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378B1 -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378B1
KR101341378B1 KR1020110032965A KR20110032965A KR101341378B1 KR 101341378 B1 KR101341378 B1 KR 101341378B1 KR 1020110032965 A KR1020110032965 A KR 1020110032965A KR 20110032965 A KR20110032965 A KR 20110032965A KR 101341378 B1 KR101341378 B1 KR 101341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conditioner
unit
sensor
humidit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5038A (ko
Inventor
김대인
Original Assignee
(주) 대흥제과제빵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흥제과제빵기계 filed Critical (주) 대흥제과제빵기계
Priority to KR1020110032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378B1/ko
Publication of KR20120115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3/00Provers, i.e. apparatus permitting dough to ris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우 컨디셔너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여러 지역에 분포된 도우 컨디셔너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며 저장하는 서버부;와 상기 서버부를 제어하며 상기 도우 컨디셔너를 원격에서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관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서버부는 도우 컨디셔너 사용자의 접속을 통해 상기 도우 컨디셔너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서버부 또는 관리부는 이상이 발생된 상기 도우 컨디셔너에 대해 해당 도우 컨디셔너 사용자와 해당 지역 A/S(After-Sales Service) 기사에게 이상 내역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서버부 또는 관리부는 가열기와 냉각기의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을 센싱하는 전력 감지센서로부터 이상이 발생된 상기 도우 컨디셔너에 대해 비상 셧다운(Emergency Shutdown)을 지령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도우 컨디셔너의 생산년도, 수리내역, 용량, 크기, 전력상태, 온도, 습도 및 제빵 과정에 대한 이력 관리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of dough conditioner}
본 발명은 도우 컨디셔너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빵은 밀가루와 일정량의 물을 섞어 발효시킨 뒤 굽거나 찐 것으로, 이러한 빵의 주재료는 밀가루, 효모, 소금 및 물이며, 빵의 종류에 따라 당류, 계란 및 식용유지 등과 그 밖의 부재료를 배합하여 만든 빵 반죽을 발효시켜 굽거나 찐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제빵공정에서 빵 반죽이 팽창한다는 것은 화학적 팽창제나 효모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반죽기의 회전에 의해서 얻어지는 기포의 생성 및 수분의 팽창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효모를 이용하는 방법은 효모의 발효시에 발생하는 부산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장 큰 장점은 팽창을 위한 탄산가스의 발생뿐만 아니라 빵의 고유한 맛과 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제빵용 효모의 가스 생성은 효모 자체로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고, 여러 요인들에 의해서 가스 생성력이 달라지는데, 제빵용 효모의 가스 생성력에 미치는 요인들로는 밀가루의 품질, 당의 존재와 분해, 효모의 양과 질 및 발효환경(재료, 첨가물, 온도 및 습도 등) 등이다.
한편, 빵을 대량으로 생산하고자 할 때는 많은 양의 생지(빵 반죽)를 동일 조건하에서 동시에 발효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켜 많은 양의 생지를 동일 조건하에서 동시에 발효시키는 장치가 바로 도우 컨디셔너이다.
상세히, 종래의 도우 컨디셔너는 제과점 등에서 갓 구운 빵을 구매자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냉동, 해동, 숙성 및 발효의 단계, 즉 오븐에 빵을 굽기 전의 발효까지의 단계를 위한 제과제빵용 장치이다.
이러한, 도우 컨디셔너는 냉동, 해동, 숙성 및 발효의 단계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발효실 내부에 수납된 적재판 상의 생지를 발효시켜 오븐에 구워내어 빵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도우 컨디셔너는 균일한 빵을 제조하기 위해서 생지에 대한 온도와 습도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우 컨디셔너에는 온도,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또는 습도센서의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별도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온도센서와 습도센서가 고장난 상태에서 사용자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의 고장 여부를 알지 못하고 도우 컨디셔너를 사용하게 된다.
이에, 도우 컨디셔너의 온도센서와 습도센서가 고장난 상태에서는 정확한 온도와 습도 관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제조된 빵의 상태도 균일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도우 컨디셔너에는 도우 컨디셔너의 작동 상태와 이력을 관리하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도우 컨디셔너의 작동상 문제가 발생될 경우에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
그리고, 도우 컨디셔너를 작동시켜 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로 출타하는 경우 도우 컨디셔너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도우 컨디셔너의 문제해결을 위한 별다른 대처 방법이 없다.
