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391B1 - Cleaning head - Google Patents

Cleaning he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391B1
KR101340391B1 KR1020060119708A KR20060119708A KR101340391B1 KR 101340391 B1 KR101340391 B1 KR 101340391B1 KR 1020060119708 A KR1020060119708 A KR 1020060119708A KR 20060119708 A KR20060119708 A KR 20060119708A KR 101340391 B1 KR101340391 B1 KR 101340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haust
duct
air suction
suc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21492A (en
Inventor
마사아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4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3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14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cleaning by blowing-off,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리닝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적절하게 부품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설정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에어 분출실(11) 및 에어 흡인실(12)를 내부에 가지고,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하면에 에어 분출구 및 에어 흡인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10)에 대하여, 커버부(20)와, 에어 분출실(11)과 연통되는 급기 덕트(30)와,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하류측 배기 덕트(40)와,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장착할 때, 커버부(20) 및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배기 방향과 급기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를 형성한다.

Figure R1020060119708

클리닝 헤드, 덕트, 흡인, 배기, 제진, 에어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hea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head which can be set in a desired air supply / exhaust direction by selecting a component appropriately and can easily manufacture various kinds of product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having an air blowing chamber 11 and an air suction chamber 12 therein and including six surfaces, the air blowing opening and the air suction opening are formed in a straight shape on the low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the cover 20, the air supply duct 30 which communicates with the air blowing chamber 11, the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40 which communicates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12, and air suction When the downstream exhaust duct 50 communicating with the seal 12 is mounted,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are replaced so as to form a cleaning head that can select the exhaust direction and the air supply direction. .

Figure R1020060119708

Cleaning Head, Duct, Suction, Exhaust, Dust Removal, Air

Description

클리닝 헤드{CLEANING HEAD}Cleaning head {CLEANING HEA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2의 (a)는 상면도, 도 2의 (b)는 전면도, 도 2의 (c)는 우측면도, 도 2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2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is a top view, Figure 2 (b) is a front view, Figure 2 (c) is a right side view, Figure 2 (d)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cleaning head whose air supply duct is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2 (e)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도 3은 에어 흡인실과 에어 분출실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3의 (a)는 VPV에 대한 설명도, 도 3의 (b)는 PVP에 대한 설명도, 도 3의 (c)는 다른 VPV에 대한 설명도이다.FIG. 3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air suction chamber and the air blowing chamber, FIG. 3A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VPV, FIG. 3B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PVP, and FIG. 3C.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other VPV.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4의 (a)는 상면도, 도 4의 (b)는 전면도, 도 4의 (c)는 우측면도, 도 4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4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4A is a top view, FIG. 4B is a front view, FIG. 4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4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5의 (a)는 상면도, 도 5의 (b)는 전면도, 도 5의 (c)는 우측면도, 도 5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5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5A is a top view, FIG. 5B is a front view, FIG. 5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5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6의 (a)는 상면도, 도 6의 (b)는 전면도, 도 6의 (c)는 우측면도, 도 6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6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which FIG. 6A is a top view, FIG. 6B is a front view, FIG. 6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6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7의 (a)는 상면도, 도 7의 (b)는 전면도, 도 7의 (c)는 우측면도, 도 7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7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7A is a top view, FIG. 7B is a front view, FIG. 7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7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8의 (a)는 상면도, 도 8의 (b)는 전면도, 도 8의 (c)는 우측면도, 도 8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8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which FIG. 8A is a top view, FIG. 8B is a front view, FIG. 8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8D is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8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9의 (a)는 상면도, 도 9의 (b)는 전면도, 도 9의 (c)는 우측면도, 도 9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9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FIG.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9A is a top view, FIG. 9B is a front view, FIG. 9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9D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9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10의 (a)는 상면도, 도 10의 (b)는 전면도, 도 10의 (c)는 우측면도, 도 10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10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which FIG. 10A is a top view, FIG. 10B is a front view, FIG. 10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10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11의 (a)는 상면도, 도 11의 (b)는 전면도, 도 11의 (c)는 우측면도, 도 11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11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FIG.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1A is a top view, FIG. 11B is a front view, FIG. 11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11D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11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12의 (a)는 상면도, 도 12의 (b)는 전면도, 도 12의 (c)는 우측면도, 도 12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12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which FIG. 12A is a top view, FIG. 12B is a front view, FIG. 12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12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10: 헤드 본체 11: 에어 분출실10: head body 11: air blowing chamber

12: 에어 흡인실 13: 배출구12: air suction chamber 13: outlet

20: 커버부 30: 급기 덕트20: cover portion 30: air supply duct

4O: 상류측 배기 덕트 50: 하류측 배기 덕트4O: Upstream Exhaust Duct 50: Downstream Exhaust Duct

60: 배기 덕트용 실 70: 급기 덕트용 실60: chamber for exhaust duct 70: chamber for air supply duct

80: 헤드 본체80: head body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 11(1999)-253897호 공보(도 1)[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1 (1999) -253897 (Fig. 1)

본 발명은, 유리판·합성 수지판·금속판 등의 기판, 얇은 금속이나 종이, 수지 필름, 필름 상태의 금속(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피제진물(被除塵物)이라 한다)에 대향하여, 간단하게 청정 에어나 초음파 주파수로 진동하는 초음파 에어(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세정 에어 라 한다)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피제진물 표면에 부착되는 티끌이나 먼지 등을 비산시켜서 흡인하여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헤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imply cleans against a substrate such as a glass plate, a synthetic resin plate, or a metal plate, a thin metal or paper, a resin film, or a metal in a film stat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object to be remov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head for spraying air or ultrasonic ultrasonic waves vibrating at an ultrasonic frequency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leaning air) to scatter and suck dust and dust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dusted.

클리닝 헤드에 관한 선행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국 특개평 11-253897호 공보)의 「제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진 장치에서는, 2대의 제진 장치를 연결하여 형성하고, 유리 기판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에 설치된 제진 장치의 압력측의 배관에 밸브를 설치한다. 유리 기판을 세정하는 경우에는, 상류측의 헤드부로부터 흡인하는 양을 저하시키지 않고 상류측의 헤드부로부터 배출되는 에어의 배출력을,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것에 따라서 하류측의 헤드부로부터 배출되는 에어의 배출력보다 약하게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수단에 의해, 클리닝 헤드의 주위로 에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a prior art regarding a cleaning head, the "vibration damper" of patent document 1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1-253897) is disclosed, for example. In the said damping apparatus, two damping apparatuses are connected and formed, and a valve is provided in the piping of the pressure side of the damping apparatus provided upstream with respect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a glass substrate. When the glass substrate is washed, the discharge force of air discharged from the upstream head portion is discharged from the downstream head portion as the valve is opened without lowering the amount of suction from the upstream head portion. Set weaker than the discharge power of air. By mean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from leaking around the cleaning head.

클리닝 헤드는, 각 공장에서의 배관 사정에 의해, 클리닝 헤드에의 급기구나 클리닝 헤드로부터의 배기구의 배치·방향이 결정된다. 이와 같은 클리닝 헤드는, 일반적으로 주문 생산되고, 고비용이며 납기일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개별적인 사정에 의해 구조가 좌우되는 클리닝 헤드일지라도 단기 납기, 저비용화하여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자 요망되고 있다.As for the cleaning head,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and the direction of the air supply port to the cleaning head, and the exhaust port from a cleaning head are determined by piping conditions in each factory. Such cleaning heads are generally made to order, have a high cost, and tend to have a long delivery date. However, even a cleaning head whose structure is determined by such individual circumstances is desired to increase market competitiveness by shortening delivery time and low cost.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부품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leaning head that can be set in a desired air supply / exhaust direction by appropriately selecting a component, and can easily manufacture various kinds of products. will be.

본 발명의 제1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어도 각각 1개의 에어 분출실 및 에어 흡인실을 내부에 가지고,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하면에 에어 분출구 및 에어 흡인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와,A head main body having at least one air blowing chamber and an air suction chamber therein and including six surfaces, and having an air blowing port and an air suction port formed in a straight line on a lower surface thereof;

에어 분출실과 연통되는 급기 덕트와,An air supply duct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blowing chamber,

에어 흡인실과 연통되는 배기 덕트Exhaust duct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를 구비하고,And,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의 장착 방향을 바꾸어, 배기 방향과 급기 방향을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air supply duct and the air exhaust duct is changed, and it is comprised so that the air flow direction and the air supply direction may be selected.

