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571B1 - 철근이음구조 - Google Patents
철근이음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9571B1 KR101339571B1 KR1020130069652A KR20130069652A KR101339571B1 KR 101339571 B1 KR101339571 B1 KR 101339571B1 KR 1020130069652 A KR1020130069652 A KR 1020130069652A KR 20130069652 A KR20130069652 A KR 20130069652A KR 101339571 B1 KR101339571 B1 KR 1013395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 delete delete
- clamp
- restraining
- anch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1—Rub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25—Adhesives, i.e. g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철근부재를 연결하는 철근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근이음구조는 내주면에 제 1 철근부재를 구속시키기 위한 구속돌기가 구비되고, 양측단부가 외향돌출되어 일정간격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 클램프; 내주면에 제 2 철근부재를 구속시키기 위한 구속돌기가 구비되고, 양측단부가 외향절곡된 절곡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하부 클램프; 상기 상부 클램프의 결합공과 상기 하부 클램프의 결합공에 체결되어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클램프 및 하부 클램프는 상부 클램프 및 하부 클램프의 맞대응시 제 1 철근부재와 제 2 철근부재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철근이음토막 구속홈을 포함하는 철근이음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철근이음구조에 따르면, 성토부 또는 절토부에서 산벽의 연결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우수한 결합력과 일정한 인장력이 유지되어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되며, 산벽의 부분적인 파손에 대해서도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철근이음구조에 따르면, 성토부 또는 절토부에서 산벽의 연결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우수한 결합력과 일정한 인장력이 유지되어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되며, 산벽의 부분적인 파손에 대해서도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근이음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산벽과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연결시공이 용이하고, 우수한 결합력으로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되는 철근이음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토목 또는 건축 현장은 암반부 또는 대지를 절개함에 따라 형성되는 절토부의 절개면에 대한 보강이나, 지반을 성토하는 과정에서 고도가 다른 영역 간에 발생되는 성토부의 경사면에 대한 보강이 고려되어야 한다. 절토부는 임의의 절개에 의하여 형성된 경사를 갖는 절개면에 대한 구조물이며, 성토부는 성토하는 과정에서 고도차로 형성되는 경사면에 대한 구조물이다. 절개면 및 경사면은 다양한 방법으로 보강을 위한 시공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이 중 성토부에는 특히 안정성과 경제성 뿐만 아니라 외적 미관을 고려한 조경이 고려된 보강 시공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주택 단지 및 노변 등에 형성된 절토부나 성토부 등은 그대로 방치될 경우 우수나 지진 등으로 인해 붕괴됨으로써 큰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바, 이러한 지형 장소들에는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옹벽을 구축 시공하고 있다.
상기 옹벽 구조물은 시멘트 블록을 쌓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이였으나 근래에는 공기 단축, 시공의 편리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최근 주거 미관 및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옹벽 구조물에 대해서도 환경 친화적인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옹벽의 기능과 조경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환경 친화적인 자연지 복원형 산벽 공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산벽 공법은 기존의 옹벽들과 비교할 때, 자연석을 쌓아 사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이고 자연스러운 외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변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다수의 자연석을 쌓아 구축하는 관계로 각각 자연석들이 별개로 거동하게 됨으로써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상기 산벽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설치대상의 사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전방에 자연석을 다단으로 층층이 쌓아올려 산벽을 형성하되, 다단으로 층층이 쌓아올린 자연석이 무너지지 않도록 각각의 자연석마다 연결앵커를 박음하고, 자연석에 박음된 연결앵커를 상기 사면에 직접 고정시키거나, 사면에 고정된 지지석, 뒷돌, 지지프레임, 앵커볼트, 록볼트, 철근, 고정바 등의 고정부재에 연결하여 각각의 자연석들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자연석과 사면과의 사이에 모래, 자갈, 흙, 잡석 등의 토사를 채워 다짐함으로써, 상기 자연석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여기서, 상기 자연석에 박음된 연결앵커와 상기 상면에 고정된 고정부재의 연결은 용접시공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이한 크기의 자연석으로 인하여 필연적으로 연결앵커가 복잡하게 놓이게 되고, 이를 일일이 고정부재에 용접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연결시공에 따른 작업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시공은 연결자유도가 낮고, 연결앵커의 인장력을 유지하지 못하며, 작업자의 의한 용접 실수로 인해 자연석이 붕괴 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토부 또는 절토부에서 산벽을 용이하게 연결시공 할 수 있도록 하고, 우수한 결합력과 일정한 인장력이 유지되어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철근이음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구조는 복수 개의 철근부재를 연결하는 철근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근이음구조는 내주면에 제 1 철근부재를 구속시키기 위한 구속돌기가 구비되고, 양측단부가 외향돌출되어 일정간격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 클램프; 내주면에 제 2 철근부재를 구속시키기 위한 구속돌기가 구비되고, 양측단부가 외향절곡된 절곡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하부 클램프; 상기 상부 클램프의 결합공과 상기 하부 클램프의 결합공에 체결되어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클램프 및 하부 클램프의 내부에는 상부 클램프 및 하부클램프의 맞대응시 제 1 철근부재와 제 2 