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689B1 -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압, 무효전력 안정화용 전력품질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압, 무효전력 안정화용 전력품질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689B1
KR101336689B1 KR1020120154662A KR20120154662A KR101336689B1 KR 101336689 B1 KR101336689 B1 KR 101336689B1 KR 1020120154662 A KR1020120154662 A KR 1020120154662A KR 20120154662 A KR20120154662 A KR 20120154662A KR 101336689 B1 KR101336689 B1 KR 101336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unit
pow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수
심종태
정양섭
전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Priority to KR102012015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689B1/ko
Priority to US13/900,036 priority patent/US2014018419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6Measuring real component; Measuring reactive compon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는, 배선선로를 통해 제1 전압을 제공받아 제2 전압으로 변환하고, 제1 전류를 제공받아 제2 전류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 전압과 제2 전류를 신호처리하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전류전압센서부, 무선 통신을 통해 전류전압센서부로부터 제2 전압과 제2 전류를 전송받아 제2 전압과 제2 전류에 대한 계측치를 설정된 기준 계측치와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 계측치 내에 포함된 계측데이터만 원거리에 위치하는 중앙집중 시스템에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전력품질 측정부를 포함하며, 전류전압센서부는 배전 선로로부터 제1 전류를 제공받아 광범위 전류입력계측을 위한 로고스키코일을 사용하여 일정 비율의 전류 변화량에 비례하는 제2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신호 변환부, 배전 선로로부터 제1 전압을 제공받아 일정한 비율의 작은 전압인 제2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신호 변환부,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배전 선로로부터 제1 전압을 일정한 전압과 전력량으로 변화시켜 메인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 및 주전원부에서 공급되는 메인전원을 제공받아 동작전원으로 변환하고, 전류신호 변환부로부터 제2 전류와 전압신호 변환부로부터 제2 전압을 제공받아 신호처리하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센서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압, 무효전력 안정화용 전력품질 측정장치{The voltage distribution lines, reactive power stabilization for power quality measurement devices}
본 발명은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복수 무선 통신 기반의 Unsolicited Message 기능을 갖는 전압, 무효전력 안정화(Integrated Voltage and VAR Control) 및 최적화를 위해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종래 배전 선로망 모니터링 현장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종래 배전 선로망 모니터링 현장 시스템은 전신주 위에 부착되는 전압,전류 변환장치(1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변환된 전압, 전류입력 신호를 분석 처리하여 이를 중앙집중시스템에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력품질 측정기기(30)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 배전 선로망 모니터링 현장 시스템은 전압,전류 변환장치(10)와 전력품질 측정기기(30)가 유선선로로 설치되기 때문에 유선선로 비용이 많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선으로 연결되어 번개, 낙뢰 등과 같은 외부 환경 요소에 의한 영향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변압기로부터 전달된 전력이 배전선로망을 통해 최종 수요자인 가정 또는 공장에 전달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전력망의 전압의 유효치를 실시간 측정하여 배전선로망의 정정사고 및 전압의 유효범위를 벗어는 상황과 전력품질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배전선로망의 전력을 최적화하여 관리할 수 있는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는, 배선선로를 통해 제1 전압을 제공받아 제2 전압으로 변환하고, 제1 전류를 제공받아 제2 전류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 전압과 제2 전류를 신호처리하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전류전압센서부, 무선 통신을 통해 전류전압센서부로부터 제2 전압과 제2 전류를 전송받아 제2 전압과 제2 전류에 대한 계측치를 설정된 기준 계측치와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 계측치 내에 포함된 계측데이터만 원거리에 위치하는 중앙집중 시스템에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전력품질 측정부를 포함하며, 전류전압센서부는 배전 선로로부터 제1 전류를 제공받아 광범위 전류입력계측을 위한 로고스키코일을 사용하여 일정 비율의 전류 변화량에 비례하는 제2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신호 변환부, 배전 선로로부터 제1 전압을 제공받아 일정한 비율의 작은 전압인 제2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신호 변환부,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배전 선로로부터 제1 전압을 일정한 전압과 전력량으로 변화시켜 메인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 및 주전원부에서 공급되는 메인전원을 제공받아 동작전원으로 변환하고, 전류신호 변환부로부터 제2 전류와 전압신호 