또한, 본 발명의 제2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In additio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second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I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상기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를 하나 배치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haust duct is an arrangement of one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 characterized in that air flows out in one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제3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In additio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third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I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상기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2개를 배 치한 것으로서, 양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haust ducts are arranged by disposing two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s in opposite directions, characterized in that air flows out in both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의 제4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In additio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fourth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I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상기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haust duct is formed by arranging two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s and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s which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and the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s and the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s are arranged. At the same time, air flows out from the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 to the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and from the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또한, 본 발명의 제5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In additio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fifth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I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상기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는 배기 덕트이며,The exhaust duct is formed by arranging two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s and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s which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and the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s and the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s are arranged. It is an exhaust duct which connects and the air flows out from an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 to a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and from a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to an external one direction,

상기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배기 덕트를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haust ducts are arranged in two arrangements, and the exhaust ducts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out is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제6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In additio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sixth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I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상기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는 배기 덕트이며,The exhaust duct is formed by arranging two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s and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s which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and the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s and the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s are arranged. It is an exhaust duct which connects and the air flows out from an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 to a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and from a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to an external one direction,

상기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배기 덕트를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haust ducts are arranged in two arrangements, and the exhaust ducts ar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out is reversed.

또한, 본 발명의 제7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In additio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seventh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발명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I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inventions,

상기 에어 분출실은 좌우의 양측 개구면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고,The air blowing chamber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openings,

상기 헤드 본체의 좌우의 한쪽 개구면은 커버부에 의해 닫혀지고, 또한, 상기 헤드 본체의 다른 쪽 개구면에는 상기 급기 덕트가 설치되어 일방향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ft and right opening surfaces of the head main body are closed by a cover part, and the air supply duct is provided on the other opening surface of the head main body, and cleaning air flows in from one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제8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In additio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eighth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발명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I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inventions,

상기 에어 분출실은 좌우의 양측 개구면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고,The air blowing chamber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openings,

상기 헤드 본체의 좌우 양쪽의 개구면에는 상기 급기 덕트가 설치되어 2방향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supply duct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opening surfaces of the head main body, and the cleaning air is introduced from two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의 제9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In additio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ninth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I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inventions,

상기 헤드 본체는, 제1 에어 분출실과 이것을 그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d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the second air suction chamber which sandwich it therebetween are arranged and arrang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which become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vibration damping object.

또한, 본 발명의 제10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In additio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tenth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I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inventions,

상기 헤드 본체는, 제1 에어 흡인실과 이것을 그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d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and the second air blowing chamber which sandwich it therebetween are arranged and arrang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which becomes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damping object.

또한, 본 발명의 제11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In additio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eleventh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발명 내지 제10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I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enth inventions,

상기 배기 덕트는, 헤드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id exhaust duct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a head main body,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또한, 본 발명의 제12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는,In additio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the twelfth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발명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클리닝 헤드에 있어서,In the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ninth inventions,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헤드 본체의 앞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haust 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head body.

[실시예][Example]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클리닝 헤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2의 (a)는 상면도, 도 2의 (b)는 전면도, 도 2의 (c)는 우측면도, 도 2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2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이다. 도 3은 에어 분출실과 에어 흡인실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3의 (a)는 VPV의 설명도, 도 3의 (b)는 PVP의 설명도, 도 3의 (c)는 다른 VPV의 설명도이다. 그리고, 「V」는 흡인(Vacuum)을, 「P」는 분출(pressure)을 의미하고 있다.Next,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head of this embodiment.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leaning head of this embodiment, Fig. 2A is a top view, Fig. 2B is a front view, Fig. 2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2D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2E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FIG. 3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the arrangement of the air blowing chamber and the air suction chamber, FIG. 3A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VPV, FIG. 3B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PVP, and FIG. It is explanatory drawing of VPV. In addition, "V" means suction (Vacuum), and "P" means pressure.

클리닝 헤드(1)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본체(10), 커버부(20), 급기 덕트(30), 상류측 배기 덕트(40), 하류측 배기 덕트(50), 배기 덕트용 실(60), 급기 덕트용 실(70)을 구비하고 있다. 클리닝 헤드(1)의 전후 좌우 상하의 위치 관계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다. 그리고, 전후 방향은 도시하지 않은 피제진물의 반송 방향과 대략 일치한다.As shown in FIG. 1, the cleaning head 1 includes the head main body 10, the cover 20, the air supply duct 30, the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the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and the exhaust duct. The chamber 60 and the chamber 70 for air supply duct are provide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cleaning head 1 is as shown in FIG. And the front-back direction is substantially corresponded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to-be-damaged object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헤드 본체(1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의 (a)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분출실(11), 에어 흡인실(12), 배출구(13)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본체(10)의 형상으로서는 6면에 의해 형성되는 6면체이며, 도 1, 도 3의 (a)에서는 중앙에 에어 분출실(11)이 그 전후 양측에 에어 흡인실(12)이 벽에 의해 나누어져 형성되어 있다. 하면에는 헤드 본체(1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시하지 않는 평행한 3선의 직선형의 에어 분출구(11a) 및 에어 흡인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 측에서는, 도 1, 도 3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형의 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13)는 전후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또한 좌우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어, 합계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앞쪽의 좌우 같은 열의 2개의 배출구(13)는 같은 앞쪽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하고, 또 뒤쪽의 좌우방향으로 같은 열의 2개의 배출구(13)는 같은 뒤쪽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한다. 또한, 헤드 본체(10)의 좌우 양쪽으로 에어 분출실(11)과 에어 흡인실(12)이 개구되어 있다. 헤드 본체(10)는, 도 3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에어 분출실(11)과 이것을 그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12)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에어 분출구(11a)의 전후 양쪽을 에어 흡인구(12a)가 그 사이에 두는 VPV 구조이다. 전후 2개의 배출구(13)는 각각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12)과 별개로 연통된다.The head main body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shown in FIG. 3A, the air blowing chamber 11, the air suction chamber 12, and the discharge port 13 are provided. As the shape of the head main body 10, it is a hexahedron formed by six surfaces, and in FIG. 1 and FIG. 3 (a), the air blowing chamber 11 is centered in the center, and the air suction chamber 12 is formed on the wall. It is divided into and is forme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with the parallel three-line linear air blowing port 11a and the air suction port 12a which are extend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head main body 10, and are not shown in figure. Moreover, on the upper surface side, as shown in FIG. 1, FIG. 3 (a), the linear discharge port 13 is formed. The discharge ports 13 are arranged in two row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re arranged in two row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four in total are formed. The two outlets 13 in the same row in the front left and right communicate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12 in the same front side, and the two outlets 13 in the same ro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rear side and the air suction chamber 12 in the same rear side. Communicate. In addition, the air blowing chamber 11 and the air suction chamber 12 are open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main body 10. As shown in (a) of FIG. 3, the head main body 10 includes a first air blowing chamber 11 and a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a second air suction chamber 12 sandwiching the same. It is a VPV structure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which becomes a conveyance direction, and arrange | position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air suction port 12a puts both front and back of the air blowing port 11a in between. The front and rear two discharge ports 13 are separately communicated with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the second air suction chamber 12, respectively.

그리고, VPV 구조 이외에도, 예를 들면, 도 3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에어 흡인실(12)과 이것을 그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11)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에어 흡인구(12a)의 전후 양쪽을 에어 분출구(11a)가 그 사이에 두는 PVP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후 2개의 급기구(14)는 각각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11)과 별개로 연통되고, 도 1에서 나타낸 급기 덕트(30)는 그대로 배기 덕트로서 기능하고, 마찬가지로 상류측 배기 덕트(40)·하류측 배기 덕트(50)는 급기 덕트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하나의 에어 분출구(11a)와 하나의 에어 흡인구(12a)가 정렬된 PV구조 등 각종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VPV 구조를 채용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3의 (c)의 VPV 구조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In addition to the VPV structur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B,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12 and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11 and the second air blowing chamber 11 sandwiching the same are damped. The PVP structure can be employ | adopted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used as the conveyance direction of an object, and arrange | position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air blowing port 11a arranges both front and back of the air suction opening 12a. In this case, the front and rear two air supply ports 14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and the second air blowing chamber 11 separately, respectively, and the air supply duct 30 shown in FIG. 1 functions as an exhaust duct as it is. Similarly, the upstream exhaust duct 40 and the downstream exhaust duct 50 function as an air supply duct. Although not shown,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PV structure in which one air blowing port 11a and one air suction port 12a are aligned can be adop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PV structure is adopted. The VPV structure of FIG. 3C will be described later.