철근부재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철근이음토막 구속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속돌기는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 내에 제 1, 제 2 철근부재 및 철근이음토막의 구속 시 형성되는 틈새의 위치에 상기 틈새와 유사한 삼각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속돌기는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 내에 제 1, 제 2 철근부재 및 철근이음토막의 구속 시 형성되는 틈새의 위치에 상기 틈새와 유사한 삼각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철근이음구조에 따르면, 성토부 또는 절토부에서 산벽의 연결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우수한 결합력과 일정한 인장력이 유지되어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되며, 산벽의 부분적인 파손에 대해서도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토부용 산벽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토부용 산벽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토부용 산벽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절토부용 산벽구조체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절토부용 산벽구조체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토부용 산벽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1 내지 도 13에 따른 성토부용 산벽구조체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토부용 산벽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토부용 산벽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토부용 산벽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절토부용 산벽구조체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절토부용 산벽구조체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성토부용 산벽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1 내지 도 13에 따른 성토부용 산벽구조체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근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산벽 구조체 및 산벽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이음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이음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이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이음구조는 상부클램프(10)와, 하부클램프(20)와, 상기 상부클램프(10)와 하부클램프(2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클램프(10)는 반원 또는 반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제 1 철근부재(11)를 구속시키기 위한 한 쌍의 구속돌기(12)가 구비되며, 양측 단부에 외향 돌출되고 일정간격으로 결합공(14)이 형성된 결합부(13)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클램프(20)는 상기 상부 클램프(10)의 형상에 대응하는 반원 또는 반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제 2 철근부재(21)를 구속시키기 위한 한 쌍의 구속돌기(22)가 구비되며, 양측 단부에 외향 돌출되고 일정간격으로 결합공(24)이 형성된 결합부(2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클램프(10)와 하부클램프(20)의 내부에는 제 1 철근부(11)재와 제 2 철근부재(21)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2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철근이음토막 구속홈(25a)이 마련된다. 즉, 상기 상부클램프(10)에는 철근이음토막(25)의 상부면을 감싸는 상부구속홈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클램프(20)에는 철근이음토막(25)의 하부면을 감싸는 하부구속홈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구속돌기(12, 22)는 상부클램프(10)와 하부클램프(20) 내에 제 1, 제 2 철근부재(11, 21) 및 철근이음토막(25)의 구속시 틈새가 형성되는 위치에 틈새의 형상과 유사한 삼각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클램프(10)와 하부클램프(20)는 내부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구속돌기(12, 22)에 의해 제 1, 제 2 철근부재(11,21) 및 철근이음토막(25)이 각각 구속될 수 있는 구속홈(11a, 21a, 25a)들이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30)는 상부클램프(10)의 결합공(14)과 하부클램프(20)의 결합공(24)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클램프(10)와 하부클램프(20)를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철근이음구조는 단순하게 제 1 철근부재와 제 2 철근부재만을 연결시킬 수 있다.
먼저, 상기 상부클램프(10) 내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구속돌기(12) 사이에 제 1 철근부재(11)의 일단부를 밀어 넣어 제 1 철근부재(11)의 일단부가 한 쌍의 구속돌기(12)에 의해 구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클램프(20)의 내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구속돌기(22) 사이에 제 2 철근부재(21)의 타단부를 밀어 넣어 제 2 철근부재(21)의 타단부가 한 쌍의 구속돌기(22)에 의해 구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클램프(10)의 결합부(13)와 하부클램프(20)의 결합부(23)를 맞대응시킨 다음, 상기 상부클램프(10)의 결합공(14)과 하부클램프(20)의 결합공(24)에 체결부재(30)를 체결하여 상부클램프(10)와 하부클램프(20)를 견고히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철근부재(11)와 제 2 철근부재(21)를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철근이음구조는 제 1 철근부재(11)와 제 2 철근부재(21)를 연결함에 있어, 제 1 철근부재(11)와 제 2 철근부재(21)의 연결부의 강도 및 결합력를 보강하기 위해 철근이음토막(25)이 덧대어지기도 한다.(도 3 참조)
이처럼 철근이음토막(25)이 제 1, 제2 철근부재(11, 21)의 양측에 덧대어지는 경우, 먼저, 상기 상부클램프(10) 내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구속돌기(12) 사이에 제 1 철근부재(11)의 일단부를 밀어 넣어 제 1 철근부재(11)의 일단부가 한 쌍의 구속돌기(12)에 의해 구속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클램프(20)의 내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구속돌기(22) 사이에 제 2 철근부재(21)의 타단부를 밀어 넣어 제 2 철근부재(21)의 타단부가 한 쌍의 구속돌기(22)에 의해 구속되도록 한 다음, 상부클램프(10)와 하부클램프(20)를 맞대응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제 1 철근부재(11)와 제 2 철근부재(21)의 접촉면 양측에 마련된 철근이음토막 구속홈(25a)에 철근이음토막(25)을 삽입한다. 이때, 상부클램프(10)에 마련된 철근이음토막 상부 구속홈이 철근이음토막의 상부면을 구속하고, 하부클램프(20)에 마련된 철근이음토막 하부 구속홈이 철근이음토막의 하부면을 구속하게 된다.
