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177B1 -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177B1
KR101341177B1 KR1020120057440A KR20120057440A KR101341177B1 KR 101341177 B1 KR101341177 B1 KR 101341177B1 KR 1020120057440 A KR1020120057440 A KR 1020120057440A KR 20120057440 A KR20120057440 A KR 20120057440A KR 101341177 B1 KR101341177 B1 KR 10134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ste heat
kiln
heat recovery
recovery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145A (ko
Inventor
이만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57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177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2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rotary-drum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10Production of cement, e.g. improving or optimising the production methods; Cement grinding
    • Y02P40/121Energy efficiency measures, e.g. improving or optimising the production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ffle Furnaces And Rotary Kilns (AREA)

Abstract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는 회전하는 소성로의 주변부를 덮도록 제공된 덮개유닛; 상기 덮개유닛의 일측에 연계되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 유입부와 공기배출부; 및 상기 소성로의 폐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매개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유닛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 {WASTE HEAT RECOVERY APPARATUS OF ROTARY KILN}
본 발명은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소성로로부터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소성로나 석회 소성로, 그리고 숯 등을 생산하는 탄화장치는 소성로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회전식 소성로로 제공되며, 이러한 회전식 소성로는 로터리 킬른(rotary kiln)으로 통용되고 있다.
이러한 회전식 소성로는 수평에서 약간 기울어진 실린더 형태의 본체를 포함하고, 이 본체를 회전하면서 내부로 소재와 동시에 공급되는 열원의 연소로 소재를 소성한다. 이때, 회전식 소성로는 내부의 온도가 약 800~1,200℃로 유지된 상태로 소재를 소성시키며, 동시에 일정 속도로 회전함에 따라 소성되는 물질을 하부로 이동시킨다.
한편, 회전식 소성로는 소재를 소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 대류와 복사에 의해 외부로 방사된다. 이때, 소성로의 외부 온도는 약 200~400℃ 정도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약 400℃ 이상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회전식 소성로는 소재의 소성시 소성로의 회전으로 인해 통상의 열교환수단을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과도한 초기 설치비용으로 인해 열교환수단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또한, 종래에는 열교환수단이 설치되더라도 간접방식에 의한 열회수가 이루어지므로 효율이 낮아 열교환수단의 설치가 증가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며, 이에 대부분은 열은 대기로 방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회전식 소성로는 물을 이용하여 폐열을 회수하는 열교환수단이 사용되고 있으나, 소성로가 사용되지 않을 기간, 특히 겨울철과 같이 온도가 낮은 기간에는 열교환수단에 제공되는 물에 의한 동파 등을 막기 위한 별도의 가열수단 등이 요구되는 등 유지 및 관리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경제적인 폐열 회수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회전식 소성로에서 대기로 방사되는 열을 저렴한 비용으로 회수할 수 있고, 유지 및 관리 비용이 최소화되며, 초기 설치비용이 저렴한 방식의 폐열 회수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하는 소성로로부터 방사되는 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고, 이 가열된 공기에 의해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폐열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는 회전하는 소성로의 주변부를 덮도록 제공된 덮개유닛; 상기 덮개유닛의 일측에 연계되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 유입부와 공기배출부; 및 상기 소성로의 폐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매개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유닛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공기배출부 또는 상기 공기유입부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덮개유닛의 상부에 연통되게 제공되고, 상기 덮개유닛은 상기 공기배출부와 연결된 부분에 인접할수록 공기의 유동 단면적이 감소되며 높이가 증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덮개유닛의 상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상측으로 연장된 굴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굴뚝부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공기배출부의 일측에 제공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에 연계되어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소성로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소성로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성로와 직접 접촉되지 않아 소성로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소성로에서 나오는 열을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하여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며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하도록 제공되어 간단한 구조로 폐열을 전기적인 에너지로 회수할 수 있고, 작은 열량으로도 공기의 유동을 일으켜 발전이 가능하므로 폐수 회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별도의 배관설비 또는 열교환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기 투자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동파 등을 포함한 환경적 요인에 의한 관리 또는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소성로가 