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068B1 -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068B1
KR101183068B1 KR1020100002733A KR20100002733A KR101183068B1 KR 101183068 B1 KR101183068 B1 KR 101183068B1 KR 1020100002733 A KR1020100002733 A KR 1020100002733A KR 20100002733 A KR20100002733 A KR 20100002733A KR 101183068 B1 KR101183068 B1 KR 101183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hydrogenated
polyquaternium
cosmetic
zeta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2825A (ko
Inventor
박선기
조현대
손영민
금종필
김재용
Original Assignee
김재용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용,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김재용
Priority to KR102010000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06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2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총 조성물 중량의 0.01-99.00%의 정제수/콘스타치/ 폴리쿼터늄-10/방부제로 이루어진 혼합물, 조성물 중량의 0.01-99.00%의 정제수/콘스타치/ 폴리쿼터늄-10/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카프릴글리콜/방부제로 이루어진 혼합물, 조성물 총 중량의 0.01-99.00%의 털크/콘스타치/폴리쿼터늄-10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조성물 총 중량의 0.01-30.00%의 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하이드로젠네이티드 C6-14 올레핀 폴리머로 이루어진 혼합물들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The components of cosmetics with positive}
본 발명은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를 화장료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99.0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함량에 따른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 함유 메이크업 화장료는 땀이나 피지에 의한 젖음 현상을 방지하여 화장 지속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발림성, 밀착성 및 사용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사회의 가속화와 더불어 문화수준이 급속하게 향상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여성들의 사회활동 및 레저 활동의 증가로 메이크업을 하는 여성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료는 크게 기초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두발 화장료 및 선 케어 화장료로 분류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는 분체-오일-물의 3성분을 주된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구성비나 제형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페이스 파우더, 콤팩트, 파우더파운데이션, 투웨이 케익, 메이컵 베이스,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파운데이션의 베이스 메이컵(Base Makeup)과 아이섀도, 파우더 블러쉬, 립스틱,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의 포인트 메이컵(Point Makeup)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제품은 피부에 도포되어 대략 8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부착되고, 부착되어 있는 동안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피지 등의 피부 분비물에 의해 화장막이
변화된다. 화장막이 변화하는 태양은 들뜨거나, 뭉치거나 또는 색조가 칙칙 해지거나 번들거림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물리적인 형태로 나타나는데, 특히 베이스 메이컵 제품의 경우 화장 후 분비되는 피지나 땀에 의한 젖음 현상이 화장을 부자연스럽게 하는 등 화장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갖지 않고 땀이나 피지에 의한 젖음 현상을 방지하여 화장 지속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발림성, 밀착성 및 사용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공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조성물을 화장료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땀과 피지에 대한 흡수성이 우수하여 화장 지속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발림성, 밀착성과 화장효과도 양호한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료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99.0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총 조성물 중량의 0.01-99.00%의 정제수/콘스타치/ 폴리쿼터늄-10/방부제로 이루어진 혼합물, 조성물 중량의 0.01-99.0%의 정제수/콘스타치/폴리쿼터늄-10/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카프릴글리콜/방부제로 이루어진 혼합물, 조성물 총 중량의 0.01-99.00%의 털크/콘스타치/폴리쿼터늄-10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조성물 총 중량의 0.01-30.00%의 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하이드로젠네이티드 C6-14 올레핀 폴리머로 이루어진 혼합물들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는 화장료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99.00중량%의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조성물을 함유한다. 즉, 총 조성물 중량의 0.01-99.00%의 정제수/콘스타치/ 폴리쿼터늄-10/방부제로 이루어진 혼합물, 조성물 중량의 0.01-99.00%의 정제수/콘스타치/ 폴리쿼터늄-10/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카프릴글리콜/방부제로 이루어진 혼합물, 조성물 총 중량의 0.01-99.00%의 털크/콘스타치/폴리쿼터늄-10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조성물 총 중량의 0.01-99.00%의 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하이드로젠네이티드 C6-14 올레핀 폴리머로 이루어진 혼합물들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졌다.
<Foundation 품평 결과>
제품명 크림
내용구분 실시 예 1(함량:A-0%, B-15%, C-20%)
품평 내용 및 결과
구분 실시 예 1의 함량에 따른 품평서
5점 척도(5 : 매우만족 / 4 : 만족 / 3 : 보통 / 2 : 불만족 / 1 : 매우불만족)
평가내용 품평종류 A B C
발림성 3 3.5 4.5
밀착감 3 4 5
유분감 3.5 3.5 4
지속력 2 3 3.5
보정 및 커버력 2 4 4.5
마무리 상태의 만족성 4 4 4
점도 4 4 4.5
색상 3 3.5 3.5
전체만족도 3.06 3.68 4.18
총 평 - 실시 예 1의 함량이 더 높을수록 밀착감이 더 크며 보정이 되어 오랜 시간 지속됨.
