질정보는 물리계층(L1) 제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송신될 수도, 상위계층(예를 들어,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경우 중 상기 제 1 타입 제어 정보가 L1 제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송신되는 경우에는 물리계층에서 제어 정보 송신에 두 가지 형태의 제어 시그널링 포맷(format)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비교적 정보량이 큰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L1/L2 제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송신하고, 비교적 정보량이 작은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L1 제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송신할 것을 제안한다. 이와 같이 송신할 경우, 물리계층에서 제 1 타입과 제 2 타입의 2가지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포맷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을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내 는 순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계 S1201에서 독립적으로 채널품질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송신되는 제어정보는 바람직하게는 Best-M 방식에 따른 채널품질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장 좋은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M개의 대역 위치 정보 및 해당 대역에서의 채널 품질 정보값이 송신될 수 있다.
그 후, 단계 S1202에서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채널품질정보값 및 해당 채널품질정보가 측정된 대역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그리드 인덱스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드의 크기는 UE의 이동성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해당 그리드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과 UE사이에 미리 결정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어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각 UE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된 그리드 정보에 따라, 단계 S1203에서는 해당 채널품질 정보값 및 이를 측정하는 대역의 위치값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204를 통해 해당 변화 정보를 나타내는 그리드 인덱스 정보를 제 2 타입 제어 정보로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203의 판정 결과 채널품질정보값 및 이를 측정한 대역 위치 정보에 변화가 없는 경우, 단계 S1205로 진행하여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로 미리 결정된 시점에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그 후, 단계 S1202로 진행하여 이후의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새로운 그리드 인덱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 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형태들에 대한 설명은 3GPP LTE 방식 시스템의 경우뿐만 아니라 IEEE 802 계열 시스템 등 UE가 채널품질정보를 피드백하는 임의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채널품질정보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하향링크의 채널 상황을 효율적으로 나타내어 하향링크 채널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채널품질정보 값뿐만 아니라 해당 채널품질정보 값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위치 정보까지 정확하게 전달하여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제 1 주기마다 채널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중심으로 주파수 방향 및 채널 품질 값 방향에서 그리드(grid) 인덱스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리드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인덱스 정보는 상기 제 1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과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에서의 채널 품질 정보 값의 변화 및 보고 대상 주파수 대역 정보 값의 변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은 미리 정해져 있으며,
    상기 제 1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과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에서의 채널 품질 정보 값의 변화 및 보고 대상 주파수 대역 정보 값의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 송신 시점에서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인덱스의 수는 2의 거듭제곱의 수로 설정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그리드를 제외한 상기 그리드 인덱스의 수는 2의 거듭제곱의 수로 설정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인덱스의 수가 2의 거듭제곱의 수가 아닌 경우,
    2의 거듭제곱의 수들 중 상기 그리드 인덱스의 수 이상의 최소의 수와 상기 그리드 인덱스의 수와의 차이에 해당하는 수의 추가적인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2 이상의 송신 시점에서의 그리드 인덱스 정보들의 조합을 새로이 인덱싱하여, 상기 새로이 인덱싱된 인덱스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의 크기는 채널의 변화 속도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 제어 정보는 제 1 계층 제어 신호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는 제 2 계층 이상의 상위 계층 제어 신호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작은 제 2 주기로 송신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 제어 정보는 상기 제 1 주기 시간 사이에,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또는 사용자 기기의 판정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2. 제 1 주기마다 채널 품질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주기 시간 사이에,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또는 사용자 기기의 판 정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상기 제 1 타입 제어 정보의 변화 값을 포함하는 제 2 타입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송신 방법.
KR1020070051989A 2007-05-29 2007-05-29 그리드 방식 기반 제어 정보 송신 방법 KR101341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989A KR101341502B1 (ko) 2007-05-29 2007-05-29 그리드 방식 기반 제어 정보 송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989A KR101341502B1 (ko) 2007-05-29 2007-05-29 그리드 방식 기반 제어 정보 송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755A KR20080104755A (ko) 2008-12-03
KR101341502B1 true KR101341502B1 (ko) 2013-12-16

Family

ID=4036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989A KR101341502B1 (ko) 2007-05-29 2007-05-29 그리드 방식 기반 제어 정보 송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5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6536A1 (en) * 2004-03-12 2005-10-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d signal quality estimation
WO2006096886A1 (en) 2005-03-09 2006-09-14 Qualcomm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signals in a multicarrier system
WO2006096870A1 (en) 2005-03-09 2006-09-14 Qualcomm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ntenna control in a wireless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6536A1 (en) * 2004-03-12 2005-10-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d signal quality estimation
WO2006096886A1 (en) 2005-03-09 2006-09-14 Qualcomm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signals in a multicarrier system
WO2006096870A1 (en) 2005-03-09 2006-09-14 Qualcomm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ntenna control in a wireless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755A (ko)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02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JP532017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端末
KR1012531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보고 방법 및 상기 채널 품질 정보에 따라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US8964671B2 (en) User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JP4869997B2 (ja) チャネル品質情報報告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EP3713116B1 (en) Apparatuses and methods to calculate a channel quality indicator
EP3422619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plink rank adaptation
KR101341517B1 (ko) 인접 대역 선택 방식에 기초한 채널 품질 지시자 생성 및전송 방법
US20110294439A1 (en)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998933B1 (ko) 업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CN101772050B (zh) 长期演进多载波系统的载波选择/信道信息测量和反馈系统、方法
CN110352572A (zh) 无线通信网络中对应于目标差错率的信道质量指示符的报告
US95721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adaptive link in communication system
CN111479323B (zh) 一种物理上行控制信道的传输资源确定方法及设备
CN108352941A (zh) 一种传输上行控制信息uci的方法及装置
KR10223850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0519846B (zh) 免调度上行传输的用户设备与其方法
CN102916766A (zh) 反馈、获取信道状态信息的方法和装置
JP6234714B2 (ja) 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およびセルラーシステム
KR101341502B1 (ko) 그리드 방식 기반 제어 정보 송신 방법
EP362965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CN109819455A (zh) 一种上行选阶方法、用户终端和基站
CN101610606B (zh) 一种tdd系统的天线模式切换方法、系统及装置
CN112636872B (zh) 用户设备以及发送周期csi的方法及装置
KR20090054878A (ko) 부분 대역 기반 주기적 채널 품질 정보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