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484B1 -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 - Google Patents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484B1
KR101340484B1 KR1020110144096A KR20110144096A KR101340484B1 KR 101340484 B1 KR101340484 B1 KR 101340484B1 KR 1020110144096 A KR1020110144096 A KR 1020110144096A KR 20110144096 A KR20110144096 A KR 20110144096A KR 101340484 B1 KR101340484 B1 KR 101340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wder
color
skin
silkworm s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836A (ko
Inventor
이희삼
권해용
류강선
강필돈
박광영
김미자
박명기
손용호
김성현
김상규
임성빈
최병훈
하수연
Original Assignee
포쉬에화장품 주식회사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쉬에화장품 주식회사,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포쉬에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4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4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5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은,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의 전체중량 대비 5~20중량%의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유해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피부 세포에 독성이 없으며, 순도변화도 적고 덩어리지거나 산폐 등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갈변하는 위험성도 없으며, 특히 화장한 상태에서 그 위에 덧바를 경우 색조발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빛을 받을 시 화사한 피부빛을 연출해 줌과 동시에 피부 보습력 및 탄력성이 우수한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MAKEUP POWDER COSMETIC PREPARED BY USING SILK-GLAND POWDER OF SILKWORM}
본 발명은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독성이 없으면서 화학적 반응에 의해 갈변하는 위험성도 없는 누에 생실샘의 미세분말을 포함하여 덧바르는 색조의 발색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빛을 받을 시 화사한 피부빛을 연출해 줌과 동시에 피부 보습력 및 탄력성이 우수한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장료의 성분으로는 대개 인공으로 합성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연약한 피부에 손상을 주거나 건강하고 윤택한 피부로 재생시키는 효과는 뒤떨어지는 실정이다.
또한, 심한 경우 피부발진이나,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매우 심각한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미용관련 제품에 보습효과가 있고 미백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을 이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천연물들은 어느 정도의 피부미백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수분흡수력 및 보습력의 측면에서는 그리 만족할 만한 특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누에고치를 이루고 있는 단백질은 피브로인과 세리신이 있다. 그 중에서 세리신(sericin)은 세포증식효과가 우수하여 혈청대체제로 사용가능하며 피부코팅효과, 보습, 항산화능, 피부친화력 등의 효과를 갖고 있어 화장품의 주재료로 유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누에고치를 이용한 화장품은 실크단백질의 보습성, 생체적합 등의 기능성 효과를 이용하여 고급화장품 생산에 활용하였으나, 실크단백질을 따로 분리하여 그 공정이 복잡하고 기간이 오래 걸려 양잠농가의 실질적인 소득 품목으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고, 특히 현재까지 공지된 발명들은 리튬브로마이드(LiBr)와 같은 유해한 용매를 사용하거나 고온가열을 사용하는 등 인체 유해하며, 그 수율 또한 낮은 문제가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특2002-0049165호(공개일: 2002년 6월 26일, 명칭: 살균작용을 갖는 조성물, 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및 자외선 차단제)과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44085호(공개일: 2011년 04월 28일, 명칭: 익은누에 동결건조에 의한 실샘분리 방법 및 실샘분말 제조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피부 세포에 독성이 없으며, 순도변화가 적고 화학적 반응에 의한 갈변의 위험성이 없는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므로써 덧바르는 색조의 발색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빛을 받을 시 화사한 피부빛을 연출해 줌과 동시에, 우수한 피부 보습력 및 탄력성을 갖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은 화장품 전체중량 대비 5~20중량%의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은 색소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바람직하게는 화장품의 전체중량 대비 0중량% 초과 ~ 5중량% 미만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은 경질 마그네슘카보네이트, 카올린, 방부제, 색소, 향료, 탤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에생실샘 미세분말과 상기 경질 마그네슘카보네이트는 10:0.5~10:1.5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은 5~20중량%, 상기 경질 마그네슘카보네이트는 0중량% 초과~2중량% 이하, 상기 카올린은 0중량% 초과~0.2중량% 이하, 상기 방부제는 0중량% 초과~0.5중량% 이하, 상기 색소는 0중량% 초과~5중량% 이하. 상기 향료는 0중량% 초과~0.5중량% 이하 및 나머지 탤크 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은 5령 7일 숙잠에서 유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은 누에를 급속 동결건조한 후 채취된 생실샘을 분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유해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피부 세포에 독성이 없으며, 순도변화도 적고 덩어리지거나 산폐 등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갈변하는 위험성도 없으며, 특히 화장한 상태에서 그 위에 덧바를 경우 색조발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빛을 받을 시 화사한 피부빛을 연출해 줌과 동시에 피부 보습력 및 탄력성이 우수한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이 제공된다.