- 얼굴에 도포 시 부드럽게 발리며 마무리 상태의 만족성도 좋음.
- 어둡지도 않고 밝지도 않아 색상의 만족도 좋음.
- 발림성은 뭉침 없이 끈적거리지 않고 곱게 잘 발림.
- 지속력은 사용 후에도 지속성이 좋음
<Powder 품평 결과>
제품명 파우더
내용구분 실시 예 1(함량:E-0%, F-40%, G-80%)
품평 내용 및 결과
구분 실시예 1의 함량에 따른 품평서
5점 척도(5 : 매우만족 / 4 : 만족 / 3 : 보통 / 2 : 불만족 / 1 : 매우불만족)
평가내용 품평종류 E F G
발림성 2.5 3.5 3.5
밀착감 2 3 4.5
가루날림 4 3.5 4.5
지속력 3 3 3.5
보정 및 커버력 2 3.5 3.5
마무리 상태의 만족성 3 3.5 3.5
입자크기 3 4 4
색상 3.5 3.5 3.5
전체만족도 2.87 3.43 3.81
총 평 - 실시 예 1의 함량이 더 높을수록 밀착감과 발림성이 좋음
- 지속력은 좋으나 커버력은 약함.
- 마무리감은 산뜻하고 뭉치지 않아 만족함.
제1도는 파운데이션에 대한 품평결과를 나타낸다.
제2도는 파우더에 대한 품평결과를 나타낸다.
제3도는 파운데이션의 제조공정을 나타낸다.
제4도는 파우더의 제조공정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표 3. 실시 예 1
번호 성분 실시 예 1
원료물질1 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하이드로젠네이티드 C6-14 올레핀 폴리머 적당량을 가하여 100그람으로 한다.
원료물질2 털크/모디파이드콘스타치/폴리쿼터늄-10 95.0
원료물질3 정제수/모디파이드콘스타치/ 폴리쿼터늄-10/방부제 4.0
원료물질4 정제수/모디파이드콘스타치/ 폴리쿼터늄-10/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카프릴 글리콜/방부제 -
제조방법
실시 예 1 : 원료물질 1,2,3을 상온에서 균질 화한다. 2일간 숙성시킨다.
표 4. 실시 예 2
번호 성분 실시 예 2
원료물질1 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하이드로젠네이티드 C6-14 올레핀 폴리머 적당량을 가하여 100그람으로 한다.
원료물질2 털크/모디파이드콘스타치/폴리쿼터늄-10 50.0
원료물질3 정제수/모디파이드콘스타치/ 폴리쿼터늄-10/방부제 49.0
원료물질4 정제수/모디파이드콘스타치/ 폴리쿼터늄-10/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카프릴 글리콜/방부제 -
제조방법
실시 예 2 : 원료물질 1,2,3을 상온에서 균질 화한다. 2일간 숙성시킨다.
표 5. 실시 예 3
번호 성분 실시 예 3
원료물질1 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하이드로젠네이티드 C6-14 올레핀 폴리머 적당량을 가하여 100그람으로 한다.
원료물질2 털크/모디파이드콘스타치/폴리쿼터늄-10 4.0
원료물질3 정제수/모디파이드콘스타치/ 폴리쿼터늄-10/방부제 95.0
원료물질4 정제수/모디파이드콘스타치/ 폴리쿼터늄-10/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카프릴 글리콜/방부제 -
제조방법
실시 예 3 : 원료물질 1,2,3을 상온에서 균질 화한다. 2일간 숙성시킨다.
표 6. 실시 예 4
번호 성분 실시 예 4
원료물질1 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하이드로젠네이티드 C6-14 올레핀 폴리머 적당량을 가하여 100그람으로 한다.
원료물질2 털크/모디파이드콘스타치/폴리쿼터늄-10 4.0
원료물질3 정제수/모디파이드콘스타치/ 폴리쿼터늄-10/방부제 -
원료물질4 정제수/모디파이드콘스타치/ 폴리쿼터늄-10/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카프릴 글리콜/방부제 95.0
제조방법
실시 예 4 : 원료물질 1,2,4를 상온에서 균질 화한다. 2일간 숙성시킨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조된 원료를 사용하여 아래 처방 예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처방 예 1.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파운데이션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실시 예 1의 것이다.