따라서, 도우 컨디셔너의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며 도우 컨디셔너를 원격에서 관리하도록 이루어진 원격 제어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우 컨디셔너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러 지역에 분포된 도우 컨디셔너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며 저장하는 서버부;와 상기 서버부를 제어하며 상기 도우 컨디셔너를 원격에서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관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서버부는 도우 컨디셔너 사용자의 접속을 통해 상기 도우 컨디셔너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서버부 또는 관리부는 이상이 발생된 상기 도우 컨디셔너에 대해 해당 도우 컨디셔너 사용자와 해당 지역 A/S(After-Sales Service) 기사에게 이상 내역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서버부 또는 관리부는 가열기와 냉각기의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을 센싱하는 전력 감지센서로부터 이상이 발생된 상기 도우 컨디셔너에 대해 비상 셧다운(Emergency Shutdown)을 지령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도우 컨디셔너의 생산년도, 수리내역, 용량, 크기, 전력상태, 온도, 습도 및 제빵 과정에 대한 이력 관리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도우 컨디셔너는, 생지가 적재된 적재판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한 쌍을 이루는 온도센서가 구비된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창에 상기 수용부 내부의 온도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수용부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센서부의 데이터를 외부에 구비되는 상기 서버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버부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이루어진 송수신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와 상기 제1 온도센서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온도를 비교하여 각 온도센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온도센서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제1 온도센서의 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수용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용부의 습도를 측정하도록 한 쌍을 이루는 습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습도를 감지하는 제1 습도센서와 상기 제1 습도센서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습도를 감지하는 제2 습도센서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센서에서 검출된 습도와 상기 제2 습도센서에서 검출된 습도를 비교하여 각 습도센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습도를 감지하는 제1 습도센서;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습도센서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제1 습도센서의 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수용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 습도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우 컨디셔너에는 한 쌍을 이루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가 구비되어 도우 컨디셔너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함에 있어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의 고장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정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균일한 빵을 제조할 수 있다.
둘째, 도우 컨디셔너는 이력 관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도우 컨디셔너의 부품 교환 시기, 제품의 수명 등 도우 컨디셔너의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도우 컨디셔너에는 원격제어에 의해 비상 셧다운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도우 컨디셔너의 작동 오류에 따른 피해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우 컨디셔너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로 출타한 경우 도우 컨디셔너에 과전류가 발생되는 경우에 도우 컨디셔너 원격제어 시스템은 도우 컨디셔너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도우 컨디셔너가 작동되는 것을 강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넷째, 도우 컨디셔너 원격제어 시스템은 도우 컨디셔너의 고장 발생에 따른 신속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도우 컨디셔너에 이상이 감지되면 이상에 따른 고장 내역이 서버부로 전송되고 서버부는 고장 내역을 해당 A/S 기사에게 송신하여 A/S 기사는 고장 내역에 따른 부품만을 가지고 해당 도우 컨디셔너를 수리할 수 있다.
