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154B1 -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154B1
KR101337154B1 KR1020060114923A KR20060114923A KR101337154B1 KR 101337154 B1 KR101337154 B1 KR 101337154B1 KR 1020060114923 A KR1020060114923 A KR 1020060114923A KR 20060114923 A KR20060114923 A KR 20060114923A KR 101337154 B1 KR101337154 B1 KR 101337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se
sliding
sliding member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5805A (ko
Inventor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4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154B1/ko
Publication of KR20080045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부재의 탄성력 변화에도 불구하고 영상표시장치의 높이를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고, 사용 중 갑작스런 상승 및 하강이 방지되는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를 지지하는 헤드마운트; 상기 헤드마운트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상향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고,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지지대에 대한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을 저지할 수 있는 잠금수단;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Stand for display apparatus}
도 1 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를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의 조립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를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를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 은 도 5 의 Ⅵ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 과 도 8 은 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의 작동을 도시하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 20: 스탠드 2: 헤드마운트
3, 13: 슬라이딩 부재 4, 14: 지지대
5: 제1탄성부재 6: 베이스
17: 끼움 잠금부재 23: 고정 잠금부재
23a: 제1톱니 24: 지지대
24a: 체결부 24b: 개방부
100: 베이스 110: 지지부재
120: 베이스 커버 121: 체결 구멍
122: 관통 구멍 123: 구멍
130: 작동 잠금부재 131: 수평부
131a: 버튼 132: 수직부
132a: 제2톱니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는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1)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영상표시장치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2a)를 구비한 헤드마운트(2), 상기 헤드마운트의 제2장착부(2b)가 장착되는 슬라이딩 부재(3),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지지대(4), 일 단부(5a)가 상기 지지대(4)에 고정되고 고정부(5b)가 상기 슬라이딩부재(3)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탄성부재(5), 및 상기 지지대의 체결부(4a)가 체결되는 구멍(6a)이 형성된 베이스(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부품들이 조립된 상태는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1)에 있어서는, 지지대(4)가 베이스(6)에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딩 부재(3)가 지지대(4)에 대하여 슬라이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탄성부재(5)는 영상표시장치(미도시), 헤드마운트(2), 및 슬라이딩 부재(3)의 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부재(3)에 상향의 탄성력을 가하여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를 높이고자 할 때에 큰 힘이 들지 않도록 편의를 도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탄성부재(5)로서는 도 1 도시된 태엽스프링이 주로 사용되는데, 그 탄성력은 슬라이딩 부재(3)의 위치에 따라 일정치 않고, 특히 압축과 신장이 반복됨에 따라 피로가 쌓이면 그 탄성력이 적지 않게 변화한다는 성질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하중과 탄성력의 균형이 깨지게 되고(약간의 불균형은 마찰력에 의하여 보상되어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결국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의 높이를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사용 중 영상표시장치가 갑자기 상승 또는 하강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 변화에도 불구하고 영상표시장치의 높이를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고, 사용 중 갑작스런 상승 및 하강이 방지되는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를 지지하는 헤드마운트; 상기 헤드마운트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상 향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고,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지지대에 대한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을 저지할 수 있는 잠금수단;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를 제공한다.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지지대의 적어도 일측에 일렬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구멍들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에 따라 그 일측의 구멍들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그 타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지지대의 서로 대응되는 구멍에 공히 끼워지는 끼움 잠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되고, 지지대를 향하여 형성된 제1톱니를 포함하는 고정 잠금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에 따라 상기 고정 잠금부재의 제1톱니에 걸리거나 걸림해제될 수 있는 제2톱니가 형성된 작동 잠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는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제2톱니에 제1톱니 측으로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작동 잠금부재는 베이스와 평행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 직교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톱니는 수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부는 베이스의 커버에 의하여 가리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직부는 베이스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관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평부에는 베이스의 커버에 형성된 구멍에 진입된 버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수직부의 회동을 회동범위를 넓히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10)는, 헤드마운트(2), 슬라이딩 부재(13), 지지대(14), 제1탄성부재(5), 베이스(6), 및 잠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마운트(2)는 영상표시장치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영상표시장치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2a)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13)의 상단부에 볼트(미도시) 등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장착되는 제2장착부(2b)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3)는 상기 지지대(14)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헤드마운트(2)를 지지하며, 그 하단부에는 제1탄성부재(5)의 고정부(5b)가 고정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5)는 태엽스프링으로 예시될 수 있는데, 그 일 단부(5a)는 상기 지지대(14)에 고정된다. 태엽스프링은 판상의 금속부재가 권취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단부(5a)와 고정부(5b) 간의 거리가 좁아지는 방향의 탄성력이 보유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13)에 상향 탄성력을 가한다. 지지대(14)는 그 체결부(14a)와 베이스(6)의 구멍(6a)을 관통하여 조여지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베이스(6)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된다.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지지대(14)에 대한 슬라이딩 부재(13)의 슬라이딩을 저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부재(13)에 일렬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구멍(13a)들,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구멍(13a)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대(14)에 형성된 구멍(14b),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구멍(13a)과 지지대의 구멍(14b)에 공히 끼워지는 끼움 잠금부재(17)을 포함한다.