커버부(20)는, 헤드 본체(10)의 에어 분출실(11)과 에어 흡인실(12)의 개구면을 막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The cover portion 20 has a function of blocking the opening surface of the air blowing chamber 11 and the air suction chamber 12 of the head main body 10.

급기 덕트(30)는 헤드 본체(10)의 에어 흡인실(12)의 개구면을 막는 동시에 에어 분출실(11)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The air supply duct 30 has a function of blocking the opening surface of the air suction chamber 12 of the head main body 10 and communicating the air blowing chamber 11 with the outside.

커버부(20) 및 급기 덕트(30)를 헤드 본체(10)에 장착함으로써, 에어 분출실(11)과 에어 흡인실(12)이 형성된다. 에어 분출실(11)은 급기 덕트(30)의 통부와 유로를 형성하고, 에어 흡인실(12)은 배출구(13)와 유로를 형성한다.By attaching the cover part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to the head main body 10, the air blowing chamber 11 and the air suction chamber 12 are formed. The air blowing chamber 11 forms a flow path with the cylinder part of the air supply duct 30, and the air suction chamber 12 forms the discharge port 13 and a flow path.

상류측 배기 덕트(40)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고, 대략 L자형의 유로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의 배출구(13)와 접속되는 입구는, 도 1에서 나타낸 배출구(13)를 전부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로는 배기 유로이며, 배기 유로는 출구로부터 가장 먼 부분으로부터 출구측으로 갈수록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직선형의 배출구(13)에서의 흡인력을 배출구(13)의 지점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하고 있다.The upstream exhaust duct 40 has an inlet and an outlet, and a substantially L-shaped flow path is formed therein. The inlet connected to the outlet 13 of the flow path is formed so as to cover all of the outlet 13 shown in FIG. 1. The flow passage is an exhaust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is formed such that the opening area becomes wider from the portion furthest from the outlet toward the outlet side. Thereby, the suction force in the linear discharge port 13 is made uniform regardless of the point of the discharge port 13.

하류측 배기 덕트(50)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고, 대략 T자형의 유로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의 배출구(13)와 접속되는 입구는, 도 1에서 나타낸 배출구(13)를 전부 덮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로는 상측에서 배기 유로와 합류한다. 배기 유로는 상류측 배기 덕트(4O) 측에 배기 유로 입구가, 다른 쪽에 배기 유로 출구가 설치되고, 배기 유로 입구로부터 배기 유로 출구로 갈수록 개구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류측 배기 덕트(50)는, 배기 유로 입구에서는 상류측 배기 덕트(40)의 배기구의 개구 면적과 동일하거나 조금 넓게 형성하고, 배기 유로 출구에서는 배기 유로 입구보다 넓어지도록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직선형의 좌우의 배출구(13)에서의 흡인력을 배출구(13)의 지점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하고 있다.The downstream exhaust duct 50 has an inlet and an outlet, and a substantially T-shaped flow path is formed therein. The inlet connected to the outlet 13 of the flow path is formed so as to cover all of the outlet 13 shown in FIG. 1. In addition, the passage joins the exhaust passage from above. The exhaust flow path is formed such that an exhaust flow path inlet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side, and an exhaust flow path outle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the opening area increases from the exhaust flow path inlet to the exhaust flow path outlet. The downstream exhaust duct 50 is formed at the exhaust passage inlet at the same or slightly wider than the opening area of the exhaust port of the upstream exhaust duct 40, and at the exhaust passage outlet, the downstream exhaust duct 50 is wider than the exhaust passage inlet. To form. Thereby, the suction force in the linear left and right discharge ports 13 is made uniform regardless of the point of the discharge port 13.

이들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는, 고무 호스·금속제 배관 등의 통체(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통체는 같은 개구 면적이 된다. 이들 상류측 배기 덕트(40), 하류측 배기 덕트(50) 및 통체로 배기 덕트를 구성한다.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고무 호스 등의 통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에,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는 형태가 된다.These upstream exhaust ducts 40 and downstream exhaust ducts 50 are connected to a cylinder (not shown) such as a rubber hose or a metal pipe. The cylinder has the same opening area. The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the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and a cylinder form an exhaust duct. The exhaust duct is formed by arranging two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s 40 and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s, which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12, and the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s. While connecting the 40 and the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50 to a tubular body such as a rubber hose, and from the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 40 to the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50, and T The air flows out from the female downstream exhaust duct 50 in one external direction.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upstream exhaust duct 40 and the downstream exhaust duct 50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전후 중 한쪽 또는 전후 양쪽의 에어 흡인구(12a)로부터의 흡인에는 피제진물의 크기가 클수록, 에어 흡인실(12)도 크게 형성할 필요가 있지만 좌우 방향의 압력 분포가 배출구(13)의 위치에 의하여 변화하여 균일한 흡인을 할 수 없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그 구성을 연구하고 있다.In the suction from one of the front and rear, or both the front and the rear, the air suction chamber 12 needs to be formed larger as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damped is larger, but the pressure distribu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outlet 13. Change, and uniform suction cannot be obtained. Therefore, the composition is studied as follows.

(1) 배출구(13)를 길게 하고, 넓은 부분으로 흡인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배출구(13)에서의 흡인력을 위치에 따르지 않고 일정하게 설정하여 에어 흡인구(12a)로부터 일정한 힘으로 흡인하도록 배려하고 있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에 의한 배기 유로에서는, 배기 유로 선단의 개구 면적을 좁게 형성하고, 배기 유로 출구에 가까워질수록 개구 면 적이 넓어지도록 형성하고 있다.(1) The discharge port 13 is lengthened and suctioned to a wide part. In addition, the suction force at the discharge port 13 is set constant regardless of the position, and the suction force is considered to be sucked from the air suction port 12a with a constant force.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n the exhaust flow path formed by the upstream exhaust duct 40 and the downstream exhaust duct 50, the opening area at the tip of the exhaust flow path is narrowly formed so that the opening area becomes wider as the exhaust flow path exits. Forming.

(2) 또한, 상측에 있는 배출구로부터 하측의 흡인구까지의 사이에 거리를 둠으로써, 균일하게 흡인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점은, 헤드 본체(10)를 상하 방향, 즉 세로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2) In addition, by allowing a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port on the upper side and the suction port on the lower side, it is possible to uniformly suck. This can be achieved by forming the head main body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vertically long.

배기 덕트용 실(60)은 헤드 본체(10)와 상류측 배기 덕트(40)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헤드 본체(10)와 상류측 배기 덕트(40)의 간극을 실링(sealing)한다. 마찬가지로 헤드 본체(1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헤드 본체(1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의 간극을 실링한다. 도 1에서는 상류측 배기 덕트(40)용의 배기 덕트용 실(60)과 하류측 배기 덕트(50)용의 배기 덕트용 실(60)의 형상이 상이하지만, 설계에 의해 형상을 동일하게 하여 공통화하면 비용 저감에 기여한다.The exhaust duct seal 60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main body 10 and the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to seal the gap between the head main body 10 and the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Similarly, it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main body 10 and the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and seals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head main body 10 and the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As shown in FIG. In Fig. 1, the shapes of the exhaust duct chamber 60 for the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and the exhaust duct chamber 60 for the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are different. Commonization contributes to cost reduction.

급기 덕트용 실(70)은 헤드 본체(10)와 커버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헤드 본체(10)와 커버부(20)의 간극을 실링한다. 마찬가지로 헤드 본체(10)와 급기 덕트(30)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헤드 본체(10)와 급기 덕트(30)의 간극을 실링한다. 급기 덕트용 실(70)에서는 급기 덕트(30)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만, 커버부(20)에서는 상기 구멍은 커버부(20)로 밀봉되고, 공통화를 실현하고 있다. 도 1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되는 형상으로 하면 비용 저감에 기여한다.The air supply duct seal 70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main body 10 and the cover part 20 to seal the gap between the head main body 10 and the cover part 20. Similarly, it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main body 10 and the air supply duct 30 to seal the gap between the head main body 10 and the air supply duct 30. In the air supply duct seal 70, a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so as to be used as the air supply duct 30, but in the cover portion 20, the hole is sealed by the cover portion 20, thereby achieving commonization. As shown in Fig. 1, a common shape contributes to cost reduction.

이와 같은 클리닝 헤드(1)에서는, 헤드 본체(10)는 압출 성형 또는 인발 성형(pultrusion)을 채용하고, 또한 커버부(20), 급기 덕트(30), 상류측 배기 덕 트(40), 하류측 배기 덕트(50)는 다이캐스트 성형을 채용하므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동시에 기계 가공을 매우 적어지도록 하였다.In such a cleaning head 1, the head main body 10 employs extrusion molding or pultrusion, and further includes a cover portion 20, an air supply duct 30, an upstream exhaust duct 40, and a downstream. Since the side exhaust duct 50 adopts die-cast molding, it can mass-produce and at the same time make the machining much less.