이어, 상기 상부클램프의 결합부(13)와 하부클램프의 결합부(23)를 맞대응시킨 다음, 상기 상부클램프의 결합공(14)과 하부클램프의 결합공(24)에 체결부재(30)를 체결하여 상부클램프(10)와 하부클램프(20)를 견고히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1 철근부재(11)와 제 2 철근부재(21)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철근이음토막(25)을 덧대어 고정시킴으로써 연결부의 인장강도 및 결합력를 보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이음구조는 탄성패드(45)와, 클램프(50)로 구성된다.
탄성패드(45)은 탄성을 가진 고무패드로서, 복수 개의 철근부재(40) 외측을 견고하게 감싼다. 이때, 탄성패드(45)는 사용된 철근부재(45)의 외측을 모두 감싸기 때문에 고정시킬 수 있는 철근부재(40)의 개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클램프(50)는 탄성패드(45)의 외측을 감싸고 양단부에 철근부재(4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결합봉(55)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5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51)의 양 측벽에 수용부(51)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52)이 형성된 밴드(53)와, 상기 밴드(53)의 수용부(51)에 수용되고 상기 관통홀(52)과 연통되게 결합공(54)이 형성된 결합봉(55)과, 상기 밴드의 관통홀(52)과 결합봉의 결합공(54)에 체결되어 밴드(53)를 조여주는 체결부재(56)로 구성된다. 즉, 클램프(50)는 밴드(53)로 탄성패드(45)의 외측을 감싸고, 밴드의 관통홀(52)과 결합봉의 결합공(54)에 체결되는 체결부재(56)의 체결력으로 밴드(53)를 조여 탄성패드(45)와 복수 개의 철근부재(4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53)는 고무밴드처럼 이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이중의 밴드(53) 양단부가 서로 이격되게 벌어지면서 수용부(51)를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51)의 양측벽에 수용부(51)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52)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밴드의 수용부(51)에는 결합공(54)이 형성된 결합봉(55)이 수용되고, 밴드의 관통홀(52)과 결합봉의 결합공(54)에 체결부재(56)가 체결되어 클램프(50)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클램프(50)는 철근부재(40)에 탄성패드(45)가 감싸지는 폭에 따라 탄성패드(45)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결합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철근이음구조를 이용한 산벽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토부용 산벽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토부용 산벽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토부용 산벽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절토부 사면(1)의 전면에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일정 깊이 박음되는 제 1 앵커부재(100), 산벽(2)의 배면에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일정 깊이 박음되는 제 2 앵커부재(200), 상기 제 1, 제 2 앵커부재(100, 200)를 상호 연결하도록 양측 단부가 각각 제 1, 제 2 앵커부재(100, 200)에 덧대어지는 철근부재(300), 상기 철근부재(300)와 제 1, 제 2 앵커부재(100, 200)와의 접촉면 양측에 덧대어지는 철근이음토막(400), 상기 제 1 앵커부재(100) 또는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 및 철근이음토막(400)을 견고히 묶어 고정시키는 철근이음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앵커부재(100)는 사면(1)에 구멍(101)을 천공하고 상기 구멍(101)에 삽입되되, 사면(1)의 전면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일정 깊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구멍(101)은 경사진 사면(1)에 수직이 되도록 천공되고, 상기 구멍(101)에 삽입된 제 1 앵커부재(100)도 경사진 사면(1)과 수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제 1 앵커부재(100)와 구멍(101)과의 간극에 고압의 경화재 또는 시멘트 밀크재(102) 등이 주입된다.
또한, 사면(1)의 전면에 와이어매쉬(103)가 설치되고 제 1 앵커부재(100)의 노출부에 지압판(104) 및 너트(105)가 체결되며, 상기 너트(105) 및 와이어매쉬(103)를 매립시키기 위한 숏크리트(106)가 도포되면서 상기 제 1 앵커부재(100)가 사면(1)에 견고히 박음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앵커부재(100)는 상기 너트(105)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락볼트, 앵크볼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숏크리트(106)는 내부에 와이어 매쉬(103)가 매설되도록 1차, 2차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앵커부재(200)는 산벽(2)의 배면에 결합홈(201)을 천공하고, 상기 결합홈(201)에 삽입되되, 산벽(2)의 배면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일정 깊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201)과 제 2 앵커부재(200) 사이의 간극에 에폭시 접착제(202)가 주입되어 간극을 메움으로써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산벽(2)은 자연석을 다단으로 층층이 쌓아올려 벽면의 형태를 갖는 것을 말한다. 즉, 상기 제 2 앵커부재(200)는 다수의 자연석에 각각 박음되며, 자연석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 박음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앵커부재(100)는 상기 제 2 앵크부재(200)와 대응하는 위치 및 대응되는 개수로 절토부 사면(1)에 박음된다.
