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560B1 - Height growth promoting device - Google Patents

Height growth promo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560B1
KR101340560B1 KR1020120021906A KR20120021906A KR101340560B1 KR 101340560 B1 KR101340560 B1 KR 101340560B1 KR 1020120021906 A KR1020120021906 A KR 1020120021906A KR 20120021906 A KR20120021906 A KR 20120021906A KR 101340560 B1 KR101340560 B1 KR 10134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ser
holder
longitudinal direction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9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0573A (en
Inventor
이지휘
Original Assignee
이지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휘 filed Critical 이지휘
Priority to KR102012002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560B1/en
Publication of KR2013010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5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5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 성장 촉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는 사용자의 엉덩이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엉덩이에 착용된 상태로 엉덩이의 양측부에 해당하는 지점에 걸림부재를 제공하는 하네스와; 상기 걸림부재에 그 상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다리 외측면을 커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그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견인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본체부에 대한 견인부의 인출거리를 결정하는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에 의해 인출정도가 결정된 견인부를 그 상태로 고정시키는 스토퍼부를 구비한 인장기와; 상기 견인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종아리 이하의 부위를 견인부에 고정시키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키 성장 촉진기구는, 장치가 매우 간단하고 휴대가 가능하므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어 그만큼 편리하고, 특히 다리를 인장하는 인장력을 개인의 컨디션에 따라 다르게 미세 조절할 수 있으므로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아 부상의 염려가 없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It is worn on the hips of the user, and the harness for providing a catching member at points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hips while being worn on the hips; The upper end portion is detachably fitted to the engaging member,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vides an inner space, and covers a body outer surface of the user's leg, and a length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a portion thereof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 traction part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djusting mea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part to determine a drawing distance of the traction part relative to the main body part, and fixing the traction part in which the drawing degree is determined by the adjusting means. A tensioner having a stopper portion to make; And a holder mounted to the towing unit and fixing a portion below the calf of the user to the towing unit.
The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very convenient and portable, so that the device can be moved and used wherever it is desired. In particular, the tensile force for tensioning the legs can be fin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individual. There is no risk of injury because the knee does not overdo it.

Description

키 성장 촉진기구{Height growth promoting device}Height growth promoting device

본 발명은 키 성장 촉진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산업화 및 인구의 증가에 따라 각종 경쟁이 치열하게 되면서, 최근에는 사람의 체형이나 신장 등의 외적인 모습에 관한 경쟁이나 관심도 매우 커지고 있다. 사실 키가 작은 사람의 경우에 심리적으로 위축되거나, 키가 큰 사람에 비해 제약이 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As industrial competition and population increase, various competitions are fierce, and in recent years, competition and interest in external appearance such as a person's body shape and height have also increased. In fact, in the case of a shorter person, psychological contraction is often achieved, or there are often cases in which the person is shorter than a shorter person.

한편, 과거에 비해 현대인의 평균 신장이 점차 커지고 있는데, 이는 과거에 비해 충분한 영양분을 섭취하고 뼈에 무리가 가는 일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람의 키가 유전적인 요인으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영양상태나 환경적인 것 또는 정신적인 것 등의 후천적인 영향에 의해서도 결정된다는 의미이다.Meanwhile, compared to the past, the average height of modern people is gradually increasing because they eat enough nutrients and do not work on the bones. It means that a person's height is not only determined by genetic factors, but also by acquired influences such as nutritional status, environmental or mental factors.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게 되면서, 근래에는 인위적 방법을 통해 작은 키를 크게 늘리기 위한 각종 장치나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가령 기울어진 베드의 상단부에 발목을 묶은 상태에서 누워 매달려 관절등이 당겨지도록 하는 장치도 있는데, 이러한 것은 베드에 매달려서 자기의 체중에 의해 관절을 늘리는 것이므로 머리쪽으로 피가 몰려 사용이 불편하며, 무릎관절에 필요 이상의 큰 하중이 가해져 오히려 관절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As these facts become known, various devices and methods have recently been proposed for greatly increasing a small key through an artificial method. For example, there is a device to lie down with the ankle tied to the top of the inclined bed so that the joints can be pulled out.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damage the joints rather than apply a large load than necessary.

