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598B1 -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598B1
KR102403598B1 KR1020200047843A KR20200047843A KR102403598B1 KR 102403598 B1 KR102403598 B1 KR 102403598B1 KR 1020200047843 A KR1020200047843 A KR 1020200047843A KR 20200047843 A KR20200047843 A KR 20200047843A KR 102403598 B1 KR102403598 B1 KR 102403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box
distribution board
smart distribution
board black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831A (ko
Inventor
김동섭
Original Assignee
에이디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디파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7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598B1/ko
Publication of KR20210129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07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etecting means
    • H02H1/0015Using arc dete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261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 H02H7/263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involving transmissions of measured val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가, 누전 차단 관리에서의 임계 전류값을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에 기 설정되어 있는 임계 전류값을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임계 전류값으로 갱신하여 설정하며, 갱신 설정된 임계 전류값에 기초하여 과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에서의 누전 차단 동작을 위한 임계값을 개별 공장 내 전기 설비의 설치 환경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에서의 전원품질 분석과 누전 분석을 통해 개별 공장 내 전기 안전 사고의 발생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 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Power Quality Analysis and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Smart Distribution Board Blackbox}
본 발명은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에서의 누전 차단 동작을 위한 임계값을 개별 공장 내 전기 설비의 설치 환경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장 내 분전반에 설치되는 누전 차단기는 기 설정된 임계값(예를 들면, 기준 전류값)을 초과하는 전력 정보가 측정되는 경우에 동작하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누전 차단기는 기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누전과 같은 전기 안전 사고의 정밀한 분석 및 진단을 위해서는 관리 기준값인 임계값이 개별 공장 내 전기 설비의 설치 환경 및 사용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재설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미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을 현재의 공장 내 전기 설비의 설치 환경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설정할 수 없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아울러, 복잡해지는 전기설비 사용환경으로 비선형 부하의 증가에 따라 과도한 고조파 발생이 누전요소에 영향을 주므로 선택적 안전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에서의 누전 차단 동작을 위한 임계값을 개별 공장 내 전기 설비의 설치 환경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은, 공장 내 설치되는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가, 누전 차단 관리에서의 임계 전류값을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가, 상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에 기 설정되어 있는 임계 전류값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임계 전류값으로 갱신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c) 상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가, 갱신 설정된 상기 임계 전류값에 기초하여 과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d) 상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가, 상기 분전반 장비에서의 전력 사용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에서의 누전 차단 동작을 위한 임계값을 개별 공장 내 전기 설비의 설치 환경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에서의 전원품질 분석과 누전 분석을 통해 개별 공장 내 전기 안전 사고의 발생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 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기(100), 관리 서버(200), 및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를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기(100)는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가 설치된 공장 내 안전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PC 등의 통신 단말기로서, 공장 내 안전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00)를 통해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에 연결되어 있는 공장 내 전기 설비의 정격 소비 전류값 또는 공장 내 전기 설비의 모델명 정보를 입력한다.
관리 서버(200)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 관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사업자가 설치 및 운영하는 서버로서, 관리자 단말기(100)로부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에 대한 관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관리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분전 회로별 누전 차단 동작을 위한 임계 전류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임계 전류값을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에는 공장 내 전기 설비들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임계 전류값을 기초로 하는 공장 내 전기 설비별 누전 차단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는 다양한 공장 내 전기 설비들이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분전 회로별 전류를 측정하며, 분전 회로별 전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량을 연산하며, 또한 분전 회로별 전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분전 회로별 아크 전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아크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해당 분전 회로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아크 전류에 의한 화재 발생의 위험성을 각 분전 회로별로 감시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200)는 수신부(210), 저장부(230), 판단부(250), 및 송신부(270)를 포함한다.
먼저, 관리 서버(200)의 수신부(210)는 관리자 단말기(100)로부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에 대한 관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관리 서버(200)의 저장부(230)에는 관리자 단말기(100)부터 수신된 관리 요청 메시지가 저장되며, 판단부(250)는 관리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관리 정보와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로부터 수신된 공장 내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누전 차단 동작을 위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을 결정한다.
한편, 관리 서버(200)의 송신부(270)는 판단부(250)에 의해 결정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를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는, 측정부(310), 연산부(330), 통신부(350), 저장부(370), 판단부(380), 및 차단부(390)를 포함한다.