영상표시장치의 위치 조정을 마친 후, 상기 끼움 잠금부재(17)를 구멍들(13a, 14b)에 공통되도록 끼움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부재(13)가 지지대(14)에 대하여 이동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제1탄성부재(5)의 탄성력이 변화하여도 영상표시장치의 높이를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고, 영상표시장치의 사용 중 갑작스런 상승 및 하강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지지대(14)에 형성된 구멍(14b)이 일렬로 여러개 배열되고 슬라이딩 부재(13)에 하나의 구멍(13a)만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슬라이딩 부재(13)와 지지대(14)에 형성된 구멍들(13a, 14b)이 각각 다수개 일렬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 을 참조하되 제1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 구성은 제1실시예의 것과 유사하지만, 잠금수단이 하기와 같이 다르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본 실시예의 잠금수단은 도 5 에 도시된 고정 잠금부재(23)과 작동 잠금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잠금부재(23)는 슬라이딩 부재(3) 중 지지대(24)를 향한 측에 고정되고, 지지대(24)를 향하여 형성된 제1톱니(23a)를 포함한다. 제1톱니(23a)는 하기 제2톱니(132a)와 치합되는 치수를 갖는다.
상기 작동 잠금부재(130)는 베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회동에 따라 고정 잠금부재의 제1톱니(23a)에 걸리거나 그 걸림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제2톱니(132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동 잠금부재(130)가 회전 작동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베이스(100)에서 수평방향(X, -X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작동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 잠금부재(130)가 베이스(100)와 평행한 수평부(131) 및 상기 수평부(131)에 직교하는 수직부(132)를 구비하며, 제2톱니(132a)는 상기 수직부(132)에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작동 잠금부재(130)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부(131)가 베이스의 지지부재(110)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되, 베이스의 커버(120)에 의하여 가리는 데, 이는 제품의 외관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수평부(131)가 커버(120) 위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수평부(131)가 베이스 커버(120)에 의하여 가려서 그 아래에 배치되는 경우, 작동 잠금부재의 회전축(133)은 지지부재(110)에 고정된 리브(134)에 의하여 지지되고, 수직부(132)는 베이스 커버(120)에 형성된 관통 구멍(122)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상측으로 관통된다.