또한 장치가 어느 정도 이상의 부피나 무게를 가지고 있으므로 일정 장소에 설치될 수밖에 없어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장치가 있는 곳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device has a certain volume or weight of some degree, it has to be installed in a certain place, so that the user must move to the place where the device is used.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11-0000793호(2001.01.25)Republic of Korea Ope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1-0000793 (2001.01.2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7-0006506호(2007.01.1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7-0006506 (2007.01.1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제0391456호(2005.07.25)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91456 (2005.07.25)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장치가 매우 간단하고 휴대가 가능하므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어 그만큼 편리하고, 특히 다리를 인장하는 인장력을 개인의 컨디션에 따라 다르게 미세 조절할 수 있으므로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아 부상의 염려가 없는 키 성장 촉진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device is very simple and portable, so it can be used to move to the desired place, so convenient, and in particular can be fin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tens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ondition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that does not cause an injury to the knee and does not cause injur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키 성장 촉진기구는, 사용자의 엉덩이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엉덩이에 착용된 상태로 사용자의 양측부에 걸림부재를 제공하는 하네스와; 상기 걸림부재에 그 상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다리 외측면을 커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그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견인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본체부에 대한 견인부의 인출거리를 결정하는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에 의해 인출정도가 결정된 견인부를 그 상태로 고정시키는 스토퍼부를 구비한 인장기와; 상기 견인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종아리 이하의 부위를 견인부에 고정시키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worn on the hips of the user, the harness for providing the engaging member on both sides of the user in a state worn on the hips; The upper end portion is detachably fitted to the engaging member,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vides an inner space, and covers a body outer surface of the user's leg, and a length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a portion thereof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 traction part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djusting mea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part to determine a drawing distance of the traction part relative to the main body part, and fixing the traction part in which the drawing degree is determined by the adjusting means. A tensioner having a stopper portion to make; And a holder mounted to the towing unit and fixing a portion below the calf of the user to the towing unit.

또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견인부에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과 치합하여, 피니언의 회전시 피니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견인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기어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djusting means; A pin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part, a rack gear fixed to the towing part and engaged with the pinion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inion when the pinion rotates, and to move the towing 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disposed on the outside and is manipulated by a 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for rotating the pinion.

아울러,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운동에 따라 상기 랙기어를 구성하는 기어이(teeth)의 이동 경로상에 침투하여 상기 견인부가 본체부로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지지톱니와, 상기 지지톱니를 랙기어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지지수단과;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며 착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부재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지지톱니를 기어이로부터 이탈시키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opper unit; Rotating member which is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the rotating shaft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fix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ng member of the gear (teeth) A support tooth that penetrates on the movement path and blocks the towing portion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elastic support means for elastically biasing the support tooth toward the rack gear; It is fixed to the rotating member and operated by the wear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lease lever for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member to release the support teeth from the gear teeth.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견인부의 하단에 위치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착용자의 종아리 이하의 부위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lder; The lower end of the towing portion is installed to be adjustable in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means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portion of the calf of the wearer.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오므라진 상태로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는 한 쌍의 홀더편과, 상기 홀더편을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And a pair of holder pieces surrounding the wearer's ankle in a retracted state, and a torsion hinge elastically supporting the holder piece in a retracting direction.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키 성장 촉진기구는, 장치가 매우 간단하고 휴대가 가능하므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어 그만큼 편리하고, 특히 다리를 인장하는 인장력을 개인의 컨디션에 따라 다르게 미세 조절할 수 있으므로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아 부상의 염려가 없다.The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very convenient and portable, so that the device can be moved and used wherever it is desired. In particular, the tensile force for tensioning the legs can be fin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individual. There is no risk of injury because the knee does not overdo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성장 촉진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홀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인장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스토퍼부의 일부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holder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ensioner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stopper part of FIG. 3 separatel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성장 촉진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성장 촉진기구(10)는, 착용자의 양쪽 다리 외측부에 설치된 상태로, 그 상단부는 하네스(12)를 통해 엉덩이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홀더(28)를 통해 발목부위에 고정된 상태로, 그 길이가 늘어나 키의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다.Basically, the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both legs of the wearer, the upper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hip through the harness 12 and the lower end of the ankle through the holder 28. In the fixed state, the length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height.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성장 촉진기구(10)는, 사용자의 엉덩이에 착용되는 하네스(12)와, 상기 하네스(12)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사각링 형태의 걸림부재(14)에 그 상단부가 끼워 지지되며 하단부는 홀더(28)를 통해 발목부위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인장기(16)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arness 12 worn on a hip of a user and a rectangular ring shap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harness 12. The upper end portion is fitted to the engaging member 14 and the lower end includes a pair of tensioners 16 connected to the ankle portion through the holder 28.

