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262B1 -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262B1
KR101338262B1 KR1020110140656A KR20110140656A KR101338262B1 KR 101338262 B1 KR101338262 B1 KR 101338262B1 KR 1020110140656 A KR1020110140656 A KR 1020110140656A KR 20110140656 A KR20110140656 A KR 20110140656A KR 101338262 B1 KR101338262 B1 KR 101338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screen
information
imag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916A (ko
Inventor
박주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10140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2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2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도로 소통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로 구간의 영상을 획득하여 이 획득된 도로영상이 포함된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객체 영역이 정의된 교통화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통화면 정보에 대한 영상 소스 주소를 설정하는 운영관리 서버; 상기 운영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화면 정보와 상기 영상 소스 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소스 주소를 가지는 영상 장치로부터 실시간 도로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실시간 도로영상을 상기 교통화면 정보에 정의된 영상 객체 영역에 삽입하여 교통화면을 생성하는 화면제어 장치; 및 상기 화면제어 장치로부터 생성된 교통화면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본 발명은 도로 구간에 대한 교통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영상이 포함된 교통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동차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특정 도로 구간에서 차량이 몰리는 교통체증이 각 도로에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교통체증은 출퇴근 시간대에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교통체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각 도로 구간의 교통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가 개발되었다. 상기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는 정체중인 구간과 원활한 구간에 대한 교통정보를 도로에 설치된 전광판을 통해서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차량이 각 도로에서 분산되도록 유도하여 교통 혼잡을 줄이는 서비스이다.
상기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에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은, 문자출력 방식과 도형출력 방식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의 문자출력 방식과 도형출력 방식으로 출력된 교통정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문자출력 방식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도로 지점 간의 소통상태나 예상통행 시간이 문자 형태로 전광판에 출력되는 방식이다. 또한, 도형출력 방식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소통상태를 기하구조의 도형과 색상으로 전광판에 출력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상기 문자출력 방식은 서행중, 원활, 교통량 증가, 정체 등의 문자 메시지를 전광판에 출력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해당 도로 구간이 얼마나 정체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게 한다. 즉, 운전자가 문자출력 방식으로 출력된 전광판을 통해 교통정보를 확인하더라도, 운전자는 해당 도로 구간이 얼마만큼 정체되고 있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상기 도로 구간의 정체 여부를 예측한다.
또한, 상기 도형출력 방식은 도로의 지도 정보와 각 도로의 정체 여부를 색상으로 표현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해당 도로 구간의 정체 여부를 판단하게 한다. 그러나, 문자출력 방식과 마찬가지로, 도형출력 방식으로 전광판을 통해 교통정보를 출력하더라도, 교통정보의 도형 정보는 1차적인 해석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직관적이지 않고, 따라서 운전자가 각 도로 구간의 정체 여부를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도로 구간별 교통정보를 문자출력 방식 또는 도형출력 방식으로 전광판에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각 도로 구간의 교통 정보는 직관적이지 않아 운전자가 자신이 두 지점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가능한 통행속도와 통행시간을 예측하고 우회도로를 진입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도로 소통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교통정보 제공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운전자가 직관적으로 도로 소통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로 구간의 영상을 획득하여 이 획득된 도로영상이 포함된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교통제공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객체 영역이 정의된 교통화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통화면 정보에 대한 영상 소스 주소를 설정하는 운영관리 서버; 상기 운영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화면 정보와 상기 영상 소스 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소스 주소를 가지는 영상 장치로부터 실시간 도로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실시간 도로영상을 상기 교통화면 정보에 정의된 영상 객체 영역에 삽입하여 교통화면을 생성하는 화면제어 장치; 및 상기 화면제어 장치로부터 생성된 