클리닝 헤드(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헤드(1)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cleaning head 1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Next, the function of the cleaning head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시하지 않은 블로어(blower)로부터 HEPA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r Air Filter)를 통과한 청정 에어가 급기 덕트(30)에 공급된다. 상기 청정 에어는, 급기 덕트(30), 에어 분출실(11)을 통하여 에어 분출구(11a)로부터 분사된다. 세정 에어는, 도시하지 않은 제진 대상인 피제진물에 분사된다. 이 때 피제진물에 부착되는 먼지가 날려지지만, 헤드 본체(10)의 전후의 에어 흡인구(12a)에 흡인된다. 흡인된 배기 에어는, 에어 흡인실(12), 배출구(13)를 거쳐 상류측 배기 덕트(40), 하류측 배기 덕트(50)로부터 배출된다. 클리닝 헤드(1)의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다.Clean air passing through a 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r Air Filter) from a blower (not shown) is supplied to the air supply duct 30. The clean air is injected from the air jet port 11a through the air supply duct 30 and the air jet chamber 11. The cleaning air is injected into the object to be damped, which is not shown in the figure. At this time, dust adhering to the object to be dusted is blown off, but is sucked into the air suction port 12a before and after the head main body 10. The sucked exhaust air is discharged from the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and the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via the air suction chamber 12 and the discharge port 13. The function of the cleaning head 1 is as described above.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4의 (a)는 상면도, 도 4의 (b)는 전면도, 도 4의 (c)는 우측면도, 도 4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4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Next, another Example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4 is a block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4A is a top view, FIG. 4B is a front view, FIG. 4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4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한쌍 구비하는 형태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를 하나 배치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에어가 배기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배출 구(13)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면 중앙에서 전후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또한 좌우방향으로 1열(합계 2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도 4의 (a), 4의 (b) 및 4의 (c)에서는 급기와 배기를 동일한 측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와 배기 호스가 동일 측과 접속된다.In the previou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exhaust duct includes a pair of upstream exhaust ducts 40 and downstream exhaust ducts 50. Similarly, in the exhaust duct, one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 40 is disposed so that air is exhausted in one direction.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the discharge ports 13 are arranged in two rows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are arranged in one row (two in total)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s. 4A, 4B, and 4C, air supply and exhaust are performed on the same side. That is, the air supply hose and the exhaust hose which are not shown are connected with the same side.

또한, 헤드 본체(10)는 좌우 양쪽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4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4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급기를 양쪽에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하거나,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ead main body 10 has openings formed at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nd may have the same shape, and thus the cover body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may be replaced with each other. Thus, as shown in (d) of FIG. 4, by replacing and mounting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the air supply and exhaust can be performed on the opposite side, or as shown in (e) of FIG. By supplying the air supply duct 30 to both sides, you may make it perform air supply on both sides. These are formed as the cleaning head 1 which can be configured by chang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ommon parts, can be easily set in a desired air supply / exhaust direction, and can easily manufacture various kinds.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5의 (a)는 상면도, 도 5의 (b)는 전면도, 도 5의 (c)는 우측면도, 도 5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5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Next, another Example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5A is a top view, FIG. 5B is a front view, FIG. 5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5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한쌍 구비하는 형태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를 2개 좌우 반대 방향으로 배치한 것으로서 좌우 양쪽에서 양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배출구(13)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상면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또한 좌우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어, 합계 4개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도 5의 (a), 5의 (b) 및 5의 (c)에서는 급기를 한쪽에서, 또한, 배기를 양쪽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는 한쪽에 접속되고, 배기 호스가 양쪽으로 접속된다.In the previou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exhaust duct includes a pair of upstream exhaust ducts 40 and downstream exhaust ducts 50. Similarly, in the exhaust duct, two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s 40 ar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to allow air to flow out in both directions. In this case, similarly to Fig. 1, the discharge ports 13 are arranged in two row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re arranged in two rows in the left-right direction so that a total of four discharge ports are formed. 5 (a), 5 (b) and 5 (c), air supply is performed from one side and exhaust is performed from both sides. That is, the air supply hose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exhaust hose is connected to both sides.

또한, 헤드 본체(10)의 좌우 양쪽의 개구부는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5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5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함께 양쪽에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상류측 배기 덕트(4O)를 여러개 준비하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하거나,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In addition, since the opening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main body 10 have the same shape,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can be replaced with each other. Thus, as shown in (d) of FIG. 5, by replacing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the air is supplied from the opposite side, or as shown in FIG. By mounting the duct 30 on both sides, both the air supply and the exhaust may be performed together. Such a form can be easily produced by preparing several upstream exhaust ducts 40. These are formed as the cleaning head 1 which can be configured by chang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ommon parts, can be easily set in a desired air supply / exhaust direction, and can easily manufacture various kinds.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6의 (a)는 상면도, 도 6의 (b)는 전면도, 도 6의 (c)는 우측면도, 도 6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6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Next,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which FIG. 6A is a top view, FIG. 6B is a front view, FIG. 6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6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측 배기 덕 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한쌍 구비하는 형태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도시하지 않은 통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에,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이며, 이와 같은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배기 덕트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배출구(13)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면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또한 좌우방향으로 4열(합계 8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 경우, 헤드 본체(10)는 길게 형성된다. 도 6의 (a), 6의 (b) 및 6의 (c)에서는 급기 및 배기를 같은 한쪽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 및 배기 호스는 같은 한쪽과 접속된다.In the previou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2, a pair of upstream side exhaust ducts 40 an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s 50 are provided, but as shown in Fig. 6 in this embodiment, The exhaust duct is formed by arranging two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s 40 and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s, which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12, and the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s. While connecting the 40 and the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50 to an unillustrated cylinder, from the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 40 to the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50, and the T-shaped Is an exhaust duct configured to allow air to flow outward from the downstream exhaust duct 50 in the same direction, and two exhaust ducts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and the exhaust ducts are the same so that the air flows in the same direction. It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the discharge ports 13 are arranged in two row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re formed in four rows (eight total)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is case, the head main body 10 is formed long. 6 (a), 6 (b) and 6 (c), air supply and exhaust are performed at the same side. That is, the air supply hose and the exhaust hose which are not shown are connected with the same one.

또한, 헤드 본체(10)의 좌우 양쪽의 개구부는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6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좌우로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6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급기를 양쪽으로, 또한, 배기를 한쪽에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 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In addition, since the opening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main body 10 have the same shape,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can be replaced with each other. Thus, as shown in (d) of FIG. 6,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are mounted by replacing left and right, so that the air supply and exhaust can be performed on the opposite side, or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air supply duct 30 may be mounted on both sides, so that the air supply may be carried out from both sides and from one side. These are formed as the cleaning head 1 which can be configured by chang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ommon parts, can be easily set in the desired air supply / exhaust direction, and can easily manufacture various kinds.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7의 (a)는 상면도, 도 7의 (b)는 전면도, 도 7의 (c)는 우측면도, 도 7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7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Next, another Example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7A is a top view, FIG. 7B is a front view, FIG. 7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7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에 의한 배기 덕트 2쌍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는 형태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통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에,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이며, 이와 같은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배기 덕트를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배출구(13)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면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2열로 형성되고, 또한 좌우방향으로 4열(합계 8개)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 경우, 헤드 본체(10)는 길게 형성된다. 도 7의 (a), 7의 (b) 및 7의 (c)에서는 급기를 한쪽에서, 또한, 배기를 양쪽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는 한쪽에서, 또한, 배기 호스는 양쪽과 접속된다.In the previous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wo pairs of exhaust ducts by the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and the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shown, the exhaust duct is formed by arranging two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s 40 and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s which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12. While connecting the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and the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through a cylinder, from the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to the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and T The exhaust duct is configured to allow air to flow outward from the female downstream exhaust duct 50. The exhaust duct is arranged such that two exhaust ducts are arranged and disposed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is reversed. It is arr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the discharge ports 13 are formed in two row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re arranged in four rows (eight total)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is case, the head main body 10 is formed long. In FIGS. 7A, 7B, and 7C, air supply is performed from one side and exhaust is performed from both sides. That is, the air supply hose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exhaust hose is connected to both sides.