먼저,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측정부(310)는 개별 공장 내 전기 설비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분전 회로별 전류를 개별적으로 측정하며, 이와 같이 측정된 분전 회로별 전류값은 저장부(370)에 누적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측정부(310)는 3상 4선식 분전 회로에서의 각 상별 영상 전류의 합성 누전 전류값을 측정한다.
한편,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연산부(330)는 분전 회로별 전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연산하며, 실시간으로 연산된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량 정보는 저장부(370)에 저장됨과 동시에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에 구비된 모니터 등의 표시 장치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아울러,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연산부(330)는 3상 4선식 분전 회로에서의 각 상별 영상 전류의 합성 누전 전류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상별 전압과 합성 누전 전류의 위상각을 연산하고, 합성 누전 전류 측정값, 위상각, 및 각 상별 전압 측정값에 기초하여 각 상별 활선 절연 저항값을 실시간으로 연산하며, 상별 전압, 합성 누전 전류의 위상각, 각 상별 활선 절연 저항값은 저장부(370)에 저장됨과 동시에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에 구비된 모니터 등의 표시 장치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이를 통해 공장 내 안전 관리자는 각 분전 회로에 연결되어 있는 공장 내 전기 설비의 사용에 따른 전력 사용량, 상별 전압, 합성 누전 전류의 위상각, 각 상별 활선 절연 저항값을 공장 내 전기 설비 별로 구분하여 확인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통신부(35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을 수신하며,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는 저장부(370)에 저장된다.
한편,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판단부(380)는 분전 회로별 전류의 측정값과 소정의 임계 전류값(기준 전류값)을 비교함으로써 과전류 또는 아크 전류의 발생 여부를 분전 회로별로 판단한다.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차단부(390)는, 판단부(380)에 의해 과전류 또는 아크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분전 회로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2,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공장 내 안전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음, 공장 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관리 정보를 입력한다(S410).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410 단계에서 관리자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관리 정보는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개별 공장 내 전기 설비들의 정격 소비 전류값 또는 공장 내 전기 설비들의 모델명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등과 같은 본 발명에서의 IoT 방식의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범용 고유 식별자 정보가 관리 정보로서 추가로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관리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관리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요청을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된 관리 요청은 관리자 단말기(100)를 통해 관리 서버(200)로 송신된다(S420).
이에 관리 서버(200)의 수신부(210)는 관리자 단말기(100)로부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에 대한 관리 요청을 수신하며,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관리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분전 회로별 누전 차단 동작에 필요한 임계 전류값을 결정한다(S430).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공장 내 안전 관리자가 관리 정보로서 입력한 분전 회로별 공장 내 전기 설비의 정격 소비 전류값에,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안전율(예를 들면, 0.9)을 곱한 값을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공장 내 안전 관리자가 관리 정보로서 공장 내 전기 설비들의 모델명 정보를 입력한 경우에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저장부(230)에 각 모델명 정보별로 저장되어 있는 정격 소비 전류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정격 소비 전류값에 상기 소정의 안전율을 곱한 값을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으로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1차적으로 결정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는 하기의 표 1에서와 같이 관리 서버(200)의 저장부(230)에 저장되며, 관리 서버(200)의 송신부(270)는 전술한 S410 단계에서의 관리 요청에 포함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고유 식별자 정보에 기초해서 해당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로 전술한 S430 단계에서 결정된 임계 전류값 정보를 송신한다(S440).
고유 식별자 1차 임계 전류값 2차 임계 전류값
56q3-9t0C-7805E82C3323 130A / 150A / 120A / 300A -
23x4-y568-446655442356 200A / 200A / 230A / 550A -
58e4-u369-456755245789 190A / 200A / 220A / 450A -
이에 따라, 관리 서버(200)로부터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를 수신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는 수신된 임계 전류값을 공장내 누전 차단 관리의 분전 회로별 기준 임계값으로 설정한다(S450).