교통화면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영관리 서버는 상기 교통화면 정보의 디스플레이 순서와 디스플레이 기간이 기록된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상기 화면제어 장치는, 상기 운영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시나리오를 수신하고, 상기 시나리오를 근거로 상기 생성된 교통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관리 서버는 관리자로부터 텍스트 또는 도형기반의 교통소통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교통소통 정보를 상기 교통화면 정보에 정의된 비영상 객체 영역에 삽입하여 상기 화면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영상 소스 주소는, 카메라의 IP 주소 또는 영상 스트리밍 서버의 IP 주소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장치는, 풀칼라 엘이디 모듈인 16x16 도트(dot) 모듈이 최소 8단 10열로 구성되거나 풀칼라 엘이디 모듈인 32x32 도트(dot) 모듈이 최소 4단 5열로 구성되어 160x128 이상의 해상도를 지원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운영관리 서버와 화면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상기 운영관리 서버에서 영상 소스 주소를 입력받고, 하나 이상의 객체 영역이 정의된 교통화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 (b) 상기 운영관리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교통화면 정보 및 영상 소스 주소를 상기 화면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 (c) 상기 화면제어 장치에서 상기 전송된 영상 소스 주소를 가지는 영상 장치로부터 실시간 도로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단계; (d) 상기 화면제어 장치에서 상기 생성된 교통화면 정보의 영상 객체 영역에 상기 영상 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실시간 도로영상을 삽입하여 도로화면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 및 (e) 상기 화면제어 장치에서 상기 생성된 교통화면을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관리 서버에서 상기 교통화면 정보의 디스플레이 순서와 디스플레이 기간이 기록된 시나리오를 상기 화면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화면제어 장치에서 상기 운영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된 교통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운영관리 서버에서 텍스트 또는 도형기반의 교통소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관리 서버에서 상기 텍스트 또는 도형 기반의 교통소통 정보를 상기 교통화면 정보에 정의된 비영상 객체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도로영상을 캡처하고, 이 캡처된 영상과 텍스트 또는 도형 기반의 교통소통 정보가 포함된 교통화면 정보 및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운영관리 서버; 교통정보가 출력되는 표시장치의 상태를 제어하며 상기 운영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화면 정보와 상기 시나리오를 수신하여, 상기 교통화면 정보에 기초한 교통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시나리오를 근거로 상기 교통화면의 출력시점을 결정하는 화면제어 장치; 및 상기 결정된 교통화면의 출력시점에 따라 상기 생성된 교통화면을 지정된 시각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 도로 구간에 대한 영상을 전광판과 같은 표시장치에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직관적이고 빠르게 운행 도로를 선택케 하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객관적으로 도로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교통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혼잡도로로의 차량 진입을 억제하고 차량을 우회도로로 더욱 분산시켜 교통체증 해소에 일조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 구간별 실제 영상을 교통정보로서 제공함으로써, 교통정보를 해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운전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문자출력 방식과 도형출력 방식으로 출력된 교통정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도로영상이 포함된 교통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객체 정보가 정의된 교통화면 구성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생성된 교통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도로영상이 포함된 교통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IP 카메라(110), 아날로그 카메라(120), 영상 스트리밍 서버(130), 운영관리 서버(140), 화면제어 장치(150) 및 표시장치(160)를 포함한다.
상기 운영관리 서버(140), IP 카메라(110), 영상 스트리밍 서버(130), 화면제어 장치(150) 각각은 유무선 통신망(170)을 통하여 서로 통신하며, 바람직하게는 ASN.1(Abstract Syntax Notation One)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한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망(170)은 광대역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주지의 관용기술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P 카메라(110)는 네트워크 기반의 카메라로서, 고유의 IP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더불어 촬영된 영상을 자체적으로 디지털로 변환한다. 특히, IP 카메라(110)는 실시간으로 도로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도로영상을 유무선 통신망(170)을 경유하여 운영관리 서버(140) 또는 화면제어 장치(150)로 전송한다.
아날로그 카메라(120)는 도로영상을 아날로그 형태로 촬영하고, 이 촬영된 영상을 영상 스트리밍 서버(130)로 제공한다.
상기 IP 카메라(110)와 아날로그 카메라(120)는 각 도로의 주요 지역에 설치되어, 설치된 지역에서의 도로영상을 촬영한다.
영상 스트리밍 서버(130)는 아날로그 카메라(120)와 연결되고, 상기 아날로그 카메라(120)로부터 제공받은 아날로그 도로영상을 디지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도로영상을 운영관리 서버(140) 또는 화면제어 장치(150)로 전송한다.