또한, 헤드 본체(10)의 좌우 양쪽의 개구부가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7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7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급기·배기 함께 양쪽으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In addition, since the opening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main body 10 have the same shape,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can be replaced with each other. Therefore, as shown in FIG. 7D, the cover unit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are alternately mounted so that air supply is performed on the opposite side, or as shown in FIG. 7E. By mounting the duct 30 on both sides, the air supply and the exhaust may be performed together. These are formed as the cleaning head 1 which can be comprised by changing the mounting position of a common component, can be easily set to a desired air supply / exhaust direction, and can manufacture various kinds easily.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8의 (a)는 상면도, 도 8의 (b)는 전면도, 도 8의 (c)는 우측면도, 도 8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8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Next, another Example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8 is a block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which FIG. 8A is a top view, FIG. 8B is a front view, FIG. 8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8D is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8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를 하나 상면에 배치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에어가 배기되는 형태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의 하나를 앞면에, 또한 하나를 후면에 배치한 것으로서 동일한 일방향으로 에어가 배기되는 형태이다.In the previou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exhaust duct is an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disposed on one upper surface, and air is exhausted in on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exhaust duct is one in which the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 40 is disposed on the front face and one on the rear face, so that air is exhausted in the same one direction.

도 8에서 나타낸 헤드 본체(80)는, 상세하게는, 도 3의 (c)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분출실(11), 에어 흡인실(12), 배출구(13)를 구비하고, 중앙에 에어 분출실(11)이, 그 전후 양측에 에어 흡인실(12)이 형성되어 있다. 하면 측에서는 헤드 본체(8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3선의 직선형의 에어 분출구(11a) 및 에어 흡인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선형의 배출구(13)는, 앞면 중앙 및 후면 중앙에 각각에 일렬 구비되는 형태이다. 또한, 헤드 본체(80)의 좌우 양쪽으로 에어 분출실(11)과 에어 흡인실(12)은 개구되어 있다. 이 경우, 헤드 본체(80)에 형성되는 분출구(11a)와 흡인구(12a)는, 도 3의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에어 분출구(11a)의 양쪽을 에어 흡인구(12a)가 그 사이에 두는 VPV 구조로만 된다. 도 8의 (a), 8의 (b) 및 8의 (c)에서는 급기와 배기를 동일한 측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와 배기 호스가 동일한 측과 접속된다.8, the head main body 80 shown in FIG. 8 is equipped with the air blowing chamber 11, the air suction chamber 12, and the discharge port 13, as shown also in FIG. In the air blowing chamber 11, the air suction chamber 12 is formed in the front and back both sides. On the lower surface side, three linear air blowing holes 11a and air suction holes 12a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main body 80 are formed. Moreover, the linear discharge port 13 is a form provided in line at the front center and the rear center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ir blowing chamber 11 and the air suction chamber 12 ope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main body 80. In this case, the jet port 11a and the suction port 12a formed in the head main body 80 ar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shown in FIG. Only the VPV structure which 12a puts in between. In FIGS. 8A, 8B, and 8C, air supply and exhaust are performed on the same side. That is, the air supply hose and the exhaust hose which are not shown are connected with the same side.

또한, 헤드 본체(80)의 좌우 양쪽의 개구부는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8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하거나, 도 8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배기를 한쪽에서, 또한, 급기를 양쪽에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In addition, since the opening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main body 80 have the same shape,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can be replaced with each other. Thus, as shown in (d) of FIG. 8, by replacing and mounting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the air supply and exhaust are performed on the opposite side, or as shown in (e) of FIG. By mounting the air supply ducts 30 on both sides, exhaust may be performed from one side and from both sides. These are formed as the cleaning head 1 which can be comprised by changing the mounting position of a common component, can be easily set to a desired air supply / exhaust direction, and can manufacture various kinds easily.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9의 (a)는 상면도, 도 9의 (b)는 전면도, 도 9의 (c)는 우측면도, 도 9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9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Next, another Example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FIG.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9A is a top view, FIG. 9B is a front view, FIG. 9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9D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9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상면에서 한쌍 구비하는 형태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통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는 배기 덕트로서, 상기 배기 덕트를 앞면 및 후면에서 2개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배기 덕트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는 형태가 된다.In the previou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exhaust duct is provided with a pair of upstream side exhaust ducts 40 an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s 50 on the upper surface, but in this embodiment, As shown, the exhaust duct is formed by arranging two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s 40 and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s which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12. While connecting the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and the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through a cylinder, from the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to the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and T An exhaust duct in which air flows out from the female downstream exhaust duct 50 in one direction, and the exhaust ducts are arrang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exhaust ducts are the same so that the air flows in the same direction. It will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도 9에서 나타낸 헤드 본체(80)는, 상세하게는, 도 3의 (c)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분출실(11), 에어 흡인실(12), 배출구(13)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의 (c)에서는, 중앙에 에어 분출실(11)이, 그 전후 양측에 에어 흡인실(12)이 형성되어 있다. 하면 측에서는 헤드 본체(8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의 에어 분출구(11a) 및 에어 흡인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선형의 배출구(13)는, 앞면 중앙 및 후면 중앙의 각각에 좌우방향으로 2열로 구비되는 형태이다. 또한, 헤드 본체(80)의 좌우 양쪽으로 에어 분출실(11)과 에어 흡인실(12)은 개구되어 있다. 이 경우, 헤드 본체(80)에 형성되는 분출구(11a)와 흡인구(12a)는, 도 3의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배열되어 에어 분출구(11a)의 양쪽을 에어 흡인구(12a)가 그 사이에 두는 VPV 구조로만 된다. 도 9의 (a), 9의 (b) 및 9의 (c)에서는 급기와 배기를 동일한 측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와 배기 호스가 동일 측과 접속된다.9, the head main body 80 shown in FIG. 9 is equipped with the air blowing chamber 11, the air suction chamber 12, and the discharge port 13, as shown also in FIG.3 (c). In FIG.3 (c), the air blowing chamber 11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air suction chamber 12 is formed in the front and back both sides. On the lower surface side, the linear air jet port 11a and the air suction port 12a which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head main body 80 are formed. In addition, the linear discharge port 13 is a form provided in two rows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each of the front center and the rear center. In addition, the air blowing chamber 11 and the air suction chamber 12 ope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main body 80. In this case, the jet port 11a and the suction port 12a formed in the head main body 80 ar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shown in FIG. Only the VPV structure which 12a puts in between. 9 (a), 9 (b) and 9 (c), air supply and exhaust are performed on the same side. That is, the air supply hose and the exhaust hose which are not shown are connected with the same side.

또한, 헤드 본체(80)의 좌우 양쪽의 개구부는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9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9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배기를 한쪽에서, 또한, 급기를 양쪽으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상류측 배기 덕트(40) 및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여러개 준비하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In addition, since the opening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main body 80 have the same shape,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can be replaced with each other. Thus, as shown in FIG. 9 (d), by replacing and mounting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the air supply and exhaust can be performed on the opposite side, or as shown in FIG. 9 (e). By mounting the air supply ducts 30 on both sides, the exhaust air may be discharged from one side and from both sides. Such a form can be easily produced by preparing several upstream exhaust ducts 40 and downstream exhaust ducts 50. These are formed as the cleaning head 1 which can be comprised by changing the mounting position of a common component, can be easily set to a desired air supply / exhaust direction, and can manufacture various kinds easily.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10의 (a)는 상면도, 도 10의 (b)는 전면도, 도 10의 (c)는 우측면도, 도 10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10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Next, another Example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which FIG. 10A is a top view, FIG. 10B is a front view, FIG. 10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10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상면에 있어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를 2개 좌우 반대 방향으로 배치한 것으로서 좌우 양쪽으로 양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도록 한 덕트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배기 덕트를 앞면에 2개 및 후면에 2개의 합계 4개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을 역으로 배치하는 형태가 된다. 도 10에서 나타낸 헤드 본체(80)는, 도 9에서 나타낸 헤드 본체(80)와 동일한 구성이다.In the previou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exhaust duct is an upper duct of two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s 40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air flows out in both directions.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such exhaust ducts are arranged on the front surface and two on the rear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the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out is reversed. The head main body 80 shown in FIG. 10 is the same structure as the head main body 80 shown in FIG.

