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186B1 -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의 증발기 - Google Patents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의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186B1
KR101338186B1 KR1020120053074A KR20120053074A KR101338186B1 KR 101338186 B1 KR101338186 B1 KR 101338186B1 KR 1020120053074 A KR1020120053074 A KR 1020120053074A KR 20120053074 A KR20120053074 A KR 20120053074A KR 101338186 B1 KR101338186 B1 KR 101338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evaporator
organic
transfer fluid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902A (ko
Inventor
김장진
신동우
정희균
주재헌
최환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Priority to KR102012005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186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08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working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01K13/02Controlling, e.g. stopping 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5/0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5/02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fluid remaining in the liquid ph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16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6Conversion of therm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e.g. Rankine, Stirling or solar thermal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의 증발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증발기의 효율을 높여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발전효율의 증대뿐만 아니라 터빈 등의 원동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열전달 유체가열기(110)로부터 공급되는 열전달 유체나 직접 공급되는 열원의 열을 내부에 수용된 유기물 액체에 전달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a)(120b)를 구비한 증발기(120)를 포함하고,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b)는 증발기(120)에 수용된 유기물 액체를 증발시키기 위해 증발기(120)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 열전달 파이프(120a)는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b)를 흐르는 열전달 유체나 열원에 의해 증발된 유기물 액체 증기를 재가열하여 포화증기 상태로 만들기 위해 증발기(120) 상부에 설치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의 증발기{EVAPORATOR OF ORC GENERATOR}
본 발명은 산업 폐열, 지열, 태양열 등을 이용하여 터빈과 같은 원동기를 작동시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유기물 유체를 이용한 유기물 랭킨 사이클(Organic Rankine Cycle)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의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물 랭킨 사이클(ORC ; Organic Rankine Cycle) 발전장치는 유기물 액체, 즉 유기매체를 작동 유체로 사용하는 랭킨 사이클(Rankine Cycle)로서 비교적 저온의 온도 범위(60℃∼200℃)의 열원을 회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도1은 종래의 유기물 랭킨 사이클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1에 의하면, 유기물 랭킨 사이클은 증발기(1), 터빈(2), 응축기(3), 펌프(4)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여기서, 증발기(1)는 작동 유체에 열을 전달하여 터빈 구동에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하고, 터빈(2)은 작동 유체의 열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며, 응축기(3)는 터빈(2)에서 나온 작동 유체를 냉각하며, 펌프(4)는 응축기(3)에서 나온 저압의 작동 유체를 증발 압력까지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1의 유기물 랭킨 사이클에 연동하는 발전시스템의 일 예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터빈 하우징과 발전기 하우징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서 터빈 하우징에 수납된 터빈 블레이드와 발전기 로터는 회전축에 의해 연결된다.
터빈 노즐에서 분사된 작동 유체는 터빈 블레이드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상태로 변화하면서 팽창하며 엔트로피를 터빈 블레이드 회전 운동에너지로 변환한다. 터빈 블레이드의 고속 회전으로 인한 회전축의 회전으로 발전기 로터가 회전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터빈 노즐에서 분사된 작동 유체의 일부는 터빈 블레이드의 후면과 터빈 하우징 사이의 간극으로 침투하여 회전축과 발전기 하우징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응축기로 누설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기물 순환시스템과 열원 순환시스템을 구비한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17085호(2006. 05. 24. 등록공고)의 '폐열회수 유기체열기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49716호(2010. 08. 03. 등록공고)의 '직접 열원 발전장치',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64613호(2011. 06. 15. 공개)의 '유기물 유체를 소형 발전장치 및 소형발전방법',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21508호(2012. 03. 09. 공개)의 '펌프의 캐비테이션을 방지할 수 있는 ORC 시스템'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열원 순환시스템의 폐열 등을 유기물 순환시스템의 유기물 유체에 전달하는 증발기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물을 증발시킬 수 없는 중저온의 폐열이나 지열 등을 이용하여 유기물질을 증발시켜 터빈 등을 구동시켜 동력을 얻는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도2는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의 선행기술에 구성되어 있는 증발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2에 의하면, 도시되지 않은 열전달 유체 가열기로부터 공급되는 열전달 유체, 즉 열원은 증발기(5) 내부에 위치한 열전달 파이프(6)를 경유하면서 증발기(5) 내부에 수용된 유기물 유체를 가열시켜 증발시킨 후 열전달 액체펌프를 거쳐 다시 열전달 유체 가열기로 되돌아간다.