상기 철근부재(300)는 양측 단부가 각각 제 1, 제 2 앵커부재(100, 200)에 덧대어져 제 1, 제 2 앵커부재(100, 200)를 상호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앵커부재(100)에 덧대어지는 철근부재(300)의 일단부는 경사진 절토부 사면(1)과 수직을 이루는 제 1 앵커부재(100)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제 1 앵커부재(100)와 동일한 각도로 절곡된다.
상기 철근이음토막(400)은 상기 철근부재(300)와 제 1, 제 2 앵커부재(100, 200)와의 접촉면 양측에 각각 덧대어진다. 상기 철근이음토막(400)은 철근부재(300)와 제 1, 제 2 앵커부재(100, 200)의 연결부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철근이음부재(500)와의 결합력을 높여준다. 이때, 상기 철근이음토막(400)의 길이는 상기 제 1, 제 2 앵커부재(100, 200)의 노출부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근이음부재(500)는 상기 제 1 앵커부재(100)와 상기 제 1 앵커부재(100)에 덧대어지는 철근부재(300)의 일단부 및 상기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부재(300)의 접촉면 양측에 각각 덧대어진 철근이음토막(400)을 견고히 묶어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제 2 앵커부재(200)와 상기 제 2 앵커부재(200)에 덧대어지는 철근부재(300)의 타단부 및 상기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의 접촉면 양측에 각각 덧대어진 철근이음토막(400)을 견고히 묶어 고정시킨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철근이음부재(500)의 일 실시 예는 내주면에 철근부재(300)를 구속하고 철근부재(300) 양측으로 철근이음토막(400)의 상부면을 구속하는 한 쌍의 구속돌기(511)가 구비되고 양측 단부가 외향 절곡되어 일정간격으로 결합공(513)이 형성된 상부 클램프(510)와, 내주면에 제 1 앵커부재(100) 또는 제 2 앵커부재(200)를 구속하고 철근이음토막(400)의 하부면을 구속하는 한 쌍의 구속돌기(521)가 구비되고 양측 단부가 외향 절곡되어 일정간격으로 결합공(523)이 형성된 하부 클램프(520)와, 상기 상부 클램프의 결합공(513)과 하부 클램프의 결합공(523)에 체결되어 상부 클램프(510)와 하부 클램프(520)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5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클램프(510)는 한 쌍의 구속돌기(511) 사이에 상기 철근부재(300)의 일단부를 구속시키고, 상기 하부클램프(520)는 한 쌍의 구속돌기(521) 사이에 상기 제 1 앵커부재(100)를 구속시킨 다음 상부클램프(510)와 하부클램프(520)를 맞대응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철근이음토막 구속홈(524)에 철근이음토막(400)을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클램프의 결합공(513)과 하부클램프의 결합공(523)에 체결부재(530)를 체결하여 상부클램프(510)와 하부클램프(520)를 견고히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상부클램프(510)는 한 쌍의 구속돌기(511) 사이에 상기 철근부재(300)의 타단부를 구속시키고, 상기 하부클램프(520)는 한 쌍의 구속돌기(521) 사이에 상기 제 2 앵커부재(200)를 구속시킨 다음 상부클램프(510)와 하부클램프(520)를 맞대응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철근이음토막 구속홈(524)에 철근이음토막(400)을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클램프의 결합공(513)과 하부클램프의 결합공(523)에 체결부재(530)를 체결하여 상부클램프(510)와 하부클램프(520)를 견고히 결합시킨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철근이음부재(500)의 다른 실시예는 고압의 탄성밴드(540)와 상기 탄성밴드(540)의 내부 틈새에 충진되는 에폭시 접착제(5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밴드(540)는 절토부 사면(1)에 고정된 제 1 앵커부재(100)에 철근부재(300)의 일단부를 덧대고,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부재(300)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400)을 덧댄 다음, 상기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을 묶어 고정시킨다. 또한, 산벽(2)에 고정된 제 2 앵커부재(200)에 철근부재(300)의 타단부를 덧대고,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400)을 덧댄 다음, 상기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을 묶어 고정시킨다.
