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757B1 - 주파수 변조된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 변조된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757B1
KR101336757B1 KR1020120053524A KR20120053524A KR101336757B1 KR 101336757 B1 KR101336757 B1 KR 101336757B1 KR 1020120053524 A KR1020120053524 A KR 1020120053524A KR 20120053524 A KR20120053524 A KR 20120053524A KR 101336757 B1 KR101336757 B1 KR 101336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irp
particles
cells
ultra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9553A (ko
Inventor
정종섭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3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75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4Cell isolation or sor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42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microorganisms or enzymes with electrical or wave energy, e.g. magnetism, 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3/00Treatment of microorganisms or enzymes with electrical or wave energy, e.g. magnetism, 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el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변조된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주파수가 변조된 첩 신호의 초음파를 이용하여 정상파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세포 또는 입자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각종 세포 및 입자를 물리적, 화학적 변화없이 위치 변화 또는 분류를 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자연과학 및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파수 변조된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ell or particle control using frequency modulated ultrasound}
본 발명은 주파수 변조된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 또는 입자를 향해 초음파를 송신하면 집속점 근방에 위치한 대상체는 집속점으로 끌려오는 트랩(trap)현상이 나타나며, 집속점에서 벗어나면 푸싱(pushing)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성질을 바탕으로 싱글빔(single beam) 초음파를 이용한 원격 제어 기술은 정현파를 사용해서 여러개의 노드에서 초음파를 송신하여 대상체를 제어하는 기술과는 다르게 개개의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싱글빔 초음파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채널에서 움직이는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 디바이스를 통과해야 하는 초음파는 채널 두께로 인한 신호 손실이 발생하며, 이를 막기 위하여 송신 신호를 키우거나 시간축으로 긴 펄스 신호를 송신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송신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은 장비의 최대 한계 때문에 제한이 있어 시간축으로 긴 펄스(연속파 또는 펄스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사인파를 사용하면 송신하는 파와 반사되는 파가 만나서 정상파(standing wave)를 만들어내므로, 정현파를 사용하는 원격 제어 기술로 귀결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정상파 발생을 억제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세포 또는 입자를 원격 제어하기 위하여, 첩(chirp)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고안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포 또는 입자의 위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첩(chirp) 신호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변조신호 발생기;
상기 주파수가 변조된 첩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된 첩 신호를 첩 초음파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변환자;를 포함하는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주파수 변조신호 발생기를 통하여 세포 또는 입자의 위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첩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첩 신호를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시키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증폭된 신호를 초음파 변환자를 이용하여 첩 초음파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3)단계의 첩 초음파를 세포 또는 입자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파수가 변조된 첩 신호의 초음파를 이용하여 정상파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주파수가 변조된 첩 신호의 초음파의 길이를 임의로 증가시킴으로써 투과되는 초음파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초음파의 에너지를 조절할 수있다. 본 발명은 세포 또는 입자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각종 세포 및 입자를 물리적, 화학적 변화없이 위치 변화 또는 분류를 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자연과학 및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의 제어 원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주파수가 변조된 신호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마이크로 채널 디바이스 안에서 움직이는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의 제어 원리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주파수가 변조된 첩 신호를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마이크로 채널 디바이스 안에서 움직이는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의 제어원리를 나타낸 것으로써, 초음파 집속되는 부위에서는 세포 또는 입자의 끌림 현상이 일어나고, 초음파 집속되는 부위에서 벗어나면 밀어내는 현상이 일어난다. 상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이용하여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현파의 초음파를 사용하여 입자 또는 세포를 제어는 경우, 정상파(standing wave)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정현파의 초음파를 대신하여 첩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의 정상파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장치(100)는 주파수 변조 신호 발생기(110), 창문함수 발생부(120), 송신 빔포머(130), 증폭기(140), 고주파수 초음파 변환자(150)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주파수 변조신호 발생기(110)는 세포 또는 입자의 위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가 변조된 첩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주파수 변조신호 발생기(110)는 주파수가 선형 또는 비선형으로 변화하는 첩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주파수는 고주파수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첩 신호는 펄스파 신호 또는 연속파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첩 신호는 하기의 수학식 1 또는 2의 신호일 수 있다.