표 7 . 본 발명에 따른 파운데이션의 처방 예
번호 원 료 B(제형 예 1(%)) C(제형 예 2(%)) A(비교제형 예 1(%))
원료물질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원료물질2 페닐트리메치콘 12.5 12.5 12.5
원료물질3 티타늄디옥사이드 11.0 11.0 11.0
원료물질4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5 2.5 2.5
원료물질5 세틸피이지/피피지-10/1메치콘 2.2 2.2 2.2
원료물질6 소듐클로라이드 2.0 2.0 2.0
원료물질7 폴리글리세릴-4이소스테아레이트 1.2 1.2 1.2
원료물질8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1.0 1.0 1.0
원료물질9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7 0.7 0.7
원료물질10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원료물질11 디소듐이디티에이 적량 적량 적량
원료물질12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원료물질13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원료물질14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실시 예 1) 15.0 20 -
제조방법
제형 예 1과 2 : 원료물질 4, 7, 8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 화하고 2, 3, 10을 따로 파쇄기로 곱게 파쇄하여 혼합한 후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균질기에 넣고 분산시킨다. 이어 1, 5, 6, 9, 11을 따로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한 후 서서히 균질기에 투입하여 재차 균질 화를 한다. 그리고 일정 온도까지 냉각한 후 12, 13, 14를 차례로 투입하여 분산시킨 후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비교제형 예 1 : 원료물질 4, 7, 8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 화하고 2, 3, 10을 따로 파쇄기로 곱게 파쇄하여 혼합한 후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균질기에 넣고 분산시킨다. 이어 1, 5, 6, 9, 11을 따로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한 후 서서히 균질기에 투입하여 재차 균질 화를 한다. 그리고 일정 온도까지 냉각한 후 12, 13을 차례로 투입하여 분산시킨 후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처방 예 2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파우더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실시 예 1의 것이다.
표 8.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처방 예
번호 원 료 F(제형 예 3(%)) G(제형 예 4(%)) E(비교제형 예 2(%))
원료물질1 마이카 잔량 잔량 잔량
원료물질2 실리카/하이알루로네이트 3.0 3.0 3.0
원료물질3 알루미늄스타치옥테닐썩시네이트 2.0 2.0 2.0
원료물질4 마이카/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43.6 3.6 43.6
원료물질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0.3 0.3 0.3
원료물질6 호호바씨오일 0.3 0.3 0.3
원료물질7 마카다미아씨오일 0.2 0.2 0.2
원료물질8 1,2-헥산디올/카프릴릴글라이콜 0.1 0.1 0.1
원료물질9 1,2-옥탄디올 0.1 0.1 0.1
원료물질10 카프릴릴글라이콜/에칠헥실글리세린/트로폴론 0.4 0.4 0.4
원료물질11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실시 예 1) 40.0 80.0 -
제조방법
제형 예 3과 4 : 원료물질 1, 2, 3, 4 및 11을 균질 화하고, 이어 5, 6, 7을 Spray 분산처리를 하고, 8, 9, 10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 한 후 Spray 분산 처리를 한다. 그리고 대형 믹서를 이용하여 골고루 혼합한 후 여과하여 숙성시킨다.
비교제형 예 2 : 원료물질 1, 2, 3, 4를 균질 화하고, 이어 5, 6, 7을 Spray 분산처리를 하고, 8, 9, 10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 화 한 후 Spray 분산 처리를 한다. 그리고 대형 믹서를 이용하여 골고루 혼합한 후 여과하여 숙성시킨다.
처방 예 3.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마스카라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실시 예 4의 것이다.