운영관리 서버(140)는 복수의 교통화면 정보와 화면변경 시나리오를 화면제어 장치(150)로 전송함으로써, 표시장치(160)의 교통화면과 교통화면 변경 스케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운영관리 서버(140)는 교통화면 편집툴을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교통화면 편집툴을 통해 복수의 객체 정보(예컨대, 영상 객체 영역,  비영상 객체 영역 등)가 정의된 교통화면 구성정보, 도로영상을 제공할 영상 소스 주소 및 비영상 객체 영역에 출력될 도형 또는 텍스트 기반의 교통소통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하나 이상의 교통화면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운영관리 서버(140)는 텍스트 기반의 교통소통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경우, 상기 텍스트의 크자크기, 글자색상, 글자 위치 등의 지정받고, 이 지정된 정보를 토대로 텍스트 기반의 소통정보를 비영상 객체 영역에 삽입한다. 또한, 운영관리 서버(140)는 교통화면 정보별 배경색, 텍스트 출력 방향에 화면변경 시나리오에 추가적으로 기록함으로써, 각 교통화면의 표출효과를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운영관리 서버(140)는 IP 카메라(110) 또는 영상 스트리밍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도로영상을 캡처하여 이 캡처된 도로영상을 특정 교통화면 정보의 영상 객체 영역에 삽입할 수 있고, 또는 영상 소스 주소(예컨대, IP 카메라의 IP 주소 또는 영상 스트리밍 서버의 IP 주소)를 교통화면 정보와 함께 화면제어 장치(1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운영관리 서버(140)는 도로영상을 직접적으로 획득하여 화면제어 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도로영상을 제공하는 소스 주소를 화면제어 장치(1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운영관리 서버(140)는 복수의 교통화면에 대한 화면변경 스케줄이 기록된 화면변경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화면제어 장치(150)로 전송한다.
표시장치(160)는 교통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대부분의 CCTV 영상은 4:3 비율이며 소통상황을 제대로 식별할 수 있는 최소해상도인 160x120 pixel 이상의 해상도를 구현하는 풀칼라 엘이디(full color light Emitting Diode) 모듈로 구성된다. 특히, 최소한의 식별 해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표시장치(160)는 16x16 도트(dot) 모듈이 최소 8단 10열(80개 구성)로 구성되거나, 또는 32x32 도트(dot) 모듈이 최소 4단 5열(20개 구성)로 구성된다.
화면제어 장치(150)는 표시장치(160)의 화면상태를 제어하고, 더불어 운영관리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도로영상이 포함된 교통화면을 표시장치(160)에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화면제어 장치(150)는 운영관리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화면변경 시나리오를 근거로, 교통화면별 디스플레이 기간과 디스플레이 순서를 설정한다. 또한, 화면제어 장치(150)는 영상 소스 주소가 포함된 교통화면 정보를 운영관리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 소스 주소를 통해 도로영상을 획득하고, 이 획득된 도로영상이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교통화면을 구성하여 표시장치(16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도로영상이 포함된 교통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운영관리 서버(140)는 교통화면 편집툴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객체 영역이 정의된 제1교통화면 구성정보, 도로영상을 제공할 영상 소스 주소로서 특정 IP 카메라(110)의 IP 주소 및 비영상 객체 영역에 출력될 도형 또는 텍스트 기반의 교통소통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다(S30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객체 정보가 정의된 교통화면 구성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운영관리 서버(140)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교통화면 구성정보에 근거하여, 동영상이 출력되는 영상 객체 영역(41)과 텍스트 또는 도형이 출력되는 비영상 객체 영역(42)이 정의된 교통화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객체 영역(41)과 비영상 객체 영역(42)의 크기와 위치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상기 비영상 객체 영역(42)에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텍스트 또는 도형 기반의 교통소통 정보가 삽입된다. 예를 들어, 운영관리 서버(140)는 교통소통 정보로서 "양재IC -> 서초IC 소통원활"이라는 텍스트 데이터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경우, 이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비영상 객체 영역(42)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운영관리 서버(140)는 상기 입력받은 영상 소스 주소를 가지는 IP 카메라(110)로 제1도로영상을 요청하고, 이에 따른 실시간 제1도로영상을 상기 IP 카메라(110)로부터 수신한다(S303, S305). 이어서, 운영관리 서버(140)는 상기 수신된 제1도로영상을 캡처하고, 상기 캡처된 제1도로영상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교통소통 정보를 제1교통화면 구성정보에 의해 정의된 영상 객체 영역과 비영상 객체 영역에 각각 삽입하여 제1교통화면 정보를 생성한다(S307, S309).