[ 수학식 1]
C(t)=A*exp[ j 2π( f 0 t +1/2*a* t 2 )], -T/2≤t≤-T/2
상기 수학식1에서, A는 최대 진폭, f0는 중심주파수, T는 신호의 길이 또는 주기를 나타내고, a는 신호의 길이 또는 주기 내에서 주파수의 차이인 △f를 신호의 길이로 나눈 기울기, t는 시간을 나타낸다.
[ 수학식 2]
C(t)=A* cos [2π{( f 0 -△f/2)*t+(a/2)* t 2 }]
상기 수학식2에서, A는 최대 진폭, f0는 중심주파수, T는 신호의 길이 또는 주기를 나타내고, a는 신호의 길이 또는 주기 내에서 주파수의 차이인 △f를 신호의 길이로 나눈 기울기, t는 시간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첩 신호는 18 MHz 에서 30 MHz로 스위핑(sweeping)할 수 있고, 첩 신호의 길이를 임의로 증가시킴으로써 투과되는 초음파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50% 이하의 충격계수(duty factor)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창문함수 발생부(120)는 창문함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창문함수를 갖는 신호를 첩 신호와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창문함수는 chebyshev 창문함수임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창문함수를 갖는 신호는 첩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고,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를 조절하여, 초음파 변환자(150) 및 마이크로 채널 디바이스 등의 초음파 기기의 구성성분의 온도 증가를 억제하여, 이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마이크로 채널 디바이스 안의 세포 또는 입자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송신 빔포머(130)는 창문함수를 갖는 신호를 포함한 첩 신호 또는 창문함수를 갖는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첩 신호를 집속 시킨다. 송신 빔포머(130)는 초음파 변환자가 배열형인 경우 사용되는데, 신호의 시간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며 초음파 변환자가 배열형인 경우에도 초음파 집속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송신 빔포머(130)를 거친 신호는 증폭기(140)에 의하여 증폭된다. 증폭기는 대역통과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변환자(150)는 첩 신호를 첩 초음파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초음파 변환자(150)는 단일소자 또는 배열형 초음파 변환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음파 변환자는 환형(annular), 선형(linear) 및 위상(phased) 배열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변환자가 배열형인 경우, 신호가 집속되는 송신 빔포머(1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따라서 움직이는 세포 또는 입자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 채널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 채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세포 또는 입자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세포 또는 입자를 분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로써, 주파수 변조신호 발생기를 통하여 세포 또는 입자의 위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첩 신호를 발생시키며(St110), 상기 첩 신호를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시키며(St140), 상기 증폭된 신호를 초음파 변환자를 이용하여 첩 초음파로 변환하며(St150), 상기 첩 초음파를 세포 또는 입자에 출력(st160)하여 세포 또는 입자의 위치를 원격조절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변조신호 발생기(110)는 주파수가 선형 또는 비선형으로 변화하는 첩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주파수는 고주파수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첩 신호는 펄스파 신호 또는 연속파 신호일 수 있고, 정상파가 발생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첩 신호를 창문함수를 갖는 신호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변조(st120)시킬 수 있으며, 상기 창문함수를 갖는 신호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조절을 통하여,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세포 또는 입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변환자는 단일소자 또는 배열형 초음파 변환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음파 변환자는 환형(annular), 선형(linear) 및 위상(phased) 배열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음파 변환자가 배열형인 경우, 첩 신호 또는 창문함수를 갖는 신호를 포함한 첩 신호를 송신 빔포머에 집속(st130)시킬 수 있다.
상기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은 주파수가 변조된 첩 신호의 초음파의 길이를 임의로 증가시킴으로써 투과되는 초음파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초음파의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세포 또는 입자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각종 세포 및 입자를 물리적, 화학적 변화없이 위치 변화 또는 분류를 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자연과학 및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100: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장치
110: 주파수 변조신호 발생기
120: 창문함수 발생부
130: 송신 빔포머
140: 증폭기
150: 초음파 변환자

Claims (9)

  1. 세포 또는 입자의 위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첩(chirp) 신호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변조신호 발생기와;
    상기 주파수가 변조된 첩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증폭된 첩 신호를 첩 초음파 신호로 변환하는 초음파 변환자;를 포함하는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첩 신호의 에너지를 조절하기 위한 창문함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창문함수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의 위치를 제어하는 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초음파 변환자는 배열형 또는 단일소자의 초음파 변환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초음파 변환자가 배열형인 경우, 창문함수를 갖는 신호를 포함하는 첩 신호를 집속시키는 송신 빔포머를 더 포함하는,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세포 또는 입자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 채널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장치.
