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827B1 - 음식물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827B1
KR101336827B1 KR1020120080738A KR20120080738A KR101336827B1 KR 101336827 B1 KR101336827 B1 KR 101336827B1 KR 1020120080738 A KR1020120080738 A KR 1020120080738A KR 20120080738 A KR20120080738 A KR 20120080738A KR 101336827 B1 KR101336827 B1 KR 101336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ocking
bar
lock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민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2008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15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locking, fastening or permanently clos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14Applications of locks, e.g. of permutation or key-controlle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46Lids or covers provided with means for mounting on receptacles, e.g.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8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구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 힌지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하여 상기 뚜껑의 전방으로 배치되는 잠금바; 상기 몸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뚜껑의 전방으로 배치된 상기 잠금바와 접하는 잠금고리;를 포함하여, 상기 뚜껑의 전방으로 배치된 상기 잠금바와, 상기 잠금고리에 자물쇠 등을 걸어 상기 뚜껑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간단한 구성인 잠금바와 잠금고리를 이용하여 일반 자물쇠로도 간단하게 잠금을 할 수 있어 비용절감과 함께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잠금고리와 고리부는 일체형이기 때문에 분실 우려가 없으며, 음식물 수거차량이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때에서도 음식물 쓰레기통으로부터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통{Food garbage basket}
본 발명은 일반 자물쇠로도 간단하게 잠금을 할 수 있어 비용절감과 함께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잠금고리와 고리부는 일체형이기 때문에 분실 우려가 없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일반 쓰레기와는 달리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쉽게 부패되기 때문에 처리과정에서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고 극심한 악취를 발산하게 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각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음식물 쓰레기통에 배출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통은 뚜껑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음식물 쓰레기통의 뚜껑 잠금장치의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60587호(2012. 5. 1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6329호(2011. 10. 1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62193호(2004. 9. 6) 등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공보에 제시된 뚜껑 잠금장치 들은 부품수가 많고, 그 구성이 복잡하다.
따라서, 잠금장치의 동작이 복잡하고 조립이 어려우며, 고장 및 오작동의 우려가 많고, 설치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잠금장치는 일체형이 아니라 탈부착 형으로서, 분실의 우려가 있으며, 음식물 수거차량이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때에도 음식물 쓰레기통으로부터 잠금장치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인 잠금바와 잠금고리를 이용하여 일반 자물쇠로도 간단하게 잠금을 할 수 있어 비용절감과 함께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잠금고리와 고리부는 일체형이기 때문에 분실 우려가 없으며, 음식물 수거차량이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때에도 음식물 쓰레기통으로부터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면이 개구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 힌지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하여 상기 뚜껑의 전방으로 배치되는 잠금바; 상기 몸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뚜껑의 전방으로 배치된 상기 잠금바와 접하는 잠금고리;를 포함하여, 상기 뚜껑의 전방으로 배치된 상기 잠금바와, 상기 잠금고리에 자물쇠 등을 걸어 상기 뚜껑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잠금바는, 제1바와, 상기 제1바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된 제2바와, 상기 제2바의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뚜껑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고리는, 자물쇠 등을 걸 수 있도록 폐쇄된 공간을 가지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몸체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의 조작홀을 통하여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잠금바의 미사용시 상기 잠금바가 걸려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켜주는 잠금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잠금고리의 미사용시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조작홀의 내측벽에 걸려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1잠금고리 고정돌기와, 상기 잠금고리의 사용시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부분이 상기 몸체의 외부에 위치할 때 상기 조작홀의 외측벽에 걸려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2잠금고리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뚜껑의 상면에 고여있는 이물질이 전방으로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상기 뚜껑의 전방측과 양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카드형태의 납부필증이 수납될 수 있도록 암결합부 형태인 납부필증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통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간단한 구성인 잠금바와 잠금고리를 이용하여 일반 자물쇠로도 간단하게 잠금을 할 수 있어 비용절감과 함께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잠금고리와 고리부는 탈부착이 아닌 일체형이기 때문에 분실 우려가 없으며, 음식물 수거차량이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때에도 음식물 쓰레기통으로부터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셋째, 비밀번호형 자물쇠를 사용할 경우에 다가구에서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넷째, 부품수가 적고, 동작이 간편하므로 조립이 쉽고, 고장 및 오작동의 우려가 적으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뚜껑에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어, 빗물이나 오물 등의 이물질이 뚜껑의 상면에 고여있을 때 사람이 서있는 전방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뚜껑에는 납부필증을 수납할 수 있는 납부필증 수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납부필증을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힌지결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뚜껑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잠금바와 잠금고리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잠금고리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은 상면이 개구된 몸체(100)와, 몸체(100)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뚜껑(200)을 포함한다.