또한, 헤드 본체(80)의 좌우 양쪽의 개구부는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10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10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배기 및 급기를 양쪽에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는 상류측 배기 덕트(40)를 여러개 준비하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으로서 형성된다.In addition, since the opening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main body 80 have the same shape,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can be replaced with each other. Thus, as shown in FIG. 10 (d), by replacing and mounting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air supply is performed on the opposite side, or as shown in FIG. 10 (e), air supply By mounting the duct 30 on both sides, exhaust and air supply may be performed on both sides. Such a form can be easily produced by preparing several upstream exhaust ducts 40. These are formed as the cleaning head 1 which can be configured by chang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ommon parts, can be easily set in a desired air supply / exhaust direction, and can easily manufacture various kinds.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11의 (a)는 상면도, 도 11의 (b)는 전면도, 도 11의 (c)는 우측면도, 도 11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11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Next, another Example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FIG.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1A is a top view, FIG. 11B is a front view, FIG. 11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11D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11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에 의한 배기 덕트 2쌍을 상면에 있어서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는 형태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통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이며, 이와 같은 배기 덕트를 앞면 및 후면에 있어서 각각 2개 배열하여 합계 4개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배기 덕트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배출구(13)는 앞면에 좌우 방향으로 4열 및 후면에 좌우 방향으로 4열 구비하는 형태이다. 이 경우, 헤드 본체(80)는 길게 형성된다. 도 11의 (a), 11의 (b) 및 11의 (c)에서는 급기 및 배기는 동일한 측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 및 배기 호스는 동일 측과 접속된다.In the previous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wo pairs of exhaust ducts formed by the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and the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 11, the exhaust duct arrange | positions and arrange | positions the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 40 and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50 which communicate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12 together, While connecting the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and the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through a cylinder, from the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to the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And it is an exhaust duct comprised so that air may flow out from the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50 to one direction, and arrange | positions two such exhaust ducts i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respectively, and arranges a total of four, The air flows in the same direction The lock exhaust duct i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is case, the discharge port 13 is provided with four row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ront surface and four row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rear surface. In this case, the head main body 80 is formed long. 11A, 11B, and 11C, air supply and exhaust are performed on the same side. That is, the air supply hose and the exhaust hose which are not shown are connected with the same side.

또한, 헤드 본체(80)의 좌우 양쪽의 개구부는 서로 동일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11의 (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와 배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11의 (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배기를 한쪽에서, 급기를 양쪽에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In addition, since the opening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main body 80 have the same shape,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can be replaced with each other. Thus, as shown in (d) of FIG. 11, by replacing and mounting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the air supply and exhaust can be performed on the opposite side, or as shown in FIG. 11 (e). By mounting the air supply ducts 30 on both sides, the exhaust air may be supplied from one side and the air supply from both sides. These are formed as the cleaning head 1 which can be comprised by changing the mounting position of a common component, can be easily set to a desired air supply / exhaust direction, and can manufacture various kinds easily.

이어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의 구성도이며, 도 12의 (a)는 상면도, 도 12의 (b)는 전면도, 도 12의 (c)는 우측면도, 도 12의 (d)는 급기 덕트가 반대 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 도 12의 (e)는 급기 덕트가 양방향인 클리닝 헤드에 대한 설명도이다.Next, another Example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which FIG. 12A is a top view, FIG. 12B is a front view, FIG. 12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FIG. 12E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cleaning head in which the air supply duct is bidirectional.

앞의 실시예에서는, 도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하류측 배기 덕트(50)에 의한 배기 덕트 2쌍을 앞면에, 또한, 배기 덕트 2쌍을 후면에 각각 배치하고, 배기 덕트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형태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는 함께 에어 흡인실(12)과 연통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서,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를 통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40)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 그리고,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50)로부터 외부의 일방향으로 에어가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이며, 이와 같은 배기 덕트를 앞면 및 후면에 있어서 각각 좌우방향으로 2개 배열하여 합계 4개 배치함과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배기 덕트를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배출구(13)는 앞면에 4열 및 후면에 4열 구비되는 형태이다. 이 경우, 헤드 본체(80)는 길게 형성된다. 도 12의 (a), 12의 (b) 및 12의 (c)에서는 급기를 한쪽에서, 또한, 배기를 양쪽에서 행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급기 호스는 한쪽에서, 또한, 배기 호스는 양쪽과 접속된다.In the previou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two pairs of exhaust ducts by the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and the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are arranged on the front face and two pairs of the exhaust ducts on the back side,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the exhaust duct is directed in the same direction, but as shown in FIG. 12, the exhaust duct is downstream of the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and the T-shape which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12 together. The two side exhaust ducts 50 are arranged in an arrangement, and the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and the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ylinder, and the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s ( 40 is an exhaust duct configured to allow air to flow out from the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50 and from the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50 in one external direction. Two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isposed four in total, and at the same time, and places the exhaust duct in a direction opposite the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out to the contrary. In this case, the outlet 13 is formed in four rows on the front and four rows on the back. In this case, the head main body 80 is formed long. 12 (a), 12 (b) and 12 (c), air is supplied from one side and exhaust is performed from both sides. That is, the air supply hose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exhaust hose is connected to both sides.

또한, 헤드 본체(80)는 좌우의 양쪽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동일 한 형상이므로,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그래서, 도 1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20)와 급기 덕트(30)를 교체하여 장착함으로써, 급기를 반대측에서 수행하도록 하거나, 도 12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덕트(30)를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급기 및 배기를 양쪽에서 수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은 공통 부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정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로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ead main body 80 has openings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nd has the same shape, so that the cover part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can be replaced with each other. Thus, as shown in FIG. 12 (d), by replacing and mounting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air supply duct 30, air supply is performed on the opposite side, or as shown in FIG. 12 (e), air supply By mounting the duct 30 on both sides, the air supply and exhaust may be performed from both sides. These are formed as the cleaning head 1 which can be comprised by changing the mounting position of a common component, can be easily set to a desired air supply / exhaust direction, and can manufacture various kinds easily.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헤드(1)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헤드 본체(10, 80), 커버부(20), 급기 덕트(30), 상류측 배기 덕트(40), 하류측 배기 덕트(50), 배기 덕트용 실(60), 급기 덕트용 실(70)은 공통 부품을 적절하게 선택한 후에 조립되어 다양한 종류의 클리닝 헤드(1)를 형성하는 형태를 채용한다. 그러므로 공통 부품을 사전에 대량으로 제조해 두면 되고, 부품 제조 시의 비용·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커버부(20), 급기 덕트(30), 상류측 배기 덕트(40), 하류측 배기 덕트(50)는, 종래에는 판금, 기계가공으로 제작되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다이케스트로 성형함으로써 비용 저감·제작 시간 단축을 실현하고 있다.The cleaning head 1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ead main body 10, 80, cover part 20, air supply duct 30, upstream exhaust duct 40, downstream exhaust duct 50, exhaust duct seal 60, air supply duct seal 70 ) Adopts a form in which the common parts are appropriately selected and then assembled to form various types of cleaning heads 1. Therefore, a large amount of common parts may be manufactured beforehand, and the cost and time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parts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the cover portion 20, the air supply duct 30, the upstream side exhaust duct 40, and the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50 are conventionally manufactured by sheet metal and machining,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st is reduced by forming a die cast. · It shortens production time.

또한, 에어의 배기 방향이나 급기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1)를 형성할 수 있고, 종래에는 개개의 사정에 의한 특별 주문품으로서 대응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표준품을 취급할 수 있어서, 납기의 단축에 기여한다.Moreover, although the cleaning head 1 which can set the air exhaust direction and the air supply direction of air to a desired direction can be formed, and was conventionally responding as a special order by individual circumstances, in this embodiment, a standard product can be handled. Therefore, it contributes to shortening of the delivery date.

또한, 배기 덕트가 상면에 장착되는 형태에서는, 전후의 에어 흡인구(12a) 또는 배출구(13)의 전후 방향의 폭(슬릿폭)을 상이한 폭으로 설정함으로써, 전후의 배기량을 바꿀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orm in which the exhaust duct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the exhaust amount before and after can be changed by setting the width (slit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air suction port 12a or the discharge port 13 to a different width.

또한, 배기 덕트를 전후의 측면에 장착하는 경우도, 전후의 에어 흡인구(12a) 또는 배출구(13)의 슬릿폭을 상이하게 설정함으로써 전후의 배기량을 바꿀 수 있음은 물론, 에어 흡인구(12a)나 배출구(13)의 슬릿폭을 동일하게 설정하고, 한쪽 배관 또는 양쪽 배관에 밸브를 개재시켜 배기량이 상이하게 되도록 조절함으로써도 전후의 에어 흡인구(12a)의 배기량을 원하는 양으로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exhaust duct is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the front and rear exhaust air volume can be changed by setting the slit widths of the front and rear air suction ports 12a or the discharge ports 13 differently, as well as the air suction ports 12a. ) And the slit width of the discharge port 13 are set equal, and the exhaust amount of the front and rear air suction ports 12a can be selected to a desired amount even by adjusting the pipes in one or both pipes so that the exhaust amounts are different.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급기·배기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클리닝 헤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cleaning head which can be set in a desired air supply / exhaust direction by appropriately selecting a component and which can easily manufacture various kinds is provided.