구체적으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제어 모듈은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제품 출시 시점에 기 설정되어 있는 누전 차단 관리에서의 임계 전류값을 전술한 S44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으로 갱신하여 설정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44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와 함께 상기 표 1에서의 고유 식별자 정보를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로 송신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제어 모듈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고유 식별자 정보가 자신의 고유 식별자 정보와 일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관리자 인증 절차를 실행하며, 양자가 일치되는 경우에만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으로의 설정을 실행함으로써, 정당한 권원이 없는 자에 의해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공장 내 안전 관리자가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설정 정보를 관리 서버(200)를 통해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미리 확보할 수 있도록, 전술한 S410 단계의 실행 이전에, 공장 내 안전 관리자가 NFC 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스마트 폰 등의 관리자 단말기(100)를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에 부착되어 있는 NFC 칩에 태깅함에 따라, NFC 칩에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고유 식별자 정보가 관리자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S440 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와 함께 상기 관리 서버(200)의 주소 정보(URL)를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로 송신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는 공장 내 전기 설비들의 사용에 따른 공장 내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 정보를 이후 관리 서버(200)로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S460).
이에 관리 서버(200)는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로부터 공장 내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게 되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로부터 수신된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 정보는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고유 식별자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200)의 저장부(230)에 누적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로부터 수신된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 정보에 기초해서 임계 전류값을 재결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해당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에 대해 누적 저장된 분전 회로별 전력 사용 정보로부터 일정 기간(예를 들어, 전일/전월/전년) 동안의 분전 회로별 평균 전류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전류값을 해당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에서의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으로 재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새롭게 설정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은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2차 임계 전류값으로 저장부(230)에 누적 저장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고유 식별자 1차 임계 전류값 2차 임계 전류값
56q3-9t0C-7805E82C3323 130A / 150A / 120A / 300A 150A / 140A / 140A / 320A
23x4-y568-446655442356 200A / 200A / 230A / 550A 190A / 180A / 220A / 540A
58e4-u369-456755245789 190A / 200A / 220A / 450A 210A / 220A / 210A / 440A
한편, 관리 서버(200)의 송신부(270)는 해당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로 전술한 S470 단계에서 재결정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를 송신하며(S480), 이에 따라 관리 서버(200)로부터 갱신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 정보를 수신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는 수신된 임계 전류값을 누전 차단 관리의 새로운 기준 임계값으로 재설정한다(S49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전술한 S470 단계에서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을 재결정함에 있어서, 1차 임계 전류값과 2차 임계 전류값 중 더 작은 값으로 임계 전류값을 결정함으로써 보다 안전도가 높은 누전 차단 관리가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연산부(330)는 분전 회로별 전압 측정값에 기초하여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계통 전압에 대한 총 고조파율(VTHD)을 산출하거나, 분전 회로별 전류 측정값에 기초하여 하기의 수학식 2에 기초하여 계통 전류에 대한 총 고조파율(ITHD)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112020040764254-pat00001
Figure 112020040764254-pat00002
아울러,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판단부(380)는 계통 전압에 대한 총 고조파율(VTHD) 또는 계통 전류에 대한 총 고조파율(ITHD)이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5%)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전력 품질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통신부(350)를 통해 관리 서버(200)로 전력 품질 이상 경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연산부(330)는 분전 회로별 전압 측정값(Vi)에 기초하여 하기의 수학식 3을 통해 고조파 주파수(fi)와 대지 정전용량(C)에 의한 누설전류(Ig)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112020040764254-pat00003
아울러,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판단부(380)는 상기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된 누설전류(Ig)가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10A)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누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통신부(350)를 통해 관리 서버(200)로 누설 전류의 유형 정보(용량성 누설 전류 또는 저항성 누설 전류)를 포함하는 누전 사고 발생 경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관리 서버(200)가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로부터 용량성 누설 전류로 인한 누전 사고 발생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공장 내 전기 설비에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을 소정의 비율(예를 들면, 10%)로 하향 조절함으로써,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을 재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관리 서버(200)가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로부터 저항성 누설 전류로 인한 누전 사고 발생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관리 서버(200)의 판단부(250)는 저항성 누설전류의 증가로 인해 전기 화재 및 감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기(100)로 누전 사고 발생 경고 메시지를 송신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이 경우에 관리 서버(200)는 소방서 등에 설치된 외부 서버로 해당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300)의 고유 식별자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설치 위치 정보와 함께 누전 사고 발생 경고 메시지를 추가로 송신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시적으로 전원품질 분석 요소 중 고조파 모니터링을 통한 누전량 분석을 통해 고조파와 누전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관리자 단말기, 200: 관리 서버,