  6. 1) 주파수 변조신호 발생기를 통하여 세포 또는 입자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첩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첩 신호를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시키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증폭된 신호를 초음파 변환자를 이용하여 첩 초음파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3)단계의 첩 초음파를 세포 또는 입자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첩 신호에 창문함수 발생기를 이용하여 창문함수를 갖는 신호와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환자는 배열형 또는 단일소자의 초음파 변환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변환자가 배열형인 경우, 상기 1)단계의 변조된 신호를 송신 빔포머에 집속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첩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20053524A 2012-05-21 2012-05-21 주파수 변조된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36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24A KR101336757B1 (ko) 2012-05-21 2012-05-21 주파수 변조된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24A KR101336757B1 (ko) 2012-05-21 2012-05-21 주파수 변조된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53A KR20130129553A (ko) 2013-11-29
KR101336757B1 true KR101336757B1 (ko) 2013-12-04

Family

ID=4985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524A KR101336757B1 (ko) 2012-05-21 2012-05-21 주파수 변조된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7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1050B2 (ja) * 2014-05-27 2018-09-19 株式会社Mu研究所 超音波照射装置
WO2022039343A1 (ko) * 2020-08-20 2022-02-2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위치 조작장치
KR102512968B1 (ko) * 2021-03-10 2023-03-2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를 이용한 유체 내 세포 위치 조작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215A (ko) * 2000-06-17 2001-12-28 이민화 확산 대역 신호를 이용한 펄스 압축 방식에 기초한 초음파영상 형성 방법 및 장치
KR20030055430A (ko) * 2001-12-26 2003-07-04 주식회사 메디슨 가중 쳐프 신호를 이용한 초음파 영상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1098995B1 (ko) 2011-07-12 2011-12-2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료용 및 진단용 초음파 변환자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초음파 장치
KR20130085249A (ko) * 2012-01-19 2013-07-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변조를 통한 음파 집속 및 방향성 부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215A (ko) * 2000-06-17 2001-12-28 이민화 확산 대역 신호를 이용한 펄스 압축 방식에 기초한 초음파영상 형성 방법 및 장치
KR20030055430A (ko) * 2001-12-26 2003-07-04 주식회사 메디슨 가중 쳐프 신호를 이용한 초음파 영상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1098995B1 (ko) 2011-07-12 2011-12-2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료용 및 진단용 초음파 변환자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초음파 장치
KR20130085249A (ko) * 2012-01-19 2013-07-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변조를 통한 음파 집속 및 방향성 부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53A (ko)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757B1 (ko) 주파수 변조된 초음파를 이용한 세포 또는 입자 제어 장치 및 방법
Donahue et al. Experimental realization of a nonlinear acoustic lens with a tunable focus
US7502395B2 (en) Pulsed coherent fiber array and method
US9843400B2 (en) Broadband unidirectional ultrasound propagation
US9370338B2 (en) Ultrasound diagnosis device
JP2015148607A5 (ko)
EP2148323B1 (en) Sound generator for use in parametric array
CN102293666A (zh) 超声光声摄像装置及其操作方法
WO2013006691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mperature stability of acousto-optic beam deflectors and acousto-optic modulators during use
WO2014047181A2 (en) Foc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within a turbid medium using ultrasonic modulation
JP2013238474A (ja) レーザーレーダー装置
JPS6217195B2 (ko)
CN104812311A (zh) 超声波探头及超声波诊断装置
EP1632183B1 (en) Ultrasonographic device
CN105662339A (zh) 一种暗场照明声学分辨率光声显微装置
EP3512641A1 (en) Transducer for electromagnetic and thermo-acoustic wave based on three dimensional graphene structure
Pierce et al. Temporal modulation of a laser source for the generation of ultrasonic waves
US9008506B2 (en) Fiber network events measurement apparatus
Riza Photonically controlled ultrasonic arrays: scenarios and systems
CN108549074B (zh) 一种基于光学模拟相关接收机的宽带混沌雷达装置
Anastasi et al. Pulse compression techniques for laser generated ultrasound
Au Dolphin biosonar target detection in noise: Wrap up of a past experiment
KR101790888B1 (ko) 초음파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거리 측정 장치
JP2017075786A (ja) 超広帯域信号源を備えたレーダー装置
KR101294292B1 (ko) 초음파 변조를 통한 음파 집속 및 방향성 부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