변환부로부터 제2 전압을 제공받아 신호처리하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센서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센서제어부는 주전원부에서 공급되는 메인전원을 제공받아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면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 충전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전류신호 변환부로부터 제2 전류와 전압신호 변환부로부터 제2 전압을 제공받아 계측하고 분석하면서 신호처리하는 제1 신호처리부 및 계측되고 분석되어 신호처리된 제2 전류와 제2 전압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력품질 측정부에 전송하는 무선통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품질 측정부는 전력품질 측정부를 동작하기 위한 주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전원 공급부, 제어전원 공급부로부터 주전원을 제공받아 전력품질 상황을 현장에서 조작할 수 있는 현장 조작부, 전류전압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제2 전압과 제2 전류에 대한 상기 계측치, 기준 계측치 및 계측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현장에서 제2 전압과 제2 전류에 대한 상기 계측치, 기준 계측치 및 계측데이터를 확인하여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신호 표시부, 신호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변환경에 따라 기준 계측치의 범위를 변경하여 설정하는 전압전류입력부, 전압전류입력부에서 변경되어 설정되는 기준 계측치의 범위를 연산처리하고, 연산된 기준 계측치가 설정된 기준 계측치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제2 신호처리부 및 전압전류입력부와 제2 신호처리부를 통해 설정된 기준 계측치 내에 포함된 계측데이터만 중앙집중 시스템에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중앙통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신 전송부는 기준 계측치 내에 포함된 계측데이터를 변환하여 중앙 시스템에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처리부와 계측데이터를 중앙 시스템이 요구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맞게 전송하는 원거리 통신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거리 통신처리부는 중앙 시스템이 요구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맞게 주기적인 요청에 따른 응답을 전송하되, 응답이 없는 상태에서도 이벤트 발생 시 응급상황임을 미리 알려주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는 전류전압센서부와 전력품질 측정부를 포함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별도 전압, 전류 신호를 전신부 위에서부터 배선작업을 하지 않고도 배전선로의 상황을 무선통신을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2) 중앙집중시스템이 원하는 상황을 원격지로부터 설정하여 배전선로 현장에서 설정된 상황이 발생했을 때만 발생시간과 함께 계측치를 전송하며 평상시 실시간 데이터 저장을 통해 적은 무선 통신 데이터만으로도 배전선로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3) 무선통신부와 전압, 전류 신호 입력부,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 조작부가 별도 모듈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쉽게 조합이 가능하여 한 개의 제품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4)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지에서 원하는 조건을 설정하고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다.
5) 배전선로의 상태를 실시간 파악하여 이에 따라 배전선로의 전압과 무효전력을 현장 제어부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종래 배전 선로망 모니터링 현장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류전압센서부의 연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류전압센서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품질 측정부의 연결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는 전류전압센서부(110)와 전력품질 측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류전압센서부(110)는 배선선로를 통해 제1 전압을 제공받아 제2 전압으로 변환하고, 제1 전류를 제공받아 제2 전류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 전압과 제2 전류를 신호처리하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전류전압센서부(110)는 전류신호 변환부(111), 전압신호 변환부(113), 주전원부(115) 및 센서제어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신호 변환부(111)는 배전 선로로부터 제1 전류를 제공받아 광범위 전류입력계측을 위한 로고스키코일을 사용하여 일정 비율의 전압 변화량에 비례하는 제2 전류로 변환한다. 이러한 전류신호 변환부(111)는 배전 선로로부터 제1 전류를 제공받아 제1 전류와 다른 전류인 제2 전류로 변환하되, 일정 비율의 전압 변화량만큼 변화한 제2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전류신호 변환부(111)는 배전 선로의 제1 전류가 i(t)라면, 전류신호 변환부(111)는 v(t)= a*di(t)/dt 라는 괌범위 전류입력계측을 위한 로고스키코일을 이용하여 일정비율의 전류 변화량에 비례할 수 있는 제2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신호 변환부(111)는 배전 선로로부터 제1 전류를 제공받아 일반적인 변류기를 사용하지 않고, 광범위 전류 입력계측을 위한 로고스키모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류신호 변환부(111)가 로고스키코일을 사용함으로써, 일정 비율의 전류 변화량에 비례하는 제2 전류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전압신호 변환부(113)는 배전 선로로부터 제1 전압을 제공받아 일정한 비율의 작은 전압인 제2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전압신호 변환부(113)는 배전 선로의 제1 전압이 v(t)라면 전압신호 변환부(113)의 출력 전압인 제2 전압은 b*v(t) 가 될 수 있다.