이에, 도우 컨디셔너 관리자가 별도로 A/S 서비스 센터에 직접 연락하고 고장 내역을 설명해야 되는 번거러움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100)는 수용부(10), 센서부(20), 제어부(30) 및 송수신부(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는 생지(빵 반죽)를 냉동, 해동, 숙성, 발효 및 굽는 과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빵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는 냉동, 해동, 숙성, 발효 및 굽는 과정이 모두 포함된 장치도 있고 해동, 숙성 및 발효 과정만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장치도 있기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기능적인 부분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는 생지가 적재된 적재판(15)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용부(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0)는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에 다수개의 상기 수용부(10)가 구비된 경우에는 각각의 상기 수용부(10)가 하는 역할을 달리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상기 수용부(10)에는 냉동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하나의 상기 수용부(10)에는 해동, 숙성 및 발효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또 다른 하나의 상기 수용부(10)에는 굽는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각각 상기 수용부(10)의 역할 분담을 통해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관리를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에는 하나의 수용부(10)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에 하나의 수용부(10)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제품 크기가 축소됨으로써 가정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에 구비되는 상기 수용부(10)의 개수는 사용 목적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는 상기 수용부(10)가 2개인 형태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상기 수용부(10)는 생지에 대해 냉동 과정, 해동 과정, 숙성과정, 발효 과정 및 굽는 과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빵의 대량 생산이 이루어질 경우에 상기 수용부(10)는 매뉴얼에 의한 온도와 습도 범위 안에서 빵을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온도와 습도는 제조되는 빵의 맛을 결정하게 되고 각 과정에 따른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빵의 맛은 제각기 달라져 균일한 빵을 제조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이에, 상기 수용부(10)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부(10)의 온도와 습도 및 전력 등을 감지하는 상기 센서부(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20)는 온도, 습도, 전력 공급 상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상기 수용부(10)의 내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20)는 일실시예에 따른 일예로 상기 센서부(20)의 위치 및 크기 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20)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1)와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5)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21)는 제1 온도센서(22)와 제2 온도센서(23)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습도센서(25)는 제1 습도센서(26)와 제2 습도센서(27)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센서(21)는 상기 제1 온도센서(22)와 제2 온도센서(23)가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이는, 상기 온도센서(21)가 상기 수용부(10)의 온도를 감지함에 있어 크로스 체크 방식으로 상기 수용부(10)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온도센서(21)의 오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상기 수용부(10)의 내부에 가열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가열부(미도시)는 각 제빵 과정에 따른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21)가 하나만 구비된 경우에 상기 온도센서(21)가 고장 및 오작동으로 인해 온도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한다면 상기 온도센서(21)는 상기 가열부(미도시)가 설정온도에 맞게 가열이 되고 있는지 알지 못한다.
이러한, 상기 온도센서(21)가 고장난 상태로 상기 수용부(10) 내부에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가열부(미도시)가 설정온도를 초과하여 가열되거나 설정온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기 온도센서(21)는 상기 가열부(미도시)의 오류를 검출하지 못하므로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는 상기 가열부(미도시)가 오작동된 상태로 빵을 제조하게 되어 제조되는 빵의 맛은 균일하지 못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온도센서(21)가 병렬적으로 상기 제1 온도센서(22)와 제2 온도센서(23)가 상기 수용부(10)에 함께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온도를 크로스 체크함으로써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온도를 이중으로 감시하게 된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온도센서(22)와 제2 온도센서(23)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범위차가 3℃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온도센서(22)와 제2 온도센서(23)는 이상없이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온도센서(22)와 제2 온도센서(23)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범위차가 3℃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제1 온도센서(22)와 제2 온도센서(23) 중에 어느 하나의 온도센서는 고장 및 불량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가 빵을 제조함에 있어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온도는 제조되는 빵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에 서로 온도를 중복 체크하도록 이루어진 상기 제1 온도센서(22)와 제2 온도센서(23)의 역할은 중요하다.
또한, 상술된 상기 온도센서(21)와 동일하게 상기 수용부(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습도센서(26)와 제2 습도센서(27)가 구비되어 상기 온도센서(21)와 동일한 역할이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습도센서(25)는 제1 습도센서(26)와 제2 습도센서(27)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습도센서(25)는 상기 제1 습도센서(26)와 제2 습도센서(27)가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이는, 상기 습도센서(25)가 상기 수용부(10)의 습도를 감지함에 있어 크로스 체크 방식으로 상기 수용부(10)의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습도센서(25)의 오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습도센서(25)가 하나만 구비된 경우에 상기 습도센서(25)가 고장 및 오작동으로 인해 습도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한다면 상기 수용부(10)의 내부의 습도 상태는 정확히 측정되기 어렵다.
이러한, 상기 습도센서(25)가 고장난 상태로 상기 수용부(10) 내부에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습도센서(25)는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습도를 정확히 감지하지 못하므로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로부터 제조되는 빵의 맛은 균일하지 못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습도센서(25)가 병렬적으로 상기 제1 습도센서(26)와 제2 습도센서(27)가 상기 수용부(10)에 함께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습도를 크로스 체크함으로써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습도를 이중으로 감시하게 된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습도센서(26)와 제2 습도센서(27)에서 감지되는 습도의 범위차가 3%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습도센서(26)와 제2 습도센서(27)는 이상없이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습도센서(26)와 제2 습도센서(27)에서 감지되는 습도의 범위차가 3%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제1 습도센서(26)와 제2 습도센서(27) 중에 어느 하나의 습도센서는 고장 및 불량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가 빵을 제조함에 있어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습도는 제조되는 빵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에 서로 습도를 중복 체크하도록 이루어진 상기 제1 습도센서(26)와 제2 습도센서(27)의 역할은 중요하다.
