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135B1 -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135B1
KR101337135B1 KR1020110091365A KR20110091365A KR101337135B1 KR 101337135 B1 KR101337135 B1 KR 101337135B1 KR 1020110091365 A KR1020110091365 A KR 1020110091365A KR 20110091365 A KR20110091365 A KR 20110091365A KR 101337135 B1 KR101337135 B1 KR 101337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network
consideration
networks
security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868A (ko
Inventor
강영준
김태년
박훈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10091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135B1/ko
Priority to US13/463,485 priority patent/US20130067535A1/en
Publication of KR20130027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 G06F9/5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considering the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1Access control lists [AC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연결할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Network control method for considering application characteristic and portable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고, 특성에 따라 적절한 네트워크와 연결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네트워크의 신호세기, 네트워크 별 배터리 소모량, 망의 과부하, 접속간의 간섭 정도를 파악해서 효율적인 네트워크 선택한다.
하지만 위의 네트워크 선택 방법은 네트워크 별 보안 수준이 다르고, 대용량 트래픽이 예상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적절한 네트워크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최근 wifi 망을 이용한 해킹 실험에서 사용자들이 주고 받은 거의 모든 정보가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으로 인해 모바일 인터넷 뱅킹, 증권 어플리케이션 등 보안에 민감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단순히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이 최선이 아니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되어야 하는 최소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요구 데이터량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 속도를 나타내는 요구 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는 특성 판단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할 때,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연결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네트워크 제어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특성 판단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권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패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사용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평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들을 1차 검색하고, 1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에 따라 통신 비용이 기설정한 비용 이하인 네트워크들을 2차 검색하고, 2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속도가 가장 빠른 네트워크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들을 1차 검색하고, 1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속도가 기설정한 속도 이상인 네트워크들을 2차 검색하고, 2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비용이 가장 저렴한 네트워크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되어야 하는 최소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요구 데이터량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 속도를 나타내는 요구 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연결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연결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관한 것으로, 보안 중요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네트워크 우선순위를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등급에 따라 변경되도록 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유출을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를 가진다. 반대로 보안 중요도가 떨어지고, 네트워크 사용량이 많은 경우에도 네트워크 우선순위를 통신 비용과 통신 속도에 맞추어 통신 비용이 저렴하고 통신 속도가 빠른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연결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연결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성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성 데이터베이스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패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특성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해서 출력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아이콘에 표시해서 출력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특성 판단부(11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12), 네트워크 제어부(113), 인터페이스부(114), 어플리케이션 특성 송수신부(115), 통신부(120), 메모리부(130) 및 특성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추가로 사용자 패턴 데이터베이스(150), 공유 특성 데이터베이스(160) 및 평가 기준 데이터베이스(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수의 네트워크(121, 122, 123)들을 통해 통신을 연결해서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통신부(220)의 네트워크(121, 122, 123)들은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Spac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 Wifi, 와이브로(Wibro),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법을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220)는 안테나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3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에 속하는 시스템 데이터, 어플, 어플의 변경이력 정보 및 사용자 데이터(전화번호, SMS 메시지, 압축된 이미지 파일, 동영상 등) 등을 저장한다.
특성 데이터베이스(140)는 어플리케이션들의 특성을 저장한 데이터 베이스 이다. 특성 데이터베이스(140)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여러 형태로 분류해서 저장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저장한 특성 데이터베이스(140)의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성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특성 데이터베이스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요구 보안 등급, 요구 데이터량, 요구 속도로 분류하고 각각에 대한 평가 점수를 저장한다. 여기서, 요구 보안 등급은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보안 정도를 나타내고, 요구 데이터량은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되어야 하는 최소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고, 요구 속도는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 속도를 나타낸다.