몸체(100)는 통상 상,하로 긴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는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면은 개구되어 있다.
또한, 몸체(100)의 하단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110)가 구비되어 있고, 몸체(10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뚜껑 안착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 안착부(120)의 후방측에는 뚜껑(200)이 힌지 결합된다.
뚜껑(200)은 몸체(100)의 개구된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고, 뚜껑(200)의 가장자리는 뚜껑 안착부(120)에 안착된다.
이러한 뚜껑(200)의 후방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힌지결합부(201)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힌지결합부(201)는 몸체(100)에 형성된 뚜껑 안착부(120)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뚜껑(200)의 일측에는 납부필증 수납부(2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힌지결합부(201)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납부필증 수납부(230)는 우측에 배치된 힌지결합부(201)에 형성되어 있다.
납부필증 수납부(2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형태의 납부필증(수거필증)이 수납될 수 있도록 암결합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암결합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벽(231)과 제2벽(232), 제1벽(231)과 제2벽(232)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홈(233)과, 제2벽(232)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판(234)을 포함한다. 이러한 암결합부와 납부필증의 상세한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30076호에 제시되어 있다.
이렇게, 뚜껑(200)에는 납부필증을 수납할 수 있는 납부필증 수납부(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납부필증을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뚜껑(20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200)의 상면에 고여있는 빗물 등의 이물질이 전방으로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전방측과 양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돌출턱(220)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양측에 형성된 돌출턱(220)의 후방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턱(220)의 후방에는 빗물 등의 이물질이 고일 수 있도록 이물질 고임홈(2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뚜껑(200)에 돌출턱(220)이 형성되어 있어, 빗물이나 오물 등의 이물질이 이물질 고임홈(225)에 고여있을 때 사람이 서있는 전방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뚜껑(200)의 전방에 형성된 돌출턱(220)에는 뚜껑(200)을 열고 닫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200)의 전방에 형성된 돌출턱(220)의 중앙부에는 홈 형태의 손잡이부 형성홈(227)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 형성홈(227) 내에 손잡이부(240)가 마련되는데, 손잡이부(240)는 손잡이부 형성홈(227) 내에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벽(24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형태이며, 돌출벽(241)은 손잡이부 형성홈(227)의 양측과 상부측에 배치되어 대략 '디귿자'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돌출벽(241)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벽(241) 내부의 공간이 손잡이부(240)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에는 자물쇠 등을 걸어 뚜껑(200)을 열 수 없는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잠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바(300)와 잠금고리(400)가 마련되어 있다.
잠금바(300)는 뚜껑(200)의 일측에 힌지 가능하게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디귿자' 형상의 돌출벽(24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바(300)는 제1바(310)와 제2바(320)와 힌지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바(310)는 일자 형상으로 돌출벽(24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바(320)는 제1바(310)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있고, 돌출벽(24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힌지부(330)는 제2바(320)의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돌출벽(241)에 형성된 힌지부 장착부(242)에 삽입되어 힌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잠금바(300)는 대략 '디귿자'형태를 이루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330)를 기준으로 하여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330)를 기준으로 하여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힌지부(330)를 기준으로 하여 90°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여 수평으로 배치될 때에는 뚜껑(200)의 전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배치된 돌출벽(241)의 상면에는 다수의 잠금바 고정돌기(210)가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잠금바 고정돌기(210)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잠금바 고정돌기(210)에 의해 잠금바(300)가 힌지부(330)를 기준으로 하여 수직으로 배치될 때 잠금바(300)가 잠금바 고정돌기(210)에 걸려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즉, 잠금바(300)의 미사용시 잠금바가 걸려 잠금바 고정돌기(210)에 걸려 회전하지 못하도록 잠금바(300)를 고정시켜줄 수 있다.