제1톱니(23a)와 제2톱니(132a) 간의 걸림과 걸림해제는 상기 작동 잠금부재(130)와 회전축(133) 간의 마찰력으로 가능하게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 단부가 베이스(100)에 지지되고 타 단부가 작동 잠금부재(130)에 지지되어 제2톱니(132a)에 제1톱니(23a) 측으로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13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수평부(131)가 베이스 커버(12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베이스 커버(120)에 구멍(1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톱니(132a)와 제1톱니(23a)가 치합되어 걸린 상태(도 7 참조 - 2: 헤드마운트, 5: 제1탄성부재, 24: 지지대는 생략됨)에서 수평부(131)를 누름으로써 그 걸린 상태를 해제(도 8 참조 - 2: 헤드마운트, 5: 제1탄성부재, 24: 지지대는 생략됨)시키기가 편리하게 되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구멍(123)이 베이스 커버(12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부(131)를 누르는 동작을 편리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구멍(123)에 진입되도록 돌출된 형상의 버튼(131a)이 수평부(13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직부(132)는 지지대(24)의 내측으로 연장되는데, 그 회동에 따라서 지지대(24)에 걸릴 수 있으므로 지지대(24)의 전방에는 개방된 개방부(24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개방부(24b)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베이스(100)에의 고정을 위한 체결부(24a)가 지지대(24)의 측방(Y, -Y방향)에 형성되고, 베이스(100)에는 체결부(24a)에 대응되도록 체결 구멍(12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 변화에도 불구하고 영상표시장치의 높이를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고, 사용 중 갑작스런 상승 및 하강이 방지되는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영상표시장치를 지지하는 헤드마운트;
    상기 헤드마운트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상향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고,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지지대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을 저지할 수 있는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를 향하여 형성된 제1톱니를 포함하는 고정 잠금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에 따라 상기 고정 잠금부재의 제1톱니에 걸리거나 걸림해제될 수 있는 제2톱니가 형성된 작동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지지대의 적어도 일측에 일렬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구멍들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에 따라 그 일측의 구멍들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그 타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지지대의 서로 대응되는 구멍에 공히 끼워지는 끼움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제2톱니에 제1톱니 측으로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잠금부재는 베이스와 평행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 직교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톱니는 수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베이스의 커버에 의하여 가리고, 상기 수직부는 베이스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에는 베이스의 커버에 형성된 구멍에 진입된 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수직부의 회동을 회동범위를 넓히는 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KR1020060114923A 2006-11-21 2006-11-21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KR101337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923A KR101337154B1 (ko) 2006-11-21 2006-11-21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923A KR101337154B1 (ko) 2006-11-21 2006-11-21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805A KR20080045805A (ko) 2008-05-26
KR101337154B1 true KR101337154B1 (ko) 2013-12-05

Family

ID=3966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923A KR101337154B1 (ko) 2006-11-21 2006-11-21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244Y1 (ko) * 2014-05-19 2015-09-14 주식회사 나울 유아용 모빌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8899A (zh) * 2018-08-27 2019-03-29 幻想动力(上海)文化传播有限公司 用于摄影设备的支撑机构及摄影设备
KR102294929B1 (ko) * 2020-01-31 2021-08-27 권진대 높이 조절용 브라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318Y1 (ko) 2002-03-30 2002-07-13 주식회사 Korea 신예 평판형 모니터 스텐드
KR20050110965A (ko) * 2004-05-20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스탠드겸용 폴딩장치
KR100667970B1 (ko) 2004-09-15 2007-01-1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KR100754330B1 (ko) 2005-08-19 2007-08-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318Y1 (ko) 2002-03-30 2002-07-13 주식회사 Korea 신예 평판형 모니터 스텐드
KR20050110965A (ko) * 2004-05-20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를 위한 스탠드겸용 폴딩장치
KR100667970B1 (ko) 2004-09-15 2007-01-1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KR100754330B1 (ko) 2005-08-19 2007-08-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244Y1 (ko) * 2014-05-19 2015-09-14 주식회사 나울 유아용 모빌 지지대
WO2015178591A1 (ko) * 2014-05-19 2015-11-26 주식회사 나울 유아용 모빌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805A (ko) 200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746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 조절 장치
KR101337154B1 (ko)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EP3761149B1 (en) Rotatable stand for lcd monitor
US20070102600A1 (en) Display elevation adjusting apparatus
US8695936B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JP5278537B2 (ja) エレベータの操作盤
JP4578548B2 (ja) モニタ位置調節装置
US20110297807A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US5564530A (en) Traction type elevator
JP5702995B2 (ja) スライド式踏み台
KR101356510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월마운트시스템
KR200281318Y1 (ko) 평판형 모니터 스텐드
JP5015023B2 (ja) ゲーム機
JP2008542654A (ja) クレビスアセンブリを有する傾斜ミニアーム
KR20100012517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200325316Y1 (ko) 가이드포스트형 옷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100587350B1 (ko)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
US7880075B2 (en) Angle adjusting structure for high-hat cymbals
KR100873131B1 (ko) 모니터 스탠드
JP7489801B2 (ja) 什器とこれに使用する転倒防止装置及びベースユニット
US20090218174A1 (en) Pop-up lift pedestal for a television
KR20070029500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회전 구조
KR102270061B1 (ko) 분할형 구름베어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
KR1008304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회전용 스탠드
JP4721724B2 (ja) 玉貯留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