도 6에서 요구 보안 등급의 점수는 보안 등급이 높을 수로 높은 점수로 표시되고, 요구 데이터 량인의 점수는 요구 데이터량이 많을수록 높은 점수로, 요구 속도는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의 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로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도 6의 점수는 일 예로서 그 반대로 점수화도 가능하다. 즉, 요구 보안 등급의 점수는 보안 등급이 높을 수로 낮은 점수로 표시되고, 요구 데이터 량인의 점수는 요구 데이터량이 많을수록 낮은 점수로, 요구 속도는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의 속도가 높을수록 낮은 점수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성 데이터베이스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특성 데이터베이스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어플리케이션의 권한 및 네트워크 사용량을 기준으로 각 네트워크 별로 평가한 점수를 저장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어플리케이션의 권한 및 네트워크 사용량을 기준으로 각 네트워크 별로 평가할 때, 평가 기준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네트워크 별 점수는 해당 네트워크의 적합성을 나타낸다. 즉, 점수가 높을수록 적합한 네트워크에 근접 하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 패턴 데이터베이스(150)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사용한 패턴에 따른 네트워크 및 네트워크의 평가 점수를 저장한 데이터 베이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패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위치에서 자주 접속한 네트워크 이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통신연결이 설정된 네트워크에 대한 평가 점수이다..
공유 특성 데이터베이스(160)는 여러 사용자들에 의해 판단된 어플리케이션들의 특성을 수집해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이다. 공유 특성 데이터베이스(160)는 어플리케이션 특성 송수신부(115)를 통해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공유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특성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며, 공유 특성 데이터베이스는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해서 네트워크의 종류별로 점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의 종류별 점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사용자들이 평가를 평균한 점수일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사용빈도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PP 1의 네트워크 종류별 점수를 확인해 보면, APP 1을 사용한 사용자들은 SK 3G에 90점을 평가했고, KT 3G에 85점을 평가했고, SK Wi-Fi에 75점을 평가했고, KT Wi-Fi에 75점을 평가했고, 사설 Wi-Fi에 60점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 데이터베이스(170)는 어플리케이션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정보들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이다. 여기서, 기준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점수화 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정보로서,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어플리케이션의 권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패턴 및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사용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정보일 수 있다.
기준정보의 예를 들면, 특정 카테고리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요구 보안 등급을 80으로 평가하는 기준정보, 특정 권한을 가진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20으로 평가하는 기준정보 등이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기준정보로는 카테고리가 금융이고 권한이 인증정보에 접근하고 네트워크 사용량이 많으면, 요구 보안 등급을 90으로 평가하고 요구 데이터 량을 80으로 평가하고 요구 속도는 80으로 평가하는 기준 정보가 존재 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가 금융이고 권한이 인증정보에 접근하고 네트워크 사용량이 많은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증권 어플리케이션이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12)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 받으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접속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패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
어플리케이션 특성 송수신부(115)는 특성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공유 서버로 송신하고, 공유 서버로부터 공유 특성 데이터베이스(160)를 수신할 수 있다.
특성 판단부(111)는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특성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특성 판단부(11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도 있다.
특성 판단부(111)는 여러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특성 판단부(111)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어플리케이션의 권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패턴 및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사용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평가한다.
특성 판단부(111)는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어플리케이션의 권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패턴 및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사용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평기 기준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된 기준정보와 비교해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평가할 수 있다.
또는, 특성 판단부(111)는 공유 특성 데이터베이스(16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해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확인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부(113)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연결할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네트워크 제어부(113)는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네트워크를 선택해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부(113)는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보안 등급, 통신 비용 및 통신 속도를 만족하는 네트워크를 검색한다.
이때, 기설정된 우선순위가 보안 등급, 통신 비용, 통신 속도의 순서인 경우, 네트워크 제어부(113)는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들을 1차 검색하고, 1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에 따라 통신 비용이 기설정한 비용 이하인 네트워크들을 2차 검색하고, 2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속도가 가장 빠른 네트워크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제어부(113)는 도 4와 같이 동작한다.
다른 예로 기설정된 우선순위가 보안 등급, 통신 속도, 통신 비용의 순서인 경우, 네트워크 제어부(113)는 1차 검색결과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으면,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보안 등급이 가장 높은 네트워크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제어부(113)는 도 5와 같이 동작한다.