작동되지 않더라도 태양열이나 공기의 압력차 등을 이용한 발전도 가능하여 설비의 휴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10)의 폐열 회수 장치(100)는 소재를 소성하기 위한 가열공간이 마련되어 소재를 소성한 후, 소성된 소재의 배출을 위해 회전하는 회전식 소성로(10)에 제공되며, 소성로(10)의 소성가공 중 대기로 방사되는 폐열을 회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식 소성로(10)는 수평에서 약간 기울어진 실린더 형태의 본체(12)를 포함하고, 이 본체(12)의 일측에는 구동원이 연계되어 본체(12)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본체(12)의 일측에는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 버너(14)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식 소성로(10)는 본체(12)로 소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호퍼(20) 및 본체(12)로부터 소성이 완료된 소재를 배출하는 배출 호퍼(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회전식 소성로(10)는 소재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본체(12)의 외부로 많은 열이 방사되며, 이와 같이 대기중으로 방사되는 폐열을 회수하기 위해 회전식 소성로(10)의 외측에 폐열 회수 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폐열 회수 장치(100)는 회전하는 소성로(10)의 본체(12) 주변부를 덮도록 제공된 덮개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유닛(110)은 소성로(10)의 본체(12) 일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성로 본체(12)로부터 방사되는 열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소성로 본체(12)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제공되어 본체(12)를 완전히 덮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유닛(110)은 (도시되지 않은)지지구조물 등을 매개로 소성로 본체(12)와 대응하여 경사지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덮개유닛(110)과 본체(12) 사이에는 소성로(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114a) 등을 구비한 지지수단(114)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덮개유닛(110)은 소성로 본체(12)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소성로 본체(12)와 직접 닿지 않도록 제공되며, 이에 따라 소성로 본체(12)의 회전시 덮개유닛(110)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덮개유닛(110)과 소성로 본체(12)의 연결부 사이에는 베어링, 부싱, 커버 등을 포함하는 연결구조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덮개유닛(110)과 소성로 본체(12)의 연결부 사이로 발생하는 열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덮개유닛(110)의 일측에는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공기유입부(120)와 공기배출부(130)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폐열 회수 장치(100)는 덮개유닛(110) 내부의 공기가 소성로(10)로부터 방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대류가 발생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대류에 의해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공기배출부(130)는 덮개유닛(110)의 상부에 연통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열에 의해 팽창하며 밀도가 낮아진 공기가 덮개유닛(110)의 상부로 상승된 후, 공기배출부(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덮개유닛(110)은 공기배출부(130)와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공기배출부(130)는 덮개유닛(110)의 상부 중앙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덮개유닛(110)은 공기배출부(130)와 인접한 부분, 즉 상부 중앙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전체적인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덮개유닛(110)은 공기배출부(130)와 인접하게 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면서 압축력이 발생되어 상승력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소성로(10)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방향으로 기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성로(10)의 회전반경 최원점의 상부에서 최대의 상승기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유닛(110)은 소성로(10)의 회전반경 최원점의 상부가 가장 높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배출부(130)가 이 위치에 연통함에 따라 배출되는 공기가 최대 풍속이 될 수 있다.
또한, 공기유입부(120)는 덮개유닛(110)의 하부에 연통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공기유입부(120)는 원활한 공기의 유입을 위해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폐열 회수 장치(100)는 덮개유닛(110)의 하부에 연통된 공기유입부(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소성로(10)에서 방사된 열에 의해 가열된 후, 상승되어 공기배출부(130)로 배출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하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부로 배출됨에 따라 기류 관성력이 발생하여 순환하는 공기의 풍속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공기배출부(130)는 덮개유닛(110)의 상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상측으로 연장된 굴뚝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굴뚝부(132)는 굴뚝효과로 인해 배출되는 공기의 상승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폐열 회수 장치(100)는 덮개유닛(110)의 공기유입부(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소성로(10)에서 방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 후, 덮개유닛(110)의 공기배출부(130)를 통해 배출하는 순환류를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소성로(10)의 폐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유동을 매개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전유닛(150)은 소성로(10)의 폐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발전유닛(150)은 순환하는 공기의 풍속이 최대인 지점에 위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굴뚝부(132)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발전유닛(150)은 