한편, 상기 센서부(20)에는 전력 감지센서(2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 감지센서(28)는 상기 가열부(미도시)와 냉각기(미도시)와 같은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에 대하여 센싱이 이루어지며, 상기 전력 감지센서(28)로부터 감지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30)로 데이터 제공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전력 감지센서(28)는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각각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력을 감지하는 것으로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력의 과부하 여부를 체크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에는 경고 알림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전력 감지센서(28)를 통해 감지된 전력이 과부하인 경우에는 경고 알림부(미도시)는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에는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부(미도시)와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상기 냉각기(미도시)와 같은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3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30)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표시창(31)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상기 표시창(31)의 터치 방식을 통해 각 단계별 제빵과정을 선택하여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후술될 관리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표시창(31)에는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온도 상태와 습도 상태, 전력 공급 상태 및 예상 완료 시간 등의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므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제빵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부(10)의 정보는 실시간으로 상기 제어부(30)로 제공되므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상기 수용부(1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수용부(10)의 정보를 송수신부(4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송수신부(40)는 상기 제어부(30)와 연결되며 서로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송수신부(40)는 특정 통신망(예를 들어, 유선 인터넷 망, 무선 인터넷 망 등)을 통해 서버부(200)와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송수신부(40)가 상기 수용부(1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상기 서버부(200)로 제공하므로써 상기 서버부(200)는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이력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서버부(200)는 중앙통제실에 구비되어 여러 점포 및 가정집에 구비되는 각각의 도우 컨디셔너(100)에 대해 개별적인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1000)은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 서버부(200) 및 관리부(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부(200)는 여러 지역에 분포되는 각각의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에 대한 이력 관리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도우 컨디셔너(10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서버부(200)는 상기 센서부(2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자료에만 한정되어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이력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생산년도, 수리내역, 용량, 크기, 전력상태, 온도, 습도 및 제빵 과정 단계에 대한 총체적인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이력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부(200)에는 각 기준별 표준값이 설정되어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서버부(200)는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이상이 발생될 경우에 해당 도우 컨디셔너(100) 사용자에게 이상 발생을 통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부(미도시)가 온도 범위를 넘어 계속 가열이 이루어지는 경우라든지 상기 생지에 대한 냉동, 해동, 숙성, 발효 및 굽는 과정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상 여부를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 사용자의 특정 단말기(400)(예를들어,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 매장내에 구비되는 단말기 등)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 사용자는 사용자의 고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통해 상기 서버부(200)에 직접 접속이 가능하며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 사용자는 상기 서버부(200)에 직접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를 사용자가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부(200)는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 사용자의 옵션 선택에 따라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이상유무 뿐만 아니라 현재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작동과정 등의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서버부(200)는 관리부(300)와 연결되며 상기 관리부(300)는 상기 서버부(200)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관리부(300)는 상기 서버부(200)를 제어하므로써 상기 관리부(300)를 통해 전송된 지령을 상기 서버부(200)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40)로 전송되고 상기 송수신부(40)로 전송된 지령은 상기 제어부(30)로 지령을 하달하여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1000)은 상기 관리부(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는 원격 제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부(300)는 상기 전력 감지센서(28)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통해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에 전력 과부하와 같은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에 