상기 상술한 것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 외에도 여러 방법이 존재 할 수 있다. 아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고,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다른 예를 설명한다.
일 예로, 특성 판단부(111)는 도 7의 특성 데이터베이스의 예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고려해서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를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별로 점수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고려해서 어플리케이션의 권한을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별로 점수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고려해서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사용량을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별로 점수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부(113)는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별로 각각의 점수를 가중합해서 가중합한 결과가 가장 큰 네트워크와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특성 판단부(111)는 도 7의 특성 데이터베이스의 예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어플리케이션의 권한 및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사용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기준정보와 비교해서 네트워크들 별로 점수화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제어부(113)는 네트워크들의 점수를 네트워크들 별로 가중합한 결과가 가장 큰 네트워크를 연결할 네트워크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특성 판단부(111)는 도 6의 특성 데이터베이스의 예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속도의 기설정된 우선순위를 고려해서 평가결과를 가중합한 결과를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제어부(113)는 선택 범위를 가지는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해당하는 값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 네트워크가 80에서 100의 선택범위를 가지고, 오픈되지 않은 wifi 네트워크가 60에서 80의 선택범위를 가지고, 오픈된 wifi 네트워크가 50에서 60의 선택범위를 가질 때,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인 가중합한 결과가 85이면, 네트워크 제어부(113)는 3G 네트워크를 선택해서 통신을 연결한다.
인터페이스부(114)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할 때, 아래 도 10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들을 페이지 단위, 폴더 단위로 분류해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14)는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할 때, 아래 도 11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성이 표시되도록 아이콘을 변형해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해서 출력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114)는 보안등급이 높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출력하는 페이지(a)와 보안등급이 낮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출력하는 페이지(b)로 어플리케이션을 페이지 단위로 구분해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도 11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아이콘에 표시해서 출력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114)는 (a)와 같이 보안 등급에 따라 위험, 안전, 보통으로 구분하는 표시를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14)는 (b)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이 연결할 네트워크를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14)는 (c)와 같이 보안 등급과 어플리케이션이 연결할 네트워크를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특성 판단부(11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12), 네트워크 제어부(113), 인터페이스부(114) 및 어플리케이션 특성 송수신부(115)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 특성 판단부(11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12), 네트워크 제어부(113), 인터페이스부(114) 및 어플리케이션 특성 송수신부(115)를 구분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특성 판단부(11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12), 네트워크 제어부(113), 인터페이스부(114) 및 어플리케이션 특성 송수신부(115)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특성 판단부(111),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12), 네트워크 제어부(113), 인터페이스부(114) 및 어플리케이션 특성 송수신부(115) 각각의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210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는 이벤트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기설성된 시간간격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210단계의 확인결과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212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사용자가 판단하는지 확인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는 주체는 기설정 되어 있거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판단 여부를 확인 받을 수 있다.
212단계의 확인결과 사용자가 판단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214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수신 받는다.
212단계의 확인결과 사용자가 판단하지 않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216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고려해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218단계에서 수신 받거나 또는 판단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특성 DB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310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312단계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312단계의 확인결과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이면, 휴대용 단말기는 324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312단계의 확인결과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면, 휴대용 단말기는 314단계에서 현재 위치에서 연결할 기설정된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314단계의 확인결과 현재 위치에서 연결할 기설정된 네트워크가 존재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324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314단계의 확인결과 현재 위치에서 연결할 기설정된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318단계에서 특성 데이터베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확인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320단계에서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연결할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322단계에서 선택한 네트워크와 통신을 연결하고, 324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연결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410단계에서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들을 1차 검색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412단계에서 1차 검색결과 검색된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확인한다.
412단계의 확인결과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414단계에서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보안 등급이 가장 높은 네트워크와 통신을 연결한다.
412단계의 확인결과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가 존재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1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에 따라 통신 비용이 기설정한 비용 이하인 네트워크들을 2차로 검색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418단계에서 2차 검색결과 검색된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확인한다.