이어서, 운영관리 서버(140)는 교통화면 편집툴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객체 영역이 정의된 제2교통화면 구성정보, 제2도로영상을 제공할 영상 소스 주소로서 영상 스트리밍 서버(130)의 IP 주소 및 비영상 객체 영역에 출력될 도형 또는 텍스트 기반의 교통소통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다(S311). 다음으로, 운영관리 서버(140)는 상기 제2도로영상의 영상 소스 주소를 가지는 영상 스트리밍 서버(130)로 제2도로영상을 요청하고, 이에 따른 제2도로영상을 영상 스트리밍 서버(130)로부터 수신한다(S313, S315). 이어서, 운영관리 서버(140)는 상기 수신된 제2도로영상을 캡처하고, 상기 캡처된 제2도로영상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교통소통 정보를 제2교통화면 구성정보에 의해 정의된 영상 객체 영역, 비영상 객체 영역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제2교통화면 정보를 생성한다(S317, S319).
이렇게, 복수의 교통화면에 대한 생성이 완료되면, 운영관리 서버(140)는 제1교통화면 정보와 제2교통화면 정보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기간과 디스플레이 순서가 기록된 화면변경 시나리오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다(S321). 그러면, 운영관리 서버(140)는 상기 제1교통화면 정보, 제2교통화면 정보 및 화면변경 시나리오를 화면제어 장치(150)로 전송한다(S323). 도 3에서는, 제1교통화면 정보, 제2교통화면 정보 순으로 화면변경 시나리오가 설정된 것으로 설명된다.
다음으로, 화면제어 장치(150)는 상기 제1교통화면 정보 및 제2교통화면 정보를 저장하고 화면변경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제1교통화면 정보, 제2교통화면 정보 순서대로, 출력순서가 설정됨을 인지한다(S325). 이어서, 화면제어 장치(150)는 상기 제1교통화면 정보를 분석하여 제1교통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교통화면을 표시장치(160)에 디스플레이한다(S327). 그리고 화면제어 장치(150)는 상기 제1교통화면의 디스플레이 기간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종료되면, 제2교통화면 정보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화면제어 장치(150)는 상기 제2교통화면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제2교통화면을 생성하고, 표시장치(160)에 디스플레이된 제1교통화면을 상기 생성된 제2교통화면으로 교체한다(S329).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생성된 교통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운영관리 서버(140)는 도로영상과 교통소통 정보가 기록된 교통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제어 장치(150)로 전송하고, 화면제어 장치(150)는 상기 교통화면 정보를 저장하고, 지정된 시각이 도래하면 상기 교통화면 정보를 토대로 도 5와 같은 교통화면을 생성하여 표시장치(16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해당 구간(즉, 양재 IC와 서초 IC)에 대한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운영관리 서버(140)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도로의 정지 영상(즉, 캡처된 도로 영상)이 삽입된 또 다른 교통화면 정보와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화면제어 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화면제어 장치(150)는 상기 또 다른 교통화면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또 다른 교통화면을 지정된 시각에 표시장치(160)로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정지 영상 대신에 실시간 도로영상이 나타내는 교통화면을 표시장치(16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도로영상이 포함된 교통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운영관리 서버(140)는 교통화면 편집툴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복수의 객체 영역이 정의된 제1교통화면 구성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고, 더불어 도로영상을 제공할 영상 소스 주소로서 IP 카메라(110)의 IP 주소를 입력받는다(S601). 이어서, 운영관리 서버(140)는 관리자부터 비영상 객체 영역에 출력될 교통소통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이 교통소통 정보를 비영상 객체 영역에 삽입하여 제1교통화면 정보를 생성한다(S603).
또한, 운영관리 서버(140)는 교통화면 편집툴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복수의 객체 영역이 정의된 제2교통화면 구성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고, 더불어 제2도로영상을 제공할 영상 소스 주소로서 영상 스트리밍 서버(130)의 IP 주소를 입력받는다(S605). 이어서, 운영관리 서버(140)는 관리자부터 비영상 객체 영역에 출력될 교통소통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고, 이 교통소통 정보를 지정된 비영상 객체 영역에 삽입하여 제2교통화면 정보를 생성한다(S607).