주전원부(115)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배전 선로로부터 제1 전압을 일정한 전압과 전력량으로 변화시켜 메인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주전원부(115)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배전 선로로부터 제1 전압을 일정한 전압과 전력량으로 변화시키고 이를 대용량 콘덴서에 저장하여 메인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센서제어부(117)는 주전원부(115)에서 공급되는 메인전원을 제공받아 동작전원으로 변환하고, 전류신호 변환부(111)로부터 제2 전류와 전압신호 변환부(113)로부터 제2 전압을 제공받아 신호처리하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센서제어부(117)는 충전부(117a), 제1 신호처리부(117b) 및 무선통신 전송부(117c)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17a)는 주전원부(115)에서 공급되는 메인전원을 제공받아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면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충전부(117a)는 주전원부(115)를 통해 들어온 AC 입력전원인 메인전원을 이용하여 센서제어부(117)(PCB Controller)가 구동하기 위한 DC전원인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내부 Capacitor(미도시)에 충전할 수 있다.
제1 신호처리부(117b)는 충전부(117a)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전류신호 변환부(111)로부터 제2 전류와 전압신호 변환부(113)로부터 제2 전압을 제공받아 계측하고 분석하면서 신호처리한다.
무선통신 전송부(117c)는 계측되고 분석되어 신호처리된 제2 전류와 제2 전압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력품질 측정부(130)에 전송한다. 이때 무선통신 전송부(117c)는 제1 신호처리부(117b)로부터 계측하고 분석된 제2 전류와 제2 전압이 특별히 전송될 필요가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될 경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력품질 측정부(1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신호처리부(117b)와 무선통신 전송부(117c) 간의 계측되고 분석되어 신호처리된 제2 전류와 제2 전압을 전송하고 전송받는 것은 내부 통신 버스방식으로 인터페이스 될 수 있다.
전력품질 측정부(13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류전압센서부(110)로부터 제2 전압과 제2 전류를 전송받아 제2 전압과 제2 전류에 대한 계측치를 설정된 기준 계측치와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 계측치 내에 포함된 계측데이터만 중앙집중 시스템에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전력품질 측정부(130)는 제어전원 공급부(131), 현장 조작부(133), 데이터저장부(135), 신호 표시부(137), 전압전류입력부(139), 제2 신호처리부(141) 및 중앙통신 전송부(143)를 포함한다.