또한, 상기 각 인장기(16)의 외측면는 인장기(16)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26)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26)를 적절히 돌려 인장기(16)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each tensioner 16 is provided with a handle 26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ensioner 16, the user adjusts the length of the tensioner 16 by turning the handle 26 as appropriate do.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하네스(12)는, 버클(12b)에 의해 개폐되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벨트부(12a)와, 상기 벨트부(12a)의 하부에 고정되며 그 사이로 양쪽 다리를 통과시키는 외측지지밴드(12c) 및 내측지지밴드(12d)를 갖는다. 특히 상기 외측지지밴드(12c)는, 벨트부(12a)의 하부로 늘어진 상태로, 양단부가 상기 벨트부(12a)에 고정되며, 내측지지밴드(12d)의 양단부는 외측지지밴드(12c)에 결합한다. The harness 12 is opened and closed by a buckle (12b) and the belt portion 12a surrounding the user's waist, and the outer support band 12c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elt portion 12a and passing both legs therebetween. ) And inner support band 12d. In particular, the outer support band 12c is fixed to the belt portion 12a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the belt portion 12a is hung, and both ends of the inner support band 12d are attached to the outer support band 12c. To combine.

상기 하네스는 직물로 제작된 것으로서, 벨트부(12a)와 외내측지지밴드(12c,12d)는 재봉을 통해 고정된다.The harness is made of fabric, and the belt part 12a and the outer inner support bands 12c and 12d are fixed by sewing.

아울러, 상기 벨트부(12a)의 양측면에는 걸림부재(14)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재(14)는 대략 사각형의 형태로 구부러진 링형 부재로서, 그 일측변이 벨트부(12a)의 외측면에 잡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벨트부(12a)에 대한 걸림부재(14)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belt portion 12a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14). The locking member 14 is a ring-shaped member that is bent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portion 12a. Coupling of the engaging member 14 to the belt portion 12a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상기 걸림부재(14)는 금속봉을 구부려 형성한 것으로서, 벨트부(12a)에 지지된 상태로 위아래로 회동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걸림부재(14)를 금속 이외의 다른 재질 가령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할 수 도 있다.The locking member 14 is formed by bending a metal rod, and of course, can be rotated up and down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elt portion 12a. The locking member 14 may be made of a material other than metal such as synthetic resin.

한편, 상기 인장기(16)는, 상기 걸림부재(14)를 그 상단부에 수용하여 지지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18)와, 상기 본체부(18)의 내부공간(도 3의 18b)에 일부 수용되며 본체부(18)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견인부(20)와, 상기 본체부(18)에 설치되어 본체부(18)에 대한 견인부(20)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어하여 인출거리를 결정하는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에 의해 인출정도가 결정된 견인부(20)를 그 상태로 고정시키는 스토퍼부(30)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nsioner 16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member 14, the main body portion 18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8 (18b of FIG. 3) Is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traction unit 20 and slidingly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unit 18, and installed in the main body unit 18 to control the sliding movement of the traction unit 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18. Adjust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withdrawal distance, and the stopper portion 30 for fixing the towing portion 20 is determined in the state by the adjusting means.

상기 본체부(18)는, 사용자의 양쪽 다리의 바깥쪽면을 커버하는 직사각 단면을 갖는 빔형 부재로서 내부공간(도 3의 18b)을 제공한다.The body portion 18 provides an inner space (18b in FIG. 3) as a beam-shaped member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covering outer surfaces of both legs of the user.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인장기(16)의 내부 구조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인장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An internal structure of the tensioner 16 will first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ensioner illustrated in FIG. 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8)에는 하부로 개방된 내부공간(18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내부공간(18b)은 견인부(20)의 일부를 그 내부에 포함시킨 상태로 견인부(20)의 상하방향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 한다. As shown in FIG. 3, the main body 18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18b opened downward. The inner space 18b guides the upward and downward sliding movement of the towing unit 20 while a part of the towing unit 20 is included therein.

상기 슬라이딩 운동을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18b)에는 다수의 가이드슬릿(18c)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18c)은 본체부(18)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일정폭 및 깊이의 홈으로서, 상기 견인부(20)의 일부를 수용하여 견인부의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견인부(20)의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슬릿(18c)에 삽입되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A plurality of guide slits 18c are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18b to implement the sliding motion more smoothly and stably. The guide slit 18c is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8 and accommodates a part of the towing unit 20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towing unit. Of course, a protrusion (not shown) inserted into the guide slit 18c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raction part 20.

참고로, 상기 슬라이딩 운동시 견인부(20)의 슬라이딩 운동을 최대한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18b)의 내측면과 견인부(20)의 외측면을 면접시킴이 좋다. 이 때 상기 내부공간(18b)의 내측면에 윤활유를 도포할 수 있다.For reference, in order to implemen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traction part 20 as stably as possible during the sliding movement, it is preferable to interview the inner side of the inner space 18b and the outer side of the traction part 20. At this time, the lubricant may b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18b).

또한, 상기 내부공간(18b)의 내부에는 상기한 조절수단의 하나인 피니언(2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24)의 하부에는 스토퍼부(30)가 위치한다. In addition, a pinion 24, which is one of the adjust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18b, and a stopper part 30 is located below the pinion 24.