이렇게, 복수의 교통화면 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운영관리 서버(140)는 관리자로부터 제1교통화면 정보와 제2교통화면 정보 각각에 대한 디스플레이 기간과 디스플레이 순서가 기록된 화면변경 시나리오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다(S609). 도 6에서는, 제1교통화면 정보, 제2교통화면 정보 순으로 화면변경 시나리오가 설정된 것으로 설명된다.
이어서, 운영관리 서버(140)는 상기 제1교통화면 정보, 제2교통화면 정보, 제1교통화면의 영상 소스 주소(즉, IP 카메라의 IP 주소), 제2교통화면의 영상 소스 주소(즉, 영상 스트리밍 서버의 IP 주소) 및 화면변경 시나리오를 화면제어 장치(150)로 전송한다(S611).
그러면, 화면제어 장치(150)는 상기 제1교통화면 정보 및 제2교통화면 정보를 저장하고 화면변경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제1교통화면 정보, 제2교통화면 정보 순서대로 출력순서가 설정됨을 인지한다(S613). 이어서, 화면제어 장치(150)는 제1교통화면 정보의 영상 소스 주소를 확인하고, 이 영상 소스 주소를 가지는 IP 카메라(110)로 제1도로영상을 요청하여, 이에 따른 제1도로영상을 상기 IP 카메라(110)로부터 실시간 수신한다(S615, S617). 다음으로, 화면제어 장치(150)는 상기 IP 카메라(110)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제1도로영상을 상기 제1교통화면 정보의 영상 객체 영역에 삽입하고, 상기 실시간 제1도로영상이 삽입된 제1교통화면을 생성하여 표시장치(160)에 디스플레이한다(S619).
그리고 화면제어 장치(150)는 상기 제1교통화면의 디스플레이 기간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종료되면, 제2교통화면 정보를 추출하고 제2교통화면 정보의 영상 소스 주소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화면제어 장치(150)는 상기 제2교통화면 정보의 영상 소스 주소를 가지는 영상 스트리밍 서버(130)로 제2도로영상을 요청하여, 이에 따른 제2교통영상을 상기 영상 스트리밍 서버(13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한다(S621, S623). 다음으로, 화면제어 장치(150)는 상기 영상 스트리밍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제2도로영상을 상기 제2교통화면 정보에 정의된 영상 객체 영역에 삽입하여 제2교통화면을 생성한다. 이어서, 화면제어 장치(150)는 표시장치(160)에 디스플레이된 제1교통화면을 상기 제2도로영상이 삽입된 제2교통화면으로 교체한다(S625).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화면제어 장치(150)와 표시장치(160)를 독립적으로 구현된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화면제어 장치(150)와 표시장치(160)는 하나의 장치로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분명히 해 둔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 IP 카메라 120 : 아날로그 카메라
130 : 영상 스트리밍 서버 140 : 운영관리 서버
150 : 화면제어 장치 160 : 표시장치
170 : 유무선 통신망

Claims (11)

  1. 비영상 객체 영역과 영상 객체 영역이 정의된 교통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텍스트 또는 도형기반의 교통소통 정보를 상기 교통화면 정보에 정의된 비영상 객체 영역에 삽입하고, 상기 교통화면 정보에 대한 영상 소스 주소를 설정하는 운영관리 서버;
    상기 운영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화면 정보와 상기 영상 소스 주소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소스 주소를 가지는 영상 장치로부터 실시간 도로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실시간 도로영상을 상기 교통화면 정보에 정의된 영상 객체 영역에 삽입하여 교통화면을 생성하는 화면제어 장치; 및
    상기 화면제어 장치로부터 생성된 교통화면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관리 서버는, 관리자에게 교통화면 편집툴을 제공하고, 상기 교통화면 편집툴을 통해 상기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교통화면 구성정보에 근거하여, 비영상 객체 영역과 영상 객체 영역이 정의된 상기 교통화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관리 서버는, 상기 교통화면 정보의 디스플레이 순서와 디스플레이 기간이 기록된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상기 화면제어 장치는, 상기 운영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시나리오를 수신하고, 상기 시나리오를 근거로 상기 교통화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소스 주소는,
    카메라의 IP 주소 또는 영상 스트리밍 서버의 IP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16x16 도트(dot) 모듈이 최소 8단 10열로 구성되거나 32x32 도트(dot) 모듈이 최소 4단 5열로 구성된 풀칼라 엘이디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7. 운영관리 서버와 화면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운영관리 서버에서 영상 소스 주소를 입력받고, 영상 객체 영역과 비영상 객체 영역이 정의된 교통화면 정보를 생성하되, 텍스트 또는 도형 기반의 교통소통 정보를 상기 교통화면 정보에 정의된 비영상 객체 영역에 삽입하는 교통화면 생성 단계;
    (b) 상기 운영관리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교통화면 정보 및 영상 소스 주소를 상기 화면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단계;
    (c) 상기 화면제어 장치에서 상기 전송된 영상 소스 주소를 가지는 영상 장치로부터 실시간 도로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단계;
    (d) 상기 화면제어 장치에서 상기 생성된 교통화면 정보의 영상 객체 영역에 상기 영상 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실시간 도로영상을 삽입하여 도로화면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 및