도 1은 초미세분말로 된 누에생실샘의 SEM(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
도 2는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의 피부 세포독성에 대해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 사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기술 등은 특별한 한정이 없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은 우수한 피부 보습력과 탄력성을 갖으면서 순도변화가 적고 화학적 반응에 의한 갈변의 위험성도 없도록 함을 목적으로 화장품 전체중량 대비 5~20중량%의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이 5중량% 미만 함유된 경우, 피부탄력성 및 보습성이 낮게 나타나고, 20중량% 초과한 경우에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의 재료들과의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해 파우더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상태의 제품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상기 누에 생실샘 미세분말은 화장품 전체중량 대비 5~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누에 생실샘 미세분말의 입자크기는 기초화장 후 덧바르는 색조의 발색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추가되는 다른 재료들과의 잘 융합되도록 하기 위해, 600 메쉬이하의 초미세분말상태로 가공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순도변화가 적고 화학적 반응에 의한 갈변의 위험성도 없도록 하기 위해 누에를 급속 동결건조한 후 채취된 생실샘을 분쇄하여 제조된 누에 생실샘 미세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누에의 종으로는 누에생실샘을 수득할 수 있는 누에로 여겨지는 모든 종은 사용가능하며, 그 중 우수한 피부 보습력과 탄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5령 7일 숙잠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은 화장품의 여러 제형의 형태 중 색조 파우더용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상기 누에 생실샘 미세분말에 색소가 더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화장품의 전체중량 대비 0중량% 초과 ~ 5중량% 미만으로 더 포함한다.
즉, 색조 파우더용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색소의 함량이 0중량% 초과로 함유되어야 하며, 상기 색소(pigment)는 물체의 색깔이 나타나도록 해주는 성분으로 높은 소비자 선호도를 유출해 내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므로 5중량% 를 초과할 경우에는 색이 너무 강해 오히려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떨어뜨리게 되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색조 파우더용으로 상용되는 성분으로 경질 마그네슘카보네이트, 카올린, 방부제, 색소, 향료, 탤크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으로써 하나의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이 제공된다.
이때, 추가적으로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더 높여줄 수 있는 향 성분 또는 기능성 성분들로 이루어진 기타 첨가제들을 첨가하기도 한다.
상기 경질 마그네슘카보네이트(light magnesium carbonate)는 경질탄산마그네슘이라고도 하며 함수 알칼리마그네슘카보네이트 또는 함수정마그네슘카보네이트로도 불리우는 것으로써, 벌킹제, 불투명화제, pH조정제, 흡수제로 흔히 사용된다.
상기 카올린(kaolin)은 천연의 함수알루미늄실리케이트로써, 상피박탈제, 궤양, 창상면, 또는 습진과 같은 피부질환에 산포해서 피부를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흔히 스크럽제, 흡수제, 안티케이킹제, 벌킹제, 불투명화제, 피부보호제, 미끄럼 개선제로 사용된다.
상기 방부제는 세균과 미생물의 번식과 부패를 방지하는 물질로써, 화장품은 만들어진 그 순간부터 변질 부패가 시작되므로 화장품의 유통과 변질 방지를 위해서 통상적으로 첨가되며, 방부제로는 에탄올,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벤조산, 이미다조리디닐 우레아, 파라옥시 안식향산 이외에 식약청에 인증 받은 방부제를 포함하여 70 여종의 화학적 방부제 등이 사용된다.