그리고, 에폭시 접착제(550)는 상기 탄성밴드(540)에 묶인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 간의 틈새에 충진되어 틈새를 메움으로써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부재(300)의 일단부를 견고히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탄성밴드(540)에 묶인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 간의 틈새에 충진되어 틈새를 메움으로써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의 타단부를 견고히 고정시킨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철근이음부재(50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복수 개의 철근부재(300) 외측을 견고하게 감싸는 탄성패드(560)와, 상기 탄성패드(560)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철근부재(300) 및 탄성패드(560)의 외측을 조여서 복수 개의 철근부재(3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클램프(5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패드(560)는 절토부 사면(1)에 고정된 제 1 앵커부재(100)에 철근부재(300)의 일단부를 덧대고,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부재(300)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400)을 덧댄 다음, 상기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을 묶어 고정시킨다. 아울러, 산벽(2)에 고정된 제 2 앵커부재(200)에 철근부재(300)의 타단부를 덧대고,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400)을 덧댄 다음, 상기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을 묶어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570)는 밴드(571)로 탄성패드(560)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밴드(571)의 관통홀(572)과 결합봉(573)의 결합공(574)에 체결되는 체결부재(575)의 체결력으로 밴드(571)를 조여 탄성패드(560)와 제 1 또는 제 2 앵커부재(100or200),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 탄성패드(56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산벽구조체는 산벽과 사면과의 연결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우수한 결합력과 일정한 인장력이 유지되어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되며, 산벽의 부분적인 파손에 대해서도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철근이음구조를 이용한 산벽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절토부용 산벽구조체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절토부용 산벽구조체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벽 시공방법은 절토부 사면(1)의 전면에 제 1 앵커부재(100)를 일정 깊이 박는 단계(S10), 산벽(2)의 배면에 제 2 앵커부재(200)를 일정 깊이 박는 단계(S20), 상기 제 1 앵커부재(100)에 철근부재(300)의 일측을 덧대고 상기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부재(300)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400)을 덧대어 철근이음부재(500)로 견고히 고정시키는 단계(S30), 상기 제 2 앵커부재(200)에 철근부재(300)의 타측을 덧대고 상기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400)을 덧대어 철근이음부재(500)로 견고히 고정시키는 단계(S40), 상기 절토부 사면(1)과 산벽(2)과의 사이에 토사(600)를 채워 다짐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S10 단계는 경사진 절토부 사면(1)에 수직이 되도록 구멍(101)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구멍(101)에 제 1 앵커부재(100)가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일정깊이 삽입하는 단계, 상기 구멍(101)과 제 1 앵커부재(100) 사이의 간극에 고압의 경화재 또는 시멘트 밀크재 등을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앵커부재(100)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사면의 전면에 1차 숏크리트(106)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1차 숏크리트(106)면에 와이어 매쉬를 설치하고, 제 1 앵커부재(100)의 노출부에 지압판(104)을 끼워 너트(105)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 매쉬(103) 및 너트(105)가 매설되도록 절토부 사면(1)의 전면에 2차 숏크리트(106)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숏크리트(106)는 혼합재와 포틀랜드 시멘트를 섞은 것으로, 압축 공기에 의해 분무기의 노즐까지 밀려나와 물과 함께 섞인다. 이렇게 축축해진 혼합물은 적당한 곳에 분사되며 즉시 조각을 새기거나 흙손으로 반반하게 할 수 있다. 숏크리트는 대개 건축용 보강재와 철망의 골조에 이용된다. 이것은 어떤 모양으로도 만들 수 있으며 채색도 쉽게 할 수 있고 붙인 뒤에 조각도 가능하기 때문에 인공 바위벽, 동물원 우리, 장식용 천개(天蓋), 내화처리된 내면, 풀장, 댐 등 다양한 장식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용된다. 이것은 또한 터널 공사 때에 뚫고 난 후에 터널 벽을 굳히는 데 이용해서 금이 가거나 조각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S20 단계는 산벽(2)의 배면에 결합홈(201)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결합홈(201)에 제 2 앵커부재(200)가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일정깊이 삽입하는 단계, 상기 결합홈(201)과 제 2 앵커부재(200) 사이의 간극에 에폭시 접착제(202)를 주입하여 제 2 앵커부재(200)를 결합홈(201)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30 단계에서 철근이음부재(500)의 고정은 내주면에 철근부재(300)와 철근이음토막(400)을 구속시키는 구속돌기(511)가 구비된 상부클램프(510)로 철근부재(300)의 일단부와 철근이음토막(400)의 상부면을 감싸 구속시키고, 내주면에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이음토막(400)을 구속시키는 구속돌기(521)가 구비된 하부클램프(520)로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이음토막(400)의 하부면을 감싸 구속시킨 다음 상부클램프의 결합공(513)과 하부클램프의 결합공(523)에 체결부재(530)를 체결하여 상부클램프(510)와 하부클램프(520)를 견고히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S30 단계에서 철근이음부재(500)의 고정은 절토부 사면(1)에 고정된 제 1 앵커부재(100)에 철근부재(300)의 일단부를 덧대고,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부재(300)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400)을 덧댄 다음, 상기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을 고압의 탄성밴드(540)로 묶어 고정시킨다. 