Claims (12)

외관이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그 내부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을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에서 각각 연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은 좌우의 양쪽 개구면에 연통하고, 상기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은 상면의 배출구에 연통하고, 하면에 1개의 에어 분출구 및 상기 에어 분출구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에어 흡인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formed to include six surfaces, and inside and outside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and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the second air suction chamber sandwiching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therebetween. Opening surfaces ar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rom right to left, and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communicates with both left and right opening surfaces, and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the second air suction chamber ar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upper surface. A head body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blower, the head main body having one air blower outlet and two air suction holes disposed between the air blower outlets; 좌우의 한쪽의 개구면이 폐색(閉塞)되는 헤드 본체의 다른 쪽의 개구면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좌우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유입하는 급기 덕트; 및An air supply duct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at the other opening surface of the head body in which one of the left and right opening surfaces is closed, and the cleaning air flows from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상기 헤드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과 상면의 배출구에서 연통하고,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 배기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An exhaust duc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ead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a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a second air suction chamber from an outlet of the upper surface, the exhaust air being discharged to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고,Made to have, 상기 급기 덕트의 장착 개소의 변경 및 상기 배기 덕트의 장착 방향의 변경을 행하여, 급기 방향 및 배기 방향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한,By changing the attachment location of the air supply duct and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the air supply direction and the exhaust direction are selected. 클리닝 헤드.Cleaning head. 외관이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그 내부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을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에서 각각 연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은 좌우의 양쪽 개구면에 연통하고, 상기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은 각각 전면(前面) 및 후면(後面)의 배출구에 연통하고, 하면에 1개의 에어 분출구 및 상기 에어 분출구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에어 흡인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formed to include six surfaces, and inside and outside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and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the second air suction chamber sandwiching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therebetween. Opening surfaces ar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rom the left and right, and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communicates with both the left and right opening surfaces, and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the second air suction chamber are respectively front surfaces. And a head body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of the rear surface and having two air suction ports arrang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with one air jet port and the air jet port interposed therebetween. 좌우 중 한쪽의 개구면이 폐색(閉塞)되는 헤드 본체의 다른 쪽의 개구면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좌우 방향 중 한쪽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유입하는 급기 덕트; 및An air supply duct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on the other opening surface of the head body in which one of the left and right openings is closed, and the cleaning air flows from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상기 헤드 본체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과 전면 및 후면의 배출구에서 각각 연통하고,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 배기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An exhaust duct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ead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the second air suction chamber, and the discharge port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and exhaust air is discharged in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고,Made to have, 상기 급기 덕트의 장착 개소의 변경 및 배기 덕트의 장착 방향의 변경을 행하여, 급기 방향 및 배기 방향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한,By changing the mounting location of the air supply duct and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the air supply direction and the exhaust direction are selected. 클리닝 헤드.Cleaning head. 외관이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그 내부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을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에서 각각 연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은 좌우의 양쪽 개구면에 연통하고, 상기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은 상면의 배출구에 연통하고, 하면에 1개의 에어 분출구 및 상기 에어 분출구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에어 흡인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formed to include six surfaces, and inside and outside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and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the second air suction chamber sandwiching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therebetween. Opening surfaces ar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rom right to left, and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communicates with both left and right opening surfaces, and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the second air suction chamber ar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upper surface. A head body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blower, the head main body having one air blower outlet and two air suction holes disposed between the air blower outlets; 상기 헤드 본체의 좌우 양쪽의 개구면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좌우 방향의 2 방향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유입하는 급기 덕트; 및An air supply duct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s on the left and right openings of the head main body to allow cleaning air to flow from two directio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상기 헤드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과 상면의 배출구에서 연통하고,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 배기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An exhaust duc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ead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the second air suction chamber at an outlet of the upper surface, and exhaust air is discharged in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고,Made to have, 상기 배기 덕트의 장착 방향의 변경을 행하여, 급기 방향을 양(兩) 방향으로, 또는, 상기 배기 방향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한,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is changed and the air supply direction is selected in both directions or the exhaust direction is selected, 클리닝 헤드.Cleaning head. 외관이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그 내부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을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에서 각각 연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분출실은 좌우의 양쪽 개구면에 연통하고, 상기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은 각각 전면(前面) 및 후면(後面)의 배출구에 연통하고, 하면에 1개의 에어 분출구 및 상기 에어 분출구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에어 흡인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formed to include six surfaces, and inside and outside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and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the second air suction chamber sandwiching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therebetween. Opening surfaces ar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rom the left and right, and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communicates with both the left and right opening surfaces, and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the second air suction chamber are respectively front surfaces. And a head body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of the rear surface and having two air suction ports arrang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with one air jet port and the air jet port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헤드 본체의 좌우 양쪽의 개구면에서 제1 에어 분출실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좌우 방향의 2 방향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유입하는 급기 덕트; 및An air supply duct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s on the left and right openings of the head main body to allow cleaning air to flow from two directio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상기 헤드 본체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에어 흡인실, 제2 에어 흡인실과 전면 및 후면의 배출구에서 각각 연통하고,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 배기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An exhaust duct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ead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the second air suction chamber, and the front and rear discharge ports, respectively, and exhaust air is discharged in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고,Made to have, 상기 배기 덕트의 장착 방향의 변경을 행하여, 급기 방향을 양(兩) 방향으로, 또는, 배기 방향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한,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exhaust duct is changed to select the air supply direction in both directions or the exhaust direction, 클리닝 헤드.Cleaning hea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를 1개 배치한 것이며 좌우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클리닝 헤드.The said exhaust duct arrange | positions one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 and air is exhausted in one of the left-right directions, The cleaning hea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배기 덕트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를 2개 반대 방향을 향해서 배치한 것이며, 좌우 방향의 양(兩) 방향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클리닝 헤드.The said exhaust duct arrange | positions an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 toward two opposite directions, and air is exhausted in the both directions of a left-right direc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배기 덕트는 모두 에어 흡인실과 연통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 상기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 또한 상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외부로, 좌우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클리닝 헤드.The exhaust duct is arranged by arranging two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s and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s communicating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and the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s and the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s are arranged. And a connecting head which discharges air from the L-shaped upstream side exhaust duct to the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and from the T-shaped downstream side exhaust duct to the outside and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배기 덕트는 모두 에어 흡인실과 연통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 상기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 또한, 상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외부로, 좌우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로 하고,The exhaust duct is arranged by arranging two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s and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s communicating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and the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s and the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s are arranged. And an exhaust duct from which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 to the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and from the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to the outside and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을 동일하게 하도록 배기 덕트를 좌우 방향에서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는, 클리닝 헤드.And arranging the two exhaust ducts at the same time, and disposing the exhaust ducts in the same direction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out is the sam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배기 덕트는 모두 에어 흡인실과 연통하는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 상기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와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L자형의 상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 또한, 상기 T자형의 하류측 배기 덕트로부터 외부로, 좌우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로 하고,The exhaust duct is arranged by arranging two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s and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s communicating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and the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s and the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s are arranged. And an exhaust duct from which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L-shaped upstream exhaust duct to the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and from the T-shaped downstream exhaust duct to the outside and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배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하는 동시에, 에어가 유출되는 방향을 역(逆)으로 하도록 배기 덕트를 좌우 방향에서 역 방향으로 배치하는, 클리닝 헤드.A cleaning head, wherein the exhaust ducts are arranged in two arrangements, and the exhaust ducts are arranged in the reverse direction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as to reverse the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out. 외관이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그 내부에서 제1 에어 흡인실과, 상기 에어 흡인실을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에서 각각 연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흡인실은 좌우의 양쪽 개구면에 연통하고, 상기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은 상면의 공급구에 연통하고, 하면에 1개의 에어 흡인구 및 상기 에어 흡인구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에어 분출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formed so as to include six surfaces, and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and the second air blowing chamber which sandwich the air suction chamber therebetween are the conveying directions of the dust removal target. Therefore, an opening surface is arranged and provided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from left and right,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communicates with both left and right opening surfaces, and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and the second air blowing chamber communicate with the supply port on the upper surface. And a head main body having one air suction port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two air jet ports having the air suction por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straight line; 상기 헤드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과 상면의 공급구에서 연통하고,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공급되는 급기 덕트; 및An air supply duc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ead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the second air blowing chamber, and a supply port of the upper surface, and supplied with cleaning air from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좌우의 한쪽의 개구면이 폐색되는 헤드 본체의 다른 쪽의 개구면에서 상기 제1 에어 흡인실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좌우 방향 중 한쪽으로부터 배기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An exhaust duct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t the other opening surface of the head body in which one of the left and right opening surfaces is closed, and the exhaust air is discharged from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고,Made to have, 상기 급기 덕트의 장착 방향의 변경 및 상기 배기 덕트의 장착 개소의 변경을 행하여, 급기 방향 및 배기 방향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한, It is set as the structure which changes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said air supply duct, and changes the attachment location of the said exhaust duct, and selects an air supply direction and an exhaust direction, 클리닝 헤드.Cleaning head. 외관이 6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그 내부에서 제1 에어 흡인실과, 상기 에어 흡인실을 사이에 두는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이 제진 대상의 반송 방향이 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에서 각각 연통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에어 흡인실은 좌우의 양쪽 개구면에 연통하고, 상기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은 상면의 공급구에 연통하고, 하면에 1개의 에어 흡인구 및 상기 에어 흡인구를 사이에 두는 2개의 에어 분출구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 본체;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formed so as to include six surfaces, and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and the second air blowing chamber which sandwich the air suction chamber therebetween are the conveying directions of the dust removal target. Therefore, an opening surface is arranged and provided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from left and right,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communicates with both left and right opening surfaces, and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and the second air blowing chamber communicate with the supply port on the upper surface. And a head main body having one air suction port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two air jet ports having the air suction por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straight line; 상기 헤드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에어 분출실, 제2 에어 분출실과 상면의 공급구에서 연통하고,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세정 에어가 공급되는 급기 덕트; 및An air supply duc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ead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ir blowing chamber, the second air blowing chamber, and a supply port of the upper surface, and supplied with cleaning air from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상기 헤드 본체의 좌우 양쪽의 개구면에서 상기 제1 에어 흡인실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2 방향으로부터 배기 에어가 배출되는 배기 덕트;Exhaust duct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main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suction chamber, and exhaust air is discharged from two directions; 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고,Made to have, 상기 급기 덕트의 장착 방향의 변경을 행하여, 배기 방향을 양(兩) 방향으로, 또는, 급기 방향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한,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air supply duct is changed and the exhaust direction is selected in both directions or the air supply direction is selected, 클리닝 헤드.Cleaning head.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상기 급기 덕트는 모두 에어 흡인실과 연통하는 T자형의 상류측 급기 덕트와 L자형의 하류측 급기 덕트를 2개 배열하여 배치한 것으로 상기 T자형의 상류측 급기 덕트와 L자형의 하류측 급기 덕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T자형의 상류측 급기 덕트로, 또한, 상기 T자형의 상류측 급기 덕트로부터 L자형의 하류측 급기 덕트로, 좌우 방향 중 한 방향으로부터 에어가 유입하는, 클리닝 헤드.The air supply duct is arranged by arranging two T-shaped upstream air supply ducts and L-shaped downstream air supply ducts communicating with the air suction chamber, and the T-shaped upstream air supply ducts and the L-shaped downstream air supply ducts are arranged. The cleaning head which connects and the air flows in from a T-shaped upstream air supply duct from the outside, and from the said T-shaped upstream air supply duct to the L-shaped downstream air supply duct from one of the left-right directions.
KR1020060119708A 2006-06-21 2006-11-30 Cleaning head KR1013403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70949A JP4771419B2 (en) 2006-06-21 2006-06-21 Cleaning head
JPJP-P-2006-00170949 2006-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492A KR20070121492A (en) 2007-12-27
KR101340391B1 true KR101340391B1 (en) 2013-12-11