이때 발생한 유기물 액체의 증기가 터빈(7)에 공급되어 열 에너지가 기계적인 운동에너지로 변환되게 된다. 이후 기계적인 운동 에너지는 전기에너지로 변환되게 된다. 또한 터빈(7)을 회전시킨 유기물 액체의 증기는 응축기와 액체 저장고를 거쳐 다시 증발기(5)로 되돌아간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증발기(5)는 열전달 유체가 흐르는 열전달 파이프(6)가 증발기(5) 내의 유기물 액체에 잠기도록 증발기(5)의 하부에만 배치되어 있으므로 열전달 유체가 가지고 있는 열이 액체상태의 유기물 액체에만 전달되어 열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17085호(2006. 05. 24. 등록공고)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49716호(2010. 08. 03. 등록공고)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64613호(2011. 06. 15. 공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21508호(2012. 03. 09. 공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증발기의 내부구조 개선으로 증발기의 효율을 높여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발전효율의 증대뿐만 아니라 터빈 등의 원동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의 증발기는, 폐쇄된 유기물 순환시스템을 가지는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에 있어서, 열전달 유체가열기로부터 공급되는 열전달 유체나 직접 공급되는 열원의 열을 내부에 수용된 유기물 액체에 전달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열전달 파이프를 구비한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열전달 파이프는 상기 증발기에 수용된 유기물 액체를 증발시키기 위해 상기 증발기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열전달 파이프는 상기 하부 열전달 파이프를 흐르는 열전달 유체나 열원에 의해 증발된 유기물 액체 증기를 재가열하여 포화증기 상태로 만들기 위해 상기 증발기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열전달 파이프는 열전달 유체가열기로부터 공급되는 열전달 유체나 직접 공급되는 열원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열전달 유체가 흐르는 관이 증발기에 수용된 유기물 액체에 잠기는 한편 유기물 액체로부터 발생하는 증기와도 접촉 가능하도록 상하로 이중구조로 배치함으로써 증발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뿐더러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의 발전효율을 증대시키고 터빈 등의 원동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유기물 랭킨 사이클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2는 종래의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를 구성하는 증발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4는 도3에 개시된 증발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3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유기물 랭킹 사이클 발전장치는, 폐쇄된 열원 순환시스템과 폐쇄된 유기물 순환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열원 순환시스템이 생략되기도 한다.
상기 열원 순환시스템은 저온의 열원으로서 산업 폐열, 지열, 태양열 등을 이용하는 열전달 유체 가열기(110)와, 상기 열전달 유체 가열기(110)에서 열을 흡수하여 유기물 액체와 불포화 유기물 증기에 열을 전달하는 증발기(120)와, 상기 증발기(120)로부터 나온 액체를 열전달 유체 가열기(110)에 공급하기 위한 열전달 유체펌프(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기물 순환시스템은 증발기(120)를 통하여 나온 고압의 증기가 통과하여 기계적 일을 하게 되는 터빈(210)과, 상기 터빈(210)을 통과한 저압의 증기가 액화되는 응축기(220)와, 상기 응축기(220)를 통해 액화된 유기물이 저장되는 액체 저장고(230)와, 상기 액체 저장고(230)의 유기물의 압력을 상승시켜 증발기(120)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유기물 액체펌프(240)로 구성되어 있다.
기타 터빈(210)을 포함하는 구동 반전기(211), 발전기(212), 주파주 조절기(213), 전력 공급선(214) 등을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는, 열전달 유체 가열기(110)를 이용하여 열전달 유체를 고온 고압의 가스로 만드는 단계와, 상기 열전달 유체 가열기(110)에서 열을 흡수한 고온의 열전달 유체가 열전달 파이프(140)를 통해 증발기(120)로 이동하여 상부 및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a)(120b)에서 저온의 열전달 유체로 변화되면서 유기물 액체와 불포화 유기물증기에 열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증발기(120)의 상부 및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a)(120b)를 통과한 열전달 유체가 열전달 액체펌프(130)를 가압하여 열전달 유체 가열기(110)에 공급하는 단계를 통해 열전달 유체를 순환시켜 유기물 액체에 열을 전달하고, 상기 증발기(120)에 나온 고압의 증기를 터빈(210)에 공급하여 터빈(120)이 기계적인 일을 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터빈(210)에서 나온 저압의 증기를 응축기(220)에서 액화하는 단계와, 상기 응축기(220)에서 액화된 유기물 액체를 액체 저장고(230)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액체 저장고(230)의 유기물 액체의 압력을 유기물 액체펌프(240)를 통해 상승시켜 증발기(120)에 공급하는 단계를 통한 유기물 액체의 상태 변화로 터빈(210)을 작동시켜 발전을 한다.