제어전원 공급부(131)는 전력품질 측정부(130)를 동작하기 위한 주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제어전원 공급부(131)는 Power Supply Unit으로 전력품질 측정부(130)를 동작하기 위한 주전원을 위해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현장 조작부(133)는 제어전원 공급부(131)로부터 주전원을 제공받아 전력품질 상황을 현장에서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장 조작부(13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되며, 전력품질 상황을 위해 현장에서 설정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버튼과 후술할 신호 표시부(137)(LCD)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저장부(135)는 전류전압센서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제2 전압과 제2 전류에 대한 계측치, 기준 계측치 및 계측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저장부(135)는 실시간으로 제2 전압과 제2 전류에 대한 계측치, 기준 계측치 및 계측데이터를 저장하며 특정 Event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저장부(135)는 메모리 카드 타입으로 SD card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저장부(135)는 Firmware Upgrade를 통해 다른 장치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Firmware Update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신호 표시부(137)는 현장에서 제2 전압과 제2 전류에 대한 상기 계측치, 기준 계측치 및 계측데이터를 확인하여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전압전류입력부(139)는 신호 표시부(1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변환경에 따라 기준 계측치의 범위를 변경하여 설정한다. 이러한 전압전류입력부(139)는 전압, 전류의 종류 및 개수, 범위에 따라 선택가능하도록 별도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압전류입력부(139)는 기준 계측치의 범위로 변경하며 이를 일정 주기별로 A/D Conversion Sampling 처리할 수 있다.
제2 신호처리부(141)는 전압전류입력부(139)에서 변경되어 설정되는 기준 계측치의 범위를 연산처리하고, 연산된 기준 계측치가 설정된 기준 계측치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이러한 제2 신호처리부(141)는 전압전류입력부(139)에서 처리된 Sampling 된 A/D Conversion 데이터를 내부 통신으로 받아 이를 통해 계측하려는 RMS, Phase angle, 역률, 고조파 성분 등으로 연산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2 신호처리부(141)는 연산될 결과가 설정된 기준 계측치의 범위 내부에 포함되는지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중앙통신 전송부(143)는 전압전류입력부(139)와 제2 신호처리부(141)를 통해 설정된 기준 계측치 내에 포함된 계측데이터만 중앙집중 시스템에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중앙통신 전송부(143)는 근거리 통신처리부(143a)와 원거리 통신처리부(143b)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처리부(143a)는 기준 계측치 내에 포함된 계측데이터를 변환하여 중앙 시스템에 전송한다.
원거리 통신처리부(143b)는 계측데이터를 중앙 시스템이 요구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맞게 전송한다. 이러한 원거리 통신처리부(143b)는 중앙 시스템이 요구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맞게 주기적인 요청에 따른 응답을 전송하되, 응답이 없는 상태에서도 이벤트 발생 시 응급상황임을 미리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전력품질 측정부(130)는 주전원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전원 및 통신 버스(147)를 통해 각 세부구성이 사용하며, 제어전원 공급부(131)를 제외한 나머지 세부구성들 간의 데이터 교환은 공통 전원 및 통신 버스(147)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전력품질 측정부(130)는 제어전원 공급부(131), 현장 조작부(133), 데이터저장부(135), 신호 표시부(137), 전압전류입력부(139), 제2 신호처리부(141) 및 중앙통신 전송부(143) 각각이 별도 모듈로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각 종류별 모듈을 탈부착하는 작업을 통한 조합으로 다양한 기능 구성을 할 수 있다.