Family

ID=3899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708A KR101340391B1 (en) 2006-06-21 2006-11-30 Cleaning hea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71419B2 (en)
KR (1) KR101340391B1 (en)
CN (1) CN101091951B (en)
TW (1) TW20080042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491B1 (en) * 2015-04-20 2017-06-27 주식회사하나스틸 Cleaning device for pipe su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5259A (en) * 2010-05-13 2011-11-24 Sawa Corporation Device for removing adhered substance
JP6058312B2 (en) * 2012-08-06 2017-01-11 ヒューグル開発株式会社 Cleaning head
JP6574555B2 (en) * 2014-08-06 2019-09-11 株式会社Trinc Horizontal dust remover
JP6465489B2 (en) * 2015-10-23 2019-02-06 ヒューグル開発株式会社 Cleaning head and cleaning method
CN107234101A (en) * 2017-07-28 2017-10-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base plate cleaning device
CN107900029B (en) * 2017-11-27 2024-04-09 江西合力泰科技有限公司 Surface treatment mechanism of automatic chip mounter
CN111299245A (en) * 2018-12-11 2020-06-19 韶阳科技股份有限公司 Gas circula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960A (en) * 1992-11-27 1994-06-14 Hiyuuguru Electron Kk Suction nozzle, ultrasonic dust removing nozzle and ultrasonic dust removing device
JP2004041851A (en) * 2002-07-09 2004-02-12 Hugle Electronics Inc Dust extractor head
JP3653198B2 (en) * 1999-07-16 2005-05-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Nozzle for drying, drying apparatus and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530779B1 (en) * 1999-01-26 2005-11-23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 Conveying and dust cleaning apparatus for the substrat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393A (en) * 1990-05-22 1992-01-30 Iseki & Co Ltd Transduction of gene into plant cell
JPH06262149A (en) * 1993-03-15 1994-09-20 Satako Eng:Kk Cleaning method by focused ultrasonic wave
JPH0738284A (en) * 1993-07-23 1995-02-07 Nec Ibaraki Ltd Foreign matter eliminating device
CN2260280Y (en) * 1996-01-10 1997-08-20 王冬来 Air ventilating hood for gas combustion water heater
JP2000005715A (en) * 1998-06-25 2000-01-11 Huegle Electronics Kk Dust collector
JP2000084510A (en) * 1998-09-10 2000-03-28 Huegle Electronics Kk Conveying and dust removing device for substrate
JP2000124180A (en) * 1998-10-20 2000-04-28 Dainippon Screen Mfg Co Ltd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JP2006142178A (en) * 2004-11-18 2006-06-08 Okatsune Haguruma Seisakusho:Kk Cleaning apparatus for panel-shaped body and its clean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5960A (en) * 1992-11-27 1994-06-14 Hiyuuguru Electron Kk Suction nozzle, ultrasonic dust removing nozzle and ultrasonic dust removing device
KR100530779B1 (en) * 1999-01-26 2005-11-23 휴글엘렉트로닉스가부시키가이샤 Conveying and dust cleaning apparatus for the substrate
JP3653198B2 (en) * 1999-07-16 2005-05-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Nozzle for drying, drying apparatus and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4041851A (en) * 2002-07-09 2004-02-12 Hugle Electronics Inc Dust extractor he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491B1 (en) * 2015-04-20 2017-06-27 주식회사하나스틸 Cleaning device for pipe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71419B2 (en) 2011-09-14
CN101091951A (en) 2007-12-26
KR20070121492A (en) 2007-12-27
CN101091951B (en) 2012-04-18
TWI321498B (en) 2010-03-11
JP2008000659A (en) 2008-01-10
TW200800427A (en) 2008-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391B1 (en) Cleaning head
JP6058312B2 (en) Cleaning head
TWI382883B (en) Dust removal device
JP3737869B2 (en) Process gas supply unit
KR20060103100A (en) Fan/filter unit and clean booth equipped therewith
KR100941842B1 (en) Air curtain forming device in semiconductor producing device using mini-environment system
CN112474191B (en) Slit coating die head
JP2008201588A (en) Fluid or powder transport device
KR20090047382A (en) Dust removing device
US20180347050A1 (en) Film forming device
CN114261760B (en) Switchable suction mechanism
CN214289093U (en) Slit coating die head
US4848440A (en) Mold core setter with improved vacuum system
US20060096533A1 (en) Fluid control device
KR100714250B1 (en) Powder spray coating booth
JPH0632812Y2 (en) Slit nozzle device
CN109715959B (en) Vacuum pump using profile
EP2550140B1 (en) Sheet forming apparatus for use with doctor blade
JP2021020188A (en) Slit nozzle
JP2014036943A (en) Paint booth
JP4077998B2 (en) Process gas supply unit
JP4673261B2 (en) Coating equipment
CN217100650U (en) Air cushion guide rail and hard box packaging machine
US20180264498A1 (en) Film forming device
US20080146141A1 (en) Air show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