418단계의 확인결과 통신 비용이 기설정한 비용 이하인 네트워크들이 검색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420단계에서 1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비용이 가장 저렴한 네트워크와 통신을 연결한다.
418단계의 확인결과 통신 비용이 기설정한 비용 이하인 네트워크들이 검색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422단계에서 2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속도가 가장 빠른 네트워크와 통신을 연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연결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510단계에서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들을 1차 검색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512단계에서 1차 검색결과 검색된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확인한다.
512단계의 확인결과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514단계에서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보안 등급이 가장 높은 네트워크와 통신을 연결한다.
512단계의 확인결과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가 존재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1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속도가 기설정한 속도 이상인 네트워크들을 2차로 검색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518단계에서 2차 검색결과 검색된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확인한다.
518단계의 확인결과 통신 속도가 기설정한 이상인 네트워크들이 검색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520단계에서 1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속도가 가장 빠른 네트워크와 통신을 연결한다.
518단계의 확인결과 통신 속도가 기설정한 이상인 네트워크들이 검색되지 않으면, 휴대용 단말기는 522단계에서 2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비용이 가장 저렴한 네트워크와 통신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3)

  1.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각각에 대해,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는 특성 판단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할 때,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네트워크 제어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판단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판단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속도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정보들과 비교하여 각 네트워크 별로 점수화하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별로 각각의 점수를 가중합해서 가중합한 결과가 가장 큰 네트워크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판단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를 상기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별로 점수화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권한을 상기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별로 점수화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사용량을 상기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별로 점수화하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별로 각각의 점수를 가중합해서 가중합한 결과가 가장 큰 네트워크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정보들을 저장한 평가 기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성 판단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권한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사용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기준정보와 비교해서 네트워크들 별로 점수화하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들의 점수를 상기 네트워크들 별로 가중합한 결과가 가장 큰 네트워크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사용할 네트워크로 선택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판단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권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패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사용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평가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정보들을 저장한 평가 기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성 판단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권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패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사용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상기 기준정보를 비교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평가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판단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속도의 기설정된 우선순위를 고려해서 평가결과를 가중합한 결과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으로 판단하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선택 범위를 가지는 상기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해당하는 값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사용할 네트워크로 선택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특성을 저장한 공유 특성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성 판단부는,
    상기 공유 특성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검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특성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용자들에 의해 판단된 어플리케이션들의 특성을 수집해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인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판단부에서 판단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저장하는 특성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특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공유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공유 서버로부터 상기 공유 특성 데이터베이스를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 특성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들을 분류해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들을 페이지 단위, 폴더 단위로 분류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성이 표시되도록 상기 아이콘을 변형해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들을 1차 검색하고,
    1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데이터량에 따라 통신 비용이 기설정한 비용 이하인 네트워크들을 2차 검색하고,
    2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속도가 가장 빠른 네트워크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1차 검색결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보안 등급이 가장 높은 네트워크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통신 비용이 기설정한 비용 이하인 네트워크들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1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비용이 가장 저렴한 네트워크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들을 1차 검색하고,
    1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속도가 기설정한 속도 이상인 네트워크들을 2차 검색하고,