도 6에서 미 설명 도면부호 145는 현장 제어부 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구성하여 유선선로 설치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번개, 낙뢰 등과 같은 외부 환경 요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하되 배전선로 현장에 특별한 사건이나 사고가 발생시에만 전송할 수 있어 통신 트래픽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배전선로를 통해 제1 전압을 제공받아 제2 전압으로 변환하고, 제1 전류를 제공받아 제2 전류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제2 전압과 상기 제2 전류를 신호처리하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전류전압센서부;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전류전압센서부로부터 상기 제2 전압과 상기 제2 전류를 전송받아 상기 제2 전압과 상기 제2 전류에 대한 계측치를 설정된 기준 계측치와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 계측치 내에 포함된 계측데이터만 원거리에 위치하는 중앙집중 시스템에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전력품질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전압센서부는
    상기 배전 선로로부터 상기 제1 전류를 제공받아 광범위 전류입력계측을 위한 로고스키코일을 사용하여 일정 비율의 전류 변화량에 비례하는 제2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신호 변환부;
    상기 배전 선로로부터 상기 제1 전압을 제공받아 일정한 비율의 작은 전압인 상기 제2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신호 변환부;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전 선로로부터 상기 제1 전압을 일정한 전압과 전력량으로 변화시켜 메인전원을 공급하는 주전원부; 및
    상기 주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메인전원을 제공받아 동작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류신호 변환부로부터 상기 제2 전류와 상기 전압신호 변환부로부터 상기 제2 전압을 제공받아 신호처리하여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센서제어부;를 포함하는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제어부는
    상기 주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메인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면서 상기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로부터 상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전류신호 변환부로부터 상기 제2 전류와 상기 전압신호 변환부로부터 상기 제2 전압을 제공받아 계측하고 분석하면서 신호처리하는 제1 신호처리부; 및
    계측되고 분석되어 신호처리된 상기 제2 전류와 상기 제2 전압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품질 측정부에 전송하는 무선통신 전송부;
    를 포함하는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력품질 측정부는
    상기 전력품질 측정부를 동작하기 위한 주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전원 공급부;
    상기 제어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주전원을 제공받아 전력품질 상황을 현장에서 조작할 수 있는 현장 조작부;
    상기 전류전압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2 전압과 상기 제2 전류에 대한 상기 계측치, 상기 기준 계측치 및 상기 계측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현장에서 상기 제2 전압과 상기 제2 전류에 대한 상기 계측치, 상기 기준 계측치 및 상기 계측데이터를 상기 신호를 확인하여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신호 표시부;
    상기 신호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변환경에 따라 상기 기준 계측치의 범위를 변경하여 설정하는 전압전류입력부;
    상기 전압전류입력부에서 변경되어 설정되는 상기 기준 계측치의 범위를 연산처리하고, 연산된 상기 기준 계측치가 설정된 상기 기준 계측치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제2 신호처리부; 및
    상기 전압전류입력부와 상기 제2 신호처리부를 통해 설정된 상기 기준 계측치 내에 포함된 상기 계측데이터만 상기 중앙집중 시스템에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중앙통신 전송부;
    를 포함하는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신 전송부는
    상기 기준 계측치 내에 포함된 상기 계측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중앙 시스템에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처리부;와
    상기 계측데이터를 상기 중앙 시스템이 요구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맞게 전송하는 원거리 통신처리부;를 포함하는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통신처리부는 상기 중앙 시스템이 요구하는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맞게 주기적인 요청에 따른 응답을 전송하되, 응답이 없는 상태에서도 이벤트 발생 시 응급상황임을 미리 알려주는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력품질을 측정하는 제어 장치.
KR1020120154662A 2012-12-27 2012-12-27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압, 무효전력 안정화용 전력품질 측정장치 KR101336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662A KR101336689B1 (ko) 2012-12-27 2012-12-27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압, 무효전력 안정화용 전력품질 측정장치
US13/900,036 US20140184195A1 (en) 2012-12-27 2013-05-22 Power quality measuring device used in distribution line for integrated voltage and var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662A KR101336689B1 (ko) 2012-12-27 2012-12-27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압, 무효전력 안정화용 전력품질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689B1 true KR101336689B1 (ko) 2013-12-16

Family

ID=4998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662A KR101336689B1 (ko) 2012-12-27 2012-12-27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압, 무효전력 안정화용 전력품질 측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84195A1 (ko)