이어 상기 탄성밴드(540)에 묶인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 간의 틈새에 에폭시 접착제(550)를 충진하여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부재(300)의 일단부를 견고히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S30 단계에서 철근이음부재(500)의 고정은 절토부 사면(1)에 고정된 제 1 앵커부재(100)에 철근부재(300)의 일단부를 덧대고,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부재(300)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400)을 덧댄 다음, 상기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을 고압의 탄성패드(560)로 묶어 고정시킨다. 이어, 상기 클램프(570)의 밴드(571)로 탄성패드(560)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밴드의 관통홀(572)과 결합봉의 결합공(574)에 체결부재(575)를 체결하여 상기 체결부재(575)의 체결력으로 밴드(571)를 조여줌으로써 제 1 앵커부재(100),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 탄성패드(56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S40 단계에서 철근이음부재(500)의 고정은 내주면에 철근부재(300)와 철근이음토막(400)을 구속시키는 구속돌기(511)가 구비된 상부클램프(510)로 철근부재(300)의 타단부와 철근이음토막(400)의 상부면을 감싸 구속시키고, 내주면에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이음토막(400)을 구속시키는 구속돌기(521)가 구비된 하부클램프(520)로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이음토막(400)의 하부면을 감싸 구속시킨 다음 상부클램프의 결합공(513)과 하부클램프의 결합공(523)에 체결부재(530)를 체결하여 상부클램프(510)와 하부클램프(520)를 견고히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S40 단계에서 철근이음부재(500)의 고정은 산벽(2)에 고정된 제 2 앵커부재(200)에 철근부재(300)의 타단부를 덧대고,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400)을 덧댄 다음, 상기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을 고압의 탄성밴드(540)로 묶어 고정시킨다. 이어 상기 탄성밴드(540)에 묶인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 간의 틈새에 에폭시 접착제(550)를 충진하여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의 타단부를 견고히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S40 단계에서 철근이음부재(500)의 고정은 산벽(2)에 고정된 제 2 앵커부재(200)에 철근부재(300)의 타단부를 덧대고,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400)을 덧댄 다음, 상기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을 고압의 탄성패드(560)로 묶어 고정시킨다. 이어, 상기 클램프(570)의 밴드(571)로 탄성패드(560)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밴드의 관통홀(572)과 결합봉의 결합공(574)에 체결부재(575)를 체결하여 상기 체결부재(575)의 체결력으로 밴드(571)를 조여줌으로써 제 2 앵커부재(200),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 탄성패드(56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S50 단계는 산벽(2)과 절토부 사면(1) 사이에 모래, 자갈, 흙, 잡석 등의 토사(600)를 채워 다짐한다. 여기서, 상기 토사(600)의 다짐은 산벽과 사면과의 연결시공이 끝날 때마다 이루어진다.
S60단계는 다단으로 층층이 쌓아올린 산벽을 형성하기 위해 산벽의 연결시공이 더 필요한 경우 상기 S10 내지 S50 단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산벽의 연결시공이 더 이상 필요없는 경우 마무리를 하여 연결시공 단계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산벽 시공방법은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산벽의 부분적인 파손에 대해서도 보수가 가능하며,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환경 친화적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토부용 산벽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 내지 도 13에 따른 성토부용 산벽구조체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성토부용 산벽구조체를 살펴보면, 성토부 내측의 지지석(700)에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일정 깊이 박음되는 제 1 앵커부재(100), 산벽(2)의 배면에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일정 깊이 박음되는 제 2 앵커부재(200), 제 1, 제 2 앵커부재(100, 200)를 상호 연결하도록 제 1, 제 2 앵커부재(100, 200)에 덧대어지는 철근부재(300), 철근부재(300)와 제 1, 제 2 앵커부재(100, 200)와의 접촉면 양측에 덧대어지는 철근이음토막(400), 제 1 앵커부재(100) 또는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 및 철근이음토막(400)을 견고히 묶어 고정시키는 철근이음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앵커부재(100)는 지지석(700)에 구멍(101)을 천공하고 상기 구멍(101)에 삽입되되, 지지석(700)의 전면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일정 깊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구멍(101)은 지지석(700)에 수직이 되도록 천공되고, 상기 구멍(101)에 삽입된 제 1 앵커부재(100)도 지지석(700)과 수직을 이루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 1 앵커부재(100)와 구멍(101)과의 간극에 고압의 경화재 또는 시멘트 밀크재(102) 등이 주입된다.
상기 제 2 앵커부재(200)는 산벽(2)의 배면에 결합홈(201)을 천공하고, 상기 결합홈(201)에 삽입되되, 산벽(2)의 배면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일정 깊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201)과 제 2 앵커부재(200) 사이의 간극에 에폭시 접착제(202)가 주입되어 간극을 메움으로써 고정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이음부재(500)는 내주면에 철근부재(300)를 구속하고 철근부재(300) 양측으로 철근이음토막(400)의 상부면을 구속하는 한 쌍의 구속돌기(511)가 구비되고 양측 단부가 외향 절곡되어 일정간격으로 결합공(513)이 형성된 상부 클램프(510)와, 내주면에 제 1 앵커부재(100) 또는 제 2 앵커부재(200)를 구속하고 철근이음토막(400)의 하부면을 구속하는 한 쌍의 구속돌기(521)가 구비되고 양측 단부가 외향 절곡되어 일정간격으로 결합공(523)이 형성된 하부 클램프(520)와, 상기 상부 클램프의 결합공(513)과 하부 클램프의 결합공(523)에 체결되어 상부 클램프(510)와 하부 클램프(520)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53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이음부재(500)는 제 1 앵커부재(100) 또는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 및 철근이음토막(400)을 견고히 묶어 고정시키는 탄성밴드(540)와, 상기 탄성밴드(540)의 내부 틈새에 충진되는 에폭시 접착제(5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이음부재(500)는 제 1 앵커부재(100) 또는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 및 철근이음토막(400)의 외측을 감싸 고정시키는 탄성패드(560)와, 상기 탄성패드(560)의 외측을 조여서 제 1 또는 제 2 앵커부재(100or200), 철근부재(300), 철근이음토막(400), 탄성패드(56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클램프(5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성토부용 산벽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디.