상기 견인부(20)는, 그 일부가 내부공간(18b)에 삽입되며 본체부(18)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서, 특히 상기 피니언(24)을 그 내부에 포함하는 공간부(20b)를 갖는다. 상기 공간부(20b)는 견인부(20)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된 직사각 구멍으로서, 내향면이 피니언(2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The tow portion 20 is a member,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8b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8, in particular, the space portion 20b including the pinion 24 therein. Has The space portion 20b is a rectangular hol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raction portion 20, and an inward surface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pinion 24.

또한 상기 공간부(20b)의 내향면 중 수직한 일측 내향면에는 랙기어(2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랙기어(22)는 다수의 기어이(22a)를 갖는 일반적인 랙(rack)으로서 견인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피니언(24)에 치합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24)을 기어축(24a)을 중심으로 화살표 a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견인부(20)가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한다.In addition, the rack gear 22 is fixed to one vertical inward surface of the inward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20b. The rack gear 22 is a general rack having a plurality of gears 22a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w portion 20 and engages with the pinion 24. Accordingly, when the pinion 24 is rotated about the gear shaft 24a in the arrow a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the traction unit 20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견인부(20)의 하단에는 홀더지지슬릿(20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홀더지지슬릿(20a)은, 견인부(2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장공으로서 후술할 홀더(28)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홀더(28)는 홀더지지슬릿(20a)에 지지된 상태로 홀더지지슬릿(20a)의 연장방향을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A holder support slit 20a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owing unit 20. The holder support slit 20a supports the holder 28 to be described later as a through hole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tion part 20. Accordingly, the holder 28 may be adjusted in position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lder support slit 20a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holder support slit 20a.

이와 같이 홀더(28)의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한 이유는, 본 실시예의 키 성장 촉진기구(10)를 사용하는 사람마다 체형이 다르기 때문이다. 상기 홀더(28)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reason why the position of the holder 28 can be adjusted in this way is because the body shape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using the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der 28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면부호 20c 는 눈금부이다. 상기 눈금부(20c)는 견인부(20)의 외측면에 마킹된 길이측정용 눈금으로서, 본체부(18)에 대한 견인부(20)의 인출 길이를 알려준다.Reference numeral 20c denotes a graduation part. The scale portion 20c is a scale for measuring the length mark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ow portion 20, and informs the withdrawal length of the tow portion 20 relative to the main body portion 18.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8)의 외측면에 손잡이(26)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손잡이(26)는 기어축(24a)을 축회전 시키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6)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상기 본체부(18)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피니언(24)이 회전하며 견인부(20)를 움직인다. 상기 손잡이(26)를 작동함에 의해, 본체부(18)에 대한 견인부(20)의 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back to Figure 1, it can be seen that the handle 26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8. The handle 26 is for axially rotating the gear shaft 24a.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26 to the left and right, the pinion 24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8 rotates to move the towing unit 20. By operating the handle 26, the withdrawal length of the tow portion 20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18 can be adjusted.

상기 기어축(24a)은 본체부(18)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로서, 상기 본체부(18)의 내부에서 피니언(24)에 결합하고, 본체부(18)의 외부에서 손잡이(26)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26)와 피니언(24)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The gear shaft 24a is a shaft penetrating the main body 18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pinion 24 inside the main body 18, and the handle 26 outside the main body 18. Is fixed to. Thus, the handle 26 and the pinion 24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time.

여하튼, 상기 본체부(18)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피니언(24)과, 상기 피니언(24)에 치합하는 랙기어(22)와, 상기 본체부(18)의 외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손잡이(26)는 상호 동력 이음되어 상기한 조절수단을 구성한다. In any case, the pinion 24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8, the rack gear 22 engaged with the pinion 24, and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18 are operated by the user. The handle 26 is mutually power jointed to constitute the above adjustment means.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26)를 디스크형으로 적용하였지만, 손잡이의 형식은 상기 기어축(24a)을 축회전 시킬 수 있는 한 다른 형태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손잡이(26)의 형태뿐만 아니라 피니언(24)과 랙기어(22)의 치합으로 인하여 견인부(20)가 작동하는 힘의 변형 또한 변경 가능하다. 손잡이(26)를 이용한 수동 작동뿐 아니라 내부공간에 소형모터를 장착하여 소형모터의 톱니와 피니언(24)이 치합하여 랙기어(22)에 작용하여 견인부(20)를 밀어내는 형식으로도 변경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26 is applied in a disk shape, but the type of the handle can be changed to any other form as long as it can rotate the gear shaft 24a. Not only the shape of the handle 26 but also the deformation of the force acting by the towing unit 20 due to the engagement of the pinion 24 and the rack gear 22 can be changed. In addition to the manual operation using the handle 26, the small motor is mounted in the internal space so that the teeth and the pinion 24 of the small motor are engaged to act on the rack gear 22 to push the towing unit 20. It is possible.