상세하게는 열전달 유체 가열기(110), 증발기(120), 열전달 액체 펌프(130)를 포함하는 열원 순환시스템을 순환하는 열전달 유체는 열전달 유체 가열기(110)에서 열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상(Phase)의 변화없이 고온의 열전달 유체로 변화되어 열전달 유체 순환파이프(140)를 통해 증발기(120)의 셀, 즉 상부 및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a)(120b)로 들어온다. 이후 열전달 유체는 증발기(120)의 상부 및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a)(120b)를 순환하는 동안 유기물질에 열을 방출하는 과정을 거쳐 저온의 열전달 유체로 변한다.
특히, 증발기(120)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b)를 순환하는 고온의 열전달 유체는 유기물 액체에 열을 전달하여 증기상태로 변하도록 하면서 자신은 저온의 열전달 유체로 변하고, 증발기(12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열전달 파이프(120a)를 순환하는 고온의 열전달 유체는 증기상태의 유기물, 즉 불포화 유기물증기에 열을 전달하여 포화증기상태가 되도록 하면서 자신은 저온의 열전달 유체로 변한다.
따라서 증발기(120)에서 이중구조의 상부 및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a)(120b) 구조에 의해 열전달 유체와 유기물 액체와의 충분한 열 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유기물 액체가 증발하여 포화증기상태로 변환되어 터빈(210)으로 들어가므로 터빈(210)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터빈 블레이드의 치명적인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열전달 유체 가열기(110)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전달 유체의 일부는 열전달 유체 순환파이프(140)를 통해 증발기(120)로 공급되어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b)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때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b)가 증발기(120)에 수용된 저온의 유기물 액체에 감겨 있으므로 고온의 열전달 유체는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b)를 흐르는 동안 저온의 유기물 액체에 열을 전달하고 자신은 저온의 열전달 유체로 변한다. 이 저온의 열전달 유체는 열전달 액체펌프(130)를 경유하여 다시 열전달 유체 가열기(110)로 순환되어 다시 고온의 열전달 유체로 변하게 된다.
또한, 열전달 유체 가열기(110)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전달 유체의 다른 일부는 열전달 유체 순환파이프(140)를 통해 증발기(120)로 공급되어 상부 열전달 파이프(120a)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때 상부 열전달 파이프(120a)가 증발기(120)에 수용된 유기물 액체에 닿지 않는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고온의 열전달 유체는 상부 열전달 파이프(120a)를 흐르는 동안 불포화상태의 유기물증기에 열을 전달하여 고압의 포화증기상태로 만들고 자신은 저온의 열전달 유체로 변한다. 이 저온의 열전달 유체는 열전달 액체펌프(130)를 경유하여 다시 열전달 유체 가열기(110)로 순환되어 다시 고온의 열전달 유체로 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열전달 유체는 열전달 유체 가열기(110), 증발기(120), 열전달 액체펌프(130)를 포함하는 열원 순환시스템을 순환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매체 역할을 한다.
물론, 산업 폐열 등과 같은 열원이 별도의 열원 순환시스템을 순환하지 않고 바로 증발기(120)로 공급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증발기(120)에서 증발된 고압의 증기는 터빈(210)에 공급된다. 따라서 터빈(210), 구동 발전기(211), 발전기(212), 주파수 조절기(213), 전력 공급선(214) 등의 구동으로 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위의 실시 예와 같이 폐열 등을 이용하는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의 경우 폐열은 원 열원의 가동상태에 따라 폐열량의 변화폭이 크다. 따라서 폐열량이 증발기(120)의 설계치 이하로 내려갔을 때 증발기(120)에서 발생하는 증발량 역시 목표치에 미달하게 되므로 터빈(120)의 효율이 급격히 감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증발기(120) 내에 액상의 유기물 액체, 불포화 유기물증기, 포화증기 등이 혼재하고 있고, 이중 구조의 상부 및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a)(120b)를 흐르는 열전달 유체의 열을 유기물 액체, 불포화 유기물 증기, 포화증기에 전달하므로 유기물 액체는 불포화 유기물 증기나 고압의 포화증기로, 불포화 유기물 증기나 포화증기는 고압의 포화증기로 변한다.
특히, 상부 및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a)(120b)의 입구 측에 위치한 조절밸브(300a)(300b)를 조작하여 상부 및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a)(120b)에 공급되는 열전달 유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유기물 액체에 잠겨있는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b)를 흐르는 열전달 유체의 열이 1차로 유기물 액체를 증발시키고, 이 유기물 증기가 상부 열전달 파이프(120a)를 흐르는 열전달 유체로 열을 받아 가온되는 슈퍼히터(super heater)의 상태가 된다.
이로써 증발기(120) 상층부가 슈퍼히터의 역할을 하여 증발하는 유기물질을 고압의 포화증기상태로 만들 수 있다.
도면에서 301은 안전밸브이다.