    (e) 상기 화면제어 장치에서 상기 생성된 교통화면을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운영관리 서버에서 관리자에게 교통화면 편집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관리 서버에서 상기 교통화면 편집툴을 통해 상기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교통화면 구성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객체 영역과 비영상 객체 영역이 정의된 상기 교통화면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운영관리 서버에서 상기 교통화면 정보의 디스플레이 순서와 디스플레이 기간이 기록된 시나리오를 상기 화면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화면제어 장치에서 상기 운영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된 교통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정보 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140656A 2011-12-22 2011-12-22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38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656A KR101338262B1 (ko) 2011-12-22 2011-12-22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656A KR101338262B1 (ko) 2011-12-22 2011-12-22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916A KR20130082916A (ko) 2013-07-22
KR101338262B1 true KR101338262B1 (ko) 2013-12-09

Family

ID=4899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656A KR101338262B1 (ko) 2011-12-22 2011-12-22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304B1 (ko) * 2020-08-19 2022-02-11 셀빛테크 주식회사 사고 감지 및 2차 사고 방지를 위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5701A (ja) * 2003-12-09 2005-06-3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遠隔映像監視システム
KR20070042816A (ko) * 2005-10-19 2007-04-24 (주)아이티에스뱅크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41542A (ko) * 2008-10-14 2010-04-22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도로 상황 동영상 표출이 가능한 풀 칼라 도로교통 안내용 가변정보표시 전광판 시스템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5701A (ja) * 2003-12-09 2005-06-3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遠隔映像監視システム
KR20070042816A (ko) * 2005-10-19 2007-04-24 (주)아이티에스뱅크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41542A (ko) * 2008-10-14 2010-04-22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도로 상황 동영상 표출이 가능한 풀 칼라 도로교통 안내용 가변정보표시 전광판 시스템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916A (ko)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9767B2 (ja) 情報提供装置
US100493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digital signage
KR101079700B1 (ko) 지하철 환승역 기반의 승객 분산 유도 시스템
EP1306778A3 (en) Document-Management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CN113240939B (zh) 一种车辆预警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19532389A (ja) 光通信発信源のデータ処理および認証
JP2013149035A (ja) 情報提供装置
CN104170375A (zh) 用于群组视频分发的体系结构和系统
JP2023064093A (ja) 交通標識検出方法及び交通標識検出モデルのトレーニング方法
Knake-Langhorst et al. Test site AIM–toolbox and enabler for applied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raffic and mobility
KR101338262B1 (ko)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323908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移動体
WO2019187041A1 (ja) システム、そのサーバコンピュータ、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107596B2 (ja) 駅監視システム及び駅監視方法
US20230186396A1 (en) The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435256B1 (ko) 무선데이터망을 이용한 광고 표시시스템
JP202000921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107597B2 (ja) 駅監視装置、駅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854775A (zh) 基于自动导航的无人驾驶汽车,方法和系统
JP2020140591A (ja) 管理サーバ、交通制御システム、交通制御方法および交通制御プログラム
EP3606030A1 (e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processing program
KR102513668B1 (ko) 트래픽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적용한 시스템 및 트래픽 정보 표시 방법과 이를 적용한 장치
CN111047890B (zh) 用于智能驾驶的车辆行驶决策方法及装置、介质、设备
KR102029140B1 (ko) 감시영상 생성장치
EP4290894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