또한 상기 손잡이(26)의 하부에는 레버구멍(18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구멍(18e)은 스토퍼부(30)를 이루는 해제레버(도 4의 30c)가 통과하는 장공형 구멍이다. 상기 해제레버(30c)는 레버구멍(18e)을 통과하여 본체부(18)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부(18)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해제레버(30c)를 잡아 스토퍼부(30)의 회동부재(도 3의 30a)를 화살표 b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lever hole 18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26. The lever hole 18e is a long hole through which a release lever (30c in FIG. 4) constituting the stopper portion 30 passes. The release lever 30c extends out of the main body 18 through the lever hole 18e. Therefore, the user can grab the release lever 30c protruding out of the main body 18 to switch the rotation member (30a of FIG. 3) of the stopper 30 in the direction of arrow b.

한편, 상기 견인부(20)의 하단에 구비되는 홀더(28)는, 사용자의 발목부위를 감싸 견인부(20)에 발목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홀더(28)는 반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그 일단부가 토션힌지(28b)로 연결되어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한 쌍의 홀더편(28a)과, 상기 홀더편(28a)을 홀더지지슬릿(20a)에 링크시키는 슬라이딩블록(28c)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lder 28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towing unit 20, and serves to secure the ankle to the towing unit 20 wrapped around the user's ankle. The holder 28 is in the form of a semi-cylinder,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torsion hinge 28b, and a pair of holder pieces 28a which are elastically biased in the retracting direction, and the holder pieces 28a are held by the holder. It includes a sliding block 28c for linking to the slit 20a.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홀더(28)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illustrat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holder 28 shown in FIG.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8)는, 반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토션힌지(28b)를 통해 연결되는 한 쌍의 홀더편(28a)과, 상기 홀더편(28a)의 내향면에 고정되는 쿠션부재(28d)와, 상기 토션힌지(28b)의 후방에 고정되는 볼트부(28g)와, 상기 볼트부(28g)에 나사 결합하며 홀더지지슬릿(20a)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딩블록(28c)을 포함한다.As shown, the holder 28 is in the form of a semi-cylinder and is connected to the pair of holder pieces 28a connected through the torsion hinge 28b, and fixed to the inward surface of the holder pieces 28a. 28d of cushion members, a bolt portion 28g fixed to the rear of the torsion hinge 28b, and a sliding block screwed to the bolt portion 28g and supported by a holder support slit 20a for sliding movement. (28c).

상기 홀더편(28a)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토션힌지(28b)에 의해 화살표 c방향으로 모아진 상태로 원통의 형태를 만들어 발목부위를 그 내부에 수용한다. 상기 홀더편(28a)의 내향면에 고정되는 쿠션부재(28d)는, 탄성력을 갖는 스폰지나 실리콘 또는 헝겊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발목부위의 피부를 부드럽게 감싸, 촉진기구의 사용시 발목부위가 아프지 않도록 한다.The holder piece 28a is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forms a cylindrical shape in the state coll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by the torsion hinge 28b to accommodate the ankle part therein. The cushion member 28d fixed to the inward surface of the holder piece 28a is made of an elastic sponge, silicone or cloth, and gently wraps the skin of the ankle area so that the ankle area does not hurt when the accelerator is used. .

또한 상기 토션힌지(28b)는 그 내부에 토션스프링을 내장한 공지의 기계요소로서 상기 홀더편(28a)을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In addition, the torsion hinge 28b is a known mechanical element having a torsion spring embedded therein,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holder piece 28a in a retracting direction.

상기 슬라이딩블록(28c)의 상하면에는 홈(28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28e)은 홀더지지슬릿(20a)에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슬라이딩블록(28c)이 홀더지지슬릿(20a)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블록(28c)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구(28f)에 상기 볼트부(28g)를 결합하면, 상기 홀더편(28a) 조립체는 견인부(20)의 하단부에 견고히 위치하며 홀더지지슬릿(20a)의 연장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된다. Grooves 28e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liding block 28c. The groove 28e is a portion to be fitted to the holder support slit 20a, and prevents the sliding block 28c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holder support slit 20a. Therefore, when the bolt portion 28g is coupled to the female threaded opening 28f formed in the sliding block 28c, the holder piece 28a assembly is firmly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towing portion 20 and the holder support slit (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20a).