110 : 열전달 유체 가열기 120 : 증발기
120a : 하부 열전달 파이프 120b : 상부 열전달 파이프
130 : 열전달 액체펌프 140 : 열전달 유체 순환 파이프
210 : 터빈 211 : 구동 발전기
212 : 발전기 213 : 주파수 조절기
214 : 전력공급선 220 : 응축기
230 : 액체 저장고 240 : 유기물 액체펌프
300a, 300b : 조절밸브 301 : 안전밸브

Claims (2)

  1. 폐쇄된 유기물 순환시스템을 가지는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에 있어서,
    열전달 유체가열기(110)로부터 공급되는 열전달 유체나 직접 공급되는 열원의 열을 내부에 수용된 유기물 액체에 전달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a)(120b)를 구비한 증발기(12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b)는 상기 증발기(120)에 수용된 유기물 액체를 증발시키기 위해 상기 증발기(120)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열전달 파이프(120a)는 상기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b)를 흐르는 열전달 유체나 열원에 의해 증발된 유기물 액체 증기를 재가열하여 포화증기 상태로 만들기 위해 상기 증발기(120)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의 증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열전달 파이프(120a)(120b)는 열전달 유체가열기(110)로부터 공급되는 열전달 유체나 직접 공급되는 열원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130a)(130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의 증발기.
KR1020120053074A 2012-05-18 2012-05-18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의 증발기 KR101338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074A KR101338186B1 (ko) 2012-05-18 2012-05-18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의 증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074A KR101338186B1 (ko) 2012-05-18 2012-05-18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의 증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902A KR20130128902A (ko) 2013-11-27
KR101338186B1 true KR101338186B1 (ko) 2013-12-09

Family

ID=4985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074A KR101338186B1 (ko) 2012-05-18 2012-05-18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의 증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4763A (zh) * 2014-04-14 2014-12-24 天津市职业大学 利用热管技术回收余热的有机朗肯循环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321A (ko) * 2001-06-23 2003-01-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흡수식 냉동기의 냉매 오염도 및 리튬브로마이드 용액농도 자동측정장치
JP2010261624A (ja) 2009-04-30 2010-11-18 Kazue Miura 加熱システム
KR20110064613A (ko) * 2009-12-08 2011-06-15 (주)에이치티알디 유기물 유체를 이용한 소형 발전장치 및 소형 발전방법
KR20120012418A (ko) * 2010-07-30 2012-02-0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유기적 랭킨 사이클 에너지 회복 시스템 및 에너지 회복 방법과 그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증발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321A (ko) * 2001-06-23 2003-01-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흡수식 냉동기의 냉매 오염도 및 리튬브로마이드 용액농도 자동측정장치
JP2010261624A (ja) 2009-04-30 2010-11-18 Kazue Miura 加熱システム
KR20110064613A (ko) * 2009-12-08 2011-06-15 (주)에이치티알디 유기물 유체를 이용한 소형 발전장치 및 소형 발전방법
KR20120012418A (ko) * 2010-07-30 2012-02-09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유기적 랭킨 사이클 에너지 회복 시스템 및 에너지 회복 방법과 그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증발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902A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01436A1 (en) Power generator using a wind turbine, a hydrodynamic retarder and an organic rankine cycle drive
US20180209305A1 (en) Integrated System for Using Thermal Energy Conversion
CN202381129U (zh) 动力供给系统
JP6161358B2 (ja) 有機ランキンサイクルシステム
US9500205B2 (en) Multi-pressure radial turbine system
US11274575B2 (en) Gas turbine plant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JP2012149541A (ja) 排熱回収発電装置および船舶
JPWO2011004866A1 (ja) 蒸気供給装置
JP6021526B2 (ja) 冷却水供給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バイナリ発電装置
JP5592305B2 (ja) 発電装置
JP5565682B2 (ja) 造水システム
CN103953404A (zh) 利用燃气轮机排气余热的有机朗肯循环发电装置
KR101338186B1 (ko) 유기물 랭킨 사이클 발전장치의 증발기
KR101481010B1 (ko) 해양온도차발전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200462803Y1 (ko) 태양열 집열장치를 이용한 열원 발전장치
JP6161357B2 (ja) 発電システム
JP2013019303A (ja) 発電システム
KR101336788B1 (ko) 유기랭킨사이클용 냉각시스템
KR20190052794A (ko) 풍력 터빈 냉각 시스템 결합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 시스템
US20110048014A1 (en) Combination power generating system
KR20150062027A (ko) 하이브리드 터빈 발전 시스템
CN204371436U (zh) 能实现热能高效利用的郎肯循环发电系统
CN203189068U (zh) 一种有机朗肯循环涡轮发电机组
CN203796340U (zh) 利用燃气轮机排气余热的有机朗肯循环发电装置
CN206582069U (zh) 一种适应太阳能有机朗肯循环的闪蒸主动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