비상 셧다운(Emergency Shutdown)을 지령하여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에 전원 공급을 중지함으로써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대형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관리부(300)는 중앙통제실에 상주하는 메인 관리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비상 셧다운(Emergency Shutdown)과 같은 상황은 상기 관리부(300)의 제어에 의해 처리되기 전에 상기 서버부(200)의 표준 설정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송수신부(40)로 지령이 내려져 처리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관리자는 상기 관리부(300)에서 처리될 사항과 상기 서버부(200)에서 자동적으로 처리될 사항을 프로그램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부(300)는 상기 서버부(200)를 통해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이상 발생사항을 수신받으면 상기 관리부(300)는 이상유무의 상태 정도에 따라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 사용자에게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이상 발생 내용을 전달하던지 아니면 이상 발생이 심각한 경우에는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해당 A/S(After-Sales Service) 기사의 단말기(500)로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이상 내역을 전송하여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를 수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A/S 기사는 이상이 발생된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이상 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를 수리하기에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고장에 대한 신속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1000)의 작동 흐름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센서부(20)로부터 감지되는 온도, 습도 및 전력 상태 등의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데이터 자료는 상기 제어부(30)로 전송된다.(S100)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센서부(20)로부터 획득된 상기 도우 컨디셔너의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부(40)로 전송하게 된다.(S200)
다음으로, 상기 송수신부(40)는 특정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부(200)로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S300)
다음으로, 상기 서버부(200)는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에 대한 전력이 과부하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전력이 과부하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버부(200)는 해당 도우 컨디셔너(100)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도록 상기 제어부(30)에 지령을 내리게 된다.(S400)(S500)
다음으로, 상기 서버부(200)는 표준 설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이상 발생시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 사용자 또는 A/S 기사에게 해당 도우 컨디셔너(100)의 이상을 알려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에 대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진다.(S600)(S700)
이와 같이, 상기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1000)은 상기 서버부(200)와 관리부(300)를 통해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 사용자가 출타한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상기 도우 컨디셔너(100)의 이력 및 원격 제어 관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S800)
도 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의 개략 사시도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21')는 제3 온도센서(22')와 제4 온도센서(23')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제3 온도센서(22')와 제4 온도센서(23')는 개별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3 온도센서(22')는 주 온도센서로 수용부(10) 내부의 온도를 평상시에 감지하도록 전원이 공급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제4 온도센서(23')는 보조 온도센서로 평상시에 전원 인가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3 온도센서(22')가 셧 다운(Shutdown)되어 상기 제3 온도센서(22')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 제어부(30)는 상기 제4 온도센서(23')로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되도록 이루어진 예비 온도센서이다.
이러한, 상기 제4 온도센서(23')는 상기 제3 온도센서(22')가 오작동으로 인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4 온도센서(23')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4 온도센서(23')가 상기 제3 온도센서(22')의 기능을 대신하도록 한다.
그리고, 예비 온도센서는 상기 제4 온도센서(23')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제4 온도센서(23')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또 다른 대기중에 있는 온도센서가 작동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수용부(10) 내부에 구비되는 습도센서(25')도 제3 습도센서(26')와 제4 습도센서(27')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제3 습도센서(26')와 제4 습도센서(27')는 개별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3 습도센서(26')는 주 습도센서로 상기 수용부(10) 내부의 온도를 평상시에 감지하도록 전원이 공급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제4 습도센서(27')는 보조 습도센서로 평상시에 전원 인가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3 습도센서(26')가 셧 다운(Shutdown)되어 상기 제3 습도센서(26')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4 습도센서(27')로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되도록 이루어진 예비 습도센서이다.
이러한, 상기 제4 습도센서(27')는 상기 제3 습도센서(26')가 오작동으로 인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4 습도센서(27')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4 습도센서(27')가 상기 제3 습도센서(26')의 기능을 대신하도록 한다.