300: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

Claims (3)

  1. 공장 내 설치되는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가, 누전 차단 관리에서의 임계 전류값을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가, 상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에 기 설정되어 있는 임계 전류값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임계 전류값으로 갱신하여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가, 분전 회로별 전류 측정값에 기초하여 계통 전류에 대한 총 고조파율(ITHD)를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가, 상기 계통 전류에 대한 총 고조파율(ITHD)이 소정의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관리 서버로 전력 품질 이상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e) 상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가, 분전 회로별 전압 측정값에 기초하여 대지 정전용량(C)에 의한 누설전류(Ig)를 산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가, 산출된 상기 누설전류(Ig)가 소정의 제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누설 전류(Ig)의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누전 사고 발생 경고 메시지를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누설 전류(Ig)의 유형 정보가 용량성 누설 전류인 경우에 분전 회로별 임계 전류값을 소정의 비율로 하향 조절하여 재설정하는 것인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누설 전류(Ig)의 유형 정보가 저항성 누설 전류인 경우에 관리자 단말기로 누전 사고 발생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인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
KR1020200047843A 2020-04-21 2020-04-21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 KR102403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843A KR102403598B1 (ko) 2020-04-21 2020-04-21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843A KR102403598B1 (ko) 2020-04-21 2020-04-21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831A KR20210129831A (ko) 2021-10-29
KR102403598B1 true KR102403598B1 (ko) 2022-05-30

Family

ID=7823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843A KR102403598B1 (ko) 2020-04-21 2020-04-21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5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689B1 (ko) 2012-12-27 2013-12-16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압, 무효전력 안정화용 전력품질 측정장치
KR102101735B1 (ko) * 2018-11-26 2020-04-20 유경학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방법 및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490B1 (ko) * 2001-03-09 2004-03-03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복수의 분전반을 구비한 수용가의 전력상황 감시 시스템
KR20100132316A (ko) * 2009-06-09 2010-12-17 주식회사 피엠디네트웍스 블랙박스 기능을 갖춘 전력 품질 관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부하별 전력 사용량 분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689B1 (ko) 2012-12-27 2013-12-16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압, 무효전력 안정화용 전력품질 측정장치
KR102101735B1 (ko) * 2018-11-26 2020-04-20 유경학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방법 및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831A (ko)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317B1 (ko) 유시티(U-city) 등 대규모 도시의 전기설비를 실시간으로 관리 및 운영을 하는 웹감시 기반 유시티 전기안전 통합관리시스템
US8566046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wer line equipment degradation
US20140344559A1 (en) Transformer station automation system and terminal automatic recognition method
CN111066218A (zh) 用于远程电力管理和发现的系统、方法以及设备
KR102302262B1 (ko) 화재 방지 기능을 활용한 지능형 태양광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142433A1 (en) Information assessment system, information assessment apparatus, and information assessment method
KR101336571B1 (ko) 전기재해 취약장소의 전기안전관리 시스템을 관리 및 운영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
JP4936713B2 (ja) 電気事故情報提供システム、電気事故情報提供方法、および、電気事故情報提供プログラム
CN112468592B (zh) 一种基于电力信息采集的终端在线状态侦测方法及系统
US20130138367A1 (en) Remote power outage notification
Wang et al. A new model approach of electrical cyber physical systems considering cyber security
KR102043441B1 (ko) IoT 기반 이동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 장치
KR20170079609A (ko) 가상 물리 시스템을 이용한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US10524140B2 (en) Commercial power restore indicator for sites, such as for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ites
KR102403598B1 (ko) 스마트 분전반 블랙박스를 이용한 전력 품질 분석 및 전기 안전 관리 방법
CN105201537A (zh) 液压支架电液控制系统的无线自编号方法及装置
KR102057643B1 (ko) 네트워크를 통한 분전반 장비의 출장 정비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1449452B1 (ko) 용역사업자 망분리서버 네트워크(배전반, 비상발전기, 네트웍장비, cctv, 방송장비, 자동제어) 콘트롤박스 및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01735B1 (ko)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방법 및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90033097A (ko) Lpwa 통신을 이용한 전력 차단기 감시 장치 및 시스템
Wadhawan et al. A systematic approach for analyzing multiple cyber-physical attacks on the smart grid
KR102125765B1 (ko) 분전 회로별 전력 관리 장치
KR102125767B1 (ko)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57637B1 (ko) 네트워크를 통한 분전반 장비의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0923006B1 (ko) 지능형 누전 차단 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