KR (1) KR1013366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031B1 (ko) * 2015-02-13 2016-03-24 주식회사 레티그리드 상별 측정 모듈 분리형 전력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20190124450A (ko) 2018-04-26 2019-11-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선로의 전압을 적정범위 내로 조정 가능한 무효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9831A (ko) * 2020-04-21 2021-10-29 에이디파워 주식회사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
KR102331623B1 (ko) 2021-03-03 2021-12-01 박윤희 배전선로 안정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8765B (zh) * 2020-12-29 2022-07-1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基于罗氏线圈的电容器组汇流母排电流测量电路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831A (ko) * 2000-02-07 2001-08-20 소병수 배전 상태 감시기
JP2004119926A (ja) * 2002-09-30 2004-04-15 Toshiba Corp 変流器及び変流器システム
US7321291B2 (en) * 2004-10-26 2008-01-22 Current Technologies, Llc Power lin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473250B2 (en) * 2006-12-06 2013-06-25 Solaredge, Ltd. Monitoring of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US9702923B2 (en) * 2007-09-17 2017-07-11 Pål Even Gaarder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transmission, disturbances and forecasts
AU2009307002A1 (en) * 2008-10-20 2010-04-29 Mischa Warren Beuthling Single phase power factor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US8321163B2 (en) * 2009-03-04 2012-11-27 Server Technology, Inc. Monitoring power-related parameters in a power distribution unit
KR100919504B1 (ko) * 2009-03-25 2009-09-28 주식회사 피엠디네트웍스 전력 조절기 및 원격 전력 제어 장치
KR101104320B1 (ko) * 2010-04-01 2012-01-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송배전 선로 감시용 무선 변류기
US8330293B2 (en) * 2010-04-09 2012-12-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wer factor correction system
WO2012078652A1 (en) * 2010-12-06 2012-06-14 Sentient Energy, Inc. Power conductor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calibration
JP5893544B2 (ja) * 2011-10-31 2016-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圧制御装置、電圧制御方法、電力調整装置、及び電圧制御プログラム
US8816527B1 (en) * 2013-03-27 2014-08-26 Smart Wire Grid, Inc. Phase balancing of power transmission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031B1 (ko) * 2015-02-13 2016-03-24 주식회사 레티그리드 상별 측정 모듈 분리형 전력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20190124450A (ko) 2018-04-26 2019-11-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선로의 전압을 적정범위 내로 조정 가능한 무효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9831A (ko) * 2020-04-21 2021-10-29 에이디파워 주식회사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
KR102403598B1 (ko) 2020-04-21 2022-05-30 에이디파워 주식회사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
KR102331623B1 (ko) 2021-03-03 2021-12-01 박윤희 배전선로 안정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4195A1 (en)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689B1 (ko)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압, 무효전력 안정화용 전력품질 측정장치
EP2577232B1 (en) System for self-powered, wireless monitoring of electrical current, power and energy
US9518838B2 (en) Slave suitable for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US20070007968A1 (en) Power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wirelessly communicating electrical power transducer
KR101140277B1 (ko) 다중 통신 방식의 무정전 다측점 멀티계측기와 전력량 수집기를 이용한 전력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3653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 측정 시스템
KR102308420B1 (ko) 수배전반용 온도센서를 포함한 모니터링시스템(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20130034772A (ko) 배전계통의 전기품질 이상 파형 감지 시스템 및 방법
WO2012005420A1 (ko) 양방향 전자식 전력량계
KR100880818B1 (ko) 프로브 일체형 전류 전압측정 및 무선 전송장치
US20150188316A1 (e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nd energy management method
CN204424700U (zh) 一种智能配电柜的配电单元
KR101319449B1 (ko) 무선 라우팅 역할을 수행하는 무정전 전력 측정장치
KR100850639B1 (ko) 무선 원격 검침이 가능한 전력량계
KR20110121158A (ko) 수요관리연계 분전함 및 그를 위한 게이트웨이
US9312727B2 (en) Local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digital protective relay
WO2018064244A1 (en) Electrical transmission line sensing
US11955968B2 (en) Combined logic control circuit and sewage treatment system
CN215646369U (zh) 适用于独栋建筑的分布式能源监测装置
KR20120052622A (ko) Isg-lpms를 이용한 수배전반 및 분전반 부하전력 관리시스템
KR20150101759A (ko) 실시간 수요전력 및 요금 관리 시스템
CN105629796A (zh) 智能网关及多联机控制系统
KR101383700B1 (ko) 고전압 선로용 무선 센싱장치
JP2011242225A (ja) 電力計測装置及び電力計測システム
KR20020076918A (ko) 축전지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