성토부 내측의 지지석(700)에 제 1 앵커부재(100)를 일정깊이 박는 단계(S10)와, 산벽(2)의 배면에 제 2 앵커부재(200)를 일정깊이 박는 단계(S20)와, 상기 제 1 앵커부재(100)에 철근부재(300)의 일측을 덧대고 상기 제 1 앵커부재(100)와 철근부재(300)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400)을 덧대어 철근이음부재(500)로 견고히 고정시키는 단계(S30)와, 제 2 앵커부재(200)에 철근부재(300)의 타측을 덧대고 상기 제 2 앵커부재(200)와 철근부재(300)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400)을 덧대어 철근이음부재(500)로 견고히 고정시키는 단계(S40)와, 상기 지지석(700)과 산벽(2)과의 사이에 토사를 채워 다짐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의 상토부용 산벽구조체의 시공방법은 제 1 앵커부재(100)가 성토부 지지석(700)에 박음되고, 상기 지지석(700)과 산벽(2)과의 사이에 토사가 채워지는 차이가 있을 뿐 상기 절토부용 산벽구조체의 시공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철근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산벽 구조체 및 산벽 시공방법에 따르면, 성토부 또는 절토부에서 산벽의 연결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우수한 결합력과 일정한 인장력이 유지되어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되며, 산벽의 부분적인 파손에 대해서도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 상부클램프 11 : 제 1 철근부재
11a : 제1 철근부재 구속홈 12 :구속돌기
13 : 결합부 14 : 결합공
20 : 하부클램프 21 : 제 2 철근부재
21a : 제 2 철근부재 구속홈 22 : 구속돌기
23 : 결합부 24 : 결합공
25 : 철근이음토막 25a : 철근이음토막 구속홈
30 : 체결부재 40: 철근부재
45: 탄성패드 50: 클램프
51: 수용부 52: 관통홀
53: 밴드 54: 결합공
55: 결합봉 56: 체결부재
1 : 절토부 사면 100 : 제 1 앵커부재
101 : 구멍 102 : 시멘트밀크재
103 : 와이어 매쉬 104 : 지압판
105 : 너트 106 : 숏크리트
2 : 산벽 200 : 제 2 앵커부재
201 : 결합홈 202 : 에폭시 접착제
300 : 철근부재 400 : 철근이음토막
500 : 철근이음부재 510 : 상부클램프
511 : 구속돌기 513 : 결합공
520 : 하부클램프 521 : 구속돌기
523 : 결합공 524: 철근이음토막 구속홈
530 : 체결부재 540: 탄성밴드
550 : 에폭시 접착제 560: 탄성패드
570: 클램프 571: 밴드
572: 관통홀 573: 결합봉
574: 결합공 575: 체결부재
600: 토사 700 : 지지석
11a : 제1 철근부재 구속홈 12 :구속돌기
13 : 결합부 14 : 결합공
20 : 하부클램프 21 : 제 2 철근부재
21a : 제 2 철근부재 구속홈 22 : 구속돌기
23 : 결합부 24 : 결합공
25 : 철근이음토막 25a : 철근이음토막 구속홈
30 : 체결부재 40: 철근부재
45: 탄성패드 50: 클램프
51: 수용부 52: 관통홀
53: 밴드 54: 결합공
55: 결합봉 56: 체결부재
1 : 절토부 사면 100 : 제 1 앵커부재
101 : 구멍 102 : 시멘트밀크재
103 : 와이어 매쉬 104 : 지압판
105 : 너트 106 : 숏크리트
2 : 산벽 200 : 제 2 앵커부재
201 : 결합홈 202 : 에폭시 접착제
300 : 철근부재 400 : 철근이음토막
500 : 철근이음부재 510 : 상부클램프
511 : 구속돌기 513 : 결합공
520 : 하부클램프 521 : 구속돌기
523 : 결합공 524: 철근이음토막 구속홈
530 : 체결부재 540: 탄성밴드
550 : 에폭시 접착제 560: 탄성패드
570: 클램프 571: 밴드
572: 관통홀 573: 결합봉
574: 결합공 575: 체결부재
600: 토사 700 : 지지석
Claims (20)
- 복수 개의 철근부재를 연결하는 철근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근이음구조는 내주면에 제 1 철근부재를 구속시키기 위한 구속돌기가 구비되고, 양측단부가 외향돌출된 절곡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 클램프;
내주면에 제 2 철근부재를 구속시키기 위한 구속돌기가 구비되고, 양측단부가 외향절곡된 절곡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하부 클램프;
상기 상부 클램프의 결합공과 상기 하부 클램프의 결합공에 체결되어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클램프 및 하부 클램프는 절곡면의 맞대응시 상기 구속돌기에 구속된 제 1 철근부재와 제 2 철근부재의 접촉면 양측에 철근이음토막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철근이음토막 구속홈을 포함하는 철근이음구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돌기는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 내에 제 1, 제 2 철근부재 및 철근이음토막의 구속 시 형성되는 틈새의 위치에 상기 틈새와 유사한 삼각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음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9652A KR101339571B1 (ko) | 2013-06-18 | 2013-06-18 | 철근이음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9652A KR101339571B1 (ko) | 2013-06-18 | 2013-06-18 | 철근이음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9571B1 true KR101339571B1 (ko) | 2013-12-10 |