공기배출부(130)의 일측, 즉 굴뚝부(132)의 내측에 발생하는 상승공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터빈(1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터빈(152)에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모듈(154)이 연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전모듈(154)은 도 2와 같이, 터빈(152)과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굴뚝부(132)의 외부에 설치되어 기어(156a) 및 샤프트(156b) 또는 체인이나 벨트 등의 회전연결부재를 통해 터빈(152)과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발전유닛(150)이 공기의 순환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 설치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발전유닛(150)은 공기유입부(120)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공기유입부(120)가 복수개로 제공될 경우, 각각의 공기유입부(120)의 단면적을 작게 하여 공기의 유입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발전모듈(254)은 도 4와 같이, 터빈(252)과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공기유입부(120)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발전모듈(254)은 도 5와 같이, 덮개유닛(110) 또는 공기유입부(120)의 외부 하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기어(256a) 및 샤프트(256b) 또는 체인이나 벨트 등의 회전연결부재를 통해 터빈(252)과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발전모듈(254)이 공기유입부(120)에 제공될 경우, 공기의 유입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공기유입부(120)를 하나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유닛(110)은 외부로부터 열의 유입이나 흡수가 가능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례로 태양열의 집열이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폐열 회수 장치(100)는 소성로(10)에서 방사된 열뿐만 아니라 태양열을 이용하여 덮개유닛(11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으며,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폐열 회수 장치(100)는 소성로(10)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태양열을 이용한 온실효과로 인해 공기의 가열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태양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대류에 의해 상승하며 발전터빈(152)을 회전시킴에 따라 전기를 생산함에 따라 발전설비의 휴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전기의 생산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소성로(1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덮개유닛(110)은 각각의 소성로(10)에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과 같이, 효율적인 설치 등을 위해 하나의 덮개유닛(110)에 복수의 소성로(10)가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소성로(10)가 하나의 덮개유닛(110)에 제공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각각의 소성로(10)는 회전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소성로(10)는 중앙부분에 상승기류가 형성되도록 내측 하부에서 상부로 회전하는 방향, 즉 도 6을 기준으로 좌측 소성로(10A)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우측 소성로(10B)는 시계방향을 회전하며, 이에 따라 중앙부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하는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열 회수 장치(100)는 덮개유닛(110) 내부에서 상측으로 형성된 기류가 상부의 굴뚝부(132)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터빈(152)을 빠르게 회전시키며 전기 발생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소성로(10A, 10B)가 회전하는 방향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배열이나 회전형태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의 소성로(10A, 10B)가 모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양측의 소성로(10A, 10B)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가이드(160)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안내가이드(160)는 양측의 소성로(10A, 10B) 사이를 차폐하도록 제공되어 소성로(10A, 10B)의 회전 방향 차이에 따라 공기가 혼류되며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내가이드(160)는 공기의 순환시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연결부위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소성로(10A, 10B)의 폐열 회수 장치(100)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소성로(10A, 10B)가 복수로 제공될 경우, 공기배출부(130)의 굴뚝부(132)는 양측 소성로(10A, 10B)의 중앙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발전유닛(350)의 터빈(352)은 공기배출부(130)에 설치되고, 이 터빈(352)의 회전축(353)에 연결되는 발전모듈(354)은 덮개유닛(110)의 하부 외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전모듈(354)로 인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발전유닛(350)에서 터빈(352)과 발전모듈(354)을 연결하는 회전축(353)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일례로 안내가이드(360)를 관통하도록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발전유닛(150, 250, 350)은 공기유입부(120) 또는 공기배출부(130) 중 어느 한 쪽에 제공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발전유닛(150, 250, 350)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유입부(120) 및 공기배출부(130)에 모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 호퍼(20)에 저장된 소재를 소성로(10)로 공급하고, 소성로(10)를 회전함과 동시에 가열수단인 버너(14)를 점화하여 소재를 소성한다.
이때, 소성로(10)에서는 소재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열이 방사되며, 이와 같이 방사된 열에 의해 소성로(10)와 덮개유닛(110) 사이의 공기가 가열된다. 이와 같이 가열된 공기는 팽창되며 밀도가 낮아지고, 이에 따라 대류가 발생되며 상측으로 상승하는 기류가 발생된다.