표 9. 본 발명에 따른 마스카라의 처방 예
번호 원 료 J(제형 예 5(%)) K(제형 예 6(%)) I(비교제형 예 3(%))
원료물질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원료물질2 Acrylates Copolymer 10.00 10.0 10.00
원료물질3 색소 9.00 9.00 9.00
원료물질4 Cetearyl Alcohol 0.20 0.20 0.20
원료물질5 Polyisobutene 3.00 3.00 3.00
원료물질6 PVP 1.00 1.00 1.00
원료물질7 Butylene Glycol 3.00 3.00 3.00
원료물질8 Triethanolamine 0.30 0.30 0.30
원료물질9 Stearic acid 0.70 0.70 0.70
원료물질10 Polysorbate 20 1.00 1.00 1.00
원료물질11 Disodium EDTA 0.05 0.05 0.05
원료물질12 Polysorbate 60 0.50 0.50 0.50
원료물질13 Polyvinyl Alcohol 0.50 0.50 0.50
원료물질14 Polyglyceryl-3 Beeswax 3.00 3.00 3.00
원료물질15 Beeswax 7.00 7.00 7.00
원료물질16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원료물질17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실시 예 1) 30.00 50.00 -
제조방법
제형 예 5와 6 : 원료물질 1, 6, 7, 8, 9, 11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 화 한 후 원료물질 3을 넣고 재차 균질 화를 진행한다(A상). 따로 원료물질 4, 5, 10, 12, 14, 15, 16을 넣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 화 한 후 A상에 서서히 넣으면서 균질기로 균질 화를 시킨 후 원료물질 2, 17을 차례대로 넣고 분산시켜 냉각한 후 숙성한다.
비교제형 예 3 : 원료물질 1, 6, 7, 8, 9, 11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 화 한 후 원료물질 3을 넣고 재차 균질 화를 진행한다(A상). 따로 원료물질 4, 5, 10, 12, 14, 15, 16을 넣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 화 한 후 A상에 서서히 넣으면서 균질기로 균질 화를 시킨 후 원료물질 2를 차례대로 넣고 분산시켜 냉각한 후 숙성한다.

Claims (2)

  1.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총 조성물 중량의 0.01-99.00%의 정제수/콘스타치/ 폴리쿼터늄-10/방부제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조성물 중량의 0.01-99.00%의 정제수/콘스타치/ 폴리쿼터늄-10/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카프릴글리콜/방부제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조성물 총 중량의 0.01-99.00%의 털크/콘스타치/폴리쿼터늄-10로 이루어진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혼합물을 포함하되;

    조성물 총 중량의 0.01-30.00%의 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하이드로젠네이티드 폴리데신/하이드로젠네이티드 C6-14 올레핀 폴리머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파운데이션, 파우더, 마스카라로 제형 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02733A 2010-01-12 2010-01-12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3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733A KR101183068B1 (ko) 2010-01-12 2010-01-12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733A KR101183068B1 (ko) 2010-01-12 2010-01-12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825A KR20110082825A (ko) 2011-07-20
KR101183068B1 true KR101183068B1 (ko) 2012-09-20

Family

ID=4492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733A KR101183068B1 (ko) 2010-01-12 2010-01-12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8065A (zh) * 2019-03-20 2019-06-21 广州莱倩化妆品有限公司 一种巨遮瑕倍润粉底霜的配方及其制备方法
KR102194279B1 (ko) * 2020-06-25 2020-12-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메이크업 밀착력 강화 및 묻어남 방지를 위한 양이온성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5067A1 (en) * 2004-05-17 2005-11-17 Leighton John C Hair fixative film
US20080114096A1 (en) 2006-11-09 2008-05-15 Hydromer, Inc. Lubricious biopolymeric network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5067A1 (en) * 2004-05-17 2005-11-17 Leighton John C Hair fixative film
US20080114096A1 (en) 2006-11-09 2008-05-15 Hydromer, Inc. Lubricious biopolymeric network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825A (ko)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8504A (ko)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655234A (zh) 一种出水型cc霜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366384A (zh) 一种焕颜修容霜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940044A (zh) 一种具有稳定拉丝效果的粉底霜及其制备方法
KR20180017811A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CN114028267B (zh) 一种控油定妆组合物、含水蜜粉及其制备方法
KR101766682B1 (ko)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1268A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59449A (ko) 에멀젼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14224761A (zh) 一种彩妆组合物及制备方法和用途
KR20130001586A (ko)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를 함유한 수분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3068B1 (ko) 플러스 제타전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12915037A (zh) 一种防水眼影湿粉及其制备方法
KR101659844B1 (ko)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H02300109A (ja) メイクアップ用皮膚化粧料組成物
CN114632028B (zh) 一种提拉紧致面霜及其制备方法
CN111265418A (zh) 一种可变色的黑色口红及其制备方法
KR20200134872A (ko) 천연 유래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101391769B1 (ko) 실리콘 겔 및 에스터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CN110251410A (zh) 一种根据人体酸碱值显色的唇膏及其制备方法
KR102394034B1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84415B1 (ko) 리포좀화된 헥사카복시메틸 다이펩타이드-1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49283A (ko)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