잠금고리(400)는 몸체(100)의 상단에 배치되고, 몸체(10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고리(400)는 뚜껑 안착부(120)에 마련되고, 특히, 뚜껑 안착부(120)에 삽입되어, 뚜껑 안착부(120)의 상면에 형성된 조작홀(12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고리(4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부(410)와 슬라이드부(45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부(410)는 자물쇠 등을 걸 수 있도록 폐쇄된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홀을 통하여 뚜껑 안착부(1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슬라이드부(450)는 고리부(410)의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부(450)의 양측면에는 슬라이드 돌기(4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돌기(453)는 뚜껑 안착부(120) 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12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홈(122)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어, 슬라이드부(450)는 몸체(10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일부분이 상부로 이동하여 조작홀(121)을 통하여 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슬라이드부(450) 사이에는 슬라이드부(450)를 연결하며 보강을 위한 연결부(46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부(450)에는 제1잠금고리 고정돌기(451)와 제2잠금고리 고정돌기(45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잠금고리 고정돌기(45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450)의 상부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어, 잠금고리(400)의 미사용시 슬라이드부(450)가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할 때 조작홀(121)의 내측벽에 걸려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제2잠금고리 고정돌기(45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450)의 하부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어, 잠금고리(400)의 사용시 슬라이드부(450)의 일부분이 몸체(100)의 외부에 위치할 때 조작홀(121)의 외측벽에 걸려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몸체(100)의 상부로 이동한 잠금고리(4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200)의 전방으로 배치된 잠금바(300)와 접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장치의 미사용시에는 잠금바(300)는 힌지부(330)를 기준으로 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잠금바 고정돌기(210)에 의해 잠금바(300)가 잠금바 고정돌기(210)에 걸려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이다.
또한, 잠금고리(400)는 슬라이드부(450)가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이며, 제1잠금고리 고정돌기(451)에 의해 제1잠금고리 고정돌기(451)가 조작홀(121)의 내측벽에 걸려 잠금고리(400)는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잠금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바(300)를 잠금바 고정돌기(21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90°회전시키면, 힌지부(330)를 기준으로 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며, 잠금바(300)는 뚜껑(200)의 전방으로 배치된다.
또한, 잠금고리(400)를 몸체(100)의 상부로 이동시키면, 제1잠금고리 고정돌기(451)가 내측벽으로부터 이탈되고, 조작홀을 통하여 슬라이드부(450)의 일부분이 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제2잠금고리 고정돌기(452)가 조작홀(121)의 외측벽에 걸려 잠금고리(400)는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되며, 잠금고리(400)는 잠금바(300)와 접한다.
이렇게, 뚜껑(200)의 전방으로 배치된 잠금바(300)와, 몸체(100)의 상부로 이동한 잠금고리(400)의 고리부(410)에 자물쇠(500) 등을 걸어 뚜껑(20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성인 잠금바(300)와 잠금고리(400)를 이용하여 일반 자물쇠로도 간단하게 잠금을 할 수 있어 비용절감과 함께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잠금고리(400)와 고리부(410)는 탈부착이 아닌 일체형이기 때문에 분실 우려가 없으며, 음식물 수거차량이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때에도 음식물 쓰레기통으로부터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나아가, 비밀번호형 자물쇠를 사용할 경우에 다가구에서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부품수가 적고, 동작이 간편하므로 조립이 쉽고, 고장 및 오작동의 우려가 적으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몸체 110 : 바퀴
120 : 뚜껑 안착부 121 : 조작홀
122 : 슬라이드 홈 200 : 뚜껑
201 : 힌지결합부 210 : 잠금바 고정돌기
220 : 돌출턱 225 : 이물질 고임홈
227 : 손잡이부 형성홈 230 : 납부필증 수납부
240 : 손잡이부 241 : 돌출벽
242 : 힌지부 장착부 300 : 잠금바
310 : 제1바 320 : 제2바
330 : 힌지부 400 : 잠금고리
410 : 고리부 450 : 슬라이드부
451 : 제1잠금고리 고정돌기 452 : 제2잠금고리 고정돌기
453 : 슬라이드 돌기

Claims (5)

  1. 상면이 개구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하여 상기 뚜껑의 전방으로 배치되는 잠금바;