상기 향료(perfume)는 화장품에 향기부여를 목적으로 첨가하는 향기가 강한 유기물질로써, 상온에서 휘발성이 우수하여, 높은 소비자 선호도를 유출해 내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탤크(Talc)는 운모와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암석으로 흔히 화장품 재료로 사용되며, 땀이나 피지를 흡수하여 화장이 돋보이게 해주며, 부드러운 촉감을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재료들을 사용하되, 순도변화가 가장 적고, 특히 화장한 상태에서 그 위에 덧바를 경우 색조발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빛을 받을 시 화사한 피부빛을 연출해 줌과 동시에 피부 보습력 및 탄력성이 우수한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조건으로 상기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은 5~20중량%, 상기 경질 마그네슘카보네이트는 0중량% 초과~2중량% 이하, 상기 카올린은 0중량% 초과~0.2중량% 이하, 상기 방부제는 0중량% 초과~0.5중량% 이하, 상기 색소는 0중량% 초과~5중량% 이하. 상기 향료는 0중량% 초과~0.5중량% 이하 및 나머지 탤크 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색조 파우더 속에 상기 누에생실샘 미세분말과 상기 경질 마그네슘카보네이트는 10:0.5~10:1.5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대적으로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의 함량의 범위가 상기 중량비보다 적은 경우 목적하는 피부의 탄력성 및 보습성이 떨어지게 되며, 상기 중량비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질 마그네슘카보네이트의 함량이 너무 적게 함유되어 화장시 화장이 뭉쳐져서 매끄럽게 발려지지 않으면서 오히려 칙칙한 피부를 나타낼 수도 있어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으로서 사용하기 부적합한 상태로 제조된다.
이에, 유해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피부 세포에 독성이 없으며, 순도변화도 적고 덩어리지거나 산폐 등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갈변하는 위험성도 없으며, 특히 화장한 상태에서 그 위에 덧바를 경우 색조발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빛을 받을 시 화사한 피부빛을 연출해 줌과 동시에 피부 보습력 및 탄력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이 제공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 제조
1.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제조
먼저 누에로 5령 7일 숙잠을 준비하고 이를 동결건조하였다.
상기 동결 건조물을 통해 실샘을 분리하고 이 분리된 실샘을 원심식 초미세분쇄기에 투여하여 초미세분말로 가공하여 600메쉬 정도의 입도를 갖는 초 미세분말로 제조하였으며, 이를 SEM(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통해 확인한 바 도 1과 같이 나타났다.
2.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 제조
상기 제조된 누에생실샘 미세분말 10g에 경질 마그네슘카보네이트 0.96g, 카올린 0.09g, 색소 0.87g, 방부제 0.1g, 향료 0.1g 및 나머지 탤크를 넣어 총 100g의 본 발명인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도 3)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 제조
경질 마그네슘카보네이트 0.96g, 카올린 0.09g, 색소 0.87g, 방부제 0.1g, 향료 0.1g 및 나머지 탤크를 넣어 총 100g의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 세포독성확인
1. 실험방법
상기 본 발명에 포함된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대상으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2. 실험결과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에 포함된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은 시간별, 농도별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바, LC50(Lethal concentration/반수치사 농도:어떤 생물을 독성물질에 노출시켰을때 50%가 죽는 농도) 이하의 값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피부 세포에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피부 보습성 확인
상기 본 발명인 실시예 1의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에 대한 피부 보습력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시행하였다.
비교대상으로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상기 비교예 1의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을 사용하였다.
1. 실험방법
20세 내지 50세의 연령층 중 정상피부(NS), 지성피부(OS), 건성피부(DS)를 갖는 여성 총30명을 대상으로 1일 1회씩 3주간 실시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장품은 왼쪽 안면에 화장하고, 비교예 1의 화장품은 오른쪽 안면에 화장하였다.
측정기기로는 피부수분측정기(CORNEOMETER)기를 사용하였으며, 피부보습력의 평가기준으로는 다음과 같다.