그리고, 예비 습도센서는 상기 제4 습도센서(27')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우 컨디셔너(110)는 상술된 일실시예와 같이 서버부(200, 도 2참조)와 송수신되어 원격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용부 20: 센서부
30: 제어부 40: 송수신부
100: 도우 컨디셔너 200: 서버부
300: 관리부 400: 특정 단말기
500: A/S 기사 단말기 1000: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여러 지역에 분포된 도우 컨디셔너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며 저장하는 서버부;와
    상기 서버부를 제어하며 상기 도우 컨디셔너를 원격에서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관리부가 포함되며,
    상기 서버부는 도우 컨디셔너 사용자의 접속을 통해 상기 도우 컨디셔너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서버부 또는 관리부는 이상이 발생된 상기 도우 컨디셔너에 대해 해당 도우 컨디셔너 사용자와 해당 지역 A/S(After-Sales Service) 기사에게 이상 내역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서버부 또는 관리부는 가열기와 냉각기의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을 센싱하는 전력 감지센서로부터 이상이 발생된 상기 도우 컨디셔너에 대해 비상 셧다운(Emergency Shutdown)을 지령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도우 컨디셔너의 생산년도, 수리내역, 용량, 크기, 전력상태, 온도, 습도 및 제빵 과정에 대한 이력 관리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우 컨디셔너는,
    생지가 적재된 적재판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한 쌍을 이루는 온도센서가 구비된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창에 상기 수용부 내부의 온도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수용부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센서부의 데이터를 외부에 구비되는 상기 서버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서버부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이루어진 송수신부가 포함된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
  10. 제9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와
    상기 제1 온도센서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온도와 상기 제2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온도를 비교하여 각 온도센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온도센서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제1 온도센서의 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수용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용부의 습도를 측정하도록 한 쌍을 이루는 습도센서가 더 구비되는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습도를 감지하는 제1 습도센서와
    상기 제1 습도센서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습도를 감지하는 제2 습도센서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습도센서에서 검출된 습도와 상기 제2 습도센서에서 검출된 습도를 비교하여 각 습도센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습도를 감지하는 제1 습도센서;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습도센서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제1 습도센서의 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수용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 습도센서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110032965A 2011-04-08 2011-04-08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341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965A KR101341378B1 (ko) 2011-04-08 2011-04-08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965A KR101341378B1 (ko) 2011-04-08 2011-04-08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038A KR20120115038A (ko) 2012-10-17
KR101341378B1 true KR101341378B1 (ko) 2013-12-13

Family

ID=4728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965A KR101341378B1 (ko) 2011-04-08 2011-04-08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504B1 (ko) * 2014-08-21 2015-07-09 유인철 래크 삽입형 발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709B1 (ko) * 2020-06-25 2020-12-01 (주)대흥소프트밀 인버터 도우 컨디셔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088A (ko) * 2004-02-24 2005-08-31 김영식 다기능 도우컨디셔너 및 그 제어방법
KR100595701B1 (ko) 2006-02-07 2006-06-30 김동환 이중 온도센서를 이용한 온도기록장치
KR20100089417A (ko) * 2009-02-03 2010-08-12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배합 온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088A (ko) * 2004-02-24 2005-08-31 김영식 다기능 도우컨디셔너 및 그 제어방법
KR100595701B1 (ko) 2006-02-07 2006-06-30 김동환 이중 온도센서를 이용한 온도기록장치
KR20100089417A (ko) * 2009-02-03 2010-08-12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배합 온도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504B1 (ko) * 2014-08-21 2015-07-09 유인철 래크 삽입형 발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038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2666A (en) Diagnostic system for monitoring cooking profiles
EP2967224B1 (en) Inflatable air mattress system with detection techniques
CA2906083C (en) Inflatable air mattress sleep environment adjustment and suggestions
US8599008B2 (en) Applian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EP0838126B1 (en) Multiprobe intelligent diagnostic system for food-processing apparatus
CA2235999C (en) Diagnostic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CN104583683B (zh) 基于云的建筑物自动化系统
US20160358722A1 (en) Intelligent wireless and wired control of devices
US90523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lectricity meter failure
CN104422060B (zh) 空调器的控制方法及装置
US20170010014A1 (en) Air conditioner test operation application, and air conditioner test operation system
CN108954670B (zh) 一种空调器的故障预判方法、控制系统及空调器
KR101341378B1 (ko) 도우 컨디셔너 원격 제어 시스템
CA2585780A1 (en) Oven control
KR20160019460A (ko) 압력 조절기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20200170447A1 (en) System for Preparation of Food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Kitchen Appliance
CA2977068C (en) Hydronic boiler control system with weather anticipation
CN206626744U (zh) 基于移动设备的空调控制系统和空调设备
US2023025358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fuel cell system
WO2015191151A1 (en) Method for maintenance of a non-computing appliance, such as a kitchen appliance, in particular preventive maintenance
JP2009159192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CN205409360U (zh) 油条面一体机
US11965686B2 (en) Blocked coil detection system
KR102300918B1 (ko) 재실인원수 기반 냉, 난방 설정온도 자동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203649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oud-based fault code diagno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