    상기 몸체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뚜껑의 전방으로 배치된 상기 잠금바와 접하는 잠금고리;를 포함하여,
    상기 뚜껑의 전방으로 배치된 상기 잠금바와, 상기 잠금고리에 자물쇠를 걸어 상기 뚜껑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뚜껑에는 상기 잠금바의 미사용시 상기 잠금바가 걸려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켜주는 잠금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바는,
    제1바와,
    상기 제1바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된 제2바와,
    상기 제2바의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뚜껑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고리는,
    자물쇠 등을 걸 수 있도록 폐쇄된 공간을 가지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몸체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의 조작홀을 통하여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잠금고리의 미사용시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조작홀의 내측벽에 걸려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1잠금고리 고정돌기와,
    상기 잠금고리의 사용시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부분이 상기 몸체의 외부에 위치할 때 상기 조작홀의 외측벽에 걸려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2잠금고리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뚜껑의 상면에 고여있는 이물질이 전방으로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상기 뚜껑의 전방측과 양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카드형태의 납부필증이 수납될 수 있도록 암결합부 형태인 납부필증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KR1020120080738A 2012-07-24 2012-07-24 음식물 쓰레기통 KR101336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738A KR101336827B1 (ko) 2012-07-24 2012-07-24 음식물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738A KR101336827B1 (ko) 2012-07-24 2012-07-24 음식물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827B1 true KR101336827B1 (ko) 2013-12-04

Family

ID=4998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738A KR101336827B1 (ko) 2012-07-24 2012-07-24 음식물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8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102A (ja) * 1998-12-25 2000-07-11 Sekisui Chem Co Ltd 塵芥容器
KR200404712Y1 (ko) * 2005-10-14 2005-12-27 김승 차량용 공구함의 이중 잠금장치
KR20090027178A (ko) * 2007-09-11 2009-03-16 피. 헨켈 게엠베하 액체 용기용 뚜껑 조립체
KR100930076B1 (ko) * 2009-05-08 2009-12-08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통용 수거 필증과 음식물 쓰레기통용 수거 필증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102A (ja) * 1998-12-25 2000-07-11 Sekisui Chem Co Ltd 塵芥容器
KR200404712Y1 (ko) * 2005-10-14 2005-12-27 김승 차량용 공구함의 이중 잠금장치
KR20090027178A (ko) * 2007-09-11 2009-03-16 피. 헨켈 게엠베하 액체 용기용 뚜껑 조립체
KR100930076B1 (ko) * 2009-05-08 2009-12-08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통용 수거 필증과 음식물 쓰레기통용 수거 필증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5935B2 (en) Refuse container
US8485382B2 (en) Refuse container
CA2751599C (en) Container assembly
US9248964B2 (en) Refuse container with locking lid
US20090272327A1 (en) Cat litter box
US20130319340A1 (en) Litter box assembly
RU2564230C2 (ru) Настольная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CA2748342C (en) Wipe dispenser and collector unit
CN105455733A (zh) 地刷和吸尘器
KR101336827B1 (ko) 음식물 쓰레기통
US20150164591A1 (en) Sharps container
US7370919B2 (en) Waste container with hidden slides
KR200443879Y1 (ko) 쓰레기 수거용기의 뚜껑 구조체
KR20100009956U (ko) 다용도 신발장
KR101479430B1 (ko) 세탁바구니
KR101873849B1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 용기
US7757637B1 (en) Litter box lifting device
KR20100011544U (ko) 매립형 다기능 쓰레기통
KR101387964B1 (ko) 쓰레받기 겸용 휴지통
KR200419036Y1 (ko) 완전 개방형 뚜껑이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통
JP5728179B2 (ja) シンクの排水口用蓋
US20160318537A1 (en) Janitorial Cleaning Cart
CN214398282U (zh) 双层垃圾桶
KR100663997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의 싱크대조립구조
JP2005000362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