개선없음(0=0), 약간향상(+=1), 다소향상(++=2),
명확하게 향상(+++=3), 매우 명확하게 향상(++++=4))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번호 연령 피부상태 비교예 1 실시예 1
1 35 OS + ++
2 45 DS + ++
3 47 DS + +
4 37 NS 0 +
5 29 NS ++ +++
6 33 OS + +++
7 37 NS 0 ++
8 43 DS 0 ++
9 56 DS + ++
10 37 NS 0 +
11 43 DS + ++
12 44 NS ++ ++
13 49 DS 0 ++
14 29 OS 0 +
15 23 NS 0 ++
16 38 NS 0 +
17 47 DS + ++
18 49 DS 0 ++
19 47 DS 0 ++
20 46 NS + ++
21 44 NS + ++
22 38 NS 0 ++
23 47 DS 0 ++
24 44 DS + ++
25 41 NS + +++
26 48 DS ++ ++
27 38 NS 0 ++
28 33 NS + ++
29 37 DS + ++
30 33 NS 0 ++
합계 19 59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측정된 본 발명인 실시예 1의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의 평가기준치가 비교예 1의 화장품에 비해 40이 더 많아서 피부 보습력이 210%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인 실시예 1의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높은 피부 보습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탄력성 확인
상기 본 발명인 실시예 1의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에 대한 피부 탄력성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시행하였다.
비교대상으로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상기 비교예 1의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을 사용하였다.
1. 실험방법
20세 내지 50세의 연령층 중 정상피부(NS), 지성피부(OS), 건성피부(DS)를 갖는 여성 총30명을 대상으로 1일 1회씩 3주간 실시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장품은 왼쪽 안면에 화장하고, 비교예 1의 화장품은 오른쪽 안면에 화장하였다.
측정기기로는 피부진단시스템(Etude System)기를 사용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번호 연령 피부상태 비교예 1 실시예 1
3주전 3주후 3주전 3주후
1 35 OS 59 62 3 58 65 7
2 45 DS 58 62 4 59 67 8
3 47 DS 64 68 4 66 70 4
4 37 NS 66 70 4 68 75 7
5 29 NS 68 70 2 70 76 6
6 33 OS 64 68 4 65 71 6
7 37 NS 63 67 4 62 70 8
8 43 DS 62 65 3 63 72 9
9 56 DS 53 54 1 53 65 12
10 37 NS 65 70 5 66 75 9
11 43 DS 58 63 5 60 71 11
12 44 NS 65 68 3 65 75 10
13 49 DS 62 67 5 61 72 11
14 29 OS 61 64 3 60 72 12
15 23 NS 60 63 3 61 70 9
16 38 NS 65 68 3 65 72 7
17 47 DS 63 67 4 62 75 13
18 49 DS 62 66 4 61 75 14
19 47 DS 58 62 4 57 70 13
20 46 NS 59 62 3 60 72 12
21 44 NS 62 65 3 60 72 12
22 38 NS 59 62 3 59 75 16
23 47 DS 63 64 1 63 70 7
24 44 DS 66 67 1 65 70 5
25 41 NS 63 64 1 62 70 8
26 48 DS 62 65 3 63 70 7
27 38 NS 61 63 2 62 75 13
28 33 NS 60 67 7 62 70 8
29 37 DS 61 64 3 60 71 11
30 33 NS 65 68 3 64 69 5
합계 98 280
상기 표 2에 나타나 있듯이, 피부탄력성은 본 발명인 실시예 1의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이 비교예 1의 화장품에 비해 그 차이가 182나 많아, 피부 탄력성이 185%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인 실시예 1의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이 피부탄력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의 입도 측정
상기 본 발명인 실시예 1의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의 입도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시행하였다.
비교대상으로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상기 비교예 1의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을 사용하였다.
1. 실험방법
상기 본 발명인 실시예 1의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와 비교예 1의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을 대상으로 입자측정기(Particle Sizer)를 이용하여 그 입도를 확인하였다.