그리고, 덮개유닛(110) 내부에서 상승된 공기는 공기배출부(130)의 굴뚝부(1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 과정에서 발전유닛(150)의 터빈(152)을 회전시키고, 터빈(152)의 회전력은 발전모듈(154)로 전달되어 전기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폐열 회수 장치(100)는 소성로(10)에서 대기로 방사되는 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고, 이 공기가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유동을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하여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10A, 10B: 소성로 12: 본체
14: 버너 20: 공급 호퍼
30: 배출 호퍼 100: 폐열 회수 장치
110: 덮개유닛 114: 지지수단
120: 공기유입부 130: 공기배출부
132: 굴뚝부 150: 발전유닛
152: 터빈 154: 발전모듈

Claims (8)

  1. 회전하는 소성로의 주변부를 덮도록 제공된 덮개유닛;
    상기 덮개유닛의 일측에 연계되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 유입부와 공기배출부; 및
    상기 소성로의 폐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매개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유닛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공기배출부 또는 상기 공기유입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덮개유닛의 상부에 연통되게 제공되고,
    상기 덮개유닛은 상기 공기배출부와 연결된 부분에 인접할수록 공기의 유동 단면적이 감소되며 높이가 증가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덮개유닛의 상부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상측으로 연장된 굴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굴뚝부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공기배출부의 일측에 제공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에 연계되어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로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소성로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가이드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
KR1020120057440A 2012-05-30 2012-05-30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 KR10134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440A KR101341177B1 (ko) 2012-05-30 2012-05-30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440A KR101341177B1 (ko) 2012-05-30 2012-05-30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145A KR20130134145A (ko) 2013-12-10
KR101341177B1 true KR101341177B1 (ko) 2013-12-13

Family

ID=4998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440A KR101341177B1 (ko) 2012-05-30 2012-05-30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1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2439B (zh) * 2013-12-26 2015-07-08 蔡赞区 回转窑筒外余热收集系统及其收集方法
KR102245233B1 (ko) * 2019-12-19 2021-04-28 주식회사 포스코 열회수장치
KR102245232B1 (ko) * 2019-12-19 2021-04-28 주식회사 포스코 열회수장치
CN111689706B (zh) * 2020-07-24 2023-05-23 天津水泥工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无窑头余风热焓损失的水泥生产系统及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7933A (en) * 1975-05-24 1976-11-29 Hitachi Zosen Corp Power generation method utilizing draught power of chimney
JPS648040B2 (ko) * 1979-06-25 1989-02-10 Henkel Kgaa
JP2007212016A (ja) 2006-02-08 2007-08-23 Chugai Ro Co Ltd 廃熱利用発電装置
JP2008304131A (ja) * 2007-06-08 2008-12-18 Alt:Kk 廃棄物処理発電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7933A (en) * 1975-05-24 1976-11-29 Hitachi Zosen Corp Power generation method utilizing draught power of chimney
JPS648040B2 (ko) * 1979-06-25 1989-02-10 Henkel Kgaa
JP2007212016A (ja) 2006-02-08 2007-08-23 Chugai Ro Co Ltd 廃熱利用発電装置
JP2008304131A (ja) * 2007-06-08 2008-12-18 Alt:Kk 廃棄物処理発電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145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177B1 (ko) 회전식 소성로의 폐열 회수 장치
CN103542400B (zh) 一种生物质燃料燃烧设备及其燃烧方法
CN110201990B (zh) 污染土壤修复系统
KR101452327B1 (ko)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가스화 반응장치
CN104307500A (zh) 一种颗粒活性炭再生转窑
JP2006002746A (ja) バイオマスの乾留ガス化燃焼熱変換発電装置
JP5432302B2 (ja) バイオマス燃料製造機
CN203533528U (zh) 一种生物质燃料燃烧设备
CN207945929U (zh) 一种利用电站双余热干燥原煤的装置
CN106352324B (zh) 一种生物质燃烧炉
CN206540392U (zh) 一种利用锅炉烟气余热烘干生物质燃料的装置
CN202427899U (zh) 转盘式连续焙烧炉
CN109251755B (zh) 一种兰炭生产用外热式回转炉
CN108488893A (zh) 低浓度瓦斯热源撬供热装置
CN103265156A (zh) 一种污泥热分解装置
CN105439141B (zh) 一种环保节能活性炭提升炉
CN106801873B (zh) 一种高效率生活垃圾处理装置
CN210552040U (zh) 一种用于快速烘干的环保砖生产设备
CN205262108U (zh) 一种提高石墨烘干效率的窑炉
CN204286059U (zh) 一种气化炉加热的回转窑
CN105419873B (zh) 防止固定床生物质气化炉架桥的方法
CN216481959U (zh) 一种带有余热回收的节能干燥设备
CN102910620A (zh) 一种回收石墨化炉余热的方法及装置
CN202543154U (zh) 一种煤气发生炉炉篦篦体
CN212441613U (zh) 一种新型热电厂用输送皮带除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