    2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비용이 가장 저렴한 네트워크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1차 검색결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보안 등급이 가장 높은 네트워크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통신 속도가 기설정한 이상인 네트워크들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1차 검색된 네트워크들 중에서 통신 속도가 가장 빠른 네트워크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22.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들 중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보안 등급을 만족하는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10091365A 2011-09-08 2011-09-08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3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365A KR101337135B1 (ko) 2011-09-08 2011-09-08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13/463,485 US20130067535A1 (en) 2011-09-08 2012-05-0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network conn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365A KR101337135B1 (ko) 2011-09-08 2011-09-08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868A KR20130027868A (ko) 2013-03-18
KR101337135B1 true KR101337135B1 (ko) 2013-12-05

Family

ID=4783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365A KR101337135B1 (ko) 2011-09-08 2011-09-08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067535A1 (ko)
KR (1) KR101337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7902B2 (en) * 2006-10-27 2017-11-14 Netseer Acquisitio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atching relevant content to user intention
KR102123352B1 (ko) * 2013-05-20 2020-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049613B2 (en) 2013-06-06 2015-06-02 Seven Networks, Inc. Radio or network evaluation for selection based on measurements using application layer protocols at a mobile device
US8964595B2 (en) 2013-06-11 2015-02-24 Seven Networks, Inc. Quality of experience enhancement for wireless networks based on received signal strength at a mobile device
CN105612778A (zh) * 2013-06-06 2016-05-25 七网络有限责任公司 基于移动设备应用层协议测量值的无线电或网络评估选择方法
EP3063968A1 (en) * 2013-11-01 2016-09-07 Sony Corporation Distribution of network status and information in wlan networks for self-optimization/organization
US10285110B2 (en) * 2014-11-04 2019-05-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telligent traffic routing
CN105991626A (zh) * 2015-03-06 2016-10-0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网络访问的方法及装置
CN104717653A (zh) * 2015-03-12 2015-06-1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网络连接控制方法及系统
US10484391B2 (en) * 2015-08-17 2019-11-19 Rohde & Schwarz Gmbh & Co. K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cure point-to-point communication
US10506616B2 (en) * 2017-08-04 2019-12-10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Prioritizing preferred networks
US10306548B2 (en) 2017-08-04 2019-05-28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Voting to connect to a wireless network
US11109290B2 (en) 2017-08-04 2021-08-3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Switching connections over frequency bands of a wireless network
US11160003B2 (en) 2017-08-04 2021-10-26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Connecting to a wireless network based on a device mobility sta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624A (ko) * 2004-12-07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망에서 퍼지 다기준 의사 결정 방법을 이용한 액세스네트워크의 선택 방법
KR20110063951A (ko) * 2009-12-07 201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110070628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어플리케이션 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선택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6033A1 (en) * 2003-09-24 2005-03-24 Cheston Richard W.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selection of best network service
US20060041936A1 (en) * 2004-08-19 2006-0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phical presentation of firewall security policy
JP2007282142A (ja) * 2006-04-12 2007-10-25 Nec Corp 通信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ネットワーク選択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20080167033A1 (en) * 2007-01-04 2008-07-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st-Based Network Selection
US8275899B2 (en) * 2008-12-29 2012-09-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gulating network activity using a subscriber sc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624A (ko) * 2004-12-07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망에서 퍼지 다기준 의사 결정 방법을 이용한 액세스네트워크의 선택 방법
KR20110063951A (ko) * 2009-12-07 201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에서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110070628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어플리케이션 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선택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67535A1 (en) 2013-03-14
KR20130027868A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13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355721A (zh) 一种访问控制方法、装置、设备及系统和存储介质
US90087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network cognition
CN111149390B (zh) 优先考虑优选网络的方法和装置
CN107534916B (zh) 一种网络接入方法及终端
CN107864116A (zh) 数据传输方法、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363666A (zh) 在电子设备中与外部设备建立无线连接的方法和装置
CN108712778B (zh) 信道选择方法及相关产品
US20180302428A1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health state of information system
CN110177384B (zh) 接入方法、装置、无线接入点及可读存储介质
KR20200045529A (ko) 신분 인증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US9185558B2 (en) Authentication server and authentication method by authentication server
CN104852915A (zh) 一种上网控制方法及设备
US9351101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FC device and NFC device
US978824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318700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base station
CN105828331A (zh) 一种无线网络安全管理方法及装置
KR20130016912A (ko)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CN105516093B (zh) 一种防蹭网的方法及路由器
US11240133B2 (en) Communication quality evaluation device, communication quality evalu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quality evaluation program
CN107222847B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终端
CN108271184A (zh) VoLTE业务处理方法及装置
JPWO2006046283A1 (ja) 無線移動局装置及び通信切替判定方法
CN103001889A (zh) 控制终端访问的方法、装置及终端
KR101897697B1 (ko) 네트워크 시스템과 이를 위한 네트워크 설치 안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