한편, 상기 스토퍼부(30)는, 본체부(18)에 대한 견인부(20)의 인출 길이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견인부(20)가 본체부(18)로부터 어떤 길이만큼 인출된 상태에서 견인부(20)가 본체부(18)로 다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opper portion 30 serves to maintain the withdrawal length of the towing portion 20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18.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tow portion 20 is drawn out from the body portion 18 by a certain length, the tow portion 20 is blocked from entering the body portion 18 again.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는 스토퍼부(30)는, 대략 ㄱ 자로 절곡된 형태를 취하며 회동축(30b)에 지지되어 도 3의 화살표 b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회동부재(30a)와, 상기 회동부재(30a)의 일단에 고정되며 삼각판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랙기어(22)의 기어이(22a) 사이의 골 내부로 진입하는 지지톱니(30e)와, 상기 회동부재(30a)를 화살표 b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The stopper part 30 which is in charge of this function has a shape which is bent approximately a-shape and is supported by the rotational shaft 30b and is rotatable in the direction of arrow b or the opposite direction of FIG. It is fix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member (30a) and takes the form of a triangular plate and the support teeth (30e) to enter the inside of the bone between the gears (22a) of the rack gear 22, and the rotating member (30a) arrow b It includes an elastic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irection.

상기 탄성수단은, 회동부재(30a)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회동부재(30a)를 당기는 인장스프링(30f)을 포함한다. 상기 인장스프링(30f)은 일단부가 회동부재(30a)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걸이구멍(30k)에 끼워지고 타단부가 지지돌기(30g)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톱니(30e)를 랙기어(22)측으로 탄성 지지한다.The elastic means includes a tension spring (30f)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member (30a) to pull the rotating member (30a). The tension spring 30f has one end fitted into a spring hook hole 30k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member 30a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upport protrusion 30g, thereby racking the support teeth 30e. It elastically supports to the gear 22 side.

상기 지지돌기(30g)는 내부공간(18b)에 형성된 돌출부로서 인장스프링(30f)의 단부를 걸어 지지하는 부분이다.The support protrusion 30g is a protrusion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18b to support the end of the tension spring 30f.

상기한 회동부재(30a)의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member 30a is as shown in FIG.

도 4는 상기 도 3의 스토퍼부(30)의 일부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stopper part 30 of FIG. 3 separately.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30a)는 일정두께를 가지며 ㄱ 자로 굽어진 형태를 취하며, 회동축(30b)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톱니(30e)는 대략 직각삼각형의 톱니형태를 취하며 회동부재(30a)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톱니(30e)는 회동부재(30a)에 용접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As shown, the rotating member 30a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a bent shape, a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30b. In addition, the support teeth 30e have a substantially right triangle tooth shape and are fixed to the rotation member 30a. The support tooth 30e may be fixed to the rotating member 30a by weld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키 성장 촉진기구(10)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using the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사용자는 상기 하네스(12)를 착용한다. 하네스(12)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하네스(12)의 버클(12b)을 풀고 상기 다리통로(12e)를 통해 다리를 넣은 후 하네스(12)를 올려 버클(12b)을 채운다.First, the user wears the harness 12. In order to wear the harness 12, the buckle 12b of the harness 12 is released, the leg is inserted through the leg passage 12e, and the harness 12 is raised to fill the buckle 12b.

상기 과정을 통해 하네스(12)의 착용이 완료되었다면, 상기 인장기(16)를 다리의 외측면에 채운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26)와 해제레버(30c)를 이용해 인장기(16)의 총 길이를 먼저 조절한 후, 상기 끼움홈(18a)에 걸림부재(14)를 끼우고, 발목부에 홀더(28)를 채운다.If the harness 12 is worn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tensioner 16 is fi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g. To this end, the total length of the tensioner 16 is first adjusted using the handle 26 and the release lever 30c, and then the locking member 14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8a, and the holder is attached to the ankle portion. Fill in 28.

상기 인장기(16)도 착용하였다면, 상기 손잡이(26)를 회전시켜, 본체부(18)로부터 견인부(20)를 밀어낸다. 본체부(18)로부터 견인부(20)가 빠져나감에 따라 홀더(28)에 고정되어 있는 발목부도 같은 방향으로 인장된다. If the tensioner 16 is also worn, the handle 26 is rotated to push the pull unit 20 out of the main body 18. As the tow portion 20 is pulled out of the main body portion 18, the ankle portion fixed to the holder 28 is also tensioned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견인부(20)가 원하는 만큼 인출되었다면 손잡이(26)를 놓고 그 상태로 대기한다. 손잡이(26)를 놓더라도 상기 스토퍼부(30)의 작용에 의해 견인부(20)가 다시 들어갈 염려가 없다.If the tow portion 20 is drawn out as desired, the handle 26 is placed and waits in that state. Even if the handle 26 is released, there is no fear that the traction part 20 will reenter by the action of the stopper part 30.

원하는 시간동안의 인장이 완료되었다면, 상기 해제레버(30c)를 화살표 b방향으로 재껴 랙기어(22)를 스토퍼부(30)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다리에 가해지던 인장력을 제거하고, 발목부를 홀더(28)로부터 분리한다. When the tension for the desired time is completed, the tension lever applied to the leg is removed by retracting the release lever 30c in the direction of arrow b and separating the rack gear 22 from the stopper portion 30, and the ankle portion is held by the holder 28. Separate from.