Family
ID=4998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9652A KR101339571B1 (ko) | 2013-06-18 | 2013-06-18 | 철근이음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957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62281A (zh) * | 2017-09-22 | 2018-02-06 | 中建交通建设集团有限公司 | 异形玻璃纤维筋与钢筋的连接节点、混合筋笼及施工方法 |
CN118187376A (zh) * | 2023-11-03 | 2024-06-14 | 邢台春创新型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钢丝网架中固定相邻搭接钢丝的固定夹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4408B1 (ko) | 1999-03-04 | 2001-11-15 | 최재철 | 철근 연결구 |
KR100980481B1 (ko) * | 2009-11-30 | 2010-09-07 | 김찬수 | 싱글형 철근 조임쇠 |
KR101169732B1 (ko) | 2012-04-04 | 2012-07-30 | 초석엔지니어링(주) | 지중 앵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
KR101180757B1 (ko) | 2011-02-09 | 2012-09-07 | 주식회사 세진기술개발 | 클램프 |
-
2013
- 2013-06-18 KR KR1020130069652A patent/KR10133957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4408B1 (ko) | 1999-03-04 | 2001-11-15 | 최재철 | 철근 연결구 |
KR100980481B1 (ko) * | 2009-11-30 | 2010-09-07 | 김찬수 | 싱글형 철근 조임쇠 |
KR101180757B1 (ko) | 2011-02-09 | 2012-09-07 | 주식회사 세진기술개발 | 클램프 |
KR101169732B1 (ko) | 2012-04-04 | 2012-07-30 | 초석엔지니어링(주) | 지중 앵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62281A (zh) * | 2017-09-22 | 2018-02-06 | 中建交通建设集团有限公司 | 异形玻璃纤维筋与钢筋的连接节点、混合筋笼及施工方法 |
CN118187376A (zh) * | 2023-11-03 | 2024-06-14 | 邢台春创新型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钢丝网架中固定相邻搭接钢丝的固定夹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23219B2 (ja) | プレキャスト仮設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100851356B1 (ko) |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0933660B1 (ko) |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2468702B1 (ko) | 비탈면 보강용 매립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118263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및 이 시공 공법 | |
KR101203627B1 (ko) | 중공관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된 중굴형 복합말뚝 및 이를 이용한 중굴형 복합말뚝 시공방법 | |
KR20140013497A (ko) | 절토지 네일링 보강사면 연결 탑다운 블록식 보강토옹벽 공법 | |
KR101339571B1 (ko) | 철근이음구조 | |
KR101007566B1 (ko) | 네일링 및 앵커링 수단이 동시 적용된 절토사면 보강용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KR20130023852A (ko) | 패널식 자연석 옹벽 및 그 패널식 자연석 옹벽 시공방법 | |
KR102079570B1 (ko) | 패널에 연결하는 쏘일네일링 비탈면 보강 시스템 | |
KR100862387B1 (ko) |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 |
KR102111153B1 (ko) | Pc강연선을 이용한 옹벽패널 구조물 | |
KR200407437Y1 (ko) |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 구조 | |
KR101017979B1 (ko) | 친환경 조경석 옹벽 | |
US20060239782A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haping concrete slab-on-ground foundations | |
JP2002357018A (ja) | 筒状立設物の補強方法 | |
KR100984040B1 (ko) | 이중 보강 공법을 통한 절토용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 |
JP5280150B2 (ja) |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 |
KR101884462B1 (ko) | 절토사면 구간과 성토구간의 보강토옹벽 그리드 설치방법 | |
KR101923859B1 (ko) | 지하벽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터파기용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1452185B1 (ko) | 강관 콘크리트 복합말뚝과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KR102505365B1 (ko) | 터널 숏크리트 낙하 방지용 지보재 | |
KR20200101636A (ko) | 수직ㆍ수평 이음이 용이한 벽체용 콘크리트 복합파일 | |
KR101674865B1 (ko) | 숏크리트를 이용한 합벽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