이때, 반복수 30회로 분산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의 평균치를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평균입자크기(㎛) 11.5 14.5
상기 표 3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인 실시예 1의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의 입자크기가 비교예 1의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의 입자크기보다 훨씬 적음을 확인한 바, 기초화장 후 고르게 발라지고 특히 덧바를 경우 색조발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빛을 받을 시 화사한 피부빛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유해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피부 세포에 독성이 없으며, 순도변화도 적고 덩어리지거나 산폐 등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갈변하는 위험성도 없으며, 특히 화장한 상태에서 그 위에 덧바를 경우 색조발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빛을 받을 시 화사한 피부빛을 연출해 줌과 동시에 피부 보습력 및 탄력성이 우수한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 및 실험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600~800mesh의 누에생실샘 초미세분말과 경질 마그네슘카보네이트, 카올린, 방부제, 색소, 향료, 탤크로 이루어지되,
    상기 누에 생실샘 초미세분말과 상기 경질 마그네슘카보네이트는 10:0.5~10:1.5 중량비로 이루어지며,
    상기 누에생실샘 초미세분말은 5~20중량%, 상기 경질 마그네슘카보네이트는 0중량% 초과~2중량% 이하, 상기 카올린은 0중량% 초과~0.2중량% 이하, 상기 방부제는 0중량% 초과~0.5중량% 이하, 상기 색소는 0중량% 초과~5중량% 이하, 상기 향료는 0중량% 초과~0.5중량% 이하 및 나머지 탤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화학적 반응에 의해 갈변하는 위험성이 없으며, 화장한 상태에서 그 위에 덧바를 경우 색조발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빛을 받을 시 화사한 피부빛을 연출하도록 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0144096A 2011-12-28 2011-12-28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 KR101340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096A KR101340484B1 (ko) 2011-12-28 2011-12-28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096A KR101340484B1 (ko) 2011-12-28 2011-12-28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836A KR20130075836A (ko) 2013-07-08
KR101340484B1 true KR101340484B1 (ko) 2013-12-11

Family

ID=4898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096A KR101340484B1 (ko) 2011-12-28 2011-12-28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946A (ko) 2019-05-07 2020-11-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누에고치 분말을 이용한 색조 화장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색조 화장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165A (ko) * 2000-12-19 2002-06-26 히로시 오제키 살균작용을 갖는 조성물, 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화장료및 자외선 차단재
KR101040578B1 (ko) 2009-10-22 2011-06-10 대한민국 익은누에 동결건조에 의한 실샘분리 방법 및 실샘분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165A (ko) * 2000-12-19 2002-06-26 히로시 오제키 살균작용을 갖는 조성물, 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화장료및 자외선 차단재
KR101040578B1 (ko) 2009-10-22 2011-06-10 대한민국 익은누에 동결건조에 의한 실샘분리 방법 및 실샘분말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946A (ko) 2019-05-07 2020-11-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누에고치 분말을 이용한 색조 화장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색조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836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40484B1 (ko)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색조 파우더용 화장품
KR20120049589A (ko) 표면이 개질된 화장료용 안료 및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7069A (ko) 젤 타입의 향수 화장료 조성물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40506B1 (ko)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베이비 파우더
KR101874941B1 (ko) 천연 식초 및 라즈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
KR101340502B1 (ko) 누에생실샘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트윈 케이크 및 팩트용 화장품
KR101915973B1 (ko) 자외선 차단용 유무기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56742B1 (ko) 식물성 버터가 코팅된 엘라스토머 비드 복합 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19317B1 (ko) 천연 보습인자를 이용하여 형성된 미셀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20230111926A (ko) 천연 미세침을 이용한 식물성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4530B1 (ko) 일라이트 복합 기능성 분체를 함유한 고 보습 파우더 타입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183068B1 (ko)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3795A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09937B1 (ko) 색조 화장료용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396277B1 (ko) 바인더로 유중다가알코올 유화물을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6266B1 (ko) 누에고치 분말을 이용한 색조 화장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색조 화장품
KR101318084B1 (ko) 폴리쿼터늄-51 및 아디프산/네오펜틸글리콜 크로스 폴리머 서스펜션 솔루션을 포함하는 수분산 화장료 조성물
JP2004107268A (ja) 蛋白質のカルボニル化抑制剤、皮膚外用剤及び方法
KR20190023455A (ko) 다공성 분체를 포함하는 스틱제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00016064A1 (en) Colourant-incorporated silk for value-added cosmetics
KR20180061894A (ko) 안토시아닌 색소와 고령토 분말을 포함하는 색조화장품의 염료 제조방법
KR100675754B1 (ko) 파우더 타입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2182A (ko) 오트 베타글루칸과 아베난쓰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용 복합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더 타입 색조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