상기 홀더(28)가 발목부로부터 분리되었다면 상기 걸림부재(14)를 끼움홈(18a)으로부터 빼내어 인장기(16)를 다리로부터 떼어내고 모든 과정을 마친다.If the holder 28 is separated from the ankle portion, the locking member 14 is pulled out from the fitting groove 18a to remove the tensioner 16 from the leg to complete the whole process.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키성장 촉진기구 12:하네스 12a:벨트부
12b:버클 12c:외측지지밴드 12d:내측지지밴드
12e:다리통로 14:걸림부재 16:인장기
18:본체부 18a:끼움홈 18b:내부공간
18c:가이드슬릿 18e:레버구멍 20:견인부
20a:홀더지지슬릿 20b:공간부 20c:눈금부
22:랙기어 22a:기어이(teeth) 24:피니언
24a:기어축 26:손잡이 28:홀더
28a:홀더편 28b:토션힌지 28c:슬라이딩블록
28d:쿠션부재 28e:홈 28f:암나사구
28g:볼트부 30:스토퍼부 30a:회동부재
30b:회동축 30c:해제레버 30e:지지톱니
30f:인장스프링 30g:지지돌기 30k:스프링걸이구멍
10: key growth promotion mechanism 12: harness 12a: belt portion
12b: buckle 12c: outer support band 12d: inner support band
12e: Bridge passage 14: Jamming member 16: Tensile device
18: main body 18a: fitting groove 18b: inner space
18c: Guide slit 18e: Lever hole 20: Tow part
20a: Holder Support Slit 20b: Space 20c: Scale
22: Rack gear 22a: Teeth 24: Pinion
24a: Gear Shaft 26: Handle 28: Holder
28a: holder side 28b: torsion hinge 28c: sliding block
28d: Cushion member 28e: Groove 28f: Female thread
28 g: Bolt portion 30: Stopper portion 30a: Rotating member
30b: pivot 30c: release lever 30e: support tooth
30f: Tensile spring 30g: Supporting protrusion 30k: Spring hanger hole

Claims (5)

사용자의 엉덩이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엉덩이에 착용된 상태로 사용자의 양측부에 걸림부재를 제공하는 하네스와;
상기 걸림부재에 그 상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다리 외측면을 커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그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견인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본체부에 대한 견인부의 인출거리를 결정하는 조절수단과, 상기 조절수단에 의해 인출정도가 결정된 견인부를 그 상태로 고정시키는 스토퍼부를 구비한 인장기와;
상기 견인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종아리 이하의 부위를 견인부에 고정시키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성장 촉진기구.
A harness which is worn on the hips of the user and provides a locking member on both sides of the user while being worn on the hips;
The upper end portion is detachably fitted to the engaging member,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vides an inner space, and covers a body outer surface of the user's leg, and a length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a portion thereof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 traction part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djusting mea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part to determine a drawing distance of the traction part relative to the main body part, and fixing the traction part in which the drawing degree is determined by the adjusting means. A tensioner having a stopper portion to make;
And a holder mounted to the towing unit and fixing a portion below the calf of the user to the tow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견인부에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과 치합하여, 피니언의 회전시 피니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견인부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기어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성장 촉진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adjusting means is;
A pinion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 rack gear fixed to the towing unit and engaged with the pinion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inion to move the towing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pinion rotates;
And a handle disposed outside the main body and operated by a user to rotate the pin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에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운동에 따라 상기 랙기어를 구성하는 기어이(teeth)의 이동 경로상에 침투하여 상기 견인부가 본체부로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지지톱니와,
상기 지지톱니를 랙기어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지지수단과;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며 착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부재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지지톱니를 기어이로부터 이탈시키는 해제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성장 촉진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opper portion;
A rotating member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ng shaft;
A support tooth fixed to one end of the pivot member and penetrating on a movement path of a gear forming the rack gear according to the pivoting motion of the pivot member to block the towing portion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Elastic support means for elastically biasing the support teeth to the rack gear side;
And a release lever fixed to the pivot member and operated by a wearer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e pivot member to release the support teeth from the gea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견인부의 하단에 위치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착용자의 종아리 이하의 부위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성장 촉진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er comprising:
A key growth promoting mechanism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towing portion, the fixing means for holding and supporting the portion of the wearer's calf or les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오므라진 상태로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는 한 쌍의 홀더편과,
상기 홀더편을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성장 촉진기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xing means is;
With a pair of holder pieces which wrap up ankle of the wearer in a closed state,
And a torsion hinge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holder piece in a retracting direction.
KR1020120021906A 2012-03-02 2012-03-02 Height growth promoting device KR1013405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906A KR101340560B1 (en) 2012-03-02 2012-03-02 Height growth promo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906A KR101340560B1 (en) 2012-03-02 2012-03-02 Height growth promo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573A KR20130100573A (en) 2013-09-11
KR101340560B1 true KR101340560B1 (en) 2013-12-12

Family

ID=4945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906A KR101340560B1 (en) 2012-03-02 2012-03-02 Height growth promo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5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798A (en) 2014-07-25 2016-02-03 신광의료기산업(주) Growth promoting apparatus
KR20200024463A (en) * 2018-08-28 2020-03-09 주식회사 아이키 Implanting type bone growth promoting apparatus that can be manipulated from outside the bod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645B1 (en) * 2013-11-12 2015-08-17 이제호 Diaper changing bed
CN105476705A (en) * 2015-12-30 2016-04-13 夏周阳 Convenient orthopedics tractor with adjustable angle
KR102093024B1 (en) * 2018-06-08 2020-03-24 주식회사 아이키 Non-implanting type bone growth promoting apparatus that can be manipulated from outside the body
KR102093023B1 (en) * 2018-06-08 2020-03-24 주식회사 아이키 Implanting type bone growth promoting apparatus that can be manipulated from outside the body
KR200493230Y1 (en) * 2019-09-23 2021-02-22 채용수 the supporter for a growth
CN114525394B (en) * 2022-01-19 2024-05-17 南京科赫科技有限公司 Disc spring heat treatment method and heat treatment system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653B1 (en) 1997-11-03 2000-06-01 최인호 Convertible abduction brace
KR200304777Y1 (en) 2002-11-05 2003-02-15 김동현 The remedy device for extending a leg, arm, spine and neck bone
KR100648639B1 (en) 2005-12-23 2006-11-23 오정길 Knee joint extension apparatus
KR101005166B1 (en) 2008-10-23 2011-01-04 김은영 the leg stretcher for stimulating growth plates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653B1 (en) 1997-11-03 2000-06-01 최인호 Convertible abduction brace
KR200304777Y1 (en) 2002-11-05 2003-02-15 김동현 The remedy device for extending a leg, arm, spine and neck bone
KR100648639B1 (en) 2005-12-23 2006-11-23 오정길 Knee joint extension apparatus
KR101005166B1 (en) 2008-10-23 2011-01-04 김은영 the leg stretcher for stimulating growth plates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798A (en) 2014-07-25 2016-02-03 신광의료기산업(주) Growth promoting apparatus
KR20200024463A (en) * 2018-08-28 2020-03-09 주식회사 아이키 Implanting type bone growth promoting apparatus that can be manipulated from outside the body
KR102224244B1 (en) * 2018-08-28 2021-03-08 주식회사 아이키 Implanting type bone growth promoting apparatus that can be manipulated from outside th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573A (en)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560B1 (en) Height growth promoting device
RU2602958C1 (en) Adjustable link
DE19634670C2 (en) Belt arrangement for carrying a hand-held implement
US20090211385A1 (en) Adjusting device, especiall for a helmet
US20070080183A1 (en) Backpack with lateral sliding module
DE112014004008T5 (en) Belt tensioning device and method of deployment therefor
DE102010000038A1 (en) Arrangement for installation of slackline, particularly in school sport, comprises line which is stretched by ratchet between two fixed points, where ratchet is directly provided at end of line, and ratchet has hook
DE102016005193A1 (en) Easily adjustable and self-closing magnetic belt with easily removable and replaceable magnetic top belt buckle
DE4102498C2 (en)
CN100559980C (en) The hand-retaining device that is used for fixing the particularly gloves on the cane handle
EP2505233B1 (en) Muscular toning device
DE102007022443B4 (en) carrying device
KR20080092203A (en) The self-adjusting device of a belt
AT15145U1 (en) Bag for devices for pushing on a belt
KR102522037B1 (en) Multipurpose fixing apparatus
DE202009001165U1 (en) Ski vest, ski equipment element and clothing / equipment part
DE202015007109U1 (en) purse
KR20210006179A (en) Belt retainer and buckle having the belt retainer
DE60005880T2 (en) Shoe buckle
DE202006012301U1 (en) Ski carrier for transport of skis and sticks, has shoulder strap, connected to continuous belt, having strap or belt section connected at its both ends, where strap is made from synthetic fibers e.g. polyamide fiber
DE202008017826U1 (en) Wickelkind holder
US20110101047A1 (en) Foot support device
CN211095112U (en) Department of neurology patient restraint device
DE202010016350U1 (en) Strap with belt clip
EP2033536A2 (en